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151A - 신규 장치 등록 방법 및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신규 장치 등록 방법 및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151A
KR20210150151A KR1020200067165A KR20200067165A KR20210150151A KR 20210150151 A KR20210150151 A KR 20210150151A KR 1020200067165 A KR1020200067165 A KR 1020200067165A KR 20200067165 A KR20200067165 A KR 20200067165A KR 20210150151 A KR20210150151 A KR 20210150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new device
devices
user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389B1 (ko
Inventor
송지헌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20006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389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댁 내 복수의 장치들 및 복수의 장치들과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신규 장치를 등록하는 방법은, 신규 장치의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 실패에 응답하여, 복수의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장치들 중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기초로 선택된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신규 장치가 선택된 장치에 연결을 시도하도록 신규 장치에 대체 액세스 포인트 설정 완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신규 장치가 선택된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서버에 등록을 완료하는 것에 응답하여, 신규 장치로부터 등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장치 등록 방법 및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NEW DEVICE REGISTRATION METHOD AND OPERATING METHOD OF THE NEW DEVIC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신규 장치 등록 방법 및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복수의 장치들 및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신규 장치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가 상호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한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가전기기를 포함한 많은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IoT 장치로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TV, 냉장고 등의 가전들이 상호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사물 인터넷(IoT) 환경(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가정(또는 댁이라 함; home) 내 IoT 장치들은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가정 내 장애물 등의 여러 요인들로 인해 통신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 경우, 신규 장치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신규 장치 등록 방법 및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신규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도 신규 장치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댁 내 복수의 장치들 및 복수의 장치들과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신규 장치를 등록하는 방법은, 신규 장치의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 실패에 응답하여, 복수의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장치들 중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기초로 선택된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신규 장치가 선택된 장치에 연결을 시도하도록 신규 장치에 대체 액세스 포인트 설정 완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신규 장치가 선택된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서버에 등록을 완료하는 것에 응답하여, 신규 장치로부터 등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장치들 및 복수의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을 시도하는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접속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아무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에 연결 실패를 알리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장치들 중 선택된 장치가 대체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대체 액세스 포인트 설정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장치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 및 선택된 장치와의 네트워크 접속이 성공하는 것에 응답하여, 선택된 장치를 통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장치 등록 방법 및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신규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아 신규 장치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기존의 장치들 중 선택된 장치를 대체 액세스 포인트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규 장치는 선택된 장치와 연결되어, 선택된 장치를 통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신규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도, 선택된 장치를 통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서버에 신규 장치의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댁 내 복수의 장치들 및 액세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장치 등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장치 등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장치 등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장치 등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장치 등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을 나타낸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은 댁(50) 내 구비되는 액세스 포인트(100), 복수의 장치들(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또는 클라우드; 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장치들(200)은 액세스 포인트(100)와 제1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100)는 서버(300)와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과 제3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장치들(200)은 사용자 단말(400)과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복수의 장치들(200)은 사용자 단말(400)과 제4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제2 네트워크, 제3 네트워크 및 제4 네트워크 각각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네트워크 내지 제4 네트워크 각각은,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Wi-Fi(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 예에서, 제1 네트워크는 LTE-M,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IoT(Internet of Things) 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3 네트워크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등의 이동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장치들(200)은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서버(300)와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장치들(200)은 가정에 구비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전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장치들(200)은 에어컨, 세탁기, 청소기, 조명, 안마기, 웨어러블 장치, 스피커 등과 같은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장치들(200)은 냉장고, 오븐, 전자레인지, 전기레인지, 밥솥, 커피 머신, 로봇쿠커, 식기 세척기와 같은 다양한 주방 가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장치들(200)은 제1 장치(210_1), 제2 장치(210_2) 내지 제N 장치(210_N)(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210_1) 내지 제N 장치(210_N) 각각은 상기 언급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장치(210_1) 내지 제N 장치(210_N) 각각은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제4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장치(210_1) 내지 제N 장치(210_N)는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장치(210_1) 내지 제N 장치(210_N) 중 적어도 하나는 통신 경로를 중개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허브, 스위치, 라우터 등과 같은 중간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서버(300)는 각종 데이터 또는 알고리즘을 액세스 포인트(100), 복수의 장치들(200) 또는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등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음성 신호, 터치 신호 및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카메라를 통해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시각적 방법 및 청각적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감각적인 방법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은 설치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400)은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이 스마트폰인 경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DRAM,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및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에 신규 장치(220)의 등록이 요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신규 장치(220)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신규 장치(220)의 등록 요청이 사용자 단말(400)에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신규 장치(220)와의 통신을 통해 신규 장치(220)에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일반적으로, 신규 장치(220)는 액세스 포인트(100)를 검색하여 액세스 포인트(100)와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신규 장치(220)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건(예를 들어, 벽 또는 큰 물건)에 의해 통신이 방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신규 장치(220)가 액세스 포인트(100)와 연결될 수 없어, 서버에 신규 장치(220)의 등록이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에 따르면, 신규 장치(220)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의 연결이 실패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장치들(200) 각각에 대한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감도는, 대응되는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기초로 복수의 장치들(200) 중 하나의 장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장치가 대체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도록 서버(300)에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된 장치가 대체 액세스 포인트로 동작한다는 것은, 선택된 장치가 마치 액세스 포인트(100)와 같이 통신을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선택된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진입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후, 신규 장치(220)는 선택된 장치(또는 대체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을 시도할 수 있으며, 신규 장치(220)가 선택된 장치와 연결되는 것에 응답하여, 신규 장치(220)는 선택된 장치를 통해 서버(300)에 접속될 수 있다. 신규 장치(220)의 선택된 장치를 통한 서버(300) 접속을 기초로, 신규 장치(220)의 등록이 서버(300)에 완료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에 의하면, 신규 장치(220)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아 신규 장치(220)와 서버(300)가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장치들(200) 중 선택된 장치를 대체 액세스 포인트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규 장치(220)는 선택된 장치와 연결되어, 선택된 장치를 통해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신규 장치(220)는, 액세스 포인트(100)와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도, 선택된 장치를 통해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서버(300)에 신규 장치(220)의 등록이 완료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댁(50) 내 복수의 장치들(210_1, 210_2, 210_3) 및 액세스 포인트(100)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신규 장치(220)는 전기레인지일 수 있고, 제1 장치(210_1)는 밥솥일 수 있으며, 제2 장치(210_2)는 냉장고일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도 2는 신규 장치(220)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에 장애물(150)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장애물(150)의 영향으로 인해, 액세스 포인트(100)와 신규 장치(220)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장애물(150)의 영향으로 인해 신규 장치(220)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의 통신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장치(210_1)가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제1 수신 감도(RS1)는, 제2 장치(210_2)가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제2 수신 감도(RS2)보다 큰 실시 예를 가정한다.
도 2와 같은 상황에서, 신규 장치(220)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의 등록이 시도되는 경우, 신규 장치(220)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등록이 원활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이 해소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신규 장치(220)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신규 장치(220)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들은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장치 등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사용자 단말(400)은, 신규 장치(220)의 액세스 포인트(100)와의 연결 실패에 응답하여, 복수의 장치들(200) 각각에 대한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획득할 수 있다(S120). 복수의 장치들(200) 각각에 대한 수신 감도는, 해당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척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서버(300)로부터 제3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장치들(200) 각각으로부터 제4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기초로, 복수의 장치들(200) 중 선택된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진입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40).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비교하여, 복수의 수신 감도들 중 가장 큰 수신 감도에 대응되는 장치를 선택된 장치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장치들(200) 중 신규 장치(220)와 물리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장치가 무엇인지를 사용자 단말(400)의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고, 질의에 응답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장치를 선택된 장치로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선택된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진입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서버(3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선택된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400)은 서버(30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모드 설정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신규 장치(220)가 선택된 장치와 연결을 시도하도록 하기 위해, 대체 액세스 포인트 설정 완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6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대체 액세스 포인트 설정 완료 신호를 신규 장치(220)에 제공할 수 있다. 대체 액세스 포인트 설정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신규 장치(220)는 선택된 장치와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신규 장치(220)가 선택된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서버(300)에 등록을 완료하는 것에 응답하여, 신규 장치(220)로부터 등록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80).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장치 등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복수의 장치들이 제1 장치(210_1) 및 제2 장치(210_2)와 같은 2개의 장치들을 포함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장치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은 신규 장치(220)에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S210).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신규 장치(220)의 등록 또는 접속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신규 장치(220)에 접속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의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신규 장치(220)는 액세스 포인트(100)를 검색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신규 장치(220)는 액세스 포인트(100)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검색할 수 있다.
신규 장치(220)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경우), 신규 장치(220)는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어떠한 응답 신호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S225).
신규 장치(220)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어떠한 응답 신호도 수신하지 못하는 것에 응답하여, 신규 장치(220)는 액세스 포인트(100)와의 연결 실패를 알리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400)에 송신할 수 있다(S230).
S230 단계와 같이, 신규 장치(220)의 액세스 포인트(100)와의 연결 실패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400)은 서버(300)에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수신 감도들을 요청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제1 장치(210_1)의 수신 감도 및 제2 장치(210_2)의 수신 감도를 요청하는 신호를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수신 감도들을 요청할 수 있다(S245). 예를 들어, 서버(300)는 제1 장치(210_1)의 수신 감도 및 제2 장치(210_2)의 수신 감도를 요청하는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100)에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제1 장치(210_1) 및 제2 장치(210_2) 각각에 테스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250). 테스트 데이터는, 복수의 장치들의 수신 감도들을 획득하기 위한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장치(210_1) 및 제2 장치(210_2) 각각은, 액세스 포인트(100)의 테스트 데이터 송신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장치(210_1) 내지 제2 장치(210_2)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각각에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송신할 수 있다(S260). 예를 들어, 제1 장치(210_1)는 제1 수신 감도를 액세스 포인트(100)에 제공할 수 있고, 제2 장치(210_2)는 제2 수신 감도를 액세스 포인트(100)에 제공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복수의 장치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S270).
서버(300)는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S280).
S260 단계, S270 단계 및 S280 단계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260 단계 및 S270 단계가 수행되는 대신, 제1 장치(210_1) 및 제2 장치(210_2) 각각은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서버(300)에 직접 또는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S260 단계, S270 단계 및 S280 단계가 수행되는 대신, 제1 장치(210_1) 및 제2 장치(210_2) 각각은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사용자 단말(400)에 직접 또는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장치들 중 대체 액세스 포인트로 사용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S29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비교하고, 복수의 수신 감도들 중 가장 큰 수신 감도에 대응되는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치(210_1)의 제1 수신 감도가 제2 장치(210_2)의 제2 수신 감도보다 큰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장치들 중 제1 장치를 대체 액세스 포인트로서 선택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서버(300)는 제1 장치(210_1) 및 제2 장치(210_2)에 직접 수신 감도를 요청할 수 있다(S247). 이 때, 서버(300)는 제1 장치(210_1) 및 제2 장치(210_2)와 직접 통신을 통해 수신 감도를 요청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300)는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 제1 장치(210_1) 및 제2 장치(210_2)에 수신 감도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S260 단계, S270 단계 및 S280 단계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260 단계 및 S270 단계가 수행되는 대신, 제1 장치(210_1) 및 제2 장치(210_2) 각각은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서버(300)에 직접 또는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S260 단계, S270 단계 및 S280 단계가 수행되는 대신, 제1 장치(210_1) 및 제2 장치(210_2) 각각은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사용자 단말(400)에 직접 또는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장치 등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특히, 도 4의 S290 단계 이후의 등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5는 특히, S29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400)이 복수의 장치들 중 제1 장치(210_1)를 대체 액세스 포인트로 선택한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제1 장치(210_1)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진입할 것을 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제1 장치(210_1)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진입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제1 장치(210_1)가 액세스 모드에 진입하도록 제1 장치(210_1)를 제어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서버(300)는 제1 장치(210_1)가 액세스 모드에 진입하도록 제1 장치(210_1)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장치(210_1)는, 액세스 모드에 진입하는 것에 응답하여, 액세스 모드 진입 완료를 서버(300)에 알릴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제1 장치(210_1)는 액세스 모드 진입의 완료를 알리는 응답 신호를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제1 장치(210_1)의 액세스 모드 진입 완료를 사용자 단말(400)에 알릴 수 있다(S340).
사용자 단말(400)은, 제1 장치(210_1)의 액세스 모드 진입 완료를 신규 장치(220)에 알릴 수 있다(S345).
사용자 단말(400)의 S345 단계에서의 알림에 응답하여, 신규 장치(220)는 대체 액세스 포인트인 제1 장치(210_1)를 검색할 수 있다(S350). 예를 들어, 신규 장치(220)는 제1 장치(210_1)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검색할 수 있다.
제1 장치(210_1)는, 신규 장치(220)와의 연결이 성공되는 것에 응답하여, 접속의 성공을 신규 장치(220)에 알릴 수 있다(S360). 신규 장치(220)가 제1 장치(210_1)와 연결됨으로써 신규 장치(220)는 제1 장치(210_1)를 통해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S360 단계에 응답하여, 신규 장치(220)는 신규 장치(220)의 등록을 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S370). 예를 들어, 신규 장치(220)는 신규 장치(220)의 등록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신규 장치(220)의 등록이 완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신규 장치(220)의 등록 완료를 신규 장치(220)에 알릴 수 있다(S380). 예를 들어, 서버(300)는 등록 완료 신호를 신규 장치(220)에 송신할 수 있다.
S380 단계에 응답하여, 신규 장치(220)는 신규 장치(220)의 등록 완료를 사용자 단말(400)에 알릴 수 있다(S390). 예를 들어, 신규 장치(220)는 등록 완료 신호를 사용자 단말(4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장치 등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특히, 도 3의 S140 단계의 구체적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사용자 단말(400)은 획득된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비교할 수 있다(S420).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수신 감도들 중 가장 큰 수신 감도에 대응되는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S44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가장 큰 수신 감도에 대응되는 장치를 대체 액세스 포인트로서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신규 장치 등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3의 S140 단계의 구체적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것일 수 있다. 도 7은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장치들(200) 중 신규 장치(220)와 물리적 거리가 가까운 장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규 장치와 가장 거리가 가까운 장치가 어떤 장치인가요?”와 같은 질의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S520 단계의 질의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540). 사용자의 선택 입력은, 복수의 장치들(200)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S56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장치를 대체 액세스 포인트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 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댁 내 복수의 장치들 및 상기 복수의 장치들과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신규 장치를 등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신규 장치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 실패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장치들 중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기초로 선택된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신규 장치가 상기 선택된 장치에 연결을 시도하도록 상기 신규 장치에 대체 액세스 포인트 설정 완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장치가 상기 선택된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상기 서버에 등록을 완료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신규 장치로부터 등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규 장치 등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획득하기 전에,
    상기 신규 장치에 접속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신규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시도한 뒤,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신규 장치로부터 연결 실패 알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서버에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규 장치 등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 중 가장 큰 수신 감도에 대응되는 장치를 상기 선택된 장치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장치 등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장치들 중 상기 신규 장치와 물리적 거리(distance)가 가장 가까운 장치에 대한 정보를 질의하는 단계;
    상기 질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장치들 중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장치를 상기 선택된 장치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장치 등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를 출력한 뒤, 상기 대체 액세스 포인트 설정 완료 신호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선택된 장치가 대체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서버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모드 설정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장치 등록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7. 복수의 장치들 및 상기 복수의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등록을 시도하는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아무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결 실패를 알리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장치들 중 선택된 장치가 대체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대체 액세스 포인트 설정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장치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장치와의 네트워크 접속이 성공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장치를 통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서버에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등록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등록 완료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00067165A 2020-06-03 2020-06-03 신규 장치 등록 방법 및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418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165A KR102418389B1 (ko) 2020-06-03 2020-06-03 신규 장치 등록 방법 및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165A KR102418389B1 (ko) 2020-06-03 2020-06-03 신규 장치 등록 방법 및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151A true KR20210150151A (ko) 2021-12-10
KR102418389B1 KR102418389B1 (ko) 2022-07-08

Family

ID=7886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165A KR102418389B1 (ko) 2020-06-03 2020-06-03 신규 장치 등록 방법 및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3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816A (ko) * 2005-04-14 2006-10-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모듈의 소프트웨어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
KR20140141747A (ko) * 2013-05-30 2014-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50073244A (ko) * 2013-12-20 201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시스템의 피 제어 장치 검색 및 제어 방법과 장치
KR101834831B1 (ko) * 2016-08-26 2018-03-06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멀티 룸 환경에서 이종의 무선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80127688A (ko) * 2017-05-22 2018-11-30 (주)에프씨아이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816A (ko) * 2005-04-14 2006-10-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모듈의 소프트웨어 원격 업그레이드 방법
KR20140141747A (ko) * 2013-05-30 2014-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50073244A (ko) * 2013-12-20 201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시스템의 피 제어 장치 검색 및 제어 방법과 장치
KR101834831B1 (ko) * 2016-08-26 2018-03-06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멀티 룸 환경에서 이종의 무선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80127688A (ko) * 2017-05-22 2018-11-30 (주)에프씨아이 저 전력 모드를 구비한 IoT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389B1 (ko)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3828B1 (ko) 신호 강도 맵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08438B1 (ko) 근접 서비스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2744153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rrounding devices, based on topology
KR102296162B1 (ko) 무선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658502B (zh) 一种基于指纹认证的智能无线局域网预约接入方法
US20240080789A1 (en) Simple and assisted mechanism for registering an internet-of-things (iot) device
AU2013364730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rrounding devices, based on topology
CN103517328A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系统和方法
EP3836582B1 (en) Relay device for voice commands to be processed by a voice assistant, voice assistant and wireless network
KR20140082541A (ko) 디바이스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11250846B2 (en) Voice enabled searching for wireless devices associated with a wireless network and voice enabled configuration thereof
JP2017229031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023342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1662A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201724895A (zh) 用於判定位置之方法、固定裝置及系統
WO2015018346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20180255446A1 (en) Remote access to an accessory device
KR102418389B1 (ko) 신규 장치 등록 방법 및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
US20230188980A1 (en)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device positioning service and apparatus thereof
US10110331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KR102475265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CN107211487A (zh) 用于无线接入点的自动配置的方法和装置
US20170041969A1 (en) Connection information sharing server, a method of sharing connection information, and a program for connection information sharing server
US20230188942A1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confirmation ser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device therefor
JP2021034873A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