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569A -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569A
KR20150024569A KR20130101606A KR20130101606A KR20150024569A KR 20150024569 A KR20150024569 A KR 20150024569A KR 20130101606 A KR20130101606 A KR 20130101606A KR 20130101606 A KR20130101606 A KR 20130101606A KR 20150024569 A KR20150024569 A KR 20150024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appset
relay device
control command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643B1 (ko
Inventor
이준
Original Assignee
(주)아람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람솔루션 filed Critical (주)아람솔루션
Priority to KR1020130101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64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고, 제공한 상기 앱세서리 목록에서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 받으면 선택 받은 상기 앱세서리 장치로의 연결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중계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REMOTE CONTROLLING APPCESSORIES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앱세서리 원격 제어 방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중계기와 연결하여 제어 가능한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앱세서리 목록에서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앱세서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의 기능 및 종류가 날로 발달하고 증가됨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전자장치에 전달할 명령의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원격제어장치의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원격제어장치는 종래에 IR(Infra Red)방식을 사용하던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과 종류가 증가하면서, 최근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비롯한 RF(Radio Frequency) 방식 등의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을 채용한 원격제어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블루투스는 RF통신 방법 중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통신방법이다. 그러나 몇가지 가지고 있는 단점 중 가장 문제점은 전송거리가 짧다는 것이다. 통산 10M 전송거리를 가지고 있다. 가정에서도 벽면이 있는 경우 전송이 끊기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중계기와 연결하여 제어 가능한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앱세서리 목록에서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앱세서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중계기와 연결하여 제어 가능한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앱세서리 목록에서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앱세서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고, 제공한 상기 앱세서리 목록에서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 받으면 선택 받은 상기 앱세서리 장치로의 연결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중계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검색하고 그 검색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계 장치는 선택된 하나의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선택된 해당하는 앱세서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계 장치는 한번이라도 연결되었던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고, 제공한 상기 앱세서리 목록에서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 받으면 선택 받은 상기 앱세서리 장치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중계 장치; 및 상기 앱세서리 장치의 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앱세서리의 장치의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앱세서리로의 연결을 수행하는 제2 중계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제1 중계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중계 장치와 상기 제2 중계 장치는 RF 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중계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검색하고 그 검색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중계 장치는 선택된 하나의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RF 통신방식의 제2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명령으로 변환되면, 변환된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RF 통신방식으로 상기 제2 중계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중계 장치는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제1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명령으로 변환되면, 변환된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선택된 앱세서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스마트폰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중계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고, 제공한 상기 앱세서리 목록에서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 받으면 선택 받은 상기 앱세서리 장치로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중계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검색하고 그 검색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중계 장치가 선택된 하나의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선택된 해당하는 앱세서리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계 장치는 한번이라도 연결되었던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스마트폰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1 중계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중계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고, 제공한 상기 앱세서리 목록에서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 받으면 선택 받은 상기 앱세서리 장치의 정보를 제2 중계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중계 장치가 상기 앱세서리 장치의 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앱세서리의 장치의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앱세서리로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제1 중계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중계 장치와 상기 제2 중계 장치는 RF 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중계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검색하고 그 검색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제1 중계 장치가 선택된 하나의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RF 통신방식의 제2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명령으로 변환되면, 변환된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RF 통신방식으로 상기 제2 중계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제2 중계 장치가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제1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명령으로 변환되면, 변환된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선택된 앱세서리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중계기와 연결하여 제어 가능한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앱세서리 목록에서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앱세서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앱세서리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중계기로부터 제어 가능한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앱세서리 목록에서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원거리에 있는 앱세서리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중계기로부터 제어 가능한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앱세서리 목록에서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앱세서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중계기와 연결하여 제어 가능한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앱세서리 목록에서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앱세서리 장치에 연결하도록 하는 새로운 원격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여기서, 앱세서리(appcessory)는 앱(App)과 액세서리(Accessory)의 합성어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사용자들을 위한 기능 보완, 앱 확장지원 용도의 액세서리를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스마트폰(110), 중계 장치(120), 앱세서리(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110)은 기 저장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중계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 WiFi, RFID 등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스마트폰(110)은 연결된 중계 장치로부터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앱세서리 목록에서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앱세서리 장치로의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스마트폰(110)은 선택된 앱세서리로 연결되면 그 연결된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1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중계 장치(120)는 스마트폰(110)에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중계 장치(120)는 한번이라도 연결되었던 앱세서리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중계 장치(120)는 스마트폰(110)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검색하고 그 검색한 결과에 따라 앱세서리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중계 장치(120)는 현재 시점에서 제어 가능한 앱세서리 목록을 생성하게 된다.
중계 장치(120)는 스마트폰(110)으로부터 선택 받은 앱세서리로의 연결을 수행하여 그 수행한 결과로 스마트폰(110)과 앱세서리(130) 간에 연동할 수 있도록 중계할 수 있다. 즉, 중계 장치(120)는 스마트폰(110)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스마트폰(110)에 의해 선택된 해당하는 앱세서리(130)에 전송할 수 있다.
앱세서리(130)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1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1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S210)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중계 장치(120)와 연결할 수 있다(S211).
다음으로, 스마트폰(110)은 연결된 중계 장치(120)로부터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 받고(S212) 제공 받은 앱세서리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S213).
다음으로, 스마트폰(110)은 표시된 앱세서리 목록에서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 받으면(S214) 선택 받은 앱세서리 장치로의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S215).
다음으로, 중계 장치(120)는 요청 받은 하나의 앱세서리로의 연결을 수행하여(S216) 그 수행한 결과로 해당하는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되었음을 스마트폰(110)에 통지할 수 있다(S217).
다음으로, 스마트폰(110)은 선택된 하나의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되면,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제어 명령을 중계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S218).
다음으로, 중계 장치(120)는 전송 받은 제어 명령을 해당 앱세서리(130)로 전송할 수 있다(S219).
다음으로, 앱세서리(130)는 중계 장치(1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스마트폰이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220).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스마트폰(110), 제1 중계 장치(121), 제2 중계 장치(122), 앱세서리(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110)은 기 저장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중계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스마트폰(110)은 연결된 중계 장치로부터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앱세서리 목록에서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앱세서리 장치로의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스마트폰(110)은 선택된 앱세서리로 연결되면 그 연결된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1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중계 장치(121)는 스마트폰(110)에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중계 장치(121)는 앱세서리 목록에서 스마트폰(110)으로부터 선택 받은 앱세서리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중계 장치(122)는 제1 중계 장치(121)로부터 연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앱세서리의 정보를 제공 받으면, 그 제공 받은 앱세서리로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중계 장치(121)와 제2 중계 장치(122) 간에는 RF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본원 발명은 RF 통신방식(400MHz)을 융합하여 중계 장치 간 사용함으로써, 최대 3Km(장애물 없는 경우)까지 원격 제어 가능한 거리를 늘릴 수 있다.
즉, 제1 중계 장치(121)는 스마트폰(110)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제어 명령을 RF 통신방식의 데이터 즉, 제2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제어 명령을 제2 중계 장치(122)로 전송하고, 제2 중계 장치(122)는 제1 중계 장치(121)로부터 제2 제어 명령을 전송 받으면, 전송 받은 제2 제어 명령을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즉, 제1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1 제어 명령을 스마트폰(110)에 의해 선택된 해당하는 앱세서리로 전송할 수 있다.
앱세서리(130)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제2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11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제1 중계 장치(121)와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폰(110)은 연결된 제1 중계 장치(121)로부터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앱세서리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폰(110)은 표시된 앱세서리 목록에서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 받으면 선택 받은 앱세서리 장치로의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중계 장치(121)는 스마트폰(110)으로부터 선택 받은 앱세서리의 정보를 제2 중계 장치(122)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중계 장치(122)는 제1 중계 장치(121)로부터 연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앱세서리의 정보를 제공 받으면, 그 제공 받은 앱세서리로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중계 장치(122)는 요청 받은 하나의 앱세서리로의 연결을 수행하여 그 수행한 결과로 해당하는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되었음을 스마트폰(110)에 통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폰(110)은 선택된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되면, 사용자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제1 제어 명령을 RF 통신방식의 데이터 즉, 제2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제어 명령을 제2 중계 장치(12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중계 장치(122)는 제2 제어 명령을 전송 받으면, 전송 받은 제2 제어 명령을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데이터 즉, 제1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1 제어 명령을 스마트폰(110)에 의해 선택된 해당하는 앱세서리(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앱세서리(130)는 제2 중계 장치(122)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을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제1 제어 명령에 따라 스마트폰이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120)는 제1 인터페이스(121), 처리부(122), 저장부(123), 제2 인터페이스(1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121)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121)는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스마트폰과 연동할 수 있다.
처리부(122)는 연결된 스마트폰(110)에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처리부(12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스마트폰(110)으로부터 제공 받은 제어 명령을 앱세서리에 전송할 수 있다.
처리부(12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스마트폰(110)으로부터 제공 받은 제1 제어 명령을 RF 통신방식의 데이터 즉, 제2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인터페이스(124)는 앱세서리와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124)는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스마트폰과 연동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124)는 다른 중계 장치와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124)는 RF 통신방식으로 다른 중계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 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일 예로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스마트폰
120: 중계 장치
121: 제1 인터페이스
122: 처리부
123: 저장부
124: 제2 인터페이스
130: 앱세서리

Claims (16)

  1.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고, 제공한 상기 앱세서리 목록에서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 받으면 선택 받은 상기 앱세서리 장치로의 연결을 수행하는 중계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중계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검색하고 그 검색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선택된 하나의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선택된 해당하는 앱세서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한번이라도 연결되었던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5.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고, 제공한 상기 앱세서리 목록에서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 받으면 선택 받은 상기 앱세서리 장치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중계 장치; 및
    상기 앱세서리 장치의 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앱세서리의 장치의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앱세서리로의 연결을 수행하는 제2 중계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제1 중계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중계 장치와 상기 제2 중계 장치는 RF 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장치는,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검색하고 그 검색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장치는,
    선택된 하나의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RF 통신방식의 제2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명령으로 변환되면, 변환된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RF 통신방식으로 상기 제2 중계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장치는,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제1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명령으로 변환되면, 변환된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선택된 앱세서리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9. 스마트폰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중계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고, 제공한 상기 앱세서리 목록에서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 받으면 선택 받은 상기 앱세서리 장치로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중계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검색하고 그 검색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가 선택된 하나의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선택된 해당하는 앱세서리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한번이라도 연결되었던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
  13. 스마트폰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1 중계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중계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고, 제공한 상기 앱세서리 목록에서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앱세서리 장치를 선택 받으면 선택 받은 상기 앱세서리 장치의 정보를 제2 중계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중계 장치가 상기 앱세서리 장치의 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앱세서리의 장치의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앱세서리로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제1 중계 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중계 장치와 상기 제2 중계 장치는 RF 통신 방식으로 연동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중계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이 연결되면, 제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검색하고 그 검색한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앱세서리를 포함하는 앱세서리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앱세서리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계 장치가 선택된 하나의 앱세서리로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1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RF 통신방식의 제2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명령으로 변환되면, 변환된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RF 통신방식으로 상기 제2 중계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 장치가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제2 제어 명령을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제1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명령으로 변환되면, 변환된 상기 제1 제어 명령을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선택된 앱세서리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130101606A 2013-08-27 2013-08-27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2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606A KR101532643B1 (ko) 2013-08-27 2013-08-27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606A KR101532643B1 (ko) 2013-08-27 2013-08-27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569A true KR20150024569A (ko) 2015-03-09
KR101532643B1 KR101532643B1 (ko) 2015-06-30

Family

ID=5302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606A KR101532643B1 (ko) 2013-08-27 2013-08-27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6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707A (ko) * 1998-11-25 2000-06-15 전주범 가전제품 통합 제어장치
JP3766055B2 (ja) * 2002-09-30 2006-04-12 株式会社東芝 無線中継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9060163A (ja) * 2007-08-29 2009-03-19 Canon Inc 無線通信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53148B1 (ko) * 2011-03-21 2013-04-10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과 중계 홈서버를 이용한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643B1 (ko)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30957A (zh) 家电设备配网方法及装置
KR102225408B1 (ko) 구성 접속 디바이스
KR102173242B1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KR20150014317A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여 무선 설정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모바일 디바이스
CN104144515A (zh) 终端及其实现wifi热点网络共享的方法
CN103685733A (zh) 一种遥控控制方法及终端
CN105392185B (zh) 一种智能设备的联网方法、装置及系统
CN108702365B (zh) 适配器及其控制方法
US11250846B2 (en) Voice enabled searching for wireless devices associated with a wireless network and voice enabled configuration thereof
CN104483951A (zh) 一种控制智能家居设备的方法、装置及终端
CN111752289B (zh) 无人机控制方法及相关装置
CN113970171A (zh) 一种开启空调器的配网模式的方法及控制终端
CN110601986A (zh) 一种支持外设控制移动终端设备的路由器、控制方法及装置
KR101840381B1 (ko) 다중 디바이스 연동 제어 시스템
CN103345828A (zh) 一种智能终端控制电脑的方法及系统
CN108092990B (zh) 移动终端数据聚合传输设备
KR10153264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앱세서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324489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EP3657732B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2013008902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rectional communication
CN105188155B (zh) 一种网络连接的方法及终端
CN103916977A (zh) 控制终端连接短距离无线网络的方法
KR101513017B1 (ko) 네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
CN107437329A (zh) 一种智能家居远程监控u盾认证系统
KR101455699B1 (ko) 네트워크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일반 가전기기에 대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제어방법 및 네트워크 구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