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539U - 벽면부착형 테니스 연습대 - Google Patents

벽면부착형 테니스 연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539U
KR20220000539U KR2020200003154U KR20200003154U KR20220000539U KR 20220000539 U KR20220000539 U KR 20220000539U KR 2020200003154 U KR2020200003154 U KR 2020200003154U KR 20200003154 U KR20200003154 U KR 20200003154U KR 20220000539 U KR20220000539 U KR 202200005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onnecting string
tennis
pole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일석
강찬
Original Assignee
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찬 filed Critical 강찬
Priority to KR2020200003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539U/ko
Priority to PCT/KR2021/010757 priority patent/WO2022039443A1/ko
Publication of KR20220000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39U/ko
Priority to US18/092,245 priority patent/US2023014979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9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7Arrangements on balls for connecting line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조물의 수직벽면(400)에 설치하는 테니스 연습대에 관한 것이다. 수직벽면의 지지력을 이용하기 위한 브래킷(100)을 벽면 일정한 지점에 부설하고, 동 브래킷에 테니스 연습대의 프레임인 가로장대(140)를 지면과 평행하게 거치한 다음, 동 가로장대의 끝단 아래로 테니스공(220)을 매달고 동 가로장대 아래에서 테니스 타격연습을 할 수 있다.
상기 테니스 연습대는 무엇보다 타격된 공이 전방 하늘방향의 적정 비거리(230)를 날아갈 수 있게 하여 테니스를 최대한 실감나게 연습할 수 있는 무동력 테니스 연습대로써, 공의 비행에 의해 벽면브래킷(100)에 가해지는 충격과 장력을 반영구적으로 지탱해 낼 수 있는 지지력을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수직벽면(400)에 고착되는 수직지지부(110), 가로장대를 거치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수평지지부(120), 수평지지부와 수직벽면의 대각선 방향으로 양자를 결속하며 수평지지부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지지대(130), 상기 3자의 조합으로 벽면브래킷이 벽면의 일정한 지점에 고착 조성되고, 동 벽면브래킷이 제공하는 지지력으로 가로장대(140)가 공중에서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지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이 추구하는 바와 같이 실감나게 연습한 수 있는 테니스 연습대를 실시함에 있어서는, 상기 벽면브래킷을 포함하는 기본 프레임에 관한 기술보다 공이 매달리는 연결끈(200, 210)의 특성에 관한 기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금껏 테니스 연습대에서 공 연결끈의 특성에 대해 깊이 논의된 적이 없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공 연결끈도 전단부 연결끈(200)과 후단부 연결끈(210)으로 구분하고 양자의 재질과 규격에 대해 다소 깊은 기술적 고민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또, 그 연장선상에서 공 연결끈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동 연결끈에 무게 추(300)가 필요함도 설명하고 있다.

Description

벽면 부착형 테니스 연습대{tennis training device}
본 고안은 일반 건축물의 수직벽면(400)에 설치할 수 있는 테니스 연습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벽면의 일정한 지점에 브래킷(100)을 조성한 다음, 동 브래킷에 가로장대(140)를 지면과 평행되게 거치시키고, 동 장대의 끝단 아래로 공(220)을 매달아 연습생이 동 장대 아래에서 타격연습을 할 수 있는 테니스 연습대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장대의 끝단 아래로 매달린 공을 라켓으로 타격하게 되면 공은 장대의 끝단(141)을 구심점으로 하는 원주곡선(230)을 따라 전방 공중으로 날아갔다가 타격된 구질에 따라 다른 원주곡선을 그리며 중력에 의해 낙하하게 되고, 다시 또 이 공(220)을 타격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원리의 연습대로써, 테니스 운동에 있어서 가장 필수적인 타격자세와 타격기법을 실감나게 숙달하는데 유용한 테니스 연습장치다.
이 연습대에서 연습생이 자신을 향해 실제로 날아오는 공을 보고 재빨리 타격위치와 타격자세를 정확히 잡는 기술, 타격기술로써 포핸드와 백핸드 기술, 플랫, 드라이브, 슬라이스, 발리, 스매싱, 쇼트 기술 등 광범위한 테니스 기술을 연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연습생의 전방 공중에서 연습생 쪽으로 날아오는 공을 정확히 타격했을 때 공이 원하는 방향으로 장쾌하게 날아가는 시각적 성취감까지 느낄 수 있는 테니스 연습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라켓으로 볼을 치는 가장 대중적인 운동인 테니스, 배드민턴과 탁구 중에서 테니스가 가장 격한 운동이면서 가장 숙달하기 어려운 운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타격된 공의 구속이 시속 200km를 넘는 경우에도 이를 정확히 맞받아 쳐야 되는 정도이니 그렇게 인식되지 않을 수 없다.
이렇게 어려운 테니스에 입문하여 그 기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테니스 코트에 나가 동호인들과 함께 실제 공을 치면서 부단히 연습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던 중 연습생 혼자서도 연습할 수 있는 테니스 연습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던 바 본 고안에서와 같이 비전동식 테니스 연습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가. 테니스 연습기 (공고일자 1980.08.05.)
~ 2개 폴대 중앙에 걸린 공을 타격, 폴대 상하 조정으로 공 높낮이 조정
나. 다기능 운동 연습기 (등록일자 2001.01.31.)
~ 수직장대에 "ㄱ"자 형태로 결속된 가로장대의 끝단에 연결끈으로 매달린 공을 타격, 공 타격 후 타격원점 복귀를 위해 공 후방에 방패망 설치, 공 높낮이 조절 목적으로 주로 연결끈 다른 1단부를 당기거나 늦출 수 있는 회전릴을 수직장대에 부설, 방패망이 배제된 상태의 구조와 본 고안에 의한 구조가 외형상 유사하며 공 높낮이 조절방식도 유사함
다. 테니스 타법 훈련장치 (등록일자 2001.11.29.)
~ 탄성 폴대 상부에 결속되거나 수직 상하 연결끈 중앙에 결속된 공을 타격, 공 높낮이 조정 없음
라. 휴대용 테니스 연습장치 (등록일자 2012.03.16.)
~ 웨이터에 탄성 연결끈으로 연결된 공을 타격하면 연결끈의 탄발력에 의해 되돌아오는 공을 타격, 공의 속도 조절을 연결끈의 장단으로 조절
마. 혼자 할 수 있는 탁구, 티볼 운동기구 (공개일자 2015.06.16.)
~ 탄성이 있는 수직장대와 수평장대를 "ㄱ"자 형태로 결속, 수평장대 단부에 연결된 연결끈에 매달린 공을 타격, 수직장대의 높이 조정으로 공 높낮이 조절, 탁구와 티볼에 한정된 기술이기는 하나 본 기술과 외형상 유사점이 있음.
바. 게임용 타격장치 (공개일자 2015.10.22.)
~ 수직장대와 수평장대를 "ㄱ"자 형태로 결속, 수평장대 단부에 연결된 연결끈에 일시 부착된 공을 타격, 수직장대의 높이나 가로장대의 수평각도 조정으로 공 높낮이 조절, 공을 타격하여 날려 보내는 기술이기는 하나 본 기술과 외형상 유사점이 있음.
등의 종래기술이 개발되어 시현되고 있고 이 기술들은 각기 고유한 장점을 지니면서 테니스 기량발전에 이바지하여 왔다.
그런데, 상기에 열거한 무동력 테니스 연습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6개의 선행기술은 모두 본 고안에서의 연습대와는 구조적으로 유사한 점이 없다. 또한 배드민턴을 연습할 수 있는 연습대를 테니스 연습대로 응용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들로써,
배드민턴 연습대 (출원번호1020090041822. 2009.05.13.)
홀로하는 배드민턴 연습대 (등록번호 1010071150000. 2011.01.03.)
배드민턴 연습기 (등록번호 2002637810000. 2002.01.28.)
등이 있으나, 이들 역시 건물의 벽면에 브래킷을 고정 설치하고 이 브래킷의 지지력을 이용하여 배트민턴 연습대나 테니스 연습대를 공중에 가로로 고정시킨 다음, 이 연습대의 끝단에 매달린 배드민턴 셔틀콕이나 테니스 공을 반복적으로 실감 있게 타격하는 연습장치는 찾기가 쉽지 않았다.
그렇지만, 본 고안에서와 같은 테니스 연습대는, 우선 정지된 상태와 같은 공을 일정 시차를 두고 계속 타격하는 연습대가 아니라, 매번 연습생을 향해서 어느 정도의 비거리와 비행궤적을 갖고 또 매번 다른 속력으로(타격에 의한 공의 최고 도달점이 각기 다르므로) 날아오는 공을 타격하는 실전적인 기술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테니스의 기량향상을 위해서는 실로 아주 효과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모든 운동에 있어서 연습생이 운동연습을 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가 곧 운동경기의 실전분위기와 실전감각을 유지하는 정신자세일 것이다. 그리고 그 연습을 보조하는 연습장치 역시 연습생으로 하여금 그 분위기와 감각을 십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구조화 되어야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관점에서 테니스 연습장치는, 공이 연습생에게 실제로 어느 정도 궤적을 갖는 비거리를 날아오는 공이어야 하고 개개의 공마다 연습생이 다양한 타격기술을 실감 있게 번갈아 칠 수 있고 또 공을 정확히 칠 때마다 성취감까지 느끼게 할 수 있는 기능적 측면과, 연습대의 안전성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되기 위한 구조의 완벽성은 물론 연습 도중 공 연결끈의 절단 등 불식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의성이 두루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건조물의 수직벽면(400)에 테니스 연습대를 설치하기 위한 벽면브래킷(100, bracket)을 조성함에 있어서, 수직벽면에 고착되는 수직지지부(110), 가로장대를 거치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수평지지부(120), 수평지지부와 수직벽면의 대각선 방향으로 양자를 결속하며 수평지지부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지지대(130), 상기 3자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건조물의 수직벽면 일정한 지점에 고착되어 조성되는 벽면브래킷(100, bracket) ; 수평지지부에 거치되는 가로장대(140)에 있어서, 동 후단부가 수평지지부에 결속되어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뻗은 가로장대(140) ; 수평지지부에 거치되는 가로장대의 이탈과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부재(122) ; 롤러(151)의 작동, 연습대 부속물의 작동을 조종하는 컨트롤러(150) ; 롤러(151)에서부터 가로장대 끝단 가이드 링(131) 바로 아래 무게 추(300)의 상부 매듭고리(310)까지 이어진 공 연결끈으로써, 후단부 연결끈(210)보다 내구성과 인장력이 큰 재질의 전단부 연결끈(200) ; 무게 추(300) 하부 매듭고리(320)에 연결되어 아래로 공(220)을 매달고 있는 공 연결끈으로써, 상기 전단부 연결끈(200)보다 경량성과 유연성이 큰 재질의 후단부 연결끈(210) ; 상기 후단부 연결끈(210) 아래 끝단에 매달린 공(220) ; 상기 전단부 연결끈(200)의 하강과 상승 작동 시 동 연결끈(200)에 하중을 제공하여 전단부 연결끈(200)의 엉킴 방지기능 또는 전단부 연결끈(200)의 상승 작동 시 전단부 연결끈(200)의 스토퍼기능 등의 다목적으로 상기 전단부 연결끈(200) 끝단에 연결되는 무게 추(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대.
본 고안에 따른 테니스 연습대는, 테니스 연습생이 테니스 코트에 나가지 않더라도 언제든 집 뒤뜰에서 혼자서 손쉽게 테니스 기량을 연마할 수 있는 연습장치가 될 수 있다. 또 테니스를 접해보지 못한 어린아이들도 이 연습대에 매달린 공을 라켓으로 쳐보면 적잖은 흥미를 느끼게 될 것은 당연하다. 테니스 코트에서 바운딩된 공은 치기 어렵지만 이 연습장치의 공은 그다지 어렵지 않기 때문에 이 연습대를 통해 각종 공치기에 쉽게 친숙해지게 되고 그만큼 어린 시절부터 운동신경을 발달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테니스 초 중급 연습생에게는, 자기 몸 쪽으로 적당한 궤적의 비거리를 반복적으로 날아오는 공을 효과적으로 치기 위해 어떤 타격기술로 어느 위치에서 타격할 것인지 또 어디를 향해 타격할 것인지를 일순간에 결정하고 그 공을 정확히 타격하는 실전적 기량을 연마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
물론, 연습생 앞으로 날아오는 연습대의 공과 실전에서의 공의 속도나 비행궤적 그리고 공 회전각의 유무 등이 많이 다르기는 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연습대로 위와 같은 타격기술을 꾸준히 연마하고 응용력을 키운다면 실전에서 변형된 어떤 구질의 공에 대해서도 충분히 기량발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연습대는 테니스 연습에만 국한되지 않고, 테니스 공 대신에 배드민턴공이나 탁구공을 연결끈 후단부 테니스 공 자리에 매달고 타구하는 연습도 가능하다. 단 배드민턴공이나 탁구공의 경우는 다소 개조된 구조여야 할 것이고 이 부분 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해 실시된 벽면 부착형 테니스 연습대의 전체적인 개념도 이다. 벽면의 일정 지점에 벽면브래킷(100)이 조성 고착되고, 이 벽면브래킷의 지지력으로 연습대 프레임인 가로장대(140)가 수평 방향으로, 즉 지면과 평행되게 공중에 설치되어 있다. 동 벽면브래킷 아래쪽 벽면에는 컨트롤러(150)가 설치되어 있고, 전단부 연결끈(200)이 컨트롤러의 롤러(151)에서부터 가로장대 끝단의 가이드 링(141)을 통과한 후 그 끝단이 무게 추(300)의 상부 매듭고리(310)에 연결되어 있다. 또 후단부 연결끈(210)이 무게 추의 하부 매듭고리(320)에서부터 아래로 공(220)을 매달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테니스 연습대의 브래킷 개념도 이다. 벽면(400)에 수직지지부(110)가 접착부재와 함께 앵커볼트(111, 속칭 앙카볼트, anchor bolt)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수직지지부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90°절곡된 수평지지부(120)가 조성되어 있고, 수평지지부 하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수평지지부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지지대(130)가 1쌍 부설되어 있다. 또, 수평지지부 윗면 중앙에는 가로장대(140)가 거치될 홈통(121)이 조성되어 있으며, 동 홈통에 가로장대 후단부가 거치된 상태에 "U"자형 볼트(122)에 의해 구속 고정되어 있다. 수직지지부 아래쪽에는 공 연결끈 가이드 링(141)이 부설되어 있다.
[도3]은 가로장대의 끝단 가이드 링(141)을 빠져나온 전단부 연결끈(200)이 무게 추(300) 상부 매듭고리(310)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공 후단부 연결끈(210)이 무게 추(300) 아래의 하부 매듭고리(320)에 연결되어 아래로 공(220)을 매달고 있음을 다소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테니스 공(220) 단면도이다. 공 외주면은 섬유성 펠트(221 felt), 동 펠트 안쪽에 천연고무로 된 코어(222 core), 코어 안쪽에는 압축공기가 빠져 나간 상태의 공 내부공간(223), 공 외주면 1지점에서 공 내부(223)로 관통하는 작은 구멍(226)이 도시되고 있다.
상기 작은 구멍(226)을 통해 공 내부공간(223)에 들어간 걸림막대(224)가 중간 허리부분이 고리끈(225) 1단부에 의해 결박된 상태로 코어(222) 내주면에 걸려서 공 고리끈(225)에서 공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결속되어 있으며, 공(220)의 고리끈(225) 다른 1단부가 상기 작은 구멍(226) 밖에 노출되어 있다. 이 공(220) 외부에 나와 있는 고리끈(225)에 후단부 연결끈(210)이 연결된다.
벽면브래킷(100)을 조성할 수직지지부 수평지지부 보강지지대의 재료로써 모두 알루미늄 합금인 두랄루민이 이상적이다. 다만, 벽면브래킷을 실내에 설치할 때는 열처리 된 특수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실내 분위기상 좋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벽면브래킷의 수직지지부(110)와 수평지지부(120) 재료로써 길이75, 너비35, 두께0.5(cm) 직사각형의 두랄루민 패널을 준비한다. 길이 75cm를 35, 40cm로 분할하여 "ㄱ"자형으로 절곡한다. 이때, 절곡작업 이전에 미리 상기 절곡선의 중앙점과 35cm 패널의 끝단 중앙점을 잇는 함몰라인으로써 함몰부가 절곡 외측이 되는 1줄의 함몰라인(121), 볼팅 홀(111, bolting hole)과 구속부재, 볼팅 홀이 순차적으로 프레스 가공되어 있다.
이로써 40cm로 절곡된 면이 수직지지부, 35cm로 절곡된 면이 수평지지부가 되는 브래킷의 기본 프레임이 형성된다. 상기 2개의 중앙점을 잇는 선분의 함몰라인은 가로장대 후단부가 거치되는 홈통(121)이 된다.
다음, 보강지지대(130)를 조성한다. 직각을 이루는 2개의 선분이 각기 25cm 30cm이고 두께 0.5cm인 직각삼각형 패널 1쌍을 준비한다. 25cm선분이 수평지지부(120) 저면에, 30cm선분이 수직지지부 상면에 용착되어 수평지지부 하부에서 수직지지부(110) 대각선 방향으로 부설된다. 용착 수단은 아르곤 용접으로 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완성된 벽면브래킷(100)을 건조물의 수직벽면(400)에 고착시킨다. 브래킷의 수평지지부(120)의 지상 높이가 7m가량 되는 수직벽면 일정한 지점에 수평지지부가 지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수직지지부(110)를 수직벽면(400)에 볼팅하여 벽면브래킷(100)의 수직벽면(400)에의 고착이 완성된다. 이때, 수직벽면과 맞닿게 되는 수직지지부의 전체 표면에는 3mmT 점착포가 브래킷의 요동방지 및 충격과 소음방지 매재로 부착된 상태에서 수직벽면에 고착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이상과 같은 실시 예는, 상기 벽면브래킷에 가로장대(140)가 거치된 후 동 가로장대 끝단 아래에 매달린 공을 타격할 때 연습대 전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극복하고 연습대가 반영구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조로 실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 예와는 달리, 90°각도로 절곡함에 있어서 수직지지부와 수평지지부의 절곡라인을 3등분하며 가로지르는 2개의 선상에 절곡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길이 10cm정도의 함몰라인 각 1줄씩을 조성할 수도 있다. 또, 수직지지부(110)의 상하 길이가 40cm가 아닌 1m이상이나 15cm정도로도 가능하고, 또 수평지지부(120) 하부에 있는 2개의 보강지지대(130) 외에 동 2개의 중앙에 1개 추가로 보강지지대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수평지지부의 상부에도 1쌍의 보강지지대를 추가로 부설할 수도 있다. 또 수직지지부를 짧은 15cm정도로 할 경우에는, 수평지지부 하부에 있는 2개의 보강지지대의 1단부가 수평지지부 저면에 용착되고 다른 1단부는 직접 수직벽면(400)에 볼팅으로 고착될 수도 있는 등 수직벽면의 견고성이나 재질 등을 감안하여 수직벽면의 지지력을 최대한으로 제공받기 위한 다양한 수단들이 강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브래킷을 지면으로부터 아주 높게 설치하는 이유는, 공 타격 시 공의 비행궤적(230)을 최대한 크게 하여 공 타격지점에서의 공 수평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실제 코트에서의 공의 비행궤적과 가능한 유사하게 하여 연습생이 실감나게 타격연습을 하게 하기 위해서다. 상기 지상높이가 10m이상도 가능할 수 있겠으나 높을수록 후단부 연결끈(210)에 대한 바람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연습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많고, 낮을수록 타격 실감이 줄어든다.
다음, 가로장대(140)를 준비한다. 소재는 두랄루민 원형 파이프를 사용하고 가로장대 아래 지면에서 연습생이 타격연습을 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길이가 2m이상이 되게 한다. 벽면브래킷(100)에 미치는 장력의 최소화를 위해 후단부에서 전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협관되게 한다. 일직선으로 조성할 수 있고 상방향으로 다소 둥글게 만곡된 형태로 조성할 수도 있다. 전단부 끝단은 내경0.5 외경1.2(cm)로 하며 공 연결끈(200)이 통과하는 가이드 링(141)이 부설된다.
다음, 상기 가로장대(140)를 벽면브래킷에 설치한다. 가로장대의 후단부를 상기 수평지지부 상측 함몰라인(121)에 거치하고 "U"형 볼트 2개로써 가로장대 후단부가 상기 함몰라인에 밀착되게 구속하여 가로장대를 벽면브래킷(100)에 간단히 고착시킨다. 가로장대가 수평지지부 함몰가인과 "U"형 볼트와 맞닿는 부분에도 3mmT 점착포가 브래킷의 요동방지 및 충격과 소음방지 매재로 부착된다.
한편, 상기 공중을 가로지르는 가로장대(140)가 예외적으로 장애물이 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즉, 가로장대가 가로지르는 공중의 공간활용성 등을 위하여 동 가로장대(140)를 지면 쪽 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접어 둘 수 있는 힌지를 가로장대 후단부의 브래킷 부근에 부설할 수 있겠고, 또는 가로장대(140)를 안테나처럼 전단부를 후단부 내로 내삽시키거나 밖으로 인출할 수 있는 구조로 조성할 수 있겠다. 이 조종을 하기 위해서는 수동이나 동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어렵지 않게 설치할 수 있다. 도면은 생략한다.
다음, 컨트롤러(150)를 벽면브래킷(100) 아래 사람 가슴높이에 부설한다. 컨트롤러(150)의 핵심부재는 공 연결끈(200)을 감거나 푸는 롤러(151)다. 전동식이나 수동식 모두 가능하다. 롤러 대용으로 전단부 연결끈(200)의 끝단을 걸 수 있는 1개 이상의 고리도 가능하다. 또, 상술한 바처럼 가로장대(140)를 지면쪽 방향 등으로 접거나 원위치 복귀시킬 때 견인끈을 사용함에 있어서, 힌지 위치에서 전단부쪽의 가로장대 일정 지점을 결박하고 가이드롤러(guide roller)를 거쳐 상기 컨트롤러 부근까지 연결된 가로장대 견인끈을 고정시키는 고리도 부설될 수 있다. 상기 작동을 위한 롤러를 동력으로 구동시키는 모터도 부설될 수 있다. 이 부분 도면은 생략한다. 또, 예외적인 경우에 이 롤러를 가로장대의 끝단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부분 후술한다.
다음, 공 연결끈(200, 210)을 연습대에 설치한다. [도1]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끈은 롤러(151)에서부터 브래킷(100)에 부설된 가이드 링(141)과 가로장대의 끝단 가이드 링(141)을 통과하고 무게 추 상부 매듭고리(310)까지 전단부 연결끈(200)이 부설된다. 무게 추 하부 매듭고리(320)에서부터 공까지 후단부 연결끈(210)이 부설된다.
위와 같이 무게 추(300)를 중심으로 전단부 연결끈(200)과 후단부 연결끈(210)이 연결되며, 이렇게 설치된 연결끈은 무게 추(300)와 공(220)의 하중에 의해 전단부 연결끈(200)이, 공(220)의 하중에 의해 후단부 연결끈(21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연결끈(200, 210)의 재질과 규격에 대해서 상술한다. 이는 연결끈에 무게 추(300)가 왜 필요한지에 대한 부분적인 설명이 되기도 한다. 전단부 연결끈(200)과 후단부 연결끈(210)은 재질과 규격이 상이하다. 연결끈의 재질과 규격은 테니스 연습대 전체의 안전성 못지않게 민감하고 중요한 문제이다.
먼저, 후단부 연결끈(210)에 대해 설명한다. 가령, 후단부 연결끈(210)의 재질이 조금이라도 뻣뻣하여 유연성이 없다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끈이 다소 굵다거나, 다소 무겁다거나, 고무줄처럼 탄성이 있다거나 할 경우 등에는, 공에 타격을 가했을 때 공(220)이 정상적인 원주궤도(230)로 비행하지 않는다. 즉 공이 멀리 뻗어 나가지 않거나, 공중에서 공이 마구 뒤틀림이 있거나, 상하로 요동이 일어나게 된다. 즉, 연습대가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단부 연결끈(210)은 무엇보다 가늘고 무게가 가벼워야 하며 강한 장력에도 늘어남이 없이 잘 끊어지지도 않아야 한다. 즉, 공(220)이 비행을 하는데 최소의 저항으로 공이 이탈하지 않게 하는 성능의 재질과 규격이어야만 타격된 공이 유연하면서도 장쾌하게 전방 공중의 원하는 방향으로 날아갔다가 타격구질에 따른 궤적으로 유연하게 되돌아올 수 있으며 이로써 정상적인 반복타격연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조건에 적합한 소재 중 하나는 면합사(목화실, 1.5t 정도)다. 면합사는 가볍고 유연성이 좋으며 자외선에도 강한 반면 공기저항을 다소 받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비교적 무난하다. 그렇지만 PE사 Silicon사 등 화학사는 물론 면사와 화학사의 질긴 합사도 유연성이 부족하거나 고무줄처럼 탄성이 있어서 부적합하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 혹은 태양광에 의한 문제점이 분명히 발생하게 된다.
다음, 무게 추(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후단부 연결끈(210)의 특성에 있어서 제기되는 문제는, 가늘고 가볍고 유연성이 좋으며 아주 오래 동안 자외선에 노출해서 사용해도 끊어지지 않으면서 타격연습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 소재의 후단부 연결끈(210)은 구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즉, 위의 면합사로 된 연결끈은 일정 기간 정도만 정상 사용할 수 있는 소모품이고, 가끔 후단부 연결끈(210)의 상태를 점검하여 새 연결끈으로 교체해야 하는데 불식간에 타격연습 도중 후단부 연결끈(210)이 그것도 손이 닿지 않는 상기 가이드 링(210) 바로 아래쪽에서 절단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공 타격연습 도중 후단부 연결끈(210) 절단 시 등을 대비하여 손이 닿지 않는 전단부 연결끈(200)을 하강시켜야 할 때, 가이드 링(210) 바로 아래쪽에 위치할 전단부 연결끈(200)에 무게 추(300)를 구비해야 한다. 무게 추가 구비되지 않다면 전단부 연결끈(200)을 가이드 링(131) 아래로 하강시키기는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사다리차를 동원하는 수단 정도라야 가능한 작업이다.
상술한 무게 추(300)의 용도는, 타격연습 도중 전단부 연결끈(200) 아래의 후단부 연결끈(210)이 절단되는 경우를 가정한 설명이었다. 그렇지만 본 고안에 의한 연습대가 누구나 무상으로 이용하게 되는 다중이용시설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타격연습 도중 전단부 연결끈(200) 아래의 후단부 연결끈(210)이 절단되는 경우가 아니어도 무게 추(300)가 반드시 필요하다.
왜냐하면, 본 고안에 의한 연습대가 다중이용시설인 경우, 후단부 연결끈(210)과 이에 매달린 공(220)은 이 연습대를 이용하는 연습생이 지참해서 연습대의 전단부 연결끈(200)에 연결시켜 타격연습을 해야 함이 마땅하고, 이때 연습생이 지참해 온 후단부 연결끈(210)과 공(22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단부 연결끈(200) 아래에 무게 추(300)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동 연습대가 사용되지 않는 시간동안에는 전단부 연결끈(200)이나 무게 추(300)가 공중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가이드 링(131)에 밀착 정지한 상태로 있어야 하고, 연습생이 타격연습을 시작할 때 컨트롤러(150)를 작동하여 동 무게 추(300)를 연습생 가슴높이로 하강시켜 무게 추의 하부 매듭고리(320)에 연습생이 지참해 온 후단부 연결끈(210)과 공(220)을 매달고 타격연습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무게 추(300)가 전단부 연결끈(200)의 끝단에 부설되어 있지 않다면, 전단부 연결끈(200)의 하강이나 상승 조종 시 동 연결끈이 롤러(151)에서부터 절단된 지점까지 엉킴이 발생하는 문제점 외에도 동 끝단이 어디에 하강해 있는지 식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또 바람에 날리어 쉽게 잡기도 어려울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도 무게 추(300)의 부설이 필요하다 아니할 수 없다.
그리고, 연습을 끝낸 연습생은 후단부 연결끈(210)과 공(220)을 무게 추 하부 매듭고리(320)에서 분리 회수한 다음, 무게 추(300)를 가이드 링(131) 아래 원래 위치로 수동으로나 반자동으로 복귀시켜 놓거나 또는 무게 추(300) 하강시점 이후 1~2분 이후에는 무게 추(300)가 자동으로 상승 복귀되도록 자동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무게 추(300)에 의한 안전사고예방 차원이다.
또 무게 추(300)를 가이드 링(141) 바로 아래쪽에 밀착 정지시키고 타격연습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앞서 연습대의 가로장대(140)를 높이 설치하는 이유에서와 같이 공의 회전반경(230)을 최대한 크게 하기 위함이다.
무게 추(300)의 무게나 소재는 전단부 연결끈(200)의 소재나 규격에 따라 달라지나 전단부 연결끈(200)에 하중을 제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전단부 연결끈(200)의 상승과 하강 시 동 연결끈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또 동일한 무게 추(300)를 복수로도 구성할 수 있고, 다른 소재 다른 형태의 무게 추(300)를 복수로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데, 무게 추를 1개인 쇠구슬이 아닌 어느 정도의 길이가 있는 쇠사슬로도 가능하다. 쇠구슬의 안전위험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 경우, 쇠사슬의 최상단부가 무게 추(300)의 상부 매듭고리(310)가 되고 최하단부가 하부 매듭고리(320)가 된다.
본 고안에서의 무게 추(300)의 실시 예로써, 충격방지용 실리콘 피막과 표면 형광도포가 된 쇠구슬 150g 1개 정도가 무난하고 외경이 가이드 링(141)의 내경보다 크도록 하여 전단부 연결끈(200)의 끝단이 상기 가이드 링(131) 안쪽으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stopper)로서의 기능도 하게 된다.
다음, 전단부 연결끈(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단부 연결끈(200)은 롤러(151)에서 무게 추(300) 상부 매듭고리(310)까지의 연결끈으로서, 공(220)의 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가능한 튼튼하면서도 다소 유연성이 있는 가는 와이어가 가장 무난하고 이에 버금가는 질기고 내구성이 좋은 화학사도 무난하다.
그런데, 전단부 연결끈(200)을 전부 쇠사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동식 롤러(151)를 가로장대(140)의 끝단 가이드 링(141) 자리나 그 부근에 위치시키고 동 전동식 롤러(151)로써 쇠사슬을 감거나 풀리게 할 때 쇠사슬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데 어렵지 않을 수 있다. 또 동 끝단이 바람에 가볍게 흩날리지도 않아 연습생이 식별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즉, 쇠사슬로 된 연결끈은 전단부 연결끈(200) 본래의 역할과 무게 추(300)의 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며, 이 때의 무게 추(300)는 동 쇠사슬의 최후단부 부분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쇠사슬로 된 전단부 연결끈(200)의 경우에는, 연습생이 가슴 높이로 쇠사슬 연결끈(200)의 끝단을 하강시킨 후 공이 매달린 후단부 연결끈(210)을 동 쇠사슬의 최후단부 고리에 매달고 정상적인 테니스 타격연습을 할 수 있고, 타격연습이 끝나면, 수동이나 반자동으로 혹은 쇠사슬의 하강 후 1~2분 후 자동으로 쇠사슬 연결끈(200)을 롤러(151)까지 상승시켜 놓게 되는 것이다. 쇠사슬로 된 전단부 연결끈(200)의 도면은 생략한다.
한편, 전단부 연결끈(200)의 하강과 상승을 동력에 의한 모터의 작동으로도 가능하고, 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장대(140) 전단부의 후단부에의 내삽과 인출 역시 모터의 작동으로도 가능하다. 이 2가지 부재의 동시작동과 동시정지를 1개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실시할 수도 있다.
즉, 타격연습을 위하여 동 동시조작 스위치 버튼을 누르면 내삽되어 있던 가로장대(140)가 모터의 작동에 의해 서서히 인출되다가 일정한 시간에 이르러 인출이 완료 정지되고, 이 인출과 정지작동과 똑같은 시간대에 전단부 연결끈(200)의 하강과 정지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타격연습을 마친 때에도 2가지 부재의 작동과 정지 역시 상기 역방향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한다.
다음, 공(220)에 대해 설명한다. 보통 시합용 테니스공은 외주면에 펠트(felt 221), 펠트 안쪽에 천연고무로 된 코어(core 222), 코어 내부에 압축공기가 들어 있다. 그라운드에서 탄성을 좋게 하기 위해 압축공기가 들어 있는데 본 고안에서의 공은 그라운드에 바운드되는 공이 아니기 때문에 압축공기가 필요 없다. 고무의 탄성과 라켓의 탄성만으로도 실감나는 타격연습을 충분히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의 공(220)은, [도4]에서와 같이 공 외주면에서 공 내부(223)까지 뚫린 직경 2mm미만의 작은 구멍(226)을 통해 그 길이가 3~4cm가량 되고 그 중간 지점이 고리끈(225) 1단부에 의해 결박된 걸림막대(224)를 공 내부(223)로 끼워 넣은 다음, 상기 공의 작은 구멍(226) 외부에 남아 있던 고리끈(225)의 다른 1단부를 잡아당기면 상기 걸림막대(224)가 공 내부에서 코어(222) 내주면에 걸리게 되고 이로써 공(220)이 고리끈(225)에서 이탈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의 공(200)은 상기와 같은 걸림막대(224)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걸림막대(224)의 소재는 목재, 금속, 플라스틱 등 쉽게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는 소재면 되고, 굵기는 소재에 따라 다르지만 목재의 경우 5mm정도의 원주형이면 무난하다. 상기 구멍 밖에 있는 고리 끈 1단부를 후단부 연결끈(210) 끝단에 연결하여 최종 본 고안에 의한 테니스 연습대가 완성된다.
100 벽면브래킷
110 수직지지부
111 앵커볼트
120 수평지지부
121 가로장대 홈통
122 가로장대 구속부재
130 보강지지대
140 가로장대
141 가이드 링
150 컨드롤러
151 롤러
200 전단부 연결끈
210 후단부 연결끈
220 공
221 공 외주면 펠트(felt)
222 코어
223 공 내부
224 걸림막대
225 고리끈
226 작은 구멍
230 공의 비행궤적
300 무게 추
310 무게 추 상부 매듭고리
320 무게 추 하부 매듭고리
400 수직벽면
500 지면

Claims (4)

  1. 건조물의 수직벽면(400)에 테니스 연습대를 설치하기 위한 벽면브래킷(100, bracket)을 조성함에 있어서, 수직벽면에 고착되는 수직지지부(110), 가로장대를 거치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수평지지부(120), 수평지지부와 수직벽면의 대각선 방향으로 양자를 결속하며 수평지지부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지지대(130), 상기 3자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건조물의 수직벽면 일정한 지점에 고착되어 조성되는 벽면브래킷(100, bracket) ; 수평지지부에 거치되는 가로장대(140)에 있어서, 동 후단부가 수평지지부에 결속되어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뻗은 가로장대(140) ; 수평지지부에 거치되는 가로장대의 이탈과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부재(122) ; 롤러(151)의 작동, 연습대 부속물의 작동을 조종하는 컨트롤러(150) ; 롤러(151)에서부터 가로장대 끝단 가이드 링(131) 바로 아래 무게 추(300)의 상부 매듭고리(310)까지 이어진 공 연결끈으로써, 후단부 연결끈(210)보다 내구성과 인장력이 큰 재질의 전단부 연결끈(200) ; 무게 추(300) 하부 매듭고리(320)에 연결되어 아래로 공(220)을 매달고 있는 공 연결끈으로써, 상기 전단부 연결끈(200)보다 경량성과 유연성이 큰 재질의 후단부 연결끈(210) ; 상기 후단부 연결끈(210) 아래 끝단에 매달린 공(220) ; 상기 전단부 연결끈(200)의 하강과 상승 작동 시 동 연결끈(200)에 하중을 제공하여 전단부 연결끈(200)의 엉킴 방지기능 또는 전단부 연결끈(200)의 상승 작동 시 전단부 연결끈(200)의 스토퍼기능 등의 다목적으로 상기 전단부 연결끈(200) 끝단에 연결되는 무게 추(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대.
  2. 제1항의 테니스 연습대에 있어서, 공(200)의 내부(223)에서 코어(222) 내주면에 걸린 걸림막대에 의해 공이 후단부 연결끈(210)에서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걸림막대(224)가 있는 구조의 테니스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테니스 연습대.
  3. 가로장대(140) 전단부에서의 후단부 인출과 전단부 연결끈(200)의 하강, 가로장대(140) 전단부에의 후단부 내삽과 전단부 연결끈(200)의 상승을 1개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동시작동이 가능한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대.
  4. 제1항의 테니스 연습대에 있어서, 상기 가로장대(140)를 지면방향 혹은 수평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힌지를 가로장대(140) 후단부의 브래킷(100) 부근에 부설에 부설하는 구조, 또는 가로장대(140)의 전단부를 후단부 내로 내삽시키거나 인출시킬 수 있는 안테나형 구조, 중 1이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연습대.
KR2020200003154U 2020-08-19 2020-08-26 벽면부착형 테니스 연습대 KR20220000539U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54U KR20220000539U (ko) 2020-08-26 2020-08-26 벽면부착형 테니스 연습대
PCT/KR2021/010757 WO2022039443A1 (ko) 2020-08-19 2021-08-12 테니스 연습대의 구조
US18/092,245 US20230149790A1 (en) 2020-08-19 2022-12-31 Structure for tennis practice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54U KR20220000539U (ko) 2020-08-26 2020-08-26 벽면부착형 테니스 연습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39U true KR20220000539U (ko) 2022-03-07

Family

ID=80812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154U KR20220000539U (ko) 2020-08-19 2020-08-26 벽면부착형 테니스 연습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53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3246A (en) Sports net
US6053845A (en) Trampoline or the like with enclosure
US9339676B2 (en) Trampoline or the like with enclosure
US5913739A (en) Ball-suspending device and modified ball
US11311762B2 (en) Modular play set
JPH08137B2 (ja) 体操用訓練装置
EP3085421B1 (en) Golf practice tent
US4749189A (en) Exercise machine for hockey players
US5072937A (en) Baseball batting practice device
JP2004513668A (ja) 複数ベイバンジーコードアクロバティックサスペンション及びトランポリン構造
US3658330A (en) Device for lawn tennis training
US20230149790A1 (en) Structure for tennis practice frame
US773167A (en) Ball-game apparatus.
KR200495480Y1 (ko) 고수부지용 테니스 연습대
US3011784A (en) Simulated pitching mechanism for baseball batting practice
KR20220000539U (ko) 벽면부착형 테니스 연습대
JP3935073B2 (ja) 球技装置
CN111317990B (zh) 一种与羽毛球球网配套使用的羽毛球击球技术练习器
JP3139357U (ja) バレーボール練習装置
KR200497770Y1 (ko) 테니스 연습대의 공연결끈 설치구조
CN220938976U (zh) 一种可移动的负荷可调踝关节训练器
CN214319049U (zh) 狭小空间标准动作投篮机
CN207506904U (zh) 一种带有u字形爬网的攀爬桥
JP3152743U (ja) 健康バッティング練習装置
US20040043844A1 (en) Netting for football goal po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