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277A -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277A
KR20210155277A KR1020200072589A KR20200072589A KR20210155277A KR 20210155277 A KR20210155277 A KR 20210155277A KR 1020200072589 A KR1020200072589 A KR 1020200072589A KR 20200072589 A KR20200072589 A KR 20200072589A KR 20210155277 A KR20210155277 A KR 20210155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lastic
art panel
base plate
pulverized
waste pla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520B1 (ko
Inventor
석성균
Original Assignee
석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성균 filed Critical 석성균
Priority to KR102020007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520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6Pressing and sintering powders, granule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21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8Uniting ornamental elements on a support, e.g. mosa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은, 폐플라스틱을 소재별, 색상별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S10); 분류된 폐플라스틱을 하기 D1, D2, D3 크기로 각각 분쇄하는 단계(S20); D1 크기와 단일 색상을 갖는 제1 분쇄 폐플라스틱을 열압착하여 5 ~ 10 mm 두께를 갖는 베이스판재(30)를 제조하는 단계(S30); 및 상기 베이스판재(30)를 반용융 상태로 가열하고, 상기 제1 분쇄 폐플라스틱과 다른 색상을 가지되 D2 크기를 갖는 제2 분쇄 폐플라스틱(22)과 D3 크기를 갖는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을 상기 베이스판재(30) 상에 혼재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판재(30)를 압착함으로써 상기 제2,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이 침입하여 패턴이 형성된 아트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rt panel recycling waste plastic}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을 가공할 때 최소한의 에너지로 원하는 형태의 아트판재를 만들기 위해 폐플라스틱을 분쇄하고 그 재료를 성형하고 압착하여서 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폐플라스틱 발생량은 연간 1000만 톤 이상이다. 또한, 국가 간 폐기물 이동금지조약에 의해 자국에서 발생한 폐기물은 발생 당사국에서 해결해야 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현재 플라스틱 처리 방법은 소각법, 무산소 저온 열분해법, 용융법 등 갖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어느 한 가지 완벽한 처리방법이 없어 많은 처리업체나 정부관련 기관에서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아트스톤은 사람이 인공적으로 만든 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종 야외에 설치됨은 물론 건물의 실내외 등에도 설치되고 있다.
예컨대, 아트스톤은 보도나, 뜰, 마당, 좁은 터 등의 코트에 시공된 콘크리트 바닥이 경화되기 전에 바닥면에 천연석의 표면처럼 성형하기 위한 색소가 함유된 아트스톤 표면제를 도포한 다음 아트스톤 몰드에 의하여 콘크리트 표면을 압형하여 천연석을 바닥에 시공한 것처럼 인공적으로 돌을 시공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토목 건축분야에 있어서, 조경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하학적 형태의 블록을 배열 설치하던 것과 달리, 바닥에 시공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표면에 실크스크린법을 이용하여 블록형태를 전사하여, 마치 블록을 배치한 것처럼 시공하거나, 각종 형태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멘트 몰타르를 주입하여 입체적으로 조형미를 가진 임의 형태로 성형되게 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아트스톤은 종래에 주로 유리섬유강화시멘트(Glass fiber Reinforced Cement; GRC)로 많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강도 및 내구성을 높이고 공사비를 낮추기 위하여 시멘트를 주요 결합재로 이용한 것으로서, 단순한 콘크리트 구조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01에는 보도나 코트에 시공된 시멘트 콘크리트 바닥이 경화되기 전인 가소성이 있을 동안에, 탄산칼슘 80~90중량%, 산화철 1~10중량%, 산화황 1~2중량%, 산화티타늄 1~2중량%, 백시맨트 1~6중량%의 혼합물에 천연석의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가 함유된 분말상의 조성물인 아트스톤(art stone) 표면제를 균일하게 살포하고, 아트스톤 표면제가 콘크리트 표면에 일체로 흡착되었을 때 그 표면에 유성의 이형제를 도포한 다음, 그 표면에 아트스톤 몰드(M)를 대고 60~100 kg/m2 정도의 압력을 가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아트스톤을 연속되게 반복적으로 성형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트스톤의 시공방법에 대한 기재가 있다.
특허문헌 0002에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 에스터 수지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지에 슬래그를 혼합한 미끄럼 방지제를 포장도로의 표면에 도장하여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한 후, 상기 미끄럼 방지층의 상측에 도로 표시용 도료를 도장하여 표시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표시층의 상측에 축광도료를 도장하여 야광층을 형성한 후, 상기 야광층이 경화를 시작할 시점에 유리비드를 상기 야광층의 표면에 살포하여 유리비드가 상기 야광층에서 돌출되게 박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의 도장공법에 대한 기재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바닥재에 무늬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페인트와 같은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석재 표면을 연마한 후 음각하는 방법을 사용 하였으나 미끄럼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바닥재가 요철표면을 갖도록 미끄럼 방지층을 형성하지만 석재 바닥재의 요철표면으로 인해 페인트와 같은 조성물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쉽게 지워져 미관과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그 시공 과정이 복잡해서 공정 시간이 소요가 되고, 인공미를 부여하기가 어렵고, 또한 재료 비용이 상승하여 산업현장에서 실제 적용에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5939호 (발명의 명칭 : 아트스톤의 시공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75838호 (발명의 명칭 : 포장도로의 도장공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2차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폐플라스틱을 생산 활동에 필요한 원료로 최대한 재사용 할 수 있도록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단가를 낮추고, 간소화된 공정을 통해 폐플라스틱의 성질을 소재별, 색상별, 크기별로 분류하고 아트패널에 원하는 무늬나 패턴을 형성되도록 압착을 수행함으로써 수명이 길고, 미관이 우수한 아트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은, 폐플라스틱을 소재별, 색상별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S10); 분류된 폐플라스틱을 하기 D1, D2, D3 크기로 각각 분쇄하는 단계(S20); D1 크기와 단일 색상을 갖는 제1 분쇄 폐플라스틱을 열압착하여 5 ~ 10 mm 두께를 갖는 베이스판재(30)를 제조하는 단계(S30); 및 상기 베이스판재(30)를 반용융 상태로 가열하고, 상기 제1 분쇄 폐플라스틱과 다른 색상을 가지되 D2 크기를 갖는 제2 분쇄 폐플라스틱(22)과 D3 크기를 갖는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을 상기 베이스판재(30) 상에 혼재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판재(30)를 압착함으로써 상기 제2,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이 침입하여 패턴이 형성된 아트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0.1 mm ≤ D1 ≤ 1 mm
2 mm ≤ D2 ≤ 5 mm
7 mm ≤ D3 ≤ 10 m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S40 단계 시, 색상이 서로 다른 제2, 제3 분쇄 폐플라스틱(22, 22A, 23, 23A)을 상기 베이스판재(30)에 침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아트패널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아트패널 및 그 제조방법은,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함으로써 단가를 낮추어 경제성이 있고, 아트패널에 원하는 무늬나 패턴을 쉽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편리성을 도모하며, 내부로 삽입 침입된 패턴들이 쉽게 탈리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장기간 수명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D1, D2, D3 크기로 분쇄한 폐플라스틱을 활용함에 따라 아트패널의 성형성 향상과 더불어 제품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도나 코트의 바닥 시공뿐 아니라, 정원의 테라스 바닥, 베란다, 구조물의 바닥면 등의 시공에도 적용되고 다양한 문양의 시공이 가능하여 그 적용범위가 매우 넓게 되는 등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에 있어,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S40)에서 제조되는 아트패널(40)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에 있어,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S40)에서 제조되는 다른 아트패널(40)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에 있어,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S40)에서 아트패널(40)을 제조하기 위한 아트패널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에 있어,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S40)에서 제조되는 아트패널(40)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에 있어,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S40)에서 제조되는 다른 아트패널(40)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에 있어,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S40)에서 아트패널(40)을 제조하기 위한 아트패널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소재별, 색상별 분류 단계(S10); D1, D2, D3 크기 분쇄 단계(S20); 열압착가공 단계(S30);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소재별, 색상별 분류 단계(S10)는 폐플라스틱을 소재별, 색상별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폐플라스틱"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버려지는 열가소성 수지의 가연성 폐기물로서, 그 예를 들자면 PET, 투명PET(물병류), ABS, PLA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D1, D2, D3 크기 분쇄 단계(S20)는 상기 소재별, 색상별 분류 단계(S10)에서 분류된 폐플라스틱을 하기 D1, D2, D3 크기로 각각 분쇄하는 단계이다.
0.1 mm ≤ D1 ≤ 1 mm
2 mm ≤ D2 ≤ 5 mm
7 mm ≤ D3 ≤ 10 mm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1, D2, D3 크기 분쇄 단계(S20) 시, 폐플라스틱을 분쇄한 상기 D1, D2, D3 크기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고, 가장 크기가 작은 D1을 베이스판재(30) 재료로서 사용하고, D1 보다 큰 D2, D3를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 사용하므로, 상기 D1, D2, D3 각 크기를 만족함에 따라 후술할 S30 단계시 베이스판재(30)의 성형성 향상과 더불어 S40 단계시 최종 제조된 아트패널(4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열압착가공 단계(S30)는 D1 크기와 단일 색상을 갖는 제1 분쇄 폐플라스틱을 열압착하여 5 ~ 10 mm 두께를 갖는 베이스판재(30)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열압착가공 단계(S30)에서 "열압착"이라 함은 제1 분쇄 폐플라스틱을 열프레스로 압착하여 단면형상이 대체로 직사각형태로 가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열압착가공 단계(S30)에서 "베이스판재"라 함은 폐플라스틱 중 단일 종류로 물량이 많은 소재를 핫프레스(열압착)으로 압착하여 만든 판재를 의미한다.
베이스판재(30)의 예로서, 우유통 등에 사용되는 유색 계열의 PET; 물병, 일회용 포장재의 투명 소재인 PET; 냉장고, 세탁기 등 백색 가전에 사용되는 ABS; 3D프린팅 후 남은 재료인 PLA;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압착가공 단계(S30) 시 소재에 따라 조금씩 다르긴 하나, 열가소성 수지는 대부분 100 ~ 250 ℃ 사이에서 금속통에서 잘 녹으며, 바람직하게는 190 ~ 220 ℃ 온도로 5분 ~ 30분 동안 복사열로 선가열 후, 5 ~ 8 MPa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S40)는 상기 베이스판재(30)를 반용융 상태로 가열하고, 상기 제1 분쇄 폐플라스틱과 다른 색상을 가지되 D2 크기를 갖는 제2 분쇄 폐플라스틱(22)과 D3 크기를 갖는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을 상기 베이스판재(30) 상에 혼재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판재(30)를 압착함으로써 상기 제2, 제3 분쇄 폐플라스틱(22, 23)이 침입하여 패턴이 형성된 아트패널(40)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S40) 시 패턴용 소재가 되는 상기 제2 분쇄 폐플라스틱(22)과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 각각은 유색 병뚜껑에 사용되는 PET; 유색 병에 사용되는 PET; 유색 냉장고, 세탁기 커버에 사용되는 ABS; 3D프린팅 후 남은 재료 중 소량 재료인 PL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S400 단계 시, 색상이 서로 다른 제2, 제3 분쇄 폐플라스틱(22, 22A, 23, 23A)을 상기 베이스판재(30)에 침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아트패널 제조장치(100)는 상기 베이스판재(30)의 진행방향을 따라 오븐(110), 토출부(120), 프레싱부(130), 냉각부(140), 폴리싱부(150)을 순차로 포함함으로써,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40)을 제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S40)는 상기 베이스판재(30)를 이송레일을 따라 오븐(110)에 공급하고 오븐(110)에서 상기 베이스판재(30)를 반용융 상태로 가열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반용융 상태"는 상기 폐플라스틱 전체를 100 부피로 하였을 때 상기 폐플라스틱 전체 100 부피 기준 30 내지 70 부피%의 용융상태이고, 나머지는 용융되지 않은 고상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S40) 시 가열온도는 상기 폐플라스틱의 유리전이온도(Tg)일 수 있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 예로, 상기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S40) 시 가열온도는 소재와 두께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열가소성 수지는 대부분 100 ~ 250 ℃ 사이에서 금속통에서 잘 녹으며, 바람직하게는 150 ~ 220 ℃에서 5분 ~ 10분 동안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반용융 상태의 베이스판재(30)를 토출부(120)로 이송한 후, 이송된 반용융 상태의 베이스판재(30) 상에 상기 제1 분쇄 폐플라스틱과 다른 색상을 가지되 D2 크기를 갖는 제2 분쇄 폐플라스틱(22)과 D3 크기를 갖는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을 순차로 공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분쇄 폐플라스틱(22)과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이 혼재하여 배치된 상기 베이스판재(30)를 프레싱부(130)로 이송한 후, 상기 베이스판재(30)를 압착함으로써 상기 제2, 제3 분쇄 폐플라스틱(22, 23)이 침입하여 패턴이 형성된 아트패널(40)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S40)에서 제조된 아트패널(40)을 냉각부(140)로 이송하여 팬 작동에 의한 공냉식 냉각을 수행하고, 냉각된 아트패널(40)을 폴리싱부(150)로 이송하여 그 표면을 연마함으로써 가공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아트패널(40)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아트패널(40)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트패널(40)은 상기 제2, 제3 분쇄 폐플라스틱(22, 23)이 상술한 베이스판재(30) 내부로 침입하여 균일하게 분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아트패널(40)은 상기 제2,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의 색상이 동일한 단색의 혼합형 패턴(41); 상기 제2,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의 색상이 서로 다르고 혼재되어 있는 다색의 혼합형 패턴(42); 및 상기 제2,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의 색상이 동일하고 혼재되어 있는 제1 패턴부(43A)와 제1 패턴부(43A)에 있는 제2,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제2 패턴부(43B)를 포함하며, 제1 패턴부(43A)와 제2 패턴부(43B)가 서로 교번되게 배열되어 있는 다색의 균일형 패턴(43);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 : 소재별, 색상별 분류 단계
S20 : D1, D2, D3 크기 분쇄 단계
S30 : 열압착가공 단계
S40 : 가열 및 압착가공 단계
22, 22A : 제2 분쇄 폐플라스틱
23, 23A : 제3 분쇄 폐플라스틱
30 : 베이스판재
40 : 아트패널
41 : 단색의 혼합형 패턴
42 : 다색의 혼합형 패턴
43 : 다색의 균일형 패턴
100 : 아트패널 제조장치
110 : 오븐
120 : 토출부
130 : 프레싱부
140 : 냉각부
150 : 폴리싱부

Claims (3)

  1. 폐플라스틱을 소재별, 색상별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S10);
    분류된 폐플라스틱을 하기 D1, D2, D3 크기로 각각 분쇄하는 단계(S20);
    D1 크기와 단일 색상을 갖는 제1 분쇄 폐플라스틱을 열압착하여 5 ~ 10 mm 두께를 갖는 베이스판재(30)를 제조하는 단계(S30); 및
    상기 베이스판재(30)를 반용융 상태로 가열하고, 상기 제1 분쇄 폐플라스틱과 다른 색상을 가지되 D2 크기를 갖는 제2 분쇄 폐플라스틱(22)과 D3 크기를 갖는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을 상기 베이스판재(30) 상에 혼재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판재(30)를 압착함으로써 상기 제2, 제3 분쇄 폐플라스틱(23)이 침입하여 패턴이 형성된 아트패널을 제조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
    0.1 mm ≤ D1 ≤ 1 mm
    2 mm ≤ D2 ≤ 5 mm
    7 mm ≤ D3 ≤ 10 mm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 시,
    색상이 서로 다른 제2, 제3 분쇄 폐플라스틱(22, 22A, 23, 23A)을 상기 베이스판재(30)에 침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아트패널.
KR1020200072589A 2020-06-15 2020-06-15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 KR10237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589A KR102373520B1 (ko) 2020-06-15 2020-06-15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589A KR102373520B1 (ko) 2020-06-15 2020-06-15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277A true KR20210155277A (ko) 2021-12-22
KR102373520B1 KR102373520B1 (ko) 2022-03-10

Family

ID=7916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589A KR102373520B1 (ko) 2020-06-15 2020-06-15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103B1 (ko) 2022-09-16 2023-02-07 이병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건축 및 조경용 구조물 제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838A (ko) 2002-03-21 2003-09-26 주식회사 하이워크 포장도로의 도장공법
KR20030086178A (ko) * 2002-05-03 2003-11-07 문병인 열 경화성 수지로 가공 성형된 폐기물을 원료로 제조한마블칩 및 충전제
JP2004143278A (ja) * 2002-10-24 2004-05-20 Yamaguchi Prefecture プラスチック廃棄物を利用した混合材料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045939B1 (ko) 2010-11-30 2011-07-05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아트스톤의 시공방법
KR20150001378A (ko) * 2013-06-27 2015-01-06 주식회사 태강 폐인조대리석을 이용한 내외장재 패널 제조 방법 및 내외장재 패널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838A (ko) 2002-03-21 2003-09-26 주식회사 하이워크 포장도로의 도장공법
KR20030086178A (ko) * 2002-05-03 2003-11-07 문병인 열 경화성 수지로 가공 성형된 폐기물을 원료로 제조한마블칩 및 충전제
JP2004143278A (ja) * 2002-10-24 2004-05-20 Yamaguchi Prefecture プラスチック廃棄物を利用した混合材料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045939B1 (ko) 2010-11-30 2011-07-05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아트스톤의 시공방법
KR20150001378A (ko) * 2013-06-27 2015-01-06 주식회사 태강 폐인조대리석을 이용한 내외장재 패널 제조 방법 및 내외장재 패널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520B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9261C (zh) 碾压聚合物改性水泥混凝土上喷刷彩色路面结构及施工方法
CN102431246B (zh) 防滑透水路垫及其制作工艺
KR102373520B1 (ko)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아트패널 제조방법
CN104803636B (zh) 利用矿石下脚料进行再生的工艺
KR100664567B1 (ko) 폐기물을 이용한 재활용 소성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한 재활용 소성 점토벽돌
CN102219437B (zh) 水泥混凝土道路快速修补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926400A (zh) 一种绿色低碳环保型沥青路面结构
KR100721509B1 (ko) 소성 폐점토벽돌을 이용한 도로용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시공방법
CN112301826B (zh) 乳化沥青冷再生路面结构及该路面的快速养生方法
KR101167279B1 (ko) 슬래그볼 및 우레탄 바인더 혼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보도 및 자전거도로 포장시공방법
CN213625024U (zh) 一种乳化沥青冷再生路面结构
CN105694786B (zh) 地毯式沥青混合料路面用水性环氧粘接剂及其施工方法
KR100950058B1 (ko) 인조화강석 표면층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0974A (ko) 고탄성 도로 포장방법
KR100493247B1 (ko) 1종 재생골재를 이용한 칼라 투수, 비투수 콘크리트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H11181707A (ja) 透水性樹脂舗装材を使用しての舗装方法とブロック製造方法。
KR100371577B1 (ko) 폐건축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KR100530852B1 (ko) 폐유리를 이용한 유리구슬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20051443A (ko) 폐석회와 건축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KR101011504B1 (ko) 칼라 밀크 그라우트 및 이를 이용한 조기개통식 콘크리트 포장방법
KR20000066587A (ko) 폐석회를 이용한 시멘트 블록의 제조방법
KR102629941B1 (ko) 도로용 미끄럼 방지 포장재 시공방법
CN1156529C (zh) 一种废旧塑料陶瓷粉轻质仿汉白玉建筑装饰材料及其制造方法
KR101050382B1 (ko) 친환경적 재료가 혼입된 흙 포장길과 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흙 포장공법
KR100376424B1 (ko) 폐유리를 이용한 보도블럭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