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719A -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719A
KR20130119719A KR1020120042740A KR20120042740A KR20130119719A KR 20130119719 A KR20130119719 A KR 20130119719A KR 1020120042740 A KR1020120042740 A KR 1020120042740A KR 20120042740 A KR20120042740 A KR 20120042740A KR 20130119719 A KR20130119719 A KR 20130119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vertical bar
badminton
st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년
Original Assignee
이강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년 filed Critical 이강년
Priority to KR102012004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719A/ko
Publication of KR2013011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결합 핀으로 셔틀콕을 결합하여 유연한 회전력이 확보되면서 셔틀콕의 타격 후 탄성력을 갖는 기둥의 빠른 리턴 속도에서도 셔틀콕이 라켓에 타구되게 정면을 향하도록 유지시키며, 설치 및 분리가 보다 간편하여 교체도 용이하고, 또한 최소 무게와 부피의 셔틀콕 홀더를 구현하여 실전에서의 셔틀콕에 근접시켜 혼자서도 훈련 효과를 최대로 얻을 수 있게 하며, 타구 시 라켓으로 셔틀콕을 칠 때 발생하는 타격음 이외의 소음을 최소로 하여 집중력을 높이는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발명은, 상기 셔틀콕의 헤드와 깃대 연결 보강부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하지 못하게 형성되는 상단 머리부와, 상기 상단 머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를 통과하게 형성되는 수직 바로 구성되는 결합 핀과, 일단이 상기 기둥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공간부를 통과하지 못하게 형성되는 타단에서 상기 결합 핀의 수직 바를 체결 또는 체결된 상태에서 분리되게 하는 체결 분리부로 이루어지는 셔틀콕 홀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Badminton training apparatus}
이 발명은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과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혼자서 자유롭게 셔틀콕을 배드민턴 라켓에 잘 맞추는 연습을 할 수 있게 하여 배드민턴의 특성상 넓은 장소와 상대방이 있어야 게임 또는 연습이 되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타구 연습을 통한 배드민턴 실력 향상, 그리고 건강과 생활의 즐거움도 함께 얻을 수 있는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은 네트를 중심으로 양쪽에 사람이 마주선 상태에서 라켓을 이용하여 셔틀콕을 서로 상대방에게 넘기는 동작을 반복하는 경기로, 공원이나 야외에서 남녀노소 누구나가 손쉽게 즐겨하는 유산소 운동의 하나이다.
하지만 바쁜 현대 사회의 일상 속에서 서로 여가 시간을 맞추는 일도 쉽지 않지만, 배드민턴을 치는 실력 차이로 인하여 서로에게 만족할 만한 운동 효과를 기대 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배드민턴과 같은 구기 종목은 날아오는 셔틀콕을 정확한 지점에서 타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셔틀콕의 타점을 정확히 맞추는 연습을 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로부터 종래의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중에는, 셔틀콕에 고물줄 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셔틀콕이 고무줄에 매어져 있어 치기 전에 항상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한 가지 스윙 자세만 연습할 수 있으며, 또한 천정이나 높은 벽면에 부착하거나 높이를 높게 유지해야 하고 한번 부착하면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탠드에 탄성이 높고 가는 기둥을 세운 다음 그 끝에 셔틀콕을 설치하여 타구를 할 때마다 기둥의 탄성에 의해 셔틀콕이 앞뒤로 움직이면서 지속적으로 연습할 수 있게 하는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0-0004327호(고안의 명칭 : 배드민턴 타구 연습기)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셔틀콕을 탄소 섬유 또는 스프링 강철 재질의 기둥 끝에 설치하여 라켓으로 쳤을 때 탄성에 의하여 움직이는 셔틀콕을 배드민턴 라켓에 잘 맞추는 연습을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셔틀콕은, 셔틀콕 홀더 스프링(1)의 벌림 초크를 눌어 원을 크게 벌린 다음 셔틀콕의 콕 부분을 밀어 넣은 후 놓아주면 셔틀콕 홀더 스프링이 셔틀콕을 꽉 조여 기둥의 끝에 설치한다.
이러한 종래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는, 거실, 사무실, 체육관, 바람이 부는 야외, 옥상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나 가까이에서 연습을 할 수 있어 배드민턴 실력이 빠르게 향상되며, 특히 카본 및 FRP를 사용하여 탄력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 리듬에 맞춰 타구를 하면 운동량을 극대화할 수 있고 집중력도 향상된다.
또한 기둥의 끝에서 셔틀콕을 원터치로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빠른 시간에 간편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고, 훈련으로 셔틀콕이 부서지면 쉽게 교환할 수 있으며, 더하여 자유롭게 높이, 각도를 조절하여 성인부터 어린이까지 누구나 원하는 높이로 운동을 할 수 있고, 길이 조절로 스피드를 조절하면서 상, 중, 하 드라이브와 푸시 등의 기술 연습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에서는, 셔틀콕의 설치 및 분리가 보다 간편할 필요가 있었으며, 실전 감각을 유지하여 혼자서도 훈련하는 효과를 최대로 얻을 수 있게 최소 무게와 무피를 갖는 셔틀콕 홀더를 구현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라켓으로 셔틀콕을 칠 때 발생하는 타구음 이외의 소음이 나면서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경우도 생겨났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0-0004327호(고안의 명칭 : 배드민턴 타구 연습기)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 발명은, 결합 핀으로 셔틀콕을 결합하여 유연한 회전력이 확보되면서 셔틀콕의 타격 후 탄성력을 갖는 기둥의 빠른 리턴 속도에서도 셔틀콕이 라켓에 타구되게 정면을 향하도록 유지시키며, 설치 및 분리가 보다 간편하여 교체도 용이하고, 또한 최소 무게와 부피의 셔틀콕 홀더를 구현하여 실전에서의 셔틀콕에 근접시켜 혼자서도 훈련 효과를 최대로 얻을 수 있게 하며, 타구 시 라켓으로 셔틀콕을 칠 때 발생하는 타격음 이외의 소음을 최소로 하여 집중력을 높이는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이 발명은, 하부의 바닥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부의 타단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으로 진행하였다가 되돌아오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타단에 결합되어 셔틀콕을 결합 고정 또는 결합 고정된 상태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셔틀콕 홀더;를 포함하는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 홀더는, 상기 셔틀콕의 헤드와 깃대 연결 보강부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하지 못하게 형성되는 상단 머리부와, 상기 상단 머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를 통과하게 형성되는 수직 바로 구성되는 결합 핀과, 일단이 상기 기둥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공간부를 통과하지 못하게 형성되는 타단에서 상기 결합 핀의 수직 바를 체결 또는 체결된 상태에서 분리되게 하는 체결 분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 핀의 상단 머리부에 의해 들어가는 상기 셔틀콕의 일 측 공간부에서는 걸려 통과하지 못하면서 상기 수직 바에 의해 나오는 타 측 공간부는 통과하게 하고, 상기 체결 분리부의 타단에 의해 타 측 공간부에 걸린 상태에서 타 측 공간부를 통과한 상기 수직 바를 체결 또는 체결된 상태에서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핀은, 상기 수직 바의 하부 둘레에 걸림 홈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 분리부는, 타단에 상기 수직 바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바의 걸림 홈에 대응하는 상기 수용부의 지점에 걸림 턱이 설치되어, 상기 수직 바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면 상기 걸림 홈에 상기 걸림 턱이 걸리면서 체결되게 하는 한편,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턱을 상기 걸림 홈으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핀은, 상기 수직 바의 하부 둘레에 쿠션을 결합 고정시키는 쿠션 결합 고정 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 핀이 체결 분리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라켓으로 셔틀콕을 칠 때 발생하는 타구음 이외의 잡음을, 상기 쿠션 결합 고정 홈에 결합 고정시킨 쿠션에 의해 제거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에 의하면, 결합 핀으로 상기 셔틀콕의 헤드와 깃대 연결 보강부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하면서 결합되게 함으로써, 회전이 보다 유연하여 셔틀콕이 지속적으로 정확하게 되돌아오며, 특히 셔틀콕의 유연한 회전력과 어우러지면서 셔틀콕의 타격 후 카본 및 FRP를 사용하여 탄력성이 뛰어난 기둥의 빠른 리턴 속도 하에서 리듬에 맞춰 타구를 하면서 운동량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집중력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에 의하면, 결합 핀을 체결 분리부에 원터치로 결합 및 분리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부서진 셔틀콕을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에 의하면, 결합 및 분리에 결합 핀을 사용하여 최소 무게와 부피의 셔틀콕 홀더를 구현함으로써 실전에서의 셔틀콕 무게에 근접시켜 실전 감각을 유지하여 혼자서도 훈련 효과를 최대로 얻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에 의하면, 상기 쿠션 결합 고정 홈에 쿠션을 결합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결합 핀이 체결 분리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라켓으로 셔틀콕을 칠 때 발생하는 타구음 이외의 소음을 최소로 하여 집중력을 높이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배드민턴 타구 연습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배드민턴 타구 연습기에서 기둥에 셔틀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의 셔틀콕 홀더에 결합시키는 셔틀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의 셔틀콕 홀더를 셔틀콕에 결합시키기 전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의 셔틀콕 홀더가 셔틀콕에 결합된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셔틀콕 홀더에 결합된 셔틀콕이 자유자재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이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을 사용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의 셔틀콕 홀더에 결합시키는 셔틀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의 셔틀콕 홀더를 셔틀콕에 결합시키기 전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의 셔틀콕 홀더가 셔틀콕에 결합된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셔틀콕 홀더에 결합된 셔틀콕이 자유자재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는, 하부의 바닥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균형을 잡아주게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부의 타단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으로 진행하였다가 되돌아오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타단에 결합되어 셔틀콕을 견고하게 결합 고정 또는 결합 고정된 상태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셔틀콕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1.5~2m의 높이에서 움직이는 셔틀콕(30)을 라켓으로 타구할 때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아주도록 힘을 받쳐주는 무거운 철판과 그 밑에 거실이나 미끄러운 바닥에 부딪히거나 사람의 발등을 찧는 등의 안전사고와 흡착이 잘되어 미끄러지지 않으며 또한 바닥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쿠션 또는 고무판을 부착시킨 약간 무거운 메인스탠드(17)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스탠드(17)에는, 회전판(14)을 설치하고 각도를 원하는 만큼 조절하면서 강한 타구를 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안쪽에 추가로 각도 조절판(10)을 맞추어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스탠드(17)와 각도 조절판(10)이 직접 철판에 연결되도록 하면 기둥(5)으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진동을 철판이 흡수하면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둥(5)은, 1.5~2m의 높이에서 셔틀콕(30)이 움직이도록 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받침대의 각도 조절판(10) 상단에 길이조절 기둥(9)을 체결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만큼의 기둥(5)의 높이를 잡아 빼거나 밀어 넣어 길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기둥(5)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져 설치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키 높이를 맞추기 위해 다단으로 접을 수 있도록 다수개로 분할되어 다단 연결되는데, 예를 들어 60㎝ 정도의 기둥 3개를 낚싯대처럼 끼워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하는 경우 3번 기둥 끝에 설치된 고무재질의 길이 조절용 홀더를 누르면서 3번 기둥 안에서 2번 기둥을 원하는 길이만큼 꺼낸 후 누르던 홀더를 놓으면 홀더가 2번 기둥을 누르면서 붙잡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길이 조절을 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1번은 FRP 재질로 하여 강한 충격에도 부러지지 않고, 2번과 3번은 카본 소재의 재질로 탄력성이 우수하며 가벼워, 1, 2, 3번을 모두 펼쳤을 때 탄력이 골고루 전달되고, 접었을 때에는 길이와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 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높이만큼 길이가 조절되면 기둥 조임부(7)를 돌려 기둥이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셔틀콕 홀더는, 결합 핀(40)과 상기 결합 핀(40)을 체결 또는 체결된 상태에서 분리되게 하는 체결 분리부(50)로 이루진다.
여기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의 셔틀콕 홀더에 결합시키는 셔틀콕(30)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구형 코르크와 같은 탄성재로 된 헤드부(31)와, 새털이나 유연한 합성수지의 상부에 깃털(32)을 구비한 다수의 깃대(33)로 구성되며 상기 깃대(33)를 상기 헤드(31)의 상단에 꽂아 결합시킨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깃대(33)를 지지하는 깃대 연결 보강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날개부의 깃대(33)와 깃대 연결 보강부(34) 사이에는 상기 깃대(33) 수만큼의 가늘고 긴 공간부(35)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 핀(40)은, 상기 셔틀콕(30)의 헤드부(31)와 깃대 연결 보강부(34) 사이의 공간부(35)를 통과하지 못하게 상단 머리부(41)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 머리부(41)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35)를 통과하게 수직 바(4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셔틀콕(30)의 깃대 연결 보강부(34)가 다수인 경우도 있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공간부(35)는 상기 헤드부(31)와 인접한 깃대 연결 보강부를 의미한다.
상기 체결 분리부(50)는, 본체(51)의 일단이 상기 기둥(5)의 타단에 고정되며, 본체(51)의 타단에 상기 공간부(35)를 통과하지 못하게 상기 수직 바(42)를 수용하는 수용부(52)가 형성된다.
이로부터 상기 결합 핀(40)의 상단 머리부(41)에 의해 들어가는 상기 셔틀콕(30)의 일 측 공간부(35)에서는 걸려 통과하지 못하면서 상기 수직 바(42)에 의해 나오는 타 측 공간부(35)는 통과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분리부(50)의 타단에 의해 타 측 공간부(35)에 걸린 상태에서 타 측 공간부(35)를 통과한 상기 수직 바(42)가 상기 수용부(52)에 수용되면서 상기 셔틀콕(3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셔틀콕(30)은 결합 핀(40)에 의해 헤드부(31)와 인접하는 깃대(33)를 연결하는 깃대 연결 보강부(34) 사이의 공간부(35)를 통과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 핀(40)은, 상기 수직 바(42)의 하부 둘레에 상기 체결 분리부(50)와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 홈(4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분리부(50)는, 상기 수용부(52) 이외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 핀(4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걸림 홈(43)에 걸리면서 결합되는 걸림 턱(54)이 상기 수직 바(42)의 걸림 홈(43)에 대응하는 상기 수용부(52)의 지점에 설치된다.
상기 걸림 턱(54)은,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본체(51)에 설치되는 회전축 핀(53)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 핀(53)을 중심으로 일 측은 상부를 향해 구부러지게 형성되고 타 측은 상기 수용부(52)의 안쪽을 향해 구부러지면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이로부터 상기 걸림 턱(54)은, 상기 수직 바(42)가 상기 수용부(52)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 홈(43)에 상기 수용부(52)의 안쪽을 향해 구부러진 돌출부를 가지는 타 측이 걸리면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해 구부러지게 형성된 일 측을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눌려지면서 상기 회전축 핀(53)을 중심으로 타 측의 돌출부가 들려져 상기 걸림 홈(43)과의 체결을 해제시켜 상기 결합 핀(40)을 상기 체결 분리부(50)로부터 분리되게 작동한다.
또한 상기 결합 핀(40)에는, 상기 셔틀콕(30)을 끼운 결합 핀(40)을 상기 체결 분리부(50)에 결합한 상태에서 타구를 하면 라켓과 셔틀콕(30)이 부딪치는 경쾌한 타구음을 느끼도록, 상기 수직 바(42)의 하부 둘레에 걸림 홈(43)과는 별도로 쿠션(45)을 결합 고정시키는 쿠션 결합 고정 홈(44)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에서 셔틀콕을 체결 또는 체결된 상태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받침대로서의 메인스탠드(17)를 바닥 면에 안정적으로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각도 조절판(10) 위에 길이 조절 기둥(9)을 통해 연결되는 기둥(5)은 여러 단을 뽑아 약 1.5~2m 정도 길이를 갖추며, 이때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추어 단수를 조절하여 높낮이를 조절하고, 또한 운동의 속도를 감안하여 각도를 조절하여 개인의 신장과 훈련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배드민턴 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기둥(5)의 타단에 셔틀콕을 견고하게 결합 고정 또는 결합 고정된 상태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셔틀콕 홀더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셔틀콕 홀더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순서로 상기 셔틀콕(30)을 장착시킨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 셔틀콕(30)을 옆으로 눕혀 왼쪽에 헤드부(31)가 위치하게 하고, 상기 셔틀콕(30)의 헤드부(31)와 첫 번째 깃대 연결 보강부(34) 사이에 형성된 상측의 가늘고 긴 공간부(35)에 상기 결합 핀(40)을 삽입한다.
상측의 공간부(35)에 삽입되는 상기 결합 핀(40)의 수직 바(42)는, 마주하는 하측의 공간부(35)를 통과하여 하측의 상기 헤드부(31)와 깃대 연결 보강부(34) 사이에 위치한다.
이 때 상기 셔틀콕(30)의 헤드부(31)와 깃대 연결 보강부(34) 사이의 상측 공간부(35)를 통과하지 못하게 형성된 상단 머리부(41)에 의해 상측과 하측의 공간부(35)를 관통하는 상기 결합 핀(40)은 상기 수직 바(42)가 하측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 분리부(50)는, 본체(51)의 일단이 상기 기둥(5)의 타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본체(51)의 타단에 상기 공간부(35)를 통과하지 못하게 형성된 수용부(52)에는 하측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수직 바(42)가 삽입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 핀(40)은, 상기 수직 바(42)의 걸림 홈(43)이 상기 체결 분리부(50)의 상기 수직 바(42)의 걸림 홈(43)에 대응하는 상기 수용부(52)의 지점에 설치된 걸림 턱(54)의 타 측 돌출부에 걸리면서 전체적으로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셔틀콕(30)이 상기 수직 바(42)와만 결합되고, 또한 상기 수직 바(42)는 상기 셔틀콕(30)의 헤드부(31)와 인접하는 깃대 연결 보강부(34) 사이의 공간부(35)에 위치하면서 결합되므로 회전이 보다 유연하여 셔틀콕(30)이 지속적으로 정확하게 되돌아오게 된다.
특히 셔틀콕(30)의 유연한 회전력과 어우러지면서 셔틀콕의 타격 후 카본 및 FRP를 사용하여 탄력성이 뛰어난 기둥(5)의 빠른 리턴 속도 하에서 리듬에 맞춰 타구를 하면서 운동량 극대화와 집중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셔틀콕(30)의 무게가 4.5~5.5g의 경량으로 라켓에 맞는 타구의 느낌을 최대한 살려줄 수 있도록 상기 셔틀콕 홀더의 무게를 약 3~3.5g 으로 하면서 핀 형태의 결합에 의해 부피도 최소화하여 손목 및 팔에 전달되는 피로도를 최소화하면서 실전에서의 셔틀콕 무게에 근접시켜 실전 감각을 유지하여 혼자서도 훈련 효과를 최대로 얻을 수 있고, 부피 및 크기가 작지만 강력하게 붙잡아주는 힘으로 셔틀콕(30)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셔틀콕(30)을 끼운 결합 핀(40)을 상기 체결 분리부(50)에 결합한 상태에서 타구를 하면, 상기 수직 바(42)와 수용부(52) 사이에서 발생한 틈에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수직 바(42)의 하부 둘레에 걸림 홈(43)과는 별도로 쿠션 결합 고정 홈(44)에 쿠션(45)을 결합 고정시켜, 상기 쿠션 결합 고정 홈(44)에 결합 고정된 쿠션(45)이 상기 수용부(52) 측벽을 밀어주면서 상기 결합 핀(40)의 상태를 보다 안정되게 해줌으로써 상기 체결 분리부(50)와 결합된 상태에서 라켓으로 셔틀콕(30)을 칠 때 발생하는 타구음 이외의 잡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 바(42)의 걸림 홈(43)에 걸림 턱(54)의 타 측 돌출부가 걸리면서 전체적으로 결합 고정된 체결 상태에서, 상기 걸림 턱(54) 일 측을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상기 회전축 핀(53)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걸림 턱(54)의 타 측 돌출부가 들려 상기 수직 바(42)의 걸림 홈(43)으로부터 분리되고, 이 때 상기 결합 핀(40)을 상기 수용부(52) 밖으로 빼내면서 상기 셔틀콕(30)을 분리시킨다.
이로부터 상기 결합 핀(40)을 체결 분리부(50)에 원터치로 결합 및 분리하여 보다 간편하게 부서진 셔틀콕(30)을 교환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도 이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1 : 셔틀콕 홀더 스프링 2 : 셔틀콕 홀더 뭉치 커버
3 : 셔틀콕 홀더 뭉치 4 : 홀더 뭉치 체결 나사
5 : 기둥 6 : 방향 유도부
7 : 기둥 조임 부 8 : 길이조절 기둥
9 : 육각 암나사 10 : 각도 조절판
11 : 기둥체결 나사 12 : 각도조절 조임 나사
13 : 각도조절 조임 나사 부품 14 : 회전판
15 : 회전판 조임 나사 16 : 각도조절 암나사
17 : 메인스탠드 18 : 철판
19 : 철판 조임 나사 20 : 고무판
30 : 셔틀콕 31 : 헤드부
32 : 깃털 33 : 깃대
34 : 깃대 연결 보강부 35 : 공간부
40 : 결합 핀 41 : 상단 머리부
42 : 수직 바 43 : 걸림 홈
44 : 쿠션 결합 고정 홈 45 : 쿠션
50 : 체결 분리부 51 : 본체
52 : 수용부 53 : 회전축 핀
54 : 판 스프링 걸림 턱

Claims (3)

  1. 하부의 바닥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부의 타단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의 방향으로 진행하였다가 되돌아오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기둥; 및, 상기 기둥의 타단에 결합되어 셔틀콕을 결합 고정 또는 결합 고정된 상태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셔틀콕 홀더;를 포함하는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틀콕 홀더는,
    상기 셔틀콕의 헤드와 깃대 연결 보강부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하지 못하게 형성되는 상단 머리부와, 상기 상단 머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공간부를 통과하게 형성되는 수직 바로 구성되는 결합 핀과,
    일단이 상기 기둥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공간부를 통과하지 못하게 형성되는 타단에서 상기 결합 핀의 수직 바를 체결 또는 체결된 상태에서 분리되게 하는 체결 분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 핀의 상단 머리부에 의해 들어가는 상기 셔틀콕의 일 측 공간부에서는 걸려 통과하지 못하면서 상기 수직 바에 의해 나오는 타 측 공간부는 통과하게 하고, 상기 체결 분리부의 타단에 의해 타 측 공간부에 걸린 상태에서 타 측 공간부를 통과한 상기 수직 바를 체결 또는 체결된 상태에서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핀은, 상기 수직 바의 하부 둘레에 걸림 홈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 분리부는, 타단에 상기 수직 바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바의 걸림 홈에 대응하는 상기 수용부의 지점에 걸림 턱이 설치되어,
    상기 수직 바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면 상기 걸림 홈에 상기 걸림 턱이 걸리면서 체결되게 하는 한편,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 턱을 상기 걸림 홈으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핀은, 상기 수직 바의 하부 둘레에 쿠션을 결합 고정시키는 쿠션 결합 고정 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 핀이 체결 분리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라켓으로 셔틀콕을 칠 때 발생하는 타구음 이외의 잡음을, 상기 쿠션 결합 고정 홈에 결합 고정시킨 쿠션에 의해 제거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KR1020120042740A 2012-04-24 2012-04-24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KR20130119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740A KR20130119719A (ko) 2012-04-24 2012-04-24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740A KR20130119719A (ko) 2012-04-24 2012-04-24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719A true KR20130119719A (ko) 2013-11-01

Family

ID=4985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740A KR20130119719A (ko) 2012-04-24 2012-04-24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97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9424A (zh) * 2019-03-22 2019-06-28 邬惠林 一种羽毛球鞭击器
KR20220000220U (ko) * 2020-07-17 2022-01-25 현승수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연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9424A (zh) * 2019-03-22 2019-06-28 邬惠林 一种羽毛球鞭击器
KR20220000220U (ko) * 2020-07-17 2022-01-25 현승수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9711B2 (en) Rebound device
US9089755B2 (en) Golf practice mat
US7959527B1 (en) Ball hitting practice assembly with acoustic return mechanism
JP5997436B2 (ja) 運動競技のスイングトレーニング器具とその使用方法
US20090197711A1 (en) Lacrosse ball and stick practice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322460B1 (en) Batting practice device
KR101007115B1 (ko) 홀로하는 배드민턴 연습대
KR20130119719A (ko)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US20130237347A1 (en) Sports Training Apparatus
KR101897929B1 (ko) 실내 스크린 골프 구조물
US10143905B2 (en) Baseball swing trainer
US11083948B1 (en) Tennis-stroke trainer device
GB2501730A (en) Reactive training device
KR20100011089U (ko) 나홀로 테니스
AU2011331897B2 (en) Sports training device
KR101029792B1 (ko) 야구놀이용 기구
KR20120136122A (ko) 골프연습장치
KR101809083B1 (ko) 헤딩연습기
KR20100004912U (ko) 배드민턴 타구 연습기
CN210409445U (zh) 乒乓球练习器
CN214714213U (zh) 棒球击打训练器
CN203139545U (zh) 羽毛球球拍
CN202010402U (zh) 便携多功能球类运动训练架
KR20180022486A (ko) 종합 탁구 연습대
KR102049677B1 (ko)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