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349A -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349A
KR20210151349A KR1020200068040A KR20200068040A KR20210151349A KR 20210151349 A KR20210151349 A KR 20210151349A KR 1020200068040 A KR1020200068040 A KR 1020200068040A KR 20200068040 A KR20200068040 A KR 20200068040A KR 20210151349 A KR20210151349 A KR 20210151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e
cutting
unit
packag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005B1 (ko
Inventor
김중관
Original Assignee
김의철
김중관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철, 김중관,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의철
Priority to KR1020200068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00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349A/ko
Priority to KR1020220100371A priority patent/KR102524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9/00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 A01F29/005Cut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hay, straw or the like for disintegrating and cutting up bales of hay, straw or fodd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7/00Loaders for hay or like field crops
    • A01D87/12Loaders for sheaves, stacks or bales
    • A01D87/127Apparatus for handling, loading or unrolling round ba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7/00Loaders for hay or like field crops
    • A01D87/12Loaders for sheaves, stacks or bales
    • A01D87/127Apparatus for handling, loading or unrolling round bales
    • A01D2087/128Devices for unrolling or breaking round ba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사료원료를 포장외피로 랩핑한 베일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베일의 포장외피를 벗겨서 제거하는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와,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에 의해 포장외피가 제거된 베일을 전달받아서 커팅하는 베일 커팅장치 및 베일 커팅장치에 의해 커팅된 사료 원료에 포함된 중량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커팅된 사료 원료를 바람을 이용하여 컨베이어장치로 공급하는 사료원료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A SYSTEM FOR REMOVING LAB AND CUTTING BALE}
본 발명은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일을 포함하고 있는 포장 외피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을 사육하는 농가에서는 겨울철에 가축의 먹이(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볏짚, 옥수숫대, 밀, 보리 등을 원형으로 말아서 압축한 베일(bale)을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가축의 먹이로 공급하게 된다.
베일은 가축이 먹기에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가축의 영양 상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건초와 배합하여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베일을 효율적으로 절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는데,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9545호에서와 같이, 절단수단에 베일을 하나씩 들어올려 거치한 상태에서,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베일을 커팅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는 중량이면서도 사이즈가 큰 베일을 별도의 장비를 작업자가 운전하여 낱개씩 절단장치에 거치하여 주어야 하므로, 커팅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커팅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커팅장치의 커팅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팅수단에 의한 커팅동작시 베일이 커팅압력에 의해 커팅수단으로부터 밀려나오게 되어 정상적으로 커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러 번에 걸쳐서 커팅동작을 수행하여야 하고, 작업자가 외부로 밀려나온 베일이나 볏짚을 커팅수단으로 다시 집어넣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베일을 커팅하기 전에 랩핑하여 포장한 포장 외피를 제거하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작업자가 직접 해제하기에는 베일의 사이즈가 커서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9270호에서와 같이 베일의 포장외피 즉, 랩을 절단하면서 제거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종래기술에 의하면, 베일 전체를 포크 안에 수용한 상태에서 베일을 한 번의 동작으로 절단하면서 포장외피를 절개하여 해체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제 자동화 공정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해체된 베일이 공중에서 흩어지면서 떨어지게 되므로, 떨어진 사료원료를 다시 모아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해야 하는 공정이 추가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95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92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베일을 자동으로 연속 공급하면서, 자동으로 포장외피를 제거하고, 커팅하여 공급할 수 있는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은, 사료원료를 포장외피로 랩핑한 베일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베일의 포장외피를 벗겨서 제거하는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 상기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에 의해 포장외피가 제거된 베일을 전달받아서 커팅하는 베일 커팅장치; 및 상기 베일 커팅장치에 의해 커팅된 사료 원료에 포함된 중량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커팅된 사료 원료를 바람을 이용하여 컨베이어장치로 공급하는 사료원료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베일의 해체 및 커팅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는, 상기 베일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베일의 하부측 포장외피를 커팅하는 제1커팅부; 상기 베일의 측부측 포장외피를 커팅하는 제2커팅부; 및 상기 제1 및 제2커팅부에서 커팅된 포장외피를 베일에서 벗겨내어 제거하는 포장외피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베일의 포장외피를 자동으로 커팅한 후 벗겨내어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팅부는, 상기 베일 이송장치의 이송구간에 설치되며, 상기 베일이 통과하는 제1커팅부 터널; 상기 제1커팅부 터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송된 베일이 거치되는 제1커팅부 베이스; 상기 제1커팅부 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며, 이동시 상기 베일의 하부측 포장외피를 커팅하는 제1커팅날; 상기 제1커팅날을 상기 제1커팅부 베이스의 상부로 출몰 되게 승강 이동시키는 제1커팅날 승강구동부; 및 상기 제1커팅부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커팅날을 수평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커팅날 수평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베일의 하부측 포장외피를 자동으로 커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팅날은 복수가 상기 제1커팅부 베이스부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왕복 수평 이동되게 복수 설치되어, 상기 베일의 하부측 포장외피를 복수 방향으로 커팅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이로써, 베일의 포장외피를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도록 하부측 포장외피를 자동으로 커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팅부는, 상기 베일 이송장치의 베일 이송구간에 설치되는 제2커팅부 터널; 상기 제2커팅부 터널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구동시키는 턴테이블 구동부; 상기 제2커팅부 터널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시 상기 베일의 측부 쪽 포장외피를 커팅하는 제2커팅날; 상기 제2커팅날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2커팅날 승강구동부; 및 상기 제2커팅날 승강구동부 상기 턴테이블 상에 위치된 베일에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제2커팅날 수평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베일의 측부측 포장외피를 자동으로 커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외피 분리부는, 상기 베일 이송장치의 베일 이송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팅부를 경유한 베일의 상부에서 포장외피를 클램핑하는 클램퍼; 상기 클램퍼를 상하 이동시키는 클램퍼 승강구동부; 상기 클램퍼 승강구동부를 지지하고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클램퍼 수평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상기 베일 커팅장치는, 포장외피가 제거된 베일을 공급받는 공급구를 가지며, 상기 베일 이송장치에 연결되는 베일 커팅챔버; 상기 메일 커팅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베일을 커팅 가공하는 커터; 상기 베일 커팅챔버 내부로 공급된 베일을 상기 커터를 통과하여 커팅되게 가압하는 가압유닛; 상기 공급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안전커버; 및 상기 베일 이송장치에 의해 이동된 베일을 상기 공급구로 공급하는 베일 푸싱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포장외피가 제거된 베일을 자동으로 커팅가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원료 공급장치는, 상기 베일 커팅장치에 연결되며, 커팅된 사료원료가 유입되는 입구와 출구 및 중량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출구를 가지는 송풍덕트; 상기 송풍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커팅된 사료원료를 바람으로 날려서 상기 출구로 이동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덕트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송풍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입구 쪽에서 상기 출구 쪽으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커팅된 사료 원료에 포함된 중량의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 좋다.
이로써, 커팅된 사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내면서 컨베이어장치로 커팅된 사료원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외피 제거장치에서 상기 베일 커팅장치 사이에는 포장외피가 제거된 베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베일가이더가 상기 베일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포장외피가 제거된 베일이 컨베이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하여 베일 커팅장치까지 안정되게 이송시킬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팅부는,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설정된 각도로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턴베이블의 회전시 회전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제1 및 제2커팅부에서 커팅되는 부분이 연결되도록 하여, 포장외피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에 의하면, 대형 및 중량인 베일을 연속공급하면서 자동으로 포장외피를 제거하여 해체한 후 커팅하여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일을 해체 및 커팅 가공하여 사료를 가공 생산시, 사료 생산 공정 시간을 단축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팅된 사료 원료를 바람을 이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중량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하겨 제거하여 컨베이어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포장외피 제거, 커팅 및 이물질 제거 전 과정을 자동화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되어, 사료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고, 가축 사육 농가의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커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제1커팅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제2커팅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7a 및 도 7b 각각은 도 1의 포장외피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 각각은 도 1의 베일 커팅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은, 베일 이송장치(100),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200), 베일 커팅장치(300) 및 커팅된 사료 원료 공급장치(400)를 구비한다.
상기 베일 이송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110)와, 컨베이어 벨트(110)를 주행 가능하게 지지하는 벨트 구동롤러(120)와, 컨베이어 벨트(110)의 양측에 마련되어 베일(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130)을 구비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10)는 제1 내지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1,112,113)로 구분될 수 있고, 각 구간 컨베이어 벨트(111,112,113)는 동일선상에 연속설치되되, 독립적으로 주행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구간 컨베이어 벨트(113)의 양측에는 포장외피가 제거된 베일(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베일가이더(115)가 베일(1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포장외피(11)가 제거된 베일(10')이 제3구간 컨베이어 벨트(113)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베일 커팅장치(300)까지 이송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200)는 베일(10)의 하부측 포장외피를 커팅하는 제1커팅부(210)와, 베일(10)의 측부측 포장외피를 커팅하는 제2커팅부(220), 커팅된 포장외피를 벗겨내어 제거하는 포장외피 분리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커팅부(210)는 제1 및 제2구간 컨베이어벨트(111,112)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커팅부(2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팅부 터널(211)과, 제1커팅부 터널(21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커팅부 베이스(213)와, 상기 제1커팅부 베이스(213)에 상하 및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제1커팅날(215), 복수의 제1커팅날(215)을 승강 이동시키는 제1커팅날 승강구동부(216), 제1커팅날(215)을 수평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커팅날 수평구동부(217)를 구비한다.
제1커팅부 베이스(213)는 제1 및 제2구간 컨베이어벨트(111,112) 사이에 설치되며, 이동된 베일(10)이 이동하여 상부에 놓인다. 제1커팅부 베이스(213)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커팅날 가이드슬릿(213a)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커팅날 가이드슬릿(213a)은 제1커팅부 베이스(213)의 중심을 기준으로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커팅날(215)은 4개가 제1커팅부 베이스(213)의 내부에 위치하되, 커팅날 가이드슬릿(213a)의 중심을 기준으로 커팅날 가이드슬릿(213a)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멀어지도록 이동 및 복귀 가능하다. 그리고 제1커팅날(215)이 도 4와 같이, 제1커팅부 베이스(213)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수평 이동하면 제1커팅부 베이스(213) 위에 놓인 베일(10)의 하부의 포장외피를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커팅할 수 있다.
상기 제1커팅날 승강구동부(216)는 제1커팅부 베이스(213)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커팅날(215)을 승강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1커팅날 승강구동부(216)는 승강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커팅부 베이스(213) 상에 베일(10)이 위치된 것을 베일 감지부(미도시)에서 감지하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어 제1커팅날(215)을 상승시킨다. 여기서 상기 베일 감지부는 제1커팅부 터널(211)에 설치되어 베일(10)의 유무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접촉센서, 수발광센서, 레이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베일 감지부는 제1커팅부 베이스(213)에 설치되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베일(10)의 무게를 감지하여 베일 유무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커팅날 수평구동부(217)는 제1커팅부 베이스(213)의 내부에 설치되며, 각 제1커팅날 승강구동부(216)를 제1커팅부 베이스(213)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수평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1커팅날 수평구동부(217)는 대상물을 수평 이동시키는 리니어모터나 유압식 액추에이터 또는 리드스크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커팅날 수평구동부(217)는 다양한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커팅부(210)에서 포장 외피의 하부가 커팅된 베일(10)은 뒤이어서 이동하는 베일(10)에 밀려서 또는 별도의 푸싱수단(미도시)에 의해서 제2구간 컨베이어벨트(112)에 의해 제2커팅부(220)로 이동된다.
상기 제2커팅부(220)는 제2 및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2,113) 사이에 설치되어, 베일(10)의 측면쪽 포장외피를 복수 위치에서 상하로 커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커팅부(220)는 제2커팅부 터널(221)과, 제2커팅부 터널(221)의 하부에 설치되는 턴테이블(222)과, 상기 턴테이블(222)을 회전구동시키는 턴테이블 구동부(223), 상기 제2커팅부 터널(221)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커팅날(224)과, 상기 제2커팅날(224)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2커팅날 승강구동부(225), 제2커팅날 승강구동부(225)를 턴테이블(222) 상에 위치된 베일(10)에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제2커팅날 수평구동부(226)를 구비한다.
제2커팅부 터널(221)은 베일(10) 이송 방향으로는 개방되어 있고, 측면으로는 막힌 구조를 가지며, 내측에 베일(10)을 감지하는 베일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222)은 제2 및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2,113)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된 베일(10)을 지지한다. 턴테이블(222)의 하부에는 턴테이블 구동부(223)가 설치되어, 턴테이블(222)을 설정된 회전각도로 단계적으로 회전시킨다. 턴테이블(222)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베이스(227)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베어링(227a)이 설치된다. 상기 턴테이블 구동부(223)는 고정베이스(227)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23a), 구동모터(223a)의 회전력을 턴테이블(222)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구동모터(223a)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223b)와, 구동기어(223b)에 기어 연결되도록 턴테이블(222)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구간 형성되는 종동기어(223c) 또는 체인을 구비할 수 있다. 턴테이블(222)에 체인이 설치될 경우, 구동기어(223b)를 대신하여 스프라켓이 구동모터(223a)의 구동축에 설치된다.
상기 제2커팅날(224)은 한 쌍이 베일(1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베일(10)이 턴테이블(222) 상에 위치되면, 도 6과 같이, 베일(10)의 측부 상부에서부터 하강하면서 베일(10)의 측부쪽 포장외피를 커팅할 수 있다.
상기 제2커팅날 승강구동부(225)는 제2커팅부 터널(221) 내측에 상하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가이더(225a)와, 승강가이더(225a)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커팅날(224)을 지지하는 승강블록(225b)을 구비한다. 승강가이더(225a)는 베일(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승강블록(225b)은 리니어모터나, 유압실린더 또는 랙기어로 연결된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가이더(225a)에 승강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승강가이더(225a)는 제2커팅날 수평구동부(226)에 의해 베일(10)에 접근 및 이격되게 구동된다. 제2커팅날 수평구동부(226)는 제2커팅날 터널(221)에 설치되어, 승강가이더(225a)를 수평 구동시키는 복수의 액추에이터(226)를 구비한다. 베일(10)이 턴테이블(222) 위로 이동된 것이 확인되면, 액추에이터(226)가 구동하여 승강가이더(225a)를 베일(10) 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2커팅날(224)이 베일(10)의 측부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하강시 베일(10)의 측부쪽 포장외피를 상하로 커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베일(10)의 양측의 포장외피를 상하로 커팅한 후에, 제2커팅날(224)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턴테이블(222)을 대략 90도 각도 회전시켜서 베일(10)의 자세를 변경한다. 그런 다음에, 제2커팅날(224)을 다시 하강시켜서 베일(10)의 측부쪽 포장외피를 상하로 커팅한다. 이로써, 베일(10)의 측부의 포장외피를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하여 상하로 커팅할 수 있다.
여기서, 턴테이블(222)을 90도 각도 정확하게 회전시켜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회전각 결정부(228)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회전각 결정부(228)는 고정베이스(227)에 설치되는 고정스토퍼(228a)와, 턴테이블(222)에 설치되는 서브스토퍼(228b)를 구비한다. 고정스토퍼(228a)는 턴테이블(222)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위치 즉, 180도 각도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고, 서브스토퍼(228b)는 턴테이블(222)의 중심을 기준으로 90도 각도 간격으로 복수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턴테이블(222)의 회전시 고정스토퍼(228a)에 서브스토퍼(228b)가 접촉되어 걸리면, 구동모터(223a)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설정함으로써 턴테이블(222)의 회전각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전각 결정부(228)는 고정베이스(227)에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턴테이블(222)에 90도 각도마다 표시부를 설치하여, 감지센서가 표시부를 감지할 경우에 턴테이블(222)의 회전을 정지시켜서 회전각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베일(10)은 제1커팅부(210)에서 하부의 포장외피가 커팅된 방향이 변경되지 않고, 제2커팅부(220)로 그대로 이동되므로, 제2커팅날(224)에 의해 커팅되는 위치가 제1커팅날(215)에 의해 커팅된 부분과 거의 근접하게 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커팅부(220)에서 커팅된 베일(10)은 뒤이어서 오는 베일에 의해 밀리거나 별도의 푸싱수단(미도시)에 의해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3)로 옮겨진다. 그리고 베일(10)은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3)에 의해서 포장외피 분리부(230)로 이동된다.
포장외피 분리부(230)에서는 제1 및 제2커팅부(210,220)에서 하부와 측면이 커팅된 포장외피를 베일(10) 즉, 내부의 사료원료와 분리하여 제거한다. 이러한 포장외피 분리부(230)는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3) 주행구간에 설치되어 베일(10)의 측부의 상부 부분에서 포장외피(11)를 클램핑하는 클램퍼(231)와, 상기 클램퍼(231)를 상하 이동시키는 클램퍼 승강구동부(233)와, 상기 클램퍼 승강구동부(233)를 지지하고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클램퍼 수평구동부(235)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퍼(231)는 베일(10)의 양측부 각각의 상부 부분(베일의 측부와 상부의 경계부분)을 동시에 클램핑할 수 있도록 복수 구비된다. 따라서 각 클램퍼(231)에 대응하여 클램퍼 승강구동부(233)도 복수 설치되며, 각각의 구성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퍼(231)는 클램퍼 본체(231a)와, 클램퍼 본체(231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클램핑부재(231b)와, 복수의 클램핑부재(231b)의 클램핑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램퍼 구동부(231c)를 구비한다. 클램핑부재(231b)는 한 쌍이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서로 접근 및 이격되도록 회동되며, 접근시 끝단이 베일(10)의 상부의 포장외피를 찍어서 클램핑할 수 있도록 날카롭게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클램핑부재들(231b)은 일단이 클램퍼 본체(231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클램퍼 구동부(231c)는 클램퍼 본체(231a)에 설치되어 각 클램핑부재(231b)를 밀거나, 당겨서 강제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유압실린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일(10)의 상부의 포장외피(11)를 클램퍼(231)로 클램핑 동작할 때, 클램핑부재(231b)의 끝단의 날카로운 부분이 포장외피(11)와 포장외피 내부의 그물을 함께 긁으면서 모아서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램퍼 승강구동부(233)는 클램퍼 본체(231a)를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나 리니어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퍼 승강구동부(233)는 클램퍼 수평구동부(235)에 지지된다.
상기 클램퍼 수평구동부(235)는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3)의 상부에서, 제3구간 컨베이어 벨트(113)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 가이드프레임(235a)과, 상기 수평 가이드프레임(235a)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램퍼 승강구동부(233)를 지지하는 수평 이동블록(235b)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 이동블록(235b)은 미도시된 리니어모터나 유압실린더 또는 리드스크류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 가이드프레임(235a)에서 왕복 이동된다. 이로써 베일(10)이 클램퍼(231)의 하부로 이동하면, 미도시된 베일 감지센서에서 클램퍼(231)의 하부에 베일(10)이 위치된 것을 감지한다. 그러면, 클램퍼 승강구동부(233)에 의해 클램퍼(231)가 하강하여 베일(10)의 상부의 포장외피(11)를 클램핑한다. 이 상태에서 승강구동부(233)에 의해 클램퍼(231)가 상승하면, 제1 및 제2커팅부(210,220)에서 하부와 측부의 여러 곳이 커팅되어 있는 포장외피(11)와 측부가 커팅된 그물(미도시)을 클램퍼(231)가 클램핑한 상태로 들어올려지고, 포장외피(11)와 그물는 베일(10)의 사료원료와 분리된다. 클램퍼(231)가 포장외피(11)를 벗겨서 상승한 상태에서 클램퍼 수평구동부(235)에 의해 수평 가이드프레임(235a)을 따라서 이동하여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3)를 벗어난다.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3)를 벗어난 클램퍼(231)는 벗겨내어 분리한 포장외피(11)의 클램핑상태를 해제하여 포장외피 수거위치로 떨어뜨려서 제거할 수 있다. 포장외피 수거위치에는 별도의 수거용기나 수거차량 등이 준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물은 베일(10)의 측부쪽에만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므로, 상기 그물은 제2커팅부(200)에서 상하로 포장외피(11)와 함께 커팅되고, 커팅된 그물과 포장외피(11)는 포장외피 제거부(300)에서 클램퍼(231)에 의해 클램핑되어 분리 및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베일 커팅장치(300)는 상기와 같이 포장외피 제거장치(200)에 의해 포장외피가 제거된 베일(10') 즉, 사료원료를 일정 크기로 커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베일 커팅장치(300)는 커팅 가공할 베일을 공급받는 공급구(311)를 가지는 베일 커팅챔버(310)와, 베일 커팅챔버(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베일 커팅챔버(311) 내부를 유입부(A)와 배출부(B)로 구분하여 유입부(A)에서 상기 배출부(B)로 이동되는 베일을 커팅 가공하는 커터(320), 상기 유입부(A) 내부로 공급된 베일(10')을 상기 커터(320)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330), 상기 공급구(3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안전커버(340) 및 공급구(311)로 베일(10')을 공급하는 베일 투입유닛(350)을 구비한다.
베일 커팅챔버(310)는 하부벽과, 상부벽 및 양측의 측면벽 가지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하우징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벽에는 베일(10')이 공급되는 공급구(311)가 개방되어 있다.
베일 커팅챔버(310)의 내부에는 커터(32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커터(320)를 사이에 두고, 공급구(311) 측의 공간은 베일(10')이 공급되어 가압유닛(330)에 의해 가압되는 커터(320)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유입부(A)가 마련되고, 반대 측의 공간은 커터(320)를 통과하면서 커팅된 베일 즉, 커팅된 사료 원료(볏짚, 풀 등)가 이동되는 배출부(B)로 구분될 수 있다. 배출부(B)에는 상기 커팅된 사료 원료 공급장치(400)가 연결되거나, 별도의 컨베이어유닛이 설치되거나, 또는 사료 혼합챔버 등이 연결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자동 커팅된 베일의 불순물을 제거하면서, 커팅된 사료원료를 혼합 발효시키면서 이송시키고, 포장공정까지 수행할 수 있는 설비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공급구(311)는 안전커버(34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따라서 유입부(A) 내부로 베일(10')이 공급되면, 안전커버(340)에 의해 공급구(311)는 닫히게 되어, 유입부(A)가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커팅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가압되는 베일(10')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커터(320) 쪽으로만 가압되어 이동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커팅동작이 마무리되면, 공급구(311)는 다시 개방되어 커팅할 새로운 베일(10')을 다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커터(320)는 커팅 챔버(310)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가압유닛(330)에 의해 베일(10')이 가압되어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격자구조로 배치된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격자구조의 커터(320)의 중심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폭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로 인해,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베일(10')이 가압되어 커터(320)에 접촉시, 커터(320)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을 받으면서 동시에 접촉되면서 균일한 간격(길이)으로 효율적으로 커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330)은 커팅 챔버(310)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판(331)과, 가압판(331)을 왕복 구동시키는 가압판 액추에이터(333)를 구비한다.
가압판(331)은 커팅 챔버(310) 내부의 공간 즉, 유입부(A)의 내부면에 최대한 근접 배치된 상태에서, 가압판 액추에이터(333)의 구동시 베일(10')을 커터(320) 쪽으로 가압한다(도 9 참조). 이러한 가압판(331)은 베일(10')에 접촉되는 접촉면의 중앙부분이 주변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판(331)을 커터(320) 쪽으로 최대한 밀어서 베일(10')을 가압하면, 베일(10')이 커터(320)를 완전하게 통과하면서 커팅 될 수 있다.
가압판 액추에이터(333)는 커팅 챔버(310)에 설치되어 가압판(331)을 왕복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판 액추에이터(333)는 유압실린더 이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왕복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액추에이터(333)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리드스크류에 의해 왕복 구동되는 작동실린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안전커버(340)는 커팅 챔버(31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구(3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구동된다. 이러한 안전커버(340)는 공급구(311)를 개폐하도록 커팅 챔버(310) 측면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판(331)과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개폐 동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커버(340)는 미도시된 액추에이터, 리니어모터, 리드스크류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개폐 동작 가능하도록 왕복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베일 투입유닛(350)은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3)를 통해 이동되는 베일(10')을 공급구(311)의 앞에 위치되어 정지된 베일(10)을 공급구(311)를 통해 커팅 챔버(310) 내부로 밀어서 공급하는 푸싱부재(351) 및 푸싱부재(351)를 구동시키는 푸싱부재 구동부(353)을 구비한다.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3)와 나란하도록 그 측부에 커팅 챔버(310)가 배치되고, 공급구(311)가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3) 쪽으로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3구간 컨베이어(113)에는 포장외피가 제거된 베일(10')이 이동하고, 이동된 베일(10')은 공급구(311) 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되는 베일(10')은 미도시된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베일이 감지되면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3)의 구동이 정지된다.
베일(10)이 공급구(311) 입구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한 신호에 의해서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3)가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푸싱부재(351)가 푸싱부재 구동부(353)에 의해 구동되어 공급구(311) 내부로 베일(10')을 밀어서 넣는다. 이러한 푸싱부재 구동부(353)는 푸싱부재(353)를 왕복 구동시키는 푸싱용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푸싱용 액추에이터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구동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커팅된 사료 원료 공급장치(400)는 커팅챔버(310)의 출구부에 연결되는 송풍덕트(410)와, 송풍덕트(410)에 설치되는 송풍기(420)와, 송풍덕트(410)의 배출측에 설치되는 송풍필터(430)를 구비한다.
상기 송풍덕트(410)는 상기 커팅챔버(310)의 출구부로 커팅되어 나오는 커팅 사료원료가 투입되는 입구(411)가 일단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송풍기(420)의 바람에 의해 이송된 커팅된 사료원료가 낙하하여 배출되는 배출구(413)를 가진다. 커팅챔버(310)의 배출부는 하방으로 개방되어 송풍덕트(410)의 입구(411)와 연통된다. 송풍덕트(410)는 커팅챔버(310)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커팅챔버(310)의 배출부(B)를 통해 배출되는 커팅된 사료원료가 입구(411)를 통해 송풍덕트(410) 내부로 낙하한다. 이때, 입구(411)에는 커팅된 사료원료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415)가 설치된다. 송풍덕트(410)는 입구(411)가 형성된 일단에서 배출구(413)가 형성된 타단까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송퐁기(420)는 송풍덕트(410)의 하단부 쪽에 설치되어, 배출구(413) 쪽으로 바람을 발생시켜 제공함으로써, 가이드부재(415)에 의해 안내되어 낙하하는 커팅된 사료원료를 바람으로 날려서 배출구(413) 쪽으로 보낸다. 이러한 과정 중에 커팅된 사료원료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이나, 돌, 흙 등은 바람에 날리지 않고, 떨어져서 흘러내려서 송풍덕트(4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이물질 배출구(416)를 통해 배출된다. 이물질 배출구(416)에는 별도의 개폐도어가 망 구조로 설치되어서, 작은 흙이나 돌조각 배출시키고, 비교적 큰 이물질은 망에 걸려진 상태에서 추후 작업자에 의해 수거될 수도 있다.
송풍기(420)에서 제공되는 바람은 송풍덕트(410)의 상부의 송풍필터(4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송풍필터(430)는 바람 즉, 공기압은 빠지로록 하고, 날려온 커팅된 사료원료는 걸러내어서, 배출구(413)로 낙하하도록 한다.
상기 배출구(413)로 낙하된 커팅된 사료원료는 컨베이어장치(500)에 의해 혼합, 연질화과정을 거치면서 다음 공정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서 배출구(413)의 하단에는 컨베이어장치(500)가 연결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의 작용 효과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포장외피(11)에 의해 포장된 베일(10)이 제1구간 컨베이어벨트(111)에 공급된다. 그러면, 베일(10)은 제1구간 컨베이어벨트(111)에 의해 제1커팅부(210)로 이동된다.
제1커팅부(210)로 베일(10)이 이동되면, 도 3의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복수의 제1커팅날(215)이 상승하여, 베일(10)의 하부의 중앙의 포장외피를 뚫는다. 이 상태에서 제1커팅날 수평구동부(216)를 구동시켜서 도 5와 같이, 수평 이동시킨다. 그러면 베일(10)의 하부의 포장외피가 중앙부터 방사상으로 커팅된다.
이와 같이, 제1커팅부(216)에서 베일(10)의 하부의 포장외피 커팅공정이 마무리되면, 다음의 베일(10)이 이동되어 1차로 커팅된 베일이 제2구간 컨베이어벨트(112)로 이동된다. 물론, 미도시된 푸싱수단에 의해서 제1커팅부(210)에 위치된 베일(10)을 제2구간 컨베이어벨트(11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구간 컨베이어벨트(112)로 이동된 베일(10)은 제2커팅부(220)로 이동된다. 제2커팅부(220)로 베일이 이동되면, 앞서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커팅날(224)을 상하로 이동시켜서 베일(10)의 측부의 포장외피를 상하로 커팅한다. 물론, 턴테이블(222)을 회전시켜서 베일(10)을 90도 각도 회전시킨 후에, 다시 제2커팅날(224)로 베일(10)의 측부의 포장외피를 상하로 커팅한다. 이때, 제2커팅날(224)에 의해 커팅된 부분은 제1커팅날(215)에 의해 커팅된 부분과 연결되거나, 적어도 인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커팅날(224)에 의해 측부가 상하로 커팅된 베일()은 다시 제3구간 컨베이어 롤러(113)로 옮겨져서 도 7과 같이, 포장외피 분리부(230)로 이동된다.
포장외피 분리부(230)로 베일(10)이 위치하면, 제3구간 컨베이어 롤러(113)의 구동이 정지되고, 클램퍼(231)가 클램퍼 승강구동부(233)의 구동에 의해 하강한다. 하강한 클램퍼(231)를 클램퍼 구동부(231c)에 의해 구동하여 베일(10)의 측부의 상부 부분의 포장외피를 긁어서 클램핑한다. 클램퍼(231)가 포장외피와 내부의 그물을 함께 클램핑한 상태에서, 클램퍼 승강구동부(233)에 의해 상승하면, 베일(10)의 하부와 측부의 4곳에서 커팅된 상태의 포장외피(11)를 벗겨지면서 베일(10)의 사료원료와 분리된다. 이때 제1 및 제2커팅날(215)(224)에 의해 커팅된 부분이 연결되지 않는 부분이 있더라도, 커팅된 부분이 인접하기 때문에, 클램퍼(231)에 의해 포장외피(11)가 상부로 당겨지면서 강제로 커팅되어 베일(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램퍼(231)는 수평 이동시켜서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3)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런 다음, 클램퍼(231)를 해제하면, 클램핑되어 분리된 포장외피가 낙하되어 회수위치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포장외피(11)가 분리된 베일(10')은 다시 제3구간 컨베이어벨트(113)에 의해 베일 커팅장치(300)의 공급구(311) 앞에서 정지된다.
공급구(311) 입구에 위치된 베일(10')은 상기 푸싱부(350)의 구동에 의해 커팅 챔버(310)의 유입구(A) 내부로 공급된다. 즉, 도 8에서 실선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푸싱부재(351)가 베일(10')을 푸싱하면,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A) 내부로 베일(10')이 이동된다. 이때, 안전커버(340)는 공급구(311)에서 벗어나도록 위치되어 베일(10')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일(10')을 공급 후에 푸싱부재(351)는 초기위치로 복귀되며, 안전커버(340)는 공급구(311)를 차단하도록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가압유닛(330)을 구동하여 가압판(331)을 커터(320) 쪽으로 이동시키면, 가압판(331)이 베일(10')을 커터(320)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베일(10')의 커팅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10과 같이, 가압판(331)이 커터(320)의 단부에 밀착될 때까지 가압판(331)을 가압하게 되면, 베일(10')이 전체적으로 남김없이 커터(320)를 통과하면서 커팅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터(320)에 의해 커팅된 사료원료는 송풍덕트(410)로 낙하되어 투입된다. 송풍덕트(410)로 낙하된 커팅된 사료원료는 송풍기(420)의 바람에 의해 강제로 이동되어 배출구(413)로 이동되어 컨베이어장치(500)로 공급된다. 이때, 송풍덕트(410) 내에서 돌이나, 금속, 흙 등의 이물질은 바람에 날리지 않고, 낙하하여 이물질 배출구(413)를 통해 배출되어 분리된다. 그리고, 송풍기(420)의 바람은 송풍덕트(410)의 상부의 배출필터(430)를 통해 배출되고, 사료는 송풍덕트(410)의 반대쪽 상부로 이동된 후, 낙하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일(10)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포장외피를 자동으로 커팅하고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포장외피가 제거된 베일을 자동으로 커팅하고, 커팅된 사료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 후에 컨베이어장치를 통해 가공공정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베일 해제 및 커팅공정이 자동으로 수행 가능하므로, 대량의 베일(10)을 해제, 커팅, 가공하는 연속공정이 가능하게 되어, 사료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사료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베일 이송장치 110..컨베이어 벨트
120..벨트 구동롤러 130..가이드프레임
200..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 210..제1커팅부
220..제2커팅부 230..포장외피 분리부
300..베일 커팅장치 310..베일 커팅챔버
320..커터 330..가압유닛
340..안전커버 400..커팅된 사료 원료 공급장치
410..송풍덕트 420..송풍기
430..송풍필터 500..컨베이어장치

Claims (10)

  1. 사료원료를 포장외피로 랩핑한 베일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베일의 포장외피를 벗겨서 제거하는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
    상기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에 의해 포장외피가 제거된 베일을 전달받아서 커팅하는 베일 커팅장치; 및
    상기 베일 커팅장치에 의해 커팅된 사료 원료에 포함된 중량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커팅된 사료 원료를 바람을 이용하여 컨베이어장치로 공급하는 사료원료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는,
    상기 베일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베일의 하부측 포장외피를 커팅하는 제1커팅부;
    상기 베일의 측부측 포장외피를 커팅하는 제2커팅부; 및
    상기 제1 및 제2커팅부에서 커팅된 포장외피를 베일에서 벗겨내어 제거하는 포장외피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팅부는,
    상기 베일 이송장치의 이송구간에 설치되며, 상기 베일이 통과하는 제1커팅부 터널;
    상기 제1커팅부 터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송된 베일이 거치되는 제1커팅부 베이스;
    상기 제1커팅부 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며, 이동시 상기 베일의 하부측 포장외피를 커팅하는 제1커팅날;
    상기 제1커팅날을 상기 제1커팅부 베이스의 상부로 출몰 되게 승강 이동시키는 제1커팅날 승강구동부; 및
    상기 제1커팅부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커팅날을 수평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1커팅날 수평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팅날은 복수가 상기 제1커팅부 베이스부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왕복 수평 이동되게 복수 설치되어, 상기 베일의 하부측 포장외피를 복수 방향으로 커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팅부는,
    상기 베일 이송장치의 베일 이송구간에 설치되는 제2커팅부 터널;
    상기 제2커팅부 터널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구동시키는 턴테이블 구동부;
    상기 제2커팅부 터널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시 상기 베일의 측부쪽 포장외피를 커팅하는 제2커팅날;
    상기 제2커팅날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2커팅날 승강구동부; 및
    상기 제2커팅날 승강구동부 상기 턴테이블 상에 위치된 베일에 접근 및 이격시키는 제2커팅날 수평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외피 분리부는,
    상기 베일 이송장치의 베일 이송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팅부를 경유한 베일의 포장외피를 클램핑하는 클램퍼;
    상기 클램퍼를 상하 이동시키는 클램퍼 승강구동부;
    상기 클램퍼 승강구동부를 지지하고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클램퍼 수평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일 커팅장치는,
    포장외피가 제거된 베일을 공급받는 공급구를 가지며, 상기 베일 이송장치에 연결되는 베일 커팅챔버;
    상기 메일 커팅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베일을 커팅 가공하는 커터;
    상기 베일 커팅챔버 내부로 공급된 베일을 상기 커터를 통과하여 커팅되게 가압하는 가압유닛;
    상기 공급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안전커버; 및
    상기 베일 이송장치에 의해 이동된 베일을 상기 공급구로 공급하는 베일 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원료 공급장치는,
    상기 베일 커팅장치에 연결되며, 커팅된 사료원료가 유입되는 입구와 출구 및 중량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출구를 가지는 송풍덕트;
    상기 송풍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로 유입되는 커팅된 사료원료를 바람으로 날려서 상기 출구로 이동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송풍덕트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송풍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덕트는 상기 입구 쪽에서 상기 출구 쪽으로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커팅된 사료 원료에 포함된 중량의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외피 제거장치에서 상기 베일 커팅장치 사이에는 포장외피가 제거된 베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베일가이더가 상기 베일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팅부는,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각도를 설정된 각도로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KR1020200068040A 2020-06-05 2020-06-05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KR102542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040A KR102542005B1 (ko) 2020-06-05 2020-06-05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KR1020220100371A KR102524580B1 (ko) 2020-06-05 2022-08-11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040A KR102542005B1 (ko) 2020-06-05 2020-06-05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371A Division KR102524580B1 (ko) 2020-06-05 2022-08-11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349A true KR20210151349A (ko) 2021-12-14
KR102542005B1 KR102542005B1 (ko) 2023-06-08

Family

ID=789026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040A KR102542005B1 (ko) 2020-06-05 2020-06-05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KR1020220100371A KR102524580B1 (ko) 2020-06-05 2022-08-11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371A KR102524580B1 (ko) 2020-06-05 2022-08-11 베일 포장외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20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8503A1 (en) * 1998-12-24 2000-07-06 Lely Research Holding Ag An implement for feeding animals
KR100834707B1 (ko) * 2007-01-23 2008-06-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Tmr 배합용 원형베일 조사료의 전처리 가공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원형베일 전처리 가공방법
KR20120109545A (ko) 2009-12-07 2012-10-08 토마스 쉬디 베일 절단 장치 및 그 방법
WO2015091377A1 (en) * 2013-12-19 2015-06-25 Triodor Arge Device for processing round bales wrapped in wrapping material
US20160362214A1 (en) * 2015-06-12 2016-12-15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Bale processor and binding remover
KR20200050598A (ko) * 2018-11-02 2020-05-12 김중관 사료 제조 플랜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9895B2 (ja) 2007-02-01 2012-09-05 株式会社タカキタ ロールベール解体装置
DE09787412T1 (de) 2008-08-08 2013-06-06 Unique Inventions Company Ltd. Ballenteiler und verfahren zum teilen eines eingewickelten ballens und zum trennen von einwickelmaterial von dem ballen
JP5386693B2 (ja) 2009-12-24 2014-01-15 三重県 ラップ梱包体の解体用グラブ、該ラップ梱包体の解体用グラブを備えた解体装置、並びに解体装置を含むラップ梱包体処理システム
EP2830408B1 (en) 2012-03-30 2019-03-27 McHale Engineering A bale splitter and a method for splitting a bale
US10506763B2 (en) 2015-08-11 2019-12-17 Tie Down, Inc. Apparatus for splitting bales and retaining wrap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38503A1 (en) * 1998-12-24 2000-07-06 Lely Research Holding Ag An implement for feeding animals
KR100834707B1 (ko) * 2007-01-23 2008-06-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Tmr 배합용 원형베일 조사료의 전처리 가공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원형베일 전처리 가공방법
KR20120109545A (ko) 2009-12-07 2012-10-08 토마스 쉬디 베일 절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829270B1 (ko) 2009-12-07 2018-03-29 토마스 쉬디 베일 절단 장치 및 그 방법
WO2015091377A1 (en) * 2013-12-19 2015-06-25 Triodor Arge Device for processing round bales wrapped in wrapping material
US20160362214A1 (en) * 2015-06-12 2016-12-15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Bale processor and binding remover
KR20200050598A (ko) * 2018-11-02 2020-05-12 김중관 사료 제조 플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798A (ko) 2022-08-18
KR102524580B1 (ko) 2023-04-20
KR102542005B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9141A (en) Bale-opening method and apparatus
US8769801B2 (en) Biomass bale processing system with automatic binding remover
CN207044288U (zh) 一种电路板冲切机
CN210284760U (zh) 一种全自动连续拉伸真空包装机
KR20210151349A (ko) 베일 해체 및 커팅 공급시스템
CN214524930U (zh) 一种半自动密闭式拆内袋设备
CN110803335A (zh) 一种自动水果网套包装机
CN211129619U (zh) 一种全自动茶叶制作机构
CN206203362U (zh) 一种原木旋切木板智能分检码垛装置及自动化生产线
EP23915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of packaged bales
CN111990479A (zh) 一种茉莉花茶的自动化生产线
FI79965C (fi) UTRUSTNING FOER ATT TILLSKAERA GAVELRONDELLER FOER EMBALLERING AV PAPPERSRULLAR. - SIIRRETTY PAEIVAEMAEAERAE-FOERSKJUTET DATUM PL 14 ç 13.09.85 -
CN210882952U (zh) 蔬果自动化拆袋设备
CN211139709U (zh) 一种中药饮片智能装盘线
KR20240058444A (ko) 바이오매스 베일 제거용 랩 그랩장치
KR20240058436A (ko) 바이오매스 베일 랩 제거 시스템
KR20240058454A (ko) 바이오매스 베일 랩 제거 시스템
KR20240053343A (ko) 베일 포장재 커팅 시스템
EP1491450A1 (en) Separation device
CN111453111A (zh) 原料自动破包投料系统
CN112140203B (zh) 一种高效率中药材产品加工设备
CN213763617U (zh) 一种全自动检测、筛选和冲压装置
CN220759456U (zh) 一种带筛分装置的中药破壁机
CN110154355A (zh) 一种塑料管材生产加工装置及方法
CN214241579U (zh) 一种带预压机构的山楂片传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