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620A -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620A
KR20210149620A KR1020210070927A KR20210070927A KR20210149620A KR 20210149620 A KR20210149620 A KR 20210149620A KR 1020210070927 A KR1020210070927 A KR 1020210070927A KR 20210070927 A KR20210070927 A KR 20210070927A KR 20210149620 A KR20210149620 A KR 20210149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rearview mirror
vehicle
message
audi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화 쑤
넝준 오우양
지안저 천
Original Assignee
아폴로 인텔리전트 커넥티비티 (베이징)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폴로 인텔리전트 커넥티비티 (베이징)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아폴로 인텔리전트 커넥티비티 (베이징)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14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스마트 교통의 분야에 관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를 개시한다. 구체적인 구현 방안은, 스마트 백미러가 처리될 메시지에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수반할 경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차량용 음향 장치 측에서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기술에서의 스마트 백미러가 탑재한 음향을 통해 재생할 때에 발생하는 사운드 파손, 엘리어싱 등의 현상의 발생을 극복할 수 있다. 차량용 음향 장치의 음질이 스마트 백미러의 음질보다도 훨씬 좋아, 사용자의 체험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AUDIO PLAYING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출원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교통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스마트 백미러의 보급에 따라, 차량용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제공할 수 있는 오디오 재생 체험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 높아지고 있고, 종래의 스마트 백미러의 오디오 재생 체험은, 이미 고품질 오디오 체험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종래의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제공되는 오디오 재생 방식은, 주로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자체 재생(self-playing)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백미러를 독립 장치로서, 음악, 텍스트로부터 음성(Text To Speech; TTS)까지의 브로드 캐스트 등의 오디오를 탑재하고 있는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
그러나, 스마트 백미러의 장착 방식은, 일반적으로, 기존의 차량용 백미러에 연결되고(tied), 메인 운전석 및 조수석의 중간 위치에 있어, 종종 스피커가 배면에 설계되어, 스피커가 오디오를 재생한 후에 기존의 차량용 백미러와 바운드하여, 사운드 파손, 엘리어싱(aliasing)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은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처리될 메시지가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수반할 경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백미러의 오디오 재생 방법을 제공하고,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백미러를 제공하고,
처리될 메시지가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모듈; 및
수반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신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명령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방법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제6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명령은 상기 컴퓨터가 상기 방법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기술에 따르면, 종래의 기술에서의 스마트 백미러가 탑재한 음향을 통해 재생할 때에 발생하는 사운드 파손, 엘리어싱 등의 현상의 발생을 극복할 수 있고,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차량용 음향 장치 측에서 수행할 수 있고, 차량용 음향 장치의 음질이 스마트 백미러의 음질보다도 훨씬 좋아, 사용자의 체험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내용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키 또는 중요한 특징을 식별하는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도 아닌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 도면은 본 해결수단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에 대해 한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도 1은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한정되는 메시지의 포맷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백미러의 오디오 재생의 아키텍처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 기기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되, 여기에는 이해를 돕기 위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다양한 세부 사항이 포함되며,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명확성 및 간결성을 위해, 아래의 설명에서 공지된 기능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은 스마트 백미러 측에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01, 처리될 메시지가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수반할 경우, 단계 S102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수반하지 않고 있을 경우, 스마트 백미러에서 처리될 메시지를 로컬 처리하고, 종료한다.
S102,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여,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한다.
스마트 백미러를 시나리오의 차량용 스마트 장치로 하고, 사용할 때, 메인 운전석 및 조수석의 중간 위치에 있는 기존의 차량용 백미러에 연결할(tie) 수 있다. 기존의 스마트 백미러는, 주행 기록, 음성 내비게이션,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운전 지원 등의 기능과 같은 많은 기능이 있다. 또한, 스마트 백미러에는 스피커를 가지고 있지만, 스피커는 항상 스마트 백미러의 배면에 설계되어 있어, 이렇게 되면, 스마트 백미러는, 탑재하고 있는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재생한 후에 기존의 차량용 백미러와 바운스(bounce)하여, 사운드 파손, 엘리어싱(aliasing)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스마트 백미러가 탑재하고 있는 스피커 음질이 일반적이어서, 사용자 체험이 나쁘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 부족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백미러를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와 직접 통신하고, 스마트 백미러에서의 모든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모두 송신하고,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의해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같은 스마트 백미러에서의 오디오 관련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스마트 백미러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모두 차량용 음향 장치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때, 스마트 백미러는, 각 처리될 메시지가 오디오에 관련되는 재생 메시지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그럴 경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여,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스마트 백미러에서 처리될 메시지를 로컬 처리하고, 종료한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은, 처리될 메시지가 오디오 재생 메시지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럴 경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오디오 재생 메시지를 송신하여,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재생 메시지 중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차량용 음향 장치 측에서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기술에서의 스마트 백미러가 탑재한 음향을 통해 재생할 때에 발생하는 사운드 파손, 엘리어싱 등의 현상의 발생을 극복할 수 있다. 차량용 음향 장치의 음질이 스마트 백미러의 음질보다도 훨씬 좋아, 사용자의 체험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은,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01, 처리될 메시지가 오디오 데이터와 재생 명령, 재생 일시정지 명령, 또는 계속 재생 명령을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오디오 데이터와 재생 명령을 수반할 경우, 단계 S202를 수행하고, 재생 일시정지 명령을 수반할 경우, 단계 S203을 수행하고, 계속 재생 명령을 수반할 경우, 단계 S204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3가지를 모두 수반하지 않을 경우, 스마트 백미러에서 처리될 메시지를 로컬 처리하고, 종료한다.
다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는, 오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제어 명령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재생 메시지,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에 대해서는, 오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재생 명령을 포함할 수 있고, 재생 일시정지와 계속 재생의 메시지,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에 대해서는, 재생 일시정지 명령 또는 계속 재생 명령만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명령, 재생 일시정지 명령 또는 계속 재생 명령은, 스마트 백미러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트리거한 제어 명령을 검출하여 획득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오디오 제어 명령은, 재생 정지 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재생 정지 명령 및 재생 일시정지 명령의 기능과 유사하고,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정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S202, 미리 배치된 스마트 백미러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의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오디오 데이터와 재생 명령을 수반하고 있는 메시지를 송신하여,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종료한다.
S203, 미리 배치된 스마트 백미러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의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USB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수반하고 있는 재생 일시정지 명령의 메시지를 송신하여,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해당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일시정지하고, 종료한다.
S204, 미리 배치된 스마트 백미러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의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USB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계속 재생 명령을 수반하고 있는 메시지를 송신하여,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이미 일시정지된 해당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계속하고,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백미러에 하나의 USB인터페이스를 설치하고, USB케이블을 통해 스마트 백미러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를 연결하고, 스마트 백미러의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구현한다.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백미러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의 사설 통신 프로토콜을 미리 배치하고, 스마트 백미러 전송의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가, 모두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의해 인식되는 것을 확보하고,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정확하게 처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설 통신 프로토콜의 배치는, 대응하는 관련 프로토콜의 배치 방식을 참조할 수 있고, 오디오 관련 데이터가 정확한 전송 및 인식을 구현할 수 있으면 되고,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도 3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백미러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의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한정되는 메시지의 포맷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메시지는, 헤더(header) 부분과 데이터(data) 부분을 포함한다. 여기서, header 부분은, 길이(length), 타임 스탬프(timestamp), 및 메시지 중의 오디오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Service type)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재생의 메시지에 있어서, 해당 Service type에서 수반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서비스 타입을 식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해당 필드가 수반하는 서비스 타입은, TTS_INIT, TTS_RESUME, TTS_PAUSE, TTS_STOP, MEDIA_INIT, MEDIA_RESUME, MEDIA_PAUSE, MEDIA_STOP, NIVAGATION_INIT, NIVAGATION_RESUME, NIVAGATION_PAUSE, NIVAGATION _STOP 등과 같은, 텍스트로부터 음성(Text To Speech; TTS), 미디어 자원(MEDIA), 및 내비게이션(NIVAGATION) 타입의 다양한 재생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NIT는 재생의 시작을 표시하고, PAUSE는 재생의 일시정지를 표시하고, RESUME는 재생의 재기동 또는 재개를 표시하고, STOP은 재생의 정지를 표시한다. TTS는, 음성 어시스턴트의 메시지이며, 내비게이션 브로드 캐스트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에 의해 제공되는 메시지이며, 미디어 자원은, 여러가지 엔터테인먼트 app에 의해 제공되는 메시지이다. 다른 타입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측에서 다른 재생 처리 방식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메시지의 포맷으로 식별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은, 스마트 백미러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에서 USB를 통해 직접 연결되어, USB 전송 속도는, 일반적으로 12Mb/S보다 크고,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의 무손실 전송을 충분히 서포트하므로, USB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하여,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와 통신하고, 종래의 차량용 음향 장치를 사용하여, 스마트 백미러에서의 오디오를 차량용 음향 장치에서의 실시간 무손실 재생을 구현할 수 있고, 스마트 백미러가 탑재한 음향을 통해 재생할 때에 발생하는 사운드 파손, 엘리어싱 등의 현상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백미러의 음질 체험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또한, 오디오 재생의 일시정지 및 계속 재생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하기 매우 편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처리 방법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측에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401,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S402,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는, 스마트 백미러와 통신하고, 오디오 재생의 메시지 같은,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오디오 재생을 하는 것 같은, 차량용 음향 장치 측을 제어하여 해당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는, 재생 일시정지 명령, 또는 계속 재생 명령 등의 관련 메시지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은,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함으로써, 스마트 백미러의 오디오를 차량용 음향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고,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차량용 음향 장치 측에서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기술에서의 스마트 백미러가 탑재한 음향을 통해 재생할 때에 발생하는 사운드 파손, 엘리어싱 등의 현상의 발생을 극복할 수 있다. 차량용 음향 장치의 음질이 스마트 백미러의 음질보다도 훨씬 좋아, 사용자의 체험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은, 상술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501,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배치된 스마트 백미러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의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S502, 해당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가 오디오 데이터와 재생 명령, 재생 일시정지 명령, 또는 계속 재생 명령을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오디오 데이터와 재생 명령을 수반할 경우, 단계 S503을 수행하고, 재생 일시정지 명령을 수반할 경우, 단계 S508을 수행하고, 계속 재생 명령을 수반할 경우, 단계 S509를 수행하고,
S503,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을 획득하고,
S504, 해당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이 TTS의 브로드 캐스트, 내비게이션 브로드 캐스트, 또는 미디어 자원인 것을 판단하고, 해당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이 미디어 자원일 경우, 단계 S505를 수행하고, 해당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이 TTS의 브로드 캐스트 또는 내비게이션 브로드 캐스트일 경우, 단계 S507을 수행하고,
S505, 차량용 음향 장치가 로컬의 미디어 자원을 재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럴 경우, 단계 S506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507을 수행하고,
S506,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로컬의 미디어 자원 재생을 일시정지하고, 단계 S507을 수행하고,
S507,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명령에 따라,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 음향 장치의 재생 방식은, 사운드 믹싱 재생일 수 있고, 배타 재생일 수도 있다. 사운드 믹싱 재생은, 차량용 음향 장치가 로컬의 미디어 자원을 재생할 경우,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보내진 TTS의 브로드 캐스트 또는 내비게이션 브로드 캐스트가 사운드 믹싱의 방식으로, 차량용 음향 장치의 로컬 미디어 자원과 동시에 브로드 캐스트 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 이때, 차량용 음향 장치가 스마트 백미러의 TTS의 브로드 캐스트 또는 내비게이션 브로드 캐스트를 브로드 캐스트 할 때, 재생하고 있는 로컬의 미디어 자원의 소리를 낮게 조정할 수 있다. 배타 재생은, 차량용 음향 장치가 스마트 백미러가 임의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때, 모두 먼저, 로컬의 미디어 자원의 재생을 일시정지하는 것을 가리킨다. 상술한 단계 S505∼S507을 사운드 믹싱 재생으로 하는 것을 예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설명한다.
S508, 재생 일시정지 명령에 따라,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일시정지하고, 종료한다.
S509, 계속 재생 명령에 따라,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이미 일시정지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계속하고, 종료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에 재생 정지 명령을 수반할 수 있는 것을 수신하고, 또한, 해당 재생 정지 명령에 따라,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정지한다.
도 6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백미러의 오디오 재생의 아키텍처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백미러에 스피커가 탑재되고 있지만, 그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때에 사운드 믹싱, 중첩한 소리의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음질도 나빠지며, 본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사용하면, USB를 통해 스마트 백미러를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연결하고, 스마트 백미러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의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스마트 백미러 측의 오디오 데이터를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전송하고,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의해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재생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고, 오디오 재생의 음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USB전송 속도가 비교적으로 빠르기 때문에, 오디오 데이터의 무손실 재생을 구현하고, 사용자 체험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는, 차량용 음향 장치를 사운드 믹싱 재생으로 설치할 수 있고, TTS의 브로드 캐스트 또는 내비게이션 브로드 캐스트에 대하여, 차량용 음향 장치가 로컬 미디어 자원을 재생하고 있을 경우라도, 동시에 재생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실제의 응용에서는,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는, 차량용 음향 장치를 배타 재생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이때, 차량용 음향 장치가 재생하고 있는 로컬 미디어 자원을 일시정지하고, 스마트 백미러의 TTS의 브로드 캐스트 또는 내비게이션 브로드 캐스트를 재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은, 스마트 백미러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에서 USB를 통해 직접 연결되어,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의 무손실 전송을 서포트할 수 있고,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스마트 백미러에서의 오디오를 차량용 음향 장치에서의 실시간 무손실 재생을 구현할 수 있고, 스마트 백미러가 탑재한 음향을 통해 재생할 때에 발생하는 사운드 파손, 엘리어싱 등의 현상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백미러의 음질 체험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또한, 오디오 재생의 일시정지 및 계속 재생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하기 매우 편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700)는, 검출 모듈(701)과 송신 모듈(702)을 포함한다.
검출 모듈(701)은, 처리될 메시지에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송신 모듈(702)은, 수반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여,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700)에 있어서, 상술한 모듈을 사용하여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를 구현하는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와 같으며, 상세한 것은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고,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술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700)에 있어서, 송신 모듈(702)은,
USB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및
미리 배치된 스마트 백미러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의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에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술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700)로 있어서, 검출 모듈(701)은, 처리될 메시지에 오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제어 명령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술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700)에 있어서, 검출 모듈(701)은,
처리될 메시지에 오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명령을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처리될 메시지에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일시정지 명령을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또는
처리될 메시지에 오디오 데이터의 계속 재생 명령을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700)에 있어서, 상술한 모듈을 사용하여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를 구현하는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와 같으며, 상세한 것은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고,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800)는,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801); 및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모듈(80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800)에 있어서, 상술한 모듈을 사용하여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를 구현하는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와 같으며, 상세한 것은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고,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800)는, 상술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기반하여, 본발명의 기술 방안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800)에 있어서, 수신 모듈(801)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및
미리 배치된 스마트 백미러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의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에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800)에 있어서, 수신 모듈(801)은,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명령,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일시정지 명령, 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계속 재생 명령을 수반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제어 모듈(802)은,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명령에 따라,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일시정지 명령에 따라,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일시정지하고, 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계속 재생 명령에 따라,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이미 일시정지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계속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800)에 있어서, 결정 모듈(803)을 더 포함하고,
결정 모듈(803)은,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이 텍스트로부터 음성(TTS)까지의 브로드 캐스트 또는 내비게이션 브로드 캐스트인 것을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제어 모듈(802)은, 또한, 결정 모듈(803)이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이 미디어 자원인 것으로 결정할 경우, 차량용 음향 장치가 로컬에서 미디어 자원 재생을 수행하는 것이 검출될 경우, 차량용 음향 장치의 로컬 미디어 자원 재생을 일시정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800)에 있어서, 상술한 모듈을 사용하여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를 구현하는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와 같으며, 상세한 것은 상술한 관련 방법의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고,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는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시스템은, 스마트 백미러(900)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1000)를 포함하고, 스마트 백미러(900)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1000) 사이에서 통신 연결된다. 여기서, 스마트 백미러는, 상술한 도 7에 도시된 스마트 백미러를 사용할 수 있고,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1000)는, 상술한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술한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을 사용하고,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1000)로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스마트 백미러(900)의 오디오 재생 처리를 구현할 수 있고, 상세한 것은, 상술한 관련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고,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출원은 전자 기기 및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더 제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전자 기기의 블록도이다. 전자 기기는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운영 플랫폼, 개인 정보 단말기, 서버, 블레이드 서버, 대형 컴퓨터, 및 다른 적합한 컴퓨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를 의미한다. 전자 기기는 개인 디지털 처리, 셀룰러폰,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및 다른 유사한 컴퓨팅 장치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이동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문에서 나타낸 부재, 이들의 연결과 관계, 및 이들의 기능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문에서 설명 및/또는 요구된 본 발명의 구현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기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101), 메모리(1102), 및 고속 인터페이스 및 저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각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각 부재는 상이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고, 공통 메인보드에 장착될 수 있거나 필요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메모리에서 외부 입력/출력 장치(예를 들어, 인터페이스에 커플링된 표시 기기)에 GUI의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내에서 실행되는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필요에 따라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를 다수의 메모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전자 기기를 연결할 수 있고, 각 기기는 일부 필요한 동작(예를 들어, 서버 어레이, 한 그룹의 블레이드 서버, 또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1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1101)를 예로 한다.
메모리(1102)는 본 출원에서 제공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이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본 출원에서 제공된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며,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가 본 출원에서 제공된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메모리(1102)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예를 들어,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관련 모듈)과 같은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 가능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1)는 메모리(1102)에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서버의 다양한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즉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102)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에 따른 전자 기기의 사용에 따라 구축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밖에, 메모리(11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소자, 플래시 소자, 또는 다른 비일시적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소자와 같은 비일시적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1102)는 프로세서(1101)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되는 메모리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전자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구현예는 인터넷, 기업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전자 기기는, 입력 장치(1103) 및 출력 장치(1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1), 메모리(1102), 입력 장치(1103) 및 출력 장치(1104)는 버스 또는 다른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도 11에서는 버스를 통한 연결을 예로 한다.
입력 장치(1103)는 입력된 숫자 또는 캐릭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전자 기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키패드, 마우스, 트랙 패드, 터치 패드, 포인팅 스틱, 하나 또는 다수의 마우스 버튼, 트랙볼, 조이스틱 등 입력 장치일 수 있다. 출력 장치(1104)는 디스플레이 기기, 보조 조명 장치(예를 들어, LED) 및 촉각 피드백 장치(예를 들어, 진동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디지털 전자 회로 시스템, 집적 회로 시스템, 전용 ASIC(전용 집적 회로),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형태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의 구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 시스템에서 실행 및/또는 해석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는 전용 또는 범용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일 수 있고,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및 명령을 상기 저장 시스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코드라고도 함)은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의 기계 명령을 포함하고, 하이레벨 프로세스 및/또는 객체에 대한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어셈블리/기계 언어를 이용하여 이러한 컴퓨팅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본문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기기, 및/또는 장치(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로직 장치(PLD))를 의미하고, 기계 판독 가능한 신호인 기계 명령을 수신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 판독 가능한 신호”는 기계 명령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신호를 의미한다.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컴퓨터에서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을 실시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예를 들어, CRT(음극선관) 또는 LCD(액정 표시 장치) 모니터); 및 키보드 및 지향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또는 트랙 볼)를 구비하며, 사용자는 상기 키보드 및 상기 지향 장치를 통해 컴퓨터에 입력을 제공한다. 다른 타입의 장치는 또한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된 피드백은 임의의 형태의 감지 피드백(예를 들어,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또는 촉각 피드백)일 수 있고; 임의의 형태(소리 입력, 음성 입력, 또는 촉각 입력)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은 백엔드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데이터 서버로 사용됨), 또는 미들웨어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프론트엔드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네트워크 브라우저를 구비하는 사용자 컴퓨터인 바, 사용자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네트워크 브라우저를 통해 여기서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의 실시형태와 인터랙션할 수 있음), 또는 이러한 백엔드 부재, 미들웨어 부재, 또는 프론트엔드 부재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형태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을 통해 시스템의 부재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는,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망(WAN), 인터넷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및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인터랙션한다. 대응되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또한 서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관계를 생성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따르면, 처리될 메시지가 오디오 재생 메시지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그럴 경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오디오 재생 메시지를 송신하여,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재생 메시지 중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차량용 음향 장치 측에서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기술에서의 스마트 백미러가 탑재한 음향을 통해 재생할 때에 발생하는 사운드 파손, 엘리어싱 등의 현상의 발생을 극복할 수 있다. 차량용 음향 장치의 음질이 스마트 백미러의 음질보다도 훨씬 좋아, 사용자의 체험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따르면, 스마트 백미러와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에서 USB를 통해 직접 연결되어, USB전송 속도는, 일반적으로 12Mb/S보다 크고,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의 무손실 전송을 충분히 서포트하므로, USB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하여,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와 통신할 수 있고, 종래의 차량용 음향 장치를 사용하여, 스마트 백미러에서의 오디오를 차량용 음향 장치에서의 실시간 무손실 재생을 구현하고, 스마트 백미러가 탑재한 음향을 통해 재생할 때에 발생하는 사운드 파손, 엘리어싱 등의 현상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백미러의 음질 체험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본 출원에서는, 또한, 오디오 재생의 일시정지 및 계속 재생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하기 매우 편리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단계를 재배열,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 기재된 각 단계는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해결수단이 이루고자 하는 결과를 구현할 수 있는 한, 본문은 여기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계 요구 및 다른 요소에 따라 다양한 수정, 조합, 서브 조합 및 대체를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정신 및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등가 교체 및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에 있어서,
    처리될 메시지가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수반할 경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및
    미리 배치된, 상기 스마트 백미러와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의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될 메시지에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될 메시지에 오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제어 명령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될 메시지에 오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제어 명령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될 메시지에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명령을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처리될 메시지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일시정지 명령을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처리될 메시지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계속 재생 명령을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백미러에 기반한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
  5. 스마트 백미러의 오디오 재생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백미러의 오디오 재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미리 배치된, 상기 스마트 백미러와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의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백미러의 오디오 재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명령,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일시정지 명령,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계속 재생 명령을 수반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일시정지 명령에 따라, 상기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일시정지하는 단계;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계속 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이미 일시정지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계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백미러의 오디오 재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명령을 수신한 단계의 후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의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이 텍스트로부터 음성(TTS)까지의 브로드 캐스트 또는 내비게이션 브로드 캐스트인 것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이 미디어 자원인 것이 결정되고, 상기 차량용 음향 장치가 로컬에서 미디어 자원 재생을 수행하는 것이 검출될 경우, 상기 차량용 음향 장치의 로컬 미디어 자원 재생을 일시정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백미러의 오디오 재생 방법.
  9. 스마트 백미러에 있어서,
    처리될 메시지에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모듈; 및
    수반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가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스마트 백미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및
    미리 배치된 상기 스마트 백미러와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의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
    스마트 백미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처리될 메시지에 오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제어 명령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스마트 백미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상기 처리될 메시지에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명령을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처리될 메시지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일시정지 명령을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또는
    상기 처리될 메시지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계속 재생 명령을 수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스마트 백미러.
  13.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및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범용 직렬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및
    미리 배치된 상기 스마트 백미러와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사이의 사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상기 오디오 재생의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에 사용되는,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마트 백미러에 의해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명령,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일시정지 명령,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계속 재생 명령을 수반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제어 모듈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일시정지 명령에 따라, 상기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일시정지하고, 또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계속 재생 명령에 따라, 상기 차량용 음향 장치를 제어하여 이미 일시정지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계속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이 텍스트로부터 음성(TTS)까지의 브로드 캐스트 또는 내비게이션 브로드 캐스트인 것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결정 모듈이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타입이 미디어 자원인 것으로 결정할 경우, 상기 차량용 음향 장치가 로컬에서 미디어 자원 재생을 수행하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차량용 음향 장치의 로컬 미디어 자원 재생을 일시정지하는데 사용되는,
    차량용 중앙 제어 장치.
  17.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통신 연결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명령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이 수행되는,
    전자 기기.
  18. 컴퓨터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이며,
    상기 컴퓨터 명령은 상기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9.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70927A 2020-06-01 2021-06-01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KR202101496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486416.4 2020-06-01
CN202010486416.4A CN111857637A (zh) 2020-06-01 2020-06-01 音频播放处理方法、设备、电子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620A true KR20210149620A (ko) 2021-12-09

Family

ID=7298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927A KR20210149620A (ko) 2020-06-01 2021-06-01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98089B2 (ko)
KR (1) KR20210149620A (ko)
CN (1) CN111857637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1363B2 (en) * 2003-02-12 2007-05-22 Gentex Corporation Vehicle information displays
JP3113531U (ja) * 2005-06-10 2005-09-08 ウィリアム リン コンピュータバックミラー
TWM285491U (en) * 2005-10-07 2006-01-11 Sin Etke Technology Co Ltd Multi-functional rear-view mirror used in vehicular interior
CN101570161A (zh) * 2009-05-06 2009-11-04 方国财 一种带电子影音记录器的车内后视镜
CN202601192U (zh) * 2012-05-07 2012-12-12 深圳市领华卫通数码科技有限公司 基于后视镜的车载设备播放系统
CN104270442A (zh) * 2014-09-29 2015-01-07 谢小娟 一种车载音频播放方法、车载控制终端以及系统
CN105235598A (zh) * 2015-11-05 2016-01-13 上海卓易科技股份有限公司 后视镜媒体播放器
CN208306562U (zh) * 2018-04-27 2019-01-01 浙江如新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车载多媒体中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57637A (zh) 2020-10-30
JP2021187435A (ja) 2021-12-13
JP7298089B2 (ja)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9825B2 (ja) 表示装置、情報端末操作方法
CN111541919B (zh) 视频帧传输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645521B (zh) 用于智能后视镜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13507721A (ja) クラウドベースのメディアプレーヤ及びオフラインメディアアクセス
US114358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interac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WO2013180280A1 (ja) 車載情報システム、情報端末、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
WO2024022366A1 (zh) 一种车载娱乐信息显示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20150077635A1 (en) Method for outputting multiple multimedia tracks along multiple processing paths from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6949902B (zh) 导航语音故障解决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4037480A1 (zh) 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10149620A (ko) 오디오 재생 처리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JP6443205B2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関連情報配信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JP6221739B2 (ja) 車載用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160612A1 (zh) 与车辆的车载系统交互方法、存储介质和移动终端
US116460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2208044A (ja) 電子装置
CN110673813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JP2013250132A (ja) 車載装置、車載情報システム
WO2019242092A1 (zh) 车载系统控制移动端的方法
WO2024082947A1 (zh) 多屏多设备交互方法、电子设备及系统
JP2019021277A (ja) 車載システム
US202302219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udio stream
KR20100024194A (ko) 사용자 관심도를 반영한 멀티미디어 스트림 재생방법 및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KR20220025345A (ko) 동영상 내 자막의 음성화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6009809A (zh) 汽车播放音频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