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497A -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497A
KR20220000497A KR1020200078223A KR20200078223A KR20220000497A KR 20220000497 A KR20220000497 A KR 20220000497A KR 1020200078223 A KR1020200078223 A KR 1020200078223A KR 20200078223 A KR20200078223 A KR 20200078223A KR 20220000497 A KR20220000497 A KR 20220000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ntact
protrusion
mating surfac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승범
Original Assignee
진승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승범 filed Critical 진승범
Priority to KR102020007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497A/ko
Publication of KR2022000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5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for scoring or breaking, e.g. 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B28D7/043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the supporting or holding device being angularly adjus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는, 일측에 스크라이빙 휠을 구비하고, 타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휠 홀더; 돌출부가 삽입되는 홀더 수용홀을 구비하는 홀더 조인트; 및 돌출부에 형성된 제1 대응면이 홀더 수용홀에 형성된 제2 대응면과 접촉하도록 홀더 수용홀 내에서 돌출부를 가압하는 홀더 가압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대응면에는 한 쌍의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대응면이 제2 대응면에 접촉할 때 한 쌍의 접촉부가 제2 대응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접촉부는 제2 대응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DEVICE FOR HOLDING SCRIBING WHEEL}
본 발명은 기판에 스크라이빙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빙 장치에 구비되어 스크라이빙 휠을 유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무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투과형 프로젝터 기판, 반사형 프로젝터 기판 등은 유리와 같은 취성의 머더 글라스 패널(이하, '기판'이라 함)로부터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단위 글라스 패널(이하, '단위 기판'이라 함)을 사용한다.
기판을 단위 기판으로 절단하는 공정은, 절단 예정 라인을 따라 기판에 스크라이빙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빙 공정을 포함한다.
스크라이빙 공정에는 스크라이빙 장치가 사용된다. 스크라이빙 장치는, 스크라이빙 헤드와, 스크라이빙 헤드에 장착되는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를 포함한다.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는, 스크라이빙 휠을 구비하는 휠 홀더와, 휠 홀더가 삽입되는 홀더 수용홀을 구비하는 홀더 조인트를 포함한다.
기판에 정확하게 스크라이빙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홀더 조인트의 홀더 수용홀 내에서 휠 홀더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5920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홀더 조인트의 홀더 수용홀 내에 휠 홀더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는, 일측에 스크라이빙 휠을 구비하고, 타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휠 홀더; 돌출부가 삽입되는 홀더 수용홀을 구비하는 홀더 조인트; 및 돌출부에 형성된 제1 대응면이 홀더 수용홀에 형성된 제2 대응면과 접촉하도록 홀더 수용홀 내에서 돌출부를 가압하는 홀더 가압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대응면에는 한 쌍의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대응면이 제2 대응면에 접촉할 때 한 쌍의 접촉부가 제2 대응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접촉부는 제2 대응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대응면에는 요홈이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접촉부는 요홈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요홈에는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선이 지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는, 일측에 스크라이빙 휠을 구비하고, 타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휠 홀더; 돌출부가 삽입되는 홀더 수용홀을 구비하는 홀더 조인트; 및 돌출부에 형성된 제1 대응면이 홀더 수용홀에 형성된 제2 대응면과 접촉하도록 홀더 수용홀 내에서 돌출부를 가압하는 홀더 가압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대응면에는 두 쌍의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대응면이 제2 대응면에 접촉할 때 두 쌍의 접촉부가 제2 대응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두 쌍의 접촉부는 제2 대응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1 대응면에는 요홈이 형성될 수 있고, 두 쌍의 접촉부는 요홈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두 쌍의 접촉부 사이에는 제2 대응면과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고, 비접촉부에는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선이 지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는, 스크라이빙 휠을 구비하는 휠 홀더; 휠 홀더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홀더 수용홀을 구비하는 홀더 조인트; 및 돌출부의 제1 대응면 및 제1 대응면에 대면하는 홀더 수용홀의 제2 대응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홀더 수용홀 내에서 돌출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홀더 가압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대응면에는 요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대응면은 요홈의 양측에 배치되며 제2 대응면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접촉부는 제2 대응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요홈에는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선이 지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는, 스크라이빙 휠을 구비하는 휠 홀더; 휠 홀더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홀더 수용홀을 구비하는 홀더 조인트; 및 돌출부의 제1 대응면 및 제1 대응면에 대면하는 홀더 수용홀의 제2 대응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홀더 수용홀 내에서 돌출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홀더 가압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대응면에는 요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대응면은, 요홈의 양측에 배치되고 제2 대응면에 접촉하며 휠 홀더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쌍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두 쌍의 접촉부는 제2 대응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두 쌍의 접촉부 사이에는 제2 대응면과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가 구비되고, 비접촉부에는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선이 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에 따르면, 휠 홀더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작용선에 일치하도록 휠 홀더의 외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요홈의 양측에는 홀더 수용홀의 내면과 면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홀더 수용홀 내에서 휠 홀더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홀더 수용홀 내에서 휠 홀더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에 따르면, 홀더 수용홀의 내면과 동일한 곡률로 면접촉하는 한 쌍 또는 두 쌍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어, 홀더 조인트의 홀더 수용홀 내에 휠 홀더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홀더 수용홀 내에서 휠 홀더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에 따르면, 휠 홀더의 외면에 요홈이 형성되고, 요홈의 양측에는 홀더 수용홀의 내면과 면접촉하는 한 쌍 또는 두 쌍의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어, 홀더 조인트의 홀더 수용홀 내에 휠 홀더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홀더 수용홀 내에서 휠 홀더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의 휠 홀더 및 홀더 조인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의 휠 홀더 및 홀더 조인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의 휠 홀더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의 휠 홀더 및 홀더 조인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의 휠 홀더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의 휠 홀더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는 스크라이빙 장치의 스크라이빙 헤드에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는, 휠 홀더(10), 홀더 조인트(20), 홀더 가압 유닛(30)을 포함한다.
휠 홀더(10)는 일측에 스크라이빙 휠(11)을 구비한다. 휠 홀더(10)는 타측에 돌출부(13)를 구비한다. 휠 홀더(10)의 선단에는 스크라이빙 휠(11)이 핀(1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 조인트(20)는 휠 홀더(10)가 삽입되는 홀더 수용홀(23)을 구비한다. 홀더 수용홀(23)에는 휠 홀더(10)의 돌출부(13)가 삽입될 수 있다.
홀더 조인트(20)에는 스크라이빙 헤드에 연결되는 베어링(29)을 구비한다. 베어링(29)을 통하여 홀더 조인트(20)가 스크라이빙 헤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홀더 가압 유닛(30)은, 홀더 수용홀(23) 내에 배치되는 자석(31)과, 자석(31) 및 홀더 수용홀(23)의 개구 사이에 배치되는 위치 결정 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휠 홀더(10)의 돌출부(13)가 홀더 수용홀(23)에 삽입되면, 자석(31)은 휠 홀더(10)의 돌출부(13)를 자력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위치 결정 부재(32)는 자석(31)에 의해 휠 홀더(10)의 돌출부(13)가 끌어당겨질 때 휠 홀더(10)의 돌출부(13)의 측면을 가압한다. 따라서, 휠 홀더(10)가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위치 결정 부재(32)에 의해 가압되는 돌출부(13)의 피가압면(131)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홀더(10)의 돌출부(13)가 홀더 수용홀(23)에 삽입되면서 위치 결정 부재(32)가 돌출부(13)를 원활하게 가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는 제1 대응면(14)을 갖고, 홀더 수용홀(23)은 제1 대응면(14)에 대면하는 제2 대응면(24)을 갖는다. 위치 결정 부재(32)에 돌출부(13)가 가압되면, 제1 대응면(14) 및 제2 대응면(24)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즉, 홀더 가압 유닛(30)은 제1 대응면(14) 및 제2 대응면(24)이 서로 접촉하도록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돌출부(13)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응면(14)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요홈(15)이 형성된다. 요홈(15)은 휠 홀더(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대응면(14)은 요홈(15)의 양측에 배치되며 제2 대응면(24)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부(16)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접촉부(16)는 제2 대응면(24)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 따라서, 한 쌍의 접촉부(16)는 제2 대응면(24)에 면접촉될 수 있다. 한 쌍의 접촉부(16)가 제2 대응면(24)에 면접촉되므로, 돌출부(13)가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돌출부(13)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접촉부(16)는 휠 홀더(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요홈(15)은 위치 결정 부재(32)에 의해 돌출부(13)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작용선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는 한 쌍의 접촉부(16)를 통하여 서로 이격된 2개의 지점에서 홀더 수용홀(23)의 제2 대응면(24)에 접촉한다. 또한, 돌출부(13)는 한 쌍의 접촉부(16)에 대향하는 피가압면(131)을 통하여 1개의 지점에서 위치 결정 부재(32)와 접촉한다. 따라서, 이러한 3개의 지점에서의 접촉에 의해 돌출부(13)에는 3개의 각도를 이루는 힘(F)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힘(F)의 합력에 의해, 돌출부(13)가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돌출부(13)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요홈(15)이 휠 홀더(10)의 외면(제1 대응면(14))에 형성된다. 요홈을 홀더 수용홀(23)의 내면(제2 대응면(24))에 형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공구가 홀더 수용홀(23)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요홈의 가공이 어렵다. 따라서, 요홈(15)을 휠 홀더(10)의 외면(제1 대응면(14))에 형성하는 것은 요홈을 홀더 수용홀(23)의 내면(제2 대응면(24))에 형성하는 것보다 요홈(15)을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요홈(15)이 휠 홀더(10)의 외면(제1 대응면(14))에 형성되므로, 휠 홀더(10)의 중량이 보다 감소할 수 있다. 휠 홀더(10)를 제작하는 데에 요구되는 재료의 양을 줄임으로써, 휠 홀더(10)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휠 홀더(10)를 홀더 수용홀(23)에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에 따르면, 휠 홀더(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작용선과 일치하도록 휠 홀더(10)의 외면에 요홈(15)이 형성되고, 요홈(15)의 양측에는 홀더 수용홀(23)의 내면과 면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부(16)가 형성된다. 따라서,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휠 홀더(10)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휠 홀더(10)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응면(14)은 요홈(15)의 양측에 배치되며 제2 대응면(24)에 접촉하며 휠 홀더(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두 쌍의 접촉부(16)를 포함한다. 그리고, 두 쌍의 접촉부(16)는 제2 대응면(24)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
여기에서, 두 쌍의 접촉부(16)는 요홈(15)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부(16)와 타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부(16)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접촉부(16) 사이에는 제2 대응면(24)과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17)가 구비된다. 비접촉부(17)는 휠 홀더(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비접촉부(17)에는 돌출부(13)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선이 지난다. 예를 들면, 돌출부(13)가 홀더 수용홀(23)에 삽입되면, 비접촉부(17)와 위치 결정 부재(32)는 동일 높이(동일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두 쌍의 접촉부(16)가 4개의 지점에서 제2 대응면(24)에 접촉한다. 따라서, 위치 결정 부재(32)가 돌출부(13)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두 쌍의 접촉부(16)로 효과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휠 홀더(10)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돌출부(13)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에 따르면, 휠 홀더(10)의 외면에 두 쌍의 접촉부(16)가 구비되고, 두 쌍의 접촉부(16) 사이에 제2 대응면(24)과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17)가 구비되며, 비접촉부(17)는 휠 홀더(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작용선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휠 홀더(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두 쌍의 접촉부(16)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휠 홀더(10)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휠 홀더(10)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응면(14)에는 요홈(15)이 형성되지 않는다. 두 쌍의 접촉부(16)는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부(16)와 타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부(16)를 포함한다. 두 쌍의 접촉부(16)는 제1 대응면(14)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일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부(16)와 타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접촉부(16) 사이에는 소정의 홈(18)이 형성된다. 이 홈(18)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요홈(15)과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두 쌍의 접촉부(16)는 사이에는 휠 홀더(10)의 원주 방향으로 비접촉부(17)가 구비된다. 비접촉부(17)는 휠 홀더(10)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작용선과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돌출부(13)가 홀더 수용홀(23)에 삽입되면, 위치 결정 부재(32)가 돌출부(13)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비접촉부(17)에 대향하는 휠 홀더(10)의 피가압면(131)에 가해진다. 따라서, 돌출부(13)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두 쌍의 접촉부(16)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휠 홀더(10)가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수용홀(23) 내에서 돌출부(13)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10: 휠 홀더
11: 스크라이빙 휠
13: 돌출부
14: 제1 대응면
15: 요홈
16: 접촉부
20: 홀더 조인트
23: 홀더 수용홈
24: 제2 대응면

Claims (6)

  1. 일측에 스크라이빙 휠을 구비하고, 타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휠 홀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홀더 수용홀을 구비하는 홀더 조인트; 및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제1 대응면이 상기 홀더 수용홀에 형성된 제2 대응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홀더 수용홀 내에서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홀더 가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응면에는 한 쌍의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대응면이 상기 제2 대응면에 접촉할 때 상기 한 쌍의 접촉부가 상기 제2 대응면에 접촉하며,
    상기 한 쌍의 접촉부는 상기 제2 대응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응면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접촉부는 요홈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요홈에는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선이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
  4. 일측에 스크라이빙 휠을 구비하고, 타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휠 홀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홀더 수용홀을 구비하는 홀더 조인트; 및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제1 대응면이 상기 홀더 수용홀에 형성된 제2 대응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홀더 수용홀 내에서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는 홀더 가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응면에는 두 쌍의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대응면이 상기 제2 대응면에 접촉할 때 상기 두 쌍의 접촉부가 상기 제2 대응면에 접촉하며,
    상기 두 쌍의 접촉부는 상기 제2 대응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응면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두 쌍의 접촉부는 요홈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두 쌍의 접촉부 사이에는 제2 대응면과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비접촉부에는 돌출부를 가압하는 가압력의 작용선이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
KR1020200078223A 2020-06-26 2020-06-26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 KR20220000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223A KR20220000497A (ko) 2020-06-26 2020-06-26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223A KR20220000497A (ko) 2020-06-26 2020-06-26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97A true KR20220000497A (ko) 2022-01-04

Family

ID=7934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223A KR20220000497A (ko) 2020-06-26 2020-06-26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4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204A (ko) 2008-11-26 2010-06-0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글래스 패널의 스크라이빙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204A (ko) 2008-11-26 2010-06-0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글래스 패널의 스크라이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549B2 (en) Removal assembly
JP5196019B2 (ja) 磁石割断装置及び磁石の割断方法
JP6668749B2 (ja) ホルダジョイント
WO2008155484A3 (fr) Porte-outil et plaquette de coupe a nez de centrage
KR20220000497A (ko) 스크라이빙 휠 유지 장치
JP5391342B2 (ja) 光接続装置
JP2019171557A (ja) 打抜機のストリッピング装置及びストリッピング装置の位置合わせ方法
JP2010122555A (ja) 光ファイバ切断装置
US4972582A (en) Notch for aligning insulation cutters
KR20120052007A (ko) 스크라이버 홀더
JP2002011531A (ja) パンチ金型
WO2023062738A1 (ja) 位置合わせ治具
US6631565B2 (en) Alignment tool for assembling a rear plate and a frame of a flat display panel
CN105366932B (zh) 刻划工具
JP2014137333A (ja) 位置決め治具及び曲げ試験方法
JP6493512B2 (ja) 分断方法および分断装置
JP2017010803A (ja) コネクタ挿入治具
JP2020197243A (ja) 取付装置、及び、取付装置の取付方法
TW201518039A (zh) 定位裝置
JP3220406U (ja) 打抜機の位置合わせ用治具及び打抜機のストリッピング装置
CN110614725B (zh) 保持架单元以及刻划装置
JPH11309699A (ja) 位置合わせ機能付き抜型ブロック
JP3220407U (ja) 打抜機の位置決め用治具及び打抜機のストリッピング装置
US6903884B2 (en) Optical device and fixing member used in the device
TW201711819A (zh) 裂斷裝置、裂斷系統及裂斷單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