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485A - 갈렉틴-3의 소분자 억제제 - Google Patents

갈렉틴-3의 소분자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485A
KR20210150485A KR1020217036227A KR20217036227A KR20210150485A KR 20210150485 A KR20210150485 A KR 20210150485A KR 1020217036227 A KR1020217036227 A KR 1020217036227A KR 20217036227 A KR20217036227 A KR 20217036227A KR 20210150485 A KR20210150485 A KR 20210150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independently
mmol
conditions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지안 리우
지안신 펭
프라티크 데바스탈레
나테산 무루게산
브루스 에이. 엘스워스
알리샤 레게이로-렌
수실 제타난드 나라
프라사다 라오 잘라감
마노란잔 판다
Original Assignee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filed Critical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1015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921,2,3-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8Th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 C07D40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Gal-3을 억제하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러한 화합물 및 조성물의 사용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갈렉틴-3의 소분자 억제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4월 10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62/831,753의 우선권 이익을 청구하고;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갈렉틴-3 (Gal-3)은 염증성 및 섬유화 과정의 조절에 수반되는 약 30 KDa의 β-갈락토시드 결합 렉틴 (Cell 76: 597-598)이다. (Immunological Reviews 230: 160-171). 비제어된 염증 및 섬유화유발 상태 하에, Gal-3은 섬유모세포 증식 및 변형을 촉진하고, 콜라겐 생산을 매개한다 (Circulation 110:3121-3128).
Gal-3은 많은 세포 위치 예컨대 세포질, 핵, 및 세포 표면에 국재화된다. Gal-3은 또한 다양한 세포 유형, 주로 대식세포 및 단핵구에 의해 혈류로 분비된다 (J Pharmacol Exp Ther 351:336-343). 문헌에, 다수의 기관 예컨대 폐 (Am J. Respir. Crit. Care Med. 185: 537-546), 간 (PNAS 103:5060-5065), 및 신장 (Am. J. Pathol. 172:288-298)에서의 섬유화 과정의 발달에서의 Gal-3의 관여를 지지하는 여러 계열의 증거가 있다. Gal-3은 또한 심부전에 대한 바이오마커로서 확인되었으며, 이는 Gal-3의 조정이 심부전의 치료에서 잠재적 용도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Curr. Heart Fail. Rep. 7:1-8). Gal-3이 혈관신생, 아폽토시스, 및 전이성 경로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 성장 및 분화에 수반되기 때문에 Gal-3의 조정은 암의 치료에서 사용될 수 있다 (Galectin-3C: Human Lectin for Treatment of Cancer. ACS Symposium Series, Vol. 1115. Chapter 12, 195-23). 최근에, Gal-3 억제제가 조합 면역요법에 사용되는 경우에 긍정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Galectin Therapeutics. Press Release, February 7, 2017).
여러 공개 및 특허 출원이 항섬유화제로서 조사되고 있는 Gal-3의 합성 억제제를 기재하고 있다. 이들 접근법의 최근 예는 WO2005113568, WO2005113569, US2014067986, WO2014067986, WO2017080971, WO2016120403, US20140099319, WO2014067986 및 WO2018209255이다.
본 개시내용은 Gal-3을 억제하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 본 발명의 화합물,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러한 화합물 및 조성물의 사용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특히,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X는 독립적으로 -C(O)-, -CH2-, 및 -CH2C(O)-로부터 선택되고;
Ar1은 독립적으로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 모이어티는 시아노, 할로겐,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및 C1-4 할로알콕시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R1은 독립적으로 H, C1-4 알킬, 및 C1-4 할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4 알킬이고;
R3은 독립적으로 Ar2, -(CH2)1-2Ar2, 및 -CH2CH2NR4Ar2로부터 선택되고;
Ar2는 독립적으로 페닐,
Figure pct00002
, 및 5 내지 10개의 고리 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1 내지 4개의 고리 원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N, N(R5), O, 및 S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 모이어티는 OH, 시아노, 할로겐, C1-4 알킬, C1-4 할로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콕시, N(C1-4 알킬)2, -SO2(C1-4 알킬), -OPh, -OBn, C3-6 시클로알킬, 및 시아노, 할로겐, C1-4 알킬, C1-4 할로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콕시, -NH2, -NH(C1-4 알킬), 및 -N(C1-4 알킬)2로부터 선택된 0 내지 1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된 0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R4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4 알킬이고;
R5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4 알킬이다.
제2 측면에서, 제1 측면의 범주 내에서, 화합물은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Figure pct00003
제3 측면에서,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범주 내에서,
Ar1은 독립적으로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 모이어티는 시아노, 할로겐, C1-4 알킬, 및 C1-4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R1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1-4 알킬이고;
Ar2는 독립적으로 페닐,
Figure pct00004
, 피리디닐, 벤조티오페닐, 벤조티아졸릴, N-(C1-4 알킬)-인다졸릴, 및 퀴놀리닐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 모이어티는 OH, 시아노, 할로겐,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1-4 할로알콕시, N(C1-4 알킬)2, -SO2(C1-4 알킬), -OPh, 및 -OBn로부터 선택된 0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것인
화학식 (I) 또는 (I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제4 측면에서, 제1 내지 제3 측면 내에서,
Ar1은 독립적으로
Figure pct00005
로부터 선택된다.
제5 측면에서, 제1 내지 제4 측면 내에서,
R3은 독립적으로 Ar2, -(CH2)1-2Ar2, 및 -CH2CH2NR4Ar2로부터 선택되고;
Ar2는 독립적으로
Figure pct00006
로부터 선택된다.
제6 측면에서, 제1 내지 제5 측면의 범주 내에서,
R1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R2는 독립적으로 H, CH3, -CH2CH3, 및 -CH(CH3)2로부터 선택되고;
R4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제1 내지 제6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범주 내에서, R1은 H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제1 내지 제6 측면 중 어느 하나의 범주 내에서, R1은 CH3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 내지 44 및 B1 내지 B25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1 내지 44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B1 내지 B25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들 용어는 하기 의미를 갖는다. "알킬"은 1 내지 6개의 탄소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 기를 의미한다. "시클로알킬"은 3 내지 7개의 탄소로 구성된 모노시클릭 고리계를 의미한다. 탄화수소 모이어티 (예를 들어, 알콕시)를 갖는 용어는 1 내지 6개의 탄소로 구성된 탄화수소 부분에 대한 직쇄형 및 분지형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할로"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아이오도를 포함한다. "할로알킬" 및 "할로알콕시"는 모노할로 내지 퍼할로의 모든 할로겐화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아릴"은 고리 중 1개 또는 둘 다가 방향족인 5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방향족 고리계를 의미한다. 아릴 기의 대표적인 예는 인다닐, 인데닐, 나프틸, 페닐 및 테트라히드로나프틸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헤테로아릴"은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1-5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 내지 7원 모노시클릭 또는 8 내지 11원 비시클릭 방향족 고리계를 의미한다. 결합 부착 위치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 결합은 관련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치환기와 결합 패턴의 조합은 관련 기술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오직 안정한 화합물이 생성되는 것들만이다. 괄호 및 다중괄호 용어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결합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의도된다. 예를 들어, 용어 예컨대 ((R)알킬)은 치환기 R로 추가로 치환된 알킬 치환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화합물의 모든 제약상 허용되는 염 형태를 포함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반대 이온이 화합물의 생리학적 활성 또는 독성에 유의하게 기여하지 않고, 그 자체로 약리학적 등가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이들 염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시약을 사용하여 통상의 유기 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음이온성 염 형태는 아세테이트, 아시스트레이트, 베실레이트, 브로마이드, 클로라이드, 시트레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쿠로네이트, 히드로브로마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아이오다이드, 아이오다이드, 락테이트, 말레에이트, 메실레이트, 니트레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 숙시네이트, 술페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및 크시노포에이트를 포함한다. 일부 양이온성 염 형태는 암모늄, 알루미늄, 벤자틴, 비스무트, 칼슘, 콜린, 디에틸아민, 디에탄올아민, 리튬, 마그네슘, 메글루민, 4-페닐시클로헥실아민, 피페라진, 칼륨, 나트륨, 트로메타민 및 아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부는 입체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비롯한 화합물의 모든 입체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한다. 입체이성질체의 제조 및 분리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화합물의 모든 호변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전장애이성질체 및 회전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발생하는 원자의 모든 동위원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동위원소는 동일한 원자 번호를 갖지만 상이한 질량수를 갖는 원자를 포함한다. 일반적 예로서 및 비제한적으로, 수소의 동위원소는 중수소 및 삼중수소를 포함한다. 탄소의 동위원소는 13C 및 14C를 포함한다. 동위원소-표지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또는 본원에 기재된 것들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달리 이용되는 비-표지된 시약 대신에 적절한 동위원소-표지된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생물학적 활성을 결정하는데 있어서의 표준물 및 시약으로서, 다양한 잠재적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안정한 동위원소의 경우에, 이러한 화합물은 생물학적, 약리학적 또는 약동학적 특성을 유리하게 변형시키는 잠재력을 가질 수 있다.
생물학적 방법
Gal 3 HTRF 검정
검정 완충제 조성: 멸균수 중에 제조된 25 mM HEPES, 100 mM NaCl, 0.005% 트윈 20, 0.05% BSA (모든 시약은 시그마(Sigma)로부터)
대조군:
양성 대조군: 100% DMSO (1μL) + His-태그부착 hGal-3 (20 μL) + B-ASF (20μL) + 항-His 테르븀 항체 (5μL) + Strep d2 항체 (5μL).
음성 대조군: 100% DMSO (1μL) + His-태그부착 hGal-3(20μL) + 항 His 테르븀 항체 (5μL) + Strep d2 항체 (5μL).
원액 제조:
Figure pct00007
프로토콜: Gal-3 검정을 384 백색 옵티 플레이트에서 실온에서 250-300 rpm으로 완만하게 진탕시키면서 3회 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원액으로부터, His-태그부착된 재조합 인간 Gal-3 (hGal-3) 및 B-ASF의 2.525X 작업 원액 농도를 제조하였다. 작업 원액으로부터, 20 μL의 hGal-3 (15 nM) 및 20 μL B-ASF (15 nM)를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에는, 오직 hGal-3만을 첨가하였다. 100% DMSO 중 화합물에 대해 소정 농도 범위의 50x 작업 원액을 제조하였다. 화합물의 1μL 분취물을 웰에 첨가하고, 웰당 20 μL hGal-3과 함께 30분 동안 사전-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20 μL B-ASF를 첨가하고, 추가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5μL (1.0 nM의 최종 농도) 테르븀 표지된 항-His 항체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다음, 이어서 5μL (20 nM의 최종 농도) 스트렙타비딘 d2을 첨가하고, 추가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검정 신호를 엔비전 2104 멀티라벨 판독기에서 HTRF 스크린 프로토콜 (여기 파장 = 340 nm, 방출 파장 = 615 nm/665 nm)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툴셋 및 커브 마스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실험 섹션에 보고된다 (IC50 (μM)).
Gal-3 ELISA 검정
물질:
1. 코팅 완충제: 포스페이트 완충 염수 (1x) - PBS
용액을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로부터 입수한 PBS 패킷 (카탈로그 번호: P3813-5x10팩) - 1개의 팩을 밀리-큐(Milli-Q) 물 1리터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2. 소 태아 혈청으로부터의 아시알로페투인, 유형-II. 시그마 알드리치 (카탈로그 번호: A1908-50MG).
3. 태아 소 혈청. 인비트로젠(Invitrogen) (카탈로그 번호: 26400-044-500 mL).
4. 트윈(Tween)-20. 시그마 알드리치 (카탈로그 번호: P1379-250 mL).
5. BD OptEIA 효소 시약 스트렙타비딘-HRP (카탈로그 번호: 554066).
6. 황산. 시그마 알드리치 (카탈로그 번호: 25,810-5).
7. 파라포름알데히드. 시그마 알드리치 (카탈로그 번호: P6148-500G).
8. TMB 기질. 비디 바이오사이언시스(BD Biosciences) (카탈로그 번호: 555214).
9. 비오틴-태그부착된 h갈렉틴-3 - 프로테오믹 그룹에 의해 사내 합성된, 비오틴 태그부착된 hGal-3의 0.82mg/mL 원액 (28.6 kDa, 28.6713 mM)을 적정에 사용하였다.
10. TD-139 (EXT-001109-01-001): h갈렉틴-3 중화 결합 검정에서 소분자 스크리닝에 대한 내부 표준으로서 사용되는, 사내 합성된 소분자.
A. 프로토콜
a. 플레이트의 코팅: 농도 15 nM의 ASF를 1x PBS에서 제조하고, 플레이트-맵에 따라 96 웰 편평-바닥 눈크 플레이트 (눈크 이뮤노 플레이트(Nunc immuno plate), 맥시소르프(Maxisorp), 카탈로그 번호 439454)에 플레이팅하고, 플레이트를 상단-밀봉으로 밀봉한 후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b. 플레이트의 고정 및 차단: 검정일에, 코팅 용액을 배수시키고, 플레이트를 2% 파라포름알데히드 용액 100 μL를 첨가하고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함으로써 고정하고, 세척 완충제 (0.05% 트윈-20 함유 PBS) 300 μL로 3회 세척하고, 스핀 건조시키고, 차단을 위해 취출하였다.
플레이트를 이후 10% FBS로 차단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에 플레이트를 세척 완충제 (0.05% 트윈-20 함유 PBS) 300μL로 3회 세척하였다.
B. 인큐베이션: 이전 세척으로부터 플레이트를 스핀 건조한 후, 플레이트-맵에 명시된 다양한 농도로 시험 화합물 100μL (실온-RT에서 1시간 동안 농도 15nM의 h갈렉틴-3 또는 m갈렉틴-3과 함께 사전 인큐베이션함)을 플레이트 맵에 따라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데이터 중복 및 재현성을 위해 이중으로 실행하였다.
이들 플레이트를 RT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세척 완충제로 5회 세척하고, 스핀 건조하고, 스트렙타비딘 HRP (1:1000 희석물) 100 μL를 첨가하고, 실온에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세척 완충제로 7회 세척하였다.
C. 검출: 이전 세척으로부터 플레이트를 스핀 건조한 후, TMB 기질 100 μL을 각 웰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에 2N 황산으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플레이트를 스펙트라맥스에서 450 nm에서 판독하였다.
결과: 얻어진 판독치 (OD)를, 평균 대조군을 사용해 정규화한 후에 대조군 웰에 대해 플롯팅하고, 프로그램 화합물에 대한 억제 농도 50의 로그 (로그 IC50) 값을 분석하였다.
요약: 프로그램 화합물의 IC50 값은 보고서 (커브 마스터 컴파일링으로부터의 엑셀 포맷으로 첨부되어 있음)에 제시된 바와 같았다. 플레이트 대조군 TD-139는 인간 및 마우스 갈렉틴-3에 대해 10.3 nM 및 108.12 nM의 IC50 값을 각각 가졌다. 상기를 반-로그 그래프 상에 플롯팅하였다.
제약 조성물 및 사용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은 Gal-3을 억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치료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기관 (간, 신장, 폐, 심장 및 피부 포함)의 섬유증, 간 질환 및 상태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 섬유증, 간 경변증, 문맥 고혈압, 재생 부전,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간 기능저하, 및 간 혈류 장애 포함), 세포 증식성 질환, 암, 및 상태 (고형 종양, 고형 종양 전이, 혈관 섬유종, 골수종, 다발성 골수종, 카포시 육종,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및 암 세포의 침습성 전이 포함), 염증성 질환 및 상태 (건선, 신병증, 및 폐렴 포함), 위장관 질환 및 상태 (과민성 장 증후군 (IBS), 염증성 장 질환 (IBD), 및 비정상적 췌장 분비 포함), 신질환 및 상태, 요로-연관 질환 및 상태 (양성 전립선 비대증 또는 신경병증성 방광 질환과 연관된 증상, 척수 종양, 추간판의 헤르니아, 척추관 협착, 및 당뇨병에서 유래된 증상 포함), 하부 요로 질환 및 상태 (하부 요로 폐쇄 포함), 하부 요로의 염증성 질환 및 상태 (배뇨곤란 및 빈뇨 포함), 췌장 질환 및 상태, 비정상적 혈관신생-연관 질환 및 상태 (동맥 폐쇄 포함), 경피증, 뇌-연관 질환 및 상태 (뇌경색 및 뇌출혈 포함), 신경병증성 통증 및 말초 신경병증, 안구 질환 및 상태 (연령-관련 황반 변성 (AMD), 당뇨병성 망막병증, 증식성 유리체망막병증 (PVR), 반흔성 유천포창, 및 녹내장 여과 수술 반흔형성 포함)로부터 선택된 질환 또는 상태를 앓는 환자를 본 발명의 화합물로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섬유증, 폐 섬유증, 간 섬유증, 동맥 섬유증 및 전신 경화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관 (간, 신장, 폐, 심장 및 피부 포함)의 섬유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 질환 및 상태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 섬유증, 간 경변증, 문맥 고혈압, 재생 부전,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간 기능저하 및 간 혈류 장애 포함)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 증식성 질환, 암 및 상태 (고형 종양, 고형 종양 전이, 혈관 섬유종, 골수종, 다발성 골수종, 카포시 육종,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및 암 세포의 침습성 전이 포함)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및 상태 (건선, 신병증 및 폐렴 포함)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위장관 질환 및 상태 (과민성 장 증후군 (IBS), 염증성 장 질환 (IBD) 및 비정상적 췌장 분비 포함)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질환 및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요로-연관 질환 및 상태 (양성 전립선 비대증 또는 신경병증성 방광 질환과 연관된 증상, 척수 종양, 추간판의 헤르니아, 척추관 협착, 및 당뇨병에서 유래된 증상 포함)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부 요로 질환 및 상태 (하부 요로 폐쇄 포함), 하부 요로의 염증성 질환 및 상태 (배뇨곤란 및 빈뇨 포함)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 포함하는 췌장 질환 및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정상적 혈관신생-연관 질환 및 상태 (동맥 폐쇄 포함)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뇌-연관 질환 및 상태 (뇌경색 및 뇌출혈 포함)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및 말초 신경병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구 질환 및 상태 (연령-관련 황반 변성 (AMD), 당뇨병성 망막병증, 증식성 유리체망막병증 (PVR), 반흔성 유천포창 및 녹내장 여과 수술 반흔형성 포함)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Gal-3이 역할을 하는 상태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Gal-3의 생리학적 활성의 억제가 유용한 상태, 예컨대 Gal-3 수용체가 참여하거나, 또는 질환의 병인 또는 병리상태에 관련되거나, 또는 질환의 적어도 1종의 증상과 연관된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본 발명의 다른 화합물과 조합되어, 또는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종의 다른 작용제(들)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치료상 유효한"은 통증 분야의 진료의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의미있는 환자 이익을 제공하는데 요구되는 작용제의 양을 의미한다.
"환자"는 통증을 앓고, 이 분야의 진료의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은 요법에 적합한 사람을 의미한다.
"치료", "치료요법", "요법" 및 관련 용어는 이 분야에서 진료의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치료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로 이루어진 제약 조성물로서 제공되고, 통상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치료 유효량은 의미있는 환자 이익을 제공하는데 요구되는 양이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는 허용되는 안전성 프로파일을 갖는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담체이다. 조성물은 캡슐, 정제, 로젠지 및 분말 뿐만 아니라 액체 현탁액, 시럽, 엘릭시르 및 용액을 비롯한 모든 통상의 고체 및 액체 형태를 포괄한다. 조성물은 통상의 제제화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통상적인 부형제 (예컨대 결합제 및 습윤제) 및 비히클 (예컨대 물 및 알콜)이 일반적으로 조성물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th edition,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85)]을 참조한다.
고체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투여 단위로 제제화되고, 용량당 약 1 내지 1000 mg의 활성 성분을 제공하는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의 일부 예는 1 mg, 10 mg, 100 mg, 250 mg, 500 mg 및 1000 mg이다. 일반적으로, 다른 항레트로바이러스제는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부류의 작용제와 유사한 단위 범위로 존재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이는 0.25-1000 mg/단위이다.
액체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투여 단위 범위 내이다. 일반적으로, 액체 조성물은 1-100 mg/mL의 단위 투여량 범위 내일 것이다. 투여량의 일부 예는 1 mg/mL, 10 mg/mL, 25 mg/mL, 50 mg/mL 및 100 mg/mL이다.
본 발명은 모든 통상적인 투여 방식을 포괄하고; 경구 및 비경구 방법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투여 요법은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작용제와 유사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1일 용량은 1일 1-100 mg/kg 체중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구로는 보다 많은 화합물이 요구되고, 비경구로는 보다 적은 화합물이 요구된다. 그러나, 구체적인 투여 요법은 타당한 의학적 판단을 사용하여 의사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화학적 방법
본 개시내용이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그의 본질적인 속성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구체적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는 모든 측면에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며, 상기 실시예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하고, 이에 따라 청구범위의 등가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화가 그 안에 포괄되도록 의도되어야 한다.
섹션 A
LCMS 분석은 워터스 TUV 및 SQ 질량 검출기와 결합된 워터스 액퀴티 UPLC 시스템에서 수행하고 (칼럼: BEH C18 2.1 x 50 mm; 이동상 A: 물, 0.05% TFA 포함;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0.05% TFA 포함; 구배: 1.6분에 걸쳐 2-98% B; 유량: 0.8 mL/분); HPLC 분석은 SPD-10AV UV 검출기와 결합된 시마즈 LC10-AT HPLC 시스템에서 수행하고 (칼럼 YMC S5 콤비스크린 ODS 4.6 x 50 mm; 이동상 A: 5:95 아세토니트릴:물, 0.1% TFA 포함; 이동상 B: 95:5 아세토니트릴:물, 0.1% TFA 포함; 구배: 40분에 걸쳐 0-100% B, 이어서 100% B에서 1-분 유지; 유량: 1 mL/분); 정제용 HPLC 정제는 SPD 20 UV 검출기와 결합된 시마즈 LC-8 정제용 HPLC 시스템에서 수행하였다. 상세한 조건은 실험 절차에 기재되어 있다.
제조 방법
실시예 1 (대표적인 방법 A)
(2R,3R,4S,5R,6R)-5-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3-메톡시-N-메틸-N-(2-메틸벤조[d]티아졸-6-일)-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08
단계 1. 메틸 (2S,4aR,6R,7R,8S,8aR)-7-아세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레이트
DMF (20.73 ml) 및 물 (4.15 ml) 중 메틸 (4aR,6R,7R,8S,8aR)-7-아세톡시-8-아지도-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레이트 (2.30 g, 6.10 mmol)의 용액에 아스코르브산나트륨 (1.207 g, 6.10 mmol), 황산구리 (II) 5수화물 (1.370 g, 5.49 mmol), 및 5-에티닐-1,2,3-트리플루오로벤젠 (1.713 g, 10.9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탈기한 다음, 85℃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물 (50 ml) 및 DCM (30 ml)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메틸 (4aR,6R,7R,8S,8aR)-7-아세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레이트 (3.4 g, 6.05 mmol, 99% 수율)를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534.0.
1H NMR (500 MHz, DMSO-d6) δ 8.83 (br s, 1H), 7.83 (br s, 2H), 7.46 - 7.31 (m, 5H), 5.69 (br s, 2H), 5.65 - 5.57 (m, 1H), 4.59 (br s, 1H), 4.53 - 4.45 (m, 1H), 4.17 (br d, J=14.0 Hz, 2H), 4.03 (br s, 1H), 3.66 (br s, 3H), 1.84 (br s, 3H).
단계 2. (2S,4aR,6R,7R,8R,8aR)-7-히드록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실온에서 THF (20 mL) 중 메틸 (4aR,6R,7R,8S,8aR)-7-아세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레이트 (356 mg, 0.667 mmol)의 용액에 물 (4 mL) 중 수산화리튬의 용액 (80 mg, 3.34 mmol)을 2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은 완전하고, 깨끗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에 물 (4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 N HCl을 사용하여 pH 3-4로 산성화시켰다. 불용성 생성물, (4aR,6R,7R,8R,8aR)-7-히드록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0.320 g, 0.670 mmol, 100% 수율)을 흡인 여과에 의해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집하고, 진공 하에 드라이어라이트 상에서 건조시켰다.
LCMS (M + H)+ = 478.0.
단계 3. (2S,4aR,6R,7R,8R,8aR)-7-히드록시-N-(2-메틸벤조[d]티아졸-6-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DMF (3.5 mL) 중 (4aR,6R,7R,8R,8aR)-7-히드록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200 mg, 0.419 mmol), 2-메틸벤조[d]티아졸-6-아민 (55 mg, 0.335 mmol),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OP) (296 mg, 0.670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90 mL, 1.089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물 (10 mL)을 첨가하고, 침전하는 물질을 흡인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추가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40 g 실리카 겔, 고체 로딩, 1-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에 의해 정제하여 (4aR,6R,7R,8R,8aR)-7-히드록시-N-(2-메틸벤조[d]티아졸-6-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96 mg, 0.154 mmol, 36.7% 수율)를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624.1.
단계 4. (2S,4aR,6R,7R,8R,8aR)-7-메톡시-N-메틸-N-(2-메틸벤조[d]티아졸-6-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0℃에서 (4aR,6R,7R,8R,8aR)-7-히드록시-N-(2-메틸벤조[d]티아졸-6-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19 mg, 0.030 mmol) 및 아이오도메탄 (t-부틸 에틸 에테르 중 2 N) (0.061 mL, 0.122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60% 오일 분산액) (4.87 mg, 0.122 mmol)을 한 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AcOH (0.5 mL)로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아세트산 (0.5 mL)으로 희석하고, 정제용 HPLC에 주입하였다. 정확한 분획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염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 (3 x 2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목적 생성물, (4aR,6R,7R,8R,8aR)-7-메톡시-N-메틸-N-(2-메틸벤조[d]티아졸-6-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9 mg, 0.014 mmol, 45.3%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600 MHz, 클로로포름-d) δ 8.08 (s, 1H), 8.00 (d, J=8.5 Hz, 1H), 7.83 (br s, 1H), 7.48 - 7.37 (m, 8H), 5.44 (s, 1H), 4.80 (dd, J=10.6, 3.4 Hz, 1H), 4.42 (dd, J=10.6, 8.9 Hz, 1H), 4.29 (dd, J=12.6, 1.2 Hz, 1H), 4.22 (d, J=2.8 Hz, 1H), 3.95 (dd, J=12.5, 1.7 Hz, 1H), 3.79 (d, J=8.9 Hz, 1H), 3.40 (s, 3H), 3.11 (br s, 1H), 3.08 (s, 3H), 2.90 (s, 3H).
단계 5. (2R,3R,4S,5R,6R)-5-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3-메톡시-N-메틸-N-(2-메틸벤조[d]티아졸-6-일)-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70% 수성 아세트산 (1 mL) 중 (4aR,6R,7R,8R,8aR)-7-메톡시-N-메틸-N-(2-메틸벤조[d]티아졸-6-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9 mg, 0.014 mmol)의 용액을 7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메탄올 (1 mL)로 희석하고, 정제용 HPLC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악시아 5u C18 21.2 x 100; 용매 A: 90% H2O-10% 메탄올-0.1%TFA, 용매 B: 10% 메탄올-90% H2O 0.1% TFA; 출발 %B: 25, 최종 %B: 100)에 주입하였다. 정확한 분획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염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 (3 x 2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목적 생성물, (2R,3R,4S,5R,6R)-5-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3-메톡시-N-메틸-N-(2-메틸벤조[d]티아졸-6-일)-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6.0 mg, 10.65 μmol, 77%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564.0.
1H NMR (500 MHz, 메탄올-d4) δ 8.69 (s, 1H), 8.10 (d, J=1.4 Hz, 1H), 8.00 (d, J=8.5 Hz, 1H), 7.68 (dd, J=8.8, 6.6 Hz, 2H), 7.56 (dd, J=8.5, 2.2 Hz, 1H), 4.69 (dd, J=10.7, 3.0 Hz, 1H), 4.50 (dd, J=10.7, 9.1 Hz, 1H), 3.93 (d, J=2.5 Hz, 1H), 3.81 (d, J=8.8 Hz, 1H), 3.77 (dd, J=11.7, 7.3 Hz, 1H), 3.64 (dd, J=11.7, 4.5 Hz, 1H), 3.43 (s, 3H), 3.36 - 3.34 (m, 1H), 3.15 (s, 3H), 2.89 (s, 3H).
hGal-3 (HTRF) IC50 = 0.087 μM.
실시예 2 (대표적인 방법 B)
(2R,3R,4S,5R,6R)-3,5-디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N-메틸-N-(2-메틸벤조[d]티아졸-6-일)-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09
단계 1. (2S,4aR,6R,7R,8S,8aR)-6-((2-메틸벤조[d]티아졸-6-일)카르바모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7-일 아세테이트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4aR,6R,7R,8R,8aR)-7-히드록시-N-(2-메틸벤조[d]티아졸-6-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70 mg, 0.112 mmol)의 용액에 아세틸 클로라이드 (0.016 mL, 0.225 mmol)에 이어서 피리딘 (0.023 mL, 0.281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60 mL)로 희석하고, 물 (15 mL), 포화 NaHCO3 용액 (15 mL), 및 염수 (1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목적 생성물, (4aR,6R,7R,8S,8aR)-6-((2-메틸벤조[d]티아졸-6-일)카르바모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7-일 아세테이트 (75 mg, 0.113 mmol, 100% 수율)를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666.1.
단계 2. (2S,4aR,6R,7R,8S,8aR)-6-(메틸(2-메틸벤조[d]티아졸-6-일)카르바모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7-일 아세테이트
0℃에서 (4aR,6R,7R,8S,8aR)-6-((2-메틸벤조[d]티아졸-6-일)카르바모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7-일 아세테이트 (75 mg, 0.113 mmol) 및 아이오도메탄 (t-부틸 에틸 에테르 중 2 N) (0.085 mL, 0.169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60% 오일 분산액) (9.01 mg, 0.225 mmol)을 한 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AcOH (0.5 mL)로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고, 물 (2 x 15 mL) 및 염수 (15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목적 생성물, (4aR,6R,7R,8S,8aR)-6-(메틸(2-메틸벤조[d]티아졸-6-일)카르바모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7-일 아세테이트 (50 mg, 0.074 mmol, 65.3% 수율)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24 g 실리카 겔, 고체 로딩, 80-10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해 백색 고체로서 단리시켰다.
LCMS (M + H)+ = 680.1.
단계 3. (2S,4aR,6R,7R,8R,8aR)-7-히드록시-N-메틸-N-(2-메틸벤조[d]티아졸-6-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실온에서 THF (2.5 mL) 중 (4aR,6R,7R,8S,8aR)-6-(메틸(2-메틸벤조[d]티아졸-6-일)카르바모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7-일 아세테이트 (50 mg, 0.074 mmol)의 용액에 물 (0.5 mL) 중 수산화리튬 (8.81 mg, 0.368 mmol)의 용액을 2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에 물 (2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2 N HCl을 사용하여 pH 3-4로 산성화시켰다. 불용성 생성물, (4aR,6R,7R,8R,8aR)-7-히드록시-N-메틸-N-(2-메틸벤조[d]티아졸-6-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43 mg, 0.067 mmol, 92% 수율)을 흡인 여과에 의해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집하고, 진공 하에 50℃에서 건조시켰다.
LCMS (M + H)+ = 638.0.
단계 4. (2R,3R,4S,5R,6R)-3,5-디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N-메틸-N-(2-메틸벤조[d]티아졸-6-일)-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70% 수성 아세트산 (2 mL) 중 (4aR,6R,7R,8R,8aR)-7-히드록시-N-메틸-N-(2-메틸벤조[d]티아졸-6-일)-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43 mg, 0.067 mmol)의 용액을 7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메탄올로 희석하고, 정제용 HPLC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악시아 5u C18 21.2 x 100; 용매 A: 90% H2O-10% 메탄올-0.1%TFA, 용매 B: 10% 메탄올-90% H2O 0.1% TFA; 출발 %B: 20, 최종 %B: 100)에 주입하였다. 정확한 분획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포화 NaHCO3 용액을 사용하여 염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 (3 x 2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목적 생성물, (2R,3R,4S,5R,6R)-3,5-디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N-메틸-N-(2-메틸벤조[d]티아졸-6-일)-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20 mg, 0.036 mmol, 54.0%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550.0.
1H NMR (500 MHz, 메탄올-d4) δ 8.54 (s, 1H), 8.10 (d, J=1.7 Hz, 1H), 8.00 (d, J=8.5 Hz, 1H), 7.65 (dd, J=8.7, 6.7 Hz, 2H), 7.57 (dd, J=8.5, 2.2 Hz, 1H), 4.76 (dd, J=11.0, 9.1 Hz, 1H), 4.64 (dd, J=11.0, 3.0 Hz, 1H), 3.97 (d, J=2.5 Hz, 1H), 3.84 (d, J=9.1 Hz, 1H), 3.75 (dd, J=11.6, 7.2 Hz, 1H), 3.68 - 3.61 (m, 1H), 3.42 (s, 3H), 3.38 - 3.34 (m, 1H), 2.89 (s, 3H).
hGal-3 (HTRF) IC50 = 0.109 μM.
실시예 3 (대표적인 방법 C)
(2R,3R,4S,5R,6R)-N-(6-클로로퀴놀린-8-일)-5-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3-메톡시-N-메틸-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10
단계 1. 메틸 (2S,4aR,6R,7R,8R,8aR)-7-메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레이트
0℃에서 DMF (12 mL) 중 (4aR,6R,7R,8R,8aR)-7-히드록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670 mg, 1.403 mmol) 및 아이오도메탄 (0.349 mL, 5.61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60% 오일 분산액) (281 mg, 7.02 mmol)을 한 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50℃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를 0℃에서 재냉각시킨 후, 추가의 아이오도메탄 (0.175 mL, 2.80 mmol) 및 수소화나트륨 (60% 오일 분산액) (140 mg, 2.31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추가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아세트산 (1 mL, 17.47 mmol)으로 켄칭하고, 물 (150 mL)로 희석하고, 그의 pH 값을 7로 조정하였다. 불용성 물질을 흡인 여과에 의해 수집한 다음, 이어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80 g 실리카 겔, 고체 로딩, 30-6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하여 목적 생성물, 메틸 (4aR,6R,7R,8R,8aR)-7-메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레이트 (236 mg, 0.467 mmol, 33.3%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506.0.
단계 2. (2S,4aR,6R,7R,8R,8aR)-7-메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실온에서 THF (10 mL) 중 메틸 (4aR,6R,7R,8R,8aR)-7-메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레이트 (234 mg, 0.463 mmol)의 용액에 물 (2 mL) 중 수산화리튬의 용액 (55.4 mg, 2.315 mmol)을 2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 건조시켰다. 잔류물에 물 (1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 N HCl을 사용하여 pH 4-5로 산성화시켰다. 불용성 생성물, (4aR,6R,7R,8R,8aR)-7-메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221 mg, 0.450 mmol, 97%수율)을 흡인 여과에 의해 백색 고체로서 수집하고, 진공 하에 50℃에서 건조시켰다.
LCMS (M + H)+ = 492.0.
단계 3. (2S,4aR,6R,7R,8R,8aR)-N-(6-클로로퀴놀린-8-일)-7-메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DMF (0.5 mL) 중 (4aR,6R,7R,8R,8aR)-7-메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25 mg, 0.051 mmol), 6-클로로퀴놀린-8-아민 (18.17 mg, 0.102 mmol),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BOP) (36.0 mg, 0.081 m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036 mL, 0.203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메탄올로 희석하고, 정제용 HPLC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악시아 5u C18 21.2 x 100; 용매 A: 90% H2O-10% 메탄올-0.1%TFA, 용매 B: 10% 메탄올-90% H2O 0.1% TFA; 출발 %B: 44, 최종 %B: 100)에 주입하였다. 정확한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염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 (3 x 2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목적 생성물, (4aR,6R,7R,8R,8aR)-N-(6-클로로퀴놀린-8-일)-7-메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12 mg, 0.018 mmol, 36.2% 수율)를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652.0.
단계 4. (2S,4aR,6R,7R,8R,8aR)-N-(6-클로로퀴놀린-8-일)-7-메톡시-N-메틸-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0℃에서 (4aR,6R,7R,8R,8aR)-N-(6-클로로퀴놀린-8-일)-7-메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12 mg, 0.018 mmol) 및 아이오도메탄 (t-부틸 에틸 에테르 중 2 N) (0.023 mL, 0.046 mmol)의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60% 오일 분산액) (1.840 mg, 0.046 mmol)을 한 번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AcOH (0.5 mL)로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용액 (15 mL), 물 (2 x 15 mL), 염수 (1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4aR,6R,7R,8R,8aR)-N-(6-클로로퀴놀린-8-일)-7-메톡시-N-메틸-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12 mg, 0.018 mmol, 98% 수율)를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666.1.
단계 5. (2R,3R,4S,5R,6R)-N-(6-클로로퀴놀린-8-일)-5-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3-메톡시-N-메틸-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70% 아세트산 (1 mL) 중 (4aR,6R,7R,8R,8aR)-N-(6-클로로퀴놀린-8-일)-7-메톡시-N-메틸-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12 mg, 0.018 mmol)의 용액을 7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메탄올로 희석하고, 정제용 HPLC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악시아 5u C18 21.2 x 100; 용매 A: 90% H2O-10% 메탄올-0.1%TFA, 용매 B: 10% 메탄올-90% H2O 0.1% TFA; 출발 %B: 25, 최종 %B: 100)에 주입하였다. 정확한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1 N K2HPO4 용액으로 염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 (3 x 2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2R,3R,4S,5R,6R)-N-(6-클로로퀴놀린-8-일)-5-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3-메톡시-N-메틸-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4.0 mg, 6.48 μmol, 36.0%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578.0.
1H NMR (500 MHz, 메탄올-d4) δ 9.02 - 8.93 (m, 1H), 8.66 (s, 1H), 8.46 - 8.36 (m, 1H), 8.14 (br d, J=2.2 Hz, 1H), 8.03 (br s, 1H), 7.73 - 7.61 (m, 3H), 4.61 - 4.55 (m, 1H), 4.56 - 4.49 (m, 1H), 3.93 (br s, 1H), 3.82 - 3.74 (m, 1H), 3.72 - 3.64 (m, 1H), 3.48 (s, 3H), 3.44 - 3.39 (m, 1H), 3.30 - 3.26 (m, 1H), 3.21 - 3.13 (s, 3H).
hGal-3 (HTRF) IC50 = 0.057 μM.
실시예 4 (대표적인 방법 D)
(2R,3R,4S,5R,6R)-N-(벤조[d]티아졸-6-일)-4-(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5-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3-메톡시-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11
단계 1. ((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에티닐)트리메틸실란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120 ml) 중 5-브로모-2-클로로-1,3-디플루오로벤젠 (27.3 g, 120 mmol), 아이오딘화구리 (I) (0.389 g, 2.041 mmol)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염화팔라듐 (II) (1.432 g, 2.041 mmol)의 탈기된 혼합물에 질소 하에 에티닐트리메틸실란 (17.30 ml, 122 mmol)을 2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HPLC에 의해 모니터링함)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를 헥산 (100 mL)으로 희석하고, 불용성 물질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였다.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헥산으로 용리시키면서 220g 실리카 겔 플래쉬 칼럼 상에 로딩하여 ((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에티닐)트리메틸실란 (29.23 g, 109 mmol, 91% 수율)을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7.03-7.10 (m, 2H), 0.22-0.29 (m, 9H).
단계 2. 메틸 (4aR,6R,7R,8S,8aR)-7-아세톡시-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레이트
DMF (3.79 ml) 및 물 (1.514 ml) 중 메틸 (4aR,6R,7R,8S,8aR)-7-아세톡시-8-아지도-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레이트 (0.200 g, 0.530 mmol)의 용액에 (+)-아스코르브산나트륨 (0.105 g, 0.530 mmol), 황산구리 (II) 5수화물 (0.119 g, 0.477 mmol), 및 ((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에티닐)트리메틸실란 (0.259 g, 1.06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탈기하고, 85℃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얼음에 부었다. 생성된 불용성 물질을 흡인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추가로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24 g 실리카 겔, 고체 로딩, 0-50% 에틸 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4aR,6R,7R,8S,8aR)-7-아세톡시-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레이트 (286 mg, 0.520 mmol, 98%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550.1.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8.08 (s, 1H), 7.42-7.46 (m, 5H), 7.39-7.41 (m, 1H), 7.37-7.39 (m, 1H), 5.88 (dd, J=9.46, 11.00 Hz, 1H), 5.52 (s, 1H), 5.20 (dd, J=3.41, 10.89 Hz, 1H), 4.45-4.51 (m, 2H), 4.23 (d, J=9.68 Hz, 1H), 4.09-4.16 (m, 1H), 3.81 (s, 3H), 3.79 (d, J=1.10 Hz, 1H), 1.88 (s, 3H).
단계 3. (4aR,6R,7R,8R,8aR)-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7-히드록시-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THF (11.0 mL) 중 메틸 (4aR,6R,7R,8S,8aR)-7-아세톡시-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레이트 (286 mg, 0.520 mmol)의 용액에 LiOH (1N 수성 용액) (2.60 mL, 2.6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하고, 1N HCl 수성 용액을 사용하여 pH 5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4aR,6R,7R,8R,8aR)-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7-히드록시-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241 mg, 0.488 mmol, 94%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494.1.
1H NMR (400 MHz, DMSO-d6) δ 8.93 (s, 1H), 7.84 (d, J=8.36 Hz, 2H), 7.29-7.36 (m, 5H), 5.52 (s, 1H), 5.10 (td, J=3.52, 6.60 Hz, 1H), 4.43 (br s, 2H), 4.04-4.21 (m, 2H), 3.87 (br s, 2H).
단계 4. (4aR,6R,7R,8R,8aR)-N-(벤조[d]티아졸-6-일)-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7-히드록시-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4aR,6R,7R,8R,8aR)-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7-히드록시-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108 mg, 0.219 mmol) 및 벤조[d]티아졸-6-아민, 2 HCl (53.7 mg, 0.241 mmol)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53 mL, 0.875 mmol)을 첨가한 다음, 이어서 2,4,6-트리프로필-1,3,5,2,4,6-트리옥사트리포스피난 2,4,6-트리옥시드 (EtOAc 중 50% 용액) (557 mg, 0.875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80 g 실리카 겔, 고체 로딩, 0-9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로 처리하여 (4aR,6R,7R,8R,8aR)-N-(벤조[d]티아졸-6-일)-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7-히드록시-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106 mg, 0.169 mmol, 77%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626.2.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8.98 (s, 1H), 8.76 (s, 1H), 8.54 (d, J=2.20 Hz, 1H), 8.12 (d, J=8.80 Hz, 1H), 8.06-8.08 (m, 1H), 7.50 (dd, J=1.98, 8.80 Hz, 1H), 7.41-7.46 (m, 2H), 7.38 (s, 4H), 5.55 (s, 1H), 5.14 (dd, J=3.08, 10.56 Hz, 1H), 4.98 (br s, 1H), 4.69 (t, J=10.01 Hz, 1H), 4.63 (d, J=2.64 Hz, 1H), 4.56 (dd, J=1.21, 12.87 Hz, 1H), 4.23 (d, J=9.46 Hz, 2H), 3.95 (s, 1H).
단계 5. (4aR,6R,7R,8R,8aR)-N-(벤조[d]티아졸-6-일)-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7-메톡시-N-메틸-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DMF (1.0 mL) 중 (4aR,6R,7R,8R,8aR)-N-(벤조[d]티아졸-6-일)-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7-히드록시-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25 mg, 0.040 mmol)에 수소화나트륨 (60% 오일 분산액) (7.99 mg, 0.200 mmol)에 이어서 아이오도메탄 (0.012 mL, 0.200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켄칭하고, 에틸아세테이트 (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용액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2 g 실리카 겔, 0-9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로 처리하여 (4aR,6R,7R,8R,8aR)-N-(벤조[d]티아졸-6-일)-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7-메톡시-N-메틸-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22 mg, 0.034 mmol, 84% 수율)를 베이지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654.2.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8.21 (d, J=8.58 Hz, 1H), 8.13 (s, 1H), 7.96-8.06 (m, 2H), 7.54 (dd, J=1.98, 8.58 Hz, 1H), 7.38-7.48 (m, 7H), 5.44 (s, 1H), 4.81 (dd, J=3.30, 10.56 Hz, 1H), 4.43 (dd, J=9.02, 10.56 Hz, 1H), 4.30 (dd, J=1.21, 12.65 Hz, 1H), 4.19-4.25 (m, 1H), 3.95 (dd, J=1.54, 12.76 Hz, 1H), 3.80 (d, J=9.02 Hz, 1H), 3.42 (s, 3H), 3.12 (s, 1H), 3.08 (s, 3H).
단계 6. (2R,3R,4S,5R,6R)-N-(벤조[d]티아졸-6-일)-4-(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5-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3-메톡시-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아세트산 (0.7 mL) 및 물 (0.3 mL) 중 (4aR,6R,7R,8R,8aR)-N-(벤조[d]티아졸-6-일)-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7-메톡시-N-메틸-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22 mg, 0.034 mmol)의 혼합물을 65℃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메탄올로 희석하고, 정제용 HPLC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악시아 5u 30 x 100; 용매 A: 90% H2O-10% ACN-0.1%TFA, 용매 B: 90% ACN-10% H2O 0.1% TFA; 출발 %B: 25, 최종 %B: 80)에 주입하였다. 정확한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염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 (2 x 25 mL)으로 추출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목적 생성물, (2R,3R,4S,5R,6R)-N-(벤조[d]티아졸-6-일)-4-(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5-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3-메톡시-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11 mg, 0.019 mmol, 56.6%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566.1.
1H NMR (400 MHz, 메탄올-d4) δ 9.35 (s, 1H), 8.73 (s, 1H), 8.22-8.27 (m, 1H), 8.12-8.22 (m, 1H), 7.64-7.70 (m, 2H), 7.58-7.64 (m, 1H), 4.69 (dd, J=2.86, 10.78 Hz, 1H), 4.50 (dd, J=9.13, 10.67 Hz, 1H), 3.91 (d, J=2.42 Hz, 1H), 3.78-3.83 (m, 1H), 3.73-3.78 (m, 1H), 3.63 (dd, J=4.51, 11.77 Hz, 1H), 3.43 (s, 3H), 3.34 (br s, 1H), 3.14 (s, 3H).
hGal-3 (HTRF) IC50 = 0.033 μM.
실시예 5 (대표적인 방법 E)
(2R,3R,4S,5R,6R)-N-(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3,5-디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12
단계 1. (4aR,6R,7R,8S,8aR)-7-아세톡시-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THF (45.5 ml) 및 메탄올 (4.55 ml) 중 메틸 (4aR,6R,7R,8S,8aR)-7-아세톡시-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레이트 (1.1 g, 2.000 mmol)의 현탁액에 수산화리튬 (1N 수성 용액) (2.000 ml, 2.000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물 (30 mL)로 희석하고, 1M HCl 수성 용액을 사용하여 pH 3-4로 산성화시키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80 g 실리카 겔, 고체 로딩, 0-15% 메탄올/디클로로메탄)로 처리하여 (4aR,6R,7R,8S,8aR)-7-아세톡시-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215 mg, 0.401 mmol, 20%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536.2.
1H NMR (400 MHz, 메탄올-d4) δ 8.33 (s, 1H), 7.42-7.49 (m, 4H), 7.36-7.40 (m, 3H), 5.84 (t, J=10.23 Hz, 1H), 5.58 (s, 1H), 5.40 (dd, J=2.97, 10.89 Hz, 1H), 4.56 (d, J=3.08 Hz, 1H), 4.39 (d, J=12.76 Hz, 1H), 4.31 (d, J=9.68 Hz, 1H), 4.17 (d, J=12.76 Hz, 1H), 3.92 (s, 1H), 1.85 (s, 3H).
단계 2. (4aR,6R,7R,8S,8aR)-6-((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7-일 아세테이트
DCE (1.0 mL) 중 (4aR,6R,7R,8S,8aR)-7-아세톡시-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66 mg, 0.123 mmol) 및 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 (27.7 mg, 0.142 mmol)에 피리딘 (0.040 mL, 0.493 mmol)을 첨가한 다음, 이어서 2,4,6-트리프로필-1,3,5,2,4,6-트리옥사트리포스피난 2,4,6-트리옥시드 (EtOAc 중 50% 용액) (314 mg, 0.493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2 g 실리카 겔, 0-5% 메탄올/디클로로메탄)로 처리하여 (4aR,6R,7R,8S,8aR)-6-((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7-일 아세테이트 (70 mg, 0.098 mmol, 80% 수율)를 필름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713.3.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9.06 (br s, 1H), 8.29 (d, J=1.32 Hz, 1H), 7.96 (s, 1H), 7.57 (d, J=8.58 Hz, 1H), 7.41-7.45 (m, 5H), 7.37 (d, J=7.48 Hz, 2H), 7.24 (dd, J=1.10, 8.36 Hz, 1H), 5.83 (dd, J=9.68, 11.00 Hz, 1H), 5.54 (s, 1H), 5.28-5.34 (m, 1H), 4.55 (d, J=3.08 Hz, 1H), 4.49 (dd, J=1.43, 12.87 Hz, 1H), 4.28 (d, J=9.68 Hz, 1H), 4.18 (dd, J=1.54, 12.98 Hz, 1H), 3.94 (d, J=0.66 Hz, 1H), 1.98 (s, 3H).
단계 3. (4aR,6R,7R,8R,8aR)-N-(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7-히드록시-N-메틸-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DMF (1.0 mL) 중 (4aR,6R,7R,8S,8aR)-6-((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카르바모일)-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7-일 아세테이트 (35 mg, 0.037 mmol) 및 K2CO3 (25.4 mg, 0.184 mmol)에 아이오도메탄 (6.87 μl, 0.110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9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나머지 용액에 수산화리튬 (1N 수성 용액) (0.110 mL, 0.110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2 g 실리카 겔, 0-4% 메탄올/디클로로메탄)로 처리하여 (4aR,6R,7R,8R,8aR)-N-(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7-히드록시-N-메틸-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19 mg, 0.028 mmol, 75% 수율)를 필름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685.3.
단계 4. (2R,3R,4S,5R,6R)-N-(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3,5-디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아세트산 (0.7 mL) 및 물 (0.3 mL) 중 (4aR,6R,7R,8R,8aR)-N-(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8-(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7-히드록시-N-메틸-2-페닐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19 mg, 0.028 mmol)의 혼합물을 9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메탄올로 희석하고, 정제용 HPLC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악시아 30 x 100 mm C18 5u; 용매 A: 90% H2O-10% ACN-0.1%TFA, 용매 B: 90% ACN-10% H2O 0.1% TFA; 출발 %B: 30, 최종 %B: 70)에 주입하였다. 정확한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염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 (2 x 25 mL)으로 추출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목적 생성물, (2R,3R,4S,5R,6R)-N-(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4-(4-클로로-3,5-디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3,5-디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N-메틸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5 mg, 7.95 μmol, 28.7% 수율)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 597.2;
1H NMR (400 MHz, 메탄올-d4) δ 8.57 (d, J=5.06 Hz, 1H), 7.86 (d, J=8.58 Hz, 1H), 7.79 (d, J=1.76 Hz, 1H), 7.68-7.74 (m, 1H), 7.65 (d, J=7.92 Hz, 2H), 7.56 (d, J=1.54 Hz, 1H), 4.68 (dd, J=2.75, 11.33 Hz, 1H), 4.47-4.65 (m, 1H), 4.01 (d, J=2.86 Hz, 1H), 3.80 (d, J=8.80 Hz, 1H), 3.66-3.72 (m, 1H), 3.60-3.65 (m, 1H), 3.50-3.53 (m, 1H), 3.27 (d, J=5.28 Hz, 3H).
hGal-3 (HTRF) IC50 = 0.051 μM.
실시예 6 (대표적인 방법 F)
(2R,3R,4S,5R,6R)-N-(벤조[b]티오펜-6-일)-3,5-디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N-메틸-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Figure pct00013
단계 1. (4aR,6R,7R,8R,8aR)-N-(벤조[b]티오펜-6-일)-7-히드록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DCM (3.0 mL) 중 (4aR,6R,7R,8R,8aR)-7-히드록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100 mg, 0.209 mmol) 및 벤조[b]티오펜-6-아민 (34.4 mg, 0.230 mmol)에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46 mL, 0.838 mmol)을 첨가한 다음, 이어서 2,4,6-트리프로필-1,3,5,2,4,6-트리옥사트리포스피난 2,4,6-트리옥시드 (EtOAc 중 50%) (533 mg, 0.838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12 g 실리카 겔, 0-3% 메탄올/디클로로메탄)에 적용하여 (4aR,6R,7R,8R,8aR)-N-(벤조[b]티오펜-6-일)-7-히드록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111 mg, 0.182 mmol, 87% 수율)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 609.2;
1H NMR (400 MHz, 클로로포름-d) δ 8.66 (s, 1H), 8.36 (d, J=1.98 Hz, 1H), 8.03 (s, 1H), 7.81 (d, J=8.36 Hz, 1H), 7.40-7.46 (m, 4H), 7.38-7.39 (m, 4H), 7.32 (dd, J=0.66, 5.28 Hz, 1H), 5.54 (s, 1H), 5.09-5.17 (m, 1H), 5.05-5.09 (m, 1H), 4.65-4.74 (m, 1H), 4.51-4.63 (m, 2H), 4.22-4.25 (m, 1H), 4.17-4.22 (m, 1H), 3.90-3.96 (m, 1H).
단계 2. (2R,3R,4S,5R,6R)-N-(벤조[b]티오펜-6-일)-3,5-디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N-메틸-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밀봉된 튜브에 들은 DMF (2.0 mL) 중 (4aR,6R,7R,8R,8aR)-N-(벤조[b]티오펜-6-일)-7-히드록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55 mg, 0.090 mmol) 및 K2CO3 (62.4 mg, 0.452 mmol)에 아이오도메탄 (38.5 mg, 0.271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60℃에서 1일 동안 교반한 다음, 90℃에서 2일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메탄올로 희석하고, 정제용 HPLC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악시아 30 x 100 mm C18 5u; 용매 A: 90% H2O-10% ACN-0.1%TFA, 용매 B: 90% ACN-10% H2O 0.1% TFA; 출발 %B: 30, 최종 %B: 60)에 주입하였다. 정확한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염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 (2 x 25 mL)으로 추출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목적 생성물, (2R,3R,4S,5R,6R)-N-(벤조[b]티오펜-6-일)-3,5-디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N-메틸-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11 mg, 0.020 mmol, 21.63% 수율)를 황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 535.1;
1H NMR (500 MHz, 메탄올-d4) δ 8.52 (s, 1H), 8.04 (s, 1H), 7.95 (d, J=8.25 Hz, 1H), 7.70 (d, J=5.50 Hz, 1H), 7.63 (dd, J=6.74, 8.67 Hz, 2H), 7.45 (d, J=5.50 Hz, 1H), 7.42 (dd, J=1.65, 8.53 Hz, 1H), 4.74 (dd, J=9.08, 10.73 Hz, 1H), 4.61 (dd, J=2.89, 10.87 Hz, 1H), 3.95 (d, J=2.48 Hz, 1H), 3.86 (d, J=9.08 Hz, 1H), 3.71-3.77 (m, 1H), 3.61-3.66 (m, 1H), 3.40 (s, 3H), 3.33-3.37 (m, 1H).
실시예 7 및 8 (대표적인 방법 G)
(2R,3R,4S,5R,6R)-N-(2-(tert-부틸)-5-클로로페닐)-5-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3-메톡시-N-메틸-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2)
Figure pct00014
단계 1. (4aR,6R,7R,8R,8aR)-N-(2-(tert-부틸)-5-클로로페닐)-7-메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밀봉된 튜브에 들은 DCE (1.0 mL) 중 (4aR,6R,7R,8R,8aR)-7-메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실산 (30 mg, 0.061 mmol), 2-(tert-부틸)-5-클로로아닐린 (13.46 mg, 0.073 mmol), 피리딘 (0.020 mL, 0.244 mmol) 및 2,4,6-트리프로필-1,3,5,2,4,6-트리옥사트리포스피난 2,4,6-트리옥시드 (EtOAc 중 50%,) (155 mg 0.244 mmol)의 혼합물을 9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2 g 실리카 겔, 0-6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적용하여 목적 생성물, (4aR,6R,7R,8R,8aR)-N-(2-(tert-부틸)-5-클로로페닐)-7-메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39 mg, 0.030 mmol, 48.6% 수율)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657.2.
단계 2. (4aR,6R,7R,8R,8aR)-N-(2-(tert-부틸)-5-클로로페닐)-7-메톡시-N-메틸-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DMF (1.0 mL) 중 (4aR,6R,7R,8R,8aR)-N-(2-(tert-부틸)-5-클로로페닐)-7-메톡시-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39 mg, 0.030 mmol)에 수소화나트륨 (60% 오일 분산액) (5.93 mg, 0.148 mmol)을 첨가한 다음, 이어서 아이오도메탄 (21.06 mg, 0.148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20 mL)로 희석하고, 에틸아세테이트 (4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용액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2 g 실리카 겔, 0-9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적용하여 (4aR,6R,7R,8R,8aR)-N-(2-(tert-부틸)-5-클로로페닐)-7-메톡시-N-메틸-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30 mg, 0.030 mmol, 99% 수율)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 + H)+ = 671.3.
단계 3. (2R,3R,4S,5R,6R)-N-(2-(tert-부틸)-5-클로로페닐)-5-히드록시-6-(히드록시메틸)-3-메톡시-N-메틸-4-(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테트라히드로-2H-피란-2-카르복스아미드 (회전장애이성질체 1 및 2)
아세트산 (0.7 mL) 및 물 (0.3 mL) 중 (4aR,6R,7R,8R,8aR)-N-(2-(tert-부틸)-5-클로로페닐)-7-메톡시-N-메틸-2-페닐-8-(4-(3,4,5-트리플루오로페닐)-1H-1,2,3-트리아졸-1-일)헥사히드로피라노[3,2-d][1,3]디옥신-6-카르복스아미드 (30 mg, 0.030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밤새 하였다. 혼합물을 메탄올로 희석하고, 정제용 HPLC (칼럼: 페노메넥스 루나 악시아 30 x 100 mm C18 5u; 용매 A: 90% H2O-10% ACN-0.1%TFA, 용매 B: 90% ACN-10% H2O 0.1% TFA; 출발 %B: 20, 최종 %B: 60)에 적용하였다. 2종의 생성물을 단리하였다. 각각의 생성물에 대한 정확한 분획을 합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포화 NaHCO3 용액으로 염기성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 (2 x 25 mL)으로 추출하였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여 회전장애이성질체 1 (5 mg, 8.15 μmol, 27.6% 수율) 및 2 (3 mg, 4.89 μmol, 16.57%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회전장애이성질체 1:
LCMS (M+H)+ = 583.2;
1H NMR (400 MHz, 메탄올-d4) δ 8.63-8.82 (m, 1H), 7.61-7.74 (m, 3H), 7.29-7.46 (m, 1H), 7.03-7.20 (m, 1H), 4.68-4.75 (m, 1H), 4.33-4.45 (m, 1H), 3.98 (d, J=2.64 Hz, 1H), 3.85 (d, J=9.24 Hz, 1H), 3.63-3.66 (m, 1H), 3.43-3.49 (m, 2H), 3.27 (s, 3H), 3.12-3.17 (m, 3H), 1.35-1.45 (m, 9H).
hGal-3 (HTRF) IC50 = 0.166 μM.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2:
LCMS (M+H)+ = 583.2;
1H NMR (400 MHz, 메탄올-d4) δ 8.72 (s, 1H), 7.66 (d, J=8.80 Hz, 3H), 7.43 (dd, J=2.42, 8.80 Hz, 1H), 7.35 (d, J=2.42 Hz, 1H), 4.70 (dd, J=2.86, 10.78 Hz, 1H), 4.52-4.59 (m, 1H), 3.98 (d, J=2.42 Hz, 1H), 3.60-3.75 (m, 3H), 3.23 (s, 3H), 3.12-3.17 (m, 1H), 3.09 (s, 3H), 1.38-1.43 (m, 9H).
hGal-3 (HTRF) IC50 = 0.102 μM.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섹션 B
일반적 합성 반응식 B1. 표 B1에 열거된 C2-히드록시 유도체의 제조
Figure pct00023
표 B1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일반적 합성 반응식 B2. 표 B2에 열거된 C2-히드록시 유도체의 제조
Figure pct00026
표 B2
Figure pct00027
일반적 합성 반응식 B3. 표 B3에 열거된 유도체의 제조
Figure pct00028
표 B3
Figure pct00029
실시예 B19
Figure pct00030
일반적 합성 반응식 B4. 표 B4에 열거된 유도체의 제조
Figure pct00031
표 B4
Figure pct00032
실시예 B24
Figure pct00033
실시예 B25
Figure pct00034

Claims (11)

  1. 화학식 (I) 또는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35

    여기서
    X는 독립적으로 -C(O)-, -CH2-, 및 -CH2C(O)-로부터 선택되고;
    Ar1은 독립적으로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 모이어티는 시아노, 할로겐,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및 C1-4 할로알콕시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R1은 독립적으로 H, C1-4 알킬, 및 C1-4 할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4 알킬이고;
    R3은 독립적으로 Ar2, -(CH2)1-2Ar2, 및 -CH2CH2NR4Ar2로부터 선택되고;
    Ar2는 독립적으로 페닐,
    Figure pct00036
    , 및 5 내지 10개의 고리 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1 내지 4개의 고리 원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N, N(R5), O, 및 S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 모이어티는 OH, 시아노, 할로겐, C1-4 알킬, C1-4 할로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콕시, N(C1-4 알킬)2, -SO2(C1-4 알킬), -OPh, -OBn, C3-6 시클로알킬, 및 시아노, 할로겐, C1-4 알킬, C1-4 할로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콕시, -NH2, -NH(C1-4 알킬), 및 -N(C1-4 알킬)2로부터 선택된 0 내지 1개의 치환기로 치환된 페닐로부터 선택된 0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R4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4 알킬이고;
    R5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4 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37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r1이 독립적으로 페닐 또는 나프틸이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 모이어티는 시아노, 할로겐, C1-4 알킬, 및 C1-4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R1이 독립적으로 H 또는 C1-4 알킬이고;
    Ar2가 독립적으로 페닐,
    Figure pct00038
    , 피리디닐, 벤조티오페닐, 벤조티아졸릴, N-(C1-4 알킬)-인다졸릴, 및 퀴놀리닐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각각의 고리 모이어티는 OH, 시아노, 할로겐, C1-4 알킬, C1-4 알콕시, C1-4 할로알킬, C1-4 할로알콕시, N(C1-4 알킬)2, -SO2(C1-4 알킬), -OPh, 및 -OBn로부터 선택된 0 내지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것인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r1이 독립적으로
    Figure pct00039

    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이 독립적으로 Ar2, -(CH2)1-2Ar2, 및 -CH2CH2NR4Ar2로부터 선택되고;
    Ar2가 독립적으로
    Figure pct00040

    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R2가 독립적으로 H, CH3, -CH2CH3, 및 -CH(CH3)2로부터 선택되고;
    R4가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44 및 B1 내지 B25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8. 치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으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조성물.
  10.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관 (간, 신장, 폐, 심장 및 피부 포함)의 섬유증, 간 질환 및 상태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 섬유증, 간 경변증, 문맥 고혈압, 재생 부전,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간 기능저하, 및 간 혈류 장애 포함), 세포 증식성 질환, 암, 및 상태 (고형 종양, 고형 종양 전이, 혈관 섬유종, 골수종, 다발성 골수종, 카포시 육종,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및 암 세포의 침습성 전이 포함), 염증성 질환 및 상태 (건선, 신병증, 및 폐렴 포함), 위장관 질환 및 상태 (과민성 장 증후군 (IBS), 염증성 장 질환 (IBD), 및 비정상적 췌장 분비 포함), 신질환 및 상태, 요로-연관 질환 및 상태 (양성 전립선 비대증 또는 신경병증성 방광 질환과 연관된 증상, 척수 종양, 추간판의 헤르니아, 척추관 협착, 및 당뇨병에서 유래된 증상 포함), 하부 요로 질환 및 상태 (하부 요로 폐쇄 포함), 하부 요로의 염증성 질환 및 상태 (배뇨곤란 및 빈뇨 포함), 췌장 질환 및 상태, 비정상적 혈관신생-연관 질환 및 상태 (동맥 폐쇄 포함), 경피증, 뇌-연관 질환 및 상태 (뇌경색 및 뇌출혈 포함), 신경병증성 통증 및 말초 신경병증, 안구 질환 및 상태 (연령-관련 황반 변성 (AMD), 당뇨병성 망막병증, 증식성 유리체망막병증 (PVR), 반흔성 유천포창, 및 녹내장 여과 수술 반흔형성 포함)를 치료하기 위한 용도.
  11. 제10항에 있어서, 질환 또는 상태가 신섬유증, 폐 섬유증, 간 섬유증, 동맥 섬유증, 또는 전신 경화증인 용도.
KR1020217036227A 2019-04-10 2020-04-08 갈렉틴-3의 소분자 억제제 KR202101504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31753P 2019-04-10 2019-04-10
US62/831,753 2019-04-10
PCT/US2020/027203 WO2020210308A1 (en) 2019-04-10 2020-04-08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galectin-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485A true KR20210150485A (ko) 2021-12-10

Family

ID=7047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227A KR20210150485A (ko) 2019-04-10 2020-04-08 갈렉틴-3의 소분자 억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44818A1 (ko)
EP (1) EP3953349A1 (ko)
JP (1) JP2022527395A (ko)
KR (1) KR20210150485A (ko)
CN (1) CN113710665A (ko)
WO (1) WO20202103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12158A1 (en) * 2020-05-11 2023-07-0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galectin-3
AU2021370994A1 (en) 2020-11-02 2023-06-29 Idorsia Pharmaceuticals Ltd Galectin-3 inhibiting 2-hydroxycycloalkane-1 -carbamoyl derivatives
WO2022171594A1 (en) 2021-02-09 2022-08-18 Idorsia Pharmaceuticals Ltd Hydroxyheterocycloalkane-carbamoyl derivatives
JP2024509421A (ja) * 2021-03-03 2024-03-01 イドルシア・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リミテッド トリアゾリル-メチル置換アルファ-d-ガラクトピラノシド誘導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401301D0 (sv) 2004-05-21 2004-05-21 Forskarpatent I Syd Ab Novel 3-triazolyl-galactoside inhibitors of galectins
SE0401300D0 (sv) 2004-05-21 2004-05-21 Forskarpatent I Syd Ab Novel Galactoside Inhibitors of Galectins
US9021050B2 (en) 2012-08-31 2015-04-28 Yume, Inc.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with off-heap caching
DK2906227T3 (en) 2012-10-10 2018-12-10 Galectin Therapeutics Inc GALACTOSE-CONTAINING CARBOHYDRAT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DIABETIC Nephropathy
ES2817888T3 (es) 2012-10-31 2021-04-08 Galecto Biotech Ab Inhibidor de galactósido de galectina-3 y su uso para tratar fibrosis pulmonar
CA2970062C (en) 2015-01-30 2023-02-28 Galecto Biotech Ab Alpha-d-galactoside inhibitors of galectins
JP6844991B2 (ja) 2015-11-10 2021-03-17 サンコ テキスタイル イスレットメレリ サン ベ ティク エーエス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ジッパーを有する伸縮性衣類の製法
MX2019013536A (es) * 2017-05-12 2020-02-13 Galectin Sciences Llc Compuestos para el tratamiento de los trastornos de resistencia sistemica a la insulina y el uso de los mismos.
US11576924B2 (en) 2017-05-12 2023-02-14 Galectin Sciences, Llc Compoun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and the use thereof
US11267811B2 (en) * 2017-09-27 2022-03-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galectin-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3349A1 (en) 2022-02-16
JP2022527395A (ja) 2022-06-01
WO2020210308A1 (en) 2020-10-15
CN113710665A (zh) 2021-11-26
US20220144818A1 (en)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0040B2 (ja) Fasnを阻害するための新規化合物および組成物
KR20210150485A (ko) 갈렉틴-3의 소분자 억제제
CN113286794B (zh) Kras突变蛋白抑制剂
JP7039802B2 (ja) Rho-関連プロテインキナーゼ阻害剤、rho-関連プロテインキナーゼ阻害剤を含む医薬組成物、当該医薬組成物の調製方法及び使用
TW202144345A (zh) Kras突變蛋白抑制劑
AU2014267974B2 (en) Cycloalkyl acid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 thereof
JP6407955B2 (ja) クマリン誘導体、ならびに過剰増殖疾患を治療する際の使用方法
CA2872933A1 (en) Substituted cycloalkenopyrazoles as bub1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cancer
CA3097811A1 (en) Factor xiia inhibitors
JPWO2005095419A1 (ja) チアゾロピリミジン誘導体
CN106687446A (zh) 作为t790m/wt‑egfr的选择性和不可逆的激酶抑制剂的5‑氨基‑4‑氨甲酰基‑吡唑化合物及其用途
WO2012089106A1 (zh) 作为蛋白激酶抑制剂的芳炔类衍生物及其医疗用途
WO2018013772A1 (en) Monocyclic heteroaryl substituted compounds
WO2020108661A1 (zh) 作为cdk-hdac双通路抑制剂的杂环化合物
JP2023543038A (ja) 縮合ヘテロアリール化合物およびCaMKII阻害剤としてのその使用
JP2003520183A (ja) マトリクス金属プロテイナーゼおよびtace阻害薬としてのオルト−スルホンアミド二環式ヘテロアリールヒドロキサム酸の製造および使用
JP7478165B2 (ja) ガレクチン-3の低分子阻害剤
EP2825166A1 (en) Method of treating ophthalmic conditions with kinase inhibitors
JP2023507610A (ja) Cd206モジュレーター、その使用、および調製方法
WO2020114519A1 (zh) 作为cdk-hdac双通路抑制剂的杂环化合物
US20240174669A1 (en) Crystalline forms of a parp1 inhibitor
WO2013159698A1 (zh) 稠环喹唑啉羟肟酸类化合物及其作为抗肿瘤药物的应用
KR20190109007A (ko) TGase 2 억제제로서의 퀴놀린-5,8-디온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EP4157833A1 (en) Galectin-3 inhibitors
KR20210100139A (ko) 갈렉틴-3의 소분자 억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