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308A -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308A
KR20210152308A KR1020200069242A KR20200069242A KR20210152308A KR 20210152308 A KR20210152308 A KR 20210152308A KR 1020200069242 A KR1020200069242 A KR 1020200069242A KR 20200069242 A KR20200069242 A KR 20200069242A KR 20210152308 A KR20210152308 A KR 20210152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fiber
nonwoven fabric
enzyme
acid treatment
micro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최형열
최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Priority to KR102020006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2308A/ko
Publication of KR20210152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30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7/00Mercerising, e.g. lustring by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D06M16/003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with enzymes or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06M2101/06Vegetal fibres cellulos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연섬유 극세사로 형성된 부직포 시트를 제공하며, 높은 밀착성과 함수율을 동시에 구현한다.

Description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NON WOVEN SHEET CONTAINING NATURAL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섬유 극세사를 함유하는 부직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용 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얼굴 피부 관리를 위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얼굴 피부 관리를 위한 방법 중 하나는 다양한 형태의 미용 목적 혹은 기능성 목적의 마스크 팩을 적용하는 것이다.
기존의 마스크 팩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마스크 팩 시트에 에센스 성분을 침지시킨 상태로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기존의 면(cotton) 등의 천연소재로 형성된 마스크 팩 시트는 두께가 두껍고 얼굴 밀착성이 좋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서, 나일론 등의 인공소재를 극세사로 적용한 부직포 시트를 마스크 팩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인공소재를 적용한 마스크 팩 시트는 친환경적이지 않다는 문제와 에센스 성분에 대한 함유량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천연소재를 적용하되, 얼굴 밀착성이 우수한 새로운 소재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1134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산 처리하는 산처리 단계; 및 산처리 단계를 거친 천연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알칼리 처리하는 머서화 공정, 및 효소를 처리하는 효소 처리 공정 중 하나 이상의 공정을 포함하는 감량가공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은, 하기 조건 1을 만족한다.
[조건 1]
35 ≤ (F1/F0) x 100 ≤ 55 (%)
F0은 산처리 단계를 거치기 전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의 평균 섬도(㎛)를 나타내고, F1은 감량가공 단계를 거친 후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의 평균 섬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조건 1에서 섬유의 평균 입도는 KS K ISO/TR 11827에 의거하여, 측정한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은, 산처리 단계에 도입되는 천연섬유 부직포를 기준으로, 부직포를 형성하는 천연섬유의 섬도는 평균 12 내지 23 ㎛ 범위이다.
구체적인 하나의 예에서, 상기 산처리 단계는, 천연섬유 부직포를 50 내지 110℃ 조건에서 20 내지 180 분 동안 산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한다.
또 다른 구체적인 하나의 예에서, 상기 머서화 공정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18 내지 28℃ 조건에서 40 내지 90 초 동안 알칼리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효소 처리 공정은, 산성 조건에서 효소 처리하는 산성효소 처리 공정; 및 중성 조건에서 효소 처리하는 중성효소 처리 공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산성효소 처리 공정은, pH 3 내지 6.5 범위의 조건에서, 천연섬유 부직포를 60 내지 90℃ 조건에서 20 내지 120 분 동안 효소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한다.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중성효소 처리 공정은, pH 6.5 내지 7.5 범위의 조건에서, 천연섬유 부직포를 40 내지 65℃ 조건에서 20 내지 120 분 동안 효소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한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산 처리하는 산처리 단계; 및 산처리 단계를 거친 천연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알칼리 처리하는 머서화 공정을 포함하는 감량가공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산 처리하는 산처리 단계; 및 산성 또는 중성 조건에서 효소를 처리하는 효소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감량가공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산 처리하는 산처리 단계; 및 산처리 단계를 거친 천연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알칼리 처리하는 머서화 공정; 및 산성 또는 중성 조건에서 효소를 처리하는 효소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감량가공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를 제공한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는 평균 섬도 5 내지 9 ㎛ 범위인 천연섬유 극세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 시트는 가로 및 세로 각각 10 cm 크기이고, 40±5 g/m2의 평량인 시편에 대해서, 25℃, 1 기압 조건에서, 정마찰계수가 0.45 이상이고, 최대 수분 흡수량이 300 g/m2 이상이다.
구체적인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시트를 형성하는 천연섬유는 면(cotton) 섬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은, 기존의 천연섬유 부직포와는 차별화된 극세사 부직포 시트를 제공하며, 높은 밀착성과 함수율을 동시에 구현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산 처리하는 산처리 단계; 및 산처리 단계를 거친 천연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알칼리 처리하는 머서화 공정, 및 효소를 처리하는 효소 처리 공정 중 하나 이상의 공정을 포함하는 감량가공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는 하기 조건 1을 만족한다.
[조건 1]
35 ≤ (F1/F0) x 100 ≤ 55 (%)
F0은 산처리 단계를 거치기 전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의 평균 섬도(㎛)를 나타내고, F1은 감량가공 단계를 거친 후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의 평균 섬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의 섬도는 KS K ISO/TR 11827에 의거하여 측정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시트는, 기존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제조된 부직포 시트의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소한다. 마스크팩 시트로 적용되는 부직포 시트는,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밀착성과 에센스 성분에 대한 높은 함유량을 동시에 구현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단계로 이루어지는 감량가공을 통해 극세사 섬유를 형성함으로써 밀착성을 높이고, 동시에 천연섬유를 적용하여 에센스 성분에 대한 높은 함유량을 구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 상기 조건 1에 따른 수치 범위는 35 내지 55% 범위, 35 내지 45% 범위 또는 45 내지 55% 범위를 만족한다. 본 발명에서는 산처리 단계 및 감량가공 단계를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으로 구현하지 못한 높은 수준의 감량이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은, 산처리 단계에 도입되는 천연섬유 부직포를 기준으로, 부직포를 형성하는 천연섬유의 섬도는 평균 12 내지 23 ㎛ 범위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도입되는 천연섬유의 섬도는 평균 12 내지 23 ㎛ 범위이고, 1차 및 감량가공 단계를 거친 천연섬유의 섬도는 평균 5 내지 9 ㎛ 범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도입되는 천연섬유의 섬도는 평균 14 내지 20 ㎛ 범위 또는 평균 15 내지 18 ㎛ 범위이다. 또한, 1차 및 감량가공 단계를 거친 천연섬유의 섬도는 평균 6 내지 9 ㎛ 범위 또는 평균 6 내지 7 ㎛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1차 및 감량가공 단계를 거쳐, 처리전 대비 부직포를 형성하는 천연섬유의 입도가 35~55% 수준, 45~55% 수준 또는 35~45% 수준으로 감소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산처리 단계는, 천연섬유 부직포를 50 내지 110℃ 조건에서 20 내지 180 분 동안 산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산처리 단계는, 천연섬유 부직포를 80 내지 105℃ 조건에서 20 내지 45분 동안 산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한다. 또한, 상기 산처리 단계에서 사용된 산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은 산 성분의 함량이 0.1 내지 5 몰% 범위, 0.5 내지 5 몰% 범위 또는 0.5 내지 2 몰% 범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처리 단계는, 천연섬유 부직포를 80 내지 105℃ 또는 90 내지 100℃ 조건에서 20 내지 45분 또는 25 내지 35 분 상기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한다. 상기 산처리 단계를 부직포 시트에 대한 전처리 단계에 해당한다.
상기 산 성분으로는 포름산, 염산, 황산 및 질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산 성분으로 포름산(formic aci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촉진을 위해서 소량의 염산(HCl)을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염산은 예를 들어, 0.001 내지 0.5 몰% 범위 또는 0.01 내지 0.1 몰% 범위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산처리 단계를 거친 부직포 시트에 대하여 감량가공 단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량가공 단계는 알칼리 처리하는 머서화 공정; 산성 조건에서 효소 처리하는 산성효소 처리 공정; 및 중성 조건에서 효소 처리하는 중성효소 처리 공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머서화 공정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18 내지 28℃ 조건에서 40 내지 90초 동안 알칼리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한다. 상기 머서화 공정을 부직포를 알칼리 용액에 침지시켜 섬유의 섬도는 낮추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머서화 공정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23 내지 26℃ 또는 18 내지 23℃ 조건에서 40 내지 90초 동안 수행한다. 상기 머서화 공정을 수행하는 온도는 상온 범위에서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18 내지 23℃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반응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나, 냉각을 위한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면 약 25℃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효소 처리 공정은, 산성 조건에서 효소 처리하는 산성효소 처리 공정; 및 중성 조건에서 효소 처리하는 중성효소 처리 공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산성효소 처리 공정은, pH 3 내지 6.5 범위의 조건에서, 천연섬유 부직포를 60 내지 90℃ 조건에서 20 내지 120 분 동안 효소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성효소 처리 공정은, pH 3 내지 6.5 범위 또는 pH 4.5 내지 6.5 범위의 조건에서 수행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산성효소 처리 공정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60 내지 90℃ 조건 또는 75 내지 85℃ 조건에서 25 내지 35분 동안 수행한다. 상기 산성효소 처리 공정에서 사용되는 효소로는 예를 들어, 셀룰라아제 효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용액의 pH는 빙초산 등을 이용하여 제어한다.
또 다른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중성효소 처리 공정은, pH 6.5 내지 7.5 범위의 조건에서, 천연섬유 부직포를 40 내지 65℃ 조건에서 20 내지 120 분 동안 효소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성효소 처리 공정은, pH 6.8 내지 7.5 범위의 조건에서, 천연섬유 부직포를 45 내지 55℃ 조건에서 25 내지 40 분 동안 수행 가능하다. 또한, 상기 중성효소 처리 공정에서 사용되는 효소로는 예를 들어, 셀룰라아제 효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산 성분을 추가하여 용액의 pH를 낮추는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산 처리하는 산처리 단계; 및 산처리 단계를 거친 천연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알칼리 처리하는 머서화 공정을 포함하는 감량가공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감량가공 단계는 머서화 공정을 통해 수행한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산 처리하는 산처리 단계; 및 산성 또는 중성 조건에서 효소를 처리하는 효소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감량가공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감량가공 단계는 효소 처리 공정을 통해 수행하며, 예를 들어, 산성 조건에서 효소 처리하는 산성효소 처리 공정; 및 중성 조건에서 효소 처리하는 중성효소 처리 공정 모두를 수행하거나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산 처리하는 산처리 단계; 및 산처리 단계를 거친 천연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알칼리 처리하는 머서화 공정; 및 산성 또는 중성 조건에서 효소를 처리하는 효소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감량가공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과산화수소 용액을 이용한 전처리 과정(산처리 단계), 머서화 공정 및 효소 처리 공정(후처리 과정)를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즉, 감량가공 단계를 2개의 공정으로 나누어 수행한다. 감량가공 단계는 산성효소 처리 공정으로 수행 가능하나, 중성효소 처리 공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머서화 공정 이후에 알칼리화된 부직포를 중화하기 위해서 산성효소 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공정 효율에 유리하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부직포 시트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는, 평균 섬도 5 내지 9 ㎛ 범위인 천연섬유 극세사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시트는 2차례에 걸친 감량가공 단계를 거쳐 평균 섬도가 9 ㎛ 이하인 천연섬유로 형성된 부직포이다. 또한, 상기 부직포 시트는, 가로 및 세로 각각 10 cm 크기이고, 40±5 g/m2의 평량인 시편에 대해서, 25℃, 1 기압 조건에서, 정마찰계수가 0.45 이상이고, 최대 수분 흡수량이 300 g/m2 이상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직포 시트는 정마찰계수가 0.45 내지 0.5 범위이고, 최대 수분 흡수량이 400 g/m2 이상 또는 400 내지 500 g/m2 범위이다. 본 발명은 기존 천연섬유 부직포의 밀착성을 개선하면서도 합성섬유 부직포의 흡수량이 낮은 문제를 해결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부직포 시트를 형성하는 천연섬유는 면(cotton) 섬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 시트는 면(cotton) 섬유 100%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 시트는 미용 목적의 마스크 팩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마스크 팩은 파우치형 포장재 내에 부직포 시트를 접거나 펼쳐서 수납하고, 에센스 성분을 주입하여 제조한다. 상기 에센스 성분으로는 미백, 주름 개선, 보습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성분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조예
감량 가공을 위한 천연섬유 부직포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부직포는 다음과 같다. 양 방향성을 가지며, Uster method(USTER® TESTER)에 의하여 HVI 시스템 장비로 측정한 마이크로네어 (Micronaire) 값이 1.0-4.5 사이의 값을 갖는 목화 유래 천연 셀룰로스로 제조한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준비하였다. 상기 부직포는 양 방향성을 가지며, Uster method에 의하여 HVI 시스템 장비로 측정한 강도 (Strength, g/tex) 값이 20-60 사이의 값을 갖는 목화 유래 천연 셀룰로오스로 제조된 스펀레이스 부직포이다.
실시예 1 내지 4
준비된 천연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아래의 감량 가공 처리를 수행하였다. 각 시료별 처리는 하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산처리 단계]
- 처리 용액: 포름산(30 몰%) 용액 3%(v/v) 및 증류수 97%(v/v)를 혼합한 배합 용액
- 처리 공정: 부직포를 배합된 포름산 함유 용액에 95℃ 조건에서 30 분 동안 침지
[감량가공 단계]
머서화 처리
- 처리 용액: 15%(몰%) NaOH 수용액
- 처리 공정: 부직포를 NaOH 수용액에 상온(25℃) 조건에서 60 초 동안 침지
산성효소(CelluBio A200) 처리
- 처리 용액: 셀룰라아제 효소를 2%(w/w) 포함하되, 빙초산을 이용하여 pH는 약 5.5인 산성효소 용액으로 배합
- 처리 공정: 부직포를 배합된 산성효소 용액에 80℃ 조건에서 30 분 동안 침지
중성효소(Cellusoft CR) 처리
- 처리 용액: 셀룰라아제 효소를 2%(w/w) 포함하되, pH는 약 7인 중성효소 용액으로 배합
- 처리 공정: 부직포를 배합된 중성효소 용액에 50℃ 조건에서 30 분 동안 침지
[세척 및 건조]
감량가공 단계를 거친 부직포는 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60℃ 조건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No. 1차 처리 2차 처리
실시예 1 산처리 머서화 처리
실시예 2 산처리 산성효소 처리
실시예 3 산처리 중성효소 처리
실시예 4 산처리 머서화 처리 후 산성효소 처리
비교예 1 내지 4
제조예에 따른 부직포에 대하여 하기 표 2에 따른 감량 가공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No. 1차 처리 2차 처리
비교예 1 산처리 -
비교예 2 - 산성효소 처리
비교예 3 - 중성효소 처리
비교예 4 중성효소 처리 산처리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시료별로 섬유의 섬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실시예 No. 섬도(㎛) 처리후 섬도의 비율(%)
제조예 16.04 -
실시예 1 8.7 54%
실시예 2 8.3 52%
실시예 3 7.9 49%
실시예 4 6.3 39%
비교예 1 15.1 94%
비교예 2 14.6 91%
비교예 3 13.5 84%
비교예 4 11.2 70%
표 3에서, 섬도는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의 평균치를 산출한 것이며(KS K ISO/TR 11827에 의거), 처리후 섬도의 비율은 제조예 시편의 섬도 대비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 시편의 섬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표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실시예 1 내지 4의 시편은 평균 섬도가 8.7 ㎛ 이하인 극세사로 형성된 부직포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의 시편은 평균 섬도가 7.9 내지 8.7 ㎛ 범위이고, 특히 실시예 4의 시편은 평균 섬도가 6.3 ㎛ 수준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는 산처리 후 감량가공으로 머서화 처리 후 중성효소 처리를 수행한 경우이다. 산처리와 감량가공을 거쳐 6.3 ㎛ 수준의 섬도를 구현하였다.
이에 대해, 비교예 1 내지 3은 각각 1차 처리 혹은 2차 처리만을 수행한 경우이며, 섬도가 13 ㎛ 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는 1차 및 2차 처리를 수행한 경우이나, 중성효소 처리 후 과산화수소 처리를 순차 수행한 경우이다. 비교예 4의 시편은 평균 섬도가 11.2 ㎛ 수준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원과 같이, 산처리 후, 감량가공을 거침으로써, 섬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면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순면40)와 나일론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극세사 40) 시료를 상업적으로 입수하고, 이를 실시예 4에 시편과 물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비교 측정 결과는 하기 표 4 및 5와 같다.
항목 순면40 극세사40 실시예 4
조성(%) 면 100% 나일론 100% 면 100%
평량(g/m2) 40.6 43.4 40
두께(mm) 0.39 0.23 0.3
섬도(㎛) 15.7(11.5~22.3) 2.4(1.4~3.8) 6.3
표 4를 참조하면, 본원에 따른 부직포는, 기존의 천연섬유 부직포(순면40) 대비, 얇은 두께와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평균 섬도는 약 40% 수준이다. 또한, 종래의 합성섬유 부직포(극세사40)과 대비하여, 경량화 가능하다.
항목 순면40 극세사40 실시예 4
인장강도
(kg·f/5cm)
MD 2.55 23.02 2.32
CD 2.18 4.79 2.08
인장 신율
(%)
MD 29.76 42.86 48.01
CD 68.08 109.44 79.05
흡수성 흡수량(g/m2) 441.7 292.7 410
흡수율(%, w/w) 1,116.2 680.8 1,096
흡수속도(mm/sec) 1.70 1.96 1.82
밀착성 정마찰계수 0.43 0.48 0.47
동마찰계수 0.43 0.50 0.48
투명성 UV-VIS(%) 70.3 46.2 71.0
표 5를 참조하면, 본원에 따른 부직포는, 종래의 합성섬유 부직포(극세사40)와 대비하여, 현저히 향상된 흡수량과 흡수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종래의 합성섬유 부직포(극세사40)가 에센스 함유율이 낮다는 문제를 해소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 따른 부직포는 종래의 천연섬유 부직포(순면40) 대비 향상된 밀착성을 갖는다.

Claims (13)

  1. 천연섬유 부직포를 산 처리하는 산처리 단계; 및
    산처리 단계를 거친 천연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알칼리 처리하는 머서화 공정, 및 효소를 처리하는 효소 처리 공정 중 하나 이상의 공정을 포함하는 감량가공 단계를 포함하며,
    하기 조건 1을 만족하는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
    [조건 1]
    35 ≤ (F1/F0) x 100 ≤ 55 (%)
    상기 조건 1에서,
    F0은 산처리 단계를 거치기 전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의 평균 섬도(㎛)를 나타내고, F1은 감량가공 단계를 거친 후 부직포를 형성하는 섬유의 평균 섬도(㎛)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산처리 단계에 도입되는 천연섬유 부직포를 기준으로,
    부직포를 형성하는 천연섬유의 섬도는 평균 12 내지 23 ㎛ 범위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 단계는,
    천연섬유 부직포를 50 내지 110℃ 조건에서 20 내지 180 분 동안 산 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하는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서화 공정은,
    천연섬유 부직포를 18 내지 28℃ 조건에서 40 내지 90 초 동안 알칼리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하는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 처리 공정은,
    산성 조건에서 효소 처리하는 산성효소 처리 공정; 및 중성 조건에서 효소 처리하는 중성효소 처리 공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효소 처리 공정은,
    pH 3 내지 6.5 범위의 조건에서, 천연섬유 부직포를 60 내지 90℃ 조건에서 20 내지 120 분 동안 효소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하는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효소 처리 공정은,
    pH 6.5 내지 7.5 범위의 조건에서, 천연섬유 부직포를 40 내지 65℃ 조건에서 20 내지 120 분 동안 효소 용액에 침지시켜 수행하는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천연섬유 부직포를 산 처리하는 산처리 단계; 및
    산처리 단계를 거친 천연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알칼리 처리하는 머서화 공정을 포함하는 감량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천연섬유 부직포를 산 처리하는 산처리 단계; 및
    산성 또는 중성 조건에서 효소를 처리하는 효소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감량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천연섬유 부직포를 산 처리하는 산처리 단계; 및
    산처리 단계를 거친 천연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알칼리 처리하는 머서화 공정; 및 산성 또는 중성 조건에서 효소를 처리하는 효소 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감량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의 제조방법.
  11. 평균 섬도 5 내지 9 ㎛ 범위인 천연섬유 극세사로 형성되며,
    가로 및 세로 각각 10 cm 크기이고, 40±5 g/m2의 평량인 시편에 대해서, 25℃, 1 기압 조건에서,
    정마찰계수가 0.45 이상이고,
    최대 수분 흡수량이 300 g/m2 이상인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섬유는 면(cotton)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
  13. 제 11 항에 따른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시트.
KR1020200069242A 2020-06-08 2020-06-08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52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242A KR20210152308A (ko) 2020-06-08 2020-06-08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242A KR20210152308A (ko) 2020-06-08 2020-06-08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308A true KR20210152308A (ko) 2021-12-15

Family

ID=7886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242A KR20210152308A (ko) 2020-06-08 2020-06-08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230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435A (ko) 2016-04-01 2017-10-1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부직포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435A (ko) 2016-04-01 2017-10-1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마스크 팩용 부직포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vanĉić et al. Shrinkage properties of peroxide-enzyme-biopolymer treated wool
CN112176525B (zh) 一种单向导水面膜基材及其制备方法
KR101410263B1 (ko) 케나프 부직포로 이루어진 마스크 시트
CN101363190A (zh) 一种Gemini型复合溶胶的制备及在防紫外/抗菌整理上的应用
EP0328971A2 (en) Method of preparing cellulosic fibers having increased absorbency
CN210163618U (zh) 一种ab面水刺无纺面料
KR102356631B1 (ko) 마스크팩 시트
KR20210152308A (ko) 천연섬유 극세사 함유 부직포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6643B1 (ko) 고흡수성 셀룰로오스 부직포 제조방법
CN109989268B (zh) 一种羊毛织物表面微溶防毡缩整理的方法
CN105926292A (zh) 一种亲水型精纺毛涤面料的生产工艺
WO2019058966A1 (ja) 吸湿性アクリロニトリル系繊維、該繊維の製造方法および該繊維を含有する繊維構造体
CN110791949B (zh) 一种羊毛织物防毡缩处理方法
Akhbari et al. Optimization of parameters influencing mercerization using the RSM method in order to increase the tensile strength of mercerized yarn
CN114525686A (zh) 一种用于制造拒水棉纤维的助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062113A (zh) 一种利用二氧化硫脲对羊毛织物进行表面处理的方法
EP3779011A1 (en) Nonwoven fabric assembly and sheet mask using same
JPH07109622A (ja) アセテート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法
US3251913A (en) Production of a sheath-core polyester filament of enhanced dyeability
CN110616503B (zh) 一种基于聚乙烯醇喷丝压制纸张及其制备方法
JP2003253575A (ja) 繊維構造物の染色加工方法及び染色繊維構造物
KR102352035B1 (ko)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Kato The silver staining method for cross sections of regenerated cellulose fibers
CN108951129A (zh) 一种医疗卫生用透气抗菌整理粘胶非织造布的方法
KR20230141353A (ko) 마스크팩용 투명 부직포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