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692A - 내연기관 샌딩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내연기관 샌딩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692A
KR20210150692A KR1020200067443A KR20200067443A KR20210150692A KR 20210150692 A KR20210150692 A KR 20210150692A KR 1020200067443 A KR1020200067443 A KR 1020200067443A KR 20200067443 A KR20200067443 A KR 20200067443A KR 20210150692 A KR20210150692 A KR 20210150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and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현
Original Assignee
조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현 filed Critical 조상현
Priority to KR102020006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0692A/ko
Publication of KR20210150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8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polishing surfaces, e.g. smoothing a surface by making use of liquid-borne abrasives
    • B24C1/086Descaling; Removing coatin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4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 B24C9/003Removing abrasive powder out of the blasting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4Cleaning of, preventing corrosion or erosion in, or preventing unwanted deposits in, 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흡입구에서 흡입밸브(160,260)가 닫힌 상태에서 흡입관의 일단에 형성된 덮개를 내연기관 자체에 있는 나사구멍에 볼트체결하고, 타단은 흡입펌프에 의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된 탱크(110,210)에 연결하며, 탱크 하부에 형성된 호퍼의 개구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내연기관 흡입구에 관통 삽입된 분사관(117,217)이 형성되며, 고압 에어관(130,230)이 분사관으로 삽입되어 호부 하부 개구부에서 분사관을 따라 고압에어를 분사시킴으로써 탱크 내부압보다 낮은 음압을 분사구 주변에 형성시켜 샌드가 개구로 하강하여 고압 에어를 따라 유입, 이송되어 흡입구 내부로 분사되어 흡입구 내부면에 부착된 카본 오염물질을 클린닝하도록 형성된 것이며, 클린닝을 마친 샌드는 압력차이에 의해 흡입관(115,215)을 통하여 탱크(110,210)로 유동되고 입자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탱크 하부에 모이도록 형성된 내연기관 흡입구 샌딩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연기관 샌딩어셈블리{Sanding assembly of engine combustion inlet}
본 발명은 하부에 호퍼(148)가 형성되고 흡입펌프(120)에 의해 외부로 에어를 빼 냄으로써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형성된 탱크(110)와;
일단은 탱크(110) 연결되고 타단은 내연기관 흡입구(150)를 덮어서 볼트 체결되어 흡입밸브(160)가 닫힌 상태인 흡입구(150) 내면에 분사되어 클린닝 작용하는 샌드가 진공의 탱크(110) 내부로 흡입되도록 형성된 흡입관(115)과;
일단은 호프(148) 하부 개구부(149)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관(115)으로 관통 삽입되어 호퍼(148) 하부에서 고압에어가 분사됨으로써 탱크 내부보다 분사구 주변의 압력이 낮도록 형성시켜 호퍼 하부의 샌드를 압력 차이에 의해 기류로 유입, 이송시킨 다음 내연기관의 흡입구(150)에 고압에어와 같이 분사시켜 클린닝하도록 형성된 분사관(1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흡입구 샌딩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특정한 제품이나 정형화된 샌딩기에서 분사된 샌드를 자동으로 모아서 순환 공급되도록 형성된 각종 샌딩기가 공지 또는 시판되고 있으나, 내연기관 실린더의 탄소 클리닝 등 소량의 샌딩대상체에 맞게 조립시켜 샌딩하여야 하는 샌딩작업은 자동화가 어려울 뿐 아니라 원가 등에서 바람직하지도 않는 것이다.
종래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1731372호에 호두껍질 입자 샌드를 사용하여 충진단계, 분사 및 흡입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내연기관 실린더 헤드 속의 카본을 제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샌딩기에서 고압에어로 샌드를 분사시켜 표면을 연마함과 동시에 진공흡입기에 의해 분사된 샌드 입자를 흡입 저장하게 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내연기관의 흡입구(4기통으로 커버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흡입밸브(160)가 닫힌 상태에서 흡입관의 일단에 형성된 덮개를 내연기관 자체에 있는 나사구멍에 볼트체결하고, 타단은 흡입펌프에 의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형성된 탱크(110)에 연결한 것이며, 탱크 하부에 형성된 호퍼의 개구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내연기관 흡입구에 관통 삽입된 분사관(117)이 형성되며, 고압 에어관(130)이 분사관으로 삽입되어 호부 하부 개구부에서 분사관을 따라 고압에어를 분사시킴으로써 탱크 내부압보다 낮은 음압을 분사구 주변에 형성시켜 샌드가 개구로 하강하여 고압 에어를 따라 유입되어 흡입구 내부로 분사되어 흡입구 내부면에 부착된 카본 오염물질을 클린닝하도록 형성된 것이며, 클린닝을 마친 샌드는 압력차이에 의해 흡입관(115)을 통하여 탱크(110)로 유동되고 입자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탱크 하부에 모이도록 형성된 내연기관 흡입구 샌딩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흡입구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샌딩어셈블리로서 다양한 내연기관의 흡입구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샌드는 호두껍질샌드와 이와 유사한 샌드를 포함하는 개념의 샌드인 것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흡입구에서 흡입밸브(160,260)가 닫힌 상태에서 흡입관의 일단에 형성된 덮개를 내연기관 자체에 있는 나사구멍에 볼트체결하고, 타단은 흡입펌프에 의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된 탱크(110,210)에 연결하며, 탱크 하부에 형성된 호퍼의 개구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내연기관 흡입구에 관통 삽입된 분사관(117,217)이 형성되며, 고압 에어관(130,230)이 분사관으로 삽입되어 호부 하부 개구부에서 분사관을 따라 고압에어를 분사시킴으로써 탱크 내부압보다 낮은 음압을 분사구 주변에 형성시켜 샌드가 개구로 하강하여 고압 에어를 따라 유입, 이송되어 흡입구 내부로 분사되어 흡입구 내부면에 부착된 카본 오염물질을 클린닝하도록 형성된 것이며, 클린닝을 마친 샌드는 압력차이에 의해 흡입관(115,215)을 통하여 탱크(110,210)로 유동되고 입자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탱크 하부에 모이도록 형성된 내연기관 흡입구 샌딩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호퍼(148)가 형성되고 흡입펌프(120)에 의해 외부로 에어를 빼 냄으로써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형성된 탱크(110)와;
일단은 탱크(110) 연결되고 타단은 내연기관 흡입구(150)를 덮어서 볼트 체결되어 흡입밸브(160)가 닫힌 상태인 흡입구(150) 내면에 분사되어 클린닝 작용하는 샌드가 진공의 탱크(110) 내부로 흡입되도록 형성된 흡입관(115)과;
일단은 호프(148) 하부 개구부(149)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관(115)으로 관통 삽입되어 호퍼(148) 하부에서 고압에어가 분사됨으로써 탱크 내부보다 분사구 주변의 압력이 낮도록 형성시켜 호퍼 하부의 샌드를 압력 차이에 의해 기류로 유입, 이송시킨 다음 내연기관의 흡입구(150)에 고압에어와 같이 분사시켜 클린닝하도록 형성된 분사관(1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흡입구 샌딩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에 하부호퍼(248)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중간호퍼(147)가 형성되며, 중간호퍼(247) 하부에 개구부에 솔레노이드밸브(241)가 형성되며, 중간호퍼(247) 내면에는 하부센서(243)가 설치되고 내면에 상부센서(244)가 설치되어 흡입 낙하된 샌드가 하부센서(243) 보다 낮아지면 솔레노이드밸브(241)이 닫히고 샌드가 상부센서(244)보다 높아지면 솔레노이드밸브(241)가 열리도록 형성된 탱크(210)와;
일단은 탱크(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연기관 흡입구(250)를 덮어서 볼트 체결되어 흡입구(250) 내면에 분사되어 클린닝 작용하는 샌드가 진공의 탱크(210) 내부로 흡입되도록 형성된 흡입관(215)과;
일단은 하부호프(248) 하부 개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관(215)으로 관통 삽입되어 호퍼(248) 하부에서 고압에어가 분사됨으로써 탱크 내부보다 분사구 주변의 압력이 낮도록 형성시켜 호퍼 하부의 샌드를 압력 차이에 의해 기류로 유입, 이송시킨 다음 내연기관의 흡입구(250)에 고압에어와 같이 분사시켜 클린닝하도록 형성된 분사관(217) 및;
분사관(217)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흡입구 샌딩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흡입구를 덮어 기존 나사구멍에 볼트체결하여 사용하는 내연기관 흡입구 샌딩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고압에어 분사를 통하여 탱크 하부 호퍼에 모여있는 개구를 통해 샌드를 흡입하여 고압에어에 샌드를 빨아들여 이송시켜 분사하고 또한 분사된 샌드를 보다 낮은 압력인 탱크내로 흡입시켜 연속 순환하면서 클린닝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용될 수 있는 호두껍질샌드 입자는 비교적 가볍기 때문에 압력차를 통하여 고압에서 저압으로 이송될 수 있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물론 호두껍질과 유사한 가벼운 샌드류는 사용 가능한 것이다.
흡입펌프 또는 진공펌프에 의해 탱크 내부 에어를 외부를 빼 냄으로써 탱크 내부는 내연기관 흡입구 내부보다 압력 낮기 때문에 분사된 샌드는 흡입관을 통하여 탱크로 모이게 되고 탱크에 모인 샌드는 중량으로 인하여 하강하여 호퍼에 모여 개구로 나가도록 형성된 것이다.
개구에 위치한 고압에어 분사구에서 고압에어가 분사관(117,217)을 따라 분사되면서 분사에어 주변은 음압이 형성되며 이 음압은 탱크내 압력보다 더 낮은 저압상태가 됨으로써 호퍼의 샌드는 고압에어를 흐름에 빨려들어 분사관을 따라 고압에어와 함께 이송되어 분사되면서 카본 오염물을 때려서 클린닝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흡입구에서 흡입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흡입관의 일단에 형성된 덮개를 내연기관 자체에 있는 나사구멍에 볼트체결하여 클린닝하는 내연기관 흡입구 샌딩어셈블리로서, 3기통, 4기통 등 다양한 내연기관의 흡입구에 장착하여 흡입구에 부착되어 연소효율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는 카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펌프에 의해 내부가 진공상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된 탱크에 연결하며, 탱크 하부에 형성된 호퍼의 개구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내연기관 흡입구에 관통 삽입된 분사관이 형성되며, 고압 에어관이 분사관으로 삽입되어 호부 하부 개구부에서 분사관을 따라 고압에어를 분사시킴으로써 탱크 내부압보다 낮은 음압을 분사구 주변에 형성시켜 압력 차로 인하여 샌드가 개구로 하강하여 고압 에어에 편성하여 이송되어 고압에어에 의해 흡입구 내면에 분사되어 카본 오염물질을 클린닝하며, 클린닝을 마친 샌드는 압력 차에 의해 흡입관을 통하여 탱크로 흡입된 다음 입자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탱크 하부에 모이도록 형성된 내연기관 흡입구 샌딩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고압 에어 분사로 발생하는 압력 차를 이용하여 호두껍질샌드를 에어흐름에 유입시켜 이송, 분사시키며 또한 압력 차를 통하여 탱크로 흡입하도록 형성하여 고압에어와 압력 차로 호두껍질샌드를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분사하여 클린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덮개를 제거한 내연기관의 흡입구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에 호퍼(148)가 형성되고 흡입펌프(120)에 의해 외부로 에어를 빼 냄으로써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형성된 탱크(110)와; 일단은 탱크(110) 연결되고 타단은 내연기관 흡입구(150)를 덮어서 볼트 체결되어 흡입밸브(160)가 닫힌 상태인 흡입구(150) 내면에 분사되어 클린닝 작용하는 샌드가 진공의 탱크(110) 내부로 흡입되도록 형성된 흡입관(115)과; 일단은 호프(148) 하부 개구부(149)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관(115)으로 관통 삽입되어 호퍼(148) 하부에서 고압에어가 분사됨으로써 탱크 내부보다 분사구 주변의 압력이 낮도록 형성시켜 호퍼 하부의 샌드를 압력 차이에 의해 기류로 유입, 이송시킨 다음 내연기관의 흡입구(150)에 고압에어와 같이 분사시켜 클린닝하도록 형성된 분사관(1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흡입구 샌딩어셈블리를 보여주고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서, 하부에 하부호퍼(248)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중간호퍼(147)가 형성되며, 중간호퍼(247) 하부에 개구부에 솔레노이드밸브(241)가 형성되며, 중간호퍼(247) 내면에는 하부센서(243)가 설치되고 내면에 상부센서(244)가 설치되어 흡입 낙하된 샌드가 하부센서(243) 보다 낮아지면 솔레노이드밸브(241)이 닫히고 샌드가 상부센서(244)보다 높아지면 솔레노이드밸브(241)가 열리도록 형성된 탱크(210)와; 일단은 탱크(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연기관 흡입구(250)를 덮어서 볼트 체결되어 흡입구(250) 내면에 분사되어 클린닝 작용하는 샌드가 진공의 탱크(210) 내부로 흡입되도록 형성된 흡입관(215)과; 일단은 하부호프(248) 하부 개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관(215)으로 관통 삽입되어 호퍼(248) 하부에서 고압에어가 분사됨으로써 탱크 내부보다 분사구 주변의 압력이 낮도록 형성시켜 호퍼 하부의 샌드를 압력 차이에 의해 기류로 유입, 이송시킨 다음 내연기관의 흡입구(250)에 고압에어와 같이 분사시켜 클린닝하도록 형성된 분사관(217) 및; 분사관(217)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흡입구 샌딩어셈블리를 보여주고 있다.
분사구(119,219)에서 고압에어와 함께 분사된 샌드는 내연기관의 흡입구(150,250) 내면을 클린닝한 다음 보다 낮은 압력 상태인 탱크(110,210)으로 흡입관(115,215)를 통하여 흡입된다.
도 2에서는 낙하된 샌드는 호퍼(148)하부에 모이게 되고 하부 개구(149)는 분사관(117)이 연결되고 분사관 끝은 흡입관(115)을 관통하여 흡입구(150)에 삽입되어 에어와 샌드가 분사된다.
개구(149)에는 고압에어의 분사구(132)가 위치하여 고압에어가 분사되는데, 이 때 분사에어 주변에 음압을 형성하여 탱크내부 압력보다 낮은 압력상태가 형성되어 샌드가 고압에어 속으로 빨려들러가 고압에어와 함께 흘러 분사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에어관(130)에는 솔레노이드밸브(135)가 설치되어 사용시에만 오픈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도 2의 일 실시예에서는 흡입관(115) 끝을 흡입밸브(160)가 닫힌 흡입구(150)를 덮어 장착하고 솔레노이드밸브(135)를 오픈시키고 흡입펌프(120)를 가동시켜 탱크 내부 에어를 빼내 연속적으로 흡입구 클린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서는 탱크를 상부탱크와 하부탱크의 2단으로 형성한 것이며, 클린닝하는 동안은 상부탱크와 하부탱크는 솔레노이드밸브(241)에 의해 차단되며, 클린닝 동안에 하부탱크에 있는 샌드를 사용하여 분사시켜 클린닝하고 분사된 샌드로 상부탱크에 모이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부탱크에 모이는 샌드의 높이가 탱크 내면에 설치된 상부센서(144)에 도달하면 클린닝 작업은 자동 중단되며, 이 때 솔레노이드밸브(241)이 오픈되면서 상부탱크의 샌드는 하부탱크로 내려가며, 샌드 높이가 하부센서(243)에 이르면 솔레노이드밸브(241)은 차단되며, 다시 클린닝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진행은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의 하부탱크 하부 개구로 나가는 분사관(217)에는 에어관(230)의 분사구가 위치하여 고압에어를 분사하면서 샌드를 빨아들여 분사관을 통하여 이송시켜 흡입구(250)에 분사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는 도 2의 경우와 같은 것이다.
본 발명의 클린닝 어셈블리는 내연기관의 여러개의 흡입구를 하나씩 클린닝하는 것으로, 하나의 흡입구를 클린닝하면 분리하고, 다음 번 흡입구의 흡입밸브(260)가 닫힌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흡입관(215)을 결합하여 클린닝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기술 범주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110,210:탱크 111,211:진공부 114,214:샌드흡입구 115,215:흡입관 116,216:결합부 117,217:분사관 119,219:분사구 120,220:흡입펌프 130,230:에어관 132,232:분사구 140,240:샌드 148:호퍼 150,250:흡입구 160,260:흡입밸브 247:상부호퍼 248:하부호퍼

Claims (2)

  1. 하부에 호퍼(148)가 형성되고 흡입펌프(120)에 의해 외부로 에어를 빼 냄으로써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형성된 탱크(110)와;

    일단은 탱크(110) 연결되고 타단은 내연기관 흡입구(150)를 덮어서 볼트 체결되어 흡입밸브(160)가 닫힌 상태인 흡입구(150) 내면에 분사되어 클린닝 작용하는 샌드가 진공의 탱크(110) 내부로 흡입되도록 형성된 흡입관(115)과;

    일단은 호프(148) 하부 개구부(149)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관(115)으로 관통 삽입되어 호퍼(148) 하부에서 고압에어가 분사됨으로써 탱크 내부보다 분사구 주변의 압력이 낮도록 형성시켜 호퍼 하부의 샌드를 압력 차이에 의해 기류로 유입, 이송시킨 다음 내연기관의 흡입구(150)에 고압에어와 같이 분사시켜 클린닝하도록 형성된 분사관(1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흡입구 샌딩어셈블리.
  2. 하부에 하부호퍼(248)가 형성되고 중간부에 중간호퍼(147)가 형성되며, 중간호퍼(247) 하부에 개구부에 솔레노이드밸브(241)가 형성되며, 중간호퍼(247) 내면에는 하부센서(243)가 설치되고 내면에 상부센서(244)가 설치되어 흡입 낙하된 샌드가 하부센서(243) 보다 낮아지면 솔레노이드밸브(241)이 닫히고 샌드가 상부센서(244)보다 높아지면 솔레노이드밸브(241)가 열리도록 형성된 탱크(210)와;

    일단은 탱크(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연기관 흡입구(250)를 덮어서 볼트 체결되어 흡입구(250) 내면에 분사되어 클린닝 작용하는 샌드가 진공의 탱크(210) 내부로 흡입되도록 형성된 흡입관(215)과;

    일단은 하부호프(248) 하부 개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흡입관(215)으로 관통 삽입되어 호퍼(248) 하부에서 고압에어가 분사됨으로써 탱크 내부보다 분사구 주변의 압력이 낮도록 형성시켜 호퍼 하부의 샌드를 압력 차이에 의해 기류로 유입, 이송시킨 다음 내연기관의 흡입구(250)에 고압에어와 같이 분사시켜 클린닝하도록 형성된 분사관(217) 및;

    분사관(217)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흡입구 샌딩어셈블리
KR1020200067443A 2020-06-04 2020-06-04 내연기관 샌딩어셈블리 KR20210150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43A KR20210150692A (ko) 2020-06-04 2020-06-04 내연기관 샌딩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43A KR20210150692A (ko) 2020-06-04 2020-06-04 내연기관 샌딩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692A true KR20210150692A (ko) 2021-12-13

Family

ID=7883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443A KR20210150692A (ko) 2020-06-04 2020-06-04 내연기관 샌딩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06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5643A (zh) * 2021-12-20 2022-03-22 江门市蓬江区骉牌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核桃砂免拆清洗汽车进气门的除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5643A (zh) * 2021-12-20 2022-03-22 江门市蓬江区骉牌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核桃砂免拆清洗汽车进气门的除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947B1 (ko) 엔진 실린더 블록용 칩 제거장치
RU2438801C2 (ru) Очис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обрабатываемой детали
JP5114662B2 (ja) コークス炉受炭時集塵装置及び集塵方法
KR101220434B1 (ko) 가이드 밴이 구비된 집진기
KR20210150692A (ko) 내연기관 샌딩어셈블리
KR101731372B1 (ko) 내연기관 실린더 헤드의 흡기밸브와 피스톤 헤드의 카본 제거방법
CN2538433Y (zh) 喷漆枪的自动清洗装置
EA019792B1 (ru) Способ подачи шихты в доменную печь
US3165390A (en) Dust ejector for air cleaners
KR100928073B1 (ko) 복합식 준설차
JP2008286103A (ja) ガソリンエンジンの内面部品の洗浄方法
US20110180109A1 (en) Pressure flush process for cooled turbine blades
CN206571579U (zh) 一种汽车发动机油污清洗和清洁润滑油加注机
KR101323442B1 (ko) 가네트 블라스팅 장치
KR20080095359A (ko) 강관 내경의 표면처리 장치
KR101099660B1 (ko) 연마재 이송관을 구비하는 진공 블라스팅 장치의 연마재 이송방법
KR101049547B1 (ko) 회전노즐을 이용한 하수관 악취저감 준설공법
KR20160109553A (ko) 다중 사이클론 복합 집진기
CN109843454A (zh) 用于清洁工件的设备和方法
CN207494166U (zh) 工程机械油箱清洗系统
EA019824B1 (ru) Способ подачи шихты в доменную печь
CN206976030U (zh) 废树脂转运槽车管路系统及转运槽车
KR101951624B1 (ko) 습식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한 고압 세척기
KR101572986B1 (ko) 세차장 준설물 수거 운반차
CN110775454A (zh) 一种立式重晶石粉作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