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0937A - 헤딩연습기 - Google Patents

헤딩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0937A
KR20170040937A KR1020150140216A KR20150140216A KR20170040937A KR 20170040937 A KR20170040937 A KR 20170040937A KR 1020150140216 A KR1020150140216 A KR 1020150140216A KR 20150140216 A KR20150140216 A KR 20150140216A KR 20170040937 A KR20170040937 A KR 20170040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ball
hole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9083B1 (ko
Inventor
최유진
최유식
Original Assignee
최유진
최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진, 최유식 filed Critical 최유진
Priority to KR102015014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0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0Games with thread-suspended or swingably-mounted bodies, e.g. balls, pointed bodies shaped as birds, animals, or the like, for aiming at and hitting targets ; Games using tethered bodies, e.g. bal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4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movabl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5Foot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헤딩연습기는, 수직으로 세운 긴 파이프로 형성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대를 구비하는 수평회전부; 및 일단이 상기 수평대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공이 매달리도록 구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정 높이 띄운 상태로 공을 매달아 놓은 수평대를 회전시켜서 공이 이동하는 상황을 만들 수 있으므로, 선수들이 혼자서도 이동하는 공을 대상으로 헤딩 연습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딩연습기 {HEADING PRACTICE DEVICE}
본 발명은 매달린 공을 이용하여 헤딩 연습을 할 수 있는 헤딩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헤딩연습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동하는 공에 대한 헤딩연습을 혼자서도 할 수 있는 헤딩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축구경기에서는 공을 머리로 컨트롤하는 것이 용인되고, 경기 중에는 공을 머리로 받는 즉 헤딩에 의한 슛이 빈번히 시도되므로, 축구선수들은 헤딩 연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헤딩연습 방법은 다른 사람이 손으로 던져주거나 발로 차주는 공을 머리로 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혼자서는 연습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3333호 (명칭: 구기 연습기구, 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포스트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로프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로프에 매달려 있는 공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 띄워질 수 있도록 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서 꺾여있는 수평프레임, 그리고 상기 로프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수들이 공을 머리나 발로 타격하는 과정에서 상기 로프를 고정을 해지시켜 상기 공과 로프가 함께 타격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하는 로프 스토퍼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은 일정 높이로 공을 매달아 놓은 상태에서 선수가 상기 공을 머리나 발로 타격하였을 때, 공이 로프에 매달린 상태에서 로프와 함께 뻗어나가도록 구성하여 선수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공이 보내지는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해가며 연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발명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은 수직프레임이 포스트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므로, 수직프레임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어렵다. 또 수직프레임의 상부에서 꺾여 있는 수평프레임도 수직프레임에 일체로 고정되어 움직일 수 없는 구조이므로 여기에 장착되어 있는 공도 소정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선수는 항상 정지 상태의 공만을 대상으로 헤딩 또는 킥 연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5-007333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 높이 띄운 상태로 공을 매달아 놓은 수평대를 회전시켜서 공이 이동하는 상황을 만들 수 있는 기술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할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세우는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 구성과 정해진 지지대 높이로 간편하게 조절하거나 선수의 점프력 향상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할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과 충돌하는 신체 부위가 받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할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헤딩연습기는, 수직으로 세운 긴 파이프로 형성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대를 구비하는 수평회전부; 및 일단이 상기 수평대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공이 매달리도록 구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부는, 상기 지지대를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내부로 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지지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여기에 상기 하부지지대로부터 인출된 상기 상부지지대를 고정하는 지지대 고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회전부는, 상기 수평대를 관통시켜 설치하는 수평대 관통공과 상기 지지대의 최상단이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공을 구비한 수평회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 결합공에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상부 내측 중공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결합공 내에 고정 결합되며, 외면에는 베어링이 결합되어 있는 코어가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평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대에 결합되는 수직회전링;과 유연성을 가진 기다란 로드 형태로 구성되되, 일단은 상기 수직회전링과 연결되고, 타단은 공을 장착할 수 있는 공 결합구가 결합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직회전링과 상기 연결대 사이에는 서로를 연결해주는 연결대 결합구가 설치되되, 상기 연결대 결합구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단에 상기 수직회전링과 결합되는 결합구를 구비하고, 개방된 하단으로는 연결대가 삽입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딩 연습기는 일정 높이 띄운 상태로 공을 매달아 놓은 수평대를 회전시켜서 공이 이동하는 상황을 만들 수 있으므로, 선수들이 혼자서도 이동하는 공을 대상으로 헤딩 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세우지는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공의 높이를 선수의 키에 맞춰 효율적인 훈련을 할 수 있게 하며, 지지대에 표시된 수치표시 수단을 통해, 지지대 높이 설정의 간소화하고 선수의 점프력 향상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머리나 손 등의 신체 부위로 공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선수의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지지부의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평회전부의 핵심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착부의 전체적인 구성의 사시도 및 그 핵심구성의 확대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헤딩연습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은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앞', '뒤', '좌, '우', '선단', '전방', '후단', '후방'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이 되었다고 기재한 경우는,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헤딩연습기는 수직지지부(20)과 수평회전부(20) 및 장착부(40)로 그 주요 구성을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받침대(10)의 구성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수직지지부(20)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대를 핵심구성으로 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타의 다른 주요구성들이 이 지지대를 기준으로 부가 설치되어 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례에서는 수직지지부(20)의 지지대는 수직으로 세워진 긴 파이프로 형성하며, 하부지지대(21)과 상부지지대(22)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지지대(21)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로 형성하고, 상부지지대(22)는 그 외경이 상기 하부지지대의 중공 직경보다 작은 파이프로 형성함으로써, 상부지지대(22)가 하부지지대(21)의 상부로부터 상기 중공 속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부지지대(21)에 삽입된 상부지지대(22)를 하부지지대(21) 상부로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해내어 지지대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지지대(21)의 하단에는 받침대 결합구(25)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받침대 결합구(25)는 하부지지대(21)의 내측 중공부로 끼워 결합되는 원통형 몸체와 이 몸체의 하부로 돌출된 볼트자루 형태의 나사결합부(26)를 갖는다. 상기 나사결합부(26)를 도 1에 도시된 받침부(10)에 체결하면 하부지지대(21)를 수직으로 세울 수 있다.
상부지지대(22)의 외면에는 바닥이 막혀있는 홈(23)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홈(24)은 추후 설명하는 지지대 고정구(28)의 말단이 삽입되는 자리 역할을 하며, 상부지지대(22)의 상하 이동시 직진성을 확보하는 가이드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부지지대(22)는 표면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치수를 나타내는 눈금(도면부호 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수들은 자신의 키에 맞는 공의 높이를 정확히 세팅할 수 있으며, 또한 선수의 점프력 상승 정도를 계측하는 일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지지대 고정장치(23)는 상기 인출된 상부지지대(22)를 하부지지대(21) 상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지지대 고정장치(23)를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체의 형태로 형성하였다. 상기 원통체 중공의 하부로는 상기 하부지지대(21)가 끼워지고 상부로는 상부지지대(22)가 끼워진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대 고정장치(23)의 중공 내에서 상기 상부지지대(22)가 하부지지대(21)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지지대 고정장치(23)를 이루는 원통체의 중공부는, 하부지지대(21)가 삽입되는 하부의 내경이 상부지지대(22)가 삽입되는 상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지지대 고정장치(23)와 삽입된 하부지지대(21) 사이의 결합 고정은 체결구(29)로 이루어진다. 체결구(29)는 볼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대 고정장치(23)를 이루는 원통체를 외부로부터 관통하여 하부지지대의 외면을 조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지지대 고정장치(23)와 삽입된 상부지지대(22) 사이의 결합 고정은 지지대 고정구(28)로 이루어진다. 지지대 고정구(28)는 손잡이에 달린 자루부에 나사를 형성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시 일반적인 볼트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 고정구(28)도 상기 자루부의 말단이 지지대 고정장치(23)를 이루는 원통체를 외부로부터 관통하여 상부지지대(22)의 외면을 조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는 상부지지대(22)가 상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온다.
이때 지지대 고정구(28)의 자루부 말단이 홈(24)에 삽입되도록 한 후, 홈의 바닥에 밀착하도록 조일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부지지대(22)가 상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부지지대(22)가 외력에 의해 지지대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말단을 홈(24)의 바닥에서 약간 이격시켜 놓으면, 상부지지대(22)의 상하이동 시 자루부 말단이 삽입된 홈(24)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 되므로, 상부지지대(22)의 상하이동은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수평회전부(30)는 수직지지부(20)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대(31)를 구비한다.
이 수평대(31)는 단순한 원형 또는 각형파이프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부지지대(22)와 동일한 구조의 파이프로 형성하는데,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32)과 치수를 나타내는 눈금(도면부호 없음)이 상부지지대에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회전부(30)는, 상부지지대(22)의 최상단이 결합되어 수평대(31)를 회전시키는 작용을 하는 수평회전장치(33)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례의 수평회전장치(33)는 대체로 원통형을 이루는 몸체를 가지며, 수평대(31)를 관통시켜 설치하는 구멍인 수평대 관통공(35)이 몸체 상부 쪽에 형성된다.
이때 수평대(31)가 받는 하중이 원통형을 이루는 몸체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경우에는, 수평대(31)와 상기 몸체와의 접촉 면적이 좁기 때문에 집중하중에 의한 수평대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수평대 관통공(35)에 소정 길이의 중공 파이프로 형성된 수평대 지지구(34)를 먼저 끼우고, 다시 수평대(31)를 상기 수평대 지지구(34)의 내부로 관통시켜 설치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 경우에는 수평대(31)와 수평대 지지구(34)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집중하중에 의한 수평대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대 관통공(35)에 끼워진 수평대 지지구(34)의 고정은 고정구(38)로 이루어진다. 고정구(38)는 손잡이에 달린 자루부에 나사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시 일반적인 볼트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구(38)는 수평회전장치(33)의 원통형 몸체 상면을 관통하여 수평대 지지구(34)의 외면을 조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보조 고정구(39)도 수평회전장치(33)의 원통형 몸체 상면을 관통하여 수평대 지지구(34)의 외면을 조일 수 있도록 설치되며, 통상의 볼트로 구성할 수 있다. 보조 고정구(39)는 상기 고정구(38)의 조임력이 부족할 때 이를 보충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불필요하면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고정구들(38, 39)은 수평대 지지구(34)가 좌우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본 실시례의 수평회전장치(33)에서 지지대 결합공(37)은 몸체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대(22)가 끼워져 결합된다.
도 3의 도시를 참조하면, 지지대 결합공(37)의 상부로는 지지대 결합공(37)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코어 삽입공(도면부호 없음)을 형성한다. 이 코어 삽입공은 후술하는 코어(50)의 상부가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그 내벽 면에는 고정구(53)과 보조 고정구(52)가 외부로부터 관통 설치되어 들어오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 결합공(37)의 내경은, 삽입되는 상부지지대(2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결합 후 지지대 결합공(37)의 내면과 상부지지대(22)의 외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틈새는 수평회전장치(33)가 회전 할 때 지지대 결합공(37)과 상부지지대(22)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지지대 결합공(37)의 중앙에 원통형의 코어(50)을 설치한다. 이때 코어의 상부는 상기 지지대 결합공(37)의 중앙 상부에 형성된 코어 삽입공에 삽입된다.
삽입되는 코어의 외면에는 고정구홈(54)과 보조 고정구홈(55)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홈(54)과 보조 고정구홈(55)의 형성 위치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고정구(53)과 보조 고정구(52)의 말단이 수평회전장치(33)의 몸체를 관통하는 위치와 대응하는 곳이다.
고정구(53)는 손잡이에 달린 자루부에 나사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53)를 조이면 자루부의 말단이 코어(50)의 외면에 강하게 밀착되므로 수평회전장치(33)의 몸체와 삽입된 코어(50)가 서로 결합되어 진다. 만일 코어(50) 외면에 고정구홈(54)을 형성한 경우라면 자루부의 말단은 의 고정구홈(54) 바닥에 강하게 밀착될 것이다. 상기 고정구(53)은 필요시 일반적인 볼트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보조 고정구(52)는 코어(50)를 상기 몸체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추가로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고정구와 유사하게 작용한다. 보조 고정구(52)는 일반적인 볼트로 구성할 수 있으며, 불필요하면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고정구(53)과 보조 고정구(52)가 풀려서 코어 외면 또는 홈(54, 55) 바닥에 밀착되어 있던 말단이 어느 정도 이격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코어(50) 외면에 홈(54, 55)이 없다면 수평회전장치(33)에 삽입된 코어(50)가 쉽게 빠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기 고정구홈(54)과 보조 고정구홈(55)가 있는 경우에는 고정구(53)과 보조 고정구(52)의 말단이 이 홈들(54, 55)의 벽면에 여전히 걸리게 되므로 수평회전장치(33)의 몸체에 삽입된 코어(50)가 쉽게 분리되지는 않는다.
지지대 결합공(37)에 위치하는 코어(50) 하부의 직경은 상부지지대(22)의 내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지지대 결합공(37)의 중앙에 원통형의 코어(50)을 설치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지지대(22)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공간에는 코어(50)의 외면을 감싸는 베어링(51)이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례의 베어링(51)은 스러스트베어링이다. 상부지지대(22)가 지지대 결합공(37)에 끼워질 때, 상기 베어링을 상부지지대(22)의 상면과 지지대 결합공(37)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수평회전장치(33)의 몸체는 상부지지대(22)의 상면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장착부(40)는 상기 수평대(31)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며 하방으로 늘어뜨린 단부에 공(70)이 매달리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부(40)는 수평대(31)에 결합되는 수직회전링(43)과 일단은 상기 수직회전링(43)과 연결되고, 타단에는 공(70)이 장착되는 연결대(41)를 구비한다.
본 실시례의 수직회전링(43)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의 구멍에 수평대(31)를 끼워 설치하는데, 수직회전링(43)의 내경은 수평대(31)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직회전링(43)은 수평대(31)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수직회전링(43)에는 링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두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하나의 관통공에는 고정구(48)이 체결되고, 다른 하나에는 후술할 연결대 결합구(60)의 나사결합부(64)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구(48)는 수직회전링(43)이 수평대(21) 상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이를 위하여 고정구(48)는 수직회전링(43)을 관통하여 수평대(21)의 외면에 형성된 홈(32)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구(48)는 손잡이에 달린 자루부에 나사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시 일반적인 볼트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회전링(43)의 옆에는 스토퍼(44)를 하나 또는 좌우 한 쌍으로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스토퍼(44)가 설치되면 수직회전링(43)은 스토퍼(44)에 걸려 수평대(31) 상에서 이동이 방지된다.
본 실시례의 스토퍼(44)는 얇은 링 형상으로 구성하며, 이 링을 관통하여 수평대(31) 외면이나 홈(32) 바닥면을 조임으로써 스토퍼를 고정시키는 체결구(49)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구(49)는 통상의 볼트로 구성할 수 있으며, 체결구(49)를 풀면 스토퍼(44)의 위치를 수평대(31)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회전링(43)에는 연결대(41)가 연결된다. 연결대(41)는 우레탄수지 등의 유연성 있는 합성수지를 기다란 로드 형태로 성형하여 사용하거나, 로프나 가죽 끈 등의 유연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연결대(21)의 상단에는 수직회전링(43)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 결합구(60)가 설치된다.
본 실시례의 연결대 결합구(60)은 내부가 중공부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상면에는 결합구(64)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수직회전링(43)의 관통공과 나사 결합시킨다. 하면은 연결대(21)가 중공부로 삽입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또한 연결대(21)의 측면에는 소정 길이로 장공(62)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62)에는 결합구(61)가 끼워져 있으며, 이 결합구(61)의 일단은 연결대 결합구(60)의 내부로 삽입된 연결대(21)에 박혀 체결된다. 이 결과 연결대(21)는 연결대 결합구(60)에 결합하게 된다. 결합구(61)은 통상의 볼트나 나사를 이용할 수 있다.
연결대 결합구(60)의 내부 중공부의 상면과 삽입된 연결대(21)의 상면 사이에는 스프링(63)이 설치된다. 이때 스프링(63)은 그 압축력을 조절하여, 적절한 힘으로 연결대(21)를 외부로 밀고 있는 상태가 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결합구(61)는 장공(62)의 하단부에 걸려있는 상태가 된다(도 4 참조).
연결대(41)의 하단 쪽으로는 공이 매달리는데, 이를 위하여 연결대의 하단에는 공(70)을 장착할 수 있는 공 결합구(65)가 결합된다.
공 결합구(65)의 상부에는 연결대(41)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연결대(41)가 이 구멍으로 삽입되면 결합구(67)를 공 결합구(65) 측면을 관통하여 연결대(21)에 박히도록 체결한다. 이 결과 연결대(61)는 공 결합구(65)와 결합된다.
공 결합구(65)의 하단으로는 공(70)이 장착된다, 공(70)을 공 결합구(65)에 장착하는 방식은 접착 등의 공지 기술을 이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미설명 부호 80은 마개로서, 미관을 위해 수평대(31) 양단을 막는 역할을 하며, 미설명 부호 66은 덮개로서, 공(70)과 공 결합구(65)의 결합부위를 덮어 미관을 좋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에 실시례에 따른 헤딩연습기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헤딩연습기를 사용하려는 선수는 도 2에 도시된 지지대 고정장치(23)의 고정구(28)을 풀어 상부지지대(22)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부지지대(22)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대(31)의 좌우측 양단에 매달린 공(70)도 상하로 이동된다. 공이 적당한 높이에 도달하면 지지대 고정장치(23)의 고정구(28)를 조여 상부지지대(22)를 고정한다.
이때 상부지지대(22)의 표면에 표시된 눈금을 확인해 도면, 다음 연습 시에는 표시된 눈금만 맞추어 상부지지대(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만일 선수가 헤딩을 위한 점프력의 향상 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면, 소정 기간별로 자신이 연습하는 헤딩 높이를 상부지지대의 표면에 표시된 눈금으로 확인하여 기록해 둘 수 있다.
또한 수평대(31)를 수평회전장치(33)를 중심으로 어느 한 쪽이 더 길게 뽑혀 나오도록 수평대(31)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이에 따라 공의 수평 위치도 조절할 수도 있다.
상부지지대의 높이 조절과 수평대의 길이조절이 완료되면, 선수는 수평대(31)을 밀어 회전시킨다. 즉 수평대(31)를 밀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수평회전장치(33)의 베어링(51)에 의해 상부지지대(22) 위에서 수평회전장치(33)의 몸체가 쉽게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대(31) 양단에 매달린 공(70)도 회전하게 되므로, 선수는 회전 이동하는 공(70)에 타이밍을 맞추어 헤딩하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평대(31)를 미는 힘의 강약을 조절하면 매달린 공(70)의 회전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공 속도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헤딩연습이 가능해 진다.
한편 공(70)이 수평대(31)에 견고하게 고정된 형태로 매달려 있다면, 공(70)을 헤딩을 하는 선수의 머리는 큰 충격하중을 받을 수 있어 부상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공기 매달려 있는 연결대(41)를 유연성 있는 재질로 형성한다.
이에 더하여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장공(62)과 스프링(63)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헤딩 시 연결대(41)에 전달된 충격력을 스프링(63)이 압축되며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고정구(48)을 풀면, 도 1에 표시된 수평대(31) 양단의 화살표와 같이, 수직회전링(43)이 수평대(3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직회전링(43)에 연결대(41)로 연결된 공(70)도 수평대를 중심으로 수직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에 헤딩할 때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는 공(70)이 수평대(3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운동에너지로 분산되어 진다.
한편 본 발명은 배구의 스파이크나 태권도의 발차기 등의 연습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손이나 발로 공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는 헤딩에 의한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이 크므로, 공(70)을 수평대(31)를 중심으로 수직 회전시켜 운동에너지로 분산시키는 작용이 대단히 중요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공에 의해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선수 부상방지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파악되어야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받침부
20 : 수직지지부
21 : 하부지지대 22 : 상부지지대
23 : 지지대 고정장치 24, 32 : 홈
25 : 받침대 결합구 26, 64 : 나사결합부
28, 38, 48, 53 : 고정구 29, 49 : 체결구
30 : 수평회전부
31 : 수평대 33 : 수평회전장치
34 : 수평대 지지구 35 : 수평대 관통공
36 : 지지대 결합부 37 : 지지대 결합공
39, 52 : 보조 고정구
40 : 장착부
41 : 연결대 43 : 수직회전링
44 : 스토퍼
50 : 코어 51 : 베어링
60 : 연결대 결합구 61, 67 : 결합구
62 : 장공 63 : 스프링
64 : 나사결합부 65 : 공 결합구
66 : 덮개
70 : 공 80 : 마개

Claims (6)

  1. 수직으로 세운 긴 파이프로 형성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대와 일단이 상기 수평대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공이 매달리도록 구성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헤딩연습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대(31)를 상기 지지대를 중심으로 수평회전시키는 수평회전장치(33)를 구비하는 수평회전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연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20)는,
    상기 지지대를 하부지지대(21)과 상기 하부지지대(21)의 내부로 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지지대(22)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하부지지대(21)로부터 인출된 상기 상부지지대(22)를 고정하는 지지대 고정장치(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연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부(30)에 구비되는 수평회전장치(33)는,
    상기 수평대(31)를 관통시켜 설치하는 수평대 관통공(35);과
    상기 지지대의 최상단이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공(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연습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결합공(37)에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상부 내측 중공부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결합공(37) 내에 고정 결합되며, 외면에는 베어링(51)이 결합되어 있는 코어(5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연습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40)는,
    상기 수평대(3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수평대(31)에 결합되는 수직회전링(43);과
    유연성을 가진 기다란 로드 형태로 구성되되, 일단은 상기 수직회전링(43)과 연결되고, 타단은 공(70)을 장착할 수 있는 공 결합구(65)가 결합되는 연결대(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연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회전링(43)과 상기 연결대(41) 사이에는 서로를 연결해주는 연결대 결합구(60)가 설치되되, 상기 연결대 결합구(60)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단에 상기 수직회전링(43)과 결합되는 결합구(64)를 구비하고, 개방된 하단으로는 연결대(2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딩연습기.
KR1020150140216A 2015-10-06 2015-10-06 헤딩연습기 KR101809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216A KR101809083B1 (ko) 2015-10-06 2015-10-06 헤딩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216A KR101809083B1 (ko) 2015-10-06 2015-10-06 헤딩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937A true KR20170040937A (ko) 2017-04-14
KR101809083B1 KR101809083B1 (ko) 2017-12-14

Family

ID=5857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216A KR101809083B1 (ko) 2015-10-06 2015-10-06 헤딩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9576A (zh) * 2018-12-10 2019-04-09 沈阳体育学院 一种足球训练设备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333A (ko) 2013-12-23 2015-07-01 서정규 구기 연습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2516B2 (en) 2008-11-21 2012-09-11 Jose Fuentes Sport training apparatus
KR200451111Y1 (ko) * 2010-02-17 2010-11-25 임동규 회전형 타격 연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333A (ko) 2013-12-23 2015-07-01 서정규 구기 연습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9576A (zh) * 2018-12-10 2019-04-09 沈阳体育学院 一种足球训练设备及其使用方法
CN109589576B (zh) * 2018-12-10 2021-04-09 沈阳体育学院 一种足球训练设备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083B1 (ko)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111Y1 (ko) 회전형 타격 연습기
US6343998B1 (en) Golf swing practice apparatus
US20140315662A1 (en) Ball Hitting Practice Device and Ball
US7223186B2 (en) Apparatus, assemblies and methods for training athletes
US8585516B1 (en) Ball hitting practice device and ball
US8821323B2 (en) Swing trainer for exercise
US20170056743A1 (en) Ball training equipment comprising flexible string
US20110136089A1 (en) Multiple targets, physical ability enhancer apparatus
US20110319200A1 (en) Sports device for practicing hitting and fielding a ball/ball-like object
US201903813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olleyball scorekeeping
US5989137A (en) Ball mounted training device
US10792550B2 (en) Practice device
KR101809083B1 (ko) 헤딩연습기
US8083618B2 (en) Football kicking apparatus
US7041016B1 (en) Volleyball spiking training system
US7901295B1 (en) Rail—golf swing guide
US5470055A (en) Baseball and golf hitter's training device
AU743605B2 (en) Golf practice and exercise device
US20130237347A1 (en) Sports Training Apparatus
US9205317B2 (en) Training device to aid improving proper form and measuring directional accuracy when kicking a football or soccer ball
EP1444020B1 (en) Tetherball-type game apparatus
KR200457242Y1 (ko) 이동타격연습기
JP5150961B2 (ja) トレーニング用器具
JP5034102B2 (ja) トレーニング用器具
KR20130119719A (ko)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