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483U - 고수부지용 테니스 연습대 - Google Patents
고수부지용 테니스 연습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0483U KR20220000483U KR2020200003046U KR20200003046U KR20220000483U KR 20220000483 U KR20220000483 U KR 20220000483U KR 2020200003046 U KR2020200003046 U KR 2020200003046U KR 20200003046 U KR20200003046 U KR 20200003046U KR 20220000483 U KR20220000483 U KR 2022000048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l
- tennis
- practice table
- connecting string
- tennis pract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9—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7—Arrangements on balls for connecting lines or cord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tenni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구조물(100)이 기본 프레임 역할을 하게 되는 테니스 연습대에 관한 것이다. 동 금속구조물 하단기초부(110)가 지반 콘크리트 구조물(111) 등에 단단히 고착된 채 하늘방향으로 뻗은 중앙부(120)가 중심지지축이 되고, 동 중앙부의 최상단부 부근에서부터 가로방향으로 만곡 내지 절곡되어 가로로 뻗어나간 가로대(130)의 끝단(131)에 공(220)을 매달 수 있는 구조로 조성되며, 이와 같이 매달린 공을 타격하며 테니스 연습을 할 수 있는 테니스 연습대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테니스 연습대를 고수부지나 체육공원 혹은 테니스장이나 학교 운동장 등에 설치하고 다중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연습생 누구든지 상기 연습대의 가로부(130) 끝단에 자신이 가져온 끈달린 테니스 공(220)을 매달고 가로부 아래에서 테니스 타격연습을 할 수 있는 것으로써, 무엇보다 공이 전방 하늘방향의 적정 비거리(230)를 날아갈 수 있게 하여 테니스를 최대한 실감나게 연습할 수 있는 무동력 테니스 연습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실감나게 연습한 수 있는 테니스 연습대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기본 프레임 외에, 공이 매달리는 연결끈의 특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금껏 테니스 연습대에서 공 연결끈의 특성에 대해서 심도 깊은 고민이 배어 있는 기술은 없었다. 또, 공 연결끈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동 연결끈에 무게 추가 필요함도 설명하고 있다.
상기 테니스 연습대를 고수부지나 체육공원 혹은 테니스장이나 학교 운동장 등에 설치하고 다중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연습생 누구든지 상기 연습대의 가로부(130) 끝단에 자신이 가져온 끈달린 테니스 공(220)을 매달고 가로부 아래에서 테니스 타격연습을 할 수 있는 것으로써, 무엇보다 공이 전방 하늘방향의 적정 비거리(230)를 날아갈 수 있게 하여 테니스를 최대한 실감나게 연습할 수 있는 무동력 테니스 연습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실감나게 연습한 수 있는 테니스 연습대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기본 프레임 외에, 공이 매달리는 연결끈의 특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금껏 테니스 연습대에서 공 연결끈의 특성에 대해서 심도 깊은 고민이 배어 있는 기술은 없었다. 또, 공 연결끈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동 연결끈에 무게 추가 필요함도 설명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파이프형 금속구조물(100)이 기본 프레임(100) 역할을 하는 테니스 연습대에 관한 것이다. 동 금속구조물 하단기초부(110)가 지반 콘크리트 구조물(111) 등에 단단히 고착된 채 하늘방향으로 뻗은 중앙부(120)가 중심지지축이 되고, 동 중앙부의 중단부나 상단부 부근에서부터 가로방향으로 만곡 내지 절곡되어 가로로 뻗어나간 가로부(130)의 끝단(131)에 공을 매달 수 있는 구조로 조성되며, 이와 같이 매달린 공을 타격하며 테니스연습을 할 수 있는 테니스 연습대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테니스 연습대를 고수부지나 체육공원 혹은 테니스장이나 학교 운동장 등에 설치하고 다중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연습생 누구든지 상기 연습대의 가로부 끝단(131) 아래쪽 연결끈(200)에 부설된 무게 추(300)를 하강시켜서 자신이 가져온 끈 달린 테니스 공(220)을 무게 추(300)의 하부 매듭고리(320)에 매달고, 가로부(130) 아래에서 타격연습을 할 수 있는 테니스 연습대이다.
본 고안에 의한 테니스 연습대 작동원리는, 연습대 프레임(100)에 부설된 롤러(144)에서부터 가로부(130) 끝단 가이드 링(131)을 빠져나온 전단부 연결끈(200)에 무게 추(300)가 달려 있는데, 이 무게 추(300) 밑면의 매듭고리(320)에 후단부 연결끈(210)을 연결한 다음,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무게 추(300)를 가로부(130)의 끝단(131)에 있는 가이드 링(131)까지 상승 정지시키고, 동 후단부 연결끈(210) 소정 길이 부분에 공(220)을 매달아 라켓으로 공을 타격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타격된 공은 상기 무게 추(300)를 구심점으로 하는 원주곡선(230)을 따라 전방 공중으로 날아갔다가 타격된 구질에 따라 다른 원주곡선을 그리며 중력에 의해 낙하하게 되고, 다시 또 이 공(220)을 타격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원리의 연습대로써, 테니스 운동에 있어서 가장 필수적인 타격자세와 타격기법을 실감나게 숙달하는데 유용한 테니스 연습장치다.
이 연습대에서 연습생이 자신을 향해 실제로 날아오는 공을 보고 재빨리 타격위치와 타격자세를 정확히 잡는 기술, 타격기술로써 포핸드와 백핸드 기술, 플랫, 드라이브, 슬라이스, 발리, 스매싱, 쇼트 기술 등 광범위한 테니스 기술을 연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연습생의 전방 공중에서 연습생 쪽으로 날아오는 공을 정확히 타격했을 때 공이 원하는 방향으로 장쾌하게 날아가는 시각적 성취감을 연속적으로 느낄 수 있는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라켓으로 볼을 치는 가장 대중적인 운동인 테니스, 배드민턴과 탁구 중에서 테니스가 가장 격한 운동이면서 가장 숙달하기 어려운 운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타격된 공의 구속이 시속 200km를 넘는 경우에도 이를 정확히 맞받아 쳐야 되는 정도이니 그렇게 인식되지 않을 수 없다.
이렇게 어려운 테니스에 입문하여 그 기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테니스 코트에 나가 동호인들과 함께 실제 공을 치면서 부단히 연습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던 중 연습생 혼자서도 연습할 수 있는 테니스 연습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던 바 본 고안에서와 같이 비전동식 테니스 연습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가. 테니스 연습기 (공고일자 1980.08.05.)
~ 2개 폴대 중앙에 걸린 공을 타격, 폴대 상하 조정으로 공 높낮이 조정
나. 다기능 운동 연습기 (등록일자 2001.01.31.)
~ 수직장대에 "ㄱ" 자 형태로 결속된 가로장대의 끝단에 연결끈으로 매달린 공을 타격, 공 타격 후 타격원점 복귀를 위해 공 후방에 방패망 설치, 공 높낮이 조절 목적으로 주로 연결끈 다른 1단부를 당기거나 늦출 수 있는 회전릴을 수직장대에 부설, 방패망이 배제된 상태의 금속구조물 구조와 본 고안에 의한 구조가 외형상 유사함.
다. 테니스 타법 훈련장치 (등록일자 2001.11.29.)
~ 탄성 폴대 상부에 결속되거나 수직 상하 연결끈 중앙에 결속된 공을 타격, 공 높낮이 조정 없음
라. 휴대용 테니스 연습장치 (등록일자 2012.03.16.)
~ 웨이터에 탄성 연결끈으로 연결된 공을 타격하면 연결끈의 탄발력에 의해 되돌아오는 공을 타격, 공의 속도 조절을 연결끈의 장단으로 조절
마. 혼자 할 수 있는 탁구, 티볼 운동기구 (공개일자 2015.06.16.)
~ 탄성이 있는 수직장대와 수평장대를 "ㄱ" 자 형태로 결속, 수평장대 단부에 연결된 연결끈에 매달린 공을 타격, 수직장대의 높이 조정으로 공 높낮이 조절, 탁구와 티볼에 한정된 기술이기는 하나 본 기술과 외형상 유사점이 있음.
바. 게임용 타격장치 (공개일자 2015.10.22.)
~ 수직장대와 수평장대를 "ㄱ" 자 형태로 결속, 수평장대 단부에 연결된 연결끈에 일시 부착된 공을 타격, 수직장대의 높이나 가로장대의 수평각도 조정으로 공 높낮이 조절, 공을 타격하여 날려 보내는 기술이기는 하나 본 기술과 외형상 유사점이 있음.
등의 종래기술이 개발되어 시현되고 있고 이 기술들은 각기 고유한 장점을 지니면서 테니스 기량발전에 이바지하여 왔다.
상기에 열거한 무동력 테니스 연습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6개의 선행기술 중 우선,
"가. 테니스 연습기 (공고일자 1980.08.05.)"
"다. 테니스 타법 훈련장치 (등록일자 2001.11.29.)"
"라. 휴대용 테니스 연습장치 (등록일자 2012.03.16.)"
의 3개 기술은 본 고안 기술과는 구조면에서부터 유사성이 거의 없으므로 일단 논외로 한다.
논외로 하는 3개 기술이 아닌 나머지 3개의 기술에 있어서,
"나. 다기능 운동 연습기 (등록일자 2001.01.31.)" 는 방패망이 없는 상태에서의 외형상 모습이 본 고안의 연습대와 유사점이 있기는 하지만, 구조는 물론 특히 기능면에서 본 고안의 연습대와는 큰 차이가 있는바 핵심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조면에서, 상기 "나. 다기능 운동 연습기 (등록일자 2001.01.31.)" 의 기본 프레임이 되는 파이프가 수직 방향으로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또 세로 방향의 프레임에는 힌지에 의해 결합된 가로방향의 파이프가 상하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인 점에서, 본 고안에서의 연습대 프레임이 예외적인 경우에 상당히 유사한 형태로 조성될 수도 있는 구조인 점은 사실이다.
그런데, "나. 다기능 운동 연습기 (등록일자 2001.01.31.)" 에서 힌지나 지지축의 상하 길이조정수단의 부설목적은 주로 공 위치의 상하조정을 위한 목적인 점에서, 본 고안에서의 중앙부(120)나 가로부(130)의 힌지 부설목적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끈(200, 210)의 상하조정과는 전혀 무관하고, 연습대(100) 상부 공중에서 장애물이 되는 가로부(130)의 일시적인 하향 조정이나, 혹은 높은 위치에 있는 가로부의 끝단 전동식 롤러(144)의 수리 등을 위한 중앙부(120)와 가로부(130)의 하향 조정 목적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공 연결끈에 대해서는 판이한 차이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공 연결끈은 전단부 연결끈(200)과 후단부 연결끈(210)으로 구분되어 그 규격과 재질에 대해서 대단히 중요한 논점이 되고 있다. 특히 후단부 연결끈(210)은, 공에 대한 타격에 의해 공(220)이 연습생의 전방 공중으로 일정한 비거리의 궤적(230)으로 날아갔다가 연습생 앞으로 되날아오는 공을 다시 이를 반복적으로 타격하면서 실전에서의 공 타격감을 연마하는데 있어서 그 재질과 성능은 연습대에서 가장 민감하고 중요하게 취급된다.
공에 대한 타격감을 실전에서처럼 느끼기 위해선 공의 비행궤적(230)을 가급적 크게 하여 연습생 앞으로 날아오는 공의 수평각이 가능한 작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연습대 가로부(130)의 지상 높이를 가능한 높게 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동 후단부 연결끈(210)도 길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후단부 연결끈(2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가벼워야 하며 유연성과 인장성이 동등한 수준으로 필수적이어야 한다. 이에 반하여 전단부 연결끈(200)은 가벼움보다 인장력과 내구성이 더 많이 요구되는 성능과 재질이어야 하는 점 등에서, "나. 다기능 운동 연습기" 에 적용되는 공 연결끈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전문적 고민이 배어 있다.
또, "나. 다기능 운동 연습기 (등록일자 2001.01.31.)" 에는 없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무게 추(300)가 가로부의 끝단(131) 바로 아래쪽 연결끈(200)에 부설되어 있다. 이 무게 추(300)는 전단부 연결끈(200)과 후단부 연결끈(210)의 중간에서 양 연결끈을 연결시키고 있고, 롤러의 작동으로 전단부 연결끈(200)의 상승과 하강 시 전단부 연결끈(200)의 엉킴을 방지하는데 무게 추(300)의 하중을 이용하게 되는 등 다목적으로 부설된다. 이 무게 추(300)의 기능이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 기능면에서, "나. 다기능 운동 연습기 (등록일자 2001.01.31.)" 는 정지된 상태와 같은 공을 일정 시차를 두고 계속 타격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반하여, 본 고안은 무엇보다 연습생을 향해서 매번 다른 비행궤적과 다른 비거리를 또 매번 다른 속력으로(타격에 의한 공의 최고 도달점이 각기 다르므로) 날아오는 공을 타격하는 기술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기능상 현저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날아오는 공의 방향에 따라 타격위치를 재빨리 확보함과 함께 포핸드 드라이브로 쳐야할지 백핸드 슬라이스로 쳐야할지 등 최적의 타격기법을 실전에서와 같이 생동감 있게 연습하기에는 "나. 다기능 운동 연습기 (등록일자 2001.01.31.)" 가 부족한 면이 적지 않다.
한편, "마. 혼자 할 수 있는 탁구, 티볼 운동기구 (공개일자 2015.06.16.)" 나 "바. 게임용 타격장치 (공개일자 2015.10.22.)" 도 전체적인 외형상 수직장대와 가로장대, 가로장대 끝단에 매달린 공을 치는 구조인 점에서 본 고안에서의 연습대와 전체적인 외형과 유사하기는 하지만 그 기능과 구조면에서의 차이 역시 앞서 설명한 "나. 다기능 운동 연습기 (등록일자 2001.01.31.)" 내용에서와 같은 맥락에서 본 고안의 연습대 기능과 구조면에서 현저한 차이가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모든 운동에 있어서 연습생이 운동 연습을 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가 곧 운동 경기의 실전분위기와 실전감각을 유지하는 정신자세일 것이다. 그리고 그 연습을 보조하는 연습장치 역시 연습생으로 하여금 그 분위기와 감각을 십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구조화 되어야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관점에서 테니스 연습장치는, 공은 정지된 공보다 연습생에게 실제로 어느 정도 궤적을 갖는 비거리를 날아오는 공이어야 하고 개개의 공마다 연습생이 다양한 타격기술을 실감 있게 번갈아 칠 수 있고 또 공을 정확히 칠 때마다 재미까지 느끼게 할 수 있는 기능적 측면과,
규모가 꽤 큰 철구조물인 연습대를 불특정 다중이 안심하고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그 안전성과 편의성이 무엇보다 우선시 되어야 하고 또 태풍 등 최악의 기상상황에서도 안정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 구조적 측면이 면밀히 고려되어야 하며,
나아가, 본 고안에 의한 연습대는 주로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시설물인 만큼 연습대 자체의 조형미는 물론 주변환경과의 친화성 또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테니스 연습대의 기본 프레임(100)인 파이프형 금속구조물(100)에 있어서, 동 하단기초부(110)가 지면 내지 지반(500) 콘크리트 구조물(111) 등에 단단히 고착되고, 동 중앙부(120)가 하단기초부에서 연장되어 하늘 방향으로 뻗은 중심지지축이 되며, 동 중앙부의 상단부 부근에서 절곡 내지 만곡 되어 가로로 뻗어나가 가로부(130)를 구성하면서 테니스 연습대의 기본 프레임(100) 역할을 하는 금속구조물 ; 동 금속구조물에 부설되어 롤러(144)의 작동, 조명등의 점등, 연습대 부속물의 작동을 조종하는 컨트롤러(140) ; 동 금속구조물에 부설된 롤러(144)에서부터 가로부 끝단 가이드 링(131) 바로 아래 무게 추(300)의 상부 매듭고리(310)까지 이어진 공 연결끈으로써, 후단부 연결끈(210)보다 내구성과 인장력이 큰 재질의 전단부 연결끈(200) ; 전단부 연결끈(200)에 매달린 무게 추 하부 매듭고리(320)에 연결되어 아래로 공(220)을 매달고 있는 공 연결끈으로써, 상기 전단부 연결끈(200)보다 경량성과 유연성이 큰 재질의 후단부 연결끈(210) ; 후단부 연결끈에 매달려 있는 테니스 공(220) ; 전단부 연결끈(200)의 하강과 상승 작동 시 상기 파이프(100) 내부나 롤러(144)에서의 로프(200)의 엉킴 방지기능, 로프(200) 끝단에 대한 시인성 향상기능, 로프(200)의 바람에 의한 흔들림 방지기능, 로프(200)의 상승 작동 시 스토퍼기능 등의 다목적으로 상기 로프로 된 전단부 연결끈(200) 끝단에 연결되는 무게 추(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대.
본 고안에 따른 테니스 연습대는, 동 연습대에 접근성이 좋은 주민이 필요한 시간에 조깅 같은 생활체육과 병행하여 동 연습대에서 부담 없이 타격연습을 즐기고 테니스 기량을 연마하면서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민들의 친숙하고 색다른 운동기구가 될 수 있다.
또 테니스를 접해보지 못한 어린아이들도 이 연습대에 매달린 공을 라켓으로 쳐보면 적잖은 흥미를 느끼게 될 것은 당연하다. 테니스 코트에서 바운딩된 공은 치기 어렵지만 이 연습장치의 공은 그다지 어렵지 않기 때문에 이 연습대를 통해 각종 공치기에 쉽게 친숙해지게 되고 그만큼 어린 시절부터 운동신경을 발달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테니스 초 중급 연습생에게는, 자기 몸 쪽으로 적당한 궤적의 비거리를 반복적으로 날아오는 공을 효과적으로 치기 위해 어떤 타격기술로 어느 위치에서 타격할 것인지 또 어디를 향해 타격할 것인지를 일순간에 결정하고 그 공을 정확히 타격하는 실전적 기량을 연마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
물론, 연습생 앞으로 날아오는 상기 연습대의 공과 실전에서의 공의 속도나 비행궤적 그리고 공 회전각 등이 많이 다르기는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연습대로 위와 같은 타격기술을 꾸준히 연마하고 응용력을 키운다면 실전에서 변형된 어떤 구질의 공에 대해서도 충분히 기량발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연습대는 테니스 연습에만 국한되지 않고, 테니스 공 대신에 배드민턴공이나 탁구공을 연결끈 후단부 테니스 공 자리에 매달고 타구하는 연습도 가능하다. 단 배드민턴공이나 탁구공의 경우는 다소 개조된 구조여야 할 것이고 이 부분 설명은 생략한다.
[도1] 은 본 고안에 의한 테니스 연습대의 실시 예로서의 전체적인 개념도이다. 연습대의 하단기초부(110)가 보강부재와 함께 지반(500)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111)에 단단히 고착되어 있고, 동 하단기초부(110)에 연장되어 하늘 방향으로 뻗은 중앙부(120), 중앙부 상단부에서부터 가로방향으로 만곡되어 가로부(130)를 형성하고 있다. 중앙부에 컨트롤러(140)가 부설되어 있고 공 연결끈(200, 210)과 무게 추(300) 그리고 공(220)과 공의 궤적(230) 및 공 궤적을 조명하는 조명등(400)이 부설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2] 는 컨트롤러(140)의 실시 예로서의 확대 개념도이다. 내부에 롤러(144)와 롤러 구동용 모터(143) 및 스위치(141)가 부설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외부면에는 모터구동과 조명을 제어하는 스위치의 푸쉬단추가 부설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3] 은 실시 예로서의 연습대 가로부 끝단의 가이드 링(131)을 빠져나온 공 전단부 연결끈(200)이 무게 추(300) 상부 매듭고리(310)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공 후단부 연결끈(210)이 무게 추(300) 아래의 하부 매듭고리(320)에 끼워져 아래로 공(220)을 매달고 있음을 다소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4]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테니스 공(220) 단면도이다. 공 외주면은 섬유성 펠트(221 felt), 동 펠트 안쪽에 천연고무로 된 코어(222 core), 코어 안쪽에는 압축공기가 빠져 나간 상태의 공 내부공간(223), 공 외주면 1지점에서 공 내부(223)로 관통하는 작은 구멍(226)이 도시되고 있다.
상기 작은 구멍(226)을 통해 끼워져 공 내부공간(223)에 들어간 걸림막대(224)가 중간 허리부분이 고리끈(225) 1단부에 의해 결박된 상태로 코어(222) 내주면에 걸려서 공 고리끈(225)에서 공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결속되어 있으며, 공(220)의 고리끈(225) 다른 1단부가 상기 작은 구멍(226) 밖에 노출되어 있다. 이 공(220) 외부에 나와 있는 고리끈(225)에 후단부 연결끈(210)이 연결되게 된다.
[도5] 는 본 고안에 의한 연습대 2개 혹은 3개가 서로 결속되어 설치되는 예시도이다. 각각의 연습대는 하단기초부(110)가 동일한 지반 콘크리트(111)에 고착되고 중앙부(120)가 서로 등을 지고 용착되어 있으며 가로부(130)가 상호 180도 방향 혹은 120도 방향을 향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2] 는 컨트롤러(140)의 실시 예로서의 확대 개념도이다. 내부에 롤러(144)와 롤러 구동용 모터(143) 및 스위치(141)가 부설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외부면에는 모터구동과 조명을 제어하는 스위치의 푸쉬단추가 부설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3] 은 실시 예로서의 연습대 가로부 끝단의 가이드 링(131)을 빠져나온 공 전단부 연결끈(200)이 무게 추(300) 상부 매듭고리(310)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공 후단부 연결끈(210)이 무게 추(300) 아래의 하부 매듭고리(320)에 끼워져 아래로 공(220)을 매달고 있음을 다소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4] 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테니스 공(220) 단면도이다. 공 외주면은 섬유성 펠트(221 felt), 동 펠트 안쪽에 천연고무로 된 코어(222 core), 코어 안쪽에는 압축공기가 빠져 나간 상태의 공 내부공간(223), 공 외주면 1지점에서 공 내부(223)로 관통하는 작은 구멍(226)이 도시되고 있다.
상기 작은 구멍(226)을 통해 끼워져 공 내부공간(223)에 들어간 걸림막대(224)가 중간 허리부분이 고리끈(225) 1단부에 의해 결박된 상태로 코어(222) 내주면에 걸려서 공 고리끈(225)에서 공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결속되어 있으며, 공(220)의 고리끈(225) 다른 1단부가 상기 작은 구멍(226) 밖에 노출되어 있다. 이 공(220) 외부에 나와 있는 고리끈(225)에 후단부 연결끈(210)이 연결되게 된다.
[도5] 는 본 고안에 의한 연습대 2개 혹은 3개가 서로 결속되어 설치되는 예시도이다. 각각의 연습대는 하단기초부(110)가 동일한 지반 콘크리트(111)에 고착되고 중앙부(120)가 서로 등을 지고 용착되어 있으며 가로부(130)가 상호 180도 방향 혹은 120도 방향을 향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테니스 연습대의 기본 프레임에 해당하는 파이프인 금속구조물(100)을 구비한다. 소재는 전체적으로 튼튼한 철을 사용한다. 이와 달리 알루미늄 합금인 두랄루민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겠다.
동 금속구조물(100)은 압출원형 혹은 다각형 형상으로 하단기초부(110)와 중앙부(120)는 최대 내경8.2 외경10(cm)으로 하며, 중앙부는 가로부(130)를 지지하는데 무리가 없는 범위 내에서 중단부에서 상단부까지 점신적으로 협관이 될 수도 있다. 또 가로부(130)는 그 아래에서 연습생이 라켓을 휘두르며 타격연습을 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직선 길이가 2m이상 되게 하고, 중앙부(120)의 상단부에서부터 가로부 끝단 가이드 링(131)까지 점진적으로 협관되는 형태로 조성하여 연습대의 안전과 안정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연습대의 조형미를 부각시키고 연습대 상층부에서의 하중과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시킨다.
가로부 끝단은 내경1.5 외경3(cm)로 하며 끝단의 지상높이가 7~8m가 되게 한다. 연습대의 가로부 끝단 가이드 링(130)을 이처럼 아주 높게 설치하는 이유는, 공 타격 시 공의 비행궤적(230)을 최대한 크게 하여 공 타격지점에서의 공 수평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실제 테니스 코트에서의 공의 비행궤적과 가능한 유사하게 되도록 하여 연습생으로 하여금 최대한 실감나는 타격연습이 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상높이를 10m이상도 가능할 수 있겠으나 높을수록 연결끈(210)에 대한 바람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연습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많고, 낮을수록 타격 실감이 줄어든다.
다음, 컨트롤러(140)를 연습대 중앙부(120)에 부설한다. 컨트롤러(140) 내부 핵심부재는 공 연결끈이 감기거나 풀리는 롤러(144), 롤러를 구동시키는 모터(143), 제어기판(142, PCB)과 제어스위치(141)이고 컨트롤러 외부면에 제어스위치 푸쉬버튼 및 사용상 주의문구가 있다. 제어스위치 1개는 조명등(400) 제어용이고 다른 1개는 롤러의 구동으로 공 연결끈(200, 210)과 무게 추(300) 및 공의 하강과 상승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40)를 부설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전력과 롤러 혹은 제어기판(142, PCB) 등을 모두 이용할 수도 있겠으나 롤러 없이도 또 완전수동방식으로도 공 연결끈(200, 210)과 무게 추(300) 및 공의 하강과 상승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예외적으로 전동식 롤러(144)를 가로부 끝단 가이드 링(210) 위치에 부설할 수 있다. 이 부분 후술한다.
또, 상기 컨트롤러(140)를 사람 손으로 직접 작동하지 않고 연습생의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디지털신호를 이용하여 롤러를 구동시켜 공 연결끈(200, 210)과 무게 추(300) 등의 하강과 상승을 제어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한편, 수동이 아닌 동력으로 롤러의 구동과 조명을 하는 경우, 태양광 모듈과 축전기 및 인버터는 가로부(130)와 중앙부(120)에 부설하여 태양광 전력을 이용할 수도 있겠다.
다음, 공 연결끈(200, 210)을 연습대에 설치한다. [도1]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끈은 컨트롤러(140)에서부터 연습대의 파이프(100) 내부를 통과하고 무게 추 상부 매듭고리(310)까지 전단부 연결끈(200)이 부설된다. 무게 추 하부 매듭고리(320)에서부터 공까지 후단부 연결끈(210)이 부설된다.
위와 같이 무게 추(300)를 중심으로 전단부 연결끈(200)과 후단부 연결끈(210)이 연결되며, 이렇게 설치된 연결끈은 무게 추(300)와 공(220)의 하중에 의해 전단부 연결끈(200)이, 공(220)의 하중에 의해 후단부 연결끈(21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연결끈(200, 210)의 재질과 규격에 대해서 상술한다. 이는 연결끈에 무게 추(300)가 왜 필요한지에 대한 부분적인 설명이 되기도 한다. 전단부 연결끈(200)과 후단부 연결끈(210)은 재질과 규격이 상이하다. 연결끈의 재질과 규격은 테니스 연습대 전체의 안전성 못지않게 민감하고 중요한 문제이다.
가령, 후단부 연결끈(210)의 재질이 조금이라도 뻣뻣하여 유연성이 없다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끈이 다소 굵다거나, 다소 무겁다거나, 고무줄처럼 탄성이 있다거나 할 경우 등에는, 공에 타격을 가했을 때 공(220)이 정상적인 원주궤도로 비행하지 않는다. 즉 공이 멀리 뻗어 나가지 않거나, 공중에서 공이 마구 뒤틀림이 있거나, 상하로 요동이 일어나게 된다. 즉, 연습대가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단부 연결끈(210)은 무엇보다 가늘고 무게가 가벼워야 하며 강한 장력에도 늘어남이 없이 잘 끊어지지도 않아야 한다. 즉, 공(220)이 비행을 하는데 최소의 저항으로 공이 떨어져 달아나지 않게 하는 성능의 재질과 규격이어야만 타격된 공이 유연하면서도 장쾌하게 전방 공중의 원하는 방향으로 날아갔다가 타격구질에 따른 궤적으로 유연하게 되돌아올 수 있으며 이로써 정상적인 반복타격연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조건에 적합한 소재 중 하나는 면합사(목화실, 1.5t 정도)다. 면합사는 가볍고 유연성이 좋으며 자외선에도 강한 반면 공기저항을 다소 받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비교적 무난하다. 그렇지만 PE사 Silicon사 등 화학사는 물론 면사와 화학사의 질긴 합사도 유연성이 부족하거나 고무줄처럼 탄성이 있어서 부적합하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 혹은 태양광에 의한 문제점이 분명히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가늘고 가볍고 유연성이 좋으며 아주 오래 동안 자외선에 노출해서 사용해도 끊어지지 않으면서 타격연습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소재의 후단부 연결끈(210)은 구하기 어렵다. 즉, 위의 면합사로 된 연결끈은 일정 기간 정도만 정상 사용할 수 있는 소모품이고, 가끔 후단부 연결끈(210)의 상태를 점검하여 새 연결끈으로 교체해야 하는데 불식간에 타격연습 도중 후단부 연결끈(210)이 그것도 손이 닿지 않는 상기 가이드 링(210) 바로 아래쪽에서 절단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공 타격연습 도중 후단부 연결끈(210) 절단 시 등을 대비하여 손이 닿지 않는 전단부 연결끈(200)을 하강시켜야 할 때, 가이드 링(210) 바로 아래쪽에 위치할 전단부 연결끈(200)에 무게 추(300)를 구비해야 한다. 무게 추가 구비되지 않다면 롤러(144)의 작동만으로써 로프로 된 전단부 연결끈(200)을 가이드 링(131) 아래로 하강시키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전단부 연결끈(200)이 유연성이 거의 없는 뻣뻣한 재질이 아닌 이상 롤러(144)의 작동만으로는 연결끈이 연습대의 파이프(100) 내부나 롤러(144)에 엉켜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엉킴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방법도 있을 수 있으나 전단부 연결끈(200)의 끝단에 무게 추(300)를 다는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가능하다.
상술한 무게 추(300)의 용도는, 타격연습 도중 전단부 연결끈(200) 아래의 후단부 연결끈(210)이 절단되는 경우를 가정한 설명이었다. 그렇지만 본 고안에 의한 연습대가 누구나 무상으로 이용하게 되는 다중이용시설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타격연습 도중 전단부 연결끈(200) 아래의 후단부 연결끈(210)이 절단되는 경우가 아니어도 무게 추(300)가 반드시 필요하다.
왜냐하면, 본 고안에 의한 연습대가 다중이용시설인 경우, 후단부 연결끈(210)과 이에 매달린 공(220)은 이 연습대를 이용하는 연습생이 지참해서 연습대의 전단부 연결끈(200)에 연결시켜 타격연습을 해야 함이 마땅하고, 이때 연습생이 지참해 온 후단부 연결끈(210)과 공(22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단부 연결끈(200) 아래에 무게 추(300)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동 연습대가 사용되지 않는 시간동안에는 전단부 연결끈(200)이나 무게 추(300)가 공중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 링(131)에 밀착 정지한 상태로 있어야 하고, 연습생이 타격연습을 시작할 때 컨트롤러(140)를 작동하여 동 무게 추(300)를 연습생 가슴높이로 하강시켜 무게 추의 하부 매듭고리(320)에 연습생이 지참해 온 후단부 연결끈(210)과 공(220)을 매달고 타격연습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무게 추(300)가 전단부 연결끈(200)의 끝단에 부설되어 있지 않다면, 전단부 연결끈(200)의 하강이나 상승 조종 시 동 연결끈이 연습대의 파이프(100) 내부나 롤러(144)에 엉킴이 발생하는 문제점 외에도 동 끝단이 어디에 하강해 있는지 식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또 바람에 날리어 쉽게 잡기도 어려울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도 무게 추(300)의 부설이 필요하다 아니할 수 없다.
그리고, 연습을 끝낸 연습생은 후단부 연결끈(210)과 공(220)을 무게 추 하부 매듭고리(320)에서 분리 회수한 다음, 무게 추(300)를 가이드 링(131) 아래 원래 위치로 수동으로나 반자동으로 복귀시켜 놓거나 또는 무게 추(300) 하강시점 이후 1~2분 이후에는 무게 추(300)가 자동으로 상승 복귀되도록 자동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무게 추(300)에 의한 안전사고예방 차원이다.
또 무게 추(300)를 가이드 링(131) 바로 아래쪽에 밀착 정지시키고 타격연습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앞서 연습대의 가로부를 높이 설치하는 이유에서와 같이 공의 회전반경을 최대한 크게 하기 위함이다.
무게 추(300)의 무게나 소재는 전단부 연결끈(200)의 소재나 규격에 따라 달라지나 전단부 연결끈(200)에 하중을 제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전단부 연결끈(200)의 상승과 하강 시 롤러나 파이프 내부에서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또 동일한 무게 추(300)를 복수로도 구성할 수 있고, 다른 소재 다른 형태의 무게 추(300)를 복수로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데, 무게 추를 1개인 쇠구슬이 아닌 어느 정도의 길이가 있는 쇠사슬로도 가능하다. 쇠구슬의 안전위험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 경우, 쇠사슬의 최상단부가 무게 추(300)의 상부 매듭고리(310)가 되고 최하단부가 하부 매듭고리(320)가 된다.
본 고안에서의 무게 추(300)의 실시 예로써, 충격방지용 실리콘 피막과 표면 형광도포가 된 쇠구슬 150g 1개 정도가 무난하고 외경이 가이드 링(131)의 내경보다 크도록 하여 전단부 연결끈(200)의 끝단이 상기 가이드 링(131) 안쪽으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stopper)로서의 기능도 하게 된다.
한편, 전단부 연결끈(200)은 롤러(144)에서 무게 추(300) 상부 매듭고리(310)까지의 공의 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가능한 튼튼하면서도 다소 유연성이 있는 가는 와이어가 가장 무난하고 이에 버금가는 질기고 내구성이 좋은 화학사도 무난하다.
그런데, 전단부 연결끈(200)을 전부 쇠사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롤러(144)를 가로부(130)의 끝단 가이드 링(130) 자리나 그 부근에 위치시키고 동 롤러(144)로써 쇠사슬을 감거나 풀리게 할 때 쇠사슬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데 어렵지 않을 수 있다. 또 동 끝단이 바람에 가볍게 흩날리지도 않아 연습생이 식별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즉, 쇠사슬로 된 연결끈은 전단부 연결끈(200) 본래의 역할과 무게 추(300)의 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며, 이 때의 무게 추(300)는 동 쇠사슬의 최후단부 부분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쇠사슬로 된 전단부 연결끈(200)의 경우에는, 연습생이 가슴 높이로 쇠사슬 연결끈(200)의 끝단을 하강시킨 후 공이 매달린 후단부 연결끈(210)을 동 쇠사슬의 최후단부 고리에 매달고 정상적인 테니스 타격연습을 할 수 있고, 타격연습이 끝나면, 수동이나 반자동으로 혹은 쇠사슬의 하강 후 1~2분 후 자동으로 쇠사슬 연결끈(200)을 롤러(144)까지 상승시켜 놓게 되는 것이다. 쇠사슬로 된 전단부 연결끈(200)의 도면은 생략한다.
다음, 공(220)에 대해 설명한다. 보통 시합용 테니스공은 외주면에 펠트(felt 221), 펠트 안쪽에 천연고무로 된 코어(core 222), 코어 내부에 압축공기가 들어 있다. 그라운드에서 탄성을 좋게 하기 위해 압축공기가 들어 있는데 본 고안에서의 공은 그라운드에 바운드되는 공이 아니기 때문에 압축공기가 필요 없다. 고무의 탄성과 라켓의 탄성만으로도 실감나는 타격연습을 충분히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의 공(220)은, [도4]에서와 같이 공 외주면에서 공 내부(223)까지 뚫린 직경 2mm미만의 작은 구멍(226)을 통해 그 길이가 3~4cm가량 되고 그 중간 지점이 고리끈(225) 1단부에 의해 결박된 걸림막대(224)를 공 내부(223)로 끼워 넣은 다음, 상기 공의 작은 구멍(226) 외부에 남아 있던 고리끈(225)의 다른 1단부를 잡아당기면 상기 걸림막대(224)가 공 내부에서 코어(222) 내주면에 걸리게 되고 이로써 공(220)이 고리끈(225)에서 이탈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의 공(200)은 상기와 같은 걸림막대(224)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걸림막대(224)의 소재는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 쉽게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은 소재면 되고, 굵기는 소재에 따라 다르지만 목재의 경우 5mm정도의 원주형이면 무난하다. 상기 구멍 밖에 있는 고리 끈 1단부를 후단부 연결끈(210) 끝단에 연결하여 최종 본 고안에 의한 테니스 연습대가 완성된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완성된 금속구조물인 본 고안에서의 연습대 기본 프레임을 운반하는데 애로가 따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2~5개의 파이프를 각각 따로 절곡 내지 만곡, 협관, 컨트롤러와 힌지 설치 등의 작업을 거친 다음, 이를 전부 설치장소 현장에서 용착 혹은 힌지나 결속부재 부설작업 등을 하여 최종 완성된 형태의 금속 구조물로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연습대가 테니스 코트의 펜스기둥 등에 연습대의 중앙부(120)를 결속하여 설치된 때에, 연습대 상측의 공중을 가로지르는 가로부(130)가 장애물이 되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을 것이다. 즉 연습대 프레임(100) 상측의 공중의 공간활용성 등을 위하여 동 가로부(130)를 지면 쪽 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접어 둘 수 있는 힌지를 중앙부(120)의 상단부 부근이나 가로부에 부설할 수 있겠고, 또는 가로부(130)를 안테나처럼 전단부를 후단부 내로 내삽시키는 구조로 조성할 수 있겠다. 이 조종을 하기 위해서는 수동이나 동력 어느 방식으로도 어렵지 않게 설치할 수 있다. 도면은 생략한다.
또, 가로부(130)가 너무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가로부(130)를 하강시키기 위해 중앙부(120)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장치가 예외적으로 필요한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예컨대, 후술에서 보다시피 가로부 끝단에 부설한 전동식 롤러(140)의 고장수리가 필요할 때, 또는 가로부(130)가 위치한 공중에 새로운 장애물이 생기게 되어 동 가로부(130)를 동 장애물 아래로 낮추어야 할 때 등과 같은 특별히 예외적인 경우를 대비할 필요가 있다.
즉, 중앙부(120)에 힌지를 부설하여 힌지 상측의 중앙부(120)와 가로부(130)를 지면 쪽으로 하강시키는 수단, 또는 중앙부(120)의 일정한 높이에서 상측 중앙부와 하측 중앙부 2개로 분리된 중앙부를 1개의 중앙부로 직렬 결속함에 있어서, 하측 중앙부보다 협관인 상측 중앙부를 하측 중앙부에 밀착 내삽한 후 내삽된 상측 중앙부의 특정한 높이에서 상측 중앙부를 구속할 수 있는 구속부재를 중앙부에 부설하는 수단, 상기 2수단 중 1수단 이상을 부설할 수도 있다. 도면은 생략한다.
다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순서와 원리에 따라 조립이 완성된 연습대를 2개나 3개 혹은 4개를 동일한 지반 콘트리트 구조물(111)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연습대끼리 서로 등지게 중앙부(120)를 용착 등의 방법으로 결속시키고 이들의 하단기초부(110)를 동일한 지반 콘크리트에 보강부재도 이용하여 고착시키되, 각각의 가로부(130)가 분할하는 수평분할각이 중앙부(120)의 중심지지축을 중심으로 동일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고 동일하지 않더라도 동 수평분할각이 90°이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하나의 설치장소에서 2~4인이 상호 지장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타격연습을 할 수 있다. 연습생은 가로부(130) 아래에서 중앙부(120)를 등지고 전방 하늘방향으로 타격연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예와는 달리, 하단기초부(110)에서 연장된 1개의 중앙부(120) 중심지지축의 상단부 부근에서 절곡 내지 만곡 되어 가로로 뻗어나간 동 가로부(130)가 2개 내지 4개의 복수로 조성된 형태를 이루게 할 수도 있다. 즉, 중앙부(120) 중심지지축을 보다 크고 튼튼한 소재로 하고 동 상단부 부근에서 복수의 가로부(130)를 용착 등의 방법으로 결속시켜 상기 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설치장소에서 2~4인이 동시에 타격연습을 할 수 있다. 이때에도 각각의 가로부(130)가 중앙부(120) 중심지지축을 중심으로 분할하는 수평분할각이 동일하게 설치되거나 최소 90°이상이 되어야 하고, 각각의 전단부 연결끈이 중앙부 등에 부설된 각각의 컨트롤러에 의해 상승과 하강이 조종될 것이다. 이 부분 도면은 생략한다.
지반 콘크리트 구조물(111)에 대한 기술은 생략한다. 끝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인접한 지면에 설치되는 야간조명등(400)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 테니스장의 야간조명등은 아주 높은 위치에서 코트 전체 면을 조명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연습대 보다 높은 지점에서의 강한 조명은 오히려 연습을 방해한다. 왜냐하면 본 고안에서의 공 비행궤적(230)은 무게 추(300)를 구심점으로 연습생의 전방 하늘방향의 원주곡선(230)을 따라 비행하므로 공이 연습생의 눈보다 높은 지점에서 비행하는 시간이 많다. 따라서 조명은 공(220)의 앞면과 밑면을 조명해야 연습생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테니스 코트에서 통상 사용하는 전력량의 1천분의 1이하로도 테니스연습이 가능하다.
100 연습대 기본 프레임
110 연습대 하단 기초부
111 콘크리트 구조물
120 연습대 중앙부
130 연습대 가로부
131 가로부 끝단 가이드 링
140 컨트롤러
141 스위치 모듈과 버튼
142 PCB(제어회로 기판)
143 모터
144 롤러
200 전단부 연결끈
210 후단부 연결끈
220 공
221 공 외주면 펠트(felt)
222 코어
223 공 내부
224 걸림막대
225 고리끈
226 작은 구멍
230 공의 비행궤적
300 무게 추
310 무게 추 상부 매듭고리
320 무게 추 하부 매듭고리
400 야간 조명등
500 지반
110 연습대 하단 기초부
111 콘크리트 구조물
120 연습대 중앙부
130 연습대 가로부
131 가로부 끝단 가이드 링
140 컨트롤러
141 스위치 모듈과 버튼
142 PCB(제어회로 기판)
143 모터
144 롤러
200 전단부 연결끈
210 후단부 연결끈
220 공
221 공 외주면 펠트(felt)
222 코어
223 공 내부
224 걸림막대
225 고리끈
226 작은 구멍
230 공의 비행궤적
300 무게 추
310 무게 추 상부 매듭고리
320 무게 추 하부 매듭고리
400 야간 조명등
500 지반
Claims (8)
- 테니스 연습대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파이프형 금속구조물(100)에 있어서, 지면 내지 지반(500) 콘크리트 구조물(111) 등에 단단히 고착된 동 금속구조물의 하단기초부(110), 상기 하단기초부(110)에서 하늘 방향으로 연장되어 중심지지축이 되는 동 중앙부(120), 상기 중앙부의 상단부 부근에서 절곡 내지 만곡 되어 가로로 뻗어나간 동 가로부(130), 이들 모든 금속구조물이 구성하는 테니스 연습대의 기본 프레임(100) ; 동 프레임에 부설되어 롤러(144)의 작동, 조명등의 점등, 연습대 부속물의 작동을 조종하는 컨트롤러(140) ; 동 프레임에 부설된 롤러(144)에서부터 가로부 끝단 가이드 링(131) 바로 아래 무게 추(300)의 상부 매듭고리(310)까지 이어진 공 연결끈으로써, 후단부 연결끈(210)보다 내구성과 인장력이 큰 재질의 전단부 연결끈(200) ; 상기 무게 추(300) 하부 매듭고리(320)에 연결되어 아래로 공(220)을 매달고 있는 공 연결끈으로써, 상기 전단부 연결끈(200)보다 경량성과 유연성이 큰 재질의 후단부 연결끈(210) ; 상기 후단부 연결끈(210) 아래 끝단에 매달린 공(220) ; 상기 전단부 연결끈(200)의 하강과 상승 작동 시 상기 프레임의 파이프(100) 내부나 롤러(144)에서의 연결끈(200) 엉킴 방지기능 또는 전단부 연결끈(200)의 상승 작동 시 전단부 연결끈(200)의 스토퍼기능 등의 다목적으로 상기 전단부 연결끈(200) 끝단에 연결되는 무게 추(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대.
- 제1항의 테니스 연습대에 있어서, 2개 내지 4개의 복수의 상기 연습대가 동일한 지반 콘크리트 구조물(111)에 고착된 채 중앙부(120)끼리 서로 등을 진 형태로 결속하여 하나의 중심지지축에 2개 내지 4개의 복수의 가로부(130)가 조성된 형태를 이루고, 각각의 가로부가 중앙부 중심지지축을 중심으로 분할하는 수평분할각이 동일하거나 90°도 이상이 되도록 복수로 설치될 수 있는 테니스 연습대.
- 제1항의 테니스 연습대에 있어서, 1개인 중앙부(120)의 상단부 부근에서 절곡 내지 만곡 되어 가로로 뻗어나간 동 가로부(130)가 2개 내지 4개의 복수의 가로부(130)로 조성된 형태를 이루고 각각의 가로부가 중앙부 중심지지축을 중심으로 분할하는 수평분할각이 동일하거나 90°도 이상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 테니스 연습대.
- 제1항의 테니스 연습대에 있어서, 야간 조명용 조명등(400)이 공의 궤적(230)을 비행하는 공(220) 앞면과 밑면을 조명할 수 있도록 지반 콘크리트 구조물(111)에 가까운 지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대.
- 제1항의 테니스 연습대에 있어서, 공(220) 외주면 1지점에서 공의 내부(223)까지 관통하는 작은 구멍(226)을 통해 중간 허리 부분이 고리끈(225) 1단부에 의해 결박된 3~4cm 길이의 걸림막대(224)를 공 내부(223)로 끼워 넣은 다음, 상기 구멍(226) 밖에 남아 있던 상기 고리끈(225) 다른 1단부를 공(220) 외부에서 잡아 당겨 상기 걸림막대(224)가 공 내부(223)에서 코어(222) 내주면에 걸리게 함으로써, 공(220)이 고리끈(225)에서 이탈할 수 없게 하는 걸림막대(224)가 있는 구조의 테니스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테니스 연습대.
- 제1항의 테니스 연습대에 있어서, 중앙부(120)의 중단부에서부터 가로부 끝단 가이드 링(131)까지 일부 구간 혹은 전 구간이 점진적으로 협관되어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대.
- 제1항의 테니스 연습대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130)를 지면방향 혹은 수평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힌지를 중앙부(120)의 상단부 부근이나 가로부에 부설하는 구조, 또는 가로부(130)의 전단부를 후단부 내로 내삽시키는 안테나형 구조, 중 1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대.
- 제1항의 테니스 연습대에 있어서, 중앙부(120)의 일정한 지점 상측의 중앙부(120)와 가로부(130)를 지면 쪽으로 하강시키거나 원위치로 상승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기 일정한 지점에 힌지를 부설하는 수단, 또는 상기 일정한 지점에서 하측 중앙부와 상측 중앙부 2개로 분단된 중앙부 중 하측 중앙부보다 협관인 상측 중앙부를 하측 중앙부에 밀착 내삽한 후 특정한 높이로 조정된 상측 중앙부를 구속할 수 있는 구속부재를 중앙부(120)에 부설하는 수단, 상기 2수단 중 1수단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대.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3046U KR200495480Y1 (ko) | 2020-08-19 | 2020-08-19 | 고수부지용 테니스 연습대 |
PCT/KR2021/010757 WO2022039443A1 (ko) | 2020-08-19 | 2021-08-12 | 테니스 연습대의 구조 |
US18/092,245 US20230149790A1 (en) | 2020-08-19 | 2022-12-31 | Structure for tennis practice fr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3046U KR200495480Y1 (ko) | 2020-08-19 | 2020-08-19 | 고수부지용 테니스 연습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0483U true KR20220000483U (ko) | 2022-02-28 |
KR200495480Y1 KR200495480Y1 (ko) | 2022-06-07 |
Family
ID=8047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3046U KR200495480Y1 (ko) | 2020-08-19 | 2020-08-19 | 고수부지용 테니스 연습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548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10844A1 (ko) * | 2022-04-29 | 2023-11-02 | 전병수 | 배드민턴 연습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2115U (ko) * | 1998-05-25 | 1998-08-17 | 최승수 | 1인 운동구형 공 |
JP2002028274A (ja) * | 2000-07-17 | 2002-01-29 | Kodera Electronics Co Ltd | 球技練習場の照明装置 |
JP2007000435A (ja) * | 2005-06-24 | 2007-01-11 | Furukawa Co Ltd | スウィング練習用装置 |
KR20150073333A (ko) * | 2013-12-23 | 2015-07-01 | 서정규 | 구기 연습기구 |
KR102035710B1 (ko) * | 2018-12-10 | 2019-10-23 | 문태현 | 테니스 연습기구 |
-
2020
- 2020-08-19 KR KR2020200003046U patent/KR20049548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2115U (ko) * | 1998-05-25 | 1998-08-17 | 최승수 | 1인 운동구형 공 |
JP2002028274A (ja) * | 2000-07-17 | 2002-01-29 | Kodera Electronics Co Ltd | 球技練習場の照明装置 |
JP2007000435A (ja) * | 2005-06-24 | 2007-01-11 | Furukawa Co Ltd | スウィング練習用装置 |
KR20150073333A (ko) * | 2013-12-23 | 2015-07-01 | 서정규 | 구기 연습기구 |
KR102035710B1 (ko) * | 2018-12-10 | 2019-10-23 | 문태현 | 테니스 연습기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10844A1 (ko) * | 2022-04-29 | 2023-11-02 | 전병수 | 배드민턴 연습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5480Y1 (ko) | 2022-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153246A (en) | Sports net | |
JPH08137B2 (ja) | 体操用訓練装置 | |
US20030224880A1 (en) | Practice equipment | |
US20020137598A1 (en) | Trampoline or the like with enclosure | |
WO1998058706A1 (en) | Trampoline or the like with enclosure | |
US6511383B1 (en) | Multi-bay bungee-cord acrobatic suspension & trampoline structure | |
US3658330A (en) | Device for lawn tennis training | |
KR200495480Y1 (ko) | 고수부지용 테니스 연습대 | |
US6939255B2 (en) | Collapsible batting cage | |
US20230149790A1 (en) | Structure for tennis practice frame | |
US3011784A (en) | Simulated pitching mechanism for baseball batting practice | |
CN210583517U (zh) | 一种啦啦操力量训练器材 | |
KR20220000539U (ko) | 벽면부착형 테니스 연습대 | |
CN111317990B (zh) | 一种与羽毛球球网配套使用的羽毛球击球技术练习器 | |
FR2755865A1 (fr) | Portique de gymnastique | |
KR20230000272U (ko) | 테니스 연습대의 공연결끈 설치구조 | |
CN2529671Y (zh) | 充气攀岩金字塔 | |
CN101468250A (zh) | 一种网球比赛擦网球判断告警装置 | |
KR100889640B1 (ko) | 운동기구인 트리플 점프연습기 | |
US20040185951A1 (en) | Tethers and sports practice devices and activities | |
CN217724590U (zh) | 双向大飞人表演舞台道具 | |
CN219646627U (zh) | 一种仰卧攀绳运动器材 | |
CN209734830U (zh) | 托马斯全旋辅助训练装置 | |
CN212974087U (zh) | 一种羽毛球辅助训练装置 | |
KR102422194B1 (ko) | 배구 토스 및 타구 연습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