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202A - 검체 채취 기구 - Google Patents
검체 채취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8202A KR20210158202A KR1020200076671A KR20200076671A KR20210158202A KR 20210158202 A KR20210158202 A KR 20210158202A KR 1020200076671 A KR1020200076671 A KR 1020200076671A KR 20200076671 A KR20200076671 A KR 20200076671A KR 20210158202 A KR20210158202 A KR 202101582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ject
- isolation
- space
- collection device
- gl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검체 채취 기구는 피검자에게 착용되는 격리복으로서, 외부와 격리되며 피검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격리복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피검자의 신체에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는 글로브로서, 상기 격리복에 형성된 삽입구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글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검체 채취 기구에 관한 것이다.
결핵(tuberculosis), 독감(influenza),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 virus disease-2019, COVID-19)와 같은 호흡기 감염질환의 진단을 위하여 의료인이 환자와 직접 대면하여 문진과 호흡기 검체를 채취하여 검체검사를 검사실에 의뢰하여야 한다. 이때 의료인은 환자에서 유래한 비말에 노출될 수 있으며, 특히 검체 채취 중 비말 감염의 위험성이 가장 높고, 검체 채취 위치와 근접한 곳에 있는 다른 환자도 비말 감염의 위험성이 상존한다. 특히, 최근에 발생한 MERS나 COVID-19와 같이 예기치 못한 감염증의 경우, 감염증의 진단을 위한 의료 현장에서 급격하게 확산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감염 위험을 최소화한 검체 채취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비말 확산을 억제한 검체 채취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검자와 검사자의 접촉을 최소화한 검체 채취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는 피검자에 착용가능하게 구성되는 격리복으로서, 피검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되 외부공간과 격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격리복; 상기 격리복에 형성된 삽입구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글로브;를 포함한다.
상기 격리복과 상기 글로브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글로브는 상기 삽입구에 실링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글로브는, 검사자의 팔이 삽입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구획된 팔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글로브는, 검사자의 손이 수용되는 파지부; 검사자의 팔이 수용되며, 상기 파지부와 상기 삽입구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격리복의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면서, 분리되는 부분이 실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글로브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격리복의 내부에 위치한 제1 상태; 상기 파지부가 상기 격리복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2 상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파지부가 그 내부에 외부공간과 구획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3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글로브가 상기 제1 상태일 때, 그 외면이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되고, 상기 글로브가 상기 제3 상태일 때, 상기 외면이 상기 밀폐공간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격리복은, 피검자의 상반신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의복몸체; 피검자의 팔이 수용되며, 상기 의복몸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소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로브는, 상기 의복몸체 상에 상기 소매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매부는, 피검자의 팔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피검자의 팔이 관통하는 소매개구를 형성하는 소매 개구형성부; 상기 소매 개구형성부를 피검자의 팔에 밀착시키는 소매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리복은, 상기 의복몸체 내면에 검체 채취를 위한 채취도구가 수납되는 도구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리복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외부로의 오염물질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복몸체는,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설정된 크기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피검자에게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둘레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폭을 설정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상기 지지프레임은, 피검자의 머리가 지나는 삽입홀을 갖고, 피검자의 어깨에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피검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리복은, 피검자의 머리가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격리헬멧;을 포함하고, 상기 격리헬멧은,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설정된 크기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피검자의 머리 전방에서 개구를 형성하는 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개구를 밀폐하는 전면커버로서, 상기 글로브가 위치하는 전면커버;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방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커버와 함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후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후면커버를 지지하는 후방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복몸체는, 피검자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용되도록 개방된 몸체개구를 형성하는 몸체개구형성부; 상기 몸체개구형성부를 피검자에게 밀착시키는 몸체밀착부;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상기 몸체밀착부는, 벨크로타입 또는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격리복을 통해 피검자에게 밀폐된 수용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호흡과 비말을 통한 감염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검자와 검사자의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감염으로부터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2a, 2b,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글로브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가 피검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변형에 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측면도.
도 2a, 2b,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글로브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가 피검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변형에 관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측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이다.
검체채취기구(1)는 전체적으로 피검자가 착용하는 의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검체채취기구(1)는 피검자와 검사자를 공간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피검자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감염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반복된 검사로 인해 검사자가 바이러스에 노출된 경우, 검사과정에서 피검자에게 바이러스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감염으로부터 피검자와 검사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검체채취기구(1)는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피검자와 검사자 사이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검체채취기구(1)는 위생을 고려하여, 일회용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회용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공기유출입 차단을 위한 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검체 채취 기구는 격리복(10)(quarantine suit)과 검체 채취용 글로브(70)를 포함할 수 있다.
격리복(10)은 피검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의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리복(10)은 피검자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공간(12)은 격리복(10)에 의해 외부공간과 구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격리복(10)은 가운, 보호복, 방역복, 헬멧 등의 형태로 피검자의 머리 또는 피검자의 머리를 포함하는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외부와 격리될 수 있는 수용공간(12)을 형성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격리복(10)은 외부에서 수용공간(12)이 보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격리복(10)은 피검자의 얼굴이 위치하고, 이후 설명하는 글로브(70)가 위치한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사자가 피검자에 대해 정확한 검체 채취가 가능할 수 있다.
격리복(10)은 피검자의 상반신 중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의복몸체(20)와 의복몸체(20)로부터 연장되어, 피검자의 팔이 수용되는 소매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피검자가 격리복(10)을 착용하게 되면, 피검자의 상반신 중 적어도 일부는 의복몸체(20)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피검자의 팔은 소매부(50)에 위치할 수 있다. 의복몸체(20)에는 피검자의 상반신 중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의복몸체(20)는 피검자의 상반신을 포함한 하반신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의복몸체(20)는 피검자의 전신을 수용할 수도 있다.
의복몸체(20)는 지지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30)은 의복몸체(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용공간(12)의 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30)은 수용공간(12)의 폭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0)은 수용공간(12)에 있는 피검자가 원활하게 호흡을 하고, 검사자가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수용공간이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0)은 이후 설명하는 커버부재(40)와 연결되어, 커버부재(4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30)은 커버부재(34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312)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0)은 피검자 신체의 일부에 안착되는 안착부(32)와 안착부(32)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32)는 그 내면에 피검자 신체의 일부에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32)는 피검자 신체의 일부에 안착됨으로써, 검체채취기구(1)가 안정적으로 피검자에게 지지가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안착부(32)는 피검자의 머리부분에 안착되도록 모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안착부(32)는 피검자의 어깨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연장부(34)는 수용공간(12)이 설정된 폭을 갖도록, 안착부(32)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장부(34)는 안착부(32)로부터 둘레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의복몸체(20)는 커버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40)는 수용공간(12)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40)는 지지프레임(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2)은 커버부재(40)와 지지프레임(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커버부재(40)가 지지프레임(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커버부재(40)가 수용공간(12)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30)은 커버부재(4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12)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프레임(30)은 커버부재(4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30)은 수용공간(12)의 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커버부재(40)는 수용공간(12)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커버부재(40)는 피검자의 검체 채취 대상이 되는 신체 부위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40)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재질로 구성되어, 검사자가 글로브(70)를 이용하여 검체를 채취할 때 커버부재(40) 내부를 보면서 정확한 채취가 가능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30)과 커버부재(4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지지프레임(30)은 수용공간(12)의 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재(40)보다 강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프레임(30)과 커버부재(40)의 배치관계, 연결관계는 한정되지 않으며, 피검자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을 형성하면 이를 만족한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부재(40)는 지지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격리복(10)은 지지프레임(30)의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의복몸체(20)는 피검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몸체개구(42a)를 형성하는 제1 개구형성부(42)와 피검자가 몸체개구(42a)를 통해 격리복(10)을 착용한 뒤에 제1 개구형성부(42)와 피검자를 밀착시키는 몸체밀착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밀착부(44)를 피검자에게 밀착시킴으로써, 제1 개구형성부(42)를 실링할 수 있다. 제1 개구형성부(42)와 몸체밀착부(44)는 커버부재(40)에 형성될 수 있다.
소매부(50)는 피검자의 팔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소매개구(52a)를 형성하는 제2 개구형성부(52)와 피검자의 팔이 소매개구(52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뒤에 제2 개구형성부(52)와 피검자의 팔을 밀착시키는 소매밀착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소매밀착부(54)를 피검자의 팔에 밀착시킴으로써, 제2 개구형성부(52)를 실링할 수 있다. 소매부(50)는 커버부재(40)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밀착부(44)와 소매밀착부(54)는 각각 제1, 2 개구형성부(42, 52)를 실링할 수 있도록 벨크로와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자는 소매개구(52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피검자의 팔로부터 피검사를 위한 혈액채취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격리복(10)은 피검자의 팔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소매부(50)가 소매개구(52a)와 소매밀착부(5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소매부(50)는 피검자의 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의복몸체(20)로부터 밀폐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격리복(10)은 소매부(50) 없이 의복몸체(20) 내부에 피검자 상반신 중 적어도 일부와 피검자의 팔이 함께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격리복(10)은 필터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60)는 피검자의 코와 입과 같은 호흡기와 인접하도록 의복몸체(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60)는 지지프레임(3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부(60)는 커버부재(4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의복몸체(20) 상에 배치되면 이를 만족한다.
필터부(60)는 수용공간(12)의 공기흡입이 용이하고, 피검자의 호흡 시 발생하는 바이러스와 같은 이물질이 외부로 필터링 후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터부는 헤파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Filter), 울파필터(Ultra Low Penetration Air Filter, ULPA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필터부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2b,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글로브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를 참고하여 함께 설명한다.
검체 채취용 글로브(70)는 격리복 외부의 검사자가 격리복 내부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사자는 글로브(70)를 통해 피검자에게 접촉할 수 있다.
글로브(70)는 격리복(10)을 착용한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글로브(70)는 격리복(10)에 형성된 삽입구(22)로부터 수용공간(12)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글로브(70)는 검사자가 손과 팔을 넣을 수 있는 팔삽입공간(71)을 형성할 수 있다. 팔삽입공간(71)은 글로브(70)에 의해 격리복(10)의 수용공간(12)과 구획 또는 격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글로브(70)는 격리복(10)의 소매부(50)와는 별도의 구성이며, 글로브(70)와 소매부(50)는 격리복(10)의 의복몸체(20) 상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글로브(70)는 격리복(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글로브(70)는 격리복(10)과 별도로 구성되되, 격리복(10)의 삽입구(22)에 실링되게 연결될 수도 있다. 글로브(70)가 격리복(10)의 수용공간(12)으로 배치되어도 수용공간(12)의 밀폐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면 이를 만족한다.
글로브(70)는 격리복(10)의 전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글로브(70)는 격리복(10)에서 피검자 신체의 전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검사자는 글로브(70)에 검사자의 손과 팔을 삽입하여, 피검자의 호흡기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글로브(70)는 파지부(72)와 연결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72)는 검사자의 손이 수용될 수 있으며, 검사자는 파지부(72)를 통해 검체 채취 도구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파지부(72)는 검사자의 손과 팔 중 검사자의 손을 포함한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파지부(72)는 검사자의 손만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검사자의 손뿐만 아니라 팔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74)는 파지부(72)와 삽입구(22)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74)는 검사자의 팔이 수용될 수 있다. 연결부(74)는 격리복(10)과 연결되어, 글로브(70)와 격리복(10)이 실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74)는 삽입구(22)를 통해 삽입되는 검사자의 손과 팔 중 파지부(72)가 수용하지 않는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지부(72)는 연결부(74)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파지부(72)는 연결부(74)와 분리됨으로써, 이후 설명하는 것과 같이 검체 채취가 완료된 검체채취도구(4)를 밀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파지부(72)와 연결부(74)는 분리선(75)을 통해 분리될 수 있다. 분리선(75)은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72)와 연결부(74)가 분리선(75)을 기준으로 분리될 때, 양 구성의 분리선(75)이 각각 밀봉될 수 있다. 분리선(75)은 파지부(72)와 연결부(74)의 크기를 고려하여 기설정될 수도 있으며, 파지부(72)와 연결부(74)의 분리과정에서 분리기준이 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도 있다.
글로브(70)는 제1 내지 제3 상태(70a, 70b, 70c)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글로브(70)의 제1 상태(70a)는 도 2a와 같이 수용공간(12)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검사자는 제1 상태(70a)의 글로브(70)에 팔삽입공간(71)을 통해 손과 팔을 삽입하여, 검체 채취 작업을 수행하고 검체채취도구(4)를 파지할 수 있다.
글로브(70)의 제2 상태(70b)는 도 2b와 같이 파지부(72)는 수용공간(12)으로부터 격리복(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일 수 있다. 검사자는 파지부(72)를 통해 검체채취도구(4)의 파지를 유지하면서, 파지부(72)가 수용공간(12)으로부터 격리복(10)의 외부로 인출한 상태인 글로브(70)의 제2 상태(70b)로 위치시킬 수 있다.
글로브(70)의 제3 상태(70c)는 도 2c와 같이 파지부(72)를 연결부(74)로부터 분리한 상태일 수 있다. 파지부(72)와 연결부(74)는 글로브(70)가 제1, 2 상태일 때 팔삽입공간(71)을 통해 내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글로브(70)가 제3 상태(70c)로서, 파지부(72)가 연결부(74)로부터 분리될 때 파지부(72)와 연결부(74)의 각각의 개구는 실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글로브(70)가 제3 상태(70c)일 때, 파지부(72)는 그 내부에 밀폐공간(73)을 형성할 수 있다. 파지부(72)를 통해 파지된 검체 채취 도구는 글로브(70)가 제3 상태(70c)일 때, 밀폐공간(73)에 배치될 수 있다.
글로브(70)의 제1 상태(70a)에서의 파지부(72)는 그 외면(72a)이 수용공간(12)에 노출되며, 글로브(70)의 제3 상태(70c)에서의 파지부(72)는 상기 외면(72a)이 파지부(72)의 밀폐공간(73, 도 2c 참고)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검체 채취 도구가 격리복(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피검자로부터의 감염 위험을 억제할 수 있다.
검체 채취용 글로브는 파지부(72)와 연결부(74)의 실링 및 분리를 위해 열융착과정과 커팅과정을 차례로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파지부(72)와 연결부(74)의 개구가 실링되면서 양 구성이 분리될 수 있다.
검체채취기구(1)는 검체채취도구(4)를 수납하는 도구수납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구수납부(80)는 격리복(1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구수납부(80)는 격리복(10)의 내면에 검체채취도구(4)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검사자가 검체 채취용 글로브(70)를 통해 검체채취도구(4)를 인출하여 검체 채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구수납부(80)는 격리복(1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검체 채취 작업 중 검체채취도구(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검체 채취 기구의 사용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검자는 검체채취기구(1)의 격리복(10)을 착용할 수 있다. 피검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는 격리복(10)의 수용공간(12)에 수용될 수 있다. 피검자가 격리복(10)을 착용한 뒤에, 수용공간(12)이 격리복(10)의 외부공간과 단절될 수 있도록 몸체밀착부(44) 또는 몸체밀착부(44)와 소매밀착부(54)를 피검자의 신체에 밀착시킬 수 있다. 피검자는 격리복(10)에 마련된 필터부(60)를 통해 호흡할 수 있으며, 바이러스와 같은 이물질은 필터부(60)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검사자는 검체채취기구(1)의 제1 상태(70a)의 글로브(70)를 통해 격리복(10) 내부에 위치한 피검자에 대한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검체 채취를 위한 검체채취도구(4)는 격리복(10) 내부에 마련된 도구수납부(80)에 위치할 수 있다.
검체 채취가 완료되면, 검사자는 파지부(72)를 통해 검체 채취 도구를 파지한 상태로, 파지부(72)를 격리복(10)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글로브(70)는 제2 상태(70b)로 위치할 수 있다.
파지부(72)가 격리복(10)의 외부로 인출되면, 글로브(70)는 파지부(72)와 연결부(74)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글로브(70)는 제3 상태(70c)로 위치할 수 있다. 글로브(70)는 제3 상태(70c)일 때, 연결부(74)와 파지부(72)가 분리된 채 각각 실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검체 채취 도구는 외부 공기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파지부(72)의 밀폐공간(73)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처럼, 검체채취기구(1)를 이용함으로써, 피검자에게 밀폐된 수용공간(12)을 제공할 수 있고, 호흡과 비말을 통한 바이러스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피검자와 검사자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감염 위험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의 검체채취기구(100)는 피검자의 호흡을 위해 외부호흡기(16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필터부(60)를 통해 피검자의 호흡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의 유동을 제한하였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외부호흡기(160)를 통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검체채취기구(100)는 외부호흡기(160)와의 연결을 위해 연결홀(1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홀(161)은 외부호흡기(160)와 실링되게 연결될 수 있다. 피검자로부터 호흡되는 공기는 외부호흡기(160)를 통해 공급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2) 내부의 공기는 외부호흡기(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검자의 호흡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피검자의 호흡을 통해 바이러스가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3에서는 각각 필터부(60)와 외부호흡기(160)가 적용된 도면을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검자의 호흡을 위해 필터부(60)와 외부호흡기(16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이 적용되면 이를 만족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이다.
검체채취기구(200)는 지지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30)은 격리복(10)이 일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30)은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하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230)은 피검자의 호흡기와 관련한 얼굴 부분이 격리복(10)과 밀착되지 않고, 일정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30)은 피검자의 어깨에 지지가 되는 지지플레이트(232)와 지지플레이트(232) 상에 마련되어, 격리복(10)의 내면을 지지하는 지지바(236)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232)는 피검자의 머리가 지날 수 있도록 삽입홀(234)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232)는 삽입홀(234)을 통해 피검자의 머리가 삽입됨으로써, 피검자의 어깨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바(236)는 지지플레이트(232)에 연결되되, 지지플레이트(232)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바(236)는 지지플레이트(232)의 상부로 연장되어, 지지플레이트(232)에 위치한 피검자의 머리와 격리복(10)의 내면이 밀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플레이트(232)와 지지바(236)는 피검자의 머리가 위치할 수 있도록, 호흡공간(12a)을 형성할 수 있다. 호흡공간(12a)은 수용공간(12)의 일부일 수 있다.
커버부재(240)는 수용공간(212)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240)는 지지프레임(230)에 의해 지지가 되되, 내부에 호흡공간(12a)을 포함하는 수용공간(12)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체채취기구(200)는 외부와의 호흡을 위해 도 4와 같이 필터부(260a)가 적용되거나, 도 5와 같이 외부호흡기(260b)와 연결홀(26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검체 채취 기구의 사용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검자는 검체채취기구(200)의 격리복(10)을 착용할 수 있다. 피검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는 격리복(10)의 수용공간(12)에 수용될 수 있다.
피검자는 지지플레이트(232)의 삽입홀(234)을 통해 머리를 삽입하여, 지지플레이트(232)가 어깨에 지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지지바(236)는 지지플레이트(232)의 상부에 위치하여, 호흡공간(12a)을 형성할 수 있다.
피검자가 격리복(10)을 착용한 뒤에, 수용공간(12)이 격리복(10)의 외부 공기와 단절될 수 있도록 몸체밀착부(44) 또는 몸체밀착부(44)와 소매밀착부(54)를 피검자의 신체에 밀착시킬 수 있다. 피검자는 격리복(10)에 마련된 필터부(260a, 도 4 참고) 또는 외부호흡기(260b, 도 5 참고)를 통해 호흡이 가능하며, 바이러스와 같은 이물질은 필터부(260a, 도 4 참고) 또는 외부호흡기(260b, 도 5 참고)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피검자가 검체 채취 기구를 착용한 뒤에 글로브(70)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가 피검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변형에 관한 도면이다.
검체채취기구(300)는 격리복(10)과 검체 채취용 글로브(70)를 포함할 수 있다.
격리복(10)은 헬멧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격리헬멧(31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리헬멧(310)은 격리복(10)의 일 종류일 수 있다.
격리헬멧(310)은 피검자의 머리가 수용되며, 외부와 격리되는 수용공간(312)을 형성할 수 있다.
격리헬멧(310)은 지지프레임(330)과 커버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330)은 수용공간(312)의 크기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30)은 수용공간(312)에 위치한 피검자가 원활하게 호흡을 하고, 검사자가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수용공간(312)이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30)은 커버부재(340)와 연결되어, 커버부재(34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330)은 커버부재(34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312)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30)은 전방프레임(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프레임(332)은 피검자의 머리 전방에서 개구(332a)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방프레임(332)은 윈도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프레임(332)은 윈도우프레임으로 명칭될 수도 있다. 전방프레임(332)은 사각형의 형상인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이나 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부재(340)는 수용공간(312)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340)는 지지프레임(330)에 연결되어 지지프레임(330)에 의해 설정된 크기의 수용공간(312)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30)은 수용공간(312)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커버부재(340)에 의해 덮임으로써 수용공간(312)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부재(340)는 전면커버(342)와 후면커버(34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342)는 전방프레임(332)의 개구(332a)를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삽입구(22)와 글로브(70)는 전면커버(342)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사자는 전면커버(342)에 위치한 글로브(70)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전면커버(342)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커버(342)가 투명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검사자는 피검자의 머리 전방에 위치한 전면커버(342)를 통해 피검자의 호흡기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고, 정확하게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글로브(70)의 세부구성 및 제1 내지 제3 상태(70a, 70b, 70c)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후면커버(344)는 전방프레임(332)의 후방으로 연결되어, 전면커버(342)와 함께 수용공간(312)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커버(344)는 피검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머리삽입홀(346)을 포함할 수 있다. 피검자는 머리삽입홀(346)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머리를 삽입할 수 있다. 후면커버(344)는 머리삽입홀(346)을 실링할 수 있도록 밀착부(348)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348)를 피검자의 머리 또는 목에 밀착시킴으로써, 머리삽입홀(346)을 실링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330)은 후방프레임(334)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프레임(334)은 후면커버(344)의 안쪽에 위치하여, 후면커버(344)를 지지할 수 있다. 후방프레임(334)은 후면커버(344)의 안쪽을 지지함으로써, 수용공간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방프레임(334)은 전방프레임(332)으로부터 연장형성될 수도 있으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후방프레임(334)은 도 6과 같이 복수개가 마련되어 후면커버(344)의 안쪽을 지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340)는 지지프레임(330)을 덮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프레임(330) 안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지지프레임(330)은 커버부재(340)를 지지하여, 수용공간(312)을 유지하도록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부재(340)는 지지프레임(3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격리헬멧(310)은 지지프레임(330)의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격리헬멧(310)은 보관을 위해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방프레임(332)은 힌지(332b)를 포함할 수 있다. 격리헬멧(310)은 검체 채취를 위해 피검자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도 6, 7과 같이 펼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보관을 위해 도 8과 같이 힌지(332b)를 통해 접힌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검체 채취 기구의 사용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검자는 검체채취기구(300)의 격리헬멧(310)을 착용할 수 있다. 피검자 머리는 격리헬멧(310)의 수용공간(312)에 수용될 수 있다. 피검자가 격리헬멧(310)을 착용한 뒤에, 수용공간(312)이 격리복(10)의 외부 공기와 단절될 수 있도록 밀착부(348)를 피검자의 머리 또는 목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격리헬멧(310)에는 앞선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필터부 또는 외부호흡기가 마련되어 피검자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바이러스와 같은 이물질이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검자가 검체채취기구(300)를 착용한 뒤에 글로브(70)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측면도이다.
검체채취기구(400)는 격리복(10)과 검체 채취용 글로브(70)를 포함할 수 있다.
격리복(10)은 헬멧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격리헬멧(41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리헬멧(410)은 격리복(10)의 일 종류일 수 있다.
격리헬멧(410)은 외부와 격리되는 수용공간(412)을 형성할 수 있다.
격리헬멧(410)은 피검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헬멧부(420)와 글로브(70)가 수용되는 공간형성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헬멧부(420)는 머리가 수용되는 머리수용공간(420a)을 포함하고, 공간형성부(422)는 글로브(70)가 수용되는 채취공간(422a)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리수용공간(420a)과 채취공간(422a)은 수용공간(412)의 일 구성일 수 있다.
헬멧부(420)와 공간형성부(422)는 실링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격리헬멧(410)은 헬멧부(420)의 머리수용공간(420a)과 공간형성부(422)의 채취공간(422a)을 연결하는 연결부(42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26)는 헬멧부(420)와 공간형성부(422)를 실링되게 연결함으로써, 내부의 수용공간(412)을 외부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다.
연결부(426)는 머리수용공간(420a)과 채취공간(422a)을 연결하는 연결개구(426a)를 형성할 수 있다. 피검자는 헬멧부(420)에 머리를 삽입하고, 연결개구(426a)를 통해 얼굴 부분을 채취공간(422a)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격리헬멧(410)은 커버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440)는 수용공간(412)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440)는 헬멧커버(442)와 공간커버(444)를 포함할 수 있다.
헬멧커버(442)는 헬멧부(420)의 머리수용공간(420a)과 외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헬멧커버(442)는 머리삽입홀(446)을 포함할 수 있다. 피검자는 머리삽입홀(446)을 통해 머리수용공간(420a)으로 머리를 삽입할 수 있다. 헬멧커버(442)는 머리삽입홀(446)을 실링할 수 있도록 밀착부(448)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448)를 피검자의 머리 또는 목에 밀착시킴으로써, 머리삽입홀(446)을 실링할 수 있다.
공간커버(444)는 공간형성부(422)의 채취공간(422a)과 외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공간커버(444)는 연결부(426)를 통해 헬멧커버(442)와 연결될 수 있다. 삽입구(22)와 글로브(70)는 공간커버(444)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사자는 공간커버(444)에 위치한 글로브(70)를 이용하여, 연결개구(426a)로 노출된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공간커버(444)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공간커버(444) 중 피검자의 얼굴이 마주하며, 글로브(70)가 위치한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공간커버(444)가 투명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검사자는 피검자의 호흡기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고 정확하게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글로브(70)의 세부구성 및 제1 내지 제3 상태(70a, 70b, 70c)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격리헬멧(410)은 지지프레임(4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430)은 수용공간(412)의 크기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30)은 머리수용공간(420a) 또는 채취공간(422a)의 설정된 크기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430)은 피검자가 원활하게 호흡을 하고, 검사자가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수용공간(412)이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30)은 헬멧프레임(432)과 공간프레임(434)을 포함할 수 있다.
헬멧프레임(432)은 헬멧커버(442)와 연결되어, 헬멧커버(442)를 지지할 수 있다. 헬멧프레임(432)은 헬멧커버(442)가 형성하는 머리수용공간(420a)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간프레임(434)은 공간커버(444)와 연결되어, 공간커버(444)를 지지할 수 있다. 공간프레임(434)은 공간커버(444)가 형성하는 채취공간(422a)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헬멧프레임(432)과 공간프레임(434)은 각각 헬멧커버(442)와 공간커버(444)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여, 헬멧커버(442)와 공간커버(444)를 지지할 수 있다.
공간프레임(434)은 피검자의 머리 전방으로 개구(434a)를 형성할 수 있다. 공간프레임(434)에서 개구(434a)를 형성하는 부분을 윈도우프레임으로 명칭할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은 공간프레임(434)의 일 구성일 수 있다. 공간프레임(434)의 개구(434a)는 공간커버(444)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부재(440)는 지지프레임(4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격리헬멧(410)은 지지프레임(430)의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검체 채취 기구의 사용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검자는 검체 채취 기구의 격리헬멧(410)을 착용할 수 있다. 피검자 머리는 격리헬멧(410)의 헬멧부(420)가 형성하는 머리수용공간(420a)에 수용될 수 있다. 피검자가 격리헬멧(410)을 착용한 뒤에, 머리수용공간(420a)이 헬멧부(420)의 외부 공기와 단절될 수 있도록 밀착부(448)를 피검자의 머리 또는 목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격리헬멧(410)에는 앞선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필터부 또는 외부호흡기가 마련되어 피검자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 혹은 이물질이 내부에서 외부로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검자가 검체채취기구(400)를 착용한 뒤에 글로브(70)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기구의 측면도이다.
검체채취기구(500)는 격리복(10)과 검체 채취용 글로브(70)를 포함할 수 있다.
격리복(10)은 헬멧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격리헬멧(51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리헬멧(510)은 격리복(10)의 일 종류일 수 있다.
격리헬멧(510)은 외부와 격리되는 수용공간(512)을 형성할 수 있다. 격리헬멧(510)은 피검자의 머리가 수용될 수 있다.
격리헬멧(510)은 커버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540)는 수용공간(512)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540)는 수용공간(512)과 외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삽입구(22)와 글로브(70)는 커버부재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사자는 커버부재에 위치한 글로브(70)를 이용하여, 밀착개구(526)를 통해 수용공간(512)으로 노출된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커버부재(540)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커버부재(540) 중 피검자의 얼굴이 마주하며, 글로브(70)가 위치한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540)가 투명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검사자는 피검자의 호흡기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고 정확하게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글로브(70)의 세부구성 및 제1 내지 제3 상태(70a, 70b, 70c)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커버부재(540)는 밀착개구(526a)를 형성하는 밀착개구형성부(526)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개구(526a)는 커버부재(540)의 후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밀착개구(526a)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커버부재(540) 상에 글로브(70)와 위치를 달리하게 배치되면 이를 만족한다. 밀착개구형성부(526)에는 피검자의 얼굴이 밀착됨으로써, 밀착개구(526a)가 밀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검자의 얼굴이 밀착개구(526a)를 밀폐시킴으로써, 수용공간(512)과 외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격리헬멧(510)은 마스크(58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580)는 밀착개구(526a)를 덮도록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마스크(580)는 그 몸체에 피검자의 호흡기가 노출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마스크(580)는 커버부재(540) 후면부에 형성된 밀착개구형성부(526)에 부착될 수 있도록, 그 몸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접착부(58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580)는 접착부(582)를 통해 커버부재(54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마스크(580)는 접착부(582)를 통해 마스크(580)의 몸체가 밀착개구(526a)를 덮도록 커버부재(540)의 후면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격리헬멧(510)은 고정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90)는 피검자의 머리 또는 얼굴이 밀착개구형성부(526)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고정부(590)는 띠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고정부(590)의 형상 및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고정부(590)는 탄성을 가진 밴드 또는 벨크로타입의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90)는 피검자의 머리가 밀착개구형성부(526)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격리헬멧(510)은 지지프레임(5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530)은 수용공간(512)의 크기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530)은 수용공간(512)의 설정된 크기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530)은 피검자가 원활하게 호흡을 하고, 검사자가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수용공간(512)이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530)은 커버부재(540)와 연결되어, 커버부재(54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530)은 커버부재(54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512)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530)은 커버부재(54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하여, 커버부재(54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530)은 피검자의 머리 전방으로 개구(530a)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530)에서 개구(530a)를 형성하는 부분을 윈도우프레임으로 명칭할 수 있다. 윈도우프레임은 지지프레임(53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지지프레임(530)의 개구(530a)는 커버부재(54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부재(540)는 지지프레임(5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격리헬멧(510)은 지지프레임(530)의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검체 채취 기구의 사용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검자는 검체 채취 기구의 격리헬멧(510)을 착용할 수 있다. 피검자 머리는 밀착개구(526a)에 밀착되어, 피검자의 머리가 수용공간(512)을 향하도록 격리헬멧을 위치시킬 수 있다.
피검자가 격리헬멧을 착용한 뒤에, 고정부(590)를 통해 피검자의 머리를 밀착개구(526a)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격리헬멧(510)에는 앞선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필터부 또는 외부호흡기가 마련되어 피검자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 혹은 이물질이 내부에서 외부로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검자가 검체채취기구(500)를 착용한 뒤에 글로브(70)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검체채취기구
10 : 격리복
12 : 수용공간 20 : 의복몸체
30 : 지지프레임 40 : 커버부재
50 : 소매부 60 : 필터부
70 : 검체 채취용 글로브 72 : 파지부
74 : 연결부 80 : 도구수납부
12 : 수용공간 20 : 의복몸체
30 : 지지프레임 40 : 커버부재
50 : 소매부 60 : 필터부
70 : 검체 채취용 글로브 72 : 파지부
74 : 연결부 80 : 도구수납부
Claims (34)
- 피검자에 착용가능하게 구성되는 격리복으로서, 피검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되 외부공간과 격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격리복;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글로브로서, 상기 격리복에 형성된 삽입구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글로브;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복과 상기 글로브는 일체로 형성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는 상기 삽입구에 실링되게 연결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는,
검사자의 팔이 삽입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구획된 팔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는,
검사자의 손이 수용되는 파지부;
검사자의 팔이 수용되며, 상기 파지부와 상기 삽입구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격리복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면서, 분리되는 부분이 실링되도록 구성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격리복의 내부에 위치한 제1 상태;
상기 파지부가 상기 격리복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2 상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파지부가 그 내부에 외부공간과 구획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3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배치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글로브가 상기 제1 상태일 때, 그 외면이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되고,
상기 글로브가 상기 제3 상태일 때, 상기 외면이 상기 밀폐공간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복은,
피검자 상반신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의복몸체;
피검자의 팔이 수용되며, 상기 의복몸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소매부;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복은,
피검자 전신을 감싸는 의복몸체;
피검자의 팔이 수용되며, 상기 의복몸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소매부;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는,
상기 의복몸체 상에 상기 소매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부는,
피검자의 팔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피검자의 팔이 관통하는 소매개구를 형성하는 소매 개구형성부;
상기 소매 개구형성부를 피검자의 팔에 밀착시키는 소매밀착부;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복은,
상기 의복몸체 내면에 검체 채취를 위한 채취도구가 수납되는 도구수납부;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복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외부로의 오염물질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몸체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피검자에게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둘레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폭을 설정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피검자의 머리가 지나는 삽입홀을 갖고, 피검자의 어깨에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피검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복은,
피검자의 머리가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격리헬멧;을 포함하고,
상기 격리헬멧은,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피검자의 머리 전방에서 개구를 형성하는 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개구를 밀폐하는 전면커버로서, 상기 글로브가 위치하는 전면커버;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방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면커버와 함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후면커버;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후면커버에 위치하여, 상기 후면커버를 지지하는 후방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몸체는,
피검자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수용되도록 개방된 몸체개구를 형성하는 몸체개구형성부;
상기 몸체개구형성부를 피검자에게 밀착시키는 몸체밀착부;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밀착부는,
벨크로타입 또는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피검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하게 구성되는 격리헬멧으로서, 피검자의 머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외부공간과 격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격리헬멧;
상기 피검자의 검체를 채취하도록 마련되는 글로브로서, 상기 격리헬멧에 형성된 삽입구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글로브;를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헬멧과 상기 글로브는 일체로 형성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는 상기 삽입구에 실링되게 연결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는,
검사자의 손을 포함하는 팔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파지부;
검사자의 팔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삽입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격리헬멧의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파지부는 실링되도록 구성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는,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격리헬멧의 내부에 위치한 제1 상태;
상기 파지부가 상기 격리헬멧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2 상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파지부가 그 내부에 외부공간과 분리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3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배치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그 외면이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되고,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외면이 상기 밀폐공간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헬멧은,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이 밀폐되도록 피검자의 머리 중 적어도 일부가 접촉가능하게 구성되는 밀착개구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개구형성부는,
상기 접촉으로 피검자의 머리 중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밀착개구를 형성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개구를 덮도록 상기 밀착개구형성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마스크로서, 피검자의 호흡기가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마스크;를 더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 제32 항에 있어서,
피검자의 머리를 상기 밀착개구형성부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검체 채취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6671A KR102523122B1 (ko) | 2020-06-23 | 2020-06-23 | 검체 채취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6671A KR102523122B1 (ko) | 2020-06-23 | 2020-06-23 | 검체 채취 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8202A true KR20210158202A (ko) | 2021-12-30 |
KR102523122B1 KR102523122B1 (ko) | 2023-04-18 |
Family
ID=7917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6671A KR102523122B1 (ko) | 2020-06-23 | 2020-06-23 | 검체 채취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312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22247A (ja) * | 1996-02-16 | 1997-08-26 | Sanki Eng Co Ltd | 無菌治療室ユニット |
US20020129563A1 (en) * | 2001-01-18 | 2002-09-19 | Martyn Ryder | Containment assembly |
KR101459570B1 (ko) * | 2013-10-02 | 2014-11-12 | 정진성 | 분리 사용이 가능한 고무장갑 |
KR101893936B1 (ko) * | 2017-09-21 | 2018-08-31 | 주식회사 웃샘 |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 |
-
2020
- 2020-06-23 KR KR1020200076671A patent/KR1025231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22247A (ja) * | 1996-02-16 | 1997-08-26 | Sanki Eng Co Ltd | 無菌治療室ユニット |
US20020129563A1 (en) * | 2001-01-18 | 2002-09-19 | Martyn Ryder | Containment assembly |
KR101459570B1 (ko) * | 2013-10-02 | 2014-11-12 | 정진성 | 분리 사용이 가능한 고무장갑 |
KR101893936B1 (ko) * | 2017-09-21 | 2018-08-31 | 주식회사 웃샘 | 가스프레임 지지구조를 구비한 이동형 음압백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3122B1 (ko) | 2023-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023326A1 (en) | Reusable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 |
US4920960A (en) | Body fluids barrier mask | |
US4901716A (en) | Clean room helmet system | |
US6971386B2 (en) | Personal respirator | |
KR102152280B1 (ko) | 글로브 월이 구비되는 검체 채취용 안전시스템 | |
KR102180927B1 (ko) | 검체 채취 장치 | |
AU2015256478B2 (en) | Protective apparel system with impervious protection | |
AU2014228083A1 (en) | Reconfigurable full facemask having a cartridge module for respiratory protection | |
US552905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respirator fit and seal | |
US2023022582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spread of airborne materials during clinical or laboratory procedures | |
US12022898B2 (en) | Flexible face mask for various dental and medical uses | |
US20230310244A1 (en) | Testing booth for virus sample collection having examination window allowing close-contact insertion of sample collection tool | |
Karligkiotis et al. | How to obtain a nasopharyngeal swab specimen | |
KR102523122B1 (ko) | 검체 채취 기구 | |
JP2024061814A (ja) | 内視鏡用保護具および内視鏡用保護具のキャップ | |
WO2021215665A1 (ko) | 감염증 환자의 검체 채취 시스템 | |
JP2023526637A (ja) | ウイルス検査のための被検査者用検体道具 | |
KR102410484B1 (ko) | 검체 채취 기구 | |
US20230285106A1 (en) | Protective nasal mask device | |
JP7458068B2 (ja) | 検体の採取方法 | |
WO2021205440A1 (en) | A disposable covering and method of its use | |
JP2021188146A (ja) | ガード具及びガード具の組立方法 | |
JP7144071B2 (ja) | 検体採取装置および検査方法 | |
JP2022041659A (ja) | 飛沫拡散抑制具 | |
CN212816332U (zh) | 呼吸系统采样隔离面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