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677B1 -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 - Google Patents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677B1
KR102049677B1 KR1020180142421A KR20180142421A KR102049677B1 KR 102049677 B1 KR102049677 B1 KR 102049677B1 KR 1020180142421 A KR1020180142421 A KR 1020180142421A KR 20180142421 A KR20180142421 A KR 20180142421A KR 102049677 B1 KR102049677 B1 KR 10204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et
score
rubber
gam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박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범 filed Critical 박기범
Priority to KR1020180142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677B1/ko
Priority to PCT/KR2019/013661 priority patent/WO202010586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63B59/42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with solid surfaces
    • A63B59/45Rubbe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bonding between a rubber part and the racke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켓의 양면에 형성되는 러버부를 각각 반발력이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게임 공간에 따라 시합을 진행할 수 있어 효율성이 증가하고, 심판이 없는 경기의 경우, 종래에 경기자 상호간 경기 점수 상황을 구두나 인지에 의해 서로 정보를 교환 해야만 되어 이로 인해 생기는 착오나, 점수로 인한 갈등, 소통의 문제를 리모컨과 스코어판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이는 경기 현장에서 직접 경기자가 포인트 상황을 터치 및 송신하게 되고, 스코어판 양면에 표시된 상호간의 점수를 서로 인지 함으로서 갈등 요소를 사전에 해결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Racket set for ball game}
본 발명은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켓의 양면에 형성되는 러버부를 각각 반발력이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게임 공간에 따라 시합을 진행할 수 있어 효율성이 증가하고, 심판이 없는 경기의 경우, 종래에 경기자 상호간 경기 점수 상황을 구두나 인지에 의해 서로 정보를 교환 해야만 되어 이로 인해 생기는 착오나, 점수로 인한 갈등, 소통의 문제를 리모컨과 스코어판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이는 경기 현장에서 직접 경기자가 포인트 상황을 터치 및 송신하게 되고, 스코어판 양면에 표시된 상호 간의 점수를 서로 인지 함으로서 갈등 요소를 사전에 해결하게 되는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실내에서의 양손으로 하는 라켓형 운동이 늘어나고 있다. 양손 라켓 운동은 좌우 뇌를 동시에 발달시키며 배드민턴과 탁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특히 양손으로 하는 라켓형 운동(Racket-type Exercise With Both Hands)이란 배드민턴의 볼과 매우 유사한 셔틀콕(Shuttlecock)을 탁구 라켓과 같은 라켓을 양손에 들고 빠르게 치고받으면서 네트(Net)를 넘기는 스포츠를 말한다.
현재, 시중에는 다양한 셔틀콕용 라켓들이 판매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U) 제20-2014-0004730호(2014.08.21.)의 휘타구 라켓 및 등록특허공보(B1) 제10-0867007호(2008.10.29.)의 셔틀콕용 라켓이 이미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판매 제품들과 실용신안 기술은 모두가 합성수지의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셔틀콕을 치고받을 때 합성수지의 특성상 큰 타격 반발력에 비해 셔틀콕의 받는 흡수력은 떨어지기 때문에 네트를 살짝 걷어 올려 넘기는 방어용으로는 부적합하다. 또한, 셔틀콕용 양손 라켓은 기존의 탁구 라켓에 비해 타격부의 블레이드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손목관절에 무리가 따르므로 이에 대한 보완 기술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기술은 셔틀콕의 타격 시 양쪽 블레이드의 반발력을 서로 달리하기 위해 중공부를 갖는 판형의 타격부 일측면에 고무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나, 양손으로 빠르게 셔틀콕을 네트로 넘기다보면, 반발력을 달리한 고무부재 타격부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라켓 구성체가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측의 타격부에 부착된 고무부재만으로는 충분한 흡수력을 갖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그리고 최근 여가 활동의 증가와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연적으로 스포츠를 통한 생활 체육 활동도 증가되고 있으며, 동호회를 중심으로 일반인들의 생활 체육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경기중 발생된 점수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심판이 수동으로 점수판을 넘겨 기록하거나, 디지털 전광판에 버튼이나 리모컨으로 입력을 해야만 기록 할 수 있고, 생활 체육 활동에 심판을 두거나 전광판을 사용하기에는 비용 및 추가 인력을 요청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또한 구두 및 인지에 의한 점수 기록이 부정확 할 때가 많으며, 점수를 기억해야 하는 부담감이 경기에 집중하지 못하는 문제가 따른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473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7007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614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라켓의 양면에 형성되는 러버부를 각각 반발력이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게임 공간에 따라 시합을 진행할 수 있어 효율성이 증가하는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심판이 없는 경기의 경우, 종래에 경기자 상호간 경기 점수 상황을 구두나 인지에 의해 서로 정보를 교환 해야만 되어 이로 인해 생기는 착오나, 점수로 인한 갈등, 소통의 문제를 리모컨과 스코어판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이는 경기 현장에서 직접 경기자가 포인트 상황을 터치 및 송신하게 되고, 스코어판 양면에 표시된 상호간의 점수를 서로 인지 함으로서 갈등 요소를 사전에 해결하게 되는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헤드부의 양면에 부착되어 셔틀콕을 타격하는 러버부로 구성되는 라켓과;
상기 라켓의 손잡이부에 설치되어 경기 중에 스코어를 조작하도록 스코어 입력기가 설치된 그립장치와;
상기 스코어 입력기의 신호에 따라 스코어가 표시되는 스코어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라켓의 러버부는 양면이 각각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반발력이 다르게 되고, 전면의 러버부는 에폭시 수지 재질 또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고, 후면의 러버부는 고무 재질, 실리콘 재질, 스펀지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그립장치는, 상기 라켓의 손잡이부가 삽입홀에 삽입되어 손잡이부의 상부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에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손잡이부의 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커버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그립커버와;
상기 다수개의 그립커버 하측에 형성되어 손잡이부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삽입홈과 손잡이부의 끝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부를 조작하여 신호에 의해 스코어판의 스코어를 조작하는 스코어 입력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커버의 일측면에는 스코어 입력기의 스위치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관통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는 라켓의 양면에 형성되는 러버부를 각각 반발력이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게임 공간에 따라 시합을 진행할 수 있어 효율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심판이 없는 경기의 경우, 종래에 경기자 상호간 경기 점수 상황을 구두나 인지에 의해 서로 정보를 교환 해야만 되어 이로 인해 생기는 착오나, 점수로 인한 갈등, 소통의 문제를 리모컨과 스코어판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이는 경기 현장에서 직접 경기자가 포인트 상황을 터치 및 송신하게 되고, 스코어판 양면에 표시된 상호간의 점수를 서로 인지 함으로서 갈등 요소를 사전에 해결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립장치의 하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틀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립장치의 하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셔틀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는 라켓(10)과, 그립장치(20)와, 스코어판(30)과, 셔틀콕(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라켓(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탁구 라켓보다 크고 기존 배드민터 라켓보다는 작은 패드 형태의 자작나무로 가공된 목판(Wooden Platter) 수단으로서, 자작나무의 무늬 결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위사경사 방식의 5겹 합판으로 접착(미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라켓의 목판 모양 혹은 형상은 셔틀콕의 타격 스피드와 회전 스핀을 향상시키도록 탁구 라켓 형상을 띤 부채꼴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자작나무의 무늬 결이 가로 세로 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천을 직조하는 위사경사 방식의 5겹 합판으로 접착시키는 이유는, 라켓 목판의 뒤틀림이나 휨을 방지하고 신뢰성 높은 강도와 셔틀콕(40)을 네트로 넘길 수 있는 탄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라켓(10)은, 셔틀콕(40)을 타격하기 위한 러버부(13)가 부착되는 헤드부(11)와 상기 헤드부(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2)와, 상기 헤드부(11)의 양면에 부착되어 셔틀콕(40)을 타격하는 러버부(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러버부(13)는 헤드부(11)의 양면에 접착제로 부착시키며 셔틀콕(40)의 타격 스피드와 회전 스핀을 갖도록 하는 부재수단으로서, 헤드부(11)의 양면의 러버부(13) 재질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반발력이 각각 다르게 된다. 상기 헤드부(11) 일면(전면)의 러버부(13)는 탄성력(반발력)이 높은 에폭시 수지 재질 또는 고 탄력성을 갖는 실리콘 카본 시트(Silicon Carbon Sheet) 또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고, 반대측 면(후면)의 러버부(13)는 기존의 탁구 라켓에 사용되는 고무 혹은 스펀지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러버부(13)를 각각 다른 재질로 형성하여 반발력이 다르기에 게임하는 장소에 따라 사용하는 러버부(13)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게임하는 장소가 협소하면 반발력이 작은 고무, 스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러버부(13)를 이용하여 셔틀콕(40)을 쳐서 협소한 장소에 맞게 게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러버부(13)를 태극무늬 형태로 조각형성되어 각각의 조각 러버부(13)가 각각 다른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셔틀콕(40)이 맞는 러버부(13)의 부위에 따라 다양한 반발력이 발생하여 재미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훈련적인 요소가 가미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11)에는 양면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홀(14)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관통홀(14)은 헤드부(11)의 양면에 형성된 러버부(13)까지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라켓(10)을 사용시 관통홀(14)의 통기성에 의해 공기의 저항이 줄어들어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 그립장치(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켓(10)의 손잡이부(12)에 설치되어 경기 중에 스코어를 조작하도록 상부커버(21)와, 그립커버(22)와, 하부커버(23)와, 스코어 입력기(24)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커버(21)는 도 2에서처럼, 실리콘 재질로써, 라켓(10)의 손잡이부(12)가 삽입되도록 중앙부에 삽입홀(25)이 형성되는 링 형태이고, 상기 상부커버(21)는 손잡이부(12)의 상부측 외주연에 형성된다.
상기 그립커버(22)는 도 2에서처럼,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커버(2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립커버(22)는 상부커버(21)의 하측에 손잡이부(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손잡이부(12)의 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그립커버(22)는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상부커버(21)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그립커버(22)와 그립커버(22) 사이에는 손잡이부(12)의 외주연이 노출되는 구조로써, 손잡이부(12)의 그립감을 높여주고, 사용자가 손잡이부(12)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그립커버(22)는 상부커버(21)의 하측에 형성되는데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정면상 "X" 형태로 교차되어 형성되거나 그립커버(22)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손잡이부(12)의 그립감을 높여준다.
상기 하부커버(23)는 도 2 내지 도 3에서처럼,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그립커버(22)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23)의 상부에는 손잡이부(12)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26)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6)에 손잡이부(12)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스코어 입력기(24)는 도 2 내지 도 3에서처럼, 하부커버(23)의 삽입홈(26)과 손잡이부(12)의 끝단부 사이에 형성되는데, 즉, 상기 스코어 입력기(24)는 하부커버(23)의 삽입홈(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2)의 끝단부가 삽입홈(26)에 삽입되는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스코어 입력기(24)는 블루투스를 통해 스코어판(30)에 신호를 전달하여 스코어판(30)의 스코어를 조작하는데, 상기 스코어 입력기(24)의 일측에는 블루투스 신호에 의해 스코어판(30)의 스코어를 조작하는 스위치부(28)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부(28)는 본 발명에서는 스코어 입력기(24)의 하단부에 형성되지만 스코어 입력기(24)의 측면에도 형성되는 등 다양한 곳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28)에는 A팀과 B팀의 점수를 올리고 내릴 수 있는 두 개의 조작버튼과 점수를 리셋할 수 있는 리셋버튼 등 다양한 버튼들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버튼들의 신호를 스코어판(30)에 전달하는 발신모듈장치(미도시)가 더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23)의 일측면에는 스코어 입력기(24)의 스위치부(28)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관통구(27)가 더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27)는 스코어 입력기(24)의 스위치부(28) 위치에 맞춰 하부커버(23)에 형성된다.
상기 스코어판(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코어 입력기(24)의 신호에 따라 스코어가 표시되는 점수판으로써, 상기 스코어판(30)의 본체는 가로형 삼각기둥의 플라스틱 하우징 형상으로서, 스코어판(30)의 내부에는 블루투스 수신 모듈부, 제어부, 전원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코어판(30)의 양 측면에는 LED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LED 디스플레이부에 스코어 입력기의 신호에 따라 스코어가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스코어판(30)은 가로형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데, 측면상 "∧" 형태로 형성되어 책상이나 선반 등에 세워놓을 수 있는 스탠드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코어판(30)은 네트에 걸쳐 놓을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네트의 흔들림에 의해 스코어판(30)이 떨어질 수 있기에 상기 스코어판(30)의 내부 하측면에는 벌어진 양측면이 상호 간에 부착되도록 부착부재가 형성되어 스코어판(30)이 네트걸이식이 된다.
상기 부착부재는 찍찍이식, 똑딱이 버튼식, 자석식 등 다양한 종류로 형성되는데, 상기 스코어판(30)의 양 내측면에 각각 부착된 뒤, 스코어판(30)의 벌어진 끝단부를 오무려서 부착부재가 상호 간에 부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네트에 스코어판(30)이 걸친 뒤, 스코어판(30)의 양 끝단부를 오무려서 부착부재를 상호 간에 부착시켜 네트의 흔들림에도 스코어판(30)이 이탈되지 않는 중요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스코어판(30)은 다른 실시예로써, 스코어가 표시되는 LED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LED 디스플레이부가 일면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부착되고, 상기 스코어판(30)의 미사용시에는 일면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의 LED 디스플레이부가 상호 포개지도록 접혀지며, 탁상 또는 네트에 걸칠시에는 일면의 중앙부를 중심하여 반대방향으로 뒤집혀진 상태로 접혀져서 양측의 LED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양끝단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네트에 걸칠시, 네트의 흔들림에 의해 스코어판(30)이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부의 양끝단부를 상호 부착시키는 부착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는 LED 디스플레이부가 부착되는 부위는 하드한 플라스틱 재질의 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중앙부는 가죽, 합성섬유 등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기에 중앙부를 기준으로 접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재는 네트의 일면을 관통하여 커버부의 양끝단부를 상호 간에 고정함으로써, 스코어판(30)이 네트의 흔들림 또는 진동에도 떨어지지 않고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부착부재는 커버부의 양끝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부착부재는 상호 간에 매듭식, 버튼식 등에 의해 상호 고정되어 커버부의 양끝단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부착부재는 스코어판(30)의 미사용시 양측의 LED 디스플레이부가 상호 포개진 상태로 커버부가 접혀지면 상호 간에 고정되어 커버부의 양끝단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셔틀콕(4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켓(10)의 러버부(13)에 의해 타격되는 콕부(41)와, 상기 콕부(41)의 일측에 형성되는 날개부(42)로 구성되고, 상기 콕부(41)는 구 형태로 형성되어 소프트한 발포고무 재질 또는 스펀지 재질을 사용함으로서 라켓(10)과 부딪칠 때 부드러운 타격감도 제공하거나 하드한 발포고무 재질을 사용하여 라켓(10)과 부딛칠 때 딱딱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콕부(41)의 내부에는 중공부(43)가 형성되어 라켓(10)의 타격에도 반발력이 조절되면서 복원력이 증가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42)는 콕부(41)의 하측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벌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각도(θ)가 20∼40° 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42)는 가격이 비싼 기존의 천연 깃털 대신에 가격이 저렴하고 다양한 무늬를 갖도록 제작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져 경제적인 배드민턴 셔틀콕(40)을 제공하기에 날개부(42)는 나일론, 폴리에스터와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될 수 있다.
10 : 라켓 11 : 헤드부
12 : 손잡이부 13 : 러버부
14 : 관통홀
20 : 그립장치 21 : 상부커버
22 : 그립커버 23 : 하부커버
24 : 스코어 입력기 25 : 삽입홀
26 : 삽입홈 27 : 관통구
28 : 스위치부
30 : 스코어판
40 : 셔틀콕 41 : 콕부
42 : 날개부 43 : 중공부

Claims (5)

  1. 헤드부(11)와, 상기 헤드부(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2)와, 상기 헤드부(11)의 양면에 부착되어 셔틀콕(40)을 타격하는 러버부(13)로 구성되는 라켓(10)과;
    상기 라켓(10)의 손잡이부(12)에 설치되어 경기 중에 스코어를 조작하도록 스코어 입력기(24)가 설치된 그립장치(20)와;
    상기 스코어 입력기(24)의 신호에 따라 스코어가 표시되는 스코어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그립장치(20)는, 상기 라켓(10)의 손잡이부(12)가 삽입홀(25)에 삽입되어 손잡이부(12)의 상부측 외주연에 형성되는 상부커버(21)와;
    상기 상부커버(21)의 하측에 손잡이부(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손잡이부(12)의 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커버(21)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그립커버(22)와;
    상기 다수개의 그립커버(22) 하측에 형성되어 손잡이부(12)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홈(26)이 형성되는 하부커버(23)와;
    상기 하부커버(23)의 삽입홈(26)과 손잡이부(12)의 끝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부(28)를 조작하여 신호에 의해 스코어판(30)의 스코어를 조작하는 스코어 입력기(2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켓(10)의 러버부(13)는 양면이 각각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반발력이 다르게 되고, 전면의 러버부(13)는 에폭시 수지 재질 또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고, 후면의 러버부(13)는 고무 재질, 실리콘 재질, 스펀지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1)에는 양면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홀(14)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관통홀(14)은 헤드부(11)의 양면에 형성된 러버부(13)까지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23)의 일측면에는 스코어 입력기(24)의 스위치부(28)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관통구(27)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
  5. 삭제
KR1020180142421A 2018-11-19 2018-11-19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 KR10204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421A KR102049677B1 (ko) 2018-11-19 2018-11-19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
PCT/KR2019/013661 WO2020105866A1 (ko) 2018-11-19 2019-10-17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421A KR102049677B1 (ko) 2018-11-19 2018-11-19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677B1 true KR102049677B1 (ko) 2019-11-27

Family

ID=6872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421A KR102049677B1 (ko) 2018-11-19 2018-11-19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9677B1 (ko)
WO (1) WO2020105866A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831Y1 (ko) * 1999-09-07 2000-03-15 하웅수 다양한 종류의 공을 타격할 수 있는 만능라켓
KR100867007B1 (ko) 2008-05-27 2008-11-10 광주광역시 남구 셔틀콕용 라켓
JP3176497U (ja) * 2012-04-12 2012-06-21 廣好 濱口 ゲームカウントスコアー手動回転表示装置
KR20140004730U (ko) 2013-02-13 2014-08-21 김형석 휘타구 라켓
CN203935585U (zh) * 2014-01-15 2014-11-12 王妙君 无线计分器羽毛球拍
KR20140006142U (ko) 2013-05-29 2014-12-09 정창수 구기운동용 라켓
JP2015043791A (ja) * 2013-08-27 2015-03-12 輝夫 狩俣 テニスラケット、卓球ラケット及び野球バット等のスイング練習具
CN106039666A (zh) * 2016-07-09 2016-10-26 江苏海事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记分功能的羽毛球拍和支架
CN107708816A (zh) * 2015-05-18 2018-02-16 M·邦菲利 可调节运动球拍
KR200487188Y1 (ko) * 2018-02-08 2018-08-17 성윤재 셔틀콕용 양손 듀오콕 라켓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831Y1 (ko) * 1999-09-07 2000-03-15 하웅수 다양한 종류의 공을 타격할 수 있는 만능라켓
KR100867007B1 (ko) 2008-05-27 2008-11-10 광주광역시 남구 셔틀콕용 라켓
JP3176497U (ja) * 2012-04-12 2012-06-21 廣好 濱口 ゲームカウントスコアー手動回転表示装置
KR20140004730U (ko) 2013-02-13 2014-08-21 김형석 휘타구 라켓
KR20140006142U (ko) 2013-05-29 2014-12-09 정창수 구기운동용 라켓
JP2015043791A (ja) * 2013-08-27 2015-03-12 輝夫 狩俣 テニスラケット、卓球ラケット及び野球バット等のスイング練習具
CN203935585U (zh) * 2014-01-15 2014-11-12 王妙君 无线计分器羽毛球拍
CN107708816A (zh) * 2015-05-18 2018-02-16 M·邦菲利 可调节运动球拍
CN106039666A (zh) * 2016-07-09 2016-10-26 江苏海事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记分功能的羽毛球拍和支架
KR200487188Y1 (ko) * 2018-02-08 2018-08-17 성윤재 셔틀콕용 양손 듀오콕 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5866A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7736B1 (en) Adjustable sports paddle
US9132328B1 (en) Shuttlecock type game device
US5655979A (en) Table tennis style game with basketball backboards, hoops, nets and foam ball
KR102087996B1 (ko) 구기스포츠용 스코어링 장치
JP2007152057A (ja) 打撃系練習機
KR102049677B1 (ko) 구기스포츠용 라켓 세트
US7727094B2 (en) Institutional badminton racket
US4322081A (en) Finger tip golf game
US20110156348A1 (en) Simulating sports board game using bottle caps
JPH0639063A (ja) ボールのラケット
US5752703A (en) Projectile-target game of skill
CN114288630A (zh) 用于在体育竞赛中计分的系统
US20230007925A1 (en) Tennis Ball Target Device
EP3226985A1 (en) Sports training-device
KR101129696B1 (ko) 휴대용 테니스 연습장치
KR20080000683U (ko) 라켓용 연습구
US4807879A (en) Ball return/target assembly for racquet sports
KR102371760B1 (ko) 손에 착용되는 라켓을 이용한 놀이기구
KR100942630B1 (ko) 골프 연습장치
KR200383193Y1 (ko) 연습용 배드민턴 셔틀콕
US8012033B2 (en) Golf swing trainer apparatus and method
US5382027A (en) Simulated dough tossing game
US5294115A (en) Game hoop apparatus
KR200461622Y1 (ko) 배드민턴용 손잡이
KR20050080179A (ko) 1인용 탁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