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740A -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및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및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740A
KR20210153740A KR1020217039813A KR20217039813A KR20210153740A KR 20210153740 A KR20210153740 A KR 20210153740A KR 1020217039813 A KR1020217039813 A KR 1020217039813A KR 20217039813 A KR20217039813 A KR 20217039813A KR 20210153740 A KR20210153740 A KR 20210153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part
air duct
air condition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686B1 (ko
Inventor
타이성 류
즈창 류
즈창 양
쩌핑 리
Original Assignee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15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31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penetrating a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insertion in flat panels, e.g. in door or window-p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 및 공기 조화기(1000)를 제공한다.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는 고리형 제1 지지부(1); 상기 제1 지지부(1)의 축 방향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1)와 분할 가공하는 고리형 제2 지지부(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및 공기 조화기
[관련 출원에 대한 인용 참조]
본 발명은 출원번호가 201920874343.9이고, 출원일이 2019년 6월 11일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당해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결합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공기 조절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및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 공기 조화기는 통상적으로 정화 기능이 집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스탠드형 공기 조화기는 상부 송풍부,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와 하부 환풍부로 나뉘고,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는 상부 송풍부와 하부 환풍부 사이에 연결된다.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의 지지부는 일체형 구조여서, 가공 제조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몰드 제조에 불리하다.
본 출원은 종래 기술의 상기 기술적 과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출원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 제조에 편리한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또한 상술한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를 포함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는, 고리형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축 방향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분할 가공되는 고리형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분할 가공하므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분리되어 몰드 제조하는 데에 편리하고, 몰드의 가공 제조 난이도를 저감하는 데에 유리하므로, 생산 난이도를 저감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동시에 제조될 수 있어,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보강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당접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주벽에는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연장된 후, 축 방향을 따라 반전 굴절되는 보강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보강부를 한정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지지부 내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부 내주벽과 상기 보강판의 자유단은 각각 상기 제2 지지부의 외주벽에 당접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주벽에는 제1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부의 외주벽에는 상기 제1 계단부에 당접하는 제2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축 방향 일단의 단면에 설치되는 고리형 섀시; 일단이 상기 섀시의 반경 방향 내측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부 내로 연장되는 고리형 제1 연결 세그먼트; 일단이 상기 제1 연결 세그먼트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고리형 제2 연결 세그먼트; 일단이 상기 제2 연결 세그먼트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결 세그먼트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형 제3 연결 세그먼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연결 세그먼트와 상기 제3 연결 세그먼트는 상기 제2 계단부를 한정하고, 상기 보강판의 자유단은 상기 제3 연결 세그먼트의 타단에 당접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판은 원주 방향을 따라 열린(open) 고리형으로 연장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외주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장식부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식부는, 탈착 가능하게 상기 제1 지지부의 외주벽에 설치되는 장식판; 발광 밴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식판과 상기 제1 지지부의 외주벽 사이에 위치하는 광원 박스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부에는 나사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식판의 내면에는 상기 나사 구멍과 결합하는 나사 기둥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나사 기둥에는 상기 나사 기둥의 축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상술한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상술한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를 설치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분할 가공하므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분할되어 몰드 제조하는 데에 편리하고, 몰드의 가공 제조 난이도를 저감하는 데에 유리하므로, 생산 난이도를 저감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동시에 제조될 수 있어,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본 출원의 추가 측면 및 이점은 하기의 설명 부분에서 제공되고, 일부는 하기의 설명에서 더 분명해지거나, 본 출원의 실시를 통해 이해된다.
본 출원의 상술한 및/또는 추가 측면 및 이점은 아래의 도면과 결합하여 실시예의 설명에서 더 뚜렷하고 쉽게 이해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와 장식부의 결합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와 장식부의 다른 방향의 결합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의 다른 방향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N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의 분해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장식판과 광원 박스의 조립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개략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서 나타나고, 여기서 시종 동일 또는 유사한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자 및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을 구비한 소자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아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아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00)의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 및 공기 조화기(1000)에 대해 설명한다. 선택적으로, 공기 조화기(1000)는 캐비닛형 공기 조화기 실내기,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실내기, 이동 공기 조화기 또는 창문형 공기 조화기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00)의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는, 고리형 제1 지지부(1) 및 고리형 제2 지지부(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1)는 폐쇄 고리형 부분을 구비하고, 제2 지지부(2)는 폐쇄 고리형이다.
제2 지지부(2)는 제1 지지부(1)의 축 방향 일단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2 지지부(2)의 축 방향 일단의 단면과 제1 지지부(1)의 축 방향 일단의 단면은 연결된다. 추가로 예를 들면, 제2 지지부(2)의 축 방향 일단은 제1 지지부(1)의 축 방향 일단으로부터 제1 지지부(1) 내로 연장된다. 또 예를 들면, 제1 지지부(1)의 축 방향 일단은 제2 지지부(2)의 축 방향 일단으로부터 제2 지지부(2) 내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가 결합된 후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축 방향 양단이 열린 중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는 에어 덕트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에어 덕트 본체는 당해 중공 구조에 설치되고,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는 에어 덕트 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000)는 상부 하우징(200) 및 하부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고,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는 상부 하우징(200)과 하부 하우징(300) 사이에 설치되고, 에어 덕트 본체는 공기 조화기(1000) 내부에서 하부로부터 상부로 송풍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는 분할 가공하므로,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가 분리되어 몰드 제조하는 데에 편리하고, 몰드의 가공 제조 난이도를 저감하는 데에 유리하므로, 생산 난이도를 저감하고,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는 동시에 제조될 수 있고,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는,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를 분할 가공하므로,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가 분할되어 몰드 제조하는 데에 편리하고, 몰드의 가공 제조 난이도를 저감하는 데에 유리하므로, 생산 난이도를 저감하고,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는 동시에 제조될 수 있고,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제1 지지부(1)는, 제1 링 플레이트와 제2 링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링 플레이트는 제2 링 플레이트를 둘러싸고 제2 링 플레이트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제1 링 플레이트의 축 방향 양단과 제2 링 플레이트의 축 방향 양단은 각각 연결 플레이트를 통해 연결된다. 이로 인해, 멀티 플레이트를 설치하므로, 에어 덕트 본체와 실내 환경을 더욱 양호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의 밀봉성을 향상시키고, 에어 덕트 본체의 소음이 밖으로 전달되는 것을 약화시키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중 적어도 하나에는 보강부에 설치되어 있고, 보강부는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 사이에 당접한다. 즉, 제1 지지부(1)에 보강부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보강부의 자유단은 제2 지지부(2)에 당접하고, 제2 지지부(2)에 보강부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보강부의 자유단은 제1 지지부(1)에 당접한다. 이로 인해, 보강부를 설치하므로,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 사이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의 내주벽(예를 들면, 상술한 제2 링 플레이트의 내주벽)에는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연장된 후, 축 방향을 따라 반전 굴절되는 보강판(3)이 설치되어 있고, 보강판(3)은 보강부를 한정하고, 제2 지지부(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지지부(1) 내로 연장되고, 제1 지지부(1)의 일부 내주벽과 보강판(3)의 자유단은 각각 제2 지지부(2)의 외주벽에 당접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3)의 일단은 제1 지지부(1)의 내주벽에 설치되고, 보강판(3)의 타단은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연장된 후 축 방향을 따라 아래로 반전 굴절되고, 제2 지지부(2)는 제1 지지부(1)의 축 방향 하단으로부터 제1 지지부(1) 내로 연장되고, 제1 지지부(1)의 일부 내주벽과 보강판(3)의 자유단은 각각 제1 지지부(1)의 일부에 위치한 제2 지지부(2)의 외주벽에 당접한다. 이로 인해, 보강부를 보강판(3)으로 설치하므로,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 사이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제1 지지부(1)의 가공 제조에도 편리하고, 몰드의 제조에도 편리하다.
선택적으로, 보강판(3)과 제1 지지부(1)는 일체형 부재이다. 이로 인해, 보강판(3)과 제1 지지부(1)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편리하고, 가공 공정을 간소화한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2)의 일단은 계단부(25)로 형성되고, 계단부(25)와 보강판(3)의 자유단은 당접한다. 이로 인해, 계단부(25)를 설치하므로, 보강판(3)의 자유단은 계단부(25) 중 하나의 계단면(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수평 계단면)에 당접할 수 있고, 다른 계단면(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수직 계단면)은 보강판(3)에 대해 위치 한정할 수 있고, 보강판(3)과 제2 지지부(2)가 당접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므로,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가 결합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는, 계단부(25)를 설치하므로, 보강판(3)의 자유단은 계단부(25) 중 하나의 계단면에 당접할 수 있고, 다른 계단면은 보강판에 대해 위치 한정할 수 있고, 보강판과 제2 지지부가 당접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므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결합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의 내주벽에는 제1 계단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지지부(2)의 외주벽에는 제1 계단부(11)와 당접하는 제2 계단부(2a)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계단부(11) 및 제2 계단부(2a)를 설치하므로,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가 당접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2 지지부(2)는, 고리형 섀시(21), 고리형 제1 연결 세그먼트(22), 고리형 제2 연결 세그먼트(23) 및 고리형 제3 연결 세그먼트(24)를 포함하고, 섀시(21)는 제1 지지부(1)의 축 방향 일단의 단면에 설치되고, 제1 연결 세그먼트(22)의 일단과 섀시(21)의 반경 방향 내측단은 연결되며, 제1 연결 세그먼트(22)의 타단은 축 방향을 따라 제1 지지부(1) 내로 연장되고, 제2 연결 세그먼트(23)의 일단과 제1 연결 세그먼트(22)의 타단은 연결되고, 제2 연결 세그먼트(23)의 타단은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연장되며, 제3 연결 세그먼트(24)의 일단과 제2 연결 세그먼트(23)의 타단은 연결되고, 제3 연결 세그먼트(24)의 타단은 축 방향을 따라 제1 연결 세그먼트(22)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연결 세그먼트(23)와 제3 연결 세그먼트(24)는 제2 계단부(2a)를 한정하고, 보강판(3)의 자유단은 제3 연결 세그먼트(24)의 타단에 당접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방향에서, 제2 지지부(2)는 순서대로 연결된 고리형 섀시(21), 고리형 제1 연결 세그먼트(22), 고리형 제2 연결 세그먼트(23) 및 고리형 제3 연결 세그먼트(24)를 포함하고, 여기서, 섀시(21)는 제1 지지부(1)의 하단면에 설치되고, 제1 연결 세그먼트(22)의 축 방향 하단과 섀시(21)의 반경 방향 내측단은 연결되고, 제1 연결 세그먼트(22)는 축 방향을 따라 제1 지지부(1) 내로 연장되고, 제2 연결 세그먼트(23)의 반경 방향 외단과 제1 연결 세그먼트(22)의 축 방향 상단은 연결되고, 제2 연결 세그먼트(23)는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연장되며, 제3 연결 세그먼트(24)의 축 방향 하단과 제2 연결 세그먼트(23)의 반경 방향 내측단은 연결되고, 제3 연결 세그먼트(24)는 축 방향을 따라 위로 연장되고, 제2 연결 세그먼트(23)와 제3 연결 세그먼트(24)는 제2 계단부(2a)를 한정하고, 제1 지지부(1)의 제1 계단부(11)는 제2 계단부(2a)에 당접하고, 보강판(3)의 하단은 제3 연결 세그먼트(24)의 축 방향 상단에 당접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 내주벽의 보강판(3)의 휜 위치와 같은 높이에 위치한 곳에 제4 계단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연결 세그먼트(23), 제3 연결 세그먼트(24), 보강판(3) 및 제1 지지부(1)의 내주벽은 절단단이 대체로 사각형 형상인 구조를 한정한다. 물론, 본 출원의 다른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4 계단부(12)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로 인해, 제2 지지부(2)를 여러 번 축 방향에 따르고 반경 방향으로 여러 번 연장되는 구조를 설치하므로, 제2 지지부(2)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키고, 제2 지지부(2)와 제1 지지부(1)가 결합되는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고, 제2 지지부(2)의 몰드 구조를 간소화하는 데에 유리하며, 몰드 제조에 편리하다. 또한, 제1 지지부(1)에 복수의 계단 구조를 설치하여도, 제1 지지부(1)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나아가, 제2 지지부(2)는, 일단이 제3 연결 세그먼트(24)의 타단에 연결되고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연장된 후 축 방향을 따라 제3 연결 세그먼트(24)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반전 굴절되어 계단부(25)를 한정해 내는 고리형 제4 연결 세그먼트(2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연결 세그먼트(25)의 일단과 제3 연결 세그먼트(24)의 축 방향 상단은 연결되고, 제4 연결 세그먼트(25)는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연장된 후 축 방향을 따라 위로 반전 굴절되어 계단부(25)를 한정해 내므로, 보강판(3)이 계단부(25)에 당접하는 데에 편리하다.
이로 인해, 제2 지지부(2)를 여러 번 축 방향에 따르고 반경 방향으로 여러 번 연장되는 구조를 설치하므로, 제2 지지부(2)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키고, 제2 지지부(2)와 제1 지지부(1)가 결합되는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고, 제2 지지부(2)의 몰드 구조를 간소화하는 데에 유리하며, 몰드 제조에 편리하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보강판(3)은 원주 방향을 따라 열린 고리형으로 연장된다. 즉, 보강판(3)은 폐쇄된 고리형 구조가 아니고, 보강판(3)은 제1 지지부(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열린 고리형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면, 보강판(3)은 제1 지지부(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반원 고리형으로 연장된다. 이로 인해,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의 연결 강도를 보장하면서도, 원료비를 절약하는 데에 유리하다.
물론,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의 결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보강판(3)을 폐쇄 고리형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보강판(3)의 자유단에는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징(31)이 설치되어 있고, 플랜징(31)과 계단부(25)는 당접한다. 이로 인해, 플랜징(31)과 계단부(25) 사이의 접촉 면적은 비교적 크고, 플랜징(31)을 설치하므로 보강판(3)과 계단면 사이의 힘을 받는 면적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고, 보강판(3)과 제2 지지부(2)가 결합되는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보강판(3), 플랜징(31)과 제1 지지부(1)는 일체형 부재이다. 이로 인해, 생산 공정을 간소화하고, 생산 원가를 절감하고, 플랜징(31)과 보강판(3)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설명해야 할 것은,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연장되는 "안"은 모두 제1 지지부(1)의 중심축 방향에 가까운 방향을 가리키고, 반대 방향은 "밖"이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는,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의 외주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장식부를 더 포함한다. 즉, 장식부는 제1 지지부(1)의 외주벽에만 설치될 수 있고, 제2 지지부(2)의 외주벽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장식부의 일부는 제1 지지부(1)의 외주벽에 설치되고 일부는 제2 지지부(2)의 외주벽에 설치될 수 있다. 장식부를 설치하므로,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의 외관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는 장식판(4) 및 광원 박스(5)를 포함하고, 장식판(4)은 제1 지지부(1)의 외주벽에 설치될 수 있고, 장식판(4)은 제1 지지부(1) 외주벽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의 외관의 아름다움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다.
구체적으로, 장식판(4)은 탈착 가능하게 제1 지지부(1)의 외주벽에 설치되고, 당해 설치는, 장식판(4)의 분해 및 조립에 편리하고,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광원 박스(5)에는 발광 밴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박스(5)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투광부(511)이다. 즉, 전체 광원 박스(5)가 투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 박스(5)는 투광부일 수 있고, 광원 박스(5)는 일부 투광될 수도 있고, 투광 부분은 제2 투광부(511)이며, 장식판(4)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투광부(43)이고, 제2 투광부(511)는 장식판(4)의 제1 투광부(43)와 대응한다. 이로 인해, 발광 밴드가 송신한 광원은 제2 투광부(511)와 제1 투광부(43)를 통해 송신되어 사용자에 의해 관찰되므로,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의 외관의 아름다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원 박스(5)는 탈착 가능하게 장식판(4)의 내면에 설치된다. 즉, 광원 박스(5)는 탈착 가능하게 장식판(4)의 제1 지지부(1)의 일측 표면에 설치되고 장식판(4)과 제1 지지부(1)의 외주벽 사이에 위치하고, 당해 설치는, 광원 박스(5)을 분해 및 조립하는 데에 편리하고, 장식판(4)과 광원 박스(5) 사이의 분해 및 조립 효율과 보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고, 광원 박스(5)와 장식판(4)이 조립 완성된 후 하나의 전체로서 다시 제1 지지부(1)에 장착하는 데에 편리하고, 조립이 간단하다. 물론,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식판(4)과 광원 박스(5)는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박스(5)는, 램프 홀더(51) 및 램프 커버(52)를 포함하고, 램프 홀더(51)에는 일측이 열린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발광 밴드는 수용 공간에 설치되며, 램프 커버(52)는 램프 홀더(51)에 설치되어 수용 공간의 열린 측을 커버하고, 제2 투광부(511)는 램프 홀더(51)의 열린 측과 반대되는 램프 홀더(51)의 일측 측벽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수용 공간의 발광 밴드를 장착 및 보수하는 데에 편리하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램프 홀더(51)와 램프 커버(52)는 스냅핏 구조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면, 램프 홀더(51)의 외측벽에는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램프 커버(52)의 외주벽에는 램프 홀더(51)로 향해 연장되는 플랜징부가 설치되어 있고, 플랜징부에는 리브와 스냅핏 연결되는 고정홀이 설치되어 있고, 리브와 고정홀(1)이 스냅핏되므로, 램프 커버(52)와 램프 홀더(51)의 스냅핏 연결을 구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장착하는 데에 편리하다.
선택적으로, 램프 커버(52)와 플랜징부는 일체형 부재이다. 이로 인해, 생산 공정을 간소화하고, 생산 원가를 절감하는 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램프 커버(52)와 플랜징부 사이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써, 플랜징(31)의 사용 수명을 연장한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의 외주벽에는 스냅핑 슬롯(13) 및 스냅핏 연결부(42) 중의 하나가 형성되어 있고, 장식판(4)에는 스냅핑 슬롯(13) 및 스냅핏 연결부(42) 중의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지지부(1)의 외주벽에 스냅핑 슬롯(13)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장식판(4)에는 스냅핏 연결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지지부(1)의 외주벽에 스냅핏 연결부(42)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장식판(4)에는 스냅핑 슬롯(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냅핑 슬롯(13) 및 스냅핏 연결부(42)의 스냅핏을 통해, 제1 지지부(1)와 장식판(4) 사이의 탈착 가능한 연결을 구현하여, 분해 및 조립이 편리하고, 조립 및 보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의 외주벽에는 제1 지지부(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2개의 스냅핑 슬롯(13)이 설치되어 있고, 장식판(4) 길이 방향의 양단에는 스냅핏 연결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장식판(4) 길이 방향의 양단의 제1 지지부(1)로 향한 내면에 L형 형상의 스냅핏 연결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스냅핏 연결부(42)와 스냅핑 슬롯(13)이 일일이 결합되므로, 장식판(4)을 탈착 가능하게 제1 지지부(1)의 외주벽에 설치하여, 분해 및 조립이 편리하고, 생산 효율 및 보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1)와 장식판(4) 사이는 체결부재(fastener)를 통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에는 나사 구멍(14)이 설치되어 있고, 장식판(4)의 내면에는 나사 구멍(14)과 결합하는 나사 기둥(41)이 설치되어 있고,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는 나사 구멍(14)을 관통해 나사 기둥(41)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나사 기둥(41)에는 나사 기둥(41)의 축 방향을 따라 나사 기둥(41)을 관통하는 노치(411)가 형성되어 있어, 나사 기둥(41)이 일정한 변형 능력을 구비하므로, 상이한 크기의 나사가 모두 나사 기둥(41)에 스냅핏하는 데에 유리하고, 장식판(4)의 일반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며, 장식판(4)이 상이한 제1 지지부(1)와 연결하는 데에 편리하다.
선택적으로, 나사 기둥(41)과 나사 구멍(14)은 각각 여려 개이고, 복수의 나사 기둥(41)과 복수의 나사 구멍은 일일이 대응 및 결합한다. 이로 인해, 장식판(4)과 제1 지지부(1)가 연결되는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고, 장기적 사용 과정에서, 장식판(4)이 탈락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장식판(4)이 추락 손상으로 보수 및 교체되는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보수 원가를 절감하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키며, 사용자의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를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광원 박스(5)는 투명부이다. 이로 인해, 발광 밴드의 광선이 광원 박스(5)를 투과하는 데에 편리하고, 간단하고 신뢰성 있으며, 가공 제조하는데 편리하고, 외관이 아름답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장식판(4)은 알루미늄판이다. 이로 인해, 원가가 낮을 뿐만 아니라,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가 금속 특질을 구비하도록 하여, 외관 미관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는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가 연결되는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00)는, 상술한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00)는,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를 분할 가공하므로,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가 분할되어 몰드 제조하는 데에 편리하고, 몰드의 가공 제조 난이도를 저감하는 데에 유리하므로, 생산 난이도를 저감하고,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2)는 동시에 제조될 수 있어,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100), 계단부(25)를 설치하므로, 보강판(3)의 자유단은 계단부(25) 중 하나의 계단면에 당접할 수 있고, 다른 계단면은 보강판에 대해 위치 한정할 수 있고, 보강판과 제2 지지부가 당접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므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결합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이해해야 할 것은, 용어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축 방향", "반경 방향", "원주 방향" 등을 지칭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초로 하여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 관계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편리하게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 지칭되는 장치 또는 부품이 특정 방위를 가져야 하거나 또는 특정 방위로 구성되고 작동되는 것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출원에서, 명확한 구체적 한정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 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 용어는 광의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고정 연결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하게 연결일 수도 있고 또는, 일체로 될 수도 있으며; 기계 연결일 수 있고, 전기 연결 또는 서로 통신될 수도 있고; 직접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 연결일 수도 있고, 2개의 소자 내부의 관통 또는 2개의 소자의 인터랙션일 수도 있다. 당업자에게 있어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본 출원에서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명확한 구체적 한정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 한, 제1 구성이 제2 구성의 "위" 또는 "아래"에 있다는 것은, 제1 및 제2 구성이 직접 접촉, 또는 제1 및 제2 구성이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 접촉일 수 있고, 제1 구성이 제2 구성 "의 위에", "위쪽" 및 "위에" 있다는 것은, 제1 구성이 제2 구성의 바로 위 또는 대각선 위에 있거나, 제1 구성의 수평 높이가 제2 구성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제1 구성이 제2 구성 "의 아래", "아래쪽" 및 "아래에" 있다는 것은, 제1 구성이 제2 구성의 바로 아래 또는 대각선 아래에 있다는 것일 수 있고, 제1 구성의 수평 높이가 제2 구성보다 작다는 것만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 또는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함축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당해 특징을 명시하거나 함축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 한 "복수"의 함의는 적어도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이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고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설명은 당해 실시예 또는 예시와 함께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모두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반드시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비록 본 출원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와 취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들 실시형태에 대해 다양한 변화, 수정, 교체 및 변형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해 한정된다.
100: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1: 제1 지지부
11: 제1 계단부
12: 제4 계단부
13: 스냅핑 슬롯
14: 나사 구멍
2: 제2 지지부
21: 섀시
22: 제1 연결 세그먼트
23: 제2 연결 세그먼트
24: 제3 연결 세그먼트
2a: 제2 계단부
25: 계단부
3: 보강판
31: 플랜징
4: 장식판
41: 나사 기둥
411: 노치
42: 스냅핏 연결부
43: 제1 투광부
5: 광원 박스
51: 램프 홀더
52: 램프 커버
511: 제2 투광부
1000: 공기 조화기
200: 상부 하우징
300: 하부 하우징

Claims (10)

  1. 공기 조화기의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로서,
    고리형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축 방향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분할 가공되는 고리형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보강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주벽에는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연장된 후, 축 방향을 따라 반전 굴절되는 보강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보강부를 한정하고,
    상기 제2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지지부 내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의 일부 내주벽과 상기 보강판의 자유단은 각각 상기 제2 지지부의 외주벽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내주벽에는 제1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지지부의 외주벽에는 상기 제1 계단부에 당접하는 제2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축 방향 일단의 단면에 설치되는 고리형 섀시;
    일단이 상기 섀시의 반경 방향 내측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지지부 내로 연장되는 고리형 제1 연결 세그먼트;
    일단이 상기 제1 연결 세그먼트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고리형 제2 연결 세그먼트;
    일단이 상기 제2 연결 세그먼트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결 세그먼트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형 제3 연결 세그먼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연결 세그먼트와 상기 제3 연결 세그먼트는 상기 제2 계단부를 한정하고, 상기 보강판의 자유단은 상기 제3 연결 세그먼트의 타단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원주 방향을 따라 열린 고리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외주벽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장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탈착 가능하게 상기 제1 지지부의 외주벽에 설치되는 장식판;
    발광 밴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식판과 상기 제1 지지부의 외주벽 사이에 위치하는 광원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에는 나사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식판의 내면에는 상기 나사 구멍과 결합하는 나사 기둥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나사 기둥에는 상기 나사 기둥의 축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10. 공기 조화기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217039813A 2019-06-11 2019-11-21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및 공기 조화기 KR102641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0874343.9 2019-06-11
CN201920874343.9U CN210118943U (zh) 2019-06-11 2019-06-11 中间风道支撑部件及空调器
PCT/CN2019/119944 WO2020248519A1 (zh) 2019-06-11 2019-11-21 中间风道支撑部件及空调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740A true KR20210153740A (ko) 2021-12-17
KR102641686B1 KR102641686B1 (ko) 2024-02-29

Family

ID=6961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813A KR102641686B1 (ko) 2019-06-11 2019-11-21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및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99330A1 (ko)
KR (1) KR102641686B1 (ko)
CN (1) CN210118943U (ko)
WO (1) WO202024851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8752A (zh) * 2018-03-07 2018-07-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的中间风道支撑件以及空调
CN207962884U (zh) * 2018-01-30 2018-10-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柜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6872B2 (ja) * 1994-11-18 2001-08-0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6536124B2 (ja) * 2015-03-30 2019-07-03 Toto株式会社 天井設置型空調装置の取付構造
CN204629964U (zh) * 2015-03-31 2015-09-0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及其机壳
CN210118945U (zh) * 2019-06-11 2020-02-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中间风道支撑部件及空调器
CN210118944U (zh) * 2019-06-11 2020-02-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中间风道支撑部件及空调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962884U (zh) * 2018-01-30 2018-10-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柜机
CN108278752A (zh) * 2018-03-07 2018-07-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的中间风道支撑件以及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99330A1 (en) 2022-03-31
KR102641686B1 (ko) 2024-02-29
CN210118943U (zh) 2020-02-28
WO2020248519A1 (zh)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0650C (en) Multi-directional lighting fixture
US20150276197A1 (en) Lamp with Airing Function
WO2018133371A1 (zh) 冰箱
WO2021083216A1 (zh) Led信号灯以及电动车
KR20210153740A (ko) 미들 에어 덕트 지지 부재 및 공기 조화기
CN208959339U (zh) 灯具、模块化表面覆盖布置和灯具套件
CN107525036B (zh) 一种照明灯的灯盒组件及冰箱
WO2021038809A1 (ja) 表示灯
JP5678159B1 (ja) Led照明装置
EP3929483A1 (en) Panel light
CN210118945U (zh) 中间风道支撑部件及空调器
CN210197612U (zh) 中间风道支撑部件及空调器
CN215808872U (zh) 空调室内机和空调
CN215808832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19828653U (zh) 一种双发光形式的氛围筒灯
CN204026508U (zh) 一种灯罩快装结构
CN218598434U (zh) 一种带多光圈的风扇
CN213577105U (zh) 基板及led灯具
CN215808829U (zh) 一种空调室内机和空调
CN217356778U (zh) 一种灯具
CN214332579U (zh) 一种新型工矿灯透镜
CN213513540U (zh) 吸顶灯的安装结构及吸顶灯
CN220061567U (zh) 一种灯具
CN216480493U (zh) 便于组合的线条灯
CN220038261U (zh) 无边框面板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