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035B1 -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 Google Patents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035B1
KR102352035B1 KR1020180167644A KR20180167644A KR102352035B1 KR 102352035 B1 KR102352035 B1 KR 102352035B1 KR 1020180167644 A KR1020180167644 A KR 1020180167644A KR 20180167644 A KR20180167644 A KR 20180167644A KR 102352035 B1 KR102352035 B1 KR 102352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iber
fiber assembly
lyocell
section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8076A (ko
Inventor
진상우
김우철
정종철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035B1/ko
Priority to PCT/KR2019/017818 priority patent/WO2020130540A1/ko
Publication of KR20200078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2Preparation of spinning solu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6Washing or dry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6We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라이오셀 섬유 이외의 섬유를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수분 및 에센스 함유율이 우수한 층과, 피부 밀착력이 우수한 층을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피부 밀착력, 수분 및 에센스 함유율 등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되고, 우수한 감촉, 광택 등의 감성적 특성도 향상된 마스크팩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Non-woven Fiber aggregates containing Lyocell Fibers}
본 발명은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라이오셀(Lyocell)은 천연 펄프 및 아민 옥사이드 수화물로부터 제조되는 섬유로써, 재생 섬유에 비해 우수한 인장특성과 촉감 등의 섬유 특성을 가지면서도, 생산 공정에서 일체의 오염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사용되는 아민 옥사이드계 용매가 재활용 가능하고 폐기시 생분해되어, 친환경적인 섬유로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라이오셀 섬유는 부직 섬유 집합체로 제조되어, 산업자재, 의류, 인테리어 등에 사용되고 있지만 굽힘 특성, 표면 감촉 등의 특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고, 마스크팩 시트로 사용되는 경우, 피부 밀착력, 수분 및 에센스 함유율, 표면 감촉, 광택 등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일본공개특허 제2009-540140호에서 이형 단면의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물품을 소개하는 것과 같이, 라이오셀 섬유의 단면 형상을 원형 단면이 아닌 이형 단면으로 제조하거나,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13496호에서 분할형 복합섬유를 수류결합으로 분할시켜 얻어지는 극세섬유로 이루어진 다층 부직포를 개시하는 것과 같이, 라이오셀 섬유를 다른 인조섬유와 혼합하거나 복잡한 다층으로 제조하여 특성을 개선시킬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부직 섬유 집합체의 층 구조가 단순하지 않아 제조가 복잡하고, 다른 인조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이지 않으며, 마스크팩 시트에 사용됨에 있어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진 제1층 및 원형 단면의 모노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층을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를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점이 개선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라이오셀 섬유 이외의 다른 인조섬유와의 결합을 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3중층 이상으로 구성되지 않는 부직 섬유 집합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밀착력, 수분 및 에센스 함유율 등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되고, 우수한 감촉, 광택 등의 감성적 특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직 섬유 집합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섬도가 1.0 내지 1.5 데니어인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층; 및 섬도가 0.55 내지 1.5 데니어인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층을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 라이오셀 섬유의 섬유장은 36 내지 53mm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 라이오셀 섬유의 크림프 수는 8 내지 12cpi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의 평량은 30 내지 80g/m2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의 두께는 0.3 내지 0.6mm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수분 흡수율이 상기 라이오셀 섬유 중량 대비 1000 내지 1800%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수분 처리 후의 투명도가 80 내지 84%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에센스 처리 후의 투명도가 88 내지 94%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수분 처리 후의 피부 밀착력이 3.6 내지 4.2 gf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에센스 처리 후의 피부 밀착력이 4.5 내지 5.3 gf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유제 함유량이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 100 중량% 대비 0.001 중량%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일 구현예로서, 상술한 부직 섬유 집합체를 이용한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라이오셀 섬유 이외의 섬유를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수분 및 에센스 함유율이 우수한 층과, 피부 밀착력이 우수한 층을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피부 밀착력, 수분 및 에센스 함유율 등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되고, 우수한 감촉, 광택 등의 감성적 특성도 향상된 마스크팩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섬도가 1.0 내지 1.5 데니어인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층; 및 섬도가 0.55 내지 1.5 데니어인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층을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형 단면은 곡률이 있는 편평사 단면의 형상, 또는 하나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이형 단면은 비표면적이 일반적인 원형 단면에 비해 크기 때문에, 외부의 힘에 대해 견디는 굽힘 특성이 강하고 섬유 가닥이 거울처럼 빛을 정반사하게 되므로 표면에 반짝이는 광택을 띄게 된다. 또한, 촉감은 특수 단면 효과로 인해 거친 듯 부드러운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는 섬유 단면이 이형단면이면 부직 섬유 집합체 제조 시, 같은 단위 중량에서 일반적인 원형 단면 섬유 대비 부직 섬유 집합체 비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에센스 등 화장품 용매에 딥핑하면 흡수력이 높아 에센스 유지력 및 함유율이 매우 우수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단면은 모노필라멘트의 단면이 원 형태를 갖는 것을 의미하며, 원형 단면의 경우는 실제 모노필라멘트의 단면적과 돌출된 돌기 각각의 말단점을 잇는 가상의 원의 면적이 같을 수 있다.
상기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는 단면이 원형을 나타냄에 따라 피부에 접촉 시 우수한 감촉을 제공할 수 있고, 광택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오셀 섬유는 스테이플 섬유로, 섬유장(纖維長)은 36 내지 53mm일 수 있다. 상기 라이오셀 섬유가 상기 섬유장 범위내에서 마스크팩용 부직 섬유 집합체로 사용되는 경우 부직 섬유 집합체 제조 공정 중 카딩 공정에서의 공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라이오셀 섬유는 크림프 수가 5 내지 20 cpi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cpi일 수 있다. 이 때, 크림프 수가 5cpi 미만이면 부직 섬유 집합체 제조공정 중 카딩 공정에서 섬유간의 얽힘이 낮아서 공정 문제가 발생되며, 20cpi 초과이면, 크림프수가 너무 많아서 부직 섬유 집합체 제조 공정 중 카딩 공정에서 개섬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층은 섬도가 1.0 내지 1.5 데니어인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의 섬도가 1.0 데니어 미만이면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의 제조가 난해한 문제가 발생되고, 1.5 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스크팩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섬도이기 때문에 피부 밀착력이나 에센스 흡수력 등 물성이 일반적인 수준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섬도는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것으로서, 단면 분석을 통하여 얻은 실제 라이오셀 섬유의 단면별 모노필라멘트 단면적과 라이오셀 섬유의 밀도(1.49 g/cm2)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식 1>
섬도(De) = [라이오셀 섬유의 단면별 모노필라멘트 단면적 (㎛2) Х 라이오셀 섬유의 밀도 (g/cm3) Х 9000 (m)]/1000000
상기 제1층은 평량이 10내지 40g/m2일 수 있고, 상기 평량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진 층에서 우수한 수분 및 에센스 함유율 및 유지력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층은 섬도가 0.55 내지 1.5 데니어인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의 섬도가 0.55 데니어 미만이면 섬유 제조가 난해한 문제가 발생하고, 1.5 데니어 초과인 경우에는 섬유 제조에는 문제가 없으나, 마스크팩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섬도에 해당되어 피부 밀착력이나 에센스 흡수력 등 물성이 일반적인 수준을 나타낸다.
상기 제2층은 평량이 20내지 40g/m2일 수 있다. 상기 평량이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진 층에서 우수한 피부밀착력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 섬유 집합체가 마스크팩 시트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의 평량은 30 내지 80g/m2일 수 있고, 부직 섬유 집합체의 두께는 0.3 내지 0.6mm 일 수 있다.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의 두께는 스테이플 섬유의 단섬도 및 부직 섬유 집합체의 평량에 따라 달라지는 물성으로, 스테이플 섬유의 단섬도가 낮을수록, 부직 섬유 집합체 평량이 작을수록 두께는 얇아진다. 상기 평량 및 두께 범위는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2층에 포함되는 각각의 라이오셀 섬유의 섬도, 섬유장, 크림프 수를 만족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중에서 액상 조성물의 흡수율, 투명도 및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의 범위를 의미한다.
또,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수분 흡수율이 1000 내지 1800% 일 수 있다. 라이오셀 섬유는 친수성에 해당하여 수분 흡수율이 다른 섬유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라이오셀 섬유의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의 평량 및 두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의 수분 흡수율의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수분 처리 후의 투명도가 80 내지 84% 일 수 있고, 에센스 처리 후의 투명도가 88 내지 94%일 수 있다.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의 투명도는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 및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의 섬도 모두 1.5 데니어 이하로 세섬도에 해당되어, 상기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의 두께도 얇아지기 때문에 수분 및 에센스 등의 액상 조성물을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에 담지하면 부드러운 감촉과 함께 상기 투명도의 범위내의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수분 처리 후의 피부 밀착력이 3.6 내지 4.2 gf 일 수 있고, 에센스 처리 후의 피부 밀착력이 4.5 내지 5.3 gf일 수 있다.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의 피부 밀착력도 상기 라이오셀 섬유의 특성을 만족하며, 이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의 평량 및 두께에 의해 상기 범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유제 함유량이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 100중량% 대비 0.00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부직 섬유 집합체 제조 공정 중 스펀레이스 공정의 수락교락 시 라이오셀 섬유가 함유하고 있는 유제가 대부분 씻겨나가게 되어 상기와 같은 함유율을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부직 섬유 집합체는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진 제1층 및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진 제2층을 포함하는 경우, 종래의 부직 섬유 집합체에 비해, 마스크팩 시트에 사용되는 부직 섬유 집합체로써 피부 밀착력, 수분 및 에센스 함유율 등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되고, 우수한 감촉, 광택 등의 감성적 특성도 향상된 마스크팩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부직 섬유 집합체는 마스크팩 시트로 사용할 때, 상기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진 제2층을, 피부에 닿는 부분에 위치시키는 것이 우수한 감촉을 제공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진 제1층은 수분 및 에센스 등의 액상 조성물을 피부에 공급하는 점에서, 상기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진 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는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를 마스크팩 시트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팩 시트는 굴곡이 많은 얼굴 부위에서도 피부 밀착력, 표면 촉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수분 및 에센스 등의 액상 조성물의 흡수성이 우수하여 얼굴 부위에 효과적으로 영양공급을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중합도(DPw) 820, 알파 셀룰로오스 함량 93.9%인 셀룰로오스 펄프를 프로필갈레이트 함량 0.01 중량%인 NMMO/H20 혼합 용제(중량비 90/10)에 혼합하여, 농도 12 중량%의 라이오셀 섬유 제조용 방사 도프를 제조하였다.
먼저, 상기 방사 도프는 3개의 홀을 포함하는 단위홀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방사 구금의 방사노즐에서 방사 온도 110℃로 유지하였으며, 모노필라멘트의 단섬도가 1.5 데니어가 되도록 방사 도프의 토출량과 방사속도를 조절하여 방사하였다. 상기 방사노즐로부터 토출된 필라멘트 상의 방사 도프를 에어 갭 구간을 거쳐 응고조 내의 응고액에 공급하였다. 이때 상기 에어 갭 구간에서 냉각 공기는 8℃ 온도 및 10m/s 풍속으로 방사 도프를 1차 응고시킨다.
상기 응고액은 온도 25℃, 농도는 물 85중량% 및 NMMO 15중량%인 것을 사용하였다.
견인롤러를 통하여 공기층에서 연신이 된 필라멘트는 수세장치에서 스프레이된 수세액에 의해 수세되어 잔존하는 NMMO를 제거하고, 필라멘트에 유제가 균일하게 묻도록 하여 유제 함량이 0.2%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건조 롤러에서 150℃로 건조시켜, 3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라이오셀 섬유는 스팀박스(압력 조건 0.2kgf/cm2)에 통과시키면서 토우에 온도를 부여하는 예열 상태를 거치고, 2.0kgf/cm2의 압력으로 스터퍼 박스 압축롤러를 이용하여 압착하였다. 스터퍼 박스에서 크림프 토우를 제조하고 이를 Lattice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 다음 최종적으로 커팅함으로써 38mm 섬유장을 갖는 라이오셀 스테이플 섬유를 제조하였다.
또한, 1개의 원형 홀을 단위홀로 하여, 상기 단위홀이 다수 개 형성된 방사 구금을 사용하고, 모노필라멘트의 단섬도가 1.25 데니어가 되도록 방사 도프의 토출량과 방사속도를 조절하여 방사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형 단면을 갖는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를 제조한 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진행하여,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와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를 부직 섬유 집합체 제조 공정인 카딩 및 스펀레이싱 공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내측은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고, 외측은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였다. 원료 투입 및 공정 속도를 조절하여 부직 섬유 집합체 평량을 표 1의 수치값으로 맞추었으며, 부직 섬유 집합체 평량 편차는 ±10% 범위가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의 섬도가 1.5 데니어,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의 섬도가 1.5데니어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 섬유 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의 섬도가 1.0 데니어,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의 섬도가 1.5데니어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 섬유 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개의 원형 홀을 단위홀로 하여, 상기 단위홀이 다수 개 형성된 방사 구금을 사용하고 원형 단면의 모노 필라멘트 섬도가 2.0 데니어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섬유 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 섬도가 2.0 데니어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 한 방법으로, 3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이형 단면을 갖는 섬유를 이용하여 부직섬유 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섬유를 적용하여 제조한 부직 섬유 집합체는 하기 측정방법으로 물성값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1) 평량 (gsm = g/m2)
부직 섬유 집합체를 가로 5cm, 세로 20cm로 샘플링하고 무게를 측정하여 하기 식 2으로 계산하여 평량을 구하였다.
<식 2>
평량 = 부직 섬유 집합체 샘플 무게 측정치 × 100
(2) 두께
Mitutoyo사의 No. 2046F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투명성
시료 전처리 : 부직 섬유 집합체를 물 혹은 에센스에 10분간 침지 시킨다.
부직 섬유 집합체의 투명성을 측정하기 위해 광투과율 장비인 Haze Meter(Nippon Denshoku Industry, NDH-5000)를 사용하였으며 nm의 파장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4) 흡수성
물 혹은 에센스에 부직 섬유 집합체를 간 침지 시킨 후 전/후의 무게를 측정하여 부직 섬유 집합체가 물 혹은 에센스를 흡수하는 능력을 하기 식 3로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식 3>
흡수성 (%) = {(침지 후 부직 섬유 집합체 무게 - 침지 전 부직 섬유 집합체 무게)/침지 전 부직 섬유 집합체 무게}×100
(5) 피부 밀착력
부직 섬유 집합체를 25mm×150mm 크기로 자르고 물 혹은 에센스에 10분간 침지 후 사람 팔 부위에 점착 시킨다. 점착 시킨 후 바로 Instron(Instron, Instron-3365)을 사용하여 부직 섬유 집합체를 피부로부터 때어내면서 점착력(단위 gf)을 측정하였다.
평량
(gsm)
두께
(mm)
투명성
(%)
흡수성
(%)
피부밀착력 (gf)
실시예 1 40 0.38 물 83
에센스 92
물 1500
에센스 1700
물 4.0
에센스 5.0
실시예 2 40 0.41 물 82
에센스 90
물 1600
에센스 1800
물 3.9
에센스 4.8
실시예 3 40 0.35 물 84
에센스 92
물 1400
에센스 1600
물 4.1
에센스 5.2
비교예 1 40 0.49 물 80
에센스 90
물 1000
에센스 1200
물 3.5
에센스 4.5
비교예 2 40 0.43 물 79
에센스 88
물 1200
에센스 1300
물 3.3
에센스 4.3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 및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의 섬도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2의 부직 섬유 집합체보다 두께, 투명성, 흡수성, 피부밀착력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 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내측 및 외측으로 형성된 부직 섬유 집합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섬도가 1.0 내지 1.5 데니어인 다수개의 돌기를 포함한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층; 및 섬도가 0.55 내지 1.5 데니어인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라이오셀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은 원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층이고, 외측은 이형 단면의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층이며,
    수분 처리 후의 피부 밀착력이 3.6 내지 4.2 gf이며, 에센스 처리 후의 피부 밀착력이 4.5 내지 5.3 gf 인 부직 섬유 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오셀 섬유의 섬유장은 36 내지 53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오셀 섬유의 크림프 수는 8 내지 12cp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의 평량은 30 내지 80g/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의 두께는 0.3 내지 0.6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수분 흡수율이 상기 라이오셀 섬유 중량 대비 1000 내지 18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수분 처리 후의 투명도가 80 내지 8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에센스 처리 후의 투명도가 88 내지 9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는 유제 함유량이 상기 부직 섬유 집합체 100 중량% 대비 0.001 중량%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12.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부직 섬유 집합체를 이용한 마스크팩 시트.
KR1020180167644A 2018-12-21 2018-12-21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KR102352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644A KR102352035B1 (ko) 2018-12-21 2018-12-21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PCT/KR2019/017818 WO2020130540A1 (ko) 2018-12-21 2019-12-16 부직 섬유 집합체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644A KR102352035B1 (ko) 2018-12-21 2018-12-21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076A KR20200078076A (ko) 2020-07-01
KR102352035B1 true KR102352035B1 (ko) 2022-01-14

Family

ID=7110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644A KR102352035B1 (ko) 2018-12-21 2018-12-21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2035B1 (ko)
WO (1) WO202013054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569B1 (ko) 2016-06-02 2016-12-29 (주)웰크론 밀착성 및 닦음성능이 우수한 미용 마스크팩 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7525B2 (ja) * 1994-12-16 2003-07-22 王子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4487629B (zh) * 2012-06-12 2018-01-30 可乐丽可乐富丽世股份有限公司 保液片和面膜
KR101689639B1 (ko) * 2016-10-06 2017-01-02 주식회사 아르맹 피부 리프팅 및 필링 효과를 갖는 마스크 팩, 상기 마스크 팩의 포장 방법 및 상기 마스크 팩을 이용한 스킨 케어 방법
KR20180077801A (ko) * 2016-12-29 2018-07-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라이오셀 섬유
KR101901360B1 (ko) * 2017-05-10 2018-09-2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세관 효과를 이용한 고 정수압 마스크 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569B1 (ko) 2016-06-02 2016-12-29 (주)웰크론 밀착성 및 닦음성능이 우수한 미용 마스크팩 용 부직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0540A1 (ko) 2020-06-25
KR20200078076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0827B2 (ja) 高強度および高伸長率のワイパー
AT501931B1 (de) Cellulosestapelfaser und ihre verwendung
EP3011090B1 (de) Hochsaugfähige polysaccharidfaser und ihre verwendung
EP2459782B1 (de) Regenerierte cellulosefaser
KR102211186B1 (ko) 담배필터용 라이오셀 소재 및 그 제조방법
JP2020504791A (ja) リヨセル繊維、これを含む不織繊維集合体およびこれを含むマスクパックシート
KR20170079531A (ko) 라이오셀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9148B1 (ko) 타이어 코오드용 셀룰로오스계 필라멘트, 이를 포함하는필라멘트 번들, 이를 포함하는 연사물, 및 이를 포함하는타이어 코오드
EP0797696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cellulosischer fasern
KR102205529B1 (ko) 라이오셀 섬유
CN110913724A (zh) 面膜贴片
KR102352035B1 (ko)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KR102352034B1 (ko)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CN107075739B (zh) 莱赛尔卷曲纤维
KR101684906B1 (ko) 위생용품용 폴리올레핀계 단섬유, 부직포,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S6354808B2 (ko)
WO2018184049A1 (en) A nonwoven material designed for use in hygiene applications
JP2001055631A (ja) 抗菌性ポリアミド潜在捲縮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81702A (ko) 라이오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섬유 집합체
WO2018184047A1 (en) A nonwoven web designed for use in a healthcare wiper
KR20220022695A (ko) 위생재용 열접착성 심초형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27907A (ko) 항균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열접착형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210987A (zh) 一种基于醋酸长丝和胶原蛋白锦纶长丝的复合纱及其制备方法
KR20120072858A (ko) 용매 잔존량이 낮은 고강력 라이오셀 섬유의 수세 방법
DE102014208276A1 (de)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r Fa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