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897A -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 - Google Patents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897A
KR20210155897A KR1020200073366A KR20200073366A KR20210155897A KR 20210155897 A KR20210155897 A KR 20210155897A KR 1020200073366 A KR1020200073366 A KR 1020200073366A KR 20200073366 A KR20200073366 A KR 20200073366A KR 20210155897 A KR20210155897 A KR 20210155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pening
temporary
slab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의환
고재환
Original Assignee
고의환
고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의환, 고재환 filed Critical 고의환
Priority to KR1020200073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5897A/ko
Publication of KR20210155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푸집(F) 사이에 타설한 슬라브(S)가 양생된 후 통공(T)의 일단을 형성하는 외관(11)과, 상기 슬라브(S)가 양생된 후 상기 통공(T)의 타단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관(11)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되어 조립되는 내관(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입상슬리브(10); 및 상기 통공(T)에 입상관(P)이 시공되기 전까지 상기 개방구(O)를 임시로 막는 임시덮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슬라브 양생이 완료된 이후 내외관 중 상측에 위치하면서 통공을 막고 있는 마감판이 없어 통공이 개방되더라도, 관체 상단의 개구부를 임시덮개에 의해 곧바로 폐쇄할 수 있으므로, 통공의 개방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Temporary Finishing Structure For Standpipe Sleeve}
본 발명은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통공을 갖는 슬라브의 양생이 완료된 이후, 통공을 통해 입상관을 설치하기 전까지 통공을 마감하여 개방된 통공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이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는 건물은 각 층을 연결하도록 입상관이 시공되는데,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배관파이프가 각 층의 슬라브를 관통하여 입상관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슬라브에 입상슬리브를 매립하고 있다.
입상관의 시공방법은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에서 슬라브(slab, 철근 콘크리트구조의 바닥면)를 타설하기 이전에 설계도면 상 입상관을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의 거푸집에 입상슬리브(sleeve)를 장착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입상슬리브가 슬라브에 매립된 상태에서 각 층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그 관통된 통공에 입상관을 삽입함으로써 입상관이 각 층을 관통하여 다층으로 연결되도록 시공한다.
이러한 시공방법의 한 예로 도 1에 도시된 시공 방법(등록특허 제10-1881412호)을 들 수 있다.
이 시공방법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브(S)의 양생이 완료된 때, 입상슬리브(110)에 의해 슬라브(S) 상에 통공(T)이 발생되는 바, 거푸집(F)을 제거하더라도, 이 통공(T)은 상단 개방구가 마감판(121)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거푸집(F)을 제거한 이후에도 슬라브(S) 위를 이동하는 작업자가 통공(T)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당할 염려가 없다.
그런데, 최근 들어 하나의 통공(T)에 복수 개의 입상관을 설치하고자 통공(T)의 직경이 확대되는 추세이며, 이로 인해 공사 현장의 작업자들은 편의에 따라 예컨대, 비계를 위층으로 옮기기 위해 마감판(121)을 파단하고, 통공(T)을 통로로 사용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사용된 이후 통공(T)이 개방된 채 방치되어 안전사고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편의 데로 개방한 통공(T)을 여타의 물품으로 대충 가리거나 막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나, 통공(T)을 막는 물품이 통공(T)에 정합되지 못하므로, 이 또한 공사에 방해를 일으킬 뿐 아니라, 여전히 안전사고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KR 10-188141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입상슬리브 시공방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통공을 갖는 슬라브를 시공함에 있어, 통공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입상슬리브의 마감판이 입상관 설치 전에 모종의 이유로 파단되어 통공이 개방된 때, 통공의 개방단을 임시덮개로 폐쇄함으로써, 슬라브 위를 이동하는 작업자가 개방된 통공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거푸집 내측면 사이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관체의 일측단을 이루며, 상기 거푸집 사이에 타설한 슬라브가 양생된 후 통공의 일단을 형성하는 외관과, 상기 관체의 타측단을 이루며, 상기 슬라브가 양생된 후 상기 통공의 타단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관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되어 조립되는 내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입상슬리브; 및 양생된 상기 슬라브에서 상기 거푸집을 제거한 이후 개방된 상기 관체의 상단 개방구에 결합되어, 상기 통공에 입상관이 시공되기 전까지 상기 개방구를 임시로 막는 임시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입상슬리브는 상기 관체의 상하단 중 적어도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통공의 상하단 중 적어도 상단을 마감하는 마감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시덮개는 상기 개방구를 막을 때 상기 개방구의 직경 편차를 수용하면서 상기 개방구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저면의 둘레부분에 형성되는 스냅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냅돌기는 말단이 상기 개방구의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도록 단면 ㄴ자 형태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냅돌기는 상기 개방구의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는 말단에 하향 축경되도록 테이퍼진 안내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시덮개는 성형 시 상기 스냅돌기로 인해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스냅돌기와 마주보는 부분에 언더컷회피공이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에 따르면, 상대 이동이 가능한 외관과 내관으로 이루어진 입상슬리브에 의해 통공을 형성하도록 슬라브를 시공함에 있어, 슬라브 양생이 완료된 이후 내외관 중 상측에 위치하면서 통공을 막고 있는 마감판이 입상관 설치 전에 모종의 이유로 파단되거나 애초에 내외관에 마감판이 존재하지 않아 통공이 개방되더라도, 관체 상단의 개구부를 임시덮개에 의해 곧바로 폐쇄할 수 있으므로, 통공의 개방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입상관 설치 전에 통공에 막는 임시덮개가 스냅돌기에 의해 개방구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므로, 임시덮개를 보다 신속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스냅돌기는 ㄴ자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개방구로 삽입된 때 변형되는 범위가 넓고 따라서, 개방구 내경의 편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종류의 입상슬리브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냅돌기는 개방구의 에지와 접하는 말단에 하향 축경되도록 테이퍼진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임시덮개를 더 빠르고 쉽게 개방구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임시덮개 저면에 돌출되는 스냅돌기가 ㄴ자 모양으로 절곡되더라도 언더컷회피공에 의해 스냅돌기와 임시덮개 저면 사이에 언더컷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임시덮개 성형 금형의 형태와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입상관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입상슬리브의 마감판 제거 전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임시덮개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스냅돌기를 확대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따른 스냅돌기를 변형 정도에 따라 구분하여 확대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
도 8은 도 2의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2의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양생 완료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모종의 이유로 도 9의 마감판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입상슬리브의 통공을 통해 입상관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는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입상슬리브(10)와 임시덮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입상슬리브(10)는 다층 건물의 층과 층을 구분하는 슬라브(S)를 콘크리트 타설할 때, 층과 층을 연결하는 관통공(T)을 형성하도록 거푸집(F) 위에 또는 거푸집(F) 사이에 설치되는 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외관(11)과 내관(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관(11)은 입상슬리브(10)의 일측단 예컨대 하단을 이루는 원통형의 중공체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입상슬리브(10)의 외부 몸체 대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외관(11)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통공(T)을 갖는 슬라브(S)를 콘크리트 타설로 만들 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5)의 일측단으로서 내관(5)과 함께 관체(15)를 이루어, 도 6에 도시된 거푸집(F) 내측면 사이를 횡단하도록 길게 연장된다. 이후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어 거푸집(F)이 제거되면, 외관(11)은 내관(5)과 함께 슬라브(S)를 관통하는 통공(T)을 형성한다.
상기 내관(5)은 입상슬리브(10)의 타측단 예컨대 상단을 이루는 원통형의 중공체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11)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외관(11)과 함께 하나의 관체(15)로 조립되되, 타단 즉, 상단이 파지 등을 쉽게 하도록 외관(11) 밖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내관(5)은 외관(11)과 마찬가지로 통공(T)을 갖는 슬라브(S)를 콘크리트 타설로 만들 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5)의 타측단으로서 관체(15)를 이루어, 거푸집(F) 내측면 사이를 횡단하게 된다. 이후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어 거푸집(F)이 제거되면, 내관(5)은 외관(11)과 함께 슬라브(S)를 관통하는 통공(T)을 형성한다.
한편, 외관(11)과 내관(5)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어 관체(15)를 이루는 바,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슬라브(S)의 두께에 맞추어 관체(1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외관(11)과 내관(5)은 다양한 방식 또는 수단에 의해 결합이 가능한데, 그 대표적인 예로 나사 결합에 의한 결합방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외관(11)은 내주면에 암나사(17)가 가공되고, 내관(5)은 외주면에 위 암나사(17)와 호응하는 수나사(19)가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관(11)과 내관(5)은 나사 결합거리에 따라 관체(15)의 길이를 결정하게 된다. 즉, 도 2와 같이 상대적으로 슬라브(S)의 두께가 얇은 때 나사 결합거리가 길어지면서 관체(15)의 길이는 짧아지는 반면, 상대적으로 슬라브(S)의 두께가 두꺼운 때는 나사 결합거리가 짧아지면서 관체(15)의 길이는 길어진다.
또한, 외관(11)과 내관(13)은 공히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S)를 만들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사용되는 마감판(21)을 포함한다. 이 마감판(21)은 외관(11) 또는 내관(5) 중 적어도 상측에 위치하는 외관(11)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원판 형태로 되어 있으며, 거푸집(F) 사이에 관체(15)를 연결하기 전에 통공(T)의 외관(11) 및 내관(5) 측 단부를 마감한다. 또한, 마감판(21)은 거푸집(F) 내측면에 고정되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에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3)가 거푸집(F)의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거푸집(F) 사이에 고정된다. 물론,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고 거푸집(F)이 제거된 이후, 마감판(21)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통공(T)에 입상관(P)을 설치할 수 있도록 관체(15)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임시덮개(20)는 슬라브(S) 양생이 완료되어 거푸집(F)을 제거한 뒤, 모종의 이유로 개방된 관체(15)의 상단 개방구(O)를 임시로 마감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관체(15) 상단 개방구(O)를 덮을 수 있는 넓이의 원판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임시덮개(20)는 위와 같이 상단 개방구(O)를 마감하면서 상단 개방구(O)에 결합되는 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통공(T)에 입상관(P)이 삽입되어 시공되기 전까지 임시로 상단 개방구(O)를 폐쇄함으로써, 상단 개방구(O)로 인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이 때, 임시덮개(20)는 다양한 방식으로 개방구(O)에 결합이 가능한 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저면의 둘레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냅돌기(31)에 의해 개방구(O) 내주면 상단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스냅돌기(31)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임시덮개(20) 저면에서 일자로 하향 돌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외주면에서 임시덮개(20) 중심까지의 거리 즉, 반경이 개방구(O) 내경과 일치함으로써 개방구(O)에 끼워맞춤되며, 이를 통해 임시덮개(20)는 개방구(O)에 결합된다. 이 때, 스냅돌기(31)는 개방구(O)에의 삽입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단에 하향 축경되도록 테이퍼진 안내면(33)이 형성된다.
다만, 스냅돌기(31)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횡방향 탄력을 크게 갖지 못하므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그 말단을 개방구(O)의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도록 절곡함으로써, 횡방향 탄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스냅돌기(31)는 도 7에 (A)로 도시된 것처럼 ㄴ자 형태의 종단면 형상을 가지는 바, 관체(1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부(35)와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반경부(37)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냅돌기(31)는 관체(15) 상단 개방구(O)에 삽입된 때, 도 7에 (B)로 도시된 것처럼, 전체적으로는 하단이 반경방향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도록 탄력적으로 변형되며, 변형된 만큼 탄력적으로 개방구(O) 내주면에 대해 밀착되면서 스냅식으로 결합된다.
이 때, 관체(15)를 이루는 내관(13)의 개방구(O)는 내관(13) 성형 시 발생되는 일반 공차범위 내에서 또는 불량에 따른 공차범위 밖으로 직경에 편차가 생길 수 있을 뿐 아니라, 메이커에 따라 직경이 서로 다르게 될 수 있는 바, 예컨대 도 7에 (B와 (C)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구(O) 내경에 편차(d)가 생기더라도, 임시덮개(20)는 스냅돌기(31)가 탄력에 의해 이 편차를 수용하므로, 개방구(O)에 무난히 스냅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스냅돌기(31)는 도 6에 도시된 스냅돌기(31)와 마찬가지로 개방구(O)의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는 말단에 하향 축경되도록 테이퍼진 안내면(33)이 형성됨으로써, 개방구(O)로의 삽입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임시덮개(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모양 스냅돌기(31)와 마주보는 둘레 부분에 언더컷회피공(41)이 관통, 형성되는 바,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할 때 스냅돌기(31)로 인해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임시마감구조에 따르면, 입상관(P)을 관통, 설치할 수 있는 슬라브(S)를 만들 때,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거푸집(F) 사이에서 또는 하부 거푸집(F) 위에서 입상관(P)을 형성할 위치에 입상슬리브(10)를 배치한다. 이때, 마감판(21)의 고정돌기(23)를 거푸집(F)의 고정홈에 끼워 입상슬리브(10)가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거푸집(F)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슬라브(S) 양생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마감판(21)으로부터 거푸집(F)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슬라브(S)에 통공(T)이 있음에도 마감판(21)으로 덮여 있어 공사 중인 슬라브(S) 위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공사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는 모종의 이유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마감판(21)이 파단되어 통공(T)이 개방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T)을 이루는 관체(15)의 상단 개방구(O)에 임시덮개(20)를 결합함으로써, 통공(T)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가 임시덮개(20)를 개방구(O)에 끼워 넣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스냅돌기(31)가 변형되면서 개방구(O)에 인접한 내관(13)의 내주면 상에 밀착되고, 따라서 임시덮개(20)는 통공(T)을 견고하게 마감한다.
이때, 개방구(O)의 직경이 가공공차나 메이커 차이로 인해 편차를 가지더라도, 임시덮개(2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스냅돌기(31)가 자체 탄력을 통해 이 편차(d)를 무난히 수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이유로 직경 차이가 있는 어떤 개방구(O)에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후, 통공(T)으로 입상관(P)을 배치할 때가 되면, 작업자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개방구(O)로부터 간단히 임시덮개(20)를 제거하여 통공(T)을 개방하고, 통공(T)을 통해 입상관(P)을 배치하면 된다.
1 : 임시마감구조 10 : 입상슬리브
11 : 외관 13 : 내관
15 : 관체 20 : 임시덮개
21 : 마감판 23 : 고정돌기
31 : 스냅돌기 33 : 안내면
41 : 언더컷회피공 F : 거푸집
O : 개방구 P : 입상관
S : 슬라브 T : 통공

Claims (6)

  1. 거푸집(F) 내측면 사이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관체(15)의 일측단을 이루며, 상기 거푸집(F) 사이에 타설한 슬라브(S)가 양생된 후 통공(T)의 일단을 형성하는 외관(11)과, 상기 관체(15)의 타측단을 이루며, 상기 슬라브(S)가 양생된 후 상기 통공(T)의 타단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관(11)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되어 조립되는 내관(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입상슬리브(10); 및
    양생된 상기 슬라브(S)에서 상기 거푸집(F)을 제거한 이후 개방된 상기 관체(15)의 상단 개방구(O)에 결합되어, 상기 통공(T)에 입상관(P)이 시공되기 전까지 상기 개방구(O)를 임시로 막는 임시덮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상슬리브(10)는 상기 관체(15)의 상하단 중 적어도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통공(T)의 상하단 중 적어도 상단을 마감하는 마감판(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임시덮개(20)는 상기 개방구(O)를 막을 때 상기 개방구(O)의 직경 편차를 수용하면서 상기 개방구(O)에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저면의 둘레부분에 형성되는 스냅돌기(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냅돌기(31)는 말단이 상기 개방구(O)의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도록 단면 ㄴ자 형태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냅돌기(31)는 상기 개방구(O)의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는 말단에 하향 축경되도록 테이퍼진 안내면(3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임시덮개(20)는 성형 시 상기 스냅돌기(31)로 인해 언더컷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스냅돌기(31)와 마주보는 부분에 언더컷회피공(41)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
KR1020200073366A 2020-06-17 2020-06-17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 KR20210155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366A KR20210155897A (ko) 2020-06-17 2020-06-17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366A KR20210155897A (ko) 2020-06-17 2020-06-17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897A true KR20210155897A (ko) 2021-12-24

Family

ID=7917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366A KR20210155897A (ko) 2020-06-17 2020-06-17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58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101B1 (ko) * 2023-04-11 2024-02-27 위니아이엔지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잠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412B1 (ko) 2018-04-13 2018-07-25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슬라브용 입상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412B1 (ko) 2018-04-13 2018-07-25 주식회사 조선아이디 슬라브용 입상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101B1 (ko) * 2023-04-11 2024-02-27 위니아이엔지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55897A (ko) 입상슬리브 임시마감구조
US10603815B2 (en) Concrete form system
CN102203355A (zh) 带有空心圆周壁的塑料排水器或检查井部分及其模具组件
US6651949B1 (en) Apparatus for casting a gasket and associated positioning member into an opening and a cast member for receiving a conduit
KR20190012801A (ko) 인서트가 매입되는 터널 라이닝 거푸집 및 풍도 슬래브 지지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브래킷 형성방법
KR20030045727A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200390924Y1 (ko) 맨홀용 사다리
KR200490820Y1 (ko) 배관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KR20100006090U (ko) 건축용 관통 슬리브
KR101301626B1 (ko) 배수트렌치
KR200403874Y1 (ko) 맨홀용 사다리
EP0180625B1 (en) Barrier with internal ducts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330998B1 (ko) 지수단관 연결접속관 일체형 맨홀 제조장치
KR102234356B1 (ko) 슬라브용 입상관
KR20100009320U (ko) 배관 연결용 관통 슬리브
KR200246592Y1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KR20080042327A (ko) 슬리브 분리형 바닥배수구 및 그 시공방법
EP095465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ady-to-use catch-pit
CA3091050C (en) Multi-use donut for piping installation
JP2022149322A (ja) 封止部材及び升
KR960011366B1 (ko) 난간길이 연장용캡 및 이를 이용한 난간설치방법
KR101304987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
JP3225413B2 (ja) 屈曲配管用凹所形成具
KR101053677B1 (ko) 관을 조립한 후 일체형을 성형하는 맨홀과 그 제조방법
KR200397660Y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