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3333A - 구기 연습기구 - Google Patents

구기 연습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3333A
KR20150073333A KR1020130160909A KR20130160909A KR20150073333A KR 20150073333 A KR20150073333 A KR 20150073333A KR 1020130160909 A KR1020130160909 A KR 1020130160909A KR 20130160909 A KR20130160909 A KR 20130160909A KR 20150073333 A KR20150073333 A KR 20150073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frame
ball
vertical frame
po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규
Original Assignee
서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규 filed Critical 서정규
Priority to KR102013016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3333A/ko
Publication of KR2015007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0Games with thread-suspended or swingably-mounted bodies, e.g. balls, pointed bodies shaped as birds, animals, or the like, for aiming at and hitting targets ; Games using tethered bodies, e.g. bal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높이로 공을 매달아 놓은 상태에서 선수들이 상기 공을 머리나 발로 타격하였을 때, 공이 로프에 매달린 상태에서 로프와 함께 뻗어나가도록 구성하여 선수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공이 보내지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해가며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구기 연습기구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로프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로프에 매달려 있는 공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 띄워질 수 있도록 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로프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공을 선수들이 머리나 발로 타격하는 과정에서 상기 로프를 고정을 해지시켜 상기 공과 로프가 함께 타격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하는 로프 스토퍼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구기 연습기구{BALL GAME PRACTICE APPARATUS}
본 발명은 구기 연습기구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높이로 공을 매달아 놓은 상태에서 선수들이 상기 공을 머리나 발로 타격하였을 때, 공이 로프에 매달린 상태에서 로프와 함께 뻗어나가도록 구성하여 선수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공이 보내지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해가며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구기 연습기구에 관한 것이다.
축구경기에 있어서 센터링이나 코너킥 또는 프리킥을 머리로 받아서 골을 넣는 헤딩슛의 비율이 상당히 높으므로 선수들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정확하게 이마로 공을 받아 골문안으로 집어 넣을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연습을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킥이 비교적 정확한 특정선수가 계속 공을 차주면서 헤딩슛 연습을 해왔기 때문에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정확한 헤딩감각을 얻을 수 없으므로 실제 경기에서는 공이 골대로부터 터무니 없이 다른 방향으로 날아가는 장면을 자주 목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20-1999-0019263 호(명칭: 헤딩연습장치가 장착된 축구골대)(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크로스바의 좌우 양측에 골 포스트가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바와 골 포스트의 후방에 골 후레임이 형성되어 골망이 걸려진 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단에는 결착홈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삽입부가 형성된 지지구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부에는 각도조정구를 고정하고, 이 각도조정구의 방향조정구를 부착하며, 이 방향조정구의 삽입부에는 아암을 삽입하여 상기 지지구의 결착홈을 양측 골 후레임 상단에 고정한 후 공이 연결된 끈을 상기 아암에 거치시켜 골 후레임 후방에 장치된 보빈에 상기 끈을 감아서 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의 헤딩 연습장치는 반드시 골대에만 설치되어 지는 특성상 골대가 없는 곳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여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수의 키높이 맞추어 축구공의 높낮이 역시 조절되어야 하나 선행기술의 구조로는 축구공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어 사용상에도 많은 문제점을 가져오게 된다.
특히 선행기술은 축구공이 지지구에 고정된 상태임에 따라 축구공을 머리로 타격하더라도 축구공이 멀리 뻗어나가지 못함에 따라 선수들이 축구공을 타격한 후, 원하는 방향으로 축구공이 보내지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정확성을 기르는 연습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20-1999-0019263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높이띄운 상태로 공을 매달아 놓은 상태에서 선수들이 상기 공을 머리나 발로 타격하였을 때, 공이 로프에 매달린 상태에서 뻗어나가도록 구성하여 선수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공이 보내지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해가며 연습할 수 있도록 한 구기 연습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여 설치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헤딩슛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헤딩 연습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와이어와 수직프레임의 높이 조절을 통해 선수의 체형에 맞추어 매달려 있는 축구공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헤딩 연습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프에 매달려 있는 공을 머리나 발로 타격하며 연습하도록 구성한 구기 연습기구에 있어서,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로프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로프에 매달려 있는 공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 띄워질 수 있도록 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로프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공을 선수들이 머리나 발로 타격하는 과정에서 상기 로프를 고정을 해지시켜 상기 공과 로프가 함께 타격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하는 로프 스토퍼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 스토퍼 수단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선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성형되며 중앙으로는 상기 로프가 통과하기 위한 로프통과홈이 형성된 걸림편 및 상기 로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에 걸려지며 상기 로프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로프를 가이드하는 로프가이드가 더 포함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스트 사이 사이에는 상기 포스트가 서로 모여지거나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를 유동있게 지지하는 연결프레임이 더 포함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프레임 외면에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포스트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포스트를 지지하는 수단인 연결프레임에 걸려지는 브라켓이 일체 구비된 웨이트프레임과, 상기 웨이트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자체 무게를 이용하여 지면에 세워져 있는 구기 연습기구를 흔들림 없이 고정시키는 웨이트로 구성한 웨이트수단이 더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는 상기 포스트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프레임이 더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프레임은 두 개의 간격유지프레임을 한 쌍으로 하여 "X" 형태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그 교차점에 힌지핀을 결합하여,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접혀지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간격유지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포스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는 결합구가 구비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면에는 인출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인출프레임의 단부에는 수평프레임이 더 절곡 구성되며, 상기 인출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로프가 통과하기 위한 고리부가 각각 더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하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프레임에는 수직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 및 인출프레임의 체결구멍으로는 스토퍼핀을 끼워 상기 인출프레임을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공을 매달아 놓은 상태에서 선수들이 상기 공을 머리나 발로 타격하였을 때, 공이 로프에 매달린 상태에서 뻗어나가도록 구성하여 선수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공이 보내지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해가며 연습할 수 있어 선수 개개인의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고 특히, 설치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설치하여 헤딩슛을 연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와 수직프레임의 높이 조절을 통해 선수의 체형에 맞추어 매달려 있는 축구공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의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구기 연습기구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구기 연습기구의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간격유지프레임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한 로프 스토퍼 수단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의 조립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에서 공이 타격되어 뻗어나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의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구기 연습기구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구기 연습기구의 정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기 연습기구(100)는 크게 포스트(10), 연결프레임(20), 간격유지프레임(30), 수직프레임(42)으로 외곽을 구성한다.
상기 포스트(10)는 헤딩 연습기구(100)의 기둥 부재로서 네 모서리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포스트(10)의 하단에는 브라켓(12)이 끼워지고, 상기 브라켓(12)의 체결구멍(14)에는 상기 포스트(1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16)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0)은 상기 포스트(10)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포스트(10)를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연결프레임(20)은 두 개의 연결프레임(20a, 20b)을 한 쌍으로 하여 "X" 형태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그 교차점에 힌지핀(22)을 결합하여, 상기 힌지핀(22)을 중심으로 접혀지는 동작을 수행하며 헤딩 연습기구(100)의 보관시 부피를 줄이기 위해 상기 포스트(10)가 중앙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프레임(30)은 연습기구의 네 모서리면에 설치된 상기 포스트(10)가 사용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포스트(10) 간의 사이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등의 상기 포스트(10)를 지지하여 지면에 세워져 있는 헤딩 연습기구(100)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4는 간격유지프레임을 평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간격유지프레임(30)은 전술한 연결프레임(20)과 같이 두 개의 간격유지프레임(30a, 30b)을 한 쌍으로 하 "X" 형태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그 교차점에 힌지핀(32)을 결합하여, 상기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접혀지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프레임(30a, 30b)의 양단에는 결합구(34)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구(34)는 포스트(10)에 하나씩 끼워진 상태로 볼트(36) 체결되며 간격유지프레임(30)을 포스트(10)에 연결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간격유지프레임(30)은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복수개를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포스트(10)의 상면과 중앙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프레임(42)은 축구공(70)이 와이어(60)에 매달린 상태에서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상 띄워질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포스트(10)의 상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42)에는 하나의 체결구멍(4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44)에는 수직프레임(42)에 끼워지는 인출프레임(46)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핀(50)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인출프레임(46)은 상기 수직프레임(42) 내부에 수직으로 인출 가능하게 끼워지며 공(70)의 높낮이를 조절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인출프레임(46)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48)들이 수직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구멍(48)들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멍(48)은 전술한 수직프레임(42)의 체결구멍(44)과 연결하여 통한 상태에서 스토퍼핀(50)이 끼워지며 높이 조절이 완료된 인출프레임(46)을 상기 수직프레임(42)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인출프레임(46)의 선단에는 공(70)이 상기 인출프레임(42, 46)상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매달릴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수평프레임(52)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인출프레임(46)과 상기 수평프레임(52)에는 로프(60)가 통과하기 위한 고리부(56, 58)가 각각 더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로프(60)는 공(70)을 수평프레임(52) 아래에 매달아 놓는 수단으로서, 일단은 전술한 수직프레임(42)에 장착되어 있는 로프 스토퍼 수단(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인출프레임(46) 및 상기 수평프레임(52)의 고리부(56, 58)를 통과한 후, 상기 공(70)에 연결 구성되어 진다.
상기 로프(60)와 공(70)의 연결은 상기 공(70)에 고리부(72)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부(72)에는 연결로프(74)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로프(74)의 타단은 상기 로프(60)에 체결부재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구성토록 한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42)에는 로프 스토퍼 수단(110)이 설치된다. 상기 로프 스토퍼 수단(110)은 상기 로프(60)에 매달려 있는 공(70)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상 띄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로프(6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공(70)을 선수들이 머리나 발로 타격하고 나면 상기 로프(60)를 고정시키고 있는 로프 스토퍼 수단(110)의 잠금이 해지되어 로프(60)와 함께 상기 로프(60)에 매달려 있는 공(70)이 뻗어나가도록 구성하여 선수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공(70)이 보내지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해가며 연습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5는 상기한 로프 스토퍼 수단(110)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로프 스토퍼 수단(110)은 상기 수직프레임(42)의 일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편(112)과, 상기 고정편(112)의 선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성형되며 중앙으로는 상기 로프(60)가 통과하기 위한 로프통과홈(116)이 형성된 걸림편(114)과, 상기 로프(60)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120)로 가압 고정되며 상기 로프(60)가 상기 걸림편(114)의 로프통과홈(116)을 통과하고 나면 상기 걸림편(114)에 걸려지며 로프(6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볼(118) 및 상기 수직프레임(42)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로프(60)의 인출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로프(60)가 수직프레임(42)에서 멀어져 상기 볼(118)이 상기 걸림편(114)에서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로프(60)를 상기 수직프레임(42) 상에 항시 근접되게 위치시키는 로프가이드(1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로프(60)의 일단은 매듭부(60a)를 형성하여 상기 로프(60)가 일정 길이 이상 뻗어나가고 나면 상기 매듭부(60a)가 상기 로프가이드(122)에 걸려지도록 하여 로프(60)의 이탈을 방지토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로프 스토퍼 수단(110)은 평상시에는 로프(60)에 결합되어 있는 볼(118)이 걸림편에 걸려진 상태임에 따라 로프(60)는 풀려지지 않고 공(70)을 지면에서 일정높이 띄운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선수들이 헤딩이나 슈팅 등을 연습하기 위해 공(70)을 머리나 발로 타격하게 되면 공(70)은 한 방향으로 뻗어가게 되는 데, 이때 공(70)의 움직임에 의해 로프 스토퍼 수단(110)인 볼(118)은 걸림편(114)에서 이탈하며 로프(60)의 고정을 해지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로프(60)는 공(70)이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함께 뻗어가게 됨으로서 선수들은 머리나 발을 이용하여 공(70)을 타격하고 난 뒤, 선수가 원하는 방향으로 공(70)이 보내지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해가며 연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7은 구기 연습기구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웨이트수단의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와 같이, 구기 연습기구를 지면에 고정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스트(10)의 하단에 브라켓(12)을 끼워넣고, 상기 브라켓(12)의 체결구멍(14)에 고정핀(16)을 끼워 고정할 수 있으나, 상기 고정핀(16)을 지면에 밖을 수 없는 곳에서는 상기 고정핀(16) 대신 언급한 웨이트수단(130)으로 구기 연습기구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웨스트 수단(130)은 동일한 구조로 하여 4개를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포스트(10) 사이 사이에 설치된 연결프레임(20)의 외면에 각각 설치되도록 한다.
하나의 웨이트 수단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상기 웨이트수단(130)은 내부에 수용공간(134)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포스트(10)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포스트(10)를 지지하는 수단인 연결프레임(20)에 걸려지는 브라켓(136)이 일체 구비된 웨이트프레임(132)과, 상기 웨이트프레임(132)의 수용공간(134)에 수용되며 자체 무게를 이용하여 지면에 세워져 있는 구기 연습기구(100)를 흔들림 없이 고정시키는 웨이트(13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의 작용을 첨부된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기 연습기구(100)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도 8a에서와 같이 연결프레임(20)의 접힘 동작에 따라 서로 모여져 있는 4개의 포스트(10)를 벌려주도록 한다.
다음, 도 8b에서와 같이 외측으로 벌려져 있는 4개의 포스트(10)의 중앙과 상면에 간격유지프레임(30)을 조립하여 포스트(10)들의 사이 간격이 외부 충격에 의해 틀어져 구기 연습기구(100)가 지면에서 넘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이어서, 도 8c에서와 같이 포스트(10)의 상면에 수직프레임(42)을 끼워넣은 다음, 상기 수직프레임(42)의 내면에 인출프레임(46)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42)의 체결구멍(44)과, 상기 체결구멍(44)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인출프레임(46)의 체결구멍(48)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멍(48)으로 스토퍼핀(50)을 끼워넣어 수직프레임(42)의 내면에 끼워져 있는 인출프레임(46)을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 도 8d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42)의 로프 스토퍼 수단(110)에 로프(60)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로프(60)의 타단은 상기 인출프레임(46) 및 수평프레임(52)의 고리부(56, 58)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축구공(70)의 고리부(72)에 걸려져 있는 연결로프(74)에 체결되어 축구공(70)을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상 띄운 상태로 매달아놓게 된다.
상기한 구기 연습기구(100)는 골대 등이 설치된 특정한 장소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국한되지 않고 언제 어느곳 에서든 장소에 제한 없이 각 구성품을 조립시켜 헤딩슛을 연습할 수 있다.
또한 공(70)의 높이를 선수의 체형에 맞춰 조절할 때에는 수직프레임(42)에 끼워져 있는 인출프레임(46)을 상기 수직프레임(42) 상에서 인출시키거나 반대로 인입시킨 후, 다시 스토퍼핀(50)으로 고정시켜 가며 공(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 완료된 구기 연습기구(100)를 이용하여 선수들이 헤딩이나 슈팅 등을 연습을 행하고자 할 때에는 도 9에서와 같이 공(70)을 머리나 발로 타격하게 되면 공(70)은 한 방향으로 뻗어가게 되는 데, 이때 공(70)의 움직임에 의해 로프 스토퍼 수단(110)인 볼(118)은 걸림편(114)에서 이탈하며 로프(60)의 고정을 해지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로프(60)는 공(70)이 뻗어나가는 방향으로 함께 뻗어가게 됨으로서 선수들은 머리나 발을 이용하여 공(70)을 타격하고 난 뒤, 선수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공(70)이 보내지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해가며 연습할 수 있게 된다.
10: 포스트 12: 브라켓
16: 고정핀 20: 연결프레임
30: 간격유지프레임 40: 수직프레임
42: 수직프레임 46: 인출프레임
50: 스토퍼핀
56, 58: 고리부 60: 로프
70: 축구공 100: 헤딩 연습기구
110: 로프 스토퍼 수단 112: 고정편
114: 걸림편 116: 로프통과공
118: 볼 122: 로프가이드
130: 웨이트수단 132: 웨이트프레임
138: 웨이트

Claims (10)

  1. 로프에 매달려 있는 공을 머리나 발로 타격하며 연습하도록 구성한 구기 연습기구에 있어서,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로프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로프에 매달려 있는 공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 띄워질 수 있도록 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선단에 수평으로 연결 설치되는 수평프레임 및 ;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로프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공을 선수들이 머리나 발로 타격하는 과정에서 상기 로프를 고정을 해지시켜 상기 공과 로프가 함께 타격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하는 로프 스토퍼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스토퍼 수단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면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선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 성형되며 중앙으로는 상기 로프가 통과하기 위한 로프통과홈이 형성된 걸림편 및 ;
    상기 로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편에 걸려지며 상기 로프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로프를 가이드하는 로프가이드가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는 상기 포스트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프레임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프레임은;
    두 개의 간격유지프레임을 한 쌍으로 하여 "X" 형태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그 교차점에 힌지핀을 결합하여,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접혀지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간격유지프레임의 양단에는 상기 포스트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 체결되는 결합구가 구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 연습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면에는 인출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인출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수평프레임이 절곡 구성되며, 상기 인출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로프가 통과하기 위한 고리부가 각각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하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프레임에는 수직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 및 인출프레임의 체결구멍으로는 스토퍼핀을 끼워 상기 인출프레임을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 연습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하단에는 중앙으로 체결구멍이 형성된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의 체결구멍으로는 상기 포스트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이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 연습기구.
  9. 제 1항 내지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사이 사이에는;
    상기 포스트가 서로 모여지거나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를 유동있게 지지하는 연결프레임이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 외면에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포스트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포스트를 지지하는 수단인 연결프레임에 걸려지는 브라켓이 일체 구비된 웨이트프레임과;
    상기 웨이트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자체 무게를 이용하여 지면에 세워져 있는 구기 연습기구를 흔들림 없이 고정시키는 웨이트로 구성한 웨이트수단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기구.

KR1020130160909A 2013-12-23 2013-12-23 구기 연습기구 KR20150073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909A KR20150073333A (ko) 2013-12-23 2013-12-23 구기 연습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909A KR20150073333A (ko) 2013-12-23 2013-12-23 구기 연습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333A true KR20150073333A (ko) 2015-07-01

Family

ID=5378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909A KR20150073333A (ko) 2013-12-23 2013-12-23 구기 연습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333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937A (ko) 2015-10-06 2017-04-14 최유진 헤딩연습기
KR101932902B1 (ko) * 2017-10-17 2019-04-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골반 교정 운동 기구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22039443A1 (ko) * 2020-08-19 2022-02-24 강일석 테니스 연습대의 구조
KR20220000483U (ko) * 2020-08-19 2022-02-28 강찬 고수부지용 테니스 연습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937A (ko) 2015-10-06 2017-04-14 최유진 헤딩연습기
KR101932902B1 (ko) * 2017-10-17 2019-04-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골반 교정 운동 기구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22039443A1 (ko) * 2020-08-19 2022-02-24 강일석 테니스 연습대의 구조
KR20220000483U (ko) * 2020-08-19 2022-02-28 강찬 고수부지용 테니스 연습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2557B1 (en) Soccer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70340939A1 (en) Suspended target trampoline game
US7775913B2 (en) Athletic training device
US76910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nnis training
US3997158A (en) Strike-zone target
US20090181810A1 (en) Soccer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8602919B2 (en) Pitching cage
US9089755B2 (en) Golf practice mat
KR20150073333A (ko) 구기 연습기구
US20130116068A1 (en) Baseball swing line trainer
US9623308B2 (en) Hitting training device
US9889360B1 (en) Baseball swing training apparatus
US20170056743A1 (en) Ball training equipment comprising flexible string
CN111093780A (zh) 高尔夫练习用网
JPH04295378A (ja) 野球バッティング練習用装置
US8979091B2 (en) Tethered ball game
KR200457242Y1 (ko) 이동타격연습기
CN210302300U (zh) 一种用于篮球训练的击地传球准确度训练设备
US7134975B1 (en) Ball game apparatus
AU2011331897B2 (en) Sports training device
KR20120136122A (ko) 골프연습장치
KR101018087B1 (ko) 퍼팅 연습 기구
US20130102421A1 (en) Reconfigurable Sports Training Pad System
EA003178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рабатывания ударов по мячу
JP5740579B2 (ja) ゴルフ練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