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445A -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445A
KR20210154445A KR1020200071456A KR20200071456A KR20210154445A KR 20210154445 A KR20210154445 A KR 20210154445A KR 1020200071456 A KR1020200071456 A KR 1020200071456A KR 20200071456 A KR20200071456 A KR 20200071456A KR 20210154445 A KR20210154445 A KR 20210154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procket
confectionery
stick
sprocke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284B1 (ko
Inventor
이무재
Original Assignee
이무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재 filed Critical 이무재
Priority to KR102020007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28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5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packaging of confectio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9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for vertical or inclined conveyance
    • B65G2812/02752Elevators f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부에서 정상부로 상승할 때에는 이송체인의 경사각도를 크게 하여 과자가 수용홈으로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더욱 확대함과 동시에, 수용홈에 수용된 과자 위에 다른 과자가 겹쳐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과자가 정상부에서 배출부로 이송할 때에는 이송체인을 수평으로 유지하여 수용홈으로부터 과자가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고, 구동측 스프로킷을 이송체인의 아래에서 위방향으로 이맞물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간단하게 이송체인의 자중에 의한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는, 이송체인을 정상부에서 배출부측으로 이동시키는 경로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배출측 스프로킷과 정상측 스프로킷을 수평으로 배치하고, 구동측 스프로킷은 이송체인의 아래에서 위방향으로 이맞물림시키되, 이송체인이 배출측 스프로킷에서 구동측 스프로킷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수평을 유지하는 위치에 구동측 스프로킷을 배치하며, 수용브라켓의 제1 및 제2 수용날개에는 이송체인이 구동측 스프로킷에 안내될 때,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교차 가능한 절결부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Stick type confectionery single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스틱형 과자를 하나씩 정렬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통과정을 거쳐 판매되는 과자는 제조후 위생적으로 포장되어야 하고, 과자의 포장은 자동화 공정을 통해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 포장을 위해 자동포장기계 측으로 다수의 과자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가 요구된다.
통상의 이송장치는 공지의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는 과정중에 다수로 제조된 과자들의 정렬작업이 요구됨과 아울러, 각각의 과자들을 포장기에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과자의 형태중에서 굵기가 동일하고 가늘고 긴 형태의 스틱형 과자를 하나씩 싱글 포장할 때 정렬단계를 거쳐 하나씩 자동포장기계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의 종래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10-1494253호의 스틱형 과자 이송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프레임 본체(100)와,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부에 과자(W)들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개구되고 내부에 다수의 스틱형 과자(W)들이 적층 보관되는 공간부를 갖는 공급부(110)와, 상기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과자(W)들을 하나씩 이송하도록 상기 하나의 과자(W)가 수용되는 수용홈(315)을 갖는 체인부재(310)를 다수 연결하여 3개의 제1 내지 제3 스프로킷(320,330,340)에 안내시키고 모터의 회전력으로 궤도 회전되는 이송체인(300)과, 상기 이송체인(300)의 궤도 회전 중에 상기 수용홈(315)에 수용된 과자(W)들이 하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공급받아 자동포장기계 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부(6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틱형 과자(W)들을 공급부(110)내에 적층 보관하고, 적층된 스틱형 과자(W)들을 체인 이송방식으로 하나씩 정렬한 후에 연속적이고 균일한 간격과 속도로 자동포장기계 측으로 공급할 수 있어 스틱형 과자(W)들의 낱개 포장 효율을 향상시켜 생산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는 공급부(110)에서 과자(W)를 수용홈(315)에 탑재할 때에는 'U'자 형상으로 된 수용홈(315)의 개방부가 적어도 위쪽을 향해야 하고, 배출부(600) 상에 과자(W)를 낙하시킬 때에는 수용홈(315)의 개방부가 아래쪽을 향해야 한다. 따라서 과자(W)를 배출부(600) 상의 정확한 위치에 낙하시키기 위해서 수용홈(315)의 개방부가 위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반전되는 부분에 과자(W)가 수용홈(315)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60)가 설치되고, 가이드부재(360)는 수용홈(315)의 개방부가 정확히 수직하방을 향한 위치에서 과자(W)가 낙하되도록 그 안내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이송체인(300)은, 배출측 제1 스프로킷(320)과 공급측 제3 스프로킷(340)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배출부(600) 상에서 체인부재(310)가 수평을 유지하여 수용홈(315)의 개방부가 수직하방을 향하게 하고 있으며, 제1 및 제3 스프로킷(320,340) 사이의 삼각지점에 제2 스프로킷(330)을 배치하여 공급부(110)측에서 공급된 과자(W)가 제2 스프로킷(330)의 정상부쪽으로 상승한 후, 낙하측의 제1 스프로킷(320)쪽으로 하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이송체인(300)의 구성은, 제3 스프로킷(340) 위치에 대하여 제2 스프로킷(330)의 경사각도를 크게 하면, 공급부(110)에서 수용홈(315)에 넣어진 과자(W) 위에 다른 과자가 겹쳐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과자(W)가 제2 스프로킷(330)의 정상부에서 제1 스프로킷(320)쪽으로 하강하는 경사각도는 커지기 때문에, 작은 진동에 의해서도 수용홈(315)에 수용된 과자(W)가 쉽게 이탈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3 스프로킷(340) 위치에 대하여 제2 스프로킷(330)의 경사각도를 대략 45도 이하로 작게 설정하여 제2 스프로킷(330)의 정상부에서 과자(W)가 하강할 때 경사각도를 완만하게 함으로써 과자(W)가 수용홈(315)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은 방지하였다.
그러나, 제3 스프로킷(340)에서 제2 스프로킷(330)쪽으로 과자가 상승할 때, 경사각도를 완만하게 하면, 공급부(110)에서 수용홈(315)에 넣어진 과자(W) 위로 다른 과자가 겹쳐 이송되기 쉽고, 겹친 과자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차단판(410)을 설치하고 있지만, 차단판(410)이 겹쳐진 과자(W)를 이탈시키는 과정에서 과자(W)에 충격을 주어 손상시키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여 이의 개선이 절실한 실정에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송체인(300)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1 스프로킷(320)과 제3 스프로킷(340) 사이에 연결된 체인부재(310)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짐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배출부(600) 상의 과자 낙하위치에서 수용홈(315)의 개방부가 수직하방을 향하지 못할 수 있게 되므로 낙하지점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프로킷(320)과 제3 스프로킷(340) 사이에 연결된 체인부재(310)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체인부재(310)를 아래에서 위로 받쳐지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나, 수용홈(315)이 체인부재의 아래에 위치함에 따라 지지수단을 설치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이의 해결방안이 절실한 실정에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급부에서 과자를 공급받아 정상부로 상승할 때에는 이송체인의 경사각도를 크게 하여 과자가 수용홈으로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더욱 확대함과 동시에, 수용홈에 수용된 과자 위에 다른 과자가 겹쳐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과자가 정상부에서 배출부로 이송할 때에는 이송체인을 수평으로 유지하여 수용홈으로부터 과자가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는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체인을 구성하는 배출측 스프로킷과 공급측 스프로킷 사이에 모터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측 스프로킷을 배치하되, 구동측 스프로킷을 이송체인의 아래에서 위방향으로 이맞물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간단하게 이송체인의 자중에 의한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과자의 낙하위치에서 수용홈의 개방부가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하여 정확한 낙하지점에 과자를 낙하시킬 수 있는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스틱형 과자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U자형태로 절곡된 제1 및 제2 수용날개를 가지는 수용브라켓이 다수 구비되어 소정 경로로 궤도 회전하는 이송체인과, 상기 수용브라켓에 스틱형 과자를 공급하는 공급부측에 배치되어 이송체인을 안내하는 공급측 스프로킷과, 상기 수용브라켓에서 낙하되는 스틱형 과자를 자동포장기계쪽으로 이송시키는 배출부측에 배치되어 이송체인을 안내하는 배출측 스프로킷과, 상기 공급측 스프로킷과 배출측 스프로킷 사이의 3각지점에 배치되고 공급측 스프로킷보다 위에 배치되어 수용브라켓에 수용된 스틱형 과자를 정상부로 상승시키도록 이송체인을 안내하는 정상측 스프로킷과, 상기 이송체인에 이맞물림되고 모터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이송체인을 궤도 회전시키는 구동측 스프로킷과, 상기 수용브라켓의 제1 및 제2 수용날개가 위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반전되는 위치에서 수용브라켓에 수용된 과자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이 정상부에서 배출부측으로 이동하는 경로는, 이송체인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배출측 스프로킷과 정상측 스프로킷을 수평으로 배치하고, 상기 구동측 스프로킷은 배출측 스프로킷과 공급측 스프로킷 사이에 배치하여 이송체인의 아래에서 위방향으로 이맞물림시키되, 상기 이송체인이 배출측 스프로킷에서 구동측 스프로킷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수평을 유지하는 위치에 구동측 스프로킷을 배치하며, 상기 수용브라켓의 제1 및 제2 수용날개는 이송체인이 구동측 스프로킷에 안내될 때,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교차 가능한 절결부를 형성한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송체인이 공급측 스프로킷에서 정상측 스프로킷으로 이동하는 경로는, 70~80도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된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송체인이 공급측 스프로킷에서 정상측 스프로킷으로 이송하는 경로 상에 카운터센서를 설치하여 과자의 공급수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에 의하면, 이송체인이 정상부에서 배출부로 이송되는 경로를 수평으로 유지함에 따라, 수용브라켓에 수용된 과자를 이탈없이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배출측 스프로킷과 공급측 스프로킷 사이에 구동측 스프로킷을 배치하되, 구동측 스프로킷이 이송체인의 아래에서 위방향으로 이맞물림시키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이송체인의 처짐현상을 해소함과 동시에, 과자의 낙하위치에서 수용브라켓의 개방부가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하여 과자 낙하지점에 과자를 정확하게 낙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이송체인을 공급측 스프로킷에서 정상측 스프로킷으로 이동시키는 경로가 70~80도의 경사각으로 설정됨에 따라, 별도의 차단판 없이도 과자가 겹쳐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용브라켓에 과자가 수용될 수 있는 구역을 확대할 수 있어 이송체인의 궤도 회전속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동포장기계로 스틱형 과자를 싱글로 공급하는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이송체인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에서 공급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2에서 구동측 스프로킷과 이송체인의 이맞물림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5에서 수용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는, 다수의 스틱형 과자(W)를 저장하여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10)에서 하나의 스틱형 과자(W)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브라켓(21)이 구비되고 수용브라켓(21)에 수용된 스틱형 과자(W)를 배출부(30)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체인(20)과, 상기 이송체인(20)을 소정의 경로로 궤도 회전시키기 위한 4개의 스프로킷(41,42,43,44)을 구비한다.
공급부(10)는 다수의 스틱형 과자(W)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11)를 가지는 프레임본체(12)를 구비한다. 프레임본체(12)의 공간부(11)는 이송체인(20) 근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12a)이 형성되어 프레임본체(12)의 공간부(11)에 저장되는 스틱형 과자(W)의 한정된 적층높이에 대하여 이송체인(20)의 수용브라켓(21)에 스틱형 과자(W)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간길이(L)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본체(12)의 공간부(11) 바닥에는 공간부(11) 내에 저장된 스틱형 과자(W)를 이송체인(20)의 수용브라켓(21)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13)로 구동하는 벨트기구(14)가 설치된다.
배출부(30)는 이송체인(20)의 수용브라켓(21)에 수용되어 이송된 스틱형 과자(W)가 수용브라켓(21)에서 이탈하여 낙하하면, 이를 자동포장기계(도시 안됨)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송체인(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형 과자(W)를 수용하기 위하여 U자 형태로 절곡된 제1 및 제2 수용날개(21a,21b)를 가지는 수용브라켓(21)이 다수 구비되어 있으며, 소정의 경로를 따라 궤도 회전하여 공급부(10)에서 수용한 하나의 스틱형 과자(W)를 배출부(30)로 이송시켜 낙하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송체인(20)을 소정의 경로로 궤도 회전시키기 위한 4개의 스프로킷은, 공급측 스프로킷(41), 배출측 스프로킷(42), 정상측 스프로킷(43) 및 구동측 스프로킷(44)으로 이루어진다.
공급측 스프로킷(41)은 이송체인(20)의 수용브라켓(21)에 스틱형 과자(W)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급부(10)측에 배치되어 이송체인(20)을 공급부(10)의 공간부(11) 일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배출측 스프로킷(42)은 이송체인(20)의 수용브라켓(21)에서 낙하되는 스틱형 과자(W)를 자동포장기계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부(30)측에 배치되어 이송체인(20)을 배출부(30)로 안내하게 된다.
정상측 스프로킷(43)은 상기 공급측 스프로킷(41)과 배출측 스프로킷(42) 사이의 3각지점에 배치되고 공급측 스프로킷(41)보다 위에 배치되어 수용브라켓(21)에 수용된 스틱형 과자(W)를 정상부로 상승시키도록 이송체인(20)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인(20)이 공급측 스프로킷(41)에서 정상측 스프로킷(43)으로 이동하는 경로의 경사각(θ)이, 예를 들어 70도보다 작게 설정되면, 이송체인(20)이 완만하게 상승하므로, 수용브라켓(21)에 수용된 스틱형 과자(W) 위에 또 다른 스틱형 과자(W)가 적층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어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별도의 차단판을 구비해야 하고, 경사각(θ)을 80도보다 크게 설정하면,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측방향을 향하게 되므로 수용브라켓(21)에 수용된 스틱형 과자(W)가 이송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이탈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이송체인(20)이 공급측 스프로킷(41)에서 정상측 스프로킷(43)으로 이동하는 경로의 경사각(θ)은 70~80도 범위 내로 설정하는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75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별도의 차단판 없이도 수용브라켓(21)에 스틱형 과자(W)가 적층하여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송체인(20)이 공급측 스프로킷(41)에서 정상측 스프로킷(43)으로 상승하는 경로에 카운터센서(15)가 배치되고, 카운터센서(15)는 프레임본체(12)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카운터센서(15)는 수용브라켓(21)에 스틱형 과자(W)가 수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수용브라켓(21)에 수용된 스틱형 과자(W)의 수량을 계수하여 자동포장기계에 공급되는 스틱형 과자(W)의 공급수량을 카운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송체인(20)이 정상측 스프로킷(43)의 위치인 정상부에서 배출측 스프로킷(42)의 위치인 배출부(30)측으로 이동하는 경로는, 이송체인(20)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여 수용브라켓(21)에 수용된 스틱형 과자(W)가 이송중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배출측 스프로킷(42)의 위치는 정상측 스프로킷(43)의 위치와 수평을 유지하여 배치된다.
또한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위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반전되는 위치, 즉 배출측 스프로킷(42)이 배치된 부분에는 수용브라켓(21)에 수용된 스틱형 과자(W)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부재(46)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이드부재(46)는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정확히 수직하방을 향한 위치에서 스틱형 과자(W)를 낙하시키도록 그 안내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구동측 스프로킷(44)은, 상기 이송체인(20)에 이맞물림되고 모터(45)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이송체인(20)을 궤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출측 스프로킷(42)과 공급측 스프로킷(41) 사이에 배치하되, 이송체인(20)의 아래에서 위방향으로 이맞물림시킨다
또한 이송체인(20)이 배출측 스프로킷(42)에서 구동측 스프로킷(44)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동측 스프로킷(44)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로써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위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반전되어 수용된 스틱형 과자(W)를 낙하시키는 지점에서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측 스프로킷(44)에 이송체인(20)이 이맞물림할 때, 수용브라켓(21)의 제1 또는 제2 수용날개(21a,21b)가 인접한 수용브라켓(21)의 제1 또는 제2 수용날개(21a,21b)와 겹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수용날개(21a,21b)에는 이송체인(20)이 구동측 스프로킷(44)에 안내될 때, 상호 접촉하지 않고 교차하도록 절결부(21c,21d)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날개(21a)는 양쪽에 제1 수용날개(21a)을 형성하고 양쪽의 제1 수용날개(21a) 사이에 절결부(21c)가 형성되도록 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2 수용날개(21b)는 양쪽에 절결부(21d)를 형성하고 양쪽의 절결부(21d) 사이에 제2 수용날개(21b)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수용날개(21a)의 폭길이보다는 제2 수용날개(21b)의 절결부(21d) 폭길이가 길고, 제1 수용날개(21a)쪽의 절결부(21c)보다는 제2 수용날개(21b)의 폭길이가 짧아야 상호 교차가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공급부(10)의 공간부(11)에 다수의 스틱형 과자(W)를 저장하고, 모터를 구동하여 벨트기구를 동작시키게 되면, 공간부(11)의 일측으로 이송체인(20)이 이송되면서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측방향을 향하게 되므로, 각각의 수용브라켓(21)에 스틱형 과자(W)를 하나씩 수용할 수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각 수용브라켓(21)의 제1 및 제2 수용날개(21a,21b)에 의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도 4에서와 같이 이송체인(20)이 공급측 스프로킷(41)에서 정상측 스프로킷(43)으로 이송되는 경로의 경사각(θ)이 70~80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75도의 경사각(θ)으로 설정되어 있고, 이 경사각(θ)은 수용브라켓(21)에 수용된 스틱형 과자(W) 위에 또 다른 스틱형 과자(W)가 적층되어 이송될 경우, 적층된 스틱형 과자(W)가 이송과정에서 자동적으로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는 각도이므로, 적층된 스틱형 과자(W)의 제거를 위해 별도의 차단판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공급측 스프로킷(41)에서 정상측 스프로킷(43)으로 이송되는 경로의 경사각(θ)이 커짐에 따라 경사각(θ)이 작을 때에 비하여 공급부(10)에서 스틱형 과자(W)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구간길이(L)를 더 길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이송체인(20)의 이송속도를 증가시켜도 수용브라켓(21)에 스틱형 과자(W)를 확실하게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틱형 과자(W)를 자동포장기계에 하나씩 공급하는 속도를 빠르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공급부(10)에서 수용된 스틱형 과자(W)는 정상측 스프로킷(43)쪽으로 이송되고, 이 과정에서 프레임본체(12)에 구비된 카운터센서(15)가 수용브라켓(21)에 스틱형과자가 수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확인 결과 스틱형 과자(W)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 공급수량에 가산하여 후에 자동포장기계에 공급된 수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스틱형 과자(W)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경보를 울리면서 이송체인(20)의 이송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의 컨트롤러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에서와 같이 이송체인(20)은 정상측 스프로킷(43)에서 배출측 스프로킷(42)으로 이송되고, 이 경로에서는 이송체인(20)이 수평을 유지하여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위쪽을 향하게 되므로 이송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수용브라켓(21)에 수용된 스틱형 과자(W)가 이탈하여 낙하할 염려가 없어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이어서, 이송체인(20)은 배출측 스프로킷(42)에 안내되면서,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위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반전되고, 이때 가이드부재(46)에 의해 스틱형 과자(W)는 수용브라켓(21)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정확하게 수직하방을 향하는 위치에서 스틱형 과자(W)를 낙하시키게 된다.
즉, 가이드부재(46)는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위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반전되는 과정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하게 되고,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수직하방을 향하는 위치에서 안내를 중단하도록 그 길이가 설정된 것이므로, 항상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수직하방을 향하는 위치에 도달한 낙하지점에서 정확하게 스틱형 과자(W)를 낙하시킬 수 있고, 이로써 낙하된 스틱형 과자(W)를 배출부(30)가 자동포장기계에 공급하여 자동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배출측 스프로킷(42)에서 구동측 스프로킷(44)으로 안내되는 이송체인(20)의 경로가 수평을 유지함에 따라,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위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반전할 때 수용브라켓(21)의 개방부가 정확하게 수직하방을 향하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배출부(30)의 낙하지점에 오차 없이 정확하게 스틱형 과자(W)를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수용브라켓(21)이 이송체인(20)의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측 스프로킷(44)을 이송체인(20)의 아래에서 위로 이맞물림시킬 때에는, 수용브라켓(21)의 제1 및 제2 수용날개(21a,21b)가 상호 겹치게 되지만, 본 발명의 수용브라켓(21)에 구비된 제1 및 제2 수용날개(21a,21b)는 도 6에서와 같이 인접한 수용브라켓(21)의 제1 및 제2 수용날개(21a,21b)가 상호 겹치지 않도록 하는 절결부(21c,21d)가 형성된 것이므로, 수용브라켓(21)이 이송체인(20)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구동측 스프로킷(44)을 이송체인(20)에 이맞물림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배출측 스프로킷(42)에서 구동측 스프로킷(44)으로 이송되는 이송체인(20)의 경로를 수평방향이 되도록 구동측 스프로킷(44)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별도의 장력조절기구 없이도 배출측 스프로킷(42)에서 구동측 스프로킷(44)으로 이송되는 수평 경로에서 이송체인(20)이 자중에 의한 처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공급부 15 : 카운터센서
20 : 이송체인 21 : 수용브라켓
21a,21b : 제1 및 제2 수용날개 21c,21d : 절결부
30 : 배출부 41,42,43,44 : 스프로킷
46 : 가이드부재 W : 스틱형 과자
θ : 경사각

Claims (3)

  1. 하나의 스틱형 과자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U자형태로 절곡된 제1 및 제2 수용날개를 가지는 수용브라켓이 다수 구비되어 소정 경로로 궤도 회전하는 이송체인과, 상기 수용브라켓에 스틱형 과자를 공급하는 공급부측에 배치되어 이송체인을 안내하는 공급측 스프로킷과, 상기 수용브라켓에서 낙하되는 스틱형 과자를 자동포장기계쪽으로 이송시키는 배출부측에 배치되어 이송체인을 안내하는 배출측 스프로킷과, 상기 공급측 스프로킷과 배출측 스프로킷 사이의 3각지점에 배치되고 공급측 스프로킷보다 위에 배치되어 수용브라켓에 수용된 스틱형 과자를 정상부로 상승시키도록 이송체인을 안내하는 정상측 스프로킷과, 상기 이송체인에 이맞물림되고 모터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이송체인을 궤도 회전시키는 구동측 스프로킷과, 상기 수용브라켓의 제1 및 제2 수용날개가 위방향에서 아래방향으로 반전되는 위치에서 수용브라켓에 수용된 과자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이 정상부에서 배출부측으로 이동하는 경로는, 이송체인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배출측 스프로킷과 정상측 스프로킷을 수평으로 배치하고,
    상기 구동측 스프로킷은 배출측 스프로킷과 공급측 스프로킷 사이에 배치하여 이송체인의 아래에서 위방향으로 이맞물림시키되, 상기 이송체인이 배출측 스프로킷에서 구동측 스프로킷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수평을 유지하는 위치에 구동측 스프로킷을 배치하며,
    상기 수용브라켓의 제1 및 제2 수용날개는 이송체인이 구동측 스프로킷에 안내될 때,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교차 가능한 절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이 공급측 스프로킷에서 정상측 스프로킷으로 이동하는 경로는, 70~80도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이 공급측 스프로킷에서 정상측 스프로킷으로 이송하는 경로 상에 카운터센서를 설치하여 과자의 공급수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
KR1020200071456A 2020-06-12 2020-06-12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 KR10241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456A KR102416284B1 (ko) 2020-06-12 2020-06-12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456A KR102416284B1 (ko) 2020-06-12 2020-06-12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445A true KR20210154445A (ko) 2021-12-21
KR102416284B1 KR102416284B1 (ko) 2022-07-04

Family

ID=79165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456A KR102416284B1 (ko) 2020-06-12 2020-06-12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2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5863A (ja) * 1996-07-18 1998-02-10 Hagiwara Kogyo Kk 長尺材仕分装置および方法
JP2006335556A (ja) * 2005-06-06 2006-12-14 Fuji Seisakusho:Kk 棒状をした食品の搬送装置
KR101494253B1 (ko) * 2013-03-13 2015-02-25 코리아팩라인 주식회사 스틱형 과자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5863A (ja) * 1996-07-18 1998-02-10 Hagiwara Kogyo Kk 長尺材仕分装置および方法
JP2006335556A (ja) * 2005-06-06 2006-12-14 Fuji Seisakusho:Kk 棒状をした食品の搬送装置
KR101494253B1 (ko) * 2013-03-13 2015-02-25 코리아팩라인 주식회사 스틱형 과자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284B1 (ko) 202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8325A (en) Automatic package accumulator
US10486889B2 (en) Drug feeder
US20090277133A1 (en) Conveying device, and boxing device and boxing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JPS6317687B2 (ko)
WO2012021495A2 (en) Automated product engager, transporter and patterned depositor system
US7494002B2 (en) Conveyance apparatus, and weighing and packaging system provided therewith
KR102416284B1 (ko) 스틱형 과자 싱글 공급장치
US4395177A (en) Apparatus for feeding folded and flattened cartons to a packaging machine
US20060090426A1 (en) Pouch loading machine
EP1459985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collecting togheter different goods
KR102546254B1 (ko) 계란판 고속 반송장치
JP3468444B2 (ja) 割箸の整列搬送装置
JP7244739B2 (ja) 物品搬送装置
JP2000289844A (ja) アンプル受渡装置
JPH10329804A (ja) 硬貨包装機
JPH058830A (ja) 作物の選別用搬送装置
KR102232696B1 (ko) 아이스바제조시스템용 스틱공급장치
JP2002002946A (ja) 長尺農産物の整列・箱詰装置
JP2515116Y2 (ja) 作物の選別用搬送装置
JPH0738244Y2 (ja) 物品貯留装置
JPH066094Y2 (ja) 物品貯留装置
JPH058845A (ja) 作物の選別用搬送装置
JP2001010602A (ja) 箱詰めシステム
JPH04246016A (ja) 作物の選別用搬送装置
JPH058831A (ja) 作物の選別用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