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178A - Apparatus for Providing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178A
KR20210152178A KR1020200068937A KR20200068937A KR20210152178A KR 20210152178 A KR20210152178 A KR 20210152178A KR 1020200068937 A KR1020200068937 A KR 1020200068937A KR 20200068937 A KR20200068937 A KR 20200068937A KR 20210152178 A KR20210152178 A KR 20210152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ssing table
curation
user
cosmetic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재현
Original Assignee
메이크미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크미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이크미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2178A/en
Publication of KR20210152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1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which collects metadata of cosmetics that have been sold or are being sold in the market to analyze the same, and stores an analysis result; and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dressing tab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smetics owned by a user from a user terminal device of the user, and generates, based on the received dressing table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stored analysis result, cosmetic curation data on first compatibility between the user and the owned cosmetics and second compatibility between the owned cosmetics, to provide the sam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Description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Apparatus for Providing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Apparatus for Providing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사용자가 자신의 화장대에 보유하는 화장품들과 관련한 데이터와 시중 화장품들의 빅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마다 맞춤화된 화장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ore particularly, data related to cosmetics that a user holds on his/her dressing table and big data of commercial cosmetics. It relates to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that provides a customized makeup curation service for each user,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화장품은 미적인 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실용적인 측면에서 최근에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에게도 애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화장품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특정 피부 타입에 특화된 화장품, 즉 기능성 화장품이 많이 선보이고 있어 그 수요는 더욱 확장될 전망이다. 기능성 화장품은 예를 들어, 미세먼지 차단, 피지, 주름, 기미 잡티, 여드름 관리, 자외선 차단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화장품이 있다.Cosmetics are recently favored not only by women but also by men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that they can improve skin health as well as satisfy aesthetic needs. In particular, recently,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of cosmetics, many cosmetics specialized for a specific skin type, that is, functional cosmetics, are being introduced, and the demand is expected to further expand. Functional cosmetics include, for example, fine dust blocking, sebum, wrinkles, blemishes, acne management, and cosmetics including functions such as UV protection.

이러한 화장품에는 여러 가지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화장품은 종류에 따라 함유되는 성분과 함량이 다르며, 동일한 종류라도 기능성 유무, 유수분 밸런스, 사용감 등에 따라 화장품 성분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화장품 제조업자는 다양한 종류의 성분을 원액 형태로 미리 제조하였다가, 화장품 종류 또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성분이나 함량을 달리하여 다양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제조업자는 소비자들의 기호를 고려하여 화장품에 향료를 추가할 수도 있다.These cosmetics contain several ingredients. Cosmetics contain different ingredients and content depending on the type, and even of the same type, the content of cosmetic ingredients may var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functionality, oil-water balance, and feeling of use. A cosmetic manufacturer may prepare various types of ingredients in the form of undiluted solutions in advance, and then manufacture various cosmetics by varying the ingredients or conte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smetics or the needs of consumers. In addition, the cosmetics manufacturer may add fragrance to the cosmetics in consideration of consumer preferences.

최근에는 피부 미용 시장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화장품을 포함한 수많은 피부 미용 제품들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그런데 일반 소비자들은 그러한 화장품들의 성분을 모두 자세히 알고 사용하는 일이 실질적으로 많지는 않으며, 대부분 지인이나 화장품 판매원이 제공하는 정보에 의존하다보니 피부에 부작용이 발생하는 등 문제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skin care market, numerous skin care products, including cosmetics, are pouring into the market. However, general consumers do not actually know and use all the ingredients of such cosmetics in detail, and most of them are acquaintances or cosmetics. Relying on information provided by salespeople often causes problems such as side effects on the skin.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3257호(2019.03.29)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33257 (2019.03.2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6285호(2019.06.1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66285 (June 13, 201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6950호(2019.06.1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66950 (June 14, 201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42500호(2019.12.2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42500 (2019.12.27)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7098호(2020.03.1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27098 (2020.03.1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8569호(2020.03.1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28569 (2020.03.17)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8568호(2020.03.1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28568 (2020.03.1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69846호(2020.01.1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69846 (2020.01.17)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사용자가 자신의 화장대에 보유하는 화장품들과 관련한 데이터와 시중 화장품들의 빅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마다 맞춤화된 화장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that provides a customized makeup curation service for each user based on, for example, data related to the cosmetics the user holds on his/her dressing table and big data of commercial cosmetics, and driving the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는, 시중에서 기판매된 또는 판매 중인 화장품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가 보유하는 보유 화장품과 관련한 화장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화장대 정보 및 상기 저장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보유 화장품간의 제1 궁합 및 상기 보유 화장품간의 제2 궁합에 대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that collects and analyzes meta data of cosmetics sold or sold in the market, and stores the analysis result, and dressing table information related to cosmetics owned by the user.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user, and based on the received dressing table information and the stored analysis result, cosmetic curation data for the first compatibility between the user and the holding cosmetics and the second compatibility between the holding cosmetics and a control unit that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장대 정보로서 상기 보유 화장품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수신하며, 사용자의 피부타입, 고민, 목적, 취향, 선호도, 가격 적정선, 유효구매가격대, 만족도, 재구매율, 사용주기 및 패턴, 선호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photo or video of the cosmetics held as the dressing table information, and the user's skin type, concerns, purpose, taste, preference, price reasonable line, effective purchase price range, satisfaction level, repurchase rate, use cycle and pattern, preference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from among categories may be further receiv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장대 정보를 이용해 복수의 추천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며, 룰 방식의 데이터 기반 추천에서 인공지능(AI) 중심의 추천 방식으로 추천 단계를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rovide the cosmetic curation data by dividing the information into a plurality of recommendation steps using the dressing table information, and may change the recommendation step from a rule-based data-based recommendation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centered recommendation metho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공지능 중심의 추천 방식으로서 사용자 맞춤 할인을 제공하는 개인화 커머스(commerce) 서비스를 위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rovide cosmetic curation data for a personalized commerce service that provides a user-customized discount as the AI-centered recommendation metho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 데이터로서 수집하는 화장품 후기 정보에서 임의 화장품의 긍정 및 부정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키워드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extract positive and negative keywords of certain cosmetics from the cosmetic review information collected as the metadata, adjust the size of the extracted keywords, and generate visualization data for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타입, 고민 및 효능을 근거로 사용자에게 맞는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위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provide cosmetic curation data for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to select a product suitable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s skin type, concerns, and efficac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가, 시중에서 기판매된 또는 판매 중인 화장품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사용자가 보유하는 보유 화장품과 관련한 화장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화장대 정보 및 상기 저장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보유 화장품간의 제1 궁합 및 상기 보유 화장품간의 제2 궁합에 대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of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toring, by the storage unit, the analysis result obtain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meta data of cosmetics sold or sold in the market,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dressing tab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smetics owned by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user, and based on the received dressing table information and the stored analysis result, a first compatibility between the user and the holding cosmetics and between the holding cosmetics and generating cosmetic curation data for the second compatibility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화장대 정보로서 상기 보유 화장품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피부타입, 고민, 목적, 취향, 선호도, 가격 적정선, 유효구매가격대, 만족도, 재구매율, 사용주기 및 패턴, 선호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step includes, as the dressing table information, the user's skin type, concerns, purpose, taste, preference, price reasonable line, effective purchase price range, satisfaction level, repurchase rate, use cycle and pattern,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mong preference categories may be further received.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화장대 정보를 이용해 복수의 추천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며, 룰 방식의 데이터 기반 추천에서 인공지능(AI) 중심의 추천 방식으로 추천 단계를 변경할 수 있다.In the providing step, the cosmetic curation data is provided by dividing the cosmetics into a plurality of recommendation steps using the dressing table information, and the recommendation step can be changed from a rule-based data-based recommendation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centered recommendation method. .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지능 중심의 추천 방식으로서 사용자 맞춤 할인을 제공하는 개인화 커머스 서비스를 위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viding may include providing cosmetic curation data for a personalized commerce service that provides a user-customized discount as the AI-centered recommendation method.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타 데이터로서 수집하는 화장품 후기 정보에서 임의 화장품의 긍정 및 부정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키워드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driving method, the control unit extracts positive and negative keywords of cosmetic products from the cosmetic review information collected as the meta data, and adjusts the size of the extracted keyword to display visualization data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타입, 고민 및 효능을 근거로 사용자에게 맞는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위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viding may provide cosmetic curation data for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to select a product suitable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s skin type, concerns, and efficacy.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시중에서 기판매된 또는 판매 중인 화장품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는 보유 화장품과 관련한 화장대 정보 및 상기 저장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보유 화장품간의 제1 궁합 및 상기 보유 화장품간의 제2 궁합에 대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한다.On the other h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driving method of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pparatus, wherein the driving method of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pparatus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meta data of cosmetics sold or sold in the market, and storing the analysis result, and the dressing tab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smetics owned by the user and the stored analysis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s user terminal device Executes the step of generating cosmetic curation data for the first compatibility between the user and the holding cosmetics and the second compatibility between the holding cosmetics based on the generation and providing the data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적인 화장품 정보뿐만 아니라 화장품 전성분, 효능, 효과, 가격 외 속성, 리뷰, 사용감 등의 세부 사항의 정보까지 수집, 정제 및 가공하여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활용범위와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ata utilization range and effect by collecting, refining and processing not only basic cosmetic information but also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cosmetic ingredients, efficacy, effect, non-price properties, reviews, and feeling of use. There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빅데이터(예: 고객 데이터 및 화장품 데이터 등)를 활용하여 타겟 마케팅 및 맞춤형 개인화 커머스 플랫폼 등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rget marketing and a customized personalized commerce platform may be implemented by utilizing big data (eg, customer data and cosmetic data, etc.).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시스템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8은 도 1의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ervice process of the system of FIG. 1;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pparatus of FIG. 1, and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pparatus of FIG. 1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erms used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nd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 'comprising (or hav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operations. .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ervice process of the service system of FIG. 1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통신망(110) 및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결제서비스를 위한 결제장치 및 큐레이션(curation) 서비스 관리를 위한 관리자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system 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 or all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 and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 and may further include a payment device for a payment service and a manager device for managing a curation service.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결제장치와 같은 서드파티장치가 생략되어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a third-party device such as a payment device is omitted to configure the vanity curation service system 90, or a part or all of the vanity curation service device 12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t means that it can be configured by being integrated into a network device (eg, a wireless switching device, etc.) constituting the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대) 큐레이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대"는 반드시 어떠한 테이블을 의미한다기보다는 사용자가 화장품을 보유하는 장소(예: 집) 정도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큐레이션 서비스"는 미술관 등에 전시되는 작품을 기획하고 설명해주는 큐레이터처럼 인터넷에서 원하는 콘텐츠 등을 수집해 공유하고 가치를 부여해 다른 사람이 소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정도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PC 기반의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 PC, 그리고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폰이나 국내 S사의 갤*시기어와 같은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하는 모바일 기반의 장치가 바람직하다.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include various devices using the makeup (large) cur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dressing table" does not necessarily mean any table, but can be understood as a place (eg, home) where a user holds cosmetics, and "curation service" is a curator who plans and explains works to be displayed in art galleries, etc. It can be understood as a service that helps others to consume by collecting, sharing, and adding value to the content they want from the Interne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include a PC-based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nd a wearable device such as a mobile-based smart phone or a domestic S company's Galaxy * Gear. Of cours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based device that executes an application (hereinafter, an app) is preferable.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나 앱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 실행하여 자신의 화장대에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자신이 보유하는 보유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로 제공하며, 이에 따라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예를 들어 서비스 화면에서 검색창을 통해 화장품 명을 입력한 후 검색 결과에서 화장품을 선택해 제공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진 촬영을 통해 사진 이미지를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로 제공하거나, 화장대를 촬영한 촬영영상 즉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사진 이미지나 촬영영상 등을 사용자가 보유하는 화장품의 화장대 정보라 명명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ownloads and installs an app from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or the App Store in order to use th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executes it to apply the cosmetics held in the dressing table. provide information about That i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osmetics it owns to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 and thus can receive various services provided from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 .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for example, input a cosmetic name through a search window on a service screen and then select and provide a cosmetic product from the search result, bu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cture image is curated for a dressing table by taking a picture. It may be desirable to provide the service device 120 or provide a photographed image of the dressing table, that is, a moving pictu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photographic image or a photographed image may be named as cosmetic dressing table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user.

물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화장대의 화장품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자신의 피부 상태 등과 관련한 정보 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피부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 등 다양하게 명명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정보는 위의 화장대 정보의 종속 개념으로 이해해도 좋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는 지성이나 건성과 같은 피부 타입 정보, 고민, 목적, 취향, 선호도, 가격 적정선, 유효구매가격대, 만족도, 재구매율, 사용주기/패턴 및 선호카테고리 등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Of course, the user may further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his/her skin condition, etc. while providing information on cosmetics on the dressing table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may be variously named skin condition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or the like. Of course, this information may be understood as a subordinate concept of the above dressing table information. For exampl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skin type information such as oily or dry skin, concerns, purpose, taste, preference, price reasonable line, effective purchase price range, satisfaction level, repurchase rate, use cycle/pattern, and preference category. can

이러한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에서 제공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객 맞춤 큐레이션, 마이크로 타겟 마케팅, 개인화 커머스 등과 관련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만의 화장대'라 명명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화장품의 효능, 효과, 적합성, 성분에 연계되는 궁합 및 추천 서비스, 화장품의 가격에 연계되는 개인화 커머스(맞춤 할인), 고객의 화장품 후기에 연계되는 키워드 리뷰, 화장품 광고에 관련되는 마이크로 타겟 마케팅, 고객의 화장품 경험, 체험 등에 연계되는 맞춤형 샘플(리워드), 그리고 화장품의 컨텐츠에 연계되는 매칭형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위의 화장품 적합성은 사용자의 피부타입, 고민, 목적, 사용적합성, 선호도, 취향을 포함한다.When this process is complete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can receive services related to customized curation, micro-target marketing, personalized commerce, et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 do. Such a service may be called 'my own dressing tab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rovides compatibility and recommendation services linked to the efficacy, effect, suitability, and ingredients of cosmetics, personalized commerce linked to the price of cosmetics (custom discount), keyword reviews linked to customer reviews of cosmetics, Micro-target marketing related to cosmetic advertisements, customized samples (rewards) linked to customers' cosmetic experiences and experiences, and matching content services linked to cosmetic contents can be provided. The above cosmetic suitability includes the user's skin type, concerns, purpose, suitability for use, preference, and taste.

좀더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대 분석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서비스에 접속한 후 메인 화면에서 로그인을 통해 마이페이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와 현재 보유하는 화장품과의 궁합, 그리고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간의 궁합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3의 (a) 및 도 4는 고객과 화장품의 궁합 즉 사용 적합성에 대한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도 3의 (b)에서와 같이 제품간의 궁합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서비스 화면을 통해 화장품의 꿀 조합, 최악 조합이라는 항목으로 화장품간 궁합 정보를 제공받거나, 이의 과정에서 새로운 화장품을 추천받을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check the data on the dressing table analysis result. This can be confirmed in My Page, etc. through login on the main screen after accessing the service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Also,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compatibility between the user and currently owned cosmetics and compatibility between the currently owned cosmetics. 3A and 4 show screens for compatibility between customers and cosmetics, that is, suitability for use. Als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compatibility between products as shown in FIG. 3B . Through the service screen, you can receive information on compatibility between cosmetics with items such as honey combination and worst combination of cosmetics, or you can receive new cosmetics recommendations in the process.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특정 화장품과 관련한 키워드 리뷰를 시각화하여 화면에 보여줄 수 있다. 이는 도 5에 보여주고 있다. 화장품을 사용한 고객들이 리뷰를 남기면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에서 해당 키워드들을 인터넷상에서 수집 및 분석하여 긍정 및 부정 항목으로 구분하고 해당 영역에 관련되는 고객들의 리뷰 키워드를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화면에 표시해 준다. 해당 키워드가 많으면 많을수록 글씨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긍정 및 부정의 이미지 즉 느낌을 부각시킨다.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좀더 다루기로 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visualize a keyword review related to a specific cosmetic and show it on the screen. This is shown in FIG. 5 . When customers who have used cosmetics leave reviews,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collects and analyzes the keywords on the Internet, divides them into positive and negative items, and sets the review keywords of customer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area i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upon request. As the number of keywords increases, the size of the text is gradually increased to highlight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i.e., feelings. More details will be dealt with later.

요약하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만의 화장대'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화장대에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 사용자와 화장품과의 궁합(혹은 제1 궁합), 또 보유하는 화장품들간의 궁합(혹은 제2 궁합)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자신에게 적합한 새로운 화장품을 추천받을 수도 있다. 물론 그러한 추천은 사용자가 가령 회원가입시 제공한 선호가격정보 등의 사용자정보를 근거로 추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지정 화장품과 관련하여 사용 경험자들의 리뷰를 키워드 중심으로 긍정과 부정 항목으로 구분하여 화면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In summar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rovides compatibility between the user and cosmetics (or first compatibility) and the compatibility (or second compatibility) between the cosmetics you own, you can receive a new cosmetic recommendation that suits you. Of course, such recommendation may be made based on user information such as preferred pri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at the time of membership registration.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will be able to visually check the reviews on the screen by dividing the reviews of users who have used the designated cosmetics into positive and negative items based on keywords.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ncludes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or interlocked. Here, the wired network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such as a cable network or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volved Packet Core (EPC), Long Term Evolution (LTE), and Wibro networks. meaning to include Of cour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for example, in a cloud computing network under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 5G network,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access point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can connect to a switching center of a telephone company, etc., but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accesses the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to transmit data. data processing, or by connecting to various repeaters such as Base Station Transmission (BTS), NodeB, and e-NodeB.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과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Here,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mall base station, such as a femto or pico base station, which is often installed in a building. Femto or pico base sta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ximum number of user terminal devices 100, etc.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classification of small base stations. Of course, the access point may includ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i-Fi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like. The access point may use TCP/IP or 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SP) f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standards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radio frequency (RF) such as ultra high frequency (UHF) and very high frequency (VHF), 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WB) in addition to Wi-Fi. Accordingly, the access point extracts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designates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delivers the data packet to the next device, such as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 The access point may share several lines in a general network environment, and includes, for example, a router, a repeater, and a repeater.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만의 화장대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나만의 화장대 큐레이션 서비스"란 사용자들의 화장 혹은 화장품과 관련한 고객맞춤 큐레이션, 마이크로타겟 마케팅, 개인화 커머스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각 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provides my own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my own vanity curation service" includes customized curation related to users' makeup or cosmetics, micro-target marketing, personalized commerce service, and the like. The specific contents of each service have been described above, so we will replace them with those contents.

무엇보다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앞서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었거나 판매되고 있는 약 30,000개에 해당하는 국내 브랜드 제품의 화장품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화장품 데이터는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수집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빅데이터 수집은 고객 데이터 수집, 화장품 데이터 수집, 화장법 및 활용법 데이터 수집, 그리고 뷰티컨텐츠 데이터 수집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분석을 위한 모델을 적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 후 분석 결과는 도 1의 DB(12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크롤링 기술 이외에도 검색 로봇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을 통해 기본적인 화장품 정보뿐만 아니라 화장품 전성분, 효능, 효과, 가격 외 속성, 리뷰, 사용감 등의 세부사항 정보까지 수집하여 정제 및 가공을 수행한다. 가령, 고객 맞춤형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해 화장품 관련한 메타정보까지 수집, 추출하여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Above all,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builds big data by collecting cosmetic data of about 30,000 domestic brand products that are currently sold or sold in the market before providing the service. Cosmetic data may be collected in the form of metadata. More specifically, big data collection can be divided into customer data collection, cosmetic data collection, makeup method and application method data collection, and beauty content data collection. It is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DB 120a of FIG. 1 . In addition to crawling technology,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search robots can be applied for data collection. Through data collection, not only basic cosmetic information, but also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cosmetic ingredients, efficacy, effects, non-price properties, reviews, and feeling of use are collected to perform purification and processing. For example, for a customized curation service, even cosmetics related meta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and extracted, and data processing can be performed through a recommendation algorithm.

또한,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수집한 화장품 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요한 데이터 추출과 정제를 통해 추천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추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데이터 수집 및 매칭 추천을 위하여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을 수행하고, 개인화 추천이나 예측 추천을 위하여 AI, 머신러닝 큐레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은 사용자의 화장대 데이터 수집, 분석 및 정제와 관련된다면, AI 및 머신러닝 큐레이션은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고도화에 관련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이원화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큐레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은 가령 룰 기반으로 확률 및 통계에 기반하여 매칭되는 결과가 없을 때 결과가 없음(false)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반면, AI 기반의 큐레이션은 예측 동작을 수행하므로 어떠한 방식으로든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may analyze the collected cosmetic data and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recommendation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by a recommendation algorithm through necessary data extraction and purification.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may perform data-based curation for data collection and matching recommendation, and may perform AI and machine learning curation operations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or predictive recommendation. Data-driven curation is related to collecting, analyzing, and refining data on a user's dressing table, while AI and machine learning curation is related to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dvancement. In this way, for data processing,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may execute a binary program to perform a curation operation. Data-based curation notifies the user as no result (false) when there is no matching result based 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based on rules, for example. On the other hand, AI-based curation is somewhat different in that it can provide results to users in any way because it performs predictive actions.

좀더 구체적으로,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들이 각 화장대에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에 대한 고객 화장품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매칭 추천을 위하여 메타정보 추출, 통계/메타 분석 및 매칭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제품을 촬영한 사진 이미지가 제공되거나 동영상이 제공되면 이를 분석하여 기구축한 화장품 데이터를 근거로 어떠한 제품인지 판단하고 이를 근거로 고객의 화장품 정보를 구축하게 된다. 도 2 및 도 6에서는 시중에 판매되는 화장품들에 대한 빅데이터(610)와 고객이 보유하는 화장품에 대한 화장품 정보(600)를 매칭하는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각 카테고리별(예: 선호가격대, 선호브랜드 등)로 트리(tree) 형태로 연결하여 DB(120a)에 구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collects and analyzes customer cosmetic data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n the cosmetic products that users hold in each dressing table. For this, a data-based cur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meta information extraction, statistics/meta analysis, and matching algorithm may be executed for matching recommendation. For example, when a photographic image of a product is provided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r a video is provided, it is analyzed to determine which product is based on the established cosmetic data, and based on this, the customer's cosmetic information is built. will do 2 and 6 show an operation of matching big data 610 for cosmetics sold on the market with cosmetic information 600 for cosmetics owned by a customer. These data may be constructed in the DB 120a by connecting them in a tree form for each category (eg, a preferred price range, a preferred brand, etc.).

이어,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고객과 화장품과의 궁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피부타입 점수 산정, 피부고민, 고객의 평가 반영, 화장품 평점 점수 반영 및 궁합 점수 산정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이러한 동작을 통해 고객 즉 사용자와 그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이 잘 맞는지 궁합 점수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피부타입은 건성, 지성, 중성, 복합성, 민감성 등을 나타낸다. 피부고민은 여드름, 아토피, 피부트러블, 주름, 노화방지, 모공관리를 나타낸다. 궁합점수는 고객 화장대 상품별 평가항목의 배점 비율에 따라 점수를 산정하고,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는 도 2에서와 같이 평균값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표 1>은 궁합점수 산정 과정을 보여준다. 고객과 제품간 궁합은 궁합 평가항목, 배점 등 세부화 및 고도화, 각 평가항목의 배점비율에 따라 점수 산정, 나와 유사한 연령, 피부타입의 평균 점수 및 비교의 고도화 동작이 이루어진다.Next,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performs operations such as calculating a skin type score, skin concerns, reflecting the customer's evaluation, reflecting the cosmetic score score, and calculating the compatibility score in order to perform the compatibility operation between the customer and the cosmetics. Of course, through this operation, a compatibility score can be gener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ustomer, that is, the user, and the cosmetics that the user is using fit well. For example, the skin type indicates dry, oily, neutral, combination, sensitive, and the like. Skin concerns include acne, atopic dermatitis, skin troubles, wrinkles, anti-aging, and pore management. The compatibility score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evaluation items for each customer dressing table product,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verage valu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s shown in FIG. 2 . <Table 1> shows the compatibility score calculation process. Compatibility between customers and products is detailed and advanced in compatibility evaluation items and points, scoring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ratio of each evaluation item, and the average score and comparison of similar age and skin types are advanced.

평가항목 Evaluation items 배점points 배점비율score ratio 산정점수calculated score 피부타입skin type 9090 20%20% 1818 피부고민skin trouble 7070 20%20% 1414 고객평가customer testimonials 8080 50%50% 4040 제품평점product rating 8080 10%10% 88 synthesis 100%100% 8080

또한, 제품간 궁합은 고객이 등록한 화장품과 매칭되는 제품 정보를 근거로 상성조합표 기준으로 궁합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상성 조합표는 기준값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제품에 대하여 궁합이 좋은 복수의 제품들이 매칭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관계를 상성조합표에 기록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제품간 궁합 정보는 도 3의 (b)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꿀 조합과 최악 조합이라는 항목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최악 조합의 경우에는 제품군만 노출하고, 해당 제품군의 제품별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서비스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In addition, as for the compatibility between products, the compatibility product can be recommended based on the compatibility table based on product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cosmetics registered by the customer. Of course, here, the compatibility combination table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value. For example, a plurality of products having good compatibility with product A may be matched, and such a relationship may be recorded in the compatibility combination table. going to use this. The compatibility information between product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FIG. 3B . In other words,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terms of honey combinations and worst combination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worst combination, only the product group may be exposed, and product-specific information of the product group may not be provided to the user. Since the service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service design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limited to any one form.

제품간 궁합 동작은 크게 3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1단계는 고객 화장대 제품의 해당 제품군에 포함되는지 검색 및 확인하는 것이다. 2단계는 제품군이 있으면 매칭되는 제품군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3단계는 매칭되는 제품군의 제품별 순위를 산정하는 것이다. 제품간 궁합점수의 산정방식은 제품별 점수와 사용자별 궁합 점수의 합으로 계산할 수 있다. 사용자별 궁합점수는 고객과 화장품간의 궁합 산정 점수 기준을 활용하고, 고객 별점 평가는 없으므로 평가시 제외한다. 이러한 동작은 궁합 점수 산정 알고리즘에 수식을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궁합 제품 순위 산정 및 노출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patibility behavior between product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As shown in <Table 2>. The first step is to search and confirm whether the customer's vanity product i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product line. In step 2, if there is a product family, information of the matching product family is provided. In addition, the third step is to calculate the ranking by product of the matching product group.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compatibility score between products can be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score for each product and the compatibility score for each user. For the compatibility score for each user, the compatibility calculation score standard between customers and cosmetics is used, and since there is no customer star rating, it is excluded from the evaluation. This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a formula to the compatibility score calculation algorith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for ranking and exposing compatible products.

1단계Step 1 2단계Step 2 3단계Step 3 해당 제품군 보유 확인Confirm that you have the relevant product group 매칭 제품군 정보제공Matching product line information 제품군의 제품별 순위산정Ranking by product in product group 검색Search 매칭&노출Matching & Exposure 점수화&리스트업Scoring & Listing

나아가,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통계, 메타 분석을 통해 도 4에서와 같이 개인화 추천을 수행할 수 있다. 나에게 맞는 제품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알지 못했던 더 좋은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의 (a) 및 도 4에서와 같은 UI 화면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임의 고객의 피부타입에 세라마이드아토 제품이 더 궁합지수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Furthermore,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may perform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as shown in FIG. 4 through statistics and meta-analysis. Compare products that are right for you, allowing users to choose a better product they may not have known about. The UI screens as in (a) and 4 of FIG. 3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FIG. 4 shows that the Ceramide Ato product has a higher compatibility index for any customer's skin type.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AI, 머신러닝 큐레이션을 통해 큐레이션 고도화를 수행한다. 대표적으로 개인화 추천은 딥러닝 학습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고, 예측 추천은 머신러닝, AI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개인화 추천을 위해 매칭 알고리즘 학습, 베스트 조합 도출, 큐레이션 고도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측 추천을 위해서는 패턴 분석, 학습, 표본/유사 그룹핑, 머신러닝 융합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큐레이션 고도화"란 단계별로 혹은 단계를 구분하여 고객 추천이 이루어지는 것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추천 알고리즘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추천)에서 인공지능(AI) 중심 의사결정(추천)으로 진행(혹은 전환)될 수 있다. 가령, 1단계(level 1)에서는 화장품 효능, 궁합, 사용자 정보 기반으로 추천한다(V1.0). 2단계에서는 고객 화장대 및 전성분 기반 추천(V2.0)을 수행한다. 이의 단계에서는 통계 추정 추천 알고리즘이나 정량적 추천을 수행한다. 3단계에서는 사용자 구매 패턴 추천, 빅데이터 기반(V3.0)으로 정성적 추천을 수행한다. 4단계에서는 인공지능(AI), 머신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개인화 추천 알고리즘, 검색 추천 알고리즘(예: 고민, 목적으로 검색)을 실행하여 단계별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추천 방법은 알고리즘 기반의 추천이며 제품의 각 메타태그 정보값을 수집하여 이를 근거로 고객 정보와 매칭한다. 그리고, 최대한 제품의 태그를 수집, 입력한다. 4단계에서 인공지능, 머신러닝 기반 추천을 수행함으로써 나를 위한 스마트 화장대 서비스가 제공된다. AI, 머신러닝 추천은 빅데이터의 분석 및 학습에 의한 추천을 의미한다. 또한,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컨시어지 서비스(컨설팅)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의 화장대 구성을 분석, 조합하여 추천하고,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 20~50개 제품을 조합하여 화장법/메이크업 추천, 패션의 드레스코드 추천처럼 모임의 목적, 장소, 컨셉, 드레스코드 등에 따라 메이크업 코드를 추천할 수 있다.Above all,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curation advancement through AI and machine learning curation. Typically,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by deep learning learning, and a predictive recommend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by machine learning and AI.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operations such as matching algorithm learning, best combination derivation, and curation advancement can be performed. For predictive recommendation, operations such as pattern analysis, learning, sample/similar grouping, and machine learning fusion can be performed. Here, “curation advancement” may mean that a customer recommendation is made in stages or by dividing the stages. The recommendation algorithm can progress (or switch) from data-based decision-making (recommendation) to artificial intelligence (AI)-centered decision-making (recommendation). For example, in level 1, cosmetics are recommended based on efficacy, compatibility, and user information (V1.0). In step 2, customer dressing table and ingredient-based recommendations (V2.0) are performed. In this step, a statistical estimation recommendation algorithm or quantitative recommendation is performed. In step 3, user purchasing pattern recommendation and qualitative recommendation based on big data (V3.0) are performed. In step 4,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machine learning-based algorithms are applied, and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algorithm and a search recommendation algorithm (eg, search for concerns and purposes) can be executed to make step-by-step recommendations. The recommendation method is algorithm-based recommendation, and each meta tag information value of a product is collected and matched with customer information based on this. Then, collect and input product tags as much as possible. A smart vanity service for me is provided by perform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based recommendations in step 4. AI and machine learning recommendations refer to recommendations based on big data analysis and learning. In addition,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may provide a concierge service (consulting). Analyze and combine the makeup of the customer’s dressing table, and combine 20 to 50 products to recommend makeup/makeup recommendations, fashion dress code recommendations, and makeup codes according to the purpose, location, concept, and dress code of the meeting can recommend

이외에도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구매 선택에 필요한 핵심 키워드 리뷰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수천 개의 리뷰를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의 화면에 모아서 보여준다. 수많은 리뷰를 키워드화하여 데이터를 정제하고 내 선택기준의 핵심 리뷰만 모아 보여주는 것이다. 긍정과 부정 키워드로 빠르게 화장품 평가 확인이 가능하도록 그래픽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뷰확인 및 선택 피로가 감소할 수 있고, 효율적인 제품 선택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에게 긍정 및 부정의 느낌을 갖도록 긍정 및 부정의 키워드의 크기를 조절하여 시각화하여 보여준다.In addition,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may perform core keyword review analysis required for purchase selection. Thousands of reviews are collected and displayed on one screen as shown in FIG. 5 . I refine the data by turning numerous reviews into keywords, and collect and show only the core reviews of my selection criteria. A graphic screen may be generated so that cosmetic evaluation can be quickly confirmed with positive and negative keywords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Through this, review confirmation and selection fatigue may be reduced, and efficient product selection will be possible.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adjusts the size of positive and negative keywords so that the user has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and visualizes them.

요약하면, 데이터 구축 및 분석이 완료되면,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요청이 있을 때 도 2에서와 같이 화장대 분석 결과를 서비스 화면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궁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궁합 정보는 사용자와 그 사용자가 보유하는 화장품의 궁합뿐 아니라, 사용자가 보유하는 화장품간의 궁합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화장품간의 궁합 정보를 제공할 때,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가령 화장품의 사용 순서 등에 대한 정보에 더 근거하여 정확한 화장품간 궁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궁합 정보는 고객의 피부타입, 피부고민, 제품평가점수의 데이터를 분석 및 매칭하여 고객과 화장품간의 궁합 점수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고객과 화장대를 분석하여 고객이 알지 못하는 정보를 찾아 고객 분석 및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In summary, when data construction and analysis are completed,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may provide the dressing table analysis result on the service screen as shown in FIG. 2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process compatibilit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e compatibility information may provide compatibility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cosmetics owned by the user as well as compatibility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cosmetics owned by the user. Furthermore, when providing information on compatibility between cosmetics,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may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compatibility between cosmetics based on,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order of use of the cosmetics. Compatibilit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compatibility scores between customers and cosmetics by analyzing and matching data of customers' skin types, skin concerns, and product evaluation scores.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analyzes the customer and the dressing table to find information that the customer does not know, and provides customized customer analysis and information.

한편,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결제장치는, PG사나 VAN사, 나아가 서비스 운영사의 결제서버나 간편결제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장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의 서비스 이용료나 추천 화장품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카드 결제 등의 결제요청이 있는 경우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와 연계하여 결제장치의 결제모듈을 구동시켜 결제를 진행한 후 결제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비용 정산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광고 등의 비용을 결제하기 위하여 결제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결제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광고 비용 등은 결제장치의 연동없이도 무통장 입금을 통해 비용을 결제한 후 광고주로부터 광고 승인 요청이 있을 때 승인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in the drawings, the payment device may include a payment server or a simple payment server of a PG company, a VAN company, or a service operator. For example, when there is a payment request such as card paymen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for a service fee or recommended cosmetics of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the payment device is linked with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After the payment is made by driving the payment module of the payment device, payment information is shared with each other, so that cost settlement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since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payment device to pay for advertisements, etc.,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payment method. In other words, the advertisement cost, etc. may be approved when there is an advertisement approval request from the advertiser after paying the cost through direct deposit without interlocking the payment device, so that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관리자장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를 관리하는 운영사나 운영자의 사용자장치를 포함한다. 관리자장치는 데스크탑컴퓨터 등의 컴퓨팅장치와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장치를 포함하며, 관리자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에 관리자 메뉴로 접속하여 공지사항 등의 다양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또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가령, 서비스 화면의 리뉴얼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리뉴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nager device includes an operator who manages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or a user device of the operator. The manager device includes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desktop computer and a portable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the manager can access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through the manager menu and register various information such as notices, and Various operations for managing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are performed. For example, when a renewal operation of the service screen is required, the corresponding renewal operation may be performed.

도 7은 도 1의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pparatus of FIG. 1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700), 제어부(710), 화장대 큐레이션부(720) 및 저장부(7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pparatu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700 , a control unit 710 , a dressing table curation unit 720 , and a storage unit 730 . includes some or all.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7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화장대 큐레이션부(7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7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storage unit 730 are omitted, or some components such as the dressing table curation unit 720 are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 unit 710 . It is described as including all in order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s meaning that it can be configured by being integr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통신 인터페이스부(700)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이외에도 시중에 판매되었거나 판매되고 있는 화장품들에 대한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빅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치들과 각각 통신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7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7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of FIG. Each of the device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collect them. In this proces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700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such as modulation/demodulation, muxing/demuxing, encoding/decoding, and scaling for converting resolution, which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통신 인터페이스부(700)는 예를 들어 포털 서비스 업체와 같이 다양한 화장품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업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업체의 서비스 서버에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하여 사전에 업체간 제휴를 통해 DB를 공유하기 위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700)는 이러한 동작 이외에도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크롤링이나 검색로봇 등의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화장품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If there is a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various cosmetics, such as a portal service provider,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700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a service server of the corresponding company. Of course, for this purpose, an operation for sharing the DB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ompanies may be performed in advance. In addition to these operation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700 may collect data related to cosmetics by using various techniques such as crawling or a search robot that collects data on the Internet.

이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부(700)는 시중에 판매되는 화장품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자신의 화장대에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들에 대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수신한 후 제어부(710)에 제공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700 not only performs an operation for collecting data of cosmetics sold on the market, but also provides photos or videos about cosmetics held on one's own dressing table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After receiving, it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710 .

위에서와 같이, 화장품과 관련한 메타 데이터의 빅데이터 수집 및 사용자들마다 제공하는 자신의 화장대에 보유하는 화장품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분석 및 매칭 등의 동작이 완료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7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만의 화장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궁합, 추천, 개인화 커머스, 키워드 리뷰, 마이크로 타겟 마케팅, 맞춤형 샘플, 매칭형 컨텐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big data collection of cosmetic-related metadata and cosmetic-related data held in their dressing table provided for each user are completed and operations such as data analysis and matching are complete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700 provides a user Various service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device 100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y own dressing tabl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rough this, services such as compatibility, recommendation, personalized commerce, keyword review, micro-target marketing, customized sample, and matching content can be provided.

제어부(710)는 도 1의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를 구성하는 도 7의 통신 인터페이스부(700), 화장대 큐레이션부(720) 및 저장부(73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담당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700)를 통해 시중에 판매되는 화장품들과 관련한 데이터가 수집되는 경우, 이를 저장부(730)에 임시 저장시킨 후 불러내어 화장대 큐레이션부(7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의 화장대에 보유하는 화장품들에 대한 사진이나 동영상이 제공되는 경우, 이 또한 저장부(7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화장대 큐레이션부(720)로 제공할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해, 제어부(7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화장대 정보(혹은 화장대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부(7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730)에 저장한 후 화장대 큐레이션부(720)로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10 is in charge of overall control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700, the dressing table curation unit 720, and the storage unit 730 of FIG. 7 constituting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of FIG. 1 . When data related to cosmetics sold on the market is coll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700 , it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730 , and then retrieved and provided to the dressing table curation unit 720 . In addition, when a picture or video of cosmetics held on the user's dressing table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provided, it is also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730 and then recalled to the dressing table curation unit 720 . can be provided as More precisely,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710 receives the dressing table information (or dressing tabl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fro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700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730 , and then the dressing table curation unit (720).

이외에도 제어부(7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DB(120a) 등에 저장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앱의 실행에 의해 서비스 접속이 있는 경우 화장대 큐레이션부(720)를 제어하여 '나만의 화장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10 may provide an app for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d in the DB 120a or the lik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an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When there is a service connection by the execution of the app, the 'my own dressing table' service may be provided by controlling the dressing table curation unit 720 .

화장대 큐레이션부(7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구축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 구축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나만의 화장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화장대 큐레이션부(720)는 먼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화장품들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한다. 화장품들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 즉 분석하여 고객맞춤 큐레이션, 마이크로 타겟 마케팅 및 개인화 커머스 서브스를 제공한다.The dressing table curator 720 may perform a data construction operation for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data construction operation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my own dressing table' service can be provided. The dressing table curation unit 720 first collects big data on cosmetics sold on the market. Big data can be built by collecting the meta data of cosmetics. In addition, it processes or analyzes the collected data to provide customized curation, micro-targeted marketing, and personalized commerce service.

화장대 큐레이션부(720)는 데이터 수집 및 매칭, 추천과 관련해서는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을 수행하고, 개인화 추천이나 예측 추천은 AI, 머신러닝 큐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는 룰(rule) 기반의 큐레이션으로 통계 및 확률에 근거하여 기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매칭 등의 동작을 통해 추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후자는 예측 기반의 큐레이션에 해당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만큼 전자의 방식과 다르게 항상 응답 결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대 큐레이션부(720)는 초기에는 수집된 데이터가 적은 만큼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빅데이터가 확보되면 AI 등의 큐레이션 동작으로 전환할 수 있다. 물론 두 가지 방식을 상황에 따라 병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고,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dressing table curation unit 720 may perform data-based curation in relation to data collection, matching, and recommendation, and may perform AI and machine learning curation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or predictive recommendation. Here, the former is rule-based curation and may mean recommending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matching in a manner that compares it with pre-stored data based on statistics and prob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corresponds to prediction-based curation. Unlike the former method, as it utilizes artificial intelligence, it always provides response results. Therefore, the dressing table curation unit 7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itially perform a data-based curation operation as much as the collected data is small, and when big data is secur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 service, AI, etc. It can be converted to a curation action. Of course, it is possible to use the two methods in parallel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since thi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system design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limited to any one form.

다만, 화장대 큐레이션부(720)는 추천 알고리즘의 경우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추천)에서 AI 중심 의사결정(추천)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4단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1단계에서는 화장품 효능, 궁합, 사용자 정보 기반으로 추천하고, 2단계에서는 통계 추정 등의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3단계에서는 사용자 구매 패턴으로 추천하거나 빅데이터 기반의 정성적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4단계에서는 AI 기반의 추천이나 개인화 추천, 검색 추천 등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recommendation algorithm, the dressing table curator 720 may proceed from data-based decision-making (recommendation) to AI-centered decision-making (recommendation), and for this purpose, a four-step operation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in step 1, recommendations are made based on cosmetic efficacy, compatibility, and user information; in step 2, recommendations such as statistical estimation are made; in step 3, recommendations based on user purchasing patterns or qualitative recommendations based on big data are made. , in step 4, AI-based recommendation,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arch recommendation, etc. may be operated.

무엇보다 화장대 큐레이션부(720)는 가령 1단계 추천 동작을 통해 사용자와 화장품간 궁합 정보, 또 사용자의 화장품간의 궁합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신이 보유하는 화장품들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면서 피부타입에 따른 고민이나 효능별 궁합지수를 제공할 수도 있다(도 3의 (a) 참조). 이를 통해 나에게 맞는 제품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알지 못했던 더 좋은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와 관련하여 새로운 제품 즉 화장품을 추천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화장대 큐레이션부(720)는 구매 선택에 필요한 핵심 키워드 리뷰 분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도 5를 통해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Above all, the dressing table curation unit 720 can provide compatibility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and cosmetics, and compatibility information between the user's cosmetics, for example, through a first-step recommendation operation, while providing analysis results for the cosmetics that it owns.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mpatibility index for each concern or efficacy according to the skin type (see Fig. 3 (a)). This allows me to compare products that are right for me and choose a better product that users didn't know about. Of course, you can also recommend a new product, namely, cosmetics in this regard. In addition, the dressing table curation unit 720 may provide a core keyword review analysis required for purchase selection, which has been sufficient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저장부(730)는 제어부(7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정보나 데이터는 데이터 패킷 구조로 볼 때, 헤더(header)와 페이로드(payload)에 포함되는 정보와 데이터를 가정한 것이다. 실무상 정보와 데이터는 혼용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710)는 디먹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의 헤더의 부가정보와 페이로드의 화소 데이터 등을 구분한 후 화소 데이터 등은 디코딩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데이터가 저장부(730)에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730 may temporarily store various information or data proc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10 and then output the stored information. Of course, here, information and data included in a header and a payload are assumed when viewed as a data packet structure. In practice, since information and data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the concept of such terms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710 may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decoding the pixel data after separat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header of the data packet and the pixel data of the payload through the demux. Information and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730 .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의 제어부(710)는 CPU와 메모리를 포함하며,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710)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 동작을,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의 연산처리를,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입력된 2진 비트정보가 어떠한 동작의 수행에 관련되는지를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해석은 룩업테이블(LUT)상의 좌측과 우측에 데이터를 매칭한 후 제어회로가 좌측 데이터를 근거로 우측의 데이터를 찾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CPU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의 초기 구동시 화장대 큐레이션부(720)의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켜 데이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710 of FIG. 7 includes a CPU and a memory, and the CPU and the memory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chip. The control unit 710 may include a control circuit, an operation unit (ALU), a command interpretation unit, a registry, and the like, and the memory may include a RAM. The control circuit may perform a control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may interpret binary bit information arithmetic processing, and the instruction interpreter may interpret what type of operation the input binary bit information is related to. Here, the analysis may be that after matching the data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okup table (LUT), the control circuit finds the data on the right based on the data on the left and performs the operation. The registry is involved in software data storag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is initially driven, the CPU copies the program of the vanity curation unit 720, loads it into the memory, and executes it to rapidly increase the data processing speed.

도 8은 도 1의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pparatus of FIG. 1 .

설명의 편의상 도 8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시중에서 기판매된 및/또는 판매 중인 화장품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를 저장한다(S800). 여기서, 메타 데이터는 일련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설명해 주는 데이터로서, 컴퓨터에서는 데이터 사전의 내용, 스키마 등을 의미하고,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 문서에서는 메타 태그 내의 내용이 메타데이터이다. 방송에서는 방대한 분량의 저작물을 신속하게 검색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제작시 촬영 일시, 장소, 작가, 출연자 등과 음원의 경우 작곡자나 가수명 등을 메타데이터로 처리한다. 메타데이터는 여러 용도로 사용되나 주로 빠른 검색과 내용을 간략하고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함축하면, 메타 데이터는 상세 데이터라 볼 수 있다. 또한,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이러한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며, 여기서 빅데이터(Big data)는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로는 수집ㆍ저장ㆍ분석 따위를 수행하기가 어려울 만큼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8 together with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analyzes meta data of cosmetics pre-sold and/or sold in the market. to store (S800). Here, meta data is data that defines and explains a series of data. In a computer, it means the contents of a data dictionary, a schema, and the like, and in a hypertext generating language (HTML) document, the content in a meta tag is metadata. In broadcasting, in order to quickly search for a vast amount of works, the shooting date and time, location, writer, performer, and, in the case of a sound source, composer or singer name, etc., are processed as metadata during program production. Metadata is used for many purposes, but it is mainly used for quick search and simple and systematic content. By implication, metadata can be viewed as detailed data. In addition,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collects such meta data to form big data, where the big data is so vast that it is difficult to collect, store, and analyze it with an existing database. means the data of

또한,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보유 화장품과 관련한 화장대 정보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수신한 화장대 정보 및 저장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사용자와 보유 화장품간의 제1 궁합 및 보유 화장품간의 제2 궁합에 대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해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한다(S810). 여기서, 화장대 정보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보유 화장품을 촬영한 촬영 사진이나 동영상, 나아가 사용자의 피부 상태뿐 아니라, 피부와 관련한 고민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receives the dressing tab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smetics owned by the user from the user's user terminal device, and based on the received dressing table information and the stored analysis result, the first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holding cosmetics Cosmetic curation data for the second compatibility between compatibility and possessed cosmetics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S810). Here, the dressing table information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photograph or video taken of the cosmetics owned by the user, and furthermore, not only the user's skin condition,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such as skin concerns.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화장대 정보를 근거로 복수 단계의 추천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이종의 알고리즘을 병행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가령, 총 4단계의 추천이 가능하다고 하면, 1단계 내지 3단계는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방식으로 추천이 이루어진다면, 4단계는 AI 중심의 의사결정 방식으로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의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는 1단계에서 화장품 효능, 궁합 등과 관련한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고, 4단계에서는 고민, 목적으로 검색하여 검색 추천 형태, 또 맞춤할인과 같은 개인화 추천 형태의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120 may perform a plurality of steps of recommendation based on the dressing table information, and for this purpose, different algorithms may be operated in parallel. For example, if a total of 4 steps of recommendation are possible, if steps 1 to 3 are made using a data-based decision-making method, step 4 is to make a recommendation using an AI-centered decision-making method to collect cosmetic curation data. can be created and provided. Of course, the cosmetic curation data here provides curation data related to cosmetic efficacy and compatibility in the first step, and in the fourth step, curation data in the form of search recommendations and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such as customized discounts by searching for concerns and purposes. can provide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8의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pparatus 120 of FIG. 8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since other detailed information has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it will be replaced with the content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but a part or all of each component is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combined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program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read and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700: 통신 인터페이스부
710: 제어부 720: 화장대 큐레이션부
730: 저장부
100: user terminal device 110: communication network
120: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70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710: control unit 720: dressing table curation unit
730: storage

Claims (13)

시중에서 기판매된 또는 판매 중인 화장품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가 보유하는 보유 화장품과 관련한 화장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화장대 정보 및 상기 저장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보유 화장품간의 제1 궁합 및 상기 보유 화장품간의 제2 궁합에 대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a storage unit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analysis results of cosmetics sold or sold in the market; and
Receives dressing tab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smetics owned by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user, and based on the received dressing table information and the stored analysis result, a first compatibility between the user and the holding cosmetics and between the holding cosmetics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cosmetic curation data for the second compatibility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장대 정보로서 상기 보유 화장품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수신하며, 사용자의 피부타입, 고민, 목적, 취향, 선호도, 가격 적정선, 유효구매가격대, 만족도, 재구매율, 사용주기 및 패턴, 선호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수신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photo or video of the cosmetics held as the dressing table information, and the user's skin type, concerns, purpose, taste, preference, price reasonable line, effective purchase price range, satisfaction level, repurchase rate, use cycle and pattern, preference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for further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categori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장대 정보를 이용해 복수의 추천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며, 룰 방식의 데이터 기반 추천에서 인공지능(AI) 중심의 추천 방식으로 추천 단계를 변경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cosmetic curation data by dividing it into a plurality of recommendation steps using the dressing table information, and changing the recommendation step from a rule-based data-based recommendation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centered recommendation method. servic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공지능 중심의 추천 방식으로서 사용자 맞춤 할인을 제공하는 개인화 커머스(commerce) 서비스를 위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that provides cosmetic curation data for a personalized commerce service that provides a user-customized discount as the AI-centered recommenda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타 데이터로서 수집하는 화장품 후기 정보에서 임의 화장품의 긍정 및 부정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키워드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extracts positive and negative keywords of arbitrary cosmetics from the cosmetic review information collected as the meta data, and adjusts the size of the extracted keyword to generate visualization data for displaying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ration servi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타입, 고민 및 효능을 근거로 사용자에게 맞는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위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that provides cosmetic curation data for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to select a product suitable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s skin type, concerns, and efficacy.
저장부가, 시중에서 기판매된 또는 판매 중인 화장품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사용자가 보유하는 보유 화장품과 관련한 화장대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화장대 정보 및 상기 저장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보유 화장품간의 제1 궁합 및 상기 보유 화장품간의 제2 궁합에 대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storing, by the storage unit, the analysis result analyzed by collecting meta data of cosmetics sold or sold in the market;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dressing tab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smetics owned by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of the user, and based on the received dressing table information and the stored analysis result, a first compatibility between the user and the holding cosmetics and the Generating cosmetic curation data for a second compatibility between owned cosmetics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 method of driving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화장대 정보로서 상기 보유 화장품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피부타입, 고민, 목적, 취향, 선호도, 가격 적정선, 유효구매가격대, 만족도, 재구매율, 사용주기 및 패턴, 선호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수신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ceiving step is
At least one of the user's skin type, concerns, purpose, taste, preference, price reasonable line, effective purchase price range, satisfaction, repurchase rate, use cycle and pattern, preference category, A method of driving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that further receives inform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화장대 정보를 이용해 복수의 추천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며, 룰 방식의 데이터 기반 추천에서 인공지능(AI) 중심의 추천 방식으로 추천 단계를 변경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viding step is
Driving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that divides into a plurality of recommendation steps using the dressing table information, provides the cosmetic curation data, and changes the recommendation step from a rule-based data-based recommendation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centered recommendation method Wa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지능 중심의 추천 방식으로서 사용자 맞춤 할인을 제공하는 개인화 커머스 서비스를 위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viding step is
A method of driving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that provides cosmetic curation data for a personalized commerce service that provides a user-customized discount as the AI-centered recommendation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메타 데이터로서 수집하는 화장품 후기 정보에서 임의 화장품의 긍정 및 부정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키워드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extracting, by the controller, positive and negative keywords of certain cosmetics from the cosmetic review information collected as the meta data, 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extracted keywords to generate visualization data for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A method of driving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타입, 고민 및 효능을 근거로 사용자에게 맞는 제품을 선택하도록 하는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위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viding step is
A driving method of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that provides cosmetic curation data for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to select a product suitable for a user based on the user's skin type, concerns, and efficacy.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화장대 큐레이션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시중에서 기판매된 또는 판매 중인 화장품의 메타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하는 보유 화장품과 관련한 화장대 정보 및 상기 저장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보유 화장품간의 제1 궁합 및 상기 보유 화장품간의 제2 궁합에 대한 화장품 큐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f driving a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pparatus, comprising:
The driving method of the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device,
storing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meta data of cosmetics that have been pre-sold or sold in the market; and
Cosmetic queue for the first compatibility between the user and the holding cosmetics and the second compatibility between the holding cosmetics based on the stored analysis result and dressing tab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smetics owned by the user received from the user's user terminal device generating data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executes.
KR1020200068937A 2020-06-08 2020-06-08 Apparatus for Providing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2101521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37A KR20210152178A (en) 2020-06-08 2020-06-08 Apparatus for Providing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37A KR20210152178A (en) 2020-06-08 2020-06-08 Apparatus for Providing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178A true KR20210152178A (en) 2021-12-15

Family

ID=7886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937A KR20210152178A (en) 2020-06-08 2020-06-08 Apparatus for Providing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2178A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257A (en)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ustomized cosmetic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90066285A (en)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제주햇살담음 Customized cosmetic analysis and recommendation system for user
KR20190066950A (en)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테이크아웃 Method for selling cosmetic using image file analysis and all ingredient analysis
KR20190142500A (en) 2018-06-18 2019-12-27 주식회사 여심서울 Method for recommending cosmetic products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069846B1 (en) 2016-11-10 2020-02-24 주식회사 웨이웨어러블 A method and program for recommending personalized cosmotics
KR20200027098A (en) 2018-08-31 2020-03-12 (주)엠플러스코스메틱스 Method for providing cosmetic curation based on deep learning
KR20200028569A (en) 2018-09-06 2020-03-1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Method for Recommending Cosmetics Information
KR20200028568A (en) 2018-09-06 2020-03-1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Method for Providing Cosmetics Map Based on User’s Cosmetic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846B1 (en) 2016-11-10 2020-02-24 주식회사 웨이웨어러블 A method and program for recommending personalized cosmotics
KR20190033257A (en) 2017-09-21 2019-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ustomized cosmetic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90066285A (en)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제주햇살담음 Customized cosmetic analysis and recommendation system for user
KR20190066950A (en)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테이크아웃 Method for selling cosmetic using image file analysis and all ingredient analysis
KR20190142500A (en) 2018-06-18 2019-12-27 주식회사 여심서울 Method for recommending cosmetic products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20200027098A (en) 2018-08-31 2020-03-12 (주)엠플러스코스메틱스 Method for providing cosmetic curation based on deep learning
KR20200028569A (en) 2018-09-06 2020-03-1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Method for Recommending Cosmetics Information
KR20200028568A (en) 2018-09-06 2020-03-1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Method for Providing Cosmetics Map Based on User’s Cosmetic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7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generation of product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Wang et al. A novel approach to incorporate customer preference and perception into product configuration: a case study on smart pads
Rabby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digital marketing influences consumer behaviour: A review and theoretic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Blasco-Arcas et al. The role of consumer data in marketing: A research agenda
Wang et al. Combining conjoint analysis with Kano model to optimize product varieties of smart phones: A VIKOR perspective
CN107992500A (en)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erver
JPWO20050246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US89184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ffinity profiles for research, marketing, and recommendation systems
US20230120602A1 (en) Personalized Skin Care from Skin Scanning
KR20220117425A (en) Marketability analysis and commercialization methodology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KR20210059593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ale mediate service based on influencer&#39;s contents
Jain et al. Consumer behavior toward mobile phone handsets
Jaswal Augmented Reality's Effect on Online Cosmetics Consumer Purchasing Patterns: A Study on Virtual Artists at Sephora
JP6776072B2 (en) Decision device, decision method, and decision program
KR20210152178A (en) Apparatus for Providing Dressing Table Curation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210103943A1 (en) Hit or miss insight analysis
KR101431521B1 (en) Method for operating beauty information portal site
KR20220050639A (en) Method for providing nail art ser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nail art service
KR20210145528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ale mediate service based on influencer&#39;s contents
KR20210059328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influencer searching service
Zheng et al. The Users’ Purchase Behavior Research of Buying Clothing of Live Streaming eCommerce on Tiktok
KR102593512B1 (en) Apparatus for Beauty Personalized Beauty Service
KR20200128222A (en)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style based on performa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JP74571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587882B1 (en) System for providing price choosing seriv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