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002A -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002A
KR20210158002A KR1020200076216A KR20200076216A KR20210158002A KR 20210158002 A KR20210158002 A KR 20210158002A KR 1020200076216 A KR1020200076216 A KR 1020200076216A KR 20200076216 A KR20200076216 A KR 20200076216A KR 20210158002 A KR20210158002 A KR 20210158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ile design
trend
unit
data
mod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희
Original Assignee
강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희 filed Critical 강선희
Priority to KR1020200076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8002A/ko
Priority to PCT/KR2021/007813 priority patent/WO2021261881A1/ko
Publication of KR2021015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40Filling a planar surface by adding surface attributes, e.g. colour or tex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16Clo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24Style var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도출하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트렌드 분석부; 상기 트렌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 상기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3D 가상 이미지로 모델링하는 3D 모델링부; 및 상기 모델링된 3D 가상 이미지를 카테고리별로 저장·관리하는 3D 가상 이미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EXTILE DESIGN 3D MODELING}
본 발명은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즌별 해외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한 빅데이터 결과를 도출하여 자체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3D 가상 이미지로 모델링할 수 있도록 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텍스타일 디자인이란 천에 들어갈 문양이나 조직 등을 설계하는 것으로, 천에 찍을 문양이나 그에 적합한 색상, 크기, 천의 종류 등을 정하거나 천을 짜는데 적합한 조직과 실, 색상 등을 정하는 작업이다.
텍스타일 디자인은 수작업으로 직접 디자인하는 경우도 있으나, 요즘은 기술이 발전해서 프린터로도 간단히 디자인 문양을 찍어낼 수 있다.
종래에는 텍스타일 디자이너가 의도하는 텍스타일 소재와 디자인에 따라 수작업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텍스타일 디자인 작업을 한 후, 평면의 천에 직물 염색으로 텍스타일 디자인을 입히거나 디지털 프린터를 이용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을 프린트하고, 이 천을 재단하고 봉제하여 의복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2차원 평면상의 직물에 디자인된 텍스타일 디자인은 입체 형태의 의복으로 만들어졌을 때, 텍스타일 디자이너가 생각했던 느낌과 다른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을 바이어에게 소개할 때, 개발된 텍스타일 디자인이 의복에 적용되었을 때의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 샘플을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텍스타일 디자이너는 시즌별로 쏟아지는 의류 컬렉션 자료를 바탕으로 트렌드를 도출하고, 도출된 트렌드에 맞게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종래에는 텍스타일 디자이너가 일일이 방대한 양의 의류 컬렉션 자료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도출해야 하므로, 트렌드 분석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6378호(공개일 2017.08.24.)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즌별 해외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한 빅데이터 결과를 도출하여 자체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3D 가상 이미지로 모델링할 수 있도록 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는,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도출하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트렌드 분석부; 상기 트렌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 상기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3D 가상 이미지로 모델링하는 3D 모델링부; 및 상기 모델링된 3D 가상 이미지를 카테고리별로 저장·관리하는 3D 가상 이미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렌드 분석부는,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라이브러리화하는 라이브러리부; 상기 라이브러리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트렌드를 도출하는 트렌드 도출부; 및 상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트렌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생산용 디자인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파일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방법은, 트렌드 분석부가,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도출하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가, 상기 트렌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단계; 3D 모델링부가, 상기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3D 가상 이미지로 모델링하는 단계; 및 3D 가상 이미지 저장부가, 상기 모델링된 3D 가상 이미지를 카테고리별로 저장·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도출하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라이브러리화하는 단계; 상기 라이브러리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트렌드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파일 변환부가, 상기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생산용 디자인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은, 시즌별 해외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분석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트렌드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개발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3D 가상 이미지로 모델링함으로써, 샘플링을 하지 않고도 미리 제품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개발, 3D 가상 이미지 모델링뿐만 아니라 구매자와 공급자의 거래 등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의복 완제품의 전 주기에 관여하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판매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100)는 트렌드 분석부(110),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120), 파일 변환부(130), 3D 모델링부(140), 3D 가상 이미지 저장부(150),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판매부(160), 구매 이력 관리부(170),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추천부(18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트렌드 분석부(110)는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도출하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사용자(예를 들어, 텍스타일 디자이너)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렌드 분석부(110)는 데이터 수집부(111), 라이브러리부(113), 트렌드 도출부(115), 트렌드 정보 제공부(117)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11)는 패션 트렌드의 기준이 되는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11)는 관리자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온라인 상에 배포되어 있는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11)는 관리자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정보 기반 또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할 때 디자인별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컬렉션별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디자이너별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패션 브랜드별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부(113)는 데이터 수집부(111)를 통해 수집된 의류 컬렉션 데이터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라이브러리화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부(113)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Floral, Animal skin, Geometric, Conversational, Paisley, Tropical, Texture, Stripe, Dots, Tee graphic, Check 등과 같이 모티브별로 분류될 수 있고, 색상별로 분류될 수 있고, 소재별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모티브별, 색상별, 소재별로 분류된 카테고리는 다시 세부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라이프 무늬는 런던 스프라이프, 헤링본, 더블 스트라이프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고, 도트 무늬는 핀 도트(pin dot), 물방울 무늬(polka dot), 코인 도트(coin dot)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고, 핑크색은 피치, 펀치, 코랄, 핫핑크,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트렌드 도출부(115)는 라이브러리부(113)를 통해 카테고리별로 라이브러라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트렌드를 도출할 수 있다.
트렌드 도출부(115)는 라이브러리부(113)를 통해 카테고리별로 라이브러리화된 데이터의 비율을 기반으로 텍스타일 디자인의 트렌드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21 SS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모티브별 카테고리의 도트 무늬, 꽃무늬, 동물 가죽 무늬, 스트라이프 무늬, 기하학 무늬, 페이즐리 무늬 등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30%, 27%, 17%, 5%, 3%, 2%라고 가정했을 때, 도트 무늬, 꽃무늬, 동물 가죽 무늬를 트랜드로 도출할 수 있다.
트렌드 도출부(115)는 모티브별 카테고리의 데이터를 좀 더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도트 무늬 중에서도 물방울 패턴이 주를 이루고, 꽃무늬도 크고 작은 다른 문양을 믹스 매치한 패턴이 주를 이루며, 동물 가죽 무늬 중에서도 지브라(Zebra) 패턴이 주를 이룬다는 트렌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트렌드 도출부(115)는 색상별로 분류되어 있는 데이터의 분포 상태, 소재별로 분류되어 있는 데이터 분포 상태를 기반으로 시즌별로 트렌드를 주도할 색상, 소재 등을 도출할 수 있다.
트렌드 도출부(115)는 기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매일, 매주, 매달 등)로 트렌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트렌드 정보 제공부(117)는 트렌드 도출부(115)에서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트렌드 정보 제공부(117)는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그래프, 분포도 등으로 도식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시즌별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트렌드 정보 제공부(117)는 트렌드 도출부(115)에서 주기적으로 트렌드 정보가 도출되면, 기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메신저 계정, SNS 계정 정보 등)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고, 트렌드 도출부(115)에서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트렌드 정보 제공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렌드 분석부(110)가 시즌별로 수집된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도출하고,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인 텍스타일 디자이너는 객관적 지표를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120)는 트렌드 분석부(110)에서 분석된 트렌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업로드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는 시즌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고, 모티브별, 색상별, 소재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업로드받을 때, 상품명을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파일 변환부(130)는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생산용 디자인 파일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파일 변환부(130)는 구매자(예를 들어, 패션/원단 디자이너, 원단 제작 업자 등)가 판매자(예를 들어, 텍스타일 디자이너 등)로부터 구매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별도의 수정없이 바로 원단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공장 생산용 디자인 파일과 컬러 지정 매칭 파일을 서비스하기 위한 것으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생산용 디자인 파일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자는 생산용 디자인 파일 형식으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받음으로써, 별도의 추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파일 변환은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구매한 구매자가 해당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3D 모델링부(140)는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3D 가상 이미지로 모델링할 수 있다.
3D 모델링부(140)는 기설정되어 있는 의상의 옷본과 기본 실루엣을 기반으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3D 가상 이미지로 모델링할 수 있다.
3D 가상 이미지 저장부(150)는 3D 모델링부(140)에서 모델링된 3D 가상 이미지를 판매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관리할 수 있다.
3D 가상 이미지 저장부(150)는 3D 모델링부(140)에서 모델링된 3D 가상 이미지를 판매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때,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의 상품명, 가격, 상품코드, 파일형식, 리핏 사이즈(repeat size), 2D 이미지 등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판매부(160)는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3D 가상 이미지 저장부(150)에 저장된 3D 가상 이미지 및 판매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의 상품명, 가격, 상품코드, 파일형식, 리핏 사이즈, 2D 이미지 등)를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판매 화면을 통해 구매자에게 제공하고, 3D 가상 이미지를 확인한 구매자로부터 주문정보를 입력받고, 주문을 요청한 구매자가 결제를 완료하면, 해당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승인할 수 있다.
구매 이력 관리부(170)는 각각의 구매자가 구매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구매일시 등의 구매 정보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추천부(180)는 각 구매자의 구매 이력을 기반으로 각 구매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가 업로드되면, 이를 각 구매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추천부(180)는 구매자가 어느 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선택하여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판매 화면을 통해 확인하는 경우, 구매자가 선택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테츠와 유사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필터링하여 이를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판매 화면의 일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100)는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도출하고, 도출된 트렌드에 따라 텍스타일 디자이너가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면, 개발된 텍스타일 디자인을 3D 가상 이미지로 모델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상에서 진행되므로, 도 1의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트렌드 분석부(110)는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도출하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10).
상기한 단계 S110에서 트렌드 분석부(110)는 패션 트렌드의 기준이 되는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되, 관리자에 의해 업데이트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온라인 상에 배포되어 있는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한 단계 S110에서 트렌드 분석부(110)는 수집된 의류 컬렉션 데이터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된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라이브러리화할 수 있다. 이때, 트렌드 분석부(110)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모티브별, 색상별, 소재별 등으로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한 단계 S110에서 트렌드 분석부(110)는 모티브별, 색상별, 소재별 등으로 라이브러라화된 데이터의 비율을 기반으로 트렌드를 도출할 수 있으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그래프, 분포도 등으로 도식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단계 S110에서 트렌드 분석부(110)는 모티브별, 색상별, 소재별 등으로 분류된 각 카테고리의 데이터를 좀 더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트렌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한 단계 S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트렌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는 객관적 지표를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개발할 수 있게 된다.
객관적 지표를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개발한 사용자는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100)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업로드되는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시즌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S120).
상기한 단계 S120에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업로드되는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모티브별, 색상별, 소재별 등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한 단계 S120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120)에 저장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3D 가상 이미지로 모델링할 수 있다(S130).
상기한 단계 S130에서 3D 모델링부(140)는 기설정되어 있는 의상의 옷본과 기본 실루엣을 기반으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3D 가상 이미지로 모델링할 수 있다.
이후 3D 가상 이미지 저장부(150)는 상기한 단계 S130을 통해 모델링된 3D 가상 이미지를 판매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관리할 수 있다(S140).
상기한 단계 S140에서 3D 가상 이미지 저장부(150)가 3D 모델링부(140)에서 모델링된 3D 가상 이미지를 판매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때,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의 상품명, 가격, 상품코드, 파일형식, 리핏 사이즈(repeat size), 2D 이미지 등을 지정받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판매 화면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의 3D 가상 이미지 및 판매에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의 상품명, 가격, 상품코드, 파일형식, 리핏 사이즈, 2D 이미지 등)를 확인한 구매자로부터 주문정보가 입력되고,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 구매자에게 해당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승인할 수 있다(S150).
상기한 단계 S150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의 판매가 완료되면, 구매 이력 관리부(170)는 해당 구매자가 구매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구매일시 등의 구매 정보에 대한 이력을 관리할 수 있으며, 추후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추천부(180)는 각 구매자의 구매 이력을 기반으로 각 구매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가 업로드되면, 이를 각 구매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상기한 단계 S150을 통해 구매자가 구매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자가 구매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별도의 수정없이 바로 원단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파일 변환부(130)를 통해 해당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생산용 디자인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트렌드 분석부,
111. 데이터 수집부,
113. 라이브러리부,
115. 트렌드 도출부,
117. 트렌드 정보 제공부,
120.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
130. 파일 변환부,
140. 3D 모델링부,
150. 3D 가상 이미지 저장부,
160.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판매부,
170. 구매 이력 관리부,
180.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추천부

Claims (6)

  1.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도출하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트렌드 분석부;
    상기 트렌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
    상기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3D 가상 이미지로 모델링하는 3D 모델링부; 및
    상기 모델링된 3D 가상 이미지를 카테고리별로 저장·관리하는 3D 가상 이미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분석부는,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라이브러리화하는 라이브러리부;
    상기 라이브러리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트렌드를 도출하는 트렌드 도출부; 및
    상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트렌드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생산용 디자인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파일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4. 트렌드 분석부가,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도출하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 저장부가, 상기 트렌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단계;
    3D 모델링부가, 상기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3D 가상 이미지로 모델링하는 단계; 및
    3D 가상 이미지 저장부가, 상기 모델링된 3D 가상 이미지를 카테고리별로 저장·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도출하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시즌별 의류 컬렉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라이브러리화하는 단계;
    상기 라이브러리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트렌드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트렌드 정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파일 변환부가, 상기 텍스타일 디자인 컨텐츠를 생산용 디자인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방법.
KR1020200076216A 2020-06-23 2020-06-23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 KR20210158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16A KR20210158002A (ko) 2020-06-23 2020-06-23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
PCT/KR2021/007813 WO2021261881A1 (ko) 2020-06-23 2021-06-22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16A KR20210158002A (ko) 2020-06-23 2020-06-23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002A true KR20210158002A (ko) 2021-12-30

Family

ID=7917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16A KR20210158002A (ko) 2020-06-23 2020-06-23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58002A (ko)
WO (1) WO20212618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538A (ko) 2022-06-21 2023-12-28 신수은 텍스타일 디자인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중개 방법
KR102626945B1 (ko) * 2023-07-05 2024-01-18 주식회사 니그나스 인공지능 모델 기반 3d 의류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378A (ko) 2016-02-16 2017-08-24 주식회사 타노스 3차원 텍스타일 디자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225A (ja) * 1994-06-22 1996-01-16 Brother Ind Ltd デザイン画表示装置
JP2000282316A (ja) * 1999-01-28 2000-10-10 Akira Suzuki コンピュータによる服飾デザインの開発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66971B1 (ko) * 2001-06-21 2006-04-03 주식회사 삼테크아이앤씨 네트워크를 통한 패션정보서비스 제공장치
KR20030039970A (ko) * 2001-11-16 2003-05-22 주식회사 해피투웨어 가상공간에서의 의복 디자인 협업 서비스 사업 방법 및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KR101524189B1 (ko) * 2012-10-30 2015-06-0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류디자인 개발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의류디자인 개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378A (ko) 2016-02-16 2017-08-24 주식회사 타노스 3차원 텍스타일 디자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538A (ko) 2022-06-21 2023-12-28 신수은 텍스타일 디자인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중개 방법
KR102626945B1 (ko) * 2023-07-05 2024-01-18 주식회사 니그나스 인공지능 모델 기반 3d 의류 데이터 변환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881A1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7089B2 (en) System for segmentation by product category of product images within a shopping cart
CN112513913A (zh) 服装的数字阵列室
CN109284413A (zh) 基于人脸识别的商品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90272679A1 (en) Cloud-based garment design system
US10586262B2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the customization of fashion items
WO200103714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roduct attributes for facilitating electronic commerce in area rugs
EP114747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display and selection of products for facilitating electronic commerce in area rugs
US20200402136A1 (en) Avatar Matching in On-Line Shopping
KR20210158002A (ko) 텍스타일 디자인 3d 모델링 장치 및 방법
Bellemare Fashion apparel industry 4.0 and smart mass customization approach for clothing product design
Wiradinata et al. Online Measuring Feature for Batik Size Prediction using Mobile Device: A Potential Application for a Novelty Technology
Gasós et al. E-tailor: Integration of 3D scanners, CAD and virtual-try-on technologies for online retailing of made-to-measure garments
US1142347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selection and ordering of hair products
CN109840336A (zh) 服装设计样本推荐方法和装置
JPH0728902A (ja) 売筋商品分析システム
KR102228923B1 (ko) 의류 제작 의뢰용 작업 의뢰 장치
US10755342B1 (en) Multisource augmented reality model
Idrees et al. Sustainable Mass-Customisation Business Model by Incorporating Virtual Fitting Room Marketing Tools in Fashion E-Commerce: A Study of the Luxury Unstitched Market
Goldstein et al. Virtual prototyping: from concept to 3D design and prototyping in hours
US20180374137A1 (en) Online garment design and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KR102074654B1 (ko) 쇼핑몰 웹페이지 저작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303516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MAGES US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GANs)
Agrad et al. Deep Learning Meets Fashion-A Look Into Virtual Try-On Solutions
Dönmezer et al. Digital-body (avatar) library for textile industry
Hsu et al. The Study of Developing Innovation on Technology-Enabled Desig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