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299A - 리프트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299A
KR20210153299A KR1020200070180A KR20200070180A KR20210153299A KR 20210153299 A KR20210153299 A KR 20210153299A KR 1020200070180 A KR1020200070180 A KR 1020200070180A KR 20200070180 A KR20200070180 A KR 20200070180A KR 20210153299 A KR20210153299 A KR 20210153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late
sub
main plat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407B1 (ko
Inventor
연제진
김태형
박인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00070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40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61G5/1045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for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공기 수용이 가능한 수용부와, 상기 공기를 상기 수용부에 제공 가능하게 하는 공기 압축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착석에 의해 압축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사용자의 착석에 의해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공기를 제공받고, 리프트를 위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주머니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주머니로부터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 제공되는 공기량이 조절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리프트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리프트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Lifting cushion and height adjuster for wheelchai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프트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앉는 환자의 좌석 부분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리프트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보통 지체장애인이나 다리 환자 등의 걷지 못하는 사람들이 의자에 앉아 이동하기 위해 만들어진 바퀴를 구비한 의자이다.
휠체어는 크게, 수동용 휠체어와 자동용 휠체어가 있는데, 수동용 휠체어는 사용자가 바퀴에 달린 손잡이를 손으로 직접 굴리며 조종하는 방식이고, 자동용 휠체어는 컨트롤러 방식의 핸들을 이용하여 완전 전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지체장애인 또는 다리 환자가 휠체어에 앉은 채로, 병원에서 검사를 받게 될 때, 환자의 높이와 검사 장비의 높이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자가 다른 의자로 이동하여 검사를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좌식 안과 검사 시에, 환자의 앉은 키가 작아서 검사 장비를 최대한 낮춰도 검사 장비의 얼굴 고정대에 얼굴을 고정시킬 수 없어서 검사장비의 의자로 힘들게 옮겨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환자의 자세가 불편해져서 검사의 협조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양질의 검사결과를 내는데 매우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좌식 안과 검사와 같은 경우에 환자의 안전과 검사 대기 시간을 감소하기 위해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를 예의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등록특허 제10-1447883호(2014.10.13.)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면에서, 좌석에 위치하는 착석자의 높낮이를 에너지를 저감하면서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리프트용 방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일측면에서, 검사 대상자 또는 환자 등의 사용자의 안전과 검사 대기 시간을 감소하기 위해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좌석에 위치하여 착석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리프트용 방석으로서, 공기 수용이 가능한 수용부와, 상기 공기를 상기 수용부에 제공 가능하게 하는 공기 압축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착석에 의해 압축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사용자의 착석에 의해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공기를 제공받고, 리프트를 위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주머니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주머니로부터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 제공되는 공기량이 조절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리프트용 방석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에어주머니 사이에 연통되고, 기 메인 플레이트 주변에서 메인 플레이트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사용자가 착석 시 상기 사용자를 지지하는 서브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주위에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 플레이트는 제1튜브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제2튜브를 통해서 상기 에어주머니와 연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게 하도록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상기 공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석할 때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고, 감지된 하중에 대한 정보를 공기 제어부로 제공하여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어주머니는 상기 공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기 유량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유량 센서는 상기 에어주머니 내에서 공기의 저장된 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휠체어에 착석한 사용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상기 휠체어 좌석에 전술한 리프트용 방석이 놓이고, 상기 리프트용 방석에 의하여 착석한 사용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치는 안과 검사 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리프트용 방석에 의하면, 사용자 착석 시 전달되는 공기를 리트프 시 다시 이용하여 좌석에 위치하는 착석자의 높낮이를 에너지를 저감하면서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메인 플레이트 주위에 서브 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사용자 특히 환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는 휠체어에 앉은 채로 자리를 이동하지 않고 안과 검사를 받을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는 환자의 검사 협조도에 좋은 영향을 미쳐 양질의 검사 결과를 내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 플레이트와 서브 플레이트로부터 에어주머니로 공기가 공급되는 리프트용 방석 또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에어주머니로부터 서브 플레이트와 메인 플레이트로 공기가 공급되는 리프트용 방석 또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인 플레이트가 압축되어 공기가 이동되는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브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 부재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들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리프트용 방석 또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의 사용자로서, 환자 또는 안과 검사의 대상자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메인 플레이트(10)와 서브 플레이트(17)로부터 에어주머니(20)로 공기가 공급되는 본 발명의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100)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고, 도 2는 에어주머니(20)로부터 서브 플레이트(17)와 메인 플레이트(10)로 공기가 공급되는 본 발명의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100)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메인 플레이트(10)가 압축되어 공기가 이동되는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용 방석 또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100)에 대하여 서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리프트용 방석 또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100)는 휠체어에 쉽게 장착이 가능하다. 해당 리프트용 방석 또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100)는 메인 플레이트(10) 및 에어주머니(20)를 포함한다.
메인 플레이트(10)는 사용자의 착석에 의해 압축되는데, 공기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11)와, 공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 압축부(13)를 구비한다.
공기 압축부(13)는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일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0)는 환자가 휠체어에 앉게 되면 압축되며(도 3), 공기 압축부(13)를 통해 에어주머니(20)로 공기를 제공하여 사용할 공기를 확보하게 한다.
메인 플레이트(10)는, 공기가 수용부(11)로 수용될 때는 팽창되었다가, 수용부(11)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때는 압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압축부(13)는 메인 플레이트(10) 내부의 수용부(11)에 있는 공기를 에어주머니(20)로 공기를 공급 가능하게 한다.
도 1에는 메인 플레이트(10)가 공기 압축부(13)에 의해 도면 상의 상하좌우 네 방향으로 후술하는 서브 플레이트(17)로 공기를 제공하는 예가 도시된다.
또한, 도 2에는 메인 플레이트(10)가 공기 압축부(13)에 의해 도면 상의 상하좌우 네 방향으로 후술하는 서브 플레이트(17)로부터 공기를 제공받는 예가 도시된다.
메인 플레이트(10)는 높이 조정 가능하게 하는 높이 조정 센서(15)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높이 조정 센서(15)는 메인 플레이트(10) 내부의 공기량을 감지할 수 있는 공기 유량 센서(air flow sensor)이거나 환자의 하중에 의한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 센서일 수 있다.
높이 조정 센서(1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 제어부(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에어주머니(20)는 사용 전에 상기 메인 플레이트(10)로부터 공기를 제공받고, 사용 시에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에 공기를 제공한다.
에어주머니(20)는 공기의 유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공기 유량 센서(27)를 구비할 수 있다(도 6).
공기 유량 센서(2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 제어부(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리프트용 방석 또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100)는, 메인 플레이트(10) 및 에어주머니(20) 사이에서 메인 플레이트(10) 및 에어주머니(20)에 연결되는 서브 플레이트(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17)는, 메인 플레이트(10)의 주위에 복수 개, 예컨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서브 플레이트(17)는 제1튜브(14a)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튜브(14a)는 메인 플레이트(10)와 연통되어, 메인 플레이트(10)와 서브 플레이트(17) 간에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
서브 플레이트(17)는 환자가 휠체어에 앉았을 때 환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정성의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서브 플레이트(17)는, 공기가 유입될 때는 팽창되었다가, 공기가 배출될 때는 압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0)의 네 모서리 에 인접하도록 네 개의 서브 플레이트(17)가 배치되고, 각각의 서브 플레이트(17)는 서로 제1튜브(14a)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예가 도시된다.
한편, 서브 플레이트(17)는 제2튜브(14b)를 통해서, 에어주머니(20)와 연통될 수 있다. 제2튜브(14b)는 서브 플레이트(17)와 에어주머니(20) 사이에서 연통되어, 서브 플레이트(17)와 에어주머니(20) 간에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네 개의 서브 플레이트(17) 각각이 에어주머니(20)와 제2튜브(14b)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는 예가 도시된다.
도 4는 서브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 4를 참조하면, 서브 플레이트(17)는 내부에 내부 플레이트(17a)를 구비한다. 서브 플레이트(17)의 내부로 공기가 제공될 때, 서브 플레이트(17) 안의 내부 플레이트(17a) 내로 공기가 주입되어, 내부 플레이트(17a)의 높이는 상승되고, 이로 인해, 서브 플레이트(17)의 높이도 함께 높아지게 된다.
서브 플레이트(17)는 무게 감지 센서(17b)를 구비할 수 있다(도 6). 무게 감지 센서(17b)는, 환자가 휠체어에 앉는 때에, 서브 플레이트(17)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고, 감지된 하중에 대한 정보를 공기 제어부(37)에 전달하여 서브 플레이트(17)들의 높이가 과하거나 모자라면 알맞은 높이로 조정 가능하게 한다.
일례로, 서브 플레이트(17) 각각에 무게 감지 센서(17b)가 각각 구비되어, 무게 감지 센서에 의해 각각의 서브 플레이트(17)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지될 수 있다.
무게 감지 센서(17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 제어부(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100)는 제어 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부재(30)는 메인 플레이트(10) 및 서브 플레이트(17)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부재(30)는 메인 플레이트(10) 및 서브 플레이트(17)에 주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 부재(30)는 사용자의 손에 쥐어질 수 있는, 핸드 컨트롤러(hand controller)일 수 있다.
도 5에는 제어 부재(30)가 도시되는데,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부재(30)는 조작 버튼(31a, 31b, 31c, 31d, 33, 35a, 35b) 및 공기 제어부(37)를 포함한다.
조작 버튼(31a, 31b, 31c, 31d, 33, 35a, 35b)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서브 플레이트 제1 조작 버튼(31a), 서브 플레이트 제2 조작 버튼(31b), 서브 플레이트 제3 조작 버튼(31c), 서브 플레이트 제4 조작 버튼(31d), 메인 플레이트 조작 버튼(33), 개방 조작 버튼(35a) 및 폐쇄 조작 버튼(35b)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 제1 내지 제4조작 버튼(31a, 31b, 31c, 31d)은 각각 도 1과 도 2에서 왼쪽 위의 서브 플레이트(17), 왼쪽 아래의 서브 플레이트(17), 오른쪽 위의 서브 플레이트(17) 및 오른쪽 아래의 서브 플레이트(17)로 제공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메인 플레이트 조작 버튼(33)은 에어주머니(20)로부터 메인 플레이트(10)로 제공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개방 조작 버튼(35a)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주머니(20)의 밸브를 개방하여 에어주머니(20)로부터 서브 플레이트(17)와 메인 플레이트(10)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개방시킨다.
폐쇄 조작 버튼(35b)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주머니(20)의 밸브를 폐쇄하여 사용 전 에어 충전 단계에서 에어주머니(20)로부터 서브 플레이트(17)와 메인 플레이트(10)로의 공기 공급을 막는다. 한편, 도 1에서 서브 플레이트(17)와 메인 플레이트(10)로부터 에어주머니(20)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다.
각각의 조작 버튼(31a, 31b, 31c, 31d, 33, 35a, 35b)은 공기 제어부(3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조작 버튼이 사용자의 손에 의해 가압되어 메인 플레이트(10) 및 서브 플레이트(17)의 동작을 제어하게 하도록 입력 신호를 공기 제어부(37)에 제공할 수 있다.
공기 제어부(37)는 입력 신호에 의해, 에어주머니(20) 또는 별도의 에어 펌프로부터 메인 플레이트(10)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17)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함으로써 메인 플레이트(10) 및 서브 플레이트(17)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공기 제어부(3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들을 도시하는 블록도가 도시되는데,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조작 버튼(31a, 31b, 31c, 31d, 33, 35a, 35b)은 공기 제어부(3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공기 제어부(37)는 메인 플레이트(10)의 높이 조정 센서(15), 에어주머니(20)의 공기 유량 센서(27)와, 서브 플레이트(17)의 무게 감지 센서(17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예가 도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리프트용 방석 또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100)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서술한다.
사용자인 검사 대상자 또는 환자 등 (이하 환자로 약칭함)이 휠체어에 앉게 되면, 메인 플레이트(10)는 환자의 하중에 의해 압축되게 된다. 이때, 메인 플레이트(10) 내부의 공기의 일부는 공기 압축부(13)에 의해 제1튜브(14a)를 통해 서브 플레이트(17)로 제공되고, 서브 플레이트(17)로 제공된 공기의 일부는 제2튜브(14b)를 통해 에어주머니(20)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에어주머니에서 사용할 에어를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통상 에어 주머니가 제공할 공기를 100%라고 할 때 그 50% 정도를 이 단계에서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 플레이트(17)은 환자의 착석 시 안정성 확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플레이트(17)에는 무게 감지 센서(17b)가 있어서 평형 여부 정보를 제어 부재(30)에 전달하여 높이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알맞은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물론 미세한 조정을 위해서는 제어 부재의 조작 버튼 조작을 통해 수동 조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평형이 맞춘 후 에어를 에어주머니(20)로부터 이동시켜 메인 플레이트(10)의 높낮이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휠체어에 앉은 환자가 검사를 받으러 검사 장비로 이동되면 즉, 검사 시가 되면 에어주머니(20)의 주입장치가 개방되게 되고, 에어주머니(20) 내의 공기는 제2튜브(14b)를 통해 서브 플레이트(17)로 제공된다.
서브 플레이트(17)로 제공된 공기는 서브 플레이트(17) 안의 내부 플레이트(17a) 내로 공기가 주입되어, 내부 플레이트(17a)의 높이는 상승되고, 이로 인해, 서브 플레이트(17)의 높이도 함께 높아지게 된다.
서브 플레이트(17) 내부의 공기가 가득찬 상태로 계속 유입되면서, 내부의 공기는 제1튜브(14a)를 지나가면서 메인 플레이트(10) 내로 공급되게 된다.
서브 플레이트(17) 및 메인 플레이트(10)가 환자가 검사를 받기에 적당한 높이로 위치되도록 (즉, 환자의 상반신 높이를 확보하도록) 서브 플레이트(17)와 메인 플레이트(10)에 공기가 주입된다.
만약, 환자의 몸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졌다면, 기울어진 오른쪽에 위치한 서브 플레이트(17)가 상향 조절될 수 있고, 기울어진 곳의 반대편인 왼쪽에 위치한 서브 플레이트(17)는 하향 조절될 수 있다.
서브 플레이트(17)의 상향 및 하향 조절은 서브 플레이트(17) 각각에 주입되는 공기량의 조절을 통해서 가능해진다.
검사가 끝나면, 에어주머니(20)의 주입장치가 폐쇄되고, 공기 압축부(13)의 동작에 의해 메인 플레이트(10)와 서브 플레이트(17) 내의 공기는 에어주머니(20)로 제공되게 되어, 메인 플레이트(10)와 서브 플레이트(17)의 높이는 다시 낮아지게 되고, 환자는 검사 전의 높이로 복귀하게 된다.
환자의 몸무게가 충분하지 못하여 공기가 부족한 경우 또는 미세한 높이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휠체어의 손잡이에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에어 펌프를 이용하여 메인 플레이트(10)와 서브 플레이트(17)에 공기가 제공됨으로써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리프트용 방석 또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리프트용 방석 또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
10:메인 플레이트 11:수용부
13:공기 압축부 14a:제1튜브 14b:제2튜브
15:높이 조정 센서
20:에어주머니 27:공기 유량 센서
17:서브 플레이트 17a:내부 플레이트 17b:무게 감지 센서
30:제어 부재 37:공기 제어부

Claims (9)

  1. 좌석에 위치하여 착석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리프트용 방석으로서,
    공기 수용이 가능한 수용부와, 상기 공기를 상기 수용부에 제공 가능하게 하는 공기 압축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착석에 의해 압축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사용자의 착석에 의해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부터 공기를 제공받고, 리프트를 위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주머니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주머니로부터 상기 메인 플레이트로 제공되는 공기량이 조절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에어주머니 사이에 연통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 주변에서 메인 플레이트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며, 사용자가 착석 시 상기 사용자를 지지하는 서브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 주위에 복수 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 플레이트는 제1튜브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제2튜브를 통해서 상기 에어주머니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석.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부재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게 하도록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조작 버튼; 및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레이트는 상기 공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게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석할 때,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고, 감지된 하중에 대한 정보를 공기 제어부로 제공하여 상기 서브 플레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석.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주머니는 상기 공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기 유량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유량 센서는 상기 에어주머니 내에서 공기의 저장된 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방석.
  8. 휠체어에 착석한 사용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로서,
    상기 휠체어 좌석에 위치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프트용 방석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리프트용 방석에 의하여 착석한 사용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안과 검사 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
KR1020200070180A 2020-06-10 2020-06-10 리프트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 KR102351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180A KR102351407B1 (ko) 2020-06-10 2020-06-10 리프트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180A KR102351407B1 (ko) 2020-06-10 2020-06-10 리프트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299A true KR20210153299A (ko) 2021-12-17
KR102351407B1 KR102351407B1 (ko) 2022-01-19

Family

ID=7903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180A KR102351407B1 (ko) 2020-06-10 2020-06-10 리프트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407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1774A1 (en) * 1988-09-29 1990-04-04 Mangar Aids Limited Wheelchair apparatus
JPH0626593U (ja) * 1992-09-08 1994-04-12 宮本 上 上下機構付き座椅子
JP2000288027A (ja) * 1999-04-08 2000-10-17 Sanyuu:Kk 空気式起立補助マット
KR20010104530A (ko) * 2000-05-15 2001-11-26 박순일 다용도 방석
KR200337242Y1 (ko) * 2003-10-08 2003-12-31 협성실업 주식회사 방석
JP2005261817A (ja) * 2004-03-22 2005-09-29 Kiyokuni Japan Kk 褥瘡予防用エアーマット装置
US7594698B1 (en) * 2007-10-17 2009-09-29 Marge Palmer Portable seat for a wheelchair
KR20110032415A (ko) * 2009-09-23 2011-03-30 신정훈 승하강 기능을 갖는 방석
KR20120060360A (ko) * 2010-12-02 2012-06-12 홍승호 욕창방지용 휠체어
KR101447883B1 (ko) 2012-10-11 2014-10-13 박택주 휠체어 리프트차량 탑승자 보호장치
US20140345058A1 (en) * 2013-05-21 2014-11-27 SEC Medical Development, Inc. Pressure Monitoring and Management Cushion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80311089A1 (en) * 2017-04-29 2018-11-01 Harikrishan S. Sachdev Portable Cushion and Method of Use
KR101964274B1 (ko) * 2016-12-06 2019-04-0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 센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시스템
KR20200009491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마이알 교대부양 욕창방지방석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1774A1 (en) * 1988-09-29 1990-04-04 Mangar Aids Limited Wheelchair apparatus
JPH0626593U (ja) * 1992-09-08 1994-04-12 宮本 上 上下機構付き座椅子
JP2000288027A (ja) * 1999-04-08 2000-10-17 Sanyuu:Kk 空気式起立補助マット
KR20010104530A (ko) * 2000-05-15 2001-11-26 박순일 다용도 방석
KR200337242Y1 (ko) * 2003-10-08 2003-12-31 협성실업 주식회사 방석
JP2005261817A (ja) * 2004-03-22 2005-09-29 Kiyokuni Japan Kk 褥瘡予防用エアーマット装置
US7594698B1 (en) * 2007-10-17 2009-09-29 Marge Palmer Portable seat for a wheelchair
KR20110032415A (ko) * 2009-09-23 2011-03-30 신정훈 승하강 기능을 갖는 방석
KR20120060360A (ko) * 2010-12-02 2012-06-12 홍승호 욕창방지용 휠체어
KR101447883B1 (ko) 2012-10-11 2014-10-13 박택주 휠체어 리프트차량 탑승자 보호장치
US20140345058A1 (en) * 2013-05-21 2014-11-27 SEC Medical Development, Inc. Pressure Monitoring and Management Cushion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964274B1 (ko) * 2016-12-06 2019-04-0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 센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시스템
US20180311089A1 (en) * 2017-04-29 2018-11-01 Harikrishan S. Sachdev Portable Cushion and Method of Use
KR20200009491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마이알 교대부양 욕창방지방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407B1 (ko)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6039B2 (ja) 着座式パーソナルレストサポート器具
US7237844B2 (en) Portable vertebrae decompression device with adjustable height support
KR101394896B1 (ko) 환자 간호용 이승로봇
AU699594B2 (en) Inflatable lifting device and control apparatus therefor
US20070028380A1 (en) Inflatable lift device
TW201941717A (zh) 提升機構及椅
CN114555026B (zh) 倾斜/升降椅
CN108113287A (zh) 一种人体工学座椅及其使用方法
JP2011010695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KR102351407B1 (ko) 리프트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
EP3578152B1 (en) Stretcher
US2641306A (en) Foldable wheel chair
US20220079829A1 (en) Height Adjustable Armrest of a Medical Chair
CN211883060U (zh) 三段调节式座椅靠背及座椅
KR102306638B1 (ko) 기립보조의자
EP2419069B1 (en) Seating furniture facilitating rising
KR102666557B1 (ko) 척추 및 자세 교정용 스마트 착석기구
JP2020005932A (ja) 椅子用クッション装置
CN219845742U (zh) 一种能对背部全覆盖多维度调节支撑的靠椅
KR102606537B1 (ko) 요추 만곡과 골반 수평위치 교정용 의자
KR101437132B1 (ko) 형상조절의자
JP2001275776A (ja) 座椅子
KR102368691B1 (ko)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CN206950316U (zh) 妇科检查床
KR20160080594A (ko) 소파의 높낮이 조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