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894A -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894A
KR20210154894A KR1020217041232A KR20217041232A KR20210154894A KR 20210154894 A KR20210154894 A KR 20210154894A KR 1020217041232 A KR1020217041232 A KR 1020217041232A KR 20217041232 A KR20217041232 A KR 20217041232A KR 20210154894 A KR20210154894 A KR 20210154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vehicle
antenna structure
module
telematic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033B1 (ko
Inventor
정선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54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20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 H01Q21/205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providing an omnidirectional cove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텔레매틱스 모듈; 및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과 양 측면에서 체결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복수의 제1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여 다중 입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을 수행하여, 평면형 차량용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ANTENNA SYSTEM LOAED IN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어 복수의 통신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러한 안테나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이동 단말기를 차량에 탑재하여 통신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통신 서비스에 관련하여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기존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차세대 통신 서비스인 5세대 통신 서비스(5G communication service)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5세대 통신 서비스에 대한 규격에 대한 논의가 완료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이를 차량에서 구현하기 위한 안테나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을 차량에 탑재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평면형(flat) 안테나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은 5G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신 서비스인 LTE 등의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LTE에서는 전송 속도의 향상을 위하여 MIMO(다중 입력 다중 출력: Multi-Input Multi-Output) 모드를 지원한다. 하지만, 이러한 MIMO 모드를 지원하기 위하여 LTE 안테나 간에 격리도(isolation)가 중요한데, 차량 내에 탑재 가능한 크기에서 충분한 격리도를 확보하는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와 5G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가 배치되는 경우에 이들 간의 격리도 또한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5G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가 6GHz 이하인 Sub6 대역에서 동작하거나, 4G 통신 시스템의 일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LTE 재배치(re-farming)의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따라서, 복수의 통신 시스템의 안테나 간에, 차량 내에 탑재 가능한 크기에서 충분한 격리도를 확보하는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 이동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차세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평면형 차량용 안테나와 이의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 구조물에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텔레매틱스 모듈; 및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과 양 측면에서 체결되는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제1통신 시스템에 따른 복수의 제1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여 다중 입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을 수행하여, 평면형 차량용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모듈 내부에 제1 내지 제4안테나 소자가 배치되어, 4 × 4 MIMO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안테나 소자는 각각 상기 안테나 모듈 내부의 좌측 상단, 우측 상단,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4안테나 소자는 상기 좌측 상단, 우측 상단,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멤버와 상기 제1멤버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멤버와 함께 안테나로 동작하는 제2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멤버와 상기 제2 멤버의 길이의 합에 의해 공진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과 슬라이딩 레일 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양 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상단과 하단에서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 위에 배치되는 제2 안테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안테나 모듈은,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2통신 시스템에 따른 제2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안테나 모듈 내부에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는 하단부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기판 위에 프린트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 각각은 상호 간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방위각 방향에서 90도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모듈은,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2통신 시스템에 따른 복수의 제2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모듈 내부에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는 하단부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기판 위에 프린트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배열 안테나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좌측에 연결된 상기 안테나 모듈 내부에서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상호 간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배열 안테나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우측에 연결된 상기 안테나 모듈 내부에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상호 간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배열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와 인접하게 90도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는 상호 간에 90도 회전되도록 배치되어 상호 간에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상기 양 측면에서RF 커넥터를 통해 상기 안테나 모듈과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RF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1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급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은 상기 제2 안테나 모듈과 2 × 4 포트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2 안테나 모듈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 × 4 포트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1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과 상기 제2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상기 복수의 배열들을 급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은, 텔레매틱스 모듈;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과 차량의 구성부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로부터의 복수의 통신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안테나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과 양 측면에서 체결되고,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제1통신 시스템에 따른 복수의 제1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여 다중 입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모듈 내부에 제1 내지 제4안테나 소자가 배치되어, 4 × 4 MIMO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안테나 소자는 각각 상기 안테나 모듈 내부의 좌측 상단, 우측 상단,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 위에 배치되는 제2 안테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안테나 모듈은,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2통신 시스템에 따른 제2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안테나 모듈 내부에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 각각은 상호 간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방위각 방향에서 90도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모듈은,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2통신 시스템에 따른 제2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모듈 내부에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는 하단부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기판 위에 프린트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세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빔 포밍 배열 안테나와 기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MIMO 안테나를 구비하는 평면형 차량용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텔레매틱스 모듈과 일체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모듈을 이용하여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차량 내에 탑재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매틱스 모듈과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과 텔레매틱스 모듈의 결합 구조 및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과 텔레매틱스 모듈의 결합 구조 및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과 텔레매틱스 모듈의 결합 구조 및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의 안테나 모듈과 텔레매틱스 모듈의 결합 구조 및 안테나 구조에서 제2 안테나 시스템의 복수의 배열 안테나들이 상이하게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차량에 탑재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 단말기는 경우에 따라 차량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차량용 단말기를 주로 언급하지만, 차량 내부에 배치되거나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기(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차량 내에 탑재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의 (a)는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이 차량의 지붕(roof) 위에 탑재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한편, 도 1의 (b)는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이 차량의 지붕 내에 탑재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차량)의 외관 개선 및 충돌 시 텔레매틱스 성능을 보전하기 위해 기존의 샤크 핀(Shark Fin) 안테나를 돌출되지 않은 형태의 평면형(Flat) 안테나로 대체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LTE) 제공과 함께, 2020년 이후 5세대(5G) 통신을 고려한 LTE 안테나와 5G 밀리미터파(mmWave) 안테나가 통합된 형태의 안테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LTE 안테나는 LTE 4 × 4 MIMO(다중 입출력: Multi-Input Multi-Output)안테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장착되는 패치(patch) 안테나의 충격에 의한 내구성 강화를 위하여 패키지(package) 형태의 안테나를 제안한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은 육면체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구성되며, 차량의 지붕(roof) 위에 배치된다. 도 1의 (a)에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을 외부 환경 및 차량 운전 시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레이돔(radome, 2000a)이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레이돔(2000a)은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과 기지국 간 송신/수신되는 전파 신호가 투과될 수 있는 유전체(dielectric)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은 차량의 지붕 구조물 내에 배치되고, 상기 지붕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가 비금속으로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의 지붕 구조물(2000b)의 적어도 일부는 비금속으로 구현되어,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과 기지국 간 송신/수신되는 전파 신호가 투과될 수 있는 유전체(dielectric)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은 차량의 지붕 구조물 이외에 응용에 따라 차량 전면 또는 후면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수도 주행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제공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출력부(25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0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212)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스티어링 휠, 센테 페시아, 센타 콘솔, 칵픽 모듈, 도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 심박동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입력부(21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51a 내지 2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52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252)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프로세서(2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6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하나 이상의 통신 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닛이다. 무선 통신부(460)는 제1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제1 통신 시스템 내의 기기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460)는 제2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제2 통신 시스템 내의 기기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조향 입력 장치(510),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차량(100)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 샤시 구동부(620), 도어/윈도우 구동부(630), 안전 장치 구동부(640), 램프 구동부(650) 및 공조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 장치(6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파워 트레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동력원 구동부(611) 및 변속기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차량(100)의 동력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전진(D), 후진(R), 중립(N) 또는 주차(P)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변속기 구동부(612)는, 전진(D) 상태에서, 기어의 물림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샤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조향 구동부(621), 브레이크 구동부(622) 및 서스펜션 구동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브레이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휠에 걸리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복수의 서스펜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차량(100) 내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또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도어 구동부(631) 및 윈도우 구동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도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어의 개방,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트렁크(trunk) 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썬루프(sunroof)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632)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차량(100) 내의 각종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에어백 구동부(641), 시트벨트 구동부(64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641)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구동부(641)는, 위험 감지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차량(100) 내의 시트벨트 장치(seatbelt appar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위험 감지시, 시트 밸트를 이용해 탑승객이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에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후드 리프트 및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보행자와의 충돌 감지시,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에어백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650)는, 차량(100) 내의 각종 램프 장치(lamp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차량(1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운행 시스템(700)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및 주차 시스템(75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하위 개념일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차량 구동 장치(60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100)은, 수동주행모드 및 자율주행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의 주행모드는, 수동주행모드 및 자율주행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매틱스 모듈과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은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 (또는 제1 및 제2 안테나 시스템) (1100, 1200)을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통신 시스템(130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 시스템(1300)은 텔레매틱스 모듈 또는 통신 모듈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시스템(1100, 1200)과의 링크 연결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신 시스템(1100)과 상기 제2 통신 시스템(1200)은 이중 연결 (dual connectivity)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통신 시스템(1200)으로부터 제2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시스템(1100)으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통신 시스템(1200)에서 기지국과의 링크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통신 시스템(1100)은 항상 연결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제2 통신 시스템(1200)으로부터 상기 제2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통신 시스템(1200)을 통한 링크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통신 시스템(1100)과의 연결을 개시하는 폴백(fall back)모드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은 각각 LTE 통신 시스템 및 5G 통신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응용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1100)은 기존 이동 통신 시스템(2G/3G/4G)와 무선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1100)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스트림 신호(stream signal)를 수신하도록 MIMO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2개 또는 4개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1100)은 각각 2 × 2 와 4 × 4 MIMO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2 × 2 와 4 × 4 MIMO 모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2개와 4개의 스트림 신호를 하나의 단말(차량)이 각각 2개와 4개의 스트림 신호를 모두 수신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스트림을 하나의 단말(차량)이 모두 수신하는 경우를 SU(Single user)-MIMO 모드라고 지칭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복수의 스트림을 여러 단말(차량)이 각각 수신하는 경우를 MU-MIMO 모드라고 지칭될 수 있다. 상기 SU-MIMO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1100)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은 안테나(1210),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1220),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1230) 및 위상 변위기(Phase Shifter, 1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은 28GHz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거나 또는 20, 30, 60GHz의 주파수 대역 또는 6GHz 이하의 Sub 6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210)는 유전체 기판 위에 패치 안테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치 안테나(110)는 유전체 기판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방사 소자와 그라운드 평면이 배치되는 마이크로 스트립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의 배열 안테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위상 변위기(1240)를 통해 상기 배열 안테나의 각 소자에 인가되는 위상 값들을 제어하여 빔 포밍(빔 스캔)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빔 포밍은 방위각 방향 및 앙각 방향에서 특정 각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1200)은 상기 위상 변위기(1240)에 의한 위상 값들의 변화에 따라 방위각 및 앙각 방향의 원하는 방향으로 빔 포밍을 수행하면서, 간섭 신호 방향으로 빔의 널 패턴(null pattern)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테나(1210)는 배열 안테나의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 중 어느 하나에만 전력을 인가하여 단일 안테나 소자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안테나(1210)와 관련하여, 배열 안테나와 단일 안테나 소자 구성은 전력 온/오프 및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회로 구성에 의해 가변적으로 구성 가능하다. 따라서, 기지국 또는 다른 통신 대상 기기와의 거리가 충분히 가까워서 신호 레벨(또는 신호 대 간섭비)이 충분한 경우, 상기 패치 안테나(110)는 단일 안테나 소자로 가변적으로 구성된다. 반면에, 신호 레벨(또는 신호 대 간섭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안테나(1210)는 배열 안테나로 가변적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안테나(1210)는 상기 전력 증폭기(1220)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자유 공간(free space)으로 방사하는 송신 안테나와 상기 자유 공간으로부터 수신 신호를 상기 저잡음 증폭기(1230)로 전달하는 수신 안테나로서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1210)는 송신 주파수 대역과 수신 주파수 대역에서 모두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력 증폭기(1220)는 5G RF IC로부터의 신호를 고출력 증폭하여 상기 패치 안테나(100)를 통해 상기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120)는 상기 5G RF IC로부터의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대역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주파수 (RF: 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상향 변환부(frequency up-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잡음 증폭기(1230)는 상기 안테나(12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5G RF IC로 전달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저잡음 증폭기(1230)는 상기 28GHz의 RF 신호를 IF 신호로 하향 변환하는 주파수 하향 변환부부(frequency down-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상 천이기(1240)는 상기 패치 안테나(1210)가 배열 안테나로 구성된 경우, 상기 배열 안테나의 각 소자들에 서로 다른 위상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위상 천이기(1240)는 송신 주파수 대역 및 수신 주파수 대역에서 모두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위상 천이기(1240)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위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위상 천이기(1240)는 5G BB IC로부터 위상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Control Signal)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상 천이기(1240)는 내부 소자로 인하여 삽입 손실(insertion loss)이 발생하므로, 상기 저잡음 증폭기(123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위상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상 천이기(1240)는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1200)에서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저잡음 증폭기(1230)를 통해 저잡음 증폭한 이후에 위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300)은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200)과 인터페이스되는 LTE 시스템과 상기 제2안테나 시스템(1200)과 인터페이스되는 5G RF IC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LTE 시스템은 3G WCDMA 폴백(fallback)을 지원하도록 3G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또는 2G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안테나 시스템(1100)은 RF 케이블 또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을 통해 상기 LTE 시스템과 인터페이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시스템(1300)은 5G BB(Base Band: 기저 대역) IC, USIM 및 LPDDR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5G BB IC는 상기 제1 및 제2통신 시스템(1100, 1200)과 기저 대역 신호를 교환한다. 여기서, 상기 5G BB IC는 상기 5G RF IC와는 2x MPHY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스되고, 상기 LTE system과는 PCIe 1.0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USIM 및 LPDDR4은 각각 이동 통신 사용자 식별 모듈과 메모리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제1 안테나 시스템(1100)과 관련하여, 상기 제2 안테나 시스템(1200) 보다 저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므로 안테나 소자들 간의 독립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보다 넓은 배치 간격이 필요하다. 이는 각 안테나 소자들을 MIMO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간의 격리도가 특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낸다. 한편, 제2 통신 시스템은 별도의 외장 안테나 시스템의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 시스템은 LTE 통신 시스템이고, 제2 통신 시스템은 5G 통신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응용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은 텔레매틱스 모듈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은 제1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과 하나의 구조물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은 텔레매틱스 모듈(1300)과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양 측면에서 체결되는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안테나 모듈(1100a)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제1 통신 시스템에 따른 복수의 제1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여 다중 입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 내부에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가 배치되어, 4 × 4 MIMO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4 × 4 MIMO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등 이동 단말과 제1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2 × 2, 8 × 8 MIMO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는 각각 상기 안테나 모듈 (1100a) 내부의 좌측 상단, 우측 상단,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는 상기 좌측 상단, 우측 상단,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는 상기 제1 멤버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멤버와 함께 안테나로 동작하는 제2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멤버와 상기 제2 멤버의 길이의 합에 의해 안테나의 공진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안테나(1111)는 상기 제1 멤버(1111a)와 상기 제2 멤버(1111b)의 길이의 합에 의해 공진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벤딩(bending) 안테나 구조를 통해 안테나 크기 최적화 및 상기 안테나 모듈(110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전술된 분리된 안테나 모듈(1100a, 1100b) 구조와 이와 체결되는 텔레매틱스 모듈(1300)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 간에 격리도(isolation) 향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안테나 소자(1111)는 분리된 안테나 모듈(1100a, 1100b) 구조에 의해 상기 제2 및 제4 안테나 소자(1112, 1114)와 격리도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3 안테나 소자(1111, 1113)는 상기 제1 멤버(1111a, 1113a)의 종단 부(end portion)에 인접하게 급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안테나 모듈(1100a) 내에서도 상호 간에 급전 지점이 이격되어 격리도 향상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인 제2 안테나 모듈(1200a)은 텔레매틱스 모듈(13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안테나 모듈(1200a)이 상부에 배치됨에 따라, 제1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인 제1 안테나 모듈(1100a, 1100b)과의 신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은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 위에 배치되는 제2 안테나 모듈(120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안테나 모듈(1200a)은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이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안테나 모듈(1200a)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2통신 시스템에 따른 제2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2 안테나 모듈(1200a) 내부에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 중 둘 이상을 사용하여 MIMO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안테나 모듈(1200a)의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 (1211 내지 1214) 간 상호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일 때, 제2 안테나 모듈(1200a)이 텔레매틱스 모듈(1300) 상부에 배치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 (1211 내지 1214)가 상부 배치됨에 따라, 제1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의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와 신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안테나 모듈(1200a)은, 제1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의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 중 수평/혹은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안테나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안테나 모듈(1100a, 1100b)과 제2 안테나 모듈(1200a)이 상호 배치된 수평 높이는 도 5와 같이 서로 달라야 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는 하단부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기판 위에 프린트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 각각은 상호 간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방위각 방향에서 서로 다른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 각각은 상호 간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방위각 방향에서 각각 90도씩 서로 다른 90도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 중 둘 이상을 사용하여 MIMO를 수행하는 경우, 방위각 방향에서 서로 다른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방위각 방향에서 서로 다른 영역을 커버하는 빔에 따라 복수의 MIMO 스트림 간에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가 가능하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은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이 안테나 모듈(1100a, 1100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2 통신 시스템에 따른 제2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 내부에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 중 둘 이상을 사용하여 MIMO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는 하단부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기판 위에 프린트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 각각은 상호 간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방위각 방향에서 서로 다른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 각각은 상호 간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방위각 방향에서 각각 90도씩 서로 다른 90도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배열 안테나(1211', 1212')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좌측에 연결된 안테나 모듈(1100a) 내부에서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상호 간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배열 안테나(1213', 1214')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우측에 연결된 안테나 모듈(1100b) 내부에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상호 간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도 4 및 도 6에서의 안테나 모듈과 텔레매틱스 모듈의 결합 구조 및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과 텔레매틱스 모듈의 결합 구조 및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은 텔레매틱스 모듈(1300)과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양 측면에서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양 측면에서 체결되는 안테나 모듈(1100a, 1100b)에 따라 일체화된 평면형(flat) 안테나 모듈이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상기 양 측면에서 RF 커넥터(1310)를 통해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과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RF 커넥터(1310)를 통해 제1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1111 내지 1114)을 급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은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과 슬라이딩 레일 구조(1321)에 의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상기 양 측면에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은 상기 양 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상단과 하단에서 볼트(1322)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과 텔레매틱스 모듈의 결합 구조 및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은 텔레매틱스 모듈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은 텔레매틱스 모듈(1300)과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양 측면에서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양 측면에서 체결되는 안테나 모듈(1100a, 1100b)에 따라 일체화된 평면형(flat) 안테나 모듈이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 위에 제2 안테나 모듈(1200a)을 더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 모듈(1100a, 1100b)과 별도로 제2 안테나 모듈(1200a) 내에 복수의 배열 안테나,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배열 안테나를 별도의 제2 안테나 모듈(1200a)에 배치하여, 복수의 안테나 시스템 간 간섭 수준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일체화된 평면형(flat) 안테나 모듈의 장점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 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 내에 상기 제2 안테나 모듈(1200a)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배열 안테나,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2 안테나 모듈(1200a)은 레이돔(radome)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은 2 × 4 포트 커넥터(1315)를 통해 상기 제2 안테나 모듈(1200a)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 × 4 포트 커넥터(1315)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상기 복수의 배열들을 급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은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과 도 7과 같이 슬라이딩 레일 구조(1321)에 의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상기 양 측면에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은 상기 양 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상단과 하단에서 볼트(1322)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과 텔레매틱스 모듈의 결합 구조 및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은 제1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과 하나의 구조물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상기 양 측면에서 2 × 4 포트 커넥터(1315')를 통해 안테나 모듈(1100a, 1100b)과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 × 4 포트 커넥터(1315')를 통해 제1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1111 내지 1114)과 제2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배열들(1211' 내지 1214')을 급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은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과 도 7과 같이 슬라이딩 레일 구조(1321)에 의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상기 양 측면에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은 상기 양 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상단과 하단에서 도 7과 같이 볼트(1322)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도 9의 안테나 모듈과 텔레매틱스 모듈의 결합 구조 및 안테나 구조에서 제2 안테나 시스템의 복수의 배열 안테나들이 상이하게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와 유사하게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은 제1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과 하나의 구조물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와 유사하게,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상기 양 측면에서 2 × 4 포트 커넥터(1315")를 통해 안테나 모듈(1100a, 1100b)과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 × 4 포트 커넥터(1315')를 통해 제1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1111 내지 1114)과 제2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배열들(1211" 내지 1214")을 급전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는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와 인접하게 90도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의 동작 주파수가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의 동작 주파수와 상이하게 때문에, 이들 간의 격리도는 문제되지 않는다. 한편,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는 상호 간에 90도 회전되도록 배치되어 상호 간에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로 인하여, 인접한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 간에 격리도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상기 양 측면에서 2 × 4 포트 커넥터(1315")를 통해 안테나 모듈(1100a, 1100b)과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 × 4 포트 커넥터(1315')를 통해 제1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1111 내지 1114)과 제2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배열들(1211' 내지 1214')을 급전할 수 있다. 다만, 도 9에 비해 상기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와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의 급전 위치의 변경으로 인해, 상기 2 × 4 포트 커넥터(1315")가 배치되는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별도의 RF 케이블 연결 없이 상기 2 × 4 포트 커넥터(1315")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은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과 도 7과 같이 슬라이딩 레일 구조(1321)에 의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상기 양 측면에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은 상기 양 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상단과 하단에서 도 7과 같이 볼트(1322)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이 탑재된 차량은 텔레매틱스 모듈(1300), 제어부 (170) 및 안테나 모듈(1100a, 1100b)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460) 중 일부는 안테나 모듈(1100a, 1100b)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텔레매틱스 모듈(13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과 차량의 구성부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제2 통신 시스템(1200)을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운행 시스템(7000)을 제어하거나 또는 운전 조작 장치(5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율 주행을 수행하거나 또는 운전 안전성 및 운전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은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과 양 측면에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통해 제1 통신 시스템에 따른 복수의 제1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여 다중 입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안테나 모듈(1100a, 1100b) 내부에 제1 내지 제4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가 배치되어, 4 × 4 MIMO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1111 내지 1114)는 각각 상기 안테나 모듈 내부의 좌측 상단, 우측 상단,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이 탑재된 차량은 상기 텔레매틱스(1300) 모듈 위에 배치되는 제2 안테나 모듈(120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안테나 모듈(1200a)은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안테나 모듈(1200a)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2통신 시스템에 따른 제2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2 안테나 모듈(1200a)내부에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 (1211 내지 1214)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 각각은 상호 간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방위각 방향에서 90도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이 탑재된 차량에서, 안테나 모듈(1110a, 1110b)은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모듈(1110a, 1110b)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 배열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2통신 시스템에 따른 제2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안테나 모듈 내부에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배열 안테나(1211' 내지 1214')는 하단부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기판 위에 프린트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배열 안테나(1211', 1212')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좌측에 연결된 안테나 모듈(1100a) 내부에서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상호 간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 배열 안테나(1213', 1214')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1300)의 우측에 연결된 안테나 모듈(1100b) 내부에서 센터 라인을 기준으로 상호 간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1000) 및 안테나 시스템(1000)이 탑재된 차량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1000)에서 설명된 내용은 안테나 시스템(1000)이 탑재된 차량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세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빔 포밍 배열 안테나와 기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MIMO 안테나를 구비하는 평면형 차량용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텔레매틱스 모듈과 일체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모듈을 이용하여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어부(모뎀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에 있어서,
    텔레매틱스 모듈;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과 결합되는 안테나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구조는
    제1 통신 시스템에 따라 복수의 제1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여 다중 입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2 통신 시스템에 따라 제2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적어도 일 측면과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적어도 일 측면, 상부 또는 하부에서 체결되어 일체화된 안테나 모듈의 형태로 차량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 따라 복수의 제1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여, 다중 입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는 MIMO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는 상기 제1 안테나 구조 내부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의 각각은,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의 좌측 상단, 우측 상단,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일 측면에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상기 일 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상기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구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 따라 제2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하는 제2 안테나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구조가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구조가 상기 제1 안테나 구조 또는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와 결합되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가 상기 차량의 루프 구조(roof structure)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루프 구조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가 상기 안테나 구조에서 송신 또는 수신되도록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구조에서 상기 제2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의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시스템 및 상기 제2 통신 시스템과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상태에서 상기 제2 통신 시스템과 제2 링크를 해제하고,
    상기 제1 통신 시스템과 제1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15. 안테나 구조가 탑재된 차량에 있어서,
    텔레매틱스 모듈;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과 결합되는 안테나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구조는
    제1 통신 시스템에 따라 복수의 제1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여 다중 입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2 통신 시스템에 따라 제2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적어도 일 측면과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는, 차량.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적어도 일 측면, 상부 또는 하부에서 체결되어 일체화된 안테나 모듈의 형태로 차량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에 따라 복수의 제1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여, 다중 입출력(MIMO: Multi Input Multi Output)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안테나 구조이고,
    상기 제1 안테나 구조는 MIMO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는 상기 제1 안테나 구조 내부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안테나 소자의 각각은,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의 좌측 상단, 우측 상단,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일 측면에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상기 일 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상기 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 구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구조는,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에 따라 제2 신호들을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안테나 소자들을 포함하는 제2 안테나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 구조가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안테나 구조 또는 상기 제1 안테나 구조와 결합되는 상기 텔레매틱스 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17041232A 2018-10-30 2018-10-30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KR102578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15261A KR102341998B1 (ko) 2018-10-30 2018-10-30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PCT/KR2018/012959 WO2020091092A1 (ko) 2018-10-30 2018-10-30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261A Division KR102341998B1 (ko) 2018-10-30 2018-10-30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894A true KR20210154894A (ko) 2021-12-21
KR102578033B1 KR102578033B1 (ko) 2023-09-13

Family

ID=682808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232A KR102578033B1 (ko) 2018-10-30 2018-10-30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KR1020217015261A KR102341998B1 (ko) 2018-10-30 2018-10-30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261A KR102341998B1 (ko) 2018-10-30 2018-10-30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121456B2 (ko)
EP (2) EP4050732A1 (ko)
KR (2) KR102578033B1 (ko)
WO (1) WO20200910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606B1 (ko) * 2023-02-22 2024-04-01 주식회사 지오플랜 Uwb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한 차량용 uwb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033B1 (ko) * 2018-10-30 202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US11171655B2 (en) * 2019-06-27 2021-11-09 Intel Corporation Multi-chip synchronization with applications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radar sys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643A (ko) * 2015-04-08 2016-10-18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JP2017041879A (ja) * 2015-08-18 2017-02-23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ネーデルランド ビーヴイTE Connectivity Nederland BV 放射パターン同士間の干渉を低減したアンテナシステムおよびアンテナモジュール
KR20180025066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0042A (en) * 1992-12-03 1995-03-2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Dual frequency, dual polarized, multi-layered microstrip slot and dipole array antenna
US6795020B2 (en) * 2002-01-24 2004-09-21 Ball Aerospace And Technologies Corp. Dual band coplanar microstrip interlaced array
AU2003295509A1 (en) * 2002-12-13 2004-07-09 Andrew Corporation Improvements relating to dipole antennas and coaxial to microstrip transitions
US7239291B2 (en) * 2005-01-05 2007-07-03 The Ohi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Multi-band antenna
US8626195B2 (en) * 2005-07-14 2014-01-07 Binj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transmission devices
US7336232B1 (en) * 2006-08-04 2008-02-26 Raytheon Company Dual band space-fed array
US20090027260A1 (en) * 2007-07-17 2009-01-29 Viasat, Inc. Robust Satellite Detection And Maintenance Using A Multi-Beam Antenna System
US9905922B2 (en) * 2011-08-31 2018-02-2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device with 3-D antenna system
US9083414B2 (en) * 2012-08-09 2015-07-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TE MIMO-capable multi-functional vehicle antenna
KR101557765B1 (ko) * 2013-02-19 2015-10-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집적도 증가와 간섭 저감을 위한, 메타재질 0차 공진형 전기장 분포를 갖는 소형 mimo 안테나와 그의 다중 배치 구조
US9093750B2 (en) * 2013-09-12 2015-07-28 Laird Technologies, Inc. Multiband MIMO vehicular antenna assemblies with DSRC capabilities
US10027030B2 (en) * 2013-12-11 2018-07-17 Nuvotronics, Inc Dielectric-free metal-only dipole-coupled broadband radiating array aperture with wide field of view
US10038252B2 (en) * 2014-06-06 2018-07-31 Rockwell Collins, Inc. Tiling system and method for an array antenna
US9502780B2 (en) * 2015-01-15 2016-11-22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Antenna array using sandwiched radiating elements above a ground plane and fed by a stripline
US10547118B2 (en) * 2015-01-27 2020-01-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rrays
US20170054204A1 (en) * 2015-08-21 2017-02-23 Laird Technologies, Inc. V2x antenna systems
WO2017076750A1 (en) 2015-11-02 2017-05-11 Taoglas Limited A multi-network telematics device with multiple antennas
KR101727488B1 (ko) * 2016-02-02 2017-04-1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용량 다중화 통신을 위한 mimo 배열 안테나
WO2018029807A1 (ja) * 2016-08-10 2018-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装置及びアレー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
WO2018043808A1 (ko)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KR102542594B1 (ko) * 2016-12-16 2023-06-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층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03574B2 (en) * 2017-01-04 2021-01-26 Antenum, Inc. Low profile antenna—conformal
US10056922B1 (en) * 2017-06-14 2018-08-21 Infineon Technologies Ag Radio frequency device modules and methods of formation thereof
KR102439091B1 (ko) * 2017-06-16 2022-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495985B2 (ja) * 2017-09-05 2019-04-03 株式会社ヨコオ 車載用アンテナ装置
US20190348754A1 (en) * 2017-11-03 2019-11-14 Antenum, Llc Smart antenna for in-vehicle applications that can be integrated with tcu and other electronics
US11005167B2 (en) * 2017-11-03 2021-05-11 Antenum Llc Low profile antenna-conformal one dimensional
DE112018005282T5 (de) * 2017-11-06 2020-09-1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Fahrzeugmontiertes Übertragungssystem
CN111656603A (zh) * 2018-02-05 2020-09-11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天线模块和车辆
US10778290B2 (en) * 2018-02-06 2020-09-15 Skyworks Solutions, Inc. Radio-frequency front-end systems
US11024981B2 (en) * 2018-04-13 2021-06-01 Mediatek Inc. Multi-band endfire antennas and arrays
US10741906B2 (en) * 2018-09-28 2020-08-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communications and ranging capabilities
TWI731269B (zh) * 2018-10-02 2021-06-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天線系統
KR102578033B1 (ko) * 2018-10-30 202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GB2578599A (en) * 2018-10-31 2020-05-20 Dyson Automotive Res And Development Limited Vehicle spoiler assembly
KR102217182B1 (ko) * 2018-11-19 2021-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용 통신 장치
KR102561724B1 (ko) * 2018-12-07 202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643A (ko) * 2015-04-08 2016-10-18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JP2017041879A (ja) * 2015-08-18 2017-02-23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ネーデルランド ビーヴイTE Connectivity Nederland BV 放射パターン同士間の干渉を低減したアンテナシステムおよびアンテナモジュール
KR20180025066A (ko) * 2016-08-31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606B1 (ko) * 2023-02-22 2024-04-01 주식회사 지오플랜 Uwb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한 차량용 uwb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8246B1 (en) 2022-11-30
WO2020091092A1 (ko) 2020-05-07
EP4050732A1 (en) 2022-08-31
KR102578033B1 (ko) 2023-09-13
US20200136239A1 (en) 2020-04-30
KR20210068574A (ko) 2021-06-09
EP3648246A1 (en) 2020-05-06
KR102341998B1 (ko) 2021-12-22
US20210344107A1 (en) 2021-11-04
US11121456B2 (en)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96566B (zh) 搭载于车辆的天线系统
KR102566887B1 (ko)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EP3392072B1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20210344107A1 (en) Antenna system loaded in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11400933B2 (en) Vehicle having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CN109532837A (zh) 设置于车辆的电子装置、车辆以及计算机可读取的介质
EP3343094B1 (en) Lamp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0226102B (zh) 车辆用雷达装置及车辆
CN109421600A (zh) 车辆用环视提供装置及车辆
KR101916728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EP3422081A1 (en)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102212777B1 (ko) 영상 출력 장치
US11984650B2 (en) Antenna system mounted in vehicle
WO2021039172A1 (ja) 移動体搭載レーダアンテナ、移動体搭載レーダアンテナ用モジュール及び移動体搭載レーダアンテナシステム
KR102653161B1 (ko) 차량용 시스템
CN113498632A (zh) 安装在车灯上的传感器模块
KR20220156805A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