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30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300A
KR20210151300A KR1020200067761A KR20200067761A KR20210151300A KR 20210151300 A KR20210151300 A KR 20210151300A KR 1020200067761 A KR1020200067761 A KR 1020200067761A KR 20200067761 A KR20200067761 A KR 20200067761A KR 20210151300 A KR20210151300 A KR 20210151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electrode
electrodes
disposed
signal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김은영
한혜윤
방경남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7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1300A/ko
Priority to CN202110613303.0A priority patent/CN113759583A/zh
Priority to US17/337,586 priority patent/US11567617B2/en
Publication of KR2021015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300A/ko
Priority to US18/092,338 priority patent/US1184728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01L27/323
    • H01L27/327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고 복수 개의 전극들이 배치된 활성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영역은 센터 영역 및 상기 센터 영역보다 외측에 배치된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복수 개의 제1 전극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들에 대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들은, 상기 센터 영역에 배치된 센터 전극 및 상기 외곽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 전극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외곽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전극은 감지 패턴 및 플로팅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전극은 실질적으로 감지 패턴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곽 영역의 감도가 향상된 입력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컴퓨터,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들의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을 포함한다. 또한, 최근에 표시 장치들은 입력장치로서 입력센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곽 영역의 감도가 향상된 입력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고 복수 개의 전극들이 배치된 활성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 영역은 센터 영역 및 상기 센터 영역보다 외측에 배치된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복수 개의 제1 전극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들에 대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들은, 상기 센터 영역에 배치된 센터 전극 및 상기 외곽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 전극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외곽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전극은 감지 패턴 및 플로팅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전극은 실질적으로 상기 감지 패턴 만을 포함한다.
상기 플로팅 패턴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감지 패턴 및 상기 복수 개의 플로팅 패턴은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곽 전극은 라운드 된 엣지를 가지고, 제1 외곽 전극 및 상기 제1 외곽 전극보다 제1 방향에서 상기 입력센서의 안쪽에 배치되는 제2 외곽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엣지로부터 상기 비활성 영역으로 일부 연장되어 상기 비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외곽 전극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센서는 상기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외곽 전극의 상기 엣지에 인접한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외곽 전극의 제2 부분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전극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 외곽 전극의 상기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센터 전극은 상기 제1 외곽 전극 및 상기 제2 외곽 전극과 인접한 제1 센터 전극, 및 상기 제1 외곽 전극 및 상기 제2 외곽 전극과 비-인접한 제2 센터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터 전극의 상기 플로팅 패턴이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제2 센터 전극의 상기 플로팅 패턴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들과 상기 복수 개의 제2 전극들은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을 정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들 중 하나의 제1 전극 및 상기 하나의 제1 전극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전극들 중 n(n은 2 이상)개의 제2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은 제1 센서블록 및 상기 제1 센서블록에 인접한 제2 센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블록의 첫 번째 내지 n 번째 제2 전극은 상기 제2 센서블록의 n번째 내지 첫 번째 제2 전극에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센서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들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신호라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센서는 상기 제1 센서블록의 첫 번째 내지 n 번째 제2 전극과 상기 제2 센서블록의 n 번째 내지 첫 번째 제2 전극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제2 신호라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들, 상기 제2 전극들, 상기 제1 신호라인들 및 상기 제2 신호라인들은 상기 활성 영역 내에서 동일 층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신호라인들 및 상기 제2 신호라인들은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상기 외곽 전극에 연결된 제1 신호라인들은 상기 활성 영역 내에서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직선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 신호라인들이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메쉬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 신호라인들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외곽 전극 중 상기 직선 형상을 가지는 제1 신호라인들과 연결된 상기 외곽 전극의 면적은 상기 메쉬 형상을 가지는 제2 신호라인들과 연결된 상기 외곽 전극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라인들 중 상기 외곽 전극과 연결된 상기 제1 신호라인들은 상기 비활성 영역에서 상기 외곽 전극과 적어도 15um 만큼 이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전극들은 동일한 베이스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회로층, 상기 회로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소자층 및 상기 표시소자층을 밀봉하는 봉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봉지층의 일면은 상기 베이스 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활성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 영역은 센터 영역 및 상기 센터 영역보다 외측에 배치된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센서는 상기 활성 영역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대응하게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을 연결하는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제2 전극을 연결하는 제2 신호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상기 센터 영역에 배치된 센터 전극 및 상기 외곽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 전극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외곽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전극은 감지 패턴 및 플로팅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전극은 실질적으로 상기 감지 패턴만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제2 신호라인은 동일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입력센서의 외곽 영역에 배치된 전극들의 감도가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입력센서의 외곽 영역에 배치된 전극이 가지는 더미패턴들을 제거하고 감지패턴을 배치시킴으로써 전극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입력센서의 외곽 영역에 배치된 전극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전극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곽 영역에 배치된 메쉬 패턴을 가지는 신호라인의 형상을 라인 패턴으로 바꾸어, 신호라인이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고 감지패턴의 면적을 증가시켜 전극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센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표시패널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센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센서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전극을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곽 영역의 일부를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형상을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곽 영역의 일부를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곽 영역의 일부를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곽 영역의 신호라인을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영역의 신호라인을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A)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DA)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보호 프레임(200)은 미 도시되었다.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표시면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제3 방향축(DR3)이 표시 장치(DA)의 두께 방향을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방향축들(DR1, DR3,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방향 내지 제3 방향은 상기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3, DR3)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도 1은 일 실시예로서 플랫한 표시 장치(DA)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커브드(curved) 표시 장치, 말려지는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 접히는 폴더블(foldable)/벤더블(benda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표시 장치(DA)는 텔레비전, 모니터와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유닛, 게임기, 휴대용 전자 기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A)는 표시면 상에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DA)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DR), 표시 영역(DR)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R)을 포함한다. 도 1은 이미지(IM)의 일 예로 인터넷 검색창을 도시하였다. 일 예로서, 표시 영역(DR)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R)은 표시 영역(DR)을 에워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DR)은 표시 영역(DR)을 중심으로 제1 방향(DR1)에서만 마주하게 배치되거나, 제2 방향(DR2)에서만 마주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DR)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A)는 윈도우 부재(100), 보호 프레임(200), 표시패널(300), 및 입력센서(40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DA)는 표시패널(300) 및 입력센서(400)에 각각 접속된 제1 회로기판(300-F) 및 제2 회로기판(400-F)을 포함한다. 제1 회로기판(300-F) 및 제2 회로기판(400-F)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플렉서블 회로기판일 수 있다. 제2 회로기판(400-F)에는 입력센서를 구동하는 구동회로(400-IC)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회로는 드라이버 IC일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회로기판(300-F)에는 표시패널(300)을 구동하는 구동회로, 즉 드라이버 IC(미 도시)가 실장될 수도 있다.
윈도우 부재(100), 표시패널(300), 및 입력센서(400) 각각은 평면상에서 표시 장치(DA)의 표시 영역(DR) 및 비표시 영역(NDR)에 대응하는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에서 윈도우 부재(100), 표시패널(300), 및 입력센서(400)의 제1 방향에 따른 너비들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윈도우 부재(100), 표시패널(300), 및 입력센서(400)의 너비들은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는 베이스부재(100-BS) 및 블랙 매트리스(BM)를 포함한다. 블랙 매트리스(BM)는 베이스부재(100-BS)의 배면에 배치되어 비표시 영역(NDR)을 정의한다. 베이스부재(100-BS)는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플라스틱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 매트리스(BM)는 유색의 유기층으로서 예컨대,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윈도우 부재(100)는 베이스부재(100-BS)의 전면에 배치된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은 지문 방지층, 반사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프레임(200)은 표시패널(300) 및 입력센서(400)를 수납하도록 윈도우 부재(100)와 결합된다. 보호 프레임(200)은 서로 조립되는 복수 개의 부분들을 포함하거나, 사출/압축/압출 성형된 하나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프레임(20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호 프레임(200)은 생략될 수 있다.
표시패널(300)은 표시 영역(DR) 및 표시 영역(DR)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R)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300)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IM)를 생성한다. 표시패널(300)은 액정표시패널 또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고,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발광 표시패널이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입력센서(400)는 입력지점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센서(400)는 정전용량 방식 입력센서일 수 있다. 입력센서(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윈도우 부재(100)와 입력센서(400)는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OCA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입력센서(400)와 표시패널(300)은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OCA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2개의 광학용 투명 접착 필름들(OCA1, OCA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센서(400)와 표시패널(300)이 연속공정으로 제조됨으로써, 입력센서(400)는 표시패널(30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센서(400)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표시패널(300)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센서(400)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블록(SB)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센서의 확대된 평면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센서(40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입력센서(400)는 베이스부재(400-BS), 도전층(400-CL), 및 절연층(400-IL)을 포함한다. 입력센서(400)는 표시패널(300)의 표시 영역(DR) 및 비표시 영역(NDR)에 각각 대응하는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센서(400)는 1개의 도전층(400-CL)을 갖는 단층형(1-layer) 정전용량식 입력센서일 수 있다. 단층형 정전용량식 입력센서는 셀프캡(self-capacitance) 방식 또는 뮤추얼 캡(mutual-capacitance) 방식으로 터치된 지점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층형 정전용량식 입력센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센서(400)는 복층형(multi-layer) 정전용량식 입력센서일 수 있다. 또한, 입력센서(400)는 영역들(DR, NDR)에 따라 다른 층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R)은 단층구조를 비표시 영역(NDR)은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영역(DR)에는 1개의 도전층이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NDR)에는 복수 개의 도전층들과 복수 개의 절연층들이 교번하게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층형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로 뮤추얼 캡 방식을 가짐을 전제로 이하 설명한다.
도전층(400-CL)은 투명 도전층 및 금속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전층(400-CL)은 복수의 투명 도전층 또는 복수의 도전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전층(400-CL)은 제3 방향축(DR3)을 따라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 도전층과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전층(400-CL)은 메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전층(400-CL)에 복수 개의 메쉬홀들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전층(400-CL)은 상술한 금속물질을 이용하여 제조한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층(400-CL)은 베이스부재(400-BS)의 일면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감지 패턴들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감지 패턴들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입력센서(400)의 복수 개의 전극들 및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을 구성한다. 복수 개의 전극들과 신호라인들은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서로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400-IL)은 복수 개의 감지 패턴들을 보호할 수 있다. 절연층(400-IL)은 무기층 및/또는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400-IL)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표시패널(300)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패널(300)은 베이스부재(300-BS), 회로층(300-CL), 소자층(300-EL), 및 봉지층(300-ECL)을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패널(300)은 봉지층(300-ECL) 상에 배치된 광학부재 예컨대, 위상지연판 및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300-BS)는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300-BS)는 2개의 플라스틱 필름들 및 그 사이에 배치된 무기막들,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막 및/또는 실리콘옥사이드막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300-BS)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FS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300-CL)은 표시패널(3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미 도시) 및 전자소자(미 도시)들을 포함한다. 또한, 회로층(300-CL)은 신호라인들과 전자소자들의 구성들을 절연시키는 복수 개의 절연층들(미 도시)을 포함한다.
소자층(300-EL)은 표시소자들을 포함한다. 소자층(300-EL)은 화소의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소자층(300-EL)은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보조하는 전자소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300-ECL)은 소자층(300-EL)을 밀봉한다. 소자층(300-EL)은 TFE(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즉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 및 복수 개의 유기 박막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봉지층(300-ECL)은 봉지기판으로 대체될 수 있다. 봉지기판은 소자층(300-EL)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부재(300-BS)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봉지기판과 베이스부재(300-BS)의 테두리를 따라 실링재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센서(400)의 베이스부재(400-BS, 도 4 참조)는 봉지층(300-ECL) 또는 봉지기판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센서(400)의 도전층(400-CL, 도 4 참조)은 봉지층(300-ECL) 또는 봉지기판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즉, 봉지층(DP-ECL) 또는 봉지기판은 제1 및 제2 전극들(S1, S2, 도 6참조)이 배치되는 베이스 면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전극들(S1, S2)은 봉지층(DP-ECL) 또는 봉지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된 또 다른 기능층(절연층, 굴절률 제어층 등)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센서(400)의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센서(400)는 활성 영역(AA)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SB)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SB)은 복수 개의 제1 전극들(S1)과 복수 개의 제2 전극들(S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극들(S1) 및 제2 전극들(S2) 중 어느 하나는 Tx 신호(transmission signals)를 수신하고 다른 하나는 Rx 신호(receive signals)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SB)은 제1 센서블록(SB1) 및 제2 센서블록(SB2)을 포함한다. 제1 센서블록(SB1)과 제2 센서블록(SB2)은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될 수 있다. 도 6에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SB)에 연결된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은 미 도시되었다.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SB)은 복수 개의 전극 열들(TSC)을 정의하거나, 복수 개의 전극 행들(TSL)을 정의할 수 있다. 도 6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SB)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전극 열들(TSC)은 서로 다른 개수의 센서블록들(SB)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전극 행들(TSL)은 서로 다른 개수의 센서블록들(S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극 열들(TSC) 및/또는 복수 개의 전극 행들(TSL)은 베이스부재(400-BS, 도 4 참조)의 일면 상에 사선방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SB) 각각은 복수 개의 제1 전극(S1) 및 복수 개의 제2 전극들(S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SB) 각각은 하나의 제1 전극(S1) 및 하나의 제1 전극(S1)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들(S2) 중 n개의 제2 전극들(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 도 6에는 1개의 일체형 제1 전극(S1)과 3개의 제2 전극들(S2)을 포함하는 센서블록들(SB)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회로기판(400-F)은 입력센서(400)의 비활성 영역(NAA)에 연결된다. 회로기판(400-F)은 입력센서(400)의 구성에 따라 제2 회로기판(400-F)의 구성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입력센서(400)와 제2 회로기판(400-F)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솔더 범프가 이방성 도전성 도전 필름을 대체할 수도 있다. 구동회로(400-IC)는 입력센서(400) 구동을 위한 Tx 신호들(transmission signals)을 생성할 수 있다. Tx 신호들은 송신신호로서 센서들에 인가되는 교류 신호들일 수 있다. 또한, 구동회로(400-IC)는 입력센서(400)로부터 수신한 Rx 신호들(receive signals)로부터 입력된 지점의 좌표정보를 산출한다. Rx 신호들은 수신신호로서, Tx 신호들(transmission signals)이 외부입력에 의해 변환된 교류신호들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센서블록(SB)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센서블록(SB)은 제1 전극(S1)과 그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소정의 방향으로 나열된 n개(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제2 전극들(S2-1 내지 S2-n)을 포함한다. n개의 제2 전극들(S2-1 내지 S2-n)은 하나의 센서블록(SB)을 이룬다.
여기에서, 센서블록(SB)이 "1개의 제1 전극(S1)"를 포함하느냐 "복수 개의 제1 전극들(S1)"을 포함하느냐는 것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제1 전극(S1)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센서블록(SB)의 제1 전극(S1)이 2개의 감지 패턴을 포함하더라도, 터치 신호라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2개의 감지 패턴들은 1개의 제1 전극(S1)으로 정의된다. 이는 제2 전극(S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n개의 제2 전극들(S2-1 내지 S2-n)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도 7에서, 하나의 센서블록(SB)은 복수 개의 제2 전극들(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 개의 제2 전극들(S2)은 첫 번째 제2 전극(S2-1)부터 n번째 제2 전극(S2-n)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도 6에서는 하나의 센서블록(SB)당 3개의 제2 전극들(S2)을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센서블록(SB)이 가지는 제2 전극들(S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전극들(S2)이 나열된 방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전극(S1)의 연장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전극들(S2)은 도 6 및 도 7에 표시된 제2 방향(DR2) 또는 도 6에 도시된 전극 열(TSC)의 연장방향으로 나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센서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센서(400)는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을 포함한다. 활성 영역(AA)은 표시패널(300, 도 3 참조)의 표시 영역(DR, 도 3 참조)과 중첩하고, 비활성 영역(NAA)은 비표시 영역(NDR, 도 3 참조)과 중첩한다. 활성 영역(AA)은 중앙의 센터 영역(CTA) 및 센터 영역(CTA)보다 외측에 배치된 외곽 영역(CN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센터 영역(CTA)은 외곽 영역(CNA)을 제외한 활성 영역(AA)내의 모든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외곽 영역(CNA)은 입력센서(400)의 평면상에서 모서리 부분(코너)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제3 방향(DRa) 및 제4 방향(DRb)의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방향(DRa) 및 제4 방향(DRb)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 사이의 대각선 방향이다. 센터 영역(CTA)은 외곽 영역(CNA)들로 둘러싸인 입력센서(400)의 평면상에서 중앙 부분의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센서(400)는 복수 개의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극들은 복수 개의 제1 전극들(S1) 및 복수 개의 제2 전극들(S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전극들(S2)은 복수 개의 제1 전극들(S1)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을 참조할 때 3개의 제2 전극들(S2)은 하나의 제1 전극(S1)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극들(S1) 및 제2 전극들(S2)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들은 센터 영역(CTA)에 배치된 센터 전극(CTE) 및 외곽 영역(CNA)에 배치된 외곽 전극(CN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2 전극들(S2)만이 센터 전극(CTE) 및 외곽 전극(CNE)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반드시 제한되지 않고, 동시에 제1 전극들(S1)도 센터 전극 및 외곽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도 10 참조).
입력센서(400)는 복수 개의 제1 신호라인들(SL1) 및 복수 개의 제2 신호라인들(SL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신호라인들(SL1)은 복수 개의 제1 전극(S1)들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신호라인들(SL2)은 복수 개의 제2 전극들(S2)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신호라인들(SL1)은 첫 번째 제1 신호라인(SL1-1)부터 n번째 제1 신호라인(SL1-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라인들(SL1)은 각각 제1 센서블록(SB1) 및 제2 센서블록(SB2)에 연결된 첫 번째 제1 신호라인(SL1-1) 및 두 번째 제1 신호라인(SL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라인들(SL1) 및 제2 신호라인들(SL2)은 각각 제1 전극들(S1) 및 제2 전극들(S2)의 감지 패턴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신호라인들(SL2)은 제2 전극들(S2)을 연결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하나의 제1 전극(S1)과 대응하는 제2 전극(S2)을 3개 도시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는 일 실시예이고, 하나의 제1 전극(S1)과 n개의 제2 전극(S2)이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제2 전극들(S2)과 대응하는 제1 전극(S1)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서, 첫 번째 제2 신호라인(SL2-1)은 제1 센서블록(SB1)의 세 번째 제2 전극(S2-3, 도 7참조)과 제2 센서블록(SB2)의 첫 번째 제2 전극(S2-1)을 연결할 수 있다. 두 번째 제2 신호라인(SL2-2)은 제1 센서블록(SB1)의 두 번째 제2 전극(S2-2)과 제2 센서블록(SB2)의 두 번째 제2 전극(S2-2)을 연결하고, 세 번째 제2 신호라인(SL2-3)은 제1 센서블록(SB1)의 첫 번째 제2 전극(S2-1)과 제2 센서블록(SB2)의 세 번째 제2 전극(S2-3)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전극들(S1), 제2 전극들(S2), 제1 신호라인들(SL1) 및 제2 신호라인들(SL2)은 상기 활성 영역(AA) 내에서 동일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신호라인들(SL1) 및 제2 신호라인들(SL2)은 제1 전극들(S1)과 제2 전극들(S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신호라인들(SL1) 및 제2 신호라인들(SL2)은 각각 연결된 제1 전극들(S1) 및 제2 전극들(S2)에서부터 활성 영역(AA)을 지나 비활성 영역(NAA)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전극을 보여주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곽 영역의 일부를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센터 전극(CTE) 및 외곽 전극(CNE)을 설명한다.
도 9는 도 8의 A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센터 전극(CTE)은 감지 패턴(SP) 및 플로팅 패턴(FP)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감지 패턴(SP)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센싱부에 해당하고, 플로팅 패턴(FP)은 감지 패턴(SP)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으로, 감지 패턴(SP)으로부터 플로팅(Floating)된 상태의 더미 전극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감지 패턴(SP) 및 플로팅 패턴(FP)은 메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패턴(SP) 및 플로팅 패턴(FP)의 메쉬 형상에 관하여 도 11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플로팅 패턴(FP)은 입력센서(400)의 외부에서 시인되는 시인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플로팅 패턴(FP)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서, 제1 전극(S1) 및 제2 전극(S2)은 센터 영역(CTA)에 배치되므로 센터 전극(CTE)에 해당할 수 있다. 도 9의 센터 전극(CTE)은 외곽 전극(CNE, 도 8 참조)과 비-인접하기 때문에 제2 센터 전극들(CT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S1)과 제2 전극(S2) 사이에는 그라운드 영역(GDA)이 정의될 수 있다. 그라운드 영역(GDA)은 제1 전극(S1)과 제2 전극(S2)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플로팅 패턴(FP)은 감지 패턴(SP)과 연결되지 않은 플로팅 상태에 있다. 센터 전극(CTE)과 달리 외곽 전극(CNE, 도 10 참조)은 플로팅 패턴(FP)을 포함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감지 패턴(SP)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BB'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곽 전극(CNE)의 면적은 센터 전극(CTE)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외곽 전극(CNE)은 입력센서(400)의 활성 영역(AA) 내에서 외곽 영역(CNA)에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센터 전극(CTE)의 면적보다 작다. 따라서, 외곽 전극(CNE)의 감지 패턴이 차지하는 면적도 센터 전극(CTE)에 대비하여 작다. 본 발명은 이로 인한 외곽 전극(CNE)의 낮은 센싱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안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전극(CNE)은 플로팅 패턴(FP)을 포함하지 않는다. 즉, 외곽 전극(CNE)은 센터 전극(CTE)의 플로팅 패턴(FP)이 차지하는 부분에 감지 패턴(SP)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외곽 전극(CNE)의 전체 면적 대비 감지 패턴(SP)이 차지하는 면적은 센터 전극(CTE)의 전체 면적 대비 감지 패턴(SP)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곽 전극(CNE)은 제1 외곽 전극(CNE1) 및 제2 외곽 전극(CN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곽 전극(CNE2)은 제1 외곽 전극(CNE1)보다 제1 방향(DR1)에서 입력센서(400)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외곽 전극(CNE1) 및 제2 외곽 전극(CNE2)은 라운드 된 엣지(EZ)를 가질 수 있다. 제1 외곽 전극(CNE1)의 라운드 된 엣지의 곡률은 제2 외곽 전극(CNE2)의 엣지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외곽 전극(CNE1)은 외곽 영역(CNA) 중 가장 모서리(corner) 부분에 배치되고, 제2 외곽 전극(CNE2)은 제1 외곽 전극(CNE1)보다 외곽 영역(CNA) 내에서 센터 전극(CTE)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영역의 엣지(edge)는 해당 영역의 가장자리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활성 영역(AA)의 엣지(EZ)는 활성 영역(AA)의 가장자리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활성 영역(AA)의 엣지(EZ)는 활성 영역(AA)과 비활성 영역(NAA)의 경계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외곽 전극(CNE1)의 제2 방향(DR2)의 길이(LH1)는 제2 외곽 전극(CNE2)의 제2 방향(DR2)의 길이(LH2)보다 길수 있다. 제2 방향(DR2)은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외곽 전극(CNE1)은 제2 외곽 전극(CNE2)보다 곡률이 큰 라운드에 의한 면적 손실이 더 크기 때문에 제2 방향(DR2) 의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감지 패턴의 면적을 증가시키고, 외곽 영역(CAN)에서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터 전극(CTE)은 제1 센터 전극(CTE1) 및 제2 센터 전극(CT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터 전극(CTE1)은 제1 외곽 전극(CNE1) 및/또는 제2 외곽 전극(CNE1)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터 전극(CTE2)은 제1 외곽 전극(CNE1) 및/또는 제2 외곽 전극(CNE2)과 비-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센터 전극(CTE1)의 플로팅 패턴(FP)이 차지하는 면적은 제2 센터 전극(CTE2)의 플로팅 패턴(FP)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센터 전극(CTE1)은 인접한 제1 및 제2 외곽 전극들(CNE1, CNE2)과 맞닿는 부분의 플로팅 패턴(FP)이 제거되어 제2 센터 전극(CTE2) 대비 플로팅 패턴(FP)의 개수가 작고, 감지 패턴이 차지하는 면적이 더 넓다.
일 실시예에서, 활성 영역(AA)은 제1 영역(AA1) 및 제2 영역(A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AA1)은 활성 영역(AA)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활성 영역(AA)의 엣지(EZ)까지의 영역에 해당하고, 제2 영역(AA2)은 엣지(EZ)로부터 비활성 영역(NAA)으로 돌출되어, 평면상에서 표시패널(300, 도 3 참조)의 비표시 영역(NDR, 도 3 참조)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외곽 전극(CNE1)은 제1 영역(AA1)에 배치되는 제1 부분(CNE1-P1) 및 제2 영역(AA2)에 배치되는 제2 부분(CNE1-P2)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센서(400)는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되고 제2 외곽 전극(CNE2)의 엣지(EZ)에 인접한 더미 패턴(DM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외곽 전극(CNE1)은, 곡률이 큰 라운드 된 엣지(EZ)를 포함함에 따라 다른 전극들 대비 감지 패턴의 면적이 손실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곽 전극(CNE1)은 손실된 면적의 보상을 위해, 제2 외곽 전극(CNE2)과 달리 더미 패턴(DMP)이 위치하는 부분에 더미 패턴(DMP)을 제거하고 제2 부분(CNE1-P2)을 포함하여 감지 패턴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형상을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곽 영역의 일부를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XX'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0의 YY'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a는 센터 전극(CTE, 도 8 참조) 중 외곽 전극(CNE)과 비-인접한 제2 센터 전극(CTE2)을 보여준다. 도 11a에서, 제2 센터 전극(CTE2)의 감지 패턴(SP) 및 플로팅 패턴(FP)과 그라운드 패턴(GP)의 메쉬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활성 영역(AA)의 복수 개의 전극들에 적용되는 메쉬 형상의 구조를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그라운드 패턴(GP)은 그라운드 영역(GDA)에 배치되고, 감지 패턴(SP)으로부터 플로팅 된 메쉬 형상의 패턴들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2 센터 전극(CTE2)은 감지 패턴(SP) 및 플로팅 패턴(FP)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패턴(SP) 및 플로팅 패턴(FP)은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라운드 패턴(GP)도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a에서, 두 개의 제2 센터 전극들(CTE2)은 경계부(10)에 의해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경계부(10)는 제1 전극과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들 각각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경계부(10)는 감지 패턴(SP)의 절단된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하나의 제2 센터 전극(CTE2)과 다른 하나의 제2 센터 전극(CTE2)의 감지 패턴(SP)은 경계부(10)에서 절단될 수 있다. 경계부(10)는 감지 패턴(SP)의 감도를 고려하여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로팅 패턴(FP)은 감지 패턴(SP)으로부터 플로팅 될 수 있다. 플로팅 패턴(FP)의 형상은 도면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플로팅 패턴(FP)의 절단부(20)는 감지 패턴(SP)의 감도의 감소를 최소화 하기 위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전극(S1) 및 제2 전극(S2)은 제1 외곽 전극(CNE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곽 전극(CNE1)은 제1 부분(CNE1-P1) 및 제2 부분(CNE1-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CNE1-P2)은 활성 영역(AA)의 엣지(EZ)로부터 비활성 영역(NAA)으로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도 11b에서, 제1 외곽 전극(CNE1)의 제1 부분(CNE1-P1) 및 제2 부분(CNE1-P2)은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곽 영역의 일부를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곽 영역의 신호라인을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터 영역의 신호라인을 보여주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CC'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DD'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2의 EE'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와 관련된 설명 중 도 8 및 도 10과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신호라인들(SL1, 도 8 참조) 및 제2 신호라인들(SL2, 도 8 참조)은 활성 영역(AA) 내에서 직선 형상 또는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에서, 제1 신호라인들 및 제2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외곽 전극(CNE)에 연결된 제1 신호라인들(SL11) 및 제2 신호라인들(SL21)은 활성 영역(AA) 내에서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4에서, 제1 신호라인들 및 제2 신호라인들 중 센터 전극(CTE)에 연결된 제1 신호라인들(SL13) 및 제2 신호라인들(SL23)은 활성 영역(AA) 내에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곽 전극(CNE)과 연결된 제1 신호라인들(SL11) 및 제2 신호라인들(SL21) 중 적어도 하나는 비활성 영역(NAA)에서뿐만 아니라 활성 영역(AA)에서도 직선 형상을 가지고, 센터 전극과 연결된 제1 신호라인들(SL13) 및 제2 신호라인들(SL23) 중 적어도 하나는 비활성 영역(NAA)에서 직선 형상을 가지나 활성 영역(AA)에서는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는 외곽 영역(CNA)의 신호라인들과 센터 영역(CTA)의 신호라인들의 형상을 비교하기 위해, 서로 다르게 도시하였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것과 달리, 센터 영역(CTA)의 센터 전극(CTE)과 연결된 제1 및 제2 신호라인들(SL13, SL23)도 활성 영역 내에서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입력센서(400, 도 8 참조) 내에 배치된 모든 신호라인들의 활성 영역(AA)내의 형상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성 영역 내의 신호라인들이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고 전극들이 차지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다.
평면상에서, 직선 형상을 가지는 제1 신호라인들(SL11) 및/또는 제2 신호라인들(SL21)이 차지하는 면적은 메쉬 형상을 가지는 제1 신호라인들(SL13) 및/또는 제2 신호라인들(SL23)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작다. 예를 들어, 외곽 전극(CNE)에 연결된 직선형 제2 신호라인들(SL21)이 차지하는 제1 활성 영역(AA) 내 제1 방향(DR1)의 폭(WH1)은 외곽 전극(CNE)에 연결된 메쉬형 제2 신호라인들(SL23)이 활성 영역(AA) 내에서 차지하는 제1 방향(DR1)의 폭(WH2)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외곽 영역의 외곽 전극(CNE)에 연결된 제1 및/또는 제2 신호라인들(SL11, SL21)을 직선 형상으로 하여 제1 및/또는 제2 신호라인들(SL11, SL21)이 활성 영역(AA)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즉, 외곽 전극(CNE) 중 직선 형상을 가지는 제1 및 제2 신호라인들과 연결된 외곽 전극(CNE)의 면적은 메쉬 형상을 가지는 제1 및 제2 신호라인들과 연결된 외곽 전극(CNE)의 면적보다 크다.
도 13에서, 제1 신호라인들(SL1, 도 8 참조) 중 외곽 전극(CNE)과 연결된 제1 신호라인들(SL11)은 비활성 영역(NAA)에서 외곽 전극(CNE)과 적어도 15um 만큼 이격되어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외곽 전극(CNE1)은 연결된 신호라인들과의 이격 거리(WT1)를 줄임으로써 감지 패턴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제1 외곽 전극(CNE1)은 감지 패턴을 제1 및 제2 신호라인들(SL11, SL21)과 일정 거리만큼 인접하도록 확장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외곽 전극(CNE1)은 제1 부분(CNE1-P1) 및 제2 부분(CNE1-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CNE1-P2)은 제1 부분(CNE1-P1)에서 연장되어 비활성 영역(NAA)으로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제2 부분(CNE1-P2)은 제1 및 제2 신호라인들(SL11, SL21)과 적어도 15um 이격될 수 있다. 제2 부분(CNE1-P2)과 제1 및 제2 신호라인들(SL11, SL21)과 이격된 거리(WT1)는 활성 영역(AA)의 엣지(EZ)의 제1 및 제2 신호라인들(SL11, SL21)과 이격된 거리(WT2)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곽 전극(CNE1)과 연결되고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된 제1 및 제2 신호라인들(SL11, SL21)과 제1 외곽 전극들(CNE1)간의 이격 거리(WT1)는 적어도 15um 내지 20um 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외곽 전극(CNE1)과 제1 외곽 전극(CNE1)에 연결된 신호라인들간 이격되어 형성되는 빈 공간을 사용하여 제1 외곽 전극(CEN1)의 감지 패턴의 면적을 넓히고, 입력센서의 외곽 영역에서의 센싱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DA: 표시 장치
100: 윈도우 부재
200: 보호 프레임
300: 표시패널
400: 입력센서
DR: 표시 영역
NDR: 비표시 영역

Claims (20)

  1.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고 복수 개의 전극들이 배치된 활성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 영역은 센터 영역 및 상기 센터 영역보다 외측에 배치된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복수 개의 제1 전극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들에 대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들 및 상기 제2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들은, 상기 센터 영역에 배치된 센터 전극 및 상기 외곽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 전극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외곽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전극은 감지 패턴 및 플로팅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전극은 실질적으로 상기 감지 패턴 만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패턴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감지 패턴 및 상기 복수 개의 플로팅 패턴은 메쉬 형상을 가지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전극은 라운드 된 엣지를 가지고, 제1 외곽 전극 및 상기 제1 외곽 전극보다 제1 방향에서 상기 입력센서의 안쪽에 배치되는 제2 외곽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엣지로부터 상기 비활성 영역으로 일부 연장되어 상기 비표시 영역에 중첩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외곽 전극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센서는 상기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외곽 전극의 상기 엣지에 인접한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 패턴은 상기 제1 외곽 전극의 제2 부분과 대응되는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곽 전극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 외곽 전극의 상기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전극은 상기 제1 외곽 전극 및 상기 제2 외곽 전극과 인접한 제1 센터 전극, 및 상기 제1 외곽 전극 및 상기 제2 외곽 전극과 비-인접한 제2 센터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터 전극의 상기 플로팅 패턴이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제2 센터 전극의 상기 플로팅 패턴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작은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들과 상기 복수 개의 제2 전극들은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을 정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들 중 하나의 제1 전극; 및
    상기 하나의 제1 전극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전극들 중 n(n은 2 이상)개의 제2 전극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블록들은 제1 센서블록 및 상기 제1 센서블록에 인접한 제2 센서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블록의 첫 번째 내지 n 번째 제2 전극은 상기 제2 센서블록의 n번째 내지 첫 번째 제2 전극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센서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들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신호라인들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센서는 상기 제1 센서블록의 첫 번째 내지 n 번째 제2 전극과 상기 제2 센서블록의 n 번째 내지 첫 번째 제2 전극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제2 신호라인들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들, 상기 제2 전극들, 상기 제1 신호라인들 및 상기 제2 신호라인들은 상기 활성 영역 내에서 동일 층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신호라인들 및 상기 제2 신호라인들은 메쉬 형상을 가지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라인들 중 적어도 상기 외곽 전극에 연결된 제1 신호라인들은 상기 활성 영역 내에서 직선 형상을 가지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직선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 신호라인들이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메쉬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 신호라인들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작은 표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전극 중 상기 직선 형상을 가지는 제1 신호라인들과 연결된 상기 외곽 전극의 면적은 상기 메쉬 형상을 가지는 제2 신호라인들과 연결된 상기 외곽 전극의 면적보다 큰 표시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라인들 중 상기 외곽 전극과 연결된 상기 제1 신호라인들은 상기 비활성 영역에서 상기 외곽 전극과 적어도 15um 만큼 이격되어 연장된 표시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전극들은 동일한 베이스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회로층, 상기 회로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소자층 및 상기 표시소자층을 밀봉하는 봉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봉지층의 일면은 상기 베이스 면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
  20.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활성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 영역은 센터 영역 및 상기 센터 영역보다 외측에 배치된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센서는 상기 활성 영역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에 대응하게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을 연결하는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제2 전극을 연결하는 제2 신호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상기 센터 영역에 배치된 센터 전극 및 상기 외곽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 전극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는 외곽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 전극은 감지 패턴 및 플로팅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전극은 실질적으로 상기 감지 패턴만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상기 제1 신호라인 및 상기 제2 신호라인은 동일층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KR1020200067761A 2020-06-04 2020-06-04 표시 장치 KR20210151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761A KR20210151300A (ko) 2020-06-04 2020-06-04 표시 장치
CN202110613303.0A CN113759583A (zh) 2020-06-04 2021-06-02 显示设备
US17/337,586 US11567617B2 (en) 2020-06-04 2021-06-03 Display apparatus
US18/092,338 US11847283B2 (en) 2020-06-04 2023-01-01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761A KR20210151300A (ko) 2020-06-04 2020-06-0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300A true KR20210151300A (ko) 2021-12-14

Family

ID=7878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761A KR20210151300A (ko) 2020-06-04 2020-06-0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567617B2 (ko)
KR (1) KR20210151300A (ko)
CN (1) CN113759583A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6104B (zh) 2012-01-12 2020-03-20 辛纳普蒂克斯公司 单层电容性图像传感器
KR101641690B1 (ko) * 2013-09-25 2016-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CN106462280A (zh) * 2014-05-28 2017-02-22 夏普株式会社 触摸面板装置
US10296147B2 (en) * 2015-02-02 2019-05-2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4793825B (zh) * 2015-04-30 2018-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输入设备和触摸显示设备
KR102557140B1 (ko) 2016-06-16 2023-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67934B1 (ko) * 2016-09-30 2023-08-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터치감지방법
KR101992915B1 (ko) * 2016-09-30 2019-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1224B1 (ko) 2017-06-01 2023-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표시장치 및 터치패널
KR102322834B1 (ko) 2017-06-28 2021-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CN107315500B (zh) * 2017-06-29 2020-03-2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和触控显示面板
KR102421678B1 (ko) * 2017-07-20 2022-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430320B1 (ko) * 2017-12-11 2022-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표시 장치
CN108228004B (zh) * 2018-03-23 2022-10-04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08845714B (zh) * 2018-08-24 2021-10-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09725771B (zh) * 2018-12-28 2022-05-17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US11340743B2 (en) * 2019-03-29 2022-05-24 Apple Inc. Touch sensor with refined corner, edge, and other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41258A1 (en) 2023-05-11
US11567617B2 (en) 2023-01-31
US11847283B2 (en) 2023-12-19
US20210382580A1 (en) 2021-12-09
CN113759583A (zh)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3315B2 (en) Display device
US11037996B2 (en) Display device having an input sensing unit
CN110308811B (zh) 触摸传感器以及具有该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
KR10238165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13489B1 (ko)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82428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613773B1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9207819B2 (en) Touch sensing display panel and touch sens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10359892B2 (en) Flexible touch sensing unit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flexible touch sensing unit
TWI502445B (zh) 觸控顯示裝置及觸控基板
KR20160043212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TWI452612B (zh) 觸控面板及觸控顯示面板
KR20160028611A (ko) 표시장치
KR20160088533A (ko) 터치 센서
KR20150060449A (ko) 터치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95594A (ko)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00108148A (ko) 표시 장치
KR102178197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표시장치
KR20200060603A (ko) 표시 장치
KR20210151300A (ko) 표시 장치
KR20240048590A (ko) 표시 장치
KR20210077179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