KR200487393Y1 -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 - Google Patents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393Y1
KR200487393Y1 KR2020160007254U KR20160007254U KR200487393Y1 KR 200487393 Y1 KR200487393 Y1 KR 200487393Y1 KR 2020160007254 U KR2020160007254 U KR 2020160007254U KR 20160007254 U KR20160007254 U KR 20160007254U KR 200487393 Y1 KR200487393 Y1 KR 200487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
flagpole
shape
pattern
fla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867U (ko
Inventor
정안성
Original Assignee
정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안성 filed Critical 정안성
Priority to KR2020160007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39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8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8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3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2Flagpo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25Raising or lower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깃발의 패턴이 노출되는 면적을 넓혀 깃발의 게양의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깃발의 감김 및 처짐을 방지하여 시각적인 미려함의 향상 및 깃발의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깃대(10)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부재(15)를 통해 상기 깃대(10)에 장착되는 깃발(20)의 내주연과 상기 깃대(10)의 외주연 사이에 공간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5)에 연결수단(45)을 통해 상기 깃발(20)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깃발(20)의 원통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유지부(40)를 포함하는 깃대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40)는, 상기 깃발(20)의 내주연 직경에 대응되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FLAGPOLE FOR EXPAND EXPOSED AREA OF FLAG PATTERN}
본 고안은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깃발의 패턴이 노출되는 면적을 넓혀 깃발의 게양의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깃발의 감김 및 처짐을 방지하여 시각적인 미려함의 향상 및 깃발의 훼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가나 기관, 단체 또는 각종 모임 등을 알리거나 표시하기 위해 다양한 패턴을 갖는 깃발을 실내 또는 실외에 게양하고 있다.
이러한 깃발은 국가나 단체 등의 상징으로서 잘 보이는 곳에 게양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게양할 경우 사용자 부주의로 인한 깃발 훼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존되어야 한다.
상기 깃발은 가로등이나 빌딩 등의 벽면에 부착된 깃대꽂이에 깃대가 기워짐으로써 게양되거나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대로부터 수직되도록 세워진 깃대에 게양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깃발을 게양하여 현장에서 사용할 경우 바람 등의 자연현상으로 인해 깃발이 깃대에 감기거나 깃발이 훼손되어 깃발의 패턴을 정확히 노출시키기 어려워 게양의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436822호(등록일자: 2007년 09월 28일)에서는 일측으로 삽입구를 가지는 깃발과, 상기 깃발의 삽입구에 끼워지며 상기 깃발을 지지하는 깃대와, 상기 깃발과 연결끈으로 연결되며 상기 깃대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깃발과 함께 깃대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회전보스와, 상기 회전보스의 내경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보스와 깃대 간의 마찰을 줄여주는 다수개의 볼베어링 및 상기 회전보스의 위쪽에 위치하며 상기 깃대의 외주면에 끼워져 볼트로 체결 고정되어 상기 회전보스의 수직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로 구성되어 상기 깃발이 상기 깃대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바람이 불거나 깃대를 흔드는 과정에서 깃발과 깃대가 함께 회전하여 깃발이 깃대에 감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깃대를 고정하거나 바람이 불지 않을 경우에는 깃발의 쳐짐 등의 문제로 인해 깃발의 패턴이 정확히 노출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강의실, 회의실 등과 같은 실내의 바닥에 설치된 받침대로부터 수직되도록 세워진 깃대에 깃발을 게양하였을 경우 깃발의 무게 등으로 인해 깃발이 쳐진 상태로 유지되어 깃발에 형성된 패턴이 적게 노출됨에 따라 깃발의 게양의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없으며,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깃발의 패턴의 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깃발의 게양의미를 정확히 전달하면서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깃대의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깃발을 원통형상으로 장착하여 깃발에 형성된 패턴의 노출면적을 넓히으로써 깃발의 게양의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깃발의 형상을 유지시킴으로써 깃발이 깃대에 감기거나 쳐짐을 방지할 수 있고, 깃발에 형성된 패턴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는, 깃대(10)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부재(15)를 통해 상기 깃대(10)에 장착되는 깃발(20)의 내주연과 상기 깃대(10)의 외주연 사이에 공간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5)에 연결수단(45)을 통해 상기 깃발(20)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깃발(20)의 원통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유지부(40)를 포함하는 깃대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40)는, 상기 깃발(20)의 내주연 직경에 대응되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깃발(20)에 형성된 패턴의 형상유지를 위해 상기 패턴의 외곽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패턴유지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45)는, 상기 형상유지부(4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후크와, 상기 수후크가 걸림되도록 상기 깃발(20)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암후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깃발이 깃대에 원통형상으로 장착되고, 깃대와 깃발 사이에 설치되는 형상유지부로 인해 상기 깃발의 원통형상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깃발에 형성된 패턴의 노출면적이 넓혀져 게양의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깃발의 외관상 미려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깃발이 깃대에 감기거나 쳐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깃발의 훼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깃발에 형성된 패턴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어 깃발의 특징이 되는 패턴을 부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도 3에서 A-A를 자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의 패턴유지부를 적용하기 위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의 형상유지부,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의 형상유지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의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서 A-A를 자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의 패턴유지부를 적용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의 형상유지부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의 형상유지부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깃발(20)이 장착되는 깃대에 있어서, 상기 깃발(20)은, 상기 깃대(10)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중공되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부재(15)를 통해 상기 깃대(10)에 장착되고, 상기 깃발(20)의 내주연과 상기 깃대(10)의 외주연 사이에 공간부(25)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5)에는,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연결수단(45)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깃발(20)의 원통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원형 띠 형상의 형상유지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깃대(10)는,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실내 또는 실외의 지면에 설치되는 받침대(30)에 수직되도록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30)는 실내외 지면에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대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삼발이형 또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형의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는 원판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깃발(20)은, 일정 면적을 갖는 직물 등으로 제작되며, 외측면에 국가 또는 단체 등을 상징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깃발(20)이 상기 깃대(10)에 장착될 경우 상기 깃대(10)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부재(15)를 이용하여 장착된다.
다시 말해, 상기 깃발(20)의 일측을 상기 깃대(10)에 장착부재(15)를 매개로 장착한 후, 상기 깃대(10)를 수용하도록 상기 깃발(20)의 타측을 말아 상기 일측에 연결하여 상기 깃발을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장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깃발(20)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내주연이 점차 커지거나 작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깃발(20)의 패턴(2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깃발(20)을 상기 깃대(10)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장착부재(15)는 끈, 후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깃발(20)을 상기 깃대(10)에 장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착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깃발(20)의 내주연과 상기 깃대(10)의 외주연 사이에는 공간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5)에는 상기 깃발(20)의 원통형상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형상유지부(40)가 위치된다.
상기 형상유지부(40)는, 철사 등과 같이 가벼우면서 견고한 재질을 이용하여 상기 깃발(20)의 내주연보다 작거나 동일한 크기인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상유지부(40)가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깃발(20)의 내주연 직경에 대응되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형상유지부(40)를 다수개의 마디로 분할하여 각 마디를 인입출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테나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식으로 형성되는 형상유지부(40)의 양 끝을 연결하여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결합부재(미도시)를 사용하거나 작은 직경의 길이방향 일측이 큰 직경의 길이방향 타측에 인입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형상유지부(40)가 안테나식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깃발(20)의 내주연 직경에 대응되도록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부(40)를 다수개의 마디로 분할하여 각 마디가 중첩되어 접히도록 다단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단 접이식으로 형성되는 형상유지부(40)의 양 끝을 연결하여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결합부재(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단 접이식으로 형상유지부(40)가 형성될 경우 휴대성 및 사용의 편리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형상유지부(40)는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수단(45)이 구성되고, 상기 형상유지부(4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45)은 상기 형상유지부(4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다수개의 수후크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수단(45)에는 상기 형상유지부(40)와 상기 깃발(20)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거리를 늘리기 위해 연장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연장줄은 상기 형상유지부(40)와 수후크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형상유지부(4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연장줄을 설치한 후 상기 연장줄의 끝단에 수후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수단(45)에 연장줄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후크를 상기 암후크에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깃발(20)에는 상기 수후크가 걸림되도록 상기 깃발(20)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암후크가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형상유지부(40)를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연결할 경우 상기 형상유지부(40)의 수후크를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암후크에 걸어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45)은 상기 형상유지부(4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45)은 후크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상기 형상유지부(40)를 연결시키기 위해 실, 벨크로 등과 같이 다양한 연결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형상유지부(40)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깃발(20)의 내주연 직경에 대응되면서 중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형상유지부(40)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판지 등과 같은 견고한 재질의 종이 또는 플라스틱, 철판을 말아 원통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거나 철사, 대나무대를 엮어 원통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상기 형상유지부(40)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원통형상이 유지되는 튜브를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종이 또는 튜브로 형성된 형상유지부(40)를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연결시키기 위해 벨크로 등과 같이 다양한 연결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상유지부(40)가 상기 깃발(2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형상유지부(40)를 상기 깃대(10)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형상유지부(40)의 상측에 끈을 설치하고, 상기 끈을 상기 깃대(10)에 묶어 상기 깃발(20)에 상기 형상유지부(40)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형상유지부(40)로 인해 상기 깃발(20)을 원통형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깃발(20)에 형성된 패턴(22)의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패턴(22)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패턴유지부(5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턴유지부(5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22)의 외곽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가볍고 견고한 철사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유지부(50)에는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부착되기 위해 부착수단(55)을 설치한다.
상기 부착수단(55)은 상기 패턴유지부(5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벨크로를 설치하고, 상기 깃발(20)의 패턴(22)이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암벨크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벨크로가 설치된 패턴유지부(50)를 상기 암벨크로가 설치된 깃발(20)의 내측면에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 부착수단(55)으로 벨크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패턴유지부(50)를 상기 깃발(20)에 부착할 수 있는 다양한 부착수단(55)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패턴유지부(50)는 부착수단(55)을 통해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깃발(20)의 외측면에 형성된 패턴(22)의 형상을 유지시켜 상기 깃발(20)의 특징이 되는 패턴(22)을 부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의 사용방법은, 먼저, 상기 깃대(10)에 상기 깃발(20)을 게양한다. 즉, 상기 깃대(10)에 상기 장착부재(15)를 이용하여 상기 깃발(20)의 일측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깃발(20)을 게양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패턴유지부(50)를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부착하여 상기 깃발(20)의 외측면에 형성된 패턴(22)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상기 패턴유지부(50)가 부착된 깃발(20)은 상기 패턴(22)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깃대(10)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중공되게 형성되며, 상기 깃대(10)와 내주연 사이에 공간부(25)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수단(45)을 통해 상기 형상유지부(40)가 연결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깃발(20)은 내측면에 상기 형상유지부(40)를 연결하면서 상기 깃대(10)가 수용되도록 말아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는 상기 형상유지부(40)를 다수개 연결하여 상기 깃발(20)의 원통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깃발(20)을 원통형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깃발 형상화 장치는, 상기 깃대(10)에 깃발(20)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하여 장착하기 때문에 상기 깃발(20)에 형성된 패턴(22)의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으면서 상기 깃발(20)의 게양의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깃발(20)이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깃발(20)의 감김 및 쳐짐, 훼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 미려함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깃발(20)에 형성된 패턴(22)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어 깃발의 특징이 되는 패턴(22)을 부각시킴으로써 시각적인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깃대 15: 장착부재
20: 깃발 22: 패턴
25: 공간부 30: 받침대
40: 형상유지부 45: 연결수단
50: 패턴유지부 55: 부착수단

Claims (6)

  1. 깃대(10)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부재(15)를 통해 상기 깃대(10)에 장착되는 깃발(20)의 내주연과 상기 깃대(10)의 외주연 사이에 공간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5)에 연결수단(45)을 통해 상기 깃발(20)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깃발(20)의 원통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해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유지부(40)를 포함하는 깃대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40)는, 상기 깃발(20)의 내주연 직경에 대응되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깃발(20)에 형성된 패턴의 형상유지를 위해 상기 패턴의 외곽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깃발(20)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패턴유지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5)는, 상기 형상유지부(4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후크와, 상기 수후크가 걸림되도록 상기 깃발(20)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암후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60007254U 2016-12-13 2016-12-13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 KR200487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54U KR200487393Y1 (ko) 2016-12-13 2016-12-13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254U KR200487393Y1 (ko) 2016-12-13 2016-12-13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67U KR20180001867U (ko) 2018-06-21
KR200487393Y1 true KR200487393Y1 (ko) 2018-09-12

Family

ID=6274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254U KR200487393Y1 (ko) 2016-12-13 2016-12-13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3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304B1 (ko) * 2018-11-09 2019-01-29 김영숙 국기 게양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400U (ko) * 2008-07-30 2010-02-09 채범준 원형 현수막 틀
KR101284880B1 (ko) * 2010-07-02 2013-07-09 최원호 깃발의 감김을 방지하는 게양대용 거치기구
KR200471871Y1 (ko) * 2012-03-28 2014-03-25 이한섭 튜브형 배너 광고물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867U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4038B2 (en) Collapsible sun shade
US10580331B2 (en) Freestanding exhibit display
US20170053568A1 (en) Inflatable ballasted a-frame sign with sealed hinge
KR200487393Y1 (ko) 깃발의 패턴 노출면적을 넓힐 수 있는 깃대
KR200298928Y1 (ko) 벽걸이용 스크린
US20120042577A1 (en) Inflatable film production accessories
US1528629A (en) Portable cabinet
AU2017207418B2 (en) Roll holder
US11862044B1 (en) Flag display apparatus
US20060207494A1 (en) Staff-mounted banner
US20210219792A1 (en) Roll holder
US20020124975A1 (en) Stealth blind system
US7363874B1 (en) Flag display apparatus
KR101943304B1 (ko) 국기 게양대
CN108427244A (zh) 负压投影结构、负压投影屋及负压全景球形投影屋
US20050193940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 flag on a flagpole
JP2008083695A (ja) 弾性部材入り旗
KR200495709Y1 (ko) 접이식 모기장
KR200359718Y1 (ko) 천장 걸이형 모기장
KR101355449B1 (ko) 배너 스탠드
CN210403127U (zh) 一种充气注水刀旗
CN210626864U (zh) 一种易于展平软质银幕的大圆弧角银幕架
JP3089391U (ja) 無風垂れ防止旗
CN209249023U (zh) 一种稳定性高的电影海报展示装置
US11089911B1 (en) Shower curtain liner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