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220U -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연습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220U
KR20220000220U KR2020200002572U KR20200002572U KR20220000220U KR 20220000220 U KR20220000220 U KR 20220000220U KR 2020200002572 U KR2020200002572 U KR 2020200002572U KR 20200002572 U KR20200002572 U KR 20200002572U KR 20220000220 U KR20220000220 U KR 202200002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ng
table tennis
coupling cap
pong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541Y1 (ko
Inventor
현승수
김은주
Original Assignee
현승수
김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승수, 김은주 filed Critical 현승수
Priority to KR2020200002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54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5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5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prior to kicking, strik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91Balls fixed to a movable, tiltable or flexible a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받침대 상부로 길게 배치된 지지대는 결합캡을 이용하여 탁구공과 결합하고, 탁구공 내부로 내입되는 지지대 단부는 수지방울층이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반복된 탁구공 타격에 의한 분리가 이루어질 때 탁구공과 결합캡의 결합부분에서 먼저 탈거가 이루어지게 하여 지지대의 단부에는 수지방울층이 항상 위치하게 함으로써 지지대의 탄성복귀시 사용자 얼굴에 부딪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연습장치{Personal table tennis training device with improved safety}
본 고안은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받침대 상부로 길게 배치된 지지대는 결합캡을 이용하여 탁구공과 결합하고, 탁구공 내부로 내입되는 지지대 단부는 수지방울층이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반복된 탁구공 타격에 의한 분리가 이루어질 때 탁구공과 결합캡의 결합부분에서 먼저 탈거가 이루어지게 하여 지지대의 단부에는 수지방울층이 항상 위치하게 함으로써 지지대의 탄성복귀시 사용자 얼굴에 부딪쳐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구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탁구공(ball), 탁구대(die), 라켓(racket) 및 연습상대 등이 필요하다. 근래에는 탁구공을 자동으로 던져주는 자동 탁구 연습기(장치)가 개발되어 연습상대 없이 단독으로 탁구 연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탁구는 탁구공을 타격하기 위해 타구공을 지속적으로 쳐다봐야 하는 집중력을 요하면서, 라켓을 잡고 있는 팔을 휘두르는 운동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나이가 많이 든 노인들의 생활체육으로 적합하다. 또한 활동적으로 좌우 이동하지 않고 탁구공만 반복적으로 치는 동작만으로도 집중력 및 일정한 운동량을 제공하기 때문에 노인 치매 개선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탁구는 두 사람이 같이 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혼자서 연습하기에는 곤란함이 있었다.
이에 한국실용신안 공고번호 실1982-0002087호(1982.10.06. 공고; 이하 '선행문헌1' 이라 함))에서 탁구연습기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의 탁구연습기는 탁구공을 자동으로 던져주어 연습상대 없이 탁구 연습을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에서 제시된 탁구 연습기는 장치적인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필요로 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짐으로 인하여 부피가 크다. 이에 따라, 충분한 설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설치 공간의 제약이 따른다. 또한, 매우 고가임으로 인하여 일반인들이 구입하여 사용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187823호(2000.04.21.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에서 제시된 탁구연습대는 탁구대의 형태를 변형하여 타격한 탁구공이 변형된 탁구대에 의해 튕겨져서 다시 연습자에게 되돌아오는 구성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동력없이 탁구공이 다시 되돌아오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혼자 연습이 가능하나, 강한 타격시에는 받아치기가 어렵고, 되돌아오는 탁구공의 경로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탁구공을 주우러 가는 일이 빈번하게 이루어짐으로, 운동신경이 다소 떨어지는 노인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65455호(2014.02.14.등록; 이하 '선행문헌3'이라 함)에서도 개인이 연습할 수 있는 탁구연습기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3은 탁구공을 타격체로 하고, 긴 지지대의 일단에 일체로 결합하고, 지지대 하부에는 받침대를 구성하여 스스로 직립시키게 한 다음 타격체만 타격하게 하는 구조이다. 상기 선행문헌3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저렴한 비용으로 보급이 가능하고, 타격후 원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공을 주우러 다닐 필요가 없어 거동이 불편한 사람도 쉽게 탁구연습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3은 단단한 수지재로 지지대를 형성하여 타격체와 일체로 구비할 경우 반복되는 타격에 의해 타격체와 지지대의 연결부분이 파손될 수 있고, 지지대의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 탁구공와의 접촉면적 증가로 타격시 둔탁한 소리가 발생되어 탁구공과는 이질감을 느끼게 한다.
이에 일부에서는 결합캡을 통해서 결합캡과 탁구공을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제공해 타격후 탁구공이 분리되어도 다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수명을 증가시키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결합캡을 이용한 방식은 타격에 의한 분리시 탁구공과 결합캡이 분리되지 않고 탁구공이 결합된 결합캡이 지지대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지지대 단부가 그대로 노출된다. 특히 사용자는 탁구공을 타격하기 위해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타격후 되돌아오는 지지대를 피하지 못하고 몸으로 맞는 일이 자주 발생되고,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아서 운동을 즐기는 노인 또는 신체가 불편한 사람일 경우 지지대 단부의 높이가 얼굴높이와 유사하기 때문에 탄성복원되는 지지대의 단부에 의해 얼굴이 손상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타격에 의해 탁구공이 탈거되어도 탄성복원되는 지지대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적인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실용신안 공고번호 실1982-0002087호(1982.10.06. 공고; 이하 '선행문헌1' 이라 함))에서 탁구연습기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187823호(2000.04.21.등록;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에서 제시된 탁구연습대 한국등록특허 제10-1365455호(2014.02.14.등록; 이하 '선행문헌3'이라 함)에서도 개인이 연습할 수 있는 탁구연습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개인 탁구연습장치는,
결합캡과 지지대 사이의 결합력을 탁구공과 결합캡 사이의 결합력보다 높여 타격에 의한 분리시 탁구공이 먼저 분리되도록 하고, 지지대의 단부는 수지방울층을 형성하여 인체에 부딪쳐도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 안전성을 향상시켜 거동이 자유롭지 못한 자가 사용하여도 부상없이 안전적으로 탁구연습이 가능하게 하는 개인 탁구연습장치에 관한 것입니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개인 탁구연습장치는,
설치바닥에 안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탁구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인 탁구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탁구공은 저면에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는 관통구가 축방향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측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탁구공의 결합구에 끼워서 고정되는 결합캡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측단부가 상기 결합캡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탁구공 내부에 표출되되, 표출된 단부에는 수지제로 부피를 갖는 곡면체인 물방울 형태의 수지방울층을 형성하여 단부를 안전한 구조로 변경하면서 외력에 의해 결합캡이 지지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지방울층은 에폭시접착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방울층은 외면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캡의 관통구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에서 상측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직경을 확장시킨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수지방울층을 형성하는 수지제가 일부 내입시켜 결합캡과 수지방울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캡의 테이퍼부 내면에는 축중심을 향해 상향돌출된 환형 또는 바형의 걸림돌기가 다수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수지방울층 하부로 내입되도록 구성해 외력 작용시 걸림력을 증가시켜 결합캡이 지지대 상단으로 이동되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고안의 개인 탁구연습장치는,
지지대에 의해 타격된 탁구공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좁은 실내에 설치하여 개인이 혼자 탁구연습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같이 탁구공을 주우러 갈필요가 없이 제자리에서 연습이 가능함으로 노인이나 신체 움직임이 불편한 사람 또는 휠체어를 탄 사람도 혼자 연습이 가능하여 지속적인 운동활동을 유지하게 할 수 있게 하여 노인이나 신체장애를 갖는 사람도 비교적 쉽게 운동이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탁구공에 내입된 지지대의 상측 단부에는 수지방울층에 의해 부피를 갖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탁구공이 분리되어 지지대 단부가 노출된 상태로 사용자 신체에 부딪쳐도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성이 향상되어 성인은 물론 노인이나 신체가 불편한 사람도 사용이 가능하게 하였고, 혼자 지속적인 연습이 가능함으로 운동량을 증가시켜 사용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탁구연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부 결합단면도 및 분리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지방울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a와 도 4d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탭과 수지방울층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c와 도 4d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돌기가 형성된 결합탭을 상부측에서 본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탁구연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부 결합단면도 및 분리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개인 탁구연습장치(10)는 설치바닥에 안치되는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탁구공(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20)는 목재,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목재로 형성할 경우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1)와, 넓은 면으로 설치바닥에 안착되는 안치부재(22)로 분리구성하여 안치부재 중심에 고정부재를 결합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21)는 안치부재(22)의 중앙에서 상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지지대와 접촉되는 길이를 증가시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안치부재의 두께를 감소시켜도 지지대의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경우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해 내부를 중공부로 형성하여 설치시 내부에 물 또는 모래를 충전시켜 중량을 증가시키는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0)는 탄성에 의해 원위치복원이 용이한 탄성체가 사용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금속사, 플라스틱 및 스프링이다. 상기 지지대(30)는 하단이 받침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탈부착이 용이한 형태로 제공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 하단은 별도의 보조부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보조부재와 보조부재가 결합되는 받침대 상부면 중앙에는 서로 대응되는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착탈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으로는 나사결합방식 회전걸림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탁구공(40)은 저면에 결합구(41)가 형성되어 지지대(30)의 상단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탁구공은 지지대를 직접 내입하여 고정시키는 것보다는 별도의 결합캡(50)을 통해서 지지대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캡과 탁구공은 부착방식이 아닌 끼움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타격시 탁구공 고유의 경쾌한 타격음와 유사한 음을 발생시켜 사실적인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합캡(50)은 중심에 축방향인 수직으로 관통구(51)가 형성되고, 외부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끼움홈(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캡(50)의 관통구(51)에는 지지대(30)를 내입하여 고정시키고, 결합캡의 끼움홈(52)에는 탁구공 저면의 결합구(41) 부분이 끼워지도록 하여 탁구공을 고정시킴으로써 지지대와 탁구공이 결합캡을 통해서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캡(50)은 끼움홈(52) 하부측의 받침부(54)과 끼움홈 상부의 머리부(53)로 구분할 수 있으며, 받침부(54)는 머리부보다 넓게 형성하여 탁구공 저면을 받치게 하면서 넓은면을 통해 접착층을 형성하여 일체로 부착시킬 수 있고, 머리부(53)는 상부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하여 탁구공 저면의 결합구(41)에 용이하게 끼워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캡(50)의 길이는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길게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6~20mm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다. 즉, 결합캡(50)의 수직두께가 얇을 경우 지지대가 결합캡 관통구(51)를 힌지점으로 작용하여 결합각도가 비틀릴 수 있으므로, 결합캡의 길이를 증가시켜 관통구(51)와 지지대(30)의 접촉면적을 증가로 지지력을 상승시켜 지지대가 일측으로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지지대(30)는 상단을 결합캡(50)의 상부로 일부 돌출시켜 탁구공(40) 내부로 표출되도록 하고, 표출된 지지대 상단은 수지제를 이용하여 곡면인 물방울 형태로 부피를 형성한 수지방울층(6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지방울층(60)은 지지대 상단을 덮으면서 부피를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탁구공(40)을 타격하여 탁구공이 지지대로부터 분리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지대 단부측이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지지대(30) 단부가 사용자 신체에 부딪쳐도 넓고 곡면을 갖는 수지방울층(60)의 표면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방울층(60)은 접착제를 통해서 모양을 형성함으로써 수지방울층과 지지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수지방울층(60)과 지지대(30)의 결합력은 최소한 탁구공(40)과 결합캡(50)의 결합력보다 높게 형성하여 외력 작용시 지지대로부터 수지방울층이 분리되기 이전에 탁구공이 먼저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방울층(60)을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접착성분으로는 에폭시접착제를 사용하여 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에폭시접착제는 경화제와 혼합하여 사용시 일정시간 열이 발생되고 1일 또는 2일 후에는 접착물체와 일체로 구성될 정도로 강한 결합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결합캡 관통구(51)로 지지대를 삽입하여 상부로 일부 표출되도록 하고, 표출된 지지대(30) 상단이 내포되도록 에폭시접착제로 도포하여 물방울 모양으로 수지방울층(60)을 형성한 다음 건조시키고, 건조가 완료되면 탁구공(40)을 결합캡(5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지방울층(60)에는 쿠션층(61)이 더 코팅될 수 있다. 수지방울층을 형성하는 접착성분은 응고되면서 딱딱하게 굳기 때문에 쿠션층을 더 코팅시켜 충격을 흡수시키는 완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쿠션층(61)은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및 연재질의 합성수지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탁구공과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상기 수지방울층과 쿠션층 부분의 직경은 탁구공 저면의 결합구 직경보다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하여야 한다.
도 4a를 참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결합캡(50)은 관통구 상부측에 외측으로 점진적으로 넓은 직경을 갖도록 테이퍼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55)는 수지방울층(60)의 하부가 내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수지방울층을 형성하는 접착성분이 수지방울층(60)과 지지대(30) 뿐만아니라 결합캡(50)과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것이다.
상기 테이퍼부(55)는 결합캡 관통구(51)의 중간지점에서 상부측으로 이루어지며 테이퍼부가 형성된 관통구 상단의 직경은 관통구 하단의 직경보다 2~5배 크게 형성하여 테이퍼부가 수지방울층 하부와 접하여 일체로 부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결합캡의 테이퍼부(55) 내면에는 축 중심을 향해 상향으로 걸림돌기(56)가 돌출되어 수지방울층(60) 하부에 내입되어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축방향으로 하중 발생시 걸림돌기가 쐐기 역할을 하여 걸림이 이루어져 결합캡이 순간적으로 확장되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56)는 도 4c와 같이 점 또는 바형태로 돌출되되 테이퍼부(55)의 면에 다수 형성되거나, 도 4d와 같이 하나의 환형 또는 다수개의 동심원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하여 수지방울층(60)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의 개인 탁구연습장치(10)는,
탁구공(40)에 반복되는 타격에 의해 분리가 이루어질 때 지지대(30)는 수지방울층(60)에 의해 결합캡(50)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단순히 끼움방식으로 장착된 탁구공(40)이 결합캡(50)으로부터 분리되어 탈거된다.
상기 타격에 의해 휘어진 지지대(30)가 탄성복원력 및 반발력에 의해 복귀되면서 사용자 신체에 부딪칠 수 있는데, 이때 지지대(30) 상단에는 결합캡(50)과 수지방울층(60)이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성이 강화됨에 따라 협소한 장소에서의 탁구연습은 물론 노인이나 신체활동이 불편한 사람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 운동량 증가로 체력향상에 도움을 주는 효과의 제공이 가능하다.
10 : 탁구연습장치
20 : 받침대
21 : 고정부재 22 : 안치부재
30 : 지지대
40 : 탁구공
41 : 결합구
50 : 결합캡
51 : 관통구 52 : 끼움홈
53 : 머리부 54 : 받침부
55 : 테이퍼부 56 : 걸림돌기
60 : 수지방울층
61 : 쿠션층

Claims (5)

  1. 설치바닥에 안치되는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탁구공(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인 탁구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탁구공(40)은 저면에 결합구(41)가 형성되고;
    상기 탁구공의 결합구에는 결합캡(50)이 결합되되, 상기 결합캡은 관통구(51)가 축방향으로 상하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측면에는 끼움홈(52)이 형성되어 탁구공의 결합구에 끼워서 고정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30)는 상측단부가 상기 결합캡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탁구공 내부에 표출되되, 표출된 단부에는 수지제로 부피를 갖는 곡면체인 물방울 형태의 수지방울층(60)을 형성하여 단부를 안전한 구조로 변경하면서 외력에 의해 결합캡이 지지대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탁구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방울층(60)은 에폭시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탁구연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방울층(60)은 외면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층(6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탁구연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캡의 관통구(51)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중간에서 상측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직경을 확장시킨 테이퍼부(55)를 형성하여, 수지방울층(60)을 일부 내입시켜 결합캡과 수지방울층의 접착면적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탁구연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캡의 테이퍼부(55) 내면에는 축중심을 향해 상향돌출된 환형 또는 바형의 걸림돌기(56)가 다수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수지방울층(60) 하부로 내입되도록 구성해 외력 작용시 걸림력을 증가시켜 결합캡이 지지대 상단으로 이동되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탁구연습장치.
KR2020200002572U 2020-07-17 2020-07-17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연습장치 KR200495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72U KR200495541Y1 (ko) 2020-07-17 2020-07-17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72U KR200495541Y1 (ko) 2020-07-17 2020-07-17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20U true KR20220000220U (ko) 2022-01-25
KR200495541Y1 KR200495541Y1 (ko) 2022-06-22

Family

ID=8004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572U KR200495541Y1 (ko) 2020-07-17 2020-07-17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541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2087Y1 (ko) 1981-08-21 1982-10-06 유상엽 탁구 연습기
KR200187823Y1 (ko) 2000-01-12 2000-07-15 한상희 탁구 연습대
KR20130119719A (ko) * 2012-04-24 2013-11-01 이강년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KR101365455B1 (ko) 2012-06-18 2014-02-24 이두성 탁구 연습기
JP3193694U (ja) * 2014-08-04 2014-10-16 正祠 榊原 卓球ボール打撃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3694B2 (ja) * 1999-03-17 2001-07-30 株式会社アイ.エス.テイ 管状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2087Y1 (ko) 1981-08-21 1982-10-06 유상엽 탁구 연습기
KR200187823Y1 (ko) 2000-01-12 2000-07-15 한상희 탁구 연습대
KR20130119719A (ko) * 2012-04-24 2013-11-01 이강년 배드민턴 타구 연습 장치
KR101365455B1 (ko) 2012-06-18 2014-02-24 이두성 탁구 연습기
JP3193694U (ja) * 2014-08-04 2014-10-16 正祠 榊原 卓球ボール打撃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541Y1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906B2 (en) Flexible golf tee for driving range
EP1997403A1 (de) Aktivdynamische Sitzvorrichtung
CN102574009A (zh) 具有悬挂式面板的高尔夫球杆组件和高尔夫球杆
US6045462A (en) Tennis ball tee
KR200495541Y1 (ko) 안전성이 향상된 개인 탁구연습장치
US20030216197A1 (en) Vibration damping field hockey stick
EP1979060A1 (en) A recreational apparatus providing up and down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US11291893B2 (en) Educational golf club
EP2801395A1 (en) Golf club for teaching or learning golf
US3480274A (en) Gymnastic amusement device
US6533672B1 (en) Rotatable and pivotable amusement apparatus
KR200316627Y1 (ko) 연습용 골프채
JP3529966B2 (ja) 衝撃減衰バット
CN107485860B (zh) 一种安全的自转转椅
US4351530A (en) Plastic bowling pin
KR200486832Y1 (ko) 골프 스윙 연습기
JP4293868B2 (ja) 素振り用練習器
CN216222857U (zh) 一种玩具拳击靶
JP3146079U (ja) 打撃練習装置
KR20010099365A (ko)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골프 티
CN205287514U (zh) 足球训练板
KR200276715Y1 (ko) 유아용 야구놀이 완구
CN220656287U (zh) 一种盲人用可发声跳绳
KR101450129B1 (ko) 연습용 골프채
CN210845222U (zh) 一种健美操训练用踏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