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003A - 순환식 호모 믹서 - Google Patents

순환식 호모 믹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003A
KR20210158003A KR1020200076217A KR20200076217A KR20210158003A KR 20210158003 A KR20210158003 A KR 20210158003A KR 1020200076217 A KR1020200076217 A KR 1020200076217A KR 20200076217 A KR20200076217 A KR 20200076217A KR 20210158003 A KR20210158003 A KR 20210158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shaft
housing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원
Priority to KR102020007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8003A/ko
Publication of KR20210158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7/1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B01F15/0437
    • B01F15/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 B01F27/1125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having hole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 B01F27/11253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the blades extending oblique to the stirre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01F27/90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cooperating with intermeshing elements fixed on the receptac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3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two or more flows, e.g. using flow sensing or flow controlling devices
    • B01F35/834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two or more flows, e.g. using flow sensing or flow controlling devices the flow of substances to be mixed circulating in a closed circuit, e.g. from a container through valve, driving means, metering means or dispensing means, e.g. 3-way valve, and back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2Heating or cooling systems for heat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e.g. heated jackets or burners
    • B01F7/003
    • B01F7/00316
    • B01F7/183
    • B01F7/22
    • B01F2015/0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임펠러를 구동하는 호모 구동부의 이상시 믹싱조로부터 회전축과, 커버와, 호모 모터와, 감속 기어를 분해하지 않고 하우징 하부의 호모 모터만을 교체할 수 있고,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흡입하는 호모 임펠러가 용기 내부에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제품의 순환을 발생시키며 외부에 장착된 순환 파이프를 통해 하부의 내용물을 상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식 호모 믹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는, 제공된 원료가 믹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하부에 연결되는 임펠러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임펠러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연결하는 순환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순환식 호모 믹서{CIRCULATING TYPE HOMOMIXER}
본 발명은 순환식 호모 믹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흡입하는 호모 임펠러가 용기 내부에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제품의 순환을 발생시키며 외부에 장착된 순환 파이프를 통해 하부의 내용물을 상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식 호모 믹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이나 화장품 및 식품 등은 순수 원료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첨가물이 혼합되어 액상이나 크림 및 연고 타입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액상이나 크림 및 연고 타입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믹싱(Mixing)할 순수 원료와 여러 첨가물을 믹싱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고, 이에 따른 믹싱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의약품이나 식품에서는 그 믹싱 상태에 따라서 약효나 효능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기도 하고, 화장품 역시 고품질의 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그 믹싱 상태가 좋아야 한다.
따라서, 믹싱물을 최적의 믹싱 상태로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한 구현 즉, 믹싱물을 균질하게 믹싱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믹싱 장치의 성능에 크게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믹싱 장치로는 진공 상태에서 믹싱물을 믹싱할 수 있는 호모 믹서(Homogenizer)가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호모 믹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호모 믹서(100)는, 믹싱물이 담기는 내조(11)와, 내조(11)를 감싸 외부 형상을 이루는 외조(12)의 이중조를 갖는 믹싱조로 구성되고, 여기서 믹싱조는 유지 원료와 순수 원료를 포함하는 믹싱물을 수용하여 믹싱한다.
내조(11)의 상부로는 돔 형상의 커버(13)가 설치되어 내조(11)와 외조(12)를 밀폐하게 된다.
이때, 커버(13)에는 진공 펌프(미도시)가 내설되어 내조(11)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게 된다.
또한, 커버(13)의 상부에는 호모 모터(14)가 설치되고 커버(13)의 하부에는 임펠러형 믹싱 날개(15)와 연결된 회전축(16)이 설치되는데, 호모 모터(14)와 회전축(16) 사이에는 임펠러형 믹싱 날개(1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감속 기어(17)가 설치된다.
여기서, 임펠러형 믹싱 날개(15)는 믹싱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임펠러형 믹싱 날개(15)를 회전시키는 호모 모터(14)와 회전축(16)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내조(110)에 담긴 믹싱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스팀관(미도시)과 냉각관(미도시)이 내조(11)와 외조(12) 사이에 형성된 유로와 연결된다.
하지만, 종래의 호모 믹서(100)는 호모 모터(14)가 돔 형상의 커버 상부에 설치되었다.
이에 의해, 호모 모터(14)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6)과, 이 회전축(16)과 연결된 커버(13)와, 호모 모터(14)와, 감속 기어(17)를 모두 믹싱조로부터 분해한 후 호모 모터(14)를 교체해야 했다.
이러한 호모 믹서(100)는 그 크기가 거대한 관계로, 호모 모터(14)의 이상시 믹싱조로부터 회전축(16)과, 커버(13)와, 호모 모터(14)와, 감속 기어(17)를 분해하는데 시간과 인력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0168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펠러를 구동하는 호모 구동부의 이상시 믹싱조로부터 회전축과, 커버와, 호모 모터와, 감속 기어를 분해하지 않고 하우징 하부의 호모 모터만을 교체할 수 있고,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흡입하는 호모 임펠러가 용기 내부에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제품의 순환을 발생시키며 외부에 장착된 순환 파이프를 통해 하부의 내용물을 상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식 호모 믹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는, 제공된 원료가 믹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하부에 연결되는 임펠러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임펠러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연결하는 순환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에서, 상기 임펠러부는 호모 구동부와 임펠러 축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호모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임펠러부의 임펠러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에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을 통해 상부로부터 하부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 내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료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에서, 하부로 이동한 상기 원료는 상기 순환 파이프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 내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에서, 상기 임펠러는, 원판 형상의 바디; 상기 바디의 중심 부위에 상기 임펠러 축이 삽입되는 제 1 중앙홀; 상기 바디의 일면 외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블레이드; 상기 제 1 중앙홀과 상기 제 1 블레이드 사이에 상기 외주보다 작은 제 1 동심원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블레이드; 및 상기 제 1 중앙홀과 상기 제 2 블레이드 사이에 상기 제 1 동심원보다 작은 제 2 동심원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 3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에서, 상기 제 1 블레이드와, 상기 제 2 블레이드와, 상기 제 3 블레이드는 사이클론식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 1 중앙홀을 향해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에서, 상기 하우징부는, 외측을 감싸는 경화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경화 방지부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부 내의 상기 원료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온수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에서, 상기 커버의 상부와 연결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버를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에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커버를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 상기 구동부도 함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의 제 1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샤프트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 부재; 및 상기 제 1 샤프트를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위치하는 제 2 샤프트가 상기 제 1 샤프트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임펠러를 구동하는 호모 구동부의 이상시 믹싱조로부터 회전축과, 커버와, 호모 모터와, 감속 기어를 분해하지 않고 하우징 하부의 호모 모터만을 교체할 수 있고,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흡입하는 호모 임펠러가 용기 내부에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제품의 순환을 발생시키며 외부에 장착된 순환 파이프를 통해 하부의 내용물을 상부로 순환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호모 믹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를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의 임펠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의 임펠러에 의해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는 원료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에서 외부 파이프를 통한 원료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를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1000)는 호모 구동부(100)와, 경화 방지부(200)와, 커버(300)와, 실린더 구동부(400)와, 실린더부(500)와, 교반 확인부(600)와, 하우징부(700)와, 원료 투입부(800)와, 지지부(90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700)는 제공된 원료를 믹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우징부(70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커버(300)와 연결된 제 1 샤프트 연결축(411)과, 제 2 샤프트 연결축(421)과, 제 1 샤프트 연결축(411)과 연결되는 제 1 샤프트(710)와, 제 2 샤프트 연결축(421)과 연결되는 제 2 샤프트(720)가 삽입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측면에는 후술되는 스크래퍼가 밀착될 수도 있다.
하우징부(700)의 개구된 상부는 커버(300)에 의해 밀폐되며, 커버(300)의 상부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실린더 구동부(400)와 홀(미도시)을 통해 연결된다.
하우징부(700)의 외측에는 경화 방지부(200)가 하우징부(700)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경화 방지부(200)와 하우징부(700) 사이에는 온수를 순환시켜 하우징부(700) 내의 원료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1000)에서, 하우징부(700)는 상부를 덮는 커버(300)와, 외측을 감싸는 경화 방지부(200)를 더 포함하며, 하우징부(700) 및 경화 방지부(200) 사이에는 하우징부(700) 내의 원료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온수가 순환된다.
하우징부(700)와 경화 방지부(200) 사이로 공급되는 온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화 방지부(200)에는 외부에서 온수가 공급되는 공급 홀(미도시)과, 하우징부(700)와 경화 방지부(200) 사이를 순환 후 외부로 온수를 배출하는 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부(700)의 양 측면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술되는 회전 부재가 연결될 수 있으며, 하우징부(700)는 회전 부재(600)에 의해 회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1000)에서, 하우징부(200)는 양 측면에 위치하는 지지부(900)와 회전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회전 부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커버(300)는 하우징부(700)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커버(300)의 상하 이동은 실린더부(500)에 의해 이루어지며, 실린더부(500)는 커버(300)만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실린더 구동부(400) 역시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1000)에서, 커버(300)는 상부와 연결되는 실린더 구동부(400)를 더 포함하며, 실린더 구동부(400)는 커버(300)를 하우징부(700)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부(5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린더부(500)는 커버(300)를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 실린더 구동부(400)도 함께 이동시킨다.
한편, 실린더부(500)에 의해 커버(300)를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 후술하는 제 1 샤프트(710)와, 제 2 샤프트(720)가 함께 이동된다.
교반 확인부(600)는 하우징부(700) 내에서 원료의 교반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을 가진다.
이러한 교반 확인부(600)에는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촬영부가 촬영하고,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 등을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부(700) 내에서 원료를 교반시에는 하우징부(70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300)의 상부 일측면에는 원료 투입부(800)가 형성되고, 하우징부(700) 하부면 중앙부에는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료 투입부(800)는 호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0)와 연결되는 원료 투입부(800)를 통해서는 하우징부(700)의 내측에서 믹싱되는 원료가 주입되고, 하우징부(700) 하부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삽입 홀에는 후술되는 임펠러부(120)가 삽입된다.
삽입 홀의 내측면과 임펠러부(120)의 둘레면은 실링 부재(미도시)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부(700)의 내부에 투입된 원료를 믹싱하기 위해서는 커버(300)와 연결된 제 1 샤프트 연결축(411)과, 제 2 샤프트 연결축(421)과, 제 1 샤프트 연결축(411)과 연결되는 제 1 샤프트(710)와, 제 2 샤프트 연결축(421)과 연결되는 제 2 샤프트(720)가 삽입된다.
제 1 샤프트(710)는 제 1 샤프트 연결축(411)을 통해 실린더 구동부(400)의 제 1 구동 부재(410)와 연결되어 제 1 구동 부재(41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제 2 샤프트(720)는 제 2 샤프트 연결축(421)을 통해 실린더 구동부(400)의 제 2 구동 부재(420)와 연결되어 제 1 샤프트(71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1000)에서, 실린더 구동부(400)는 하우징부(700) 내부의 제 1 샤프트(710)와 연결되어 제 1 샤프트(7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 부재(410)와, 제 1 샤프트(710)를 감싸면서 하우징부(700)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위치하는 제 2 샤프트(720)가 제 1 샤프트(7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 부재(420)를 포함한다.
제 2 샤프트(720)는 제 1 샤프트(710)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부(700) 내측면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샤프트(710)의 둘레 면에는 복수의 제 1 패들부(711)가 구비되고, 제 2 샤프트(72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 2 패들부(721)가 구비되며, 제 1 패들부(711)와 제 2 패들부(721)에 의해 순환식 호모 믹서(1000)의 하우징부(700) 내에 투입된 원료가 믹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1000)는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제 1 샤프트(710)는 외부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제 1 패들부(711)를 포함하고, 제 2 샤프트(720)는 내부 방향을 향해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제 2 패들부(721)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패들부(711)의 패들은 복수의 관통 홀(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부(700) 내의 복수의 원료 중 점성이 높은 원료들은 복수의 관통홀을 갖는 제 1 패들부(711)와, 제 2 패들부(721)의 구조를 통해 좀 더 용이하게 믹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패들부(721)의 패들도 복수의 관통 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순환식 호모 믹서(1000)의 하우징부(700) 내에서 제 1 패들부(711)와 제 2 패들부(721)가 서로 반대로 회전함으로써, 하우징부(700) 내에 투입된 원료가 원활하게 믹싱된다.
제 1 샤프트(710)는 커버(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실린더 구동부(400)의 제 1 구동 부재(410)에 의해 회전하며, 제 1 구동 부재(410)는 제 1 샤프트(71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샤프트(720)는 커버(3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실린더 구동부(400)의 제 2 구동 부재(420)에 의해 회전하며, 제 2 구동 부재(420)는 제 2 샤프트(72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샤프트 연결축(411)은 제 1 샤프트(710)와 연결되어 제 1 샤프트(710)를 회전시키며, 제 1 구동 부재(410)는 제 1 샤프트 연결축(411)과 연결되어 제 1 샤프트 연결축(411)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제 2 샤프트 연결축(421)은 제 2 샤프트(720)와 연결되어 제 2 샤프트(720)를 회전시키며, 제 2 구동 부재(420)는 제 2 샤프트 연결축(421)과 연결되어 제 2 샤프트 연결축(421)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제 1 샤프트 연결축(411)은 제 2 샤프트 연결축(421)의 내부를 관통하여 일단이 제 2 샤프트 연결축(421)의 일단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1000)에서, 제 2 샤프트(720)는 외부 방향을 향해 하우징부(700)의 내면과, 하면에 달라붙은 원료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샤프트(720)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스크래퍼가 구비되어 하우징부(7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원료를 긁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래퍼(730)가 제 2 샤프트(720)의 외측면과, 바닥면에 구비되어 하우징부(700)의 내측면과, 바닥면에 부착되는 원료를 긁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1000)의 동작 관계는 다음과 같다.
커버(300)와 연결된 제 1 샤프트 연결축(411)과, 제 2 샤프트 연결축(421)과, 제 1 샤프트 연결축(411)과 연결되는 제 1 샤프트(710)와, 제 2 샤프트 연결축(421)과 연결되는 제 2 샤프트(720)가 실린더부(500)에 의해 하우징부(700)에 삽입되고, 하우징부(700)의 개방된 상부가 커버(300)에 의해 밀착된 후, 원료 투입부(800)를 통해 복수의 원료가 하우징부(700) 내에 투입된다.
다음, 제 1 샤프트(710)는 제 1 샤프트 연결축(411)을 통해 실린더 구동부(400)의 제 1 구동 부재(410)와 연결되어 제 1 구동 부재(41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제 2 샤프트(720)는 제 2 샤프트 연결축(421)을 통해 실린더 구동부(400)의 제 2 구동 부재(420)와 연결되어 제 1 샤프트(71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하우징부(700) 내의 복수의 원료를 믹싱한다.
믹싱이 완료되면, 커버(300)와 연결된 제 1 샤프트 연결축(411)과, 제 2 샤프트 연결축(421)과, 제 1 샤프트 연결축(411)과 연결되는 제 1 샤프트(710)와, 제 2 샤프트 연결축(421)과 연결되는 제 2 샤프트(720)가 실린더부(500)에 의해 하우징부(700)로부터 분리되어 상승하게 된다.
지지부(900)와 회전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는 하우징부(700)는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부(700) 내의 믹싱된 원료를 배출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부(700) 하부에는 임펠러부(120)가 연결되고, 임펠러부(120)는 임펠러 축(110)에 의해 호모 구동부(100)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임펠러부(120)를 구동하는 호모 구동부(100)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하우징부(700)로부터 제 1 샤프트(710)와, 제 2 샤프트(720)와, 커버(300)와, 호모 구동부(100)를 분리하여 분해하지 않아도 된다.
즉, 하우징부(700) 하부의 임펠러부(120)와 임펠러 축(1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호모 구동부(100)만을 교체함으로써, 인력과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이상이 발생한 호모 구동부(100)만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우징부(700) 하부면에는 임펠러부(120)가 구비된다.
임펠러부(120)는 호모 구동부(100)와 임펠러 축(110)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호모 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의 임펠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1000)의 입펠러부(110)는 바디(111)와, 제 1 중앙홀(112)과, 제 1 블레이드(113)와, 제 2 블레이드(114)와, 제 3 블레이드(115)를 갖는 임펠러(110A)를 포함한다.
바디(11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판, 사각판 등의 다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중앙홀(112)은 바디(111)의 중심 부위에 임펠러 축(110)이 삽입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블레이드(113)는 바디(111)의 일면 외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된다.
제 2 블레이드(114)는 제 1 중앙홀(112)과 제 1 블레이드(113) 사이에 바디(111)의 외주보다 작은 제 1 동심원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된다.
제 3 블레이드(115)는 제 1 중앙홀(112)과 제 2 블레이드(114) 사이에 바디(111)의 제 1 동심원보다 작은 제 2 동심원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임펠러부(120)의 일측은 하우징부(700) 하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타측은 임펠러 축(110)을 통해 호모 구동부(100)와 연결된다.
한편, 제 1 블레이드(113)와, 제 2 블레이드(114)와, 제 3 블레이드(115)는 임펠러(110A)가 회전시 사이클론식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제 1 중앙홀(112)을 향해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져 있다.
특히, 사이클론식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 1 블레이드(113)와, 제 2 블레이드(114)와, 제 3 블레이드(115) 각각의 블레이드(날부)가 제 1 중앙홀(112)을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경사져 있다.
또한, 제 1 블레이드(113)와, 제 2 블레이드(114)와, 제 3 블레이드(115) 각각의 블레이드(날부)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 1 블레이드(113)와, 제 2 블레이드(114)와, 제 3 블레이드(115)를 갖는 임펠러(110A)는 회전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의 임펠러에 의해 하우징부 내에 형성되는 원료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1000)는 호모 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해 임펠러부(120)의 임펠러(110A)가 회전하게 된다.
즉, 임펠러부(120)는 호모 구동부(100)와 임펠러 축(110)에 의해 연결되며, 호모 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해 임펠러부(120)의 임펠러(110A)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임펠러(110A)의 회전을 통해 상부로부터 하부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하우징부(700) 내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료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흡입력은 상술한 제 1 블레이드(113)와, 제 2 블레이드(114)와, 제 3 블레이드(115)의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사이클론식 흡입력이다.
이러한 사이클론식 흡입력에 의해, 임펠러(110A)가 회전시 하우징부(700) 내의 원료는 임펠러(110A)의 회전 방향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임펠러(110A) 내의 하부로 흡입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에서 외부 파이프를 통한 원료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호모 믹서(1000)는 임펠러부(120)와 하우징부(700)를 연결하는 순환 파이프(7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순환 파이프(730)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사이클론식 흡입력에 의해, 임펠러(110A)가 회전시 하우징부(700) 내의 원료는 임펠러(110A)의 회전 방향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임펠러(110A) 내의 하부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하부로 이동한 원료는 순환 파이프(730)를 통해 하우징부(700) 내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순환식 호모 믹서(1000) 내에서 원료가 교반시 임펠러(110A)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부(700) 내의 원료는 하우징부(700)의 하부에 있는 임펠러부(110)로 흡입되고, 흡입된 원료는 순환 파이프(730)를 통해 하우징부(700) 내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즉, 하부에 있는 원료가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에 있는 원료가 하부로 이동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하우징부(700)내에서 교반시 원료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임펠러를 구동하는 호모 구동부의 이상시 믹싱조로부터 회전축과, 커버와, 호모 모터와, 감속 기어를 분해하지 않고 하우징 하부의 호모 모터만을 교체할 수 있고,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흡입하는 호모 임펠러가 용기 내부에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제품의 순환을 발생시키며 외부에 장착된 순환 파이프를 통해 하부의 내용물을 상부로 순환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 호모 구동부
200 : 경화 방지부
300 : 커버
400 : 실린더 구동부
500 : 실린더부
600 : 교반 확인부
700 : 하우징부
800 : 원료 투입부
900 : 지지부
1000 : 순환식 호모 믹서

Claims (10)

  1. 제공된 원료가 믹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하부에 연결되는 임펠러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임펠러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연결하는 순환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호모 믹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부는 호모 구동부와 임펠러 축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호모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임펠러부의 임펠러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호모 믹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을 통해 상부로부터 하부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 내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료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호모 믹서.
  4. 제 3 항에 있어서,
    하부로 이동한 상기 원료는 상기 순환 파이프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 내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호모 믹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원판 형상의 바디;
    상기 바디의 중심 부위에 상기 임펠러 축이 삽입되는 제 1 중앙홀;
    상기 바디의 일면 외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블레이드;
    상기 제 1 중앙홀과 상기 제 1 블레이드 사이에 상기 외주보다 작은 제 1 동심원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블레이드; 및
    상기 제 1 중앙홀과 상기 제 2 블레이드 사이에 상기 제 1 동심원보다 작은 제 2 동심원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제 3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호모 믹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레이드와, 상기 제 2 블레이드와, 상기 제 3 블레이드는 사이클론식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 1 중앙홀을 향해 서로 다른 크기를 갖고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호모 믹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외측을 감싸는 경화 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경화 방지부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부 내의 상기 원료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온수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호모 믹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부와 연결되는 실린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버를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호모 믹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커버를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 상기 실린더 구동부도 함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호모 믹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의 제 1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샤프트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 부재; 및
    상기 제 1 샤프트를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위치하는 제 2 샤프트가 상기 제 1 샤프트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호모 믹서.
KR1020200076217A 2020-06-23 2020-06-23 순환식 호모 믹서 KR20210158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17A KR20210158003A (ko) 2020-06-23 2020-06-23 순환식 호모 믹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17A KR20210158003A (ko) 2020-06-23 2020-06-23 순환식 호모 믹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003A true KR20210158003A (ko) 2021-12-30

Family

ID=7917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17A KR20210158003A (ko) 2020-06-23 2020-06-23 순환식 호모 믹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800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168U (ko) 2008-04-03 2009-10-07 (주)아모레퍼시픽 호모 믹서용 측온장치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168U (ko) 2008-04-03 2009-10-07 (주)아모레퍼시픽 호모 믹서용 측온장치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26516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mproved mixing
KR20150039737A (ko) 소형 복합 교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형 복합 교반 시스템
CN106669515A (zh) 一种搅拌式气力处理粉体材料的装置和方法
US20170095781A1 (en) Boundary layer drum mixer
CN102015085B (zh) 混合式搅拌机
EP0137606A2 (en) Sterile suspension and solution holding and mixing tank
KR20150045742A (ko) 균질 혼련기
US5447369A (en) Industrial mixer
KR20090022591A (ko) 균질혼련기의 교반장치
KR20210158003A (ko) 순환식 호모 믹서
CN208372948U (zh) 一种搅拌混合罐
JP7318936B2 (ja) 撹拌機
KR102320738B1 (ko) 호모 믹서
CN215743021U (zh) 一种化妆品生产用的高均质乳化罐
US4190617A (en) Mixing pump system
JP5755474B2 (ja) 攪拌装置
CN105833761B (zh) 一种生物医药制备的搅拌装置
CN104226157A (zh) 一种水冷式多层搅拌配液罐
KR100318994B1 (ko) 균질혼련기
AU2014364757B2 (en) A liquid processing mixer
JPS5845725A (ja) 混合撹拌機
CN106215771A (zh) 一种化工原液搅拌机
JPH0568295B2 (ko)
CN217795548U (zh) 一种高剪切乳化搅拌装置
JPH09168729A (ja) 撹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