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683U - 라켓용 연습구 - Google Patents

라켓용 연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683U
KR20080000683U KR2020060028232U KR20060028232U KR20080000683U KR 20080000683 U KR20080000683 U KR 20080000683U KR 2020060028232 U KR2020060028232 U KR 2020060028232U KR 20060028232 U KR20060028232 U KR 20060028232U KR 20080000683 U KR20080000683 U KR 200800006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racket
elastic
exercise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실
Original Assignee
송준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실 filed Critical 송준실
Priority to KR2020060028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683U/ko
Publication of KR200800006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6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7Arrangements on balls for connecting line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9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켓을 사용하여 공을 치는 테니스, 스쿼시, 배드민턴 등과 같은 운동을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연습을 통하여 타격 실력과 스매싱 실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운동의 즐거움을 제공하기 위한 연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습구는 탄성실(1)과 탄성실의 한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공 고정부(2), 그리고 또 다른 끝부분에 위치하는 무게추 고정부(7)로 구성되며 탄성실(1)은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는 고신축부(1-1)와 신축성이 없거나 낮은 신축성을 갖는 저신축부(1-2)가 연결부(1-3)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 고정부(2)는 고정걸이부(3)와 고정걸이 덥게막(5)으로 구성되어 공과 탄성실이 강하게 고정됨으로서 라켓의 반복되는 강한 타격에도 연습구가 달아나거나 분리되는 현상 없이 실제상황과 유사한 상황에서 타격연습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우수한 운동성과 리턴 속도를 갖는 연습구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76099090-UTM00001
연습구, 테니스, 스쿼시, 배드민턴, 라켓

Description

라켓용 연습구{Training ball for racket sport}
도1 : 본 발명의 라켓용 연습구의 외부 모양
도2 : 본 발명의 라켓용 연습구를 (가), (나)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0256970호에 등록된 테니스 타법 연습장치에 의하면 소정 길이를 갖는 세로 형태의 축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 지지수단과 그 세로의 윗부분과 아래부분에 탄성 동작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중앙부에 공을 세로축에 두어서 타격시에 소정 거리만큼 왕복 운동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테니스 타법 연습장치를 고안하였다. 복잡한 구성을 갖는 타법 연습장치임에도 불구하고 장치가 크고 무거워 이동이 불편하고 휴대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테니스 라켓이 탄성실에 걸려서 원하는 타격폼을 갖지 못할 뿐만 아니라 타격후의 공은 진동자가 움직이듯이 즉시 반사되어 돌아옴으로서 실제 테니스 상황과 달라서 테니스 연습에 부족함이 있다.
본 발명은 테니스 타격 실력과 스매싱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테니스 연습 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수한 운동성과 리턴 속도를 갖는 라켓용 연습구를 제공하기 위함. 라켓용 연습구는 혼자서도 연습을 할 수 있는 반면 실제 운동 경기에서 처럼 상대가 있어서 서로 공을 라켓으로 주고 받는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황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상황과 다른 상황으로 연습을 한다면 훈련의 효과와 흥미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실제 테니스나 스쿼시, 배드민턴 또는 이와 유사한 라켓을 사용하는 운동에 있어서 종래 연습기의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서 휴대와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실제 라켓을 사용하는 실제의 운동상황과 거의 유사한 우수한 운동성과 리턴 속도를 갖는 라켓용 연습구를 제공함으로서 라켓의 타격 및 스매싱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본 발명의 고안에 의하여 연습구는 라켓의 강한 타격과 반복적인 타격에도 분리되거나 떨어짐없이 반복적으로 연습이 가능하며 또한 실제 라켓을 사용하는 운동상황과 동일한 라켓용 연습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테니스 공과 탄성실과의 제1연결부인 공 고정부(2)와 탄성실부(1) 그리고 제2연결부인 무게추 고정부(7)로 구성되며 탄성실(1)은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는 고신축부(1-1)와 실질적으로 신축성이 없거나 낮은 정도의 신축성을 갖는 저신축부(1-2)가 연결부(1-3)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공 고정부(2)는 공과 탄성실이 움직임이 없도록 강하게 고정됨으로서 라켓의 반복되는 강한 타격에도 연습구가 달아나거나 분리되는 현상 없이 반복적인 타격연습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우수한 운동성과 리턴 속도를 갖는 라켓용 연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니스, 스쿼시, 배드민턴 등과 같은 라켓을 사용하는 운동을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연습을 통하여 타격 실력과 스매싱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라켓용 연습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실과 본 탄성실의 한쪽 끝부분이 테니스 공에 고정되고 또 다른 한쪽 끝부분은 타격 또는 스매싱을 할 경우 일정 지점으로 다시 돌아오도록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니스는 세계인이 즐기는 운동이며 우리나라도 많은 동호인들이 즐기는 스포츠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테니스 동호인들은 테니스 실력 향상을 위하여 비싼 요금을 지불하고 코치로 부터 연습을 받고 있다. 하지만 코치로 부터의 연습시간이 제한되어 짧은 시간 내에 연습을 마치게 되는 이유로 충분한 연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며 따라서 기대한 만큼의 테니스 실력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 힘들다. 때문에 많은 신입 동호인들은 중도에 포기하거나 자신의 부족한 운동신경을 탓하고 테니스 운동을 중도에 포기하거나 상대와 즐거운 운동이 되지 못하여 흥미를 잃고 테니스 운동을 그만두는 사례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혼자서도 라켓운동의 타격 연습과 스매싱 연습을 할 수 있는 라켓용 연습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연습구는 라켓의 강한 충격에도 떨어지거나 분리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져야 할 뿐만 아니라, 실제 테니스 운동 경기할 경우와 동일하거나 최대한 유사한 공의 움직임 상태, 즉 연습구의 운동성이 우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라켓으로 공을 타격한 후 멀리 타격된 공은 날아갈때의 속도와 다시 돌아 올때의 속도 차이가 적은 특성 즉, 탄성실의 우수한 탄성기능으로 다시 원래 의 위치로 돌아오는 리턴 속도가 우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타격연습에서도 이러한 특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연습구의 요구특성을 제공하는 라켓용 연습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라켓 운동에 사용되는 공에 탄성실이 고정된 공 고정부(2)와 충분한 강도와 탄성을 동시에 가지는 고신축부(1-1) 그리고 실질적으로 신축성이 없거나 낮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저신축부(1-2), 고신축부와 저신축부가 서로 연결되는 이성탄성실 연결부(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 고정부(2)는 고정걸이부(3)와 고정걸이 덥게막(5) 등으로 구성함으로서 라켓의 강한 충격에도 분리되거나 떨어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망사와 같은 재질로서 공을 내부에 감싸고 다시 공 고정부(2)와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습구의 탄성실은 공 고정부(2)에 의하여 연습구와 연결되고 위치 고정부에 의하여 연습구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타격이나 스매싱시에도 일정한 위치로 되돌아 올 수 있게 된다. 연습구에 적합한 탄성실은 연습구가 실제 경기에서와 유사한 운동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실의 인장강도는 적어도 공 무게보다 높은 인장강도를 가져야 한다. 인장강도란 실의 끝 부분에 일정 무게를 매달 경우, 낮은 무게에서는 끊어짐 없이 버티다가 어느 정도의 무게 이상에서는 견디지 못하고 끊어지게 되는 데 이처럼 최대한 버틸 수 있는 무게를 인장강도라고 한다. 그리고 탄성실은 실질적으로 한가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령 다수의 가느다 란 실로서 구성되더라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서로 접합되어 한가닥의 탄성실처럼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실의 재질로서는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며 공의 무게와 라켓의 타격강도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고신축부에 적합한 탄성실의 소재로서는 생활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의 탄성실이 가능하며 천연 및 합성고무, 우레탄 탄성실, 실리콘, 천연 또는 합성 라텍스 소재 또는 이들의 혼합소재 등을 한종류 또는 조합하여 구성되는 탄성실이 가능하다. 가장 바람직한 소재로서는 탄성과 강도 그리고 무게 측면에서 우레탄 탄성실과 고무소재가 가장 우수한 특성을 발휘한다.
저신축부에 적합한 소재로서는 코튼(면), 모, 실크와 같은 천연섬유실 또는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 섬유 등이 사용되며 단일 성분의 섬유 또는 몇가지 섬유를 혼합하여 복합적으로 구성되는 섬유도 가능하다. 또한 고신축성 탄성실 소재와 저신축성 섬유 소재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탄성실의 섬유를 잇는 방법이나 엮는 방법을 달리함으로서 다양한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탄성실(1)을 고신성 섬유와 저신축 섬유를 적정한 비율로 혼합함으로서 적당한 탄성을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실(1)을 부위별로 다양한 탄성을 갖도록 이러한 다양한 탄성실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탄성실(1)의 구성은 고신축부(1-1)와 저신축부(1-2)로 구성하는 방법이외에 최적의 탄성기능을 갖도록하기 위하여 중신축부(1-3)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뿐만 아니라 운동자가 원하는 탄성을 갖도록 탄성실(1)의 부위별로 탄성이 상 이한 몇가지의 이성의 탄성실을 연결하여 이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와같이 많은 이성의 탄성실을 이어서 사용할 경우 이음매가 많을수록 실제 연습구로서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이음매가 적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재질과 탄성 특성을 갖는 탄성실이라도 탄성실의 굵기를 부위별로 다르게 조정하거나 또는 탄성실의 표면 또는 단면의 일부에 이성의 성분을 특정부위에 추가함으로서 2개 이상의 부위에서 각 각의 부위별로 다른 탄성 신축성을 갖는 재질을 구성함으로서 탄성실(1)의 탄성 신축성을 많은 부위별로 다르게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이음매 없이도 탄성실(1)을 고신축부(1-1)와 저신축부(1-2)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원하는 경우 추가로 다른 정도의 신축성을 특정부위에 얼마든지 추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와 같이 탄성실(1)의 부위별로 신축성을 다르게 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도 본 발명의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테니스 공과 탄성실과의 연결부인 공 고정부(2)를 구성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공의 표면 전부를 그물망 소재로 두르거나 또는 단단하면서도 두께가 얇은 끈과 같은 소재로 공의 둘레를 지름으로 가로 지르거나 또는 반원 또는 일부 원호의 형태로 공의 튜브부(4) 위 표면에 단단히 고정되게 붙이고 다시 그 윗부분을 고정걸이 덥게막(5)으로 전체 표면 또는 일부 표면을 덮고 강하게 고정되도록 접착풀이나 바느질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외막(6)은 실제 테니스 공 본래와 최대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우레탄, 울(wool), 아크릴, 나일론 등과 같은 천연 및 화학섬유 재질 등으로 감싸서 우수한 운동성과 리 턴 속도를 갖는 연습구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외막(6)의 공 고정부(2) 주변은 작은 구멍형태로 외막(6)을 제거하여 공의 전체 표면두께를 고르게 유지할 수도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서는 망사와 같은 재질로 연습구의 외부를 감싸고 망사의 일부에 공 고정부(2)를 연결함으로서 연습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연습구를 라켓으로 타격시 멀리 날아간후 탄성실의 신축에 의하여 다시 타격위치로 돌아올때 타격위치에서의 연습구의 되돌아오는 속도를 리턴 속도하고 한다. 리턴 속도가 감소되는 경향이 적을수록 리턴 속도가 우수하다고 지칭한다. 그리고 운동성이란 실제 경기에서의 공의 움직임 상태를 지칭하며 실제 경기와 유사한 연습구의 운동성을 갖는 것을 운동성이 우수하다고 지칭하며 이러한 운동성은 연습구의 반발력, 무게 등에 의하여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위치 고정부는 라켓으로 연습구를 타격하거나 스매싱하더라도 일정 거리를 날아간 다음, 원래의 위치로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는 고정장치를 지칭하는 것이다. 간단한 위치 고정부로서는 라켓의 일부 부위에 상기 공 고정부의 반대편 탄성실의 끝부분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일정한 크기의 무게추를 담을 수 있는 주머니와 탄성실의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무게추 주머니 안에 일정한 하중을 갖는 무게추를 고정함으로서 연습구를 라켓으로 타격하더라도 연습구가 움직이거나 이동되는 현상이 없도록 고정하는 방법이다. 뿐만 아니라 못 이나 핀, 압핀, 테니스 넷트 등과 같은 재질에 탄성실을 고정하고 테니스 타격 연습장 바닥면에 꽂아서 고정시키는 방법 등으로도 위치 고정부를 형성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성을 갖는 라켓용 연습구는 이러한 독창적 구성에 의하여 우수한 운동성을 갖고 있음은 물론 우수한 리턴 속도를 발휘하게 됨으로서 테니스나 스쿼시 또는 배드민턴 등과 같은 라켓을 사용하는 운동을 배우려는 사람들의 타격실력과 스매싱 실력을 빠르게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도움을 제공하는 역할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공 고정부와 탄성실 그리고 위치 고정부로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를 갖는 연습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고안에서 기술된 방법으로 부터 쉽게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도 본 발명의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라켓용 연습구는 공에 고효능 탄성실이 고정되어 우수한 운동성과 리턴 속도를 갖게 되며 실제 경기에서와 거의 유사한 운동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됨으로서 혼자 운동하는 경우라도 상대 선수가 있어서 서로 공을 마주 치는 경우와 거의 유사한 상황하에서 테니스 타격연습 및 스매싱 연습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혼자서도 라켓을 사용하는 운동의 연습 및 훈련 효과와 흥미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됨으로서 효과적이면서도 편리하게 라켓운동을 즐길 수 있다.

Claims (6)

  1. 라켓을 사용하는 연습구에 있어서 연습구가 공 고정부(2)와 탄성실(1) 그리고 무게추 고정부(7)로 구성되는 라켓용 연습구에 있어서 탄성실(1)은 고신축부(1-1)와 저신축부(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용 연습구.
  2. 제1항에 있어서 고신축부(1-1)와 저신축부(1-2)가 이성탄성실 연결부(1-3)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용 연습구.
  3. 제1항에 있어서 고신축부(1-1)와 저신축부(1-2)가 이성탄성실 연결부(1-3) 없이 탄성실(1)의 부위별로 신축성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용 연습구.
  4. 제1항에 있어서 탄성실(1)이 2개 이상의 부위에서 각 각의 부위별로 다른 탄성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용 연습구.
  5. 제1항에 있어서 공 고정부(2)는 공의 둘레를 가로 지르거나 또는 반원 또는 일부 원호의 형태로 공의 튜브부(4) 표면 위에 접착풀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걸이부(3)와 그 윗부분의 전체 표면 또는 일부 표면을 덮고 접착풀 등으로 강하게 감싸고 있는 고정걸이 덥게막(5)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용 연습구.
  6. 제1항에 있어서 공의 외부를 망사가 감싸고 있고 망사의 일부에 공 고정부(2)가 연결되어 있어서 탄성실(1)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용 연습구.
KR2020060028232U 2006-10-23 2006-10-23 라켓용 연습구 KR200800006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232U KR20080000683U (ko) 2006-10-23 2006-10-23 라켓용 연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232U KR20080000683U (ko) 2006-10-23 2006-10-23 라켓용 연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683U true KR20080000683U (ko) 2008-04-28

Family

ID=4132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232U KR20080000683U (ko) 2006-10-23 2006-10-23 라켓용 연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68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115B1 (ko) * 2008-08-22 2011-01-18 이금선 홀로하는 배드민턴 연습대
KR101129696B1 (ko) * 2011-12-02 2012-03-28 글로벌라테스그룹(주) 휴대용 테니스 연습장치
WO2013109031A1 (ko) * 2012-01-19 2013-07-25 Jeon Si Byeoung 테니스 타격 연습기
KR200491300Y1 (ko) * 2018-10-01 2020-03-18 김선희 타구 연습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115B1 (ko) * 2008-08-22 2011-01-18 이금선 홀로하는 배드민턴 연습대
KR101129696B1 (ko) * 2011-12-02 2012-03-28 글로벌라테스그룹(주) 휴대용 테니스 연습장치
WO2013109031A1 (ko) * 2012-01-19 2013-07-25 Jeon Si Byeoung 테니스 타격 연습기
KR200491300Y1 (ko) * 2018-10-01 2020-03-18 김선희 타구 연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94573A1 (en) Device for enhancing bilateral dexterity and methods therefor
US5018746A (en) Field game apparatus and method
CA2605211C (en) Pitching training method and device
US9132328B1 (en) Shuttlecock type game device
US4095787A (en) Workout device for tennis having a variable speed control
US9295868B2 (en) Exercise device for enhancing muscle memory and strength
US4174107A (en) Tethered ball tennis practice device
TWI569859B (zh) 競技運動擺動訓練裝置及其使用方法
KR20080000683U (ko) 라켓용 연습구
KR101007115B1 (ko) 홀로하는 배드민턴 연습대
US5649699A (en) Racquet sports training device
US9682266B2 (en) Training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20060191521A1 (en) Baseball train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KR200443747Y1 (ko) 좁은 실내 공간용 라켓
JP5922831B1 (ja) ソフトバドミントン用ソフトシャトル
US20110124442A1 (en) Multiple sport training device
US20140066230A1 (en) Tennis Training Apparatus
US3709490A (en) Play, sports and training apparatus
US20070293358A1 (en) Method of Using Modified Ball and Bat
KR20100011089U (ko) 나홀로 테니스
KR200383193Y1 (ko) 연습용 배드민턴 셔틀콕
CN107213611A (zh) 一种有斜面角度板的训练器械
US20180318689A1 (en) Tennis Ball Target Device
KR102371760B1 (ko) 손에 착용되는 라켓을 이용한 놀이기구
JP3127852U (ja) バッティング振り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