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265B1 -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5265B1 KR102475265B1 KR1020200067164A KR20200067164A KR102475265B1 KR 102475265 B1 KR102475265 B1 KR 102475265B1 KR 1020200067164 A KR1020200067164 A KR 1020200067164A KR 20200067164 A KR20200067164 A KR 20200067164A KR 102475265 B1 KR102475265 B1 KR 1024752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vices
- communication failure
- access point
- reception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04L41/066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by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 H04L41/0672—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댁 내 복수의 장치들 및 복수의 장치들과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복수의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장치들 중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장애물 제거를 유도하거나, 액세스 포인트의 물리적 특성의 재설정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복수의 장치들 및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가 상호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한다.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가전기기를 포함한 많은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IoT 장치로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TV, 냉장고 등의 가전들이 상호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사물 인터넷(IoT) 환경(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가정(또는 댁이라 함; home) 내 IoT 장치들은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가정 내 장애물 등의 여러 요인들로 인해 통신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통신 장애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장치들과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통신을 원활히 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댁 내 복수의 장치들 및 복수의 장치들과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복수의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장치들 중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장애물 제거를 유도하거나, 액세스 포인트의 물리적 특성의 재설정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서버와 제1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포인트와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장치들, 복수의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는,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장치들에 테스트 데이터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장치들이 테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장치들, 액세스 포인트 또는 서버로부터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수신하고,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장치들 중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장애물 제거를 유도하거나, 액세스 포인트의 물리적 특성의 재설정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장치들의 수신 감도들을 비교함으로써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은 통신 장애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를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는 IoT 등을 이용해 구축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장치들이 모두 원활히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주변 상황을 효과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도 1 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댁 내 복수의 장치들 및 액세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댁 내 복수의 장치들 및 액세스 포인트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을 나타낸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은 댁(50) 내 구비되는 액세스 포인트(100), 복수의 장치들(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또는 클라우드; 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장치들(200)은 액세스 포인트(100)와 제1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100)는 서버(300)와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과 제3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장치들(200)은 사용자 단말(400)과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복수의 장치들(200)은 사용자 단말(400)과 제4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제2 네트워크, 제3 네트워크 및 제4 네트워크 각각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네트워크 내지 제4 네트워크 각각은,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Wi-Fi(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 예에서, 제1 네트워크는 LTE-M,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IoT(Internet of Things) 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3 네트워크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등의 이동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장치들(200)은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서버(300)와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장치들(200)은 가정에 구비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전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장치들(200)은 에어컨, 세탁기, 청소기, 조명, 안마기, 웨어러블 장치, 스피커 등과 같은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장치들(200)은 냉장고, 오븐, 전자레인지, 전기레인지, 밥솥, 커피 머신, 로봇쿠커, 식기 세척기와 같은 다양한 주방 가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장치들(200)은 제1 장치(210_1), 제2 장치(210_2) 내지 제N 장치(210_N)(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치(210_1) 내지 제N 장치(210_N) 각각은 상기 언급된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장치(210_1) 내지 제N 장치(210_N) 각각은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제4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장치(210_1) 내지 제N 장치(210_N)는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장치(210_1) 내지 제N 장치(210_N) 중 적어도 하나는 통신 경로를 중개하는 게이트웨이(gateway), 허브, 스위치, 라우터 등과 같은 중간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서버(300)는 각종 데이터 또는 알고리즘을 액세스 포인트(100), 복수의 장치들(200) 또는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등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음성 신호, 터치 신호 및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카메라를 통해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시각적 방법 및 청각적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감각적인 방법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은 설치된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400)은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이 스마트폰인 경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DRAM,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및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장치들(200)이 댁(50) 내 설치되어 액세스 포인트(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댁(50) 내 존재하는 다양한 물건들에 의해 통신이 방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치(210_1)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에 벽(wall) 또는 큰 물건과 같은 큰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제1 장치(210_1)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장치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장치의 상태를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상태라 칭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장치들(200) 각각에 대응되며,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의 수신 감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서버(300)를 통해서, 또는 직접 복수의 장치들(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장치들(200) 각각이 통신 장애 상황에 놓여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장치들(200) 중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400)은 통신 장애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의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장치들(200)이 모두 원활히 액세스 포인트(1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주변 상황을 효과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의 통신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댁(50) 내 복수의 장치들(210_1, 210_2, 210_3) 및 액세스 포인트(100)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 장치(210_1)는 전기레인지일 수 있고, 제2 장치(210_2)는 밥솥일 수 있으며, 제3 장치(210_3)는 냉장고일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도 2는 제1 장치(210_1)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에 장애물(150)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장애물(150)의 영향으로 인해, 액세스 포인트(100)와 제1 장치(210_1) 사이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장애물(150)의 영향으로 인해 제1 장치(210_1)가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sensitivity)를 나타내는 제1 수신 감도(RS1)가 낮아질 수 있다.
특히, 제1 수신 감도(RS1)는 제2 장치(210_2)가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제2 수신 감도(RS2) 및 제3 장치(210_3)가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제3 수신 감도(RS3)에 비해 낮을 수 있다.
도 2와 같은 상황에서, 제1 수신 감도(RS1)가 제2 수신 감도(RS2) 및/또는 제3 수신 감도(RS3)에 비해 상당히 떨어지는 경우, 제1 장치(210_1)는 통신 장애 상황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장치(210_1)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의 장애물(150)이 제거될 필요가 있으며, 또는 액세스 포인트(100)의 물리적 상황이 변화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0)의 위치가 제1 장치(210_1) 쪽으로 변경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액세스 포인트(100)의 안테나의 방향이 제1 장치(210_1) 쪽을 향하게 변경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장치들 중 통신 장애 상황에 놓여진 장치를 판단하고, 통신 장애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들을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장치들(200)에 대한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획득할 수 있다(S120). 복수의 장치들(200) 각각에 대한 수신 감도는, 해당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척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서버(300)로부터 제3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장치들(200) 각각으로부터 제4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장치들(200) 중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S140).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기초로 복수의 장치들(200) 각각에 대한 상대 수신 감도들을 획득할 수 있고, 상대 수신 감도들을 임계 수신 감도와 비교함으로써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사용자 단말(400)은 장애물의 제거를 유도하거나, 액세스 포인트(100)의 물리적 특성을 재설정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160).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의 장애물 제거를 유도하는 장애물 제거 유도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놓인 영역 쪽으로 액세스 포인트(100)의 위치를 옮길 것을 요구하거나, 액세스 포인트(100)의 안테나 방향을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복수의 장치들이 제1 장치(210_1), 제2 장치(210_2) 및 제3 장치(210_3)와 같은 3개의 장치들을 포함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장치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를 참조하면, 서버(300)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제1 장치(210_1) 내지 제3 장치(210_3) 각각의 수신 감도를 요청할 수 있다(S210). 서버(300)의 수신 감도의 요청은, 서버(300)에 의해 정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의 요구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일 실시 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제1 장치(210_1) 내지 제3 장치(210_3) 각각에 테스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220). 테스트 데이터는, 복수의 장치들의 수신 감도들을 획득하기 위한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장치(210_1) 내지 제3 장치(210_3) 각각은, 액세스 포인트(100)의 테스트 데이터 송신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장치(210_1) 내지 제3 장치(210_3)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각각에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송신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제1 장치(210_1)는 제1 수신 감도를 액세스 포인트(100)에 제공할 수 있고, 제2 장치(210_2)는 제2 수신 감도를 액세스 포인트(100)에 제공할 수 있고, 제3 장치(210_3)는 제3 수신 감도를 액세스 포인트(100)에 제공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복수의 장치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S240).
서버(300)는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장치들(200) 중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S260). S260 단계는, 도 3의 S14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장애물의 제거를 유도하거나, 액세스 포인트(100)의 물리적 특성을 재설정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S270). S270 단계는, 도 3의 S16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b 내지 도 4d는 도 4a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장치(210_1), 제2 장치(210_2) 및 제3 장치(210_3)는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서버(300)에 송신할 수 있다(S235). 즉, 도 4a와 비교할 때, 제1 장치(210_1) 내지 제3 장치(210_3)는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직접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장치(210_1) 내지 제3 장치(210_3)는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1 장치(210_1), 제2 장치(210_2) 및 제3 장치(210_3)는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S237). 즉, 도 4a와 비교할 때, 제1 장치(210_1) 내지 제3 장치(210_3)는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직접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장치(210_1) 내지 제3 장치(210_3)는 대응되는 수신 감도를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서버(300)는 제1 장치(210_1), 제2 장치(210_2) 및 제3 장치(210_3)에 직접 수신 감도를 요청할 수 있다(S215). 이 때, 서버(300)는 제1 장치(210_1), 제2 장치(210_2) 및 제3 장치(210_3)와 직접 통신을 통해 수신 감도를 요청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300)는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 제1 서버(210_1), 제2 장치(210_2) 및 제3 장치(210_3)에 수신 감도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도 4a의 S230 단계 및 S240 단계가, 도 4b에서 S235 단계로 대체될 수 있으며, 도 4c에서 S237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는 점은 도 4d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특히, 도 3의 S120 단계가 수행되기 위한 트리거(trigger) 상황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로부터 신규 장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10)으로의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1).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어플리케이션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신규 장치의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는, 신규 장치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장치들(200)(또는, 기존에 등록된 장치들) 및 신규 장치에 대한 수신 감도를 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S102).
S102 단계 이후 S12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S102 단계 이후 S21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특히, 도 3의 S140 단계의 구체적인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장치들(200)에 대한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기초로, 복수의 장치들(200) 각각에 대한 상대 수신 감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수신 감도들 중 가장 큰 값에 대응되는 최대 수신 감도를 검색할 수 있고,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최대 수신 감도로 나누는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대 수신 감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평균냄으로써 평균 수신 감도를 획득할 수 있고,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평균 수신 감도로 나누는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대 수신 감도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상대 수신 감도들을 임계 수신 감도와 비교할 수 있다(S340). 임계 수신 감도는, 0과 1 사이의 값으로서, 사용자 단말(400) 내 메모리에 저장된 고정 값일 수도 있으며, 또는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설정 값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상대 수신 감도가 임계 수신 감도 미만인 경우, 상기 상대 수신 감도에 대응되는 장치가 통신 장애 상태에 놓여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S360). 즉, 사용자 단말(400)은, 복수의 장치들(200) 중 상대 수신 감도가 임계 수신 감도 미만인 장치를 통신 장애 상태에 놓인 장치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특히, 도 3의 S160 단계 또는 도 4a 내지 도 4c의 S270 단계 이후의 순서도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장치들 중 제1 장치(210_1)가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로 판단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사용자 단말(400)은 통신 장애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410). S410 단계는, 도 3의 S160 단계 또는 도 4a 내지 도 4c의 S270 단계에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수신 감도 추적 모드 진입 여부를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은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것으로 판단된 제1 장치(210_1)에 대한 수신 감도 추적 모드로 진입할 것인지 여부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다. 수신 감도 추적 모드는,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의 수신 감도를 소정의 시간마다 모니터링 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400)은 수신 감도 추적 모드 진입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30).
수신 감도 추적 모드로 진입할 것을 지시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400)는 서버(300)에 수신 감도 추적 모드에 진입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S440).
서버(300)는 액세스 포인트(100)에 제1 장치(210_1)에 대한 수신 감도를 소정의 시간마다 요청할 수 있다(S450).
액세스 포인트(100)는 제1 장치(210_1)에 테스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460).
제1 장치(210_1)는 제1 장치(210_1)의 수신 감도를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S470). 제1 장치(210_1)의 수신 감도를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하는 단계는, 액세스 포인트(100) 및 서버(300)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100)를 통해서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400)는 제1 장치(210_1)의 수신 감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S480).
도 8a 및 도 8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화면(320)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사용자 단말(4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여지는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특히,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장치, 제2 장치 및 제3 장치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1 장치가 통신 장애 상황에 놓여진 실시 예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20)을 나타낸다. 또한, 도 8a 및 도 8b는 화면을 통해 메시지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감각적인 방법을 통해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은 어플리케이션 화면(320)을 통해 장애물 제거 유도 메시지(322a)를 표시할 수 있다. 장애물 제거 유도 메시지(322a)는,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의 장애물을 제거할 것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물 제거 유도 메시지(322a)는,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제1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100) 사이의 장애물을 제거할 것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은 어플리케이션 화면(320)을 통해 장애물 제거 유도 메시지(322b)를 표시할 수 있다. 장애물 제거 유도 메시지(322b)는,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에 대한 정보 및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이지 않은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이지 않은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100)가 놓인 공간 영역과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 사이의 장애물을 제거할 것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애물 제거 유도 메시지(322b)는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이지 않은 제2 장치 및 제3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100)가 놓인 공간 영역과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제1 장치 사이의 장애물을 제거할 것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화면(320)을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는 도 1의 사용자 단말(4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여지는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특히,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장치, 제2 장치 및 제3 장치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1 장치가 통신 장애 상황에 놓여진 실시 예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20)을 나타낸다. 또한, 도 9a 및 도 9b는 화면을 통해 메시지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감각적인 방법을 통해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은 어플리케이션 화면(320)을 통해 안테나 방향 변경 요구 메시지(324a)를 표시할 수 있다. 안테나 방향 변경 요구 메시지(324a)는,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100)의 안테나의 방향을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가 놓인 쪽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방향 변경 요구 메시지(324a)는, 안테나의 방향을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제1 장치 쪽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은 어플리케이션 화면(320)을 통해 안테나 방향 변경 요구 메시지(324b)를 표시할 수 있다. 안테나 방향 변경 요구 메시지(324b)는,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에 대한 정보 및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이지 않은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 방향을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이지 않은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100)가 놓인 공간 영역 쪽에서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가 놓인 쪽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방향 변경 요구 메시지(324b)는, 안테나 방향을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이지 않은 제2 장치 및 제3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100)가 놓인 공간 영역 쪽에서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제1 장치 쪽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화면(320)을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의 사용자 단말(4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여지는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특히,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장치, 제2 장치 및 제3 장치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1 장치가 통신 장애 상황에 놓여진 실시 예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320)을 나타낸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는 화면을 통해 메시지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감각적인 방법을 통해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은 어플리케이션 화면(320)을 통해 안테나 위치 변경 요구 메시지(326a)를 표시할 수 있다. 안테나 방향 변경 요구 메시지(326a)는,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100)의 위치를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가 놓인 쪽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위치 변경 요구 메시지(326a)는, 액세스 포인트(100)의 위치를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제1 장치 쪽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은 어플리케이션 화면(320)을 통해 안테나 위치 변경 요구 메시지(326b)를 표시할 수 있다. 안테나 위치 변경 요구 메시지(326b)는,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에 대한 정보 및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이지 않은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100)의 위치를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이지 않은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100)가 놓인 공간 영역 쪽에서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장치가 놓인 쪽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위치 변경 요구 메시지(326b)는, 액세스 포인트(100)의 위치를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이지 않은 제2 장치 및 제3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100)가 놓인 공간 영역 쪽에서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제1 장치 쪽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 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댁 내 복수의 장치들 및 상기 복수의 장치들과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장치들 중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장애물 제거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에 대한 수신 감도 추적 모드 진입 여부를 질의하는 단계;
상기 수신 감도 추적 모드의 진입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감도 추적 모드로의 진입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 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의 수신 감도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의 수신 감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장치들에 대한 복수의 상대 수신 감도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상대 수신 감도들을 임계 수신 감도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장치들 중 상대 수신 감도가 상기 임계 수신 감도 미만인 장치가 통신 장애 상황에 놓여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대 수신 감도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 중 가장 큰 값에 대응되는 최대 수신 감도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 각각을 상기 최대 수신 감도로 나누는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상대 수신 감도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대 수신 감도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평균냄으로써 평균 수신 감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 각각을 상기 평균 수신 감도로 나누는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상대 수신 감도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장치들 중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이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댁(home) 내에서 놓인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 사이의 장애물 제거를 유도하는 장애물 제거 유도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 제거 유도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안테나의 방향을, 상기 복수의 장치들 중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이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댁 내에서 놓인 영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가 놓인 영역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안테나 방향 변경 요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안테나 방향 변경 요구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외부로부터 신규 장치의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장치들 및 상기 신규 장치에 대한 수신 감도를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수신 감도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수집된 상기 복수의 장치들의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 및 상기 신규 장치의 수신 감도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삭제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버와 제1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장치들;
상기 복수의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감도를 나타내는,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장치들에 테스트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장치들이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장치들, 상기 액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 감도들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장치들 중 통신 장애 상황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를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장애물 제거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에 대한 수신 감도 추적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소정의 시간 간격 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의 수신 감도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애 장치의 수신 감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164A KR102475265B1 (ko) | 2020-06-03 | 2020-06-03 |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164A KR102475265B1 (ko) | 2020-06-03 | 2020-06-03 |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0150A KR20210150150A (ko) | 2021-12-10 |
KR102475265B1 true KR102475265B1 (ko) | 2022-12-08 |
Family
ID=7886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7164A KR102475265B1 (ko) | 2020-06-03 | 2020-06-03 |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526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4068B1 (ko) * | 2014-03-27 | 2015-10-30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무선 각방 제어 시스템에서 통신 간섭 회피를 위한 통신 채널 자동 설정방법 |
KR102042689B1 (ko) * | 2018-05-30 | 2019-11-08 | (주)유비벨록스모바일 | Iot 가전 등록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6137B1 (ko) * | 2015-06-23 | 2021-12-06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네트워크 무선중계 시스템, 액세스포인트장치 및 그 무선통신 중계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무선통신방법 |
CN105471628B (zh) * | 2015-11-17 | 2019-05-31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智能设备分组系统、方法及装置 |
-
2020
- 2020-06-03 KR KR1020200067164A patent/KR1024752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4068B1 (ko) * | 2014-03-27 | 2015-10-30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무선 각방 제어 시스템에서 통신 간섭 회피를 위한 통신 채널 자동 설정방법 |
KR102042689B1 (ko) * | 2018-05-30 | 2019-11-08 | (주)유비벨록스모바일 | Iot 가전 등록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0150A (ko) | 2021-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9239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based on distance between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 |
KR102363828B1 (ko) | 신호 강도 맵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US11638117B2 (en) | Beacon addressing | |
US9432833B2 (en) | Scheme for discovery in a communication network | |
KR102332925B1 (ko) |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들 | |
KR102296162B1 (ko) | 무선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EP3387821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170208116A1 (en) | IOT Interaction System | |
EP3016429A1 (en) | Network control | |
US9900745B2 (en) | Service discovery with beacons using bluetooth low energy signal | |
US20180255446A1 (en) | Remote access to an accessory device | |
US1018786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finding a user device based on sensor readings of the user device | |
WO2019059134A1 (ja) | 通信品質調整システム | |
US10110331B2 (en) |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 |
KR102475265B1 (ko) |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제어 방법 | |
JP2016225710A (ja) | 管理装置、端末装置、管理方法、チャネルのスキャン方法、プログラム | |
KR102418389B1 (ko) | 신규 장치 등록 방법 및 신규 장치의 동작 방법 | |
EP3062577B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conne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JP6108480B2 (ja) | 通信装置、管理サーバ、屋内外判定用データベース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240022222A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JP2004328524A (ja) | 無線lan端末の区域特定システムおよび区域特定方法 | |
KR20150024569A (ko) |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