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009A -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009A
KR20210154009A KR1020200071090A KR20200071090A KR20210154009A KR 20210154009 A KR20210154009 A KR 20210154009A KR 1020200071090 A KR1020200071090 A KR 1020200071090A KR 20200071090 A KR20200071090 A KR 20200071090A KR 20210154009 A KR20210154009 A KR 20210154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ens
lamp
blocking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제
임정섭
유한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4009A/ko
Priority to US17/336,232 priority patent/US11808429B2/en
Priority to DE102021114925.8A priority patent/DE102021114925A1/de
Priority to CN202110650978.2A priority patent/CN113799681B/zh
Publication of KR2021015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5Lens hoods or shie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4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방에 광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일 측에 구비되고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광원 및 상기 카메라의 전방에 구비되는 렌즈부; 상기 카메라에 구비되는 카메라 렌즈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광 차단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광 차단 부재는 상기 렌즈부에 밀착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Assembly of lamp and camera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전자의 운전을 보조 또는 대체하기 위해 자동차에 탑재되는 장치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장치의 일 예로, 광원 및 렌즈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전방 또는 후방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함께 구비된 자동차용 램프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램프에 카메라가 함께 탑재되는 경우, 자동차용 램프에 탑재된 광원에서 나오는 광 중 일부가 카메라에 유입되는데, 이로 인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의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램프에 카메라가 탑재되는 경우, 자동차용 램프에 탑재되는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 중 일부가 자동차용 램프의 렌즈에서 반사된 후 카메라에 유입되었는데, 이러한 광의 유입으로 인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가 왜곡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가 탑재되는 자동차용 램프에서 램프의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에 의해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방에 광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일 측에 구비되고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광원 및 상기 카메라의 전방에 구비되는 렌즈부; 상기 카메라에 구비되는 카메라 렌즈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광 차단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광 차단 부재는 상기 렌즈부에 밀착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광 차단 부재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view angle) 내 공간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 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view angle) 내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격벽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 차단 부재는 상기 격벽부에 밀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 내 공간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 내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 카메라 및 광 차단 부재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의 둘레 영역과 상기 하우징의 둘레 영역 간에는 후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전방의 둘레 영역에는 상기 렌즈부를 향해 돌출되는 하우징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의 둘레 영역에는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는 렌즈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돌출부와 상기 렌즈 돌출부가 서로 만나는 영역에서 상기 후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상게 렌즈부의 몸체를 형성하는 렌즈 몸체; 및 상기 렌즈부의 상기 둘레 영역을 형성하는 테두리; 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돌출부는 상기 테두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는 상기 렌즈 몸체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돌출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돌출부의 외측면 중 일부에는 만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만입부에서 상기 후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돌출부의 끝부에는 상기 하우징 돌출부를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가 상기 만입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후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 차단 부재는 상기 카메라 렌즈의 외측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부는 상기 카메라 렌즈의 외측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와 상기 하우징 돌출부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 차단 부재는 가시 광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격벽부는 상기 광 차단 부재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가 탑재되는 자동차용 램프에서 램프의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에 의해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에서 렌즈부, 카메라 및 광 차단 부재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의 결합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에서 렌즈부, 카메라 및 광 차단 부재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의 결합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에서 렌즈부와 하우징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를 설명한다.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에서 렌즈부, 카메라 및 광 차단 부재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의 결합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10, 이하, '조립체'라 한다)는 전방에 광을 출사하는 광원(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0)은 전방에 광을 출사함으로써 외부에 빔 패턴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조립체(10)는 광원(100)의 전방에 구비되는 렌즈부(200) 및 광원(100)의 일 측에 구비되고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카메라(300)가 광원(100)의 하측에 구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렌즈부(200)는 조립체(10)를 구성하는 광원(100)과 카메라(300) 등 조립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광원(100)에서 출사된 광을 공급받아 조립체(10)의 발광면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부(200)는 조립체(10)의 최외곽에 구비되는 아우터 렌즈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렌즈부(200)는 조립체(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이너 렌즈일 수도 있다.
한편, 카메라(300)는 렌즈부(200)의 좌우 방향의 일 끝부 영역과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 예로 카메라(300)가 렌즈부(200)의 좌측 일 끝부 영역과 마주보도록 구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0)는 카메라(300)에 구비되는 카메라 렌즈(미도시)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광 차단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차단 부재(400)는 광원(100)에서 출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카메라 렌즈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광 차단 부재(400)는 광원(100)에서 출사되는 가시 광선을 차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광 차단 부재(400)는 가시 광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원(100)에서 출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차단 부재(400)는 렌즈부(200)에 밀착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 차단 부재(40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차단 부재(400)는 합성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광 차단 부재(400)는 합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차단 부재(400)가 합성 고무 재질을 포함하거나 합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력에 의해 카메라(300)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을 광 차단 부재(400)가 흡수할 수 있으므로, 충격 및 진동에 대한 내구성이 약한 카메라(300)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차단 부재(400)는 카메라(300)에 구비되는 카메라 렌즈의 외측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100)에서 출사되는 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광 차단 부재(400)는 카메라 렌즈의 외측 둘레 중 일부만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 차단 부재(400)는 카메라 렌즈의 외측 둘레 중 광원(100)에서 출사되는 광이 도달하는 영역만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카메라(300)는 카메라(300)를 통해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각도인 화각(view angle)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0)에 구비되는 카메라(300)에 상방 및 하방으로 총 θ의 화각을 갖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카메라(300)는 화각 내의 공간에 존재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광 차단 부재(400)는 카메라(300)의 화각 내 공간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광 차단 부재(400)는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되는 외부 이미지의 바깥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광 차단 부재(400) 중 적어도 일부는 카메라(300)의 화각 내 공간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 차단 부재(400) 중 일부는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되는 외부 이미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0)는 광원(100), 카메라(300) 및 광 차단 부재(400)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00)은 렌즈부(200)의 후방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렌즈부(200)는 하우징(500)의 전방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200)는 렌즈부(200)의 몸체를 형성하는 렌즈 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200)는 렌즈부(200)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카메라(300)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격벽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격벽부(220)는 렌즈 몸체(21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광 차단 부재(400)는 격벽부(220)에 밀착 구비될 수 있다.
광 차단 부재(400)와 유사하게 격벽부(220) 역시 광원(100)에서 출사되는 광이 카메라(30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광 차단 부재(400)의 경우와 유사하게 격벽부(220)는 카메라(300)의 화각 내 공간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부(220)는 카메라(300)에 의해 촬영되는 외부 이미지의 바깥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격벽부(220) 중 적어도 일부는 카메라(300)의 화각 내 공간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격벽부(220) 중 일부는 카메라(330)에 의해 촬영되는 외부 이미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격벽부(220)는 렌즈 몸체(210)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광원(100)에서 출사되는 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격벽부(220)는 렌즈 몸체(210)보다 낮은 가시 광선 투과율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 차단 부재(400)는 격벽부(220)에 밀착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격벽부(220)는 렌즈 몸체(210)의 내측면 중 광 차단 부재(400)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광 차단 부재(400)가 카메라(300)에 구비되는 카메라 렌즈의 외측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경우, 격벽부(220) 역시 카메라 렌즈의 외측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광 차단 부재(400)가 카메라 렌즈의 외측 둘레 중 일부만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경우, 격벽부(220) 역시 카메라 렌즈의 외측 둘레 중 일부만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부(220)는 카메라 렌즈의 외측 둘레 중 광원(100)에서 출사되는 광이 도달하는 영역만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부(200)의 전방(F)에서 바라보았을 때, 격벽부(220)는 광 차단 부재(40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격벽부(220)의 두께가 광 차단 부재(400)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에서 렌즈부, 카메라 및 광 차단 부재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의 결합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하기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구조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 중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후술할 내용과 모순되지 않는 내용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몸체(210)의 내측면에는 격벽부(22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광 차단 부재(400)는 렌즈 몸체(2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광 차단 부재(400)는 렌즈 몸체(210)의 내측면에 밀착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0)의 렌즈부(200)는 전술한 렌즈 몸체(210) 및 격벽부(220) 이외에도, 렌즈부(200)의 둘레 영역을 형성하는 테두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230)는 렌즈 몸체(2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테두리(230)는 렌즈 몸체(21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테두리(230)는 하우징(50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렌즈부(200)는 테두리(230)를 통해 하우징(500)과 결합할 수 있는데, 테두리(230)와 하우징(500)이 동일한 재질을 갖는 경우, 그러한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테두리(230)는 렌즈 몸체(2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우징(500)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0)에서 렌즈부(200)와 하우징(500) 간에는 후크(hook)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렌즈부(200)의 둘레 영역과 하우징(500)의 둘레 영역 간에 후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후크 결합이란, 두 구성 중 적어도 일 구성에 절곡된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 구성에 형성된 절곡부와 다른 구성 간에 간섭이 발생함으로써 그러한 간섭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는 후크 결합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에서 렌즈부와 하우징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0)의 전방의 둘레 영역에는 렌즈부(200)를 향해 돌출되는 하우징 돌출부(5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200)의 둘레 영역에는 하우징(500)을 향해 돌출되는 렌즈 돌출부(232)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렌즈 돌출부(232)는 렌즈부(200)의 테두리(23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후크 결합은 하우징 돌출부(510)와 렌즈 돌출부(232)가 서로 만나 직접 접촉하는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돌출부(232)는 하우징 돌출부(5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돌출부(510) 중에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영역은 렌즈 돌출부(232)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한편, 테두리(230)와 하우징 돌출부(510)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렌즈 돌출부(232)와 하우징 돌출부(510)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동일한 물성을 갖는 두 구성이 만나는 영역에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두 구성이 만나는 영역에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8을 참고하면, 하우징 돌출부(510)이 외측면 중 일부에는 만입부(512)가 구비될 수 있고, 렌즈 돌출부(232)의 끝부에는 하우징 돌출부(510)를 향해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절곡부(2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후크 결합은 만입부(512)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후크 결합은 절곡부(234)가 만입부(512)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하우징 돌출부가 렌즈 돌출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우징 돌출부(510)의 내측면 중 일부에 만입부가 구비될 수 있고, 렌즈 돌출부(232)의 끝부에는 하우징 돌출부(510)를 향해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절곡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100 : 광원
200 : 렌즈부
210 : 렌즈 몸체
220 : 격벽부
230 : 테두리
232 : 렌즈 돌출부
234 : 절곡부
300 : 카메라
400 : 광 차단 부재
500 : 하우징
510 : 하우징 돌출부
512 : 만입부

Claims (18)

  1. 전방에 광을 출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일 측에 구비되고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광원 및 상기 카메라의 전방에 구비되는 렌즈부;
    상기 카메라에 구비되는 카메라 렌즈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광 차단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광 차단 부재는 상기 렌즈부에 밀착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2. 청구항 1에서,
    상기 광 차단 부재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view angle) 내 공간의 외부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3. 청구항 1에서,
    상기 광 차단 부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view angle) 내 공간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4. 청구항 1에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렌즈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갖는 격벽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 차단 부재는 상기 격벽부에 밀착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5. 청구항 4에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 내 공간의 외부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6. 청구항 4에서,
    상기 격벽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카메라의 화각 내 공간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7. 청구항 1에서,
    상기 광원, 카메라 및 광 차단 부재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의 둘레 영역과 상기 하우징의 둘레 영역 간에는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8. 청구항 7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의 둘레 영역에는 상기 렌즈부를 향해 돌출되는 하우징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의 둘레 영역에는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는 렌즈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돌출부와 상기 렌즈 돌출부가 서로 만나는 영역에서 상기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9. 청구항 8에서,
    상기 렌즈부는,
    상게 렌즈부의 몸체를 형성하는 렌즈 몸체; 및
    상기 렌즈부의 상기 둘레 영역을 형성하는 테두리; 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돌출부는 상기 테두리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10. 청구항 9에서,
    상기 테두리는 상기 렌즈 몸체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11. 청구항 8에서,
    상기 렌즈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돌출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12. 청구항 11에서,
    상기 하우징 돌출부의 외측면 중 일부에는 만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만입부에서 상기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13. 청구항 12에서,
    상기 렌즈 돌출부의 끝부에는 상기 하우징 돌출부를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가 상기 만입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14. 청구항 1에서,
    상기 광 차단 부재는 상기 카메라 렌즈의 외측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15. 청구항 4에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카메라 렌즈의 외측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16. 청구항 10에서,
    상기 테두리와 상기 하우징 돌출부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17. 청구항 1에서,
    상기 광 차단 부재는 가시 광선이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18. 청구항 4에서,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격벽부는 상기 광 차단 부재 내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KR1020200071090A 2020-06-11 2020-06-11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KR20210154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090A KR20210154009A (ko) 2020-06-11 2020-06-11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US17/336,232 US11808429B2 (en) 2020-06-11 2021-06-01 Asssembly of lamp and camera for automobile
DE102021114925.8A DE102021114925A1 (de) 2020-06-11 2021-06-10 Anordnung aus einer Leuchte und einer Kamera für ein Fahrzeug
CN202110650978.2A CN113799681B (zh) 2020-06-11 2021-06-10 用于汽车的灯和摄像头的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090A KR20210154009A (ko) 2020-06-11 2020-06-11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009A true KR20210154009A (ko) 2021-12-20

Family

ID=7871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090A KR20210154009A (ko) 2020-06-11 2020-06-11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08429B2 (ko)
KR (1) KR20210154009A (ko)
CN (1) CN113799681B (ko)
DE (1) DE102021114925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8610A (ja) 1999-09-22 2001-04-03 Ichikoh Ind Ltd カメラ内蔵の車両用灯具
JP5525277B2 (ja) * 2010-02-10 2014-06-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カメラを内蔵した車両用灯具
JP2013164913A (ja) 2012-02-09 2013-08-22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WO2018052087A1 (ja) * 2016-09-15 2018-03-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センサシステム
JP6883418B2 (ja) 2016-12-19 2021-06-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ランプ
WO2019073052A1 (en) 2017-10-13 2019-04-18 Treeway Tw001 B.V. EDARAVONE SALT
JP2019194940A (ja) 2018-05-01 2019-11-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ランプ
US11873962B2 (en) * 2018-05-01 2024-01-16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99681A (zh) 2021-12-17
US11808429B2 (en) 2023-11-07
DE102021114925A1 (de) 2021-12-16
CN113799681B (zh) 2024-05-14
US20210388963A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3639B2 (en) Camera cover
KR100491024B1 (ko) 카메라 내장형 리어뷰 미러
US11046255B2 (en) Sensor mounting structure
JP4640404B2 (ja) 車両運転者状態検出装置
JP6361691B2 (ja) 車載カメラ
KR102123496B1 (ko) 센서 탑재 구조
WO2017110397A1 (ja) 撮像装置
KR101916778B1 (ko) 차량용 카메라 장치
JP6227947B2 (ja) 車両用灯具
JP4371824B2 (ja) カメラ取付部材
JP2015043279A (ja) 車両用暗視装置
WO2018047594A1 (ja) 車輌用検出装置及び車輌用灯具
JP5488202B2 (ja) 車載カメラ
KR20210154009A (ko) 자동차용 램프 및 카메라 조립체
JP2007062617A (ja) バンパー構造
JP7063776B2 (ja) 車両用撮像ユニット
JP7090715B2 (ja) 車両用撮像ユニット
JP2006213324A (ja) カメラ内蔵型バックミラー
JP5039749B2 (ja) 車両の前側方視認装置
JP4231962B2 (ja) 車両用監視装置
CN112428938A (zh) 车辆用摄像单元
JP5070722B2 (ja) 交換レンズ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6791091B2 (ja) 車体外装構造
JP2020040419A (ja) 車載光学センサ用カバー
CN115291457A (zh) 相机前盖及相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