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115U -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115U
KR20220000115U KR2020200002387U KR20200002387U KR20220000115U KR 20220000115 U KR20220000115 U KR 20220000115U KR 2020200002387 U KR2020200002387 U KR 2020200002387U KR 20200002387 U KR20200002387 U KR 20200002387U KR 20220000115 U KR20220000115 U KR 202200001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xing
spacer
fixing part
corrugat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식
Original Assignee
정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식 filed Critical 정문식
Priority to KR2020200002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115U/ko
Publication of KR202200001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이 고안의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200)는 서로 간에 맞물림 조립할 경우 파형관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230)가 내부에 형성되고, 대면적으로 슬라이드 조립을 위한 제1, 제2 블록돌기(240, 250)와 제1, 제2 블록홈(260, 270)이 외측에 형성되는 제1, 제2 몸체(210, 220)를 포함하며, 고정부(230)는 파형관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로 접촉하도록 고정될 파형관의 길이방향으로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파형관을 고정하는 고정면(230a)과, 고정면(230a)의 양측에서 각 단부쪽을 향해 점점 커지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파형관의 굽힘 변형을 수용하는 한 쌍의 변형 수용면(230b)을 갖는다.

Description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SPACER FOR FIXING CORRUGATED PIPE}
이 고안은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형관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 양측에서의 파형관의 꺾임을 방지하고, 파형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지중의 외부로 빠르게 발산할 수 있는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케이블을 매설함에 있어서, 땅을 파고 케이블을 별도의 보조장치 없이 그대로 매설할 경우, 케이블이 엉킬 수 있고 또한 케이블이 어떤 케이블인지를 분간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케이블이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공사시에 포크레인 등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194962호에는 "파형관용 스페이서"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도 1은 실용신안등록 제20-0194962호의 파형관용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형관용 스페이서의 상부에 다른 파형관용 스페이서를 적층시킨 상태의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형관용 스페이서(10)는 그 상부에 반원형 홈부(1)가 다수개 형성되고 하부에도 반원형 홈부(4)가 다수개 형성되는데, 이들 반원형 홈부(1, 4)가 서로 간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원형 홈부(1)사이의 상면에는 각각 삽입돌기(2)가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 홈부(4)사이의 하면에는 각각 삽입홈(3)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파형관용 스페이서(10)의 반원형 홈부(1)내에 파형관을 각각 위치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 파형관용 스페이서(10)의 상부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파형관용 스페이서(20)를 계속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가 있다.
즉, 상기 파형관용 스페이서(10)의 상하부에 형성된 삽입돌기(2)와 삽입홈(3)을 이용하여 삽입돌기(2)를 다른 파형관용 스페이서(10)의 삽입홈(3)에 삽입시킴으로써 파형관용 스페이서(20)를 적층하여 결합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적층된 파형관용 스페이서(10, 20)의 홈부(1, 4)에 파형관을 끼워 고정하고, 이 파형관의 내부에 다수의 케이블을 질서정연하게 배치할 수가 있다.
그런데, 도 1 및 도 2와 같은 종래의 파형관용 스페이서(10)는 홈부(1, 4)가 파형관의 설치방향으로 직선형태의 표면, 즉 파형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표면이 직선형태만을 가짐에 따라, 스페이서(10)의 외측에 위치하는 파형관에 가해지는 외력(흙의 무게, 충격 등)에 의해 파형관이 꺾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파형관의 꺾임 현상이 발생하면, 파형관의 내부에 전선을 포설할 수가 없어 파형관을 재시공해야만 한다. 그런데, 파형관의 재시공을 위해 이미 포설된 파형관 내부의 전선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파형관의 꺾임 부위로 인해 전선이 잘 빠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파형관용 스페이서(10)는 파형관을 고정하는 홈부(1, 4)의 테두리가 폐쇄된 형태, 즉 개방홈이나 구멍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음에 따라, 파형관 내부의 전선에서 발생하는 열을 지중으로 빠르게 발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20-0429651호에는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도 3은 실용신안등록 제20-0429651호의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를 다수개 조립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상세도이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429651호는 1단 및 2단 스페이서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파형관의 포설 시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간격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는 좌측 및 우측 벽체(112, 113)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제1 및 제2 상부 관통공(110, 111)과, 제1 및 제2 상부 관통공(110, 111)내에 삽입되도록 좌측 및 우측 벽체(112, 113)의 하부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핀(120, 121)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114는 상부 벽체, 115는 구획판, 116, 117는 보강 돌출판, 116a, 116b는 관통공, 118은 원형 돌기, 119는 사이드 원형 관통공, 125는 파형관, 130은 전선을 각각 나타낸다.
그런데, 도 3 및 도 4와 같은 종래의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는 파형관이 접촉하는 상부 벽체(114)의 표면이 평면형태만을 가짐에 따라, 스페이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파형관에 가해지는 외력(흙의 무게, 충격 등)에 의해 파형관이 꺾이는 현상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상술한 바와 동일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파형관(125)은 골과 산을 갖는 원형의 곡면 형태를 갖는데, 종래의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는 파형관(125)이 접촉하는 상부 벽체(114)의 표면이 일직선의 평면 형태를 가짐에 따라, 파형관의 외주면이 스페이서의 관통공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떠 있는 부분이 생겨 그 결합상태가 불안정하고 견고하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194962호 실용신안등록 제20-0429651호
따라서, 이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파형관을 감싸 고정하는 형태로 고정부를 구성하되 양 단부쪽에 파형관의 굽힘 변형을 수용하는 변형 수용면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부 양측에서의 파형관의 꺾임을 방지할 수 있는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고안은 고정부의 테두리를 따라 사방으로 다수개의 홀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파형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지중의 외부로 빠르게 발산할 수 있는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는, 서로 간에 맞물림 조립할 경우 파형관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를 내부에 갖는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파형관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로 접촉하도록 고정될 파형관의 길이방향으로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파형관을 고정하는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의 양측에서 각 단부쪽을 향해 점점 커지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파형관의 굽힘 변형을 수용하는 한 쌍의 변형 수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고안은 파형관을 감싸 고정하는 형태로 고정부를 구성하되 양 단부쪽에 파형관의 굽힘 변형을 수용하는 변형 수용면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고정부 양측에서의 파형관의 꺾임을 방지하여, 파형관의 재시공 작업을 줄이고 전선을 파형관 내부로 편리하면서 원활하게 포설할 수가 있다.
또한, 이 고안은 고정부의 테두리를 따라 사방으로 다수개의 홀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파형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지중의 외부로 빠르게 분사시켜 과열로 인한 파형관의 피해를 예방할 수가 있다.
또한, 이 고안은 상하, 좌우의 대면적 슬라이드 블록 조립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서로 간의 견고한 조립형태로 다수열 및 다층 적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편리한 해체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형관용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형관용 스페이서의 상부에 다른 파형관용 스페이서를 적층시킨 상태의 상세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를 다수개 조립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상세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의 정면도이며,
도 8는 도 6에 도시된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를 다수열 및 다층으로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 실시예는 이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의 정면도이며, 도 8는 도 6에 도시된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를 다수열 및 다층으로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이하, "스페이서"라 함)(200)는 서로 간에 맞물림 조립할 경우 파형관(300)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230)를 내부에 갖는 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는 대면적 슬라이드 조립을 위한 제1, 제2 블록돌기(240, 250)와 제1, 제2 블록홈(260, 270)이 외측에 형성되는 제1, 제2 몸체(210, 2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 몸체(210)는 고정부(230)를 구성하기 위한 1/2 고정부(231)와, 제1 블록돌기(240), 및 제2 블록돌기(250)와 제2 블록홈(270)을 형성하기 위한 1/2 블록돌기(251)와 1/2 블록홈(271)을 갖는다. 그리고, 제2 몸체(220)는 고정부(230)를 구성하기 위한 1/2 고정부(232)와, 제1 블록홈(260), 및 제2 블록돌기(250)와 제2 블록홈(270)을 형성하기 위한 1/2 블록돌기(252)와 1/2 블록홈(272)을 갖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제2 몸체(210, 220)를 서로 간에 맞물림 조립하여 일체화함에 있어서는, 제1 몸체(210)의 1/2 블록돌기(251)의 표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11)와, 제2 몸체(220)의 1/2 블록돌기(252)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221)을 서로 간에 맞물림 조립하고, 제1 몸체(210)의 1/2 블록홈(271)과 1/2 고정부(230)의 연결부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212)과, 제2 몸체(220)의 1/2 블록홈(272)과 1/2 고정부(232)의 연결부의 표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222)를 서로 간에 맞물림 조립함으로써 일체화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체결돌기(211, 222) 및 체결홈(221, 212)은 해당 표면의 대략 1/2 정도의 길이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30)는 인접하는 파형관들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파형관(300)과 동일한 원형 형태와 그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다. 또한, 고정부(230)는 파형관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로 접촉하도록 파형관의 길이방향으로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파형관을 고정하는 고정면(230a)과, 고정면(230a)의 양측에서 각 단부쪽을 향해 점점 커지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파형관의 굽힘 변형을 수용하는 한 쌍의 변형 수용면(230b)을 갖는다. 즉, 고정부(230)는 고정면(230a)을 통해 파형관(300)을 고정하고, 한 쌍의 변형 수용면(230b)을 통해 고정부(230) 양측에서의 파형관(300)의 꺾임을 방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페이서(200)의 외측에 위치하는 파형관에 외력(흙의 무게, 충격 등)이 가해질 경우, 파형관이 고정부(230)의 변형 수용면(230b)을 따라 변형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파형관의 꺾임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파형관의 꺾임을 방지함으로써, 파형관의 재시공 작업을 줄이고 전선을 파형관 내부로 편리하면서 원활하게 포설할 수가 있다.
한편, 이 실시예의 스페이서(200)는 고정부(230)와 제1, 제2 블록돌기(240, 250) 및 제1, 제2 블록홈(260, 270)의 사이에 파형관을 상하,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파형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의 지중으로 원활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홀(280)을 갖는다. 즉, 스페이서(200)는 고정부(230)의 테두리를 따라 사방으로 다수개의 홀(280)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페이서(200)는 돌출된 제1, 제2 블록돌기(240, 250)를 절단하여 제1, 제2 블록홈(260, 270)에 끼워 넣었다고 가정할 경우 정사각형의 외곽 테두리를 갖는다. 따라서, 고정부(230)와 외곽 테두리, 고정부(230)와 제1, 제2 블록돌기(240, 250) 및 제1, 제2 블록홈(260, 270)이 서로 간에 연결되되, 고정부(230)의 테두리를 따라 사방으로 다수개의 홀(280)을 갖도록 서로 간에 연결된다. 또한, 외곽 테두리와 제1, 제2 블록돌기(240, 250)도 서로 간에 연결되되 그 사이에 홀을 갖도록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230)의 테두리를 따라 사방으로 다수개의 홀(280)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파형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지중의 외부로 빠르게 분사시켜 과열로 인한 파형관의 피해를 예방할 수가 있다.
상기 제1, 제2 블록돌기(240, 250)는 외곽 테두리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1, 제2 블록홈(260, 270)은 외곽 테두리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1, 제2 블록돌기(240, 250) 및 제1, 제2 블록홈(260, 270)은 외곽 테두리의 각 표면 중에서 일정 너비를 갖는 대면적으로 각각 형성되되, 슬라이드 블록 조립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스페이서(200)를 상하, 좌우로 다수열 및 다층으로 조립할 경우, 제1, 제2 블록돌기(240, 250) 및 제1, 제2 블록홈(260, 270)이 대면적으로 슬라이드 조립되므로, 서로 간의 견고한 조립형태로 다수열 및 다층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편리한 해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이 고안의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고안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200 : 스페이서 210 : 제1 몸체
220 : 제2 몸체 230 : 고정부
230a : 고정면 230b : 변형 수용면
240 : 제1 블록돌기 250 : 제2 블록돌기
260 : 제1 블록홈 270 : 제2 블록홈
280 : 홀

Claims (5)

  1. 서로 간에 맞물림 조립할 경우 파형관의 둘레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를 내부에 갖는 몸체를 포함하는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파형관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로 접촉하도록 고정될 파형관의 길이방향으로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파형관을 고정하는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의 양측에서 각 단부쪽을 향해 점점 커지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파형관의 굽힘 변형을 수용하는 한 쌍의 변형 수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대면적으로 슬라이드 조립을 위한 제1, 제2 블록돌기와 제1, 제2 블록홈이 외측에 형성되는 제1, 제2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고정부를 구성하기 위한 1/2 고정부와, 상기 제1 블록돌기, 및 상기 제2 블록돌기와 제2 블록홈을 형성하기 위한 1/2 블록돌기와 1/2 블록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고정부를 구성하기 위한 1/2 고정부와, 상기 제1 블록홈, 및 상기 제2 블록돌기와 제2 블록홈을 형성하기 위한 1/2 블록돌기와 1/2 블록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몸체는,
    상기 제1 몸체의 1/2 블록돌기의 표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와, 상기 제2 몸체의 1/2 블록돌기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을 서로 간에 맞물림 조립하고, 상기 제1 몸체의 1/2 블록홈과 1/2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표면을 따라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제2 몸체의 1/2 블록홈과 1/2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표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를 서로 간에 맞물림 조립하여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된 제1, 제2 몸체는 상기 제1, 제2 블록돌기를 절단하여 상기 제1, 제2 블록홈에 끼워 넣었다고 가정할 경우 정사각형의 외곽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와 정사각형의 외곽 테두리,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1, 제2 블록돌기 및 제1, 제2 블록홈이 서로 간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부의 테두리를 따라 사방으로 다수개의 홀을 갖도록 서로 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블록돌기는 정사각형의 외곽 테두리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제2 블록홈은 정사각형의 외곽 테두리의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 블록돌기 및 제1, 제2 블록홈은 정사각형의 외곽 테두리의 각 표면 중에서 일정 너비를 갖는 대면적으로 각각 형성되되, 슬라이드 블록 조립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KR2020200002387U 2020-07-03 2020-07-03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KR202200001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387U KR20220000115U (ko) 2020-07-03 2020-07-03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387U KR20220000115U (ko) 2020-07-03 2020-07-03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15U true KR20220000115U (ko) 2022-01-11

Family

ID=7934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387U KR20220000115U (ko) 2020-07-03 2020-07-03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115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962Y1 (ko) 2000-02-29 2000-09-01 제룡산업주식회사 파형관용 스페이셔
KR200429651Y1 (ko) 2006-07-21 2006-10-25 제룡산업 주식회사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962Y1 (ko) 2000-02-29 2000-09-01 제룡산업주식회사 파형관용 스페이셔
KR200429651Y1 (ko) 2006-07-21 2006-10-25 제룡산업 주식회사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3111B2 (en) Connector
US7581564B2 (en) Protector
KR101223508B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100883384B1 (ko)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
GB2485071A (en) Coupleable wire mesh cable tray
KR20220000115U (ko) 파형관 고정용 스페이서
KR100889841B1 (ko) 로봇 아암의 케이블 지지 유니트
CN210779188U (zh) 底盒连接装置和插座组件
JP2008157376A (ja) 管台および曲がり管並設保持構造
KR100940228B1 (ko) 배전선로 전선관 간격편
JP2016027770A (ja) プロテクタ及び電線モジュール
SK3222002A3 (en) Knob plate
KR200456526Y1 (ko) 아울렛 박스의 공용 커버
KR200496715Y1 (ko) 파형관 이격 스페이서
KR200401148Y1 (ko) 엘보형 케이블 방향전환지지구
JP4717599B2 (ja) 可撓性ケーブルダクト
JP2006158114A (ja) 上下分割型のフリーアクセス管及びその管路
JP4509331B2 (ja) 地中埋設管構造
JP4224758B2 (ja) 地中埋設管とその埋設方法
JP2014147273A (ja) 電線の保護チューブ
KR20190055724A (ko) 라운드가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
KR100511766B1 (ko) 건설용 조립 보강메시
KR100966113B1 (ko) 배선덕트용 콘센트 고정구
JP2003056757A (ja) 地中埋設管ユニット
JP5136341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