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00Y1 - 타구 연습 장치 - Google Patents

타구 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300Y1
KR200491300Y1 KR2020180004521U KR20180004521U KR200491300Y1 KR 200491300 Y1 KR200491300 Y1 KR 200491300Y1 KR 2020180004521 U KR2020180004521 U KR 2020180004521U KR 20180004521 U KR20180004521 U KR 20180004521U KR 200491300 Y1 KR200491300 Y1 KR 200491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ring
striking
elastic str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김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희 filed Critical 김선희
Priority to KR2020180004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7Arrangements on balls for connecting line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9/00Hollow non-inflatable balls, i.e. having no valves
    • A63B39/06Special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구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격 연습의 대상이 되는 타격구; 타격 연습 중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일단은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타격구에 연결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 스트링; 및 상기 타격구의 표면에 접착되어 상기 탄성 스트링을 상기 타격구에 연결하기 위한 스트링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트링 결합부에는 상기 탄성 스트링을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링 결합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스트링 삽입공이 형성됨으로써 타격구와 탄성 스트링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타구 연습 장치{Apparatus for training of swinging a racket}
본 고안은 타구 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격구와 탄성 스트링의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고, 타격구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타격구 내부의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타구 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가 선용, 체력 향상 및 건강 증진을 위하여 레저와 스포츠를 즐기는 문화가 활성화되고 있는 오늘날, 테니스는 장비가 간단하고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어 대중적인 인기가 높은 운동이다. 그러나 테니스는 혼자 연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 바, 단독으로 테니스의 타구 연습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타구 연습 장치가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테니스의 타구 연습을 1인이 단독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추 역할을 하는 컨테이너(114)에 고무줄(113)과 같은 탄성 소재로 연결된 타격구(111)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타격구(111)를 긴 고무줄(113)의 일단에 고정하고, 고무줄(113)의 타단은 바닥에 고정되는 컨테이너(114)에 연결함으로써, 타격구(111)에 타격을 가할 경우 고무줄(113)의 장력에 의해 타격구(111)가 타격자에게 돌아올 수 있으므로 테니스의 타구 연습을 반복하여 행할 수 있다.
도 1과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타격구(111)의 코어를 감싸는 양모와 같은 커버 부재에 복수의 구멍(112)을 형성하고, 여기에 고무줄(113)을 끼워서 타격구(111)와 컨테이너(114)를 연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으로는, 타격구(111)를 타격할 때 고무줄(113)에 작용하는 상당한 장력에 의해, 타격구(111)의 표면을 형성하는 양모가 파손되어 타격구(111)와 고무줄(113)이 분리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양모가 파손되는 경우 타격구의 코어 쪽에도 손상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설령 타격구(111)와 고무줄(113)이 분리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타격구(111)의 코어 내부의 기체가 점차로 유출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이 초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114)는 내부에 물이나 모래 등을 투입한 후 투입구(115)를 마개(116)로 봉쇄하여 내용물의 하중으로 타격구(111)가 연결된 고무줄(113)의 일단을 지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사용자가 직접 물이나 모래 등을 컨테이너(114)에 투입해야하는 이용상 번거로움과, 컨테이너(114)의 일부분이라도 파손될 경우 투입물이 유출되어 충분한 하중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0-0011089호(2010.11.12 공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타격구와 탄성 스트링 사이의 결합을 공고히 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는 타구 연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타격구 내부 기체의 유출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타구 연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안정적인 하중에 의해 타격구가 연결된 탄성 스트링의 일단을 지면에 고정하는 타구 연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구 연습 장치는 타격 연습의 대상이 되는 타격구; 타격 연습 중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일단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타격구에 연결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 스트링; 및 상기 타격구의 표면에 접착되어 상기 탄성 스트링을 상기 타격구에 연결하기 위한 스트링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트링 결합부에는 상기 탄성 스트링을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링 결합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스트링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트링 결합부의 후면은, 상기 복수의 스트링 삽입공 사이에서 상기 스트링 결합부와 상기 타격구가 접착되지 않게 하는 접착 방지부와, 상기 복수의 스트링 삽입공과 상기 접착 방지부를 제외한 영역으로서 상기 스트링 결합부와 상기 타격구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구 연습 장치는 상기 스트링 결합부가 상기 타격구에 접착될 때, 상기 타격구에서 상기 스트링 결합부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커버 부재가 제거되어 상기 스트링 결합부가 상기 타격구의 코어에 접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트링 결합부는 피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구 연습 장치는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나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에 고정고리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고정고리에 상기 탄성 스트링이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구 연습 장치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리는 개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양단을 연결하여 폐곡선 형상을 완성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여 일시적으로 개곡선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여 상기 고정고리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 스트링의 일단은 상기 연결고리와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구 연습 장치는 상기 탄성 스트링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꼬임 방지구는 상기 꼬임 방지구 중앙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연결링 이음부; 및 상기 연결링 이음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스트링, 상기 고정고리 또는 상기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연결링;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링 이음부는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구 연습 장치의 상기 탄성 스트링은 복수의 고무줄의 외주면을 외피로 감싸 하나의 스트링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링 결합부와 타격구 표면 사이의 접착력에 의하여 탄성 스트링이 타격구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커버 부재의 파손에 의해 타격구와 고무줄이 분리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방식과 같이 타격구의 표면에 탄성 스트링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타격구 내부의 기체가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서 타격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링 결합부는 타격구의 표면과 접하는 면에 접착 방지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탄성 스트링의 삽입이 쉽게 이루어져 제작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고리가 고정부의 표면에 형성된 나사구에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결합의 안정성은 유지하는 동시에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타구 연습 장치의 사용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구 연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임 방지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와 탄성 스트링 사이의 연결 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 가능한 연결고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결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및 고정고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고정고리 및 너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타격구”는 테니스 공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테니스 공에 한정되지 않고 정구공, 라켓볼, 라테스민턴, 리턴볼, 스쿼시볼 등 라켓을 사용하는 스포츠 공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구 연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타구 연습 장치는 타격 연습의 대상이 되는 타격구(10), 타격 연습 중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40), 일단은 상기 고정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타격구(10)에 연결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 스트링(30) 및 상기 타격구(10)의 표면에 접착되어 상기 탄성 스트링(30)을 상기 타격구(10)에 연결하기 위한 스트링 결합부(20)를 포함하되, 상기 스트링 결합부(20)에는 상기 탄성 스트링(30)을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링 결합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스트링 삽입공(21)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부(40)는 충분한 하중에 의하여 타격구의 운동과 무관하게 지면에 고정되며, 탄성 스트링(30)의 일단은 고정부(40)의 일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타격구(10)의 표면과 스트링 결합부(20) 사이의 접착력에 의해 타격구(10)의 표면에 결합되며, 타격구(10)에 타격을 가할 경우 탄성 스트링(30)의 탄성력에 의해 타격구(10)가 고정부(40)의 방향으로 복귀함으로써 1인이 단독으로 반복하여 타구 연습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스트링(30)에는 고무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격구(10)의 타격시 탄성 스트링(30)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하여 타격구(10)가 고정부(40)의 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가진다면 다른 종류의 소재라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스트링(30)은 외피가 복수의 고무줄의 외부를 감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무줄을 사용함으로써 탄성 스트링(30)의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고무줄의 개수는 9~15개가 바람직하다. 9개 미만인 경우에는 타구 연습 중 탄성 스트링(30)이 쉽게 끊어질 수 있고, 15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성 스트링(30)이 쉽게 신장되지 않아 타격구(10)의 타격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2개의 고무줄을 사용할 때 탄성 스트링(30)이 타격 연습에 가장 적절한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 스트링(30)의 외피는 복수의 고무줄을 하나의 다발로 묶어서, 하나의 스트링처럼 거동하도록 만들어준다. 외피는 고무줄 다발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외피는 고무줄과 함께 신장, 수축할 수 있도록 합성섬유나 천연섬유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외피는 고무줄 다발의 노출을 방지하여, 타구 연습시 고무줄이 마모로 인해 끊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외피는 고무줄이 지나치게 신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 스트링(30)이 타격 연습에 적절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타구 연습 장치는 1개의 탄성 스트링(30)을 사용하여 타격구(10)와 고정부(40)를 연결할 수도 있지만, 복수의 탄성 스트링(30)을 사용하여 타격구(10)와 고정부(40)를 연결할 수 도 있다. 이때 복수의 탄성 스트링(3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꼬임 방지구(60)를 사용할 수 있다. 꼬임 방지구(60)의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탄성 스트링(30)이 스트링 결합부(20)나 꼬임 방지구(60) 등과 결합할 때, 매듭을 형성하는 탄성 스트링(30)의 일단을 가열하여 열융착 시킴으로써 탄성 스트링(30)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타격구(111)의 표면에 형성된 양모 등의 커버 부재에 구멍(112)을 뚫어 고무줄(113)을 연결하는 종래의 방법 대신, 스트링 결합부(20)에 스트링 삽입공(21)을 형성하여 탄성 스트링(30)을 연결하기 때문에, 타격구(111)의 표면을 구성하는 양모의 파손으로 타격구(111)과 고무줄(113)이 분리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링 결합부(20)는 탄성 스트링(30)의 장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인장강도를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천연 또는 합성 피혁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타격구(10) 표면과 스트링 결합부(20) 사이의 접착력에 의하여 탄성 스트링(30)이 타격구(10)의 표면에 결합되는 것인 바, 탄성 스트링(3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트링 결합부(20)는 충분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의 필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고정부(40)는 그 자체의 하중에 의해 타격구(10)가 연결된 탄성 스트링(30)의 일단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타격구(10)의 운동 방향을 따라 고정부(4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40)는 충분한 무게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컨테이너(114)에 물이나 모래 등을 투입하여 지지부로 활용하였던 종래의 방식은 컨테이너(114)가 파손되면 투입물의 유실에 의해 충분한 하중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고정부(40)를 솔리드 형태의 금속 등의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표시된 고정부(40)의 형태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임 방지구(6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타구 연습 장치는 1개의 탄성 스트링(30)에 의해 타격구(10)와 고정부(40)를 연결할 수 있다. 타구 연습시 타격구(10)는 외력에 의하여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병행하게 되는데, 타격구(10)의 회전운동은 탄성 스트링(30)의 꼬임을 유발할 수 있다. 탄성 스트링(30)의 꼬임이 발생하면 탄성 스트링(30)이 신장될 수 있는 길이가 감쇄하고, 복원력에 의하여 꼬임이 풀어지면서 타격구(10)의 운동 경로가 변형되어 타구 연습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타구 연습 장치는 꼬임 방지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꼬임 방지구(60)는 중앙의 몸체부(61), 몸체부(61)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연결링 이음부(62), 연결링 이음부(62)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링(63)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링(63)에는 탄성 스트링(30)이나 후술할 연결고리(7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링 이음부(62)는 한 쌍의 연결링 이음부(62)를 잇는 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링 이음부(62)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링(63)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구 연습장치는 복수의 탄성 스트링(30)을 상기 꼬임 방지구(60)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타격 반경을 연장킬 수 있다. 아울러, 탄성 스트링(30)의 일단에서 고정부(40)와 탄성 스트링(30)이 연결될 때, 꼬임 방지구(60)에 형성된 2개의 연결링(63) 중 1개는 탄성 스트링(30)과 결합하고, 나머지 1개는 고정고리(50) 또는 후술할 연결고리(70)와 결합할 수도 있다.
사용된 탄성 스트링(30)의 총 길이에 따라 적절한 수의 꼬임 방지구(60)를 사용하여 복수의 탄성 스트링(30)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 길이가 2.4m인 탄성 스트링(30) 3개를 2개의 꼬임 방지구(60)을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나, 탄성 스트링(30)의 길이나 탄성 스트링(30) 연결에 사용된 꼬임 방지구(60)의 개수를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
몸체부(61)의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연결링 이음부(62)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력이 타격구(10)로부터 탄성 스트링(30)에 전달될 때, 몸체부(61) 상단의 연결링 이음부(62)와 하단의 연결링 이음부(6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탄성 스트링(30)의 꼬임을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40)와 탄성 스트링(30) 사이의 연결 관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타격구(10)와 고정부(40)는 탄성 스트링(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탄성 스트링(30)은 고정부(4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고정고리(50), 연결고리(70) 등을 통하여 고정부(4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탄성 스트링(30)과 고정부(40) 사이의 다양한 연결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정부(40)와 탄성 스트링(30)은 고정부(40)에 구비된 고정고리(50)에 탄성 스트링(30)이 결합하는 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적인 장치를 구비할 필요없이 탄성 스트링(30)을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이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탄성 스트링(30)의 결합부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어 타구 연습시 타격 반경이 한정적이고, 탄성 스트링(30)이 고정고리(50)와 직접 접촉함으로써 결합부가 쉽게 마모될 수 있으며, 타격구(10)의 운동에 따라 탄성 스트링(30)이 꼬일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정부(40)와 탄성 스트링(30)은 고정부(40)에 구비된 고정고리(50)에 연결고리(70)를 결합시키고, 연결고리(70)에 탄성 스트링(30)을 결합시키는 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고리(7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연결고리(70)는 폐곡선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고정고리(50)의 원주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탄성 스트링(30)이 결합된 연결고리(70)가 움직임에 따라, 타구 연습자는 더 넓은 타격 반경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고리(70)는 고정고리(5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 운동을 할 수도 있으므로, 타격구(10)의 운동 방향에 대한 자유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연결고리(70)와 탄성 스트링(30)이 직접 접촉함으로써 결합부가 쉽게 마모될 수 있으며, 탄성 스트링(30)의 꼬임을 방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고정부(40)와 탄성 스트링(30)은 고정부(40)에 구비된 고정고리(50)에 연결고리(70)를 결합시키고, 연결고리(70)에 꼬임 방지구(60)의 일단에 구비된 연결링(63)을 결합시킨 후, 꼬임 방지구(60)의 타단에 구비된 연결링(63)에 탄성 스트링(30)을 결합시키는 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고리(70)는 고정고리(5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꼬임 방지구(60)는 연결고리(7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서, 가장 넓은 타격 반경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타격구(10)의 운동 방향에 대해서도 가장 높은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꼬임 방지구(60)를 구비함으로써 탄성 스트링(30)과 연결고리(70) 간의 결합부에서 탄성 스트링(30)의 꼬임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방법들과 비교할 때, 타구 연습시 실제 타구와 가장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 가능한 연결고리(70)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연결고리(70)는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 스트링(30)과 고정부(40)에 구비된 고정고리(5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고리(70)는 고리부(72)와 개폐부(71)를 포함하며, 고리부(72)는 개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72)의 양단을 개폐부(71)가 연결함으로써 폐곡선이 완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71)는 일시적으로 개방되어 연결고리(70)를 개곡선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개폐부(71)의 개방으로인해 개구부가 형성되면, 이 개구부를 통해 고정고리(50) 또는 꼬임 방지구(60)의 연결링(63)이 연결고리(7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 후에는 개폐부(71)를 폐쇄하여 연결고리(70)와 고정고리(50) 사이의 결합 또는 연결고리(70)와 연결링(63)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고리(70)는 고정고리(50)의 원주를 따라 이동하고, 고정고리(5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는 모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 타원형, 다단 절곡에 의한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는 나사결합에 의한 개폐부(71)를 구비한 연결고리(7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의 연결고리(70)는 고리부(72) 양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개폐부(71)의 내주면에 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부(71)는 나사결합에 의해 고리부(72)에 결합되어 있다. 개폐부(71)와 고리부(72) 사이의 나사결합을 풀거나 조임으로써 개폐부(71)를 고리부(72)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개폐부(71)가 고리부(72)의 양단과 모두 결합하면 연결고리(70)는 폐곡선 형상이되고, 고리부(72)의 일단과만 결합하면 개곡선 형상이 된다.
도 5b는 힌지결합에 의한 개폐부(71)를 구비한 연결고리(70)를 나타낸 도면이다. 고리부(72)의 일단과 개폐부(71)의 일단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결합부에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71)를 가압하면,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부(71)가 회전운동하면서 개구부가 형성되어 연결고리(70)는 개곡선의 형상이 될 수 있다. 반대로 가압이 끝나면, 개폐부(71)가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구하여 연결고리(70)는 폐곡선이 형상이 될 수 있다.
연결고리(70)의 개폐부(71)는 연결고리(70)에 일시적인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든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격구(10)에 부착하기 전의 스트링 결합부(2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링 결합부(20)는 타격구(10)의 표면에 접착되어 탄성 스트링(30)을 타격구(1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타격구(10)의 표면이나 스트링 결합부(20)의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본드, 접착 테이프 등의 접착 재료를 사용하여 타격구(10)와 스트링 결합부(20)를 접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타격구(10)에서 스트링 결합부(20)를 부착할 영역(11)에는 양모 등의 커버 부재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타격구(10)의 코어에 직접 스트링 결합부(20)를 부착함으로써 타격구(10)와 스트링 결합부(20) 사이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커버 부재와 스트링 결합부(20)가 결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즉, 커버 부재가 파손됨으로 인하여 스트링 결합부(20)가 타격구(10)와 분리되거나 타격구(10)의 코어가 외부로 노출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스트링(30)은 스트링 결합부(20)를 관통하여 형성된 2개의 스트링 삽입공(21) 중 하나의 삽입공을 통하여 타격구(10)의 표면과 스트링 결합부(20)의 후면 사이로 들어가서, 나머지 하나의 삽입공을 통하여 스트링 결합부(20)의 전면으로 나온 후 서로 묶임으로써 타격구(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탄성 스트링(30)이 스트링 삽입공(21)을 통하여 타격구(10)의 표면과 스트링 결합부(20)의 후면 사이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트링 결합부(20)의 후면에 접착 방지부(22)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트링 삽입공(21)의 개수는 2개로 한정할 것은 아니고, 타격구(10)에 탄성 스트링(30)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면 스트링 삽입공(21)이 3개 이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접착 방지부(22)는 스트링 결합부(20)의 후면에 형성되고, 구체적으로는 탄성 스트링(30)이 지나는 길인 2개의 스트링 삽입공(21)을 연결한 직선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링 결합부(20)의 후면에서 스트링 삽입공(21)과 접착 방지부(22)를 제외한 영역이 접착부(23)로서 타격구(10) 의 코어나 커버 부재에 접착될 것이다. 이처럼 접착 방지부(22)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탄성 스트링(30)을 타격구(10)에 결합시키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착 방지부(22)를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특수 코팅된 스티커, 필름 등 접착 방지 물질을 부착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스트링 결합부(20)의 후면과 타격구(10)의 표면을 접착시키면, 접착 방지 물질이 부착된 위치에는 접착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접착 방지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접착 방지부(22)의 형성 방법은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40) 및 고정고리(5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40)의 일면에 탄성 스트링(30)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고정고리(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고리(50)는 고정부(40)의 하중에 의한 지지력을 탄성 스트링(30)에 전달하는 구성이므로, 고정부(40)와 마찬가지로 충분한 강도를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40)와 고정고리(5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야 결합이 파괴되지 않고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바, 고정고리(50)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부(40)에 체결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40)의 표면에 고정고리(50)가 결합할 수 있는 나사구(41)가 형성되고, 고정고리(5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고리(50)가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부(4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처럼 나사결합에 의할 경우 고정부(40)와 고정고리(50) 간의 결합상 안정성은 유지되면서 작업의 용이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제조 비용 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40), 고정고리(50) 및 너트(51)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고정고리(50)를 고정부(40)에 형성된 나사구(41)에 나사결합 시킨 후, 고정고리(50)의 단부에 너트(51)를 추가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고정고리(50)와 고정부(4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고정고리(50)에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너트(51)는, 타격구(10)의 운동에 따라 고정고리(50)가 외력을 받음으로써 고정고리(50)와 나사구(41) 사이의 나사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고리(50)의 외주면을 따라 타격구(10)가 연결된 연결고리(70)가 움직이게 되므로, 고정고리(50)의 설치 각도는 타격구(10)의 운동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고리(50)의 설치 각도를 조정함에 따라 타구 연습에 적절한 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고정고리(50)를 고정부(40)에 설치할 때, 고정부(40)의 후면에서 고정고리(50)와 너트(51)를 결합시킴으로써 고정고리(50)의 설치 각도를 보다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
고정고리(50), 나사구(41) 및 너트(51)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결합부에 록타이트(Loctite)등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고리(5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나사구(41)를 통해 고정부(40)의 후면으로 노출된 고정고리(50)의 일단에 너트(51)를 결합시키는 작업은 토크 렌치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너트(51)를 결합시키는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정부(40)의 후면에서 너트결합구(42)를 형성할 수 있다. 너트결합구(42)는 고정부(40)의 전면에서 형성된 나사구(41)와 연결되되, 나사구(41)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토크 렌치 등의 도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너트(51)는 너트결합구(42) 내부에서 고정고리(50)와 결합하므로, 지면 상에서 고정부(40)가 수평을 유지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타격구 11 : 스트링 결합부 부착 영역
20 : 스트링 결합부 21 : 스트링 삽입공
22 : 접착 방지부 23 : 접착부
30 : 탄성 스트링 40 : 고정부
41 : 나사구 42 : 너트결합구
50 : 고정고리 51 : 너트
60 : 꼬임 방지구 61 : 몸체부
62 : 연결링 이음부 63 : 연결링
70 : 연결고리 71 : 개폐부
72 : 고리부 111 : 타격구
112 : 구멍 113 : 고무줄
114 : 컨테이너 115 : 투입구
116 : 마개

Claims (8)

  1. 타격 연습의 대상이 되는 타격구;
    타격 연습 중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일단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타격구에 연결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 스트링; 및
    상기 타격구의 표면에 접착되어 상기 탄성 스트링을 상기 타격구에 연결하기 위한 스트링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트링 결합부에는 상기 탄성 스트링을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링 결합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스트링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 결합부의 후면은, 상기 복수의 스트링 삽입공 사이에서 상기 스트링 결합부와 상기 타격구가 접착되지 않게 하는 접착 방지부와, 상기 복수의 스트링 삽입공과 상기 접착 방지부를 제외한 영역으로서 상기 스트링 결합부와 상기 타격구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스트링 결합부의 외측 에지를 따라 폐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 방지부는 상기 복수의 삽입공과 인접하면서 상기 폐곡선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스트링 결합부가 상기 타격구에 접착될 때, 상기 타격구에서 상기 스트링 결합부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커버 부재가 제거되고 상기 커버 부재가 제거된 위치에서 상기 스트링 결합부가 상기 타격구의 코어에 접착되는, 타구 연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결합부는 피혁으로 형성되는, 타구 연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나사구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에 고정고리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고정고리에 상기 탄성 스트링이 연결되는, 타구 연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리는
    개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양단을 연결하여 폐곡선 형상을 완성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여 일시적으로 개곡선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여 상기 고정고리와 연결되는, 타구 연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트링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꼬임 방지구는
    상기 꼬임 방지구 중앙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 양단에 결합된 한 쌍의 연결링 이음부;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링 이음부의 말단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링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연결링 중 하나에 상기 탄성 스트링이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링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고정고리 또는 상기 연결고리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탄성 스트링이 상기 꼬임 방지구를 통해 상기 고정부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링 이음부는 회전 가능한, 타구 연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성 스트링은 복수의 고무줄의 외주면을 외피로 감싸 하나의 스트링을 형성하는, 타구 연습 장치.
KR2020180004521U 2018-10-01 2018-10-01 타구 연습 장치 KR200491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21U KR200491300Y1 (ko) 2018-10-01 2018-10-01 타구 연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21U KR200491300Y1 (ko) 2018-10-01 2018-10-01 타구 연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300Y1 true KR200491300Y1 (ko) 2020-03-18

Family

ID=6994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521U KR200491300Y1 (ko) 2018-10-01 2018-10-01 타구 연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598A1 (ko) * 2020-08-28 2022-03-03 전시병 테니스볼 연습기
KR20220029360A (ko) * 2020-08-28 2022-03-08 전시병 테니스볼 연습기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7353A (en) * 1977-03-16 1979-04-03 Moore Jerrell O Soccer retriever
JPS614673U (ja) * 1984-06-13 1986-01-11 正三 仙田 1人打用テニスボ−ル
KR19980058354U (ko) * 1997-02-21 1998-10-26 김기춘 연습용 공
KR200403939Y1 (ko) * 2005-10-04 2005-12-14 이덕수 구기 연습 기구
KR20070093927A (ko) * 2007-07-25 2007-09-19 조정식 축구공의 고리구멍
CN200963498Y (zh) * 2006-10-25 2007-10-24 张晋嘉 高尔夫球打击练习器
KR20080000683U (ko) * 2006-10-23 2008-04-28 송준실 라켓용 연습구
KR20100011089U (ko) 2009-05-04 2010-11-12 정창협 나홀로 테니스
KR101129696B1 (ko) * 2011-12-02 2012-03-28 글로벌라테스그룹(주) 휴대용 테니스 연습장치
KR20150018328A (ko) * 2013-08-09 2015-02-23 전시병 볼 연습기
KR20180000503U (ko) * 2016-08-12 2018-02-21 김기태 나홀로 탁구 연습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7353A (en) * 1977-03-16 1979-04-03 Moore Jerrell O Soccer retriever
JPS614673U (ja) * 1984-06-13 1986-01-11 正三 仙田 1人打用テニスボ−ル
KR19980058354U (ko) * 1997-02-21 1998-10-26 김기춘 연습용 공
KR200403939Y1 (ko) * 2005-10-04 2005-12-14 이덕수 구기 연습 기구
KR20080000683U (ko) * 2006-10-23 2008-04-28 송준실 라켓용 연습구
CN200963498Y (zh) * 2006-10-25 2007-10-24 张晋嘉 高尔夫球打击练习器
KR20070093927A (ko) * 2007-07-25 2007-09-19 조정식 축구공의 고리구멍
KR20100011089U (ko) 2009-05-04 2010-11-12 정창협 나홀로 테니스
KR101129696B1 (ko) * 2011-12-02 2012-03-28 글로벌라테스그룹(주) 휴대용 테니스 연습장치
KR20150018328A (ko) * 2013-08-09 2015-02-23 전시병 볼 연습기
KR20180000503U (ko) * 2016-08-12 2018-02-21 김기태 나홀로 탁구 연습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598A1 (ko) * 2020-08-28 2022-03-03 전시병 테니스볼 연습기
KR20220029360A (ko) * 2020-08-28 2022-03-08 전시병 테니스볼 연습기
KR102571025B1 (ko) * 2020-08-28 2023-08-29 전시병 테니스볼 연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300Y1 (ko) 타구 연습 장치
US7798926B1 (en) Composite baseball bat
US7300388B2 (en) Training apparatus and system
US8512175B2 (en) Ball bat including a barrel portion having separate proximal and distal members
US20050288130A1 (en) Training bat
US20140031178A1 (en) Swing exercising apparatus
US6663544B2 (en) Impinger for strapped handgrip
US4027880A (en) Tennis tuner
US20190116759A1 (en) Fetch toy with internally anchored elastic cord
US20090197711A1 (en) Lacrosse ball and stick practice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EP2524719B1 (en) Athletic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210086015A1 (en) Exercise band
US20180221738A1 (en) Athletic equipment weight apparatus
US20090298619A1 (en)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3502337A (en) Game device having a resiliently tethered ball
US20050153795A1 (en) Extended-use ball striking training device
US5597159A (en) Batting practice device
US5544886A (en) Golf practice device
JP2010075307A (ja) テニス用ボール打ち練習具
US20210236894A1 (en) Compression sleeve wrap and reinforced methodology for a wood bat
US20050085156A1 (en) Tethered toy with safety disconnect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operation
KR20210053295A (ko) 스윙 트레이너 (a swing trainer)
KR20190000946U (ko) 개인 연습용 공 틀
KR200452022Y1 (ko) 공기저항을 이용한 골프 스윙 연습구
CA2671145C (en) Composite baseball b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