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027A - 음료 제조 기계용 분배 모듈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 기계용 분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027A
KR20210149027A KR1020217021058A KR20217021058A KR20210149027A KR 20210149027 A KR20210149027 A KR 20210149027A KR 1020217021058 A KR1020217021058 A KR 1020217021058A KR 20217021058 A KR20217021058 A KR 20217021058A KR 20210149027 A KR20210149027 A KR 20210149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or
fluid
dispensing module
receiving plat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1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에케 노르드휘스
조한 반 토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10149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47J31/0673Means to perforate the cartridge for creating the beverage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7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in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고온 액체가 압력 하에 캡슐 내로 주입되고, 이 캡슐이 압력 하에서 캡슐 커버를 절단하도록 배열된 돌출부(212)를 갖는 브루잉 플레이트(210)에 대항하여 배치되는 캡슐-기반 브루잉 시스템을 사용하여 적절한 주도를 갖는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음료 제조 기계용 분배 모듈에서, 제조된 음료의 자유 유동이 브루잉 플레이트(210)로부터 유출구 노즐(126)을 향해 점진적으로 유동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브루잉 플레이트(210)로부터 브루잉 플레이트의 하류에 있는 수집기 챔버(204)를 통한 유출구 노즐(126)까지의 개방된 통로(206)에는 음료를 수집기 챔버(204) 밖으로 안내하는 개방된 경사진 거터(222)가 제공되어 최상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관의 개방 특성으로 인해, 브루잉 플레이트로부터의 음료의 제트들이 개방된 거터 그리고 기계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는 브루잉 플레이트와 거터 또는 그의 개구 사이에 적절한 차폐부(250)를 제공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제조 기계용 분배 모듈
다양한 태양 및 이들의 실시예는 캡슐을 통해 고온 액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캡슐 내에 담긴 물질로부터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음료를 수집하고 분배 노즐을 향하는 음료를 위한 트랙(track)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그러한 기계를 위한 수집기 모듈(collector module)에 관한 것이다.
국제 출원 공개 WO 2009/043630호는 캡슐을 일정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캡슐 유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1인용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음료 브루잉 유닛(beverage brewing unit)을 갖는 음료 기계를 개시한다. 브루잉 동안, 물이 고압 펌프에 의해 캡슐 내에 주입된다. 캡슐 내에 압력이 확립되고, 이는 천공 플레이트에 대항한 멤브레인의 천공으로 이어진다. 일단 캡슐이 뚫리면, 캡슐로부터 천공부를 통하여 천공 플레이트를 통해 음료가 방출될 수 있다. 음료는 수집되어, 유출구 덕트로 이어지는 수집 덕트를 통해 배출된다. 수집 덕트와 유출구 사이에, 수평 유체 트랙이 관형 부재에 의해 제공된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3/0001251호는 원료 캡슐(ingredient capsule)을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부분품을 둘러싸는 케이싱, 사용 시에 제1 부분품을 향하는 천공 돌출 부재들이 제공된 수직 표면을 갖는 제2 부분품, 및 캡슐이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케이싱 내의 개구를 포함하는 음료 기계를 개시한다. 사용 시에, 캡슐 내에 담긴 유체(예컨대, 커피)는 캡슐 밖으로 유동하고, 수용 챔버에서 개방된 음료 배출 오리피스들을 통과하게 된다. 유체는 수용 챔버로부터, 챔버와 개방 연결되어 있고 제1 부분품 내의 캡슐과 음료 배출 오리피스들과 일렬로 된 출구 노즐을 통해 유동한다. 출구 노즐을 통해, 음료가 컵 내로 부어진다.
개선된 주도(consistency)를 갖는 음료, 특히 개선된 주도를 갖는 거품을 구비하는 음료를 제공하는 수집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태양은 압력 하의 고온 액체를 물질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물질로부터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음료를 브루잉하도록 배열되는 음료 제조 기계용 분배 모듈을 제공한다. 물질은 캡슐 내에 보유될 수 있다. 모듈은 유체 수용 플레이트로서, 유체 수용 플레이트는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분포된 복수의 개구들을 포함하고, 개구들은 음료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수용 플레이트는 캡슐, 예컨대 커버와 같은 캡슐의 인열가능 부분을 인열시키도록 배열된 복수의 연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유체 수집기로서, 수집기의 제1 측에서 유체 수용 플레이트에 의해 그리고 수집기의 제2 측에서 수집기 벽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지는, 상기 유체 수집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수집기는 개구들로부터 음료를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데, 여기서 유체 수집기에는 수집기 벽에서 수집기 유출구 개구가 제공된다. 모듈은 수집기 유출구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유출구 도관으로서, 수집기 유출구 개구를 통해 유체를 수용하고, 사용 시에 유체를 음료 제조 기계의 적어도 하나의 분배 노즐을 향해 안내하는, 상기 유출구 도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은 유체 수용 플레이트로부터의 유체가 유출구 도관 내로 직접 충돌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유체 수용 플레이트와 수집기 유출구 개구 사이에 제공된 편향기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유출구 도관을 제공함으로써, 특히 브루잉 과정의 종료 후에 압력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유동으로 안내될 마지막으로 브루잉된 음료에 대해, 음료의 연속적인 유동이 제공된다. 둘째, 유체 수용 플레이트의 개구로부터의 음료의 가능한 직접적인 제트(jet)가 유출구 도관으로 들어가고 혹시 유출구 도관으로부터 제트로서 기계 내로 떠남으로써 기계의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 노즐을 향해 유동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혹시 기계의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막는다.
이들 조치에 의해, 음료의 점진적인 유동이 제공되는데, 이때 음료의 액적 또는 제트가 기계의 다른 부분으로 들어갈 위험이 감소되어, 그 결과로서 다른 부품들의 오염 및 잠재적인 오작동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편향기 벽은, 유체 수용 플레이트에 직각으로 연장되고 유체 수용 플레이트의 개구 및 유출구 도관 내에 놓인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선이 또한 편향기 벽을 통해 연장되도록 위치된다.
유체 수용 플레이트가 개구들의 어레이의 배향에 직각이고 유체 수용 플레이트의 주 평면에 직각인 보어들에 의해 확립된 개구들을 갖는 상태에서, 고온 액체가 압력 하에서 캡슐 내에 주입되는 것에 의해 개구들을 통해 제공된 음료의 제트들은 유체 수용 플레이트의 주 평면에 대해 거의 또는 실질적으로 직각인 개구들을 빠져나간다. 개구와 거터(gutter)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수용 평면에 직각인 선 상에 편향기 벽이 위치되는 상태에서, 유체 수용 플레이트로부터 직접 거터 내로의 음료의 제팅(jetting)이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료의 점진적인 유동을 방해하는 요인 또는 달리 음료 상에서의 거품의 보존 또는 형성에 해로운 요인이 제거되거나 적어도 감소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향기 벽은 적어도 수집기 유출구 개구만큼 큰 면적을 포함한다.
편향기 벽의 그러한 크기에 의해, 편향기 벽은 수집기 유출구 개구의 전부 또는 적어도 그의 매우 큰 부분을 수집기 유출구 개구, 가능하게는 유출구 도관으로 들어가는 임의의 직접적인 제트들로부터 차단하기에 충분히 크다.
역시 다른 실시예에서, 유출구 도관은 거터를 포함하고, 거터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 시에 하향으로 경사진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음료는 유체 수집기 내에 더 이상 커피가 거의 또는 전혀 남지 않은 때에도 원활하게 점진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유출구 도관은 복수의 후속적인 거터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거터 세그먼트들의 기울기가 복수의 개구들로부터 더 먼 거리에서 증가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음료의 유동의 속도는 유동의 어떠한 방해도 없이 또는 적어도 너무 많은 방해 없이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편향기 벽은 유체 수용 플레이트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편향기 벽이 유체 수용 플레이트에 평행한 상태에서, 유체 수집기를 작게 유지함으로써 소형 분배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수용 플레이트 내의 개구들로부터의 임의의 제트는 그들이 충돌 후에 어떠한 잔류 속도도 갖지 않도록 정지된다. 결국, 이는 음료의 더 하류 측의 점진적 유동에 대한 더 적은 영향을 의미한다.
역시 다른 실시예에서, 수집기 벽은 유체 수용 플레이트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유체 수용 플레이트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제트들이 편향기 벽에 직접 충돌하지 않도록 편향기 벽이 제공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한데, 그러한 제트들은 충격에 의해 수집기 벽에 충돌하여 이들이 충격 후에 더 이상 속도를 갖지 않도록 한다. 둘째, 그러한 실시예는 유체 수집기의 소형 구현을 허용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유체 수용 플레이트, 편향기 플레이트 및 수집기 벽 중 적어도 하나는 직립한, 수직 배향된 배향을 갖는다.
역시 추가 실시예에서, 유체 수용 플레이트 및 편향기 벽 중 적어도 하나에는, 유체 수용 플레이트와 편향기 벽 사이에 공간을 확립하도록 배열된, 편향기 벽 및 유체 수용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주연부를 따라 분포된 스페이서(spacer)들이 제공된다.
스페이서들은, 개구들로부터의 제트들에 의해 제공되고 편향기 벽에 충돌되는 음료가 점진적인 방식으로 유체 수집기 내로 추가로 유동하기에 충분할 수 있는 공간이 편향기 벽과 유체 수용 플레이트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 추가 실시예에서, 편향기 벽 및 유체 수용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저부에 저부 스페이서가 제공되고, 저부 스페이서는 수집기 유출구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폭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편향기 벽으로부터 유체 수집기 내로 바로 하향으로 그리고 후속적으로 수집기 유출구 개구 내로 직접 흐르는 유동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크게 감소된다. 음료는 먼저 옆으로 유체 수집기 내로 그리고 후속적으로, 예를 들어 유체 수집기의 추가의 벽들을 통해, 수집기 유출구 개구로 유동할 것이다.
역시 추가 실시예에서, 유체 수용 플레이트 내의 개구들은 지향성 유출구를 갖고, 편향기 벽의 적어도 일부는 유출구가 수집기 유출구를 향해 지향된 개구들과 수집기 유출구 사이의 유동 경로 내에 제공된다.
지향성 유출구는 유출구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방향으로의 음료의 제트를 제공하는 유출구이다. 따라서, 유동 경로는 지향성 유출구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향기 벽은 편향기 벽의 오목한 측이 유체 수용 플레이트를 향하는 상태로 만곡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음료의 제트들은 편향기 벽 상에 수직이 아니라 일정 각도 하에 충돌한다. 그러한 충돌은 음료 및 제공될 수 있는 임의의 거품에 대해 덜 방해한다.
역시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 수집기는 유출구 도관에 연결되고 유출구 도관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한 분배 모듈은 제조하기에 더 효율적이다.
또 추가 실시예는 플레이트를 수집기 벽에 연결하여 수집기 챔버를 형성하는 주연 벽을 포함한다.
챔버를 제공함으로써, 챔버 외부로부터 음료에의 임의의 영향이 감소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집기 챔버에는 챔버의 상부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관통 구멍이 제공된다.
무화된 액체 액적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가스 또는 유체가, 선택적으로 압력 하에, 수집기 챔버를 떠나서, 제조된 음료에 대한 임의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태양은 고온 액체 및 물질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를 제공한다. 기계는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브루잉 챔버, 고온 액체 공급원, 및 브루잉 챔버에 고온 액체를 제공하기 위한 고온 액체 도관을 포함한다. 본 기계는 플레이트가 브루잉 챔버의 경계를 이루는, 전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배 모듈; 및 유출구 도관과 유체 연통하는 음료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제2 태양의 일 실시예에서, 분배 모듈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기계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제공된다. 그러한 기계는 위에서 논의된 이점들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크기의 캡슐과의 사용을 허용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편향기 벽 - 분배 모듈에 의해 구성되는 바와 같음 - 은 바람직하게는 유체 수용 플레이트 - 또한 분배 모듈에 의해 구성되는 바와 같음 - 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가지는데, 이는 유체 수용 플레이트에 대한 편향기 벽의 기능이 기계 내에서의 분배 모듈의 위치와는 독립적으로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독립적인 기능은 사용되는 캡슐의 크기에 상관없이 음료의 일관된 품질을 보장한다.
제2 태양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기계는 분배 모듈을 브루잉 챔버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한 편의 부재(biasing member)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캡슐의 크기에 관계없이 브루잉 챔버의 개선된 밀봉을 허용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음료 처리부는 분배 모듈이 제1 위치뿐만 아니라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유출구 도관으로부터 음료를 수용하도록 배열되게 제공된 제2 유체 채널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유체 채널은 활주가능 방식으로 기계 및 유출구 도관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더 편리한 구성뿐만 아니라 사용을 허용한다.
이제, 다양한 태양 및 이들의 실시예가 도면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논의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커피 머신의 개략도.
도 2는 수집기 모듈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하류 측으로부터 바라본 수집기 모듈의 일 섹션의 등각도.
도 4는 상류 측으로부터 바라본 수집기 모듈의 일 섹션의 등각도.
도 1은 제2 태양에 따른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의 일 실시예로서 커피 머신(100)을 도시한다. 커피 머신(100)은 커피 머신(100)의 다양한 기능적 부분품들이 내부에 제공되는 하우징(190)을 포함한다. 커피 머신(100)은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물 또는 다른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액체 저장조(102),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요소(106)로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104)를 포함한다.
가열된 물은 브루잉 챔버(108) 내에 삽입된, 분쇄된 커피(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캡슐 내에 주입된다. 이를 위해, 캡슐은 캡슐의 유입구 측에서 장치에 의해 뚫려 개방될 수 있다. 브루잉 동안, 캡슐은, 유체 수용 플레이트로서 스터드(stud)(212)들 및 스터드(212)들 사이의 관통 구멍들을 포함하는, 유체 수용 플레이트로서의 스터드 플레이트(210)로 또한 지칭되는(때때로 당업계에서 추출 플레이트로 또한 지칭됨) 유체 수용 플레이트에 대해 가압된다. 스터드 플레이트는 사용 시에 유체 압력의 영향 하에 캡슐을 개방하기 위하여 캡슐을 향하는 측에 배열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압력 하에 캡슐 내로 들어가는 제공된 고온수의 압력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공되는 캡슐의 커버가 캡슐의 인열가능 부분을 위한 선택사양으로서 제공되는데, 이는 스터드 플레이트(210) 상의 복수의 연장부로서 제공되는 복수의 소위 스터드(212)에 의해 인열되어 개방되어서 브루잉된 커피가 캡슐 밖으로 그리고 스터드 플레이트(210) 내의 구멍들을 통해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스터드 플레이트(210) 후방에, 스터드 플레이트(210) 내의 구멍들에 의해 제공되는 브루잉된 커피를 수용하기 위한 수집기 챔버(204)를 포함하는 유체 수집기가 제공된다. 수집기 챔버(204)에서, 스터드 플레이트(210)의 반대편의 직립 수집기 벽으로서의 후방 벽(230)에서, 개구(206)가 제공되어, 브루잉된 커피를 스터드 플레이트(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집기 챔버(204)로부터 멀리 안내하기 위한 유출구 도관으로서 제공되는 제1 유체 채널(220)에의 접근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수집기 챔버(204)는 제1 측에서 스터드 플레이트(210)에 의해 그리고 제1 측의 반대편의 제2 측에서 후방 벽(230)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터드 플레이트(210) 및 후방 벽(230)이 서로 평행하게 제공되지만, 후방 벽(230)은 스터드 플레이트(210)에 대해 상이하게 형상화 또는 배향될 수 있다. 스터드 플레이트(210) 및 후방 벽(230)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주연 벽에 의해 연결된다. 스터드 플레이트(210), 후방 벽(230), 주연 벽 및 제1 유체 채널(220)을 갖는 수집기 챔버(204)는 수집기 모듈(200)에 의해 구성된다.
수집기 모듈(200)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수집기 하우징 부재(110)에 활주가능하게 제공된다. 수집기 하우징 부재(110) 내에서, 수집기 모듈(200)은 편의 부재로서의 스프링(112)에 의해 브루잉 챔버(108)를 향해 편의된다.
제1 유체 채널(220)의 하류에서, 분배 노즐(126)에 커피를 제공하기 위한 유체 트랙의 일부로서 제2 유체 채널(122)이 제공된다. 제1 유체 채널(220)에 의해 제공되는 커피는, 경사진 제2 유체 채널(122)을 통해, 분배 노즐(126)이 연결되는 노즐 수집기(124) 내로 유동한다.
도 2는 수집기 모듈(200)의 더 상세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수집기 챔버(204)의 상류 측에서 스터드(212)들이 상부에 제공된 스터드 플레이트(210)를 도시한다. 수집기 챔버(204)의 하류 측에서, 스터드 플레이트(210) 내의 구멍들로부터 커피를 수용하기 위해 후방 벽(230)이 제공된다. 커피가 고압 하에서 제공되는 경우에, 커피의 거의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제트들이 스터드 플레이트(210) 내의 개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트들은 후방 벽(230)에 충돌한다. 후방 벽(230)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터드 플레이트(210)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후방 벽(230)이 스터드 플레이트(210)에 대해 일정 각도로 제공되고/되거나 후방 벽(230)이 만곡되거나 달리 형상화되는 다른 실시예들이 고려될 수 있다.
후방 벽(230)의 하부 측에, 특히 후방 벽(230)의 저부에, 커피가 수집기 챔버(204) 밖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유출구 개구(206)가 제공된다. 유출구 개구(206)로부터, 거터(gutter)(222)가 제1 유체 채널(220)로서 연장된다. 거터(222)는 커피를 제2 유체 채널(122)로 지향시키기 위해 하향으로 경사진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1 유체 채널(220)을 갖는 수집기 모듈(200)은 수집기 하우징 부재(110) 내에서 병진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제1 유체 채널(220)은 제2 유체 채널(122)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도 3은 수집기 모듈(200)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1 유체 채널이, 특히 제1 유체 채널(220)과 일체형 부분으로서 제공되는 것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다. 제1 유체 채널 내에서, 거터(222)는 다수의 거터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개방된 채널로서 제공되는데, 거터 세그먼트들은 스터드 플레이트(21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사각을 갖는다.
제1 거터 세그먼트(224)는 거의 수평이고, 제2 거터 세그먼트(226)가 50도 내지 40도의 각도에 걸쳐, 약 45도로 경사지며, 제3 거터 세그먼트(228)가 70도 또는 80도 - 거의 수직임 - 의 기울기를 갖는다. 여기에 제공된 기울기가 단지 예시적인 예로서 제공되며, 더 낮거나 더 높은 상이한 값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거터(222)는 하나의 특정 각도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40도 내지 50도에 걸쳐 경사지는 단 하나의 거터 세그먼트를 갖는다. 거터(222)가 상부에서 개방되어 있음에 유의한다. 도 3은 거터(222) 위에 제공된 아치형 구조물의 일부를 도시하지만, 거터(222)는 튜브, 호스 또는 파이프와 같이 상부에서 막히기보다는 상부에서 개방된 채널로서 제공된다.
도 3은 또한 스터드 플레이트(210) 내의 복수의 개구(214)를 도시한다. 개구(214)들은 2차원 어레이로 제공되고, 스터드 플레이트(210)의 상류 측으로부터 스터드 플레이트(210)의 하류 측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들로서 제공된다. 도 3은 수집기 챔버(204)가 스터드 플레이트(210)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지는 상류 측에 그리고 후방 벽(230)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지는 하류 측에 있음을 도시한다.
스터드 플레이트(210) 및 후방 벽(230)은, 수집 챔버(204)를 둘러싸고 수집 챔버(204)에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제공하는 주연 벽(240)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거터 요소(224)는 주연 벽(240)에 제공되고, 이러한 제1 거터 요소(224)는 후방 벽 내의 유출구 개구(206)를 통해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연 벽(240)은 수집 챔버(204)에서 동일 높이이고, 거터(222)는 유출구 개구(206)의 하류에서 시작한다.
일 실시예에서, 주연 벽(24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에서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그러한 관통 구멍은, 제1 유체 채널을 통한 커피의 유동을 방해함이 없이, 다른 기체 물질 또는 무화된 액체의 임의의 스팀이 빠져나가는 통로를 제공한다.
도 3은 주연 벽(240), 거터(222)를 포함하는 제1 유체 채널(220) 및 후방 벽(230)이 하나의 일체형 부품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다. 스터드 플레이트(210)는 별개의 유닛으로서 제공되며, 이는 스터드 플레이트가 수집기 모듈(200)의 나머지 부분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게 한다.
도 4는 스터드 플레이트(210)가 제거된, 수집기 모듈(200)의 상류 측으로부터의 수집기 모듈(200)의 등각도를 도시한다. 수집기 모듈(200)에서, 이하에서 편향기 플레이트(250)로 또한 지칭되는 편향기 벽(250)이 제공된다. 편향기 플레이트(250)는 제1 유체 채널(220)을 향하여 스터드 플레이트(210) 내의 개구(214)들과 유출구 개구(206) 사이에서 스크린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향기 플레이트(250)는 개구(214)들 중 하나로부터 유출구 개구(206)를 통해 제1 유체 채널(220) 내에 직접 임의의 커피를 제팅하는 것을 방지한다.
편향기 플레이트(250)는 스터드 플레이트(210)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스터드 플레이트(210)의 하류 측에 제공된다. 편향기 플레이트(250)와 스터드 플레이트(210) 사이의 거리는 유체 수용 플레이트(210)를 향하는 측에서 편향기 플레이트(250) 상에 제공되는 스페이서(252)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편향기 플레이트(250)와 후방 벽(230) 사이의 거리를 한정하기 위해 스터드 플레이트(210)의 하류 측에 배면 스페이서(254)들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편향기 플레이트(250)의 하부 단부에, 특히 저부에 스페이서가 제공되며, 이 스페이서는 적어도 유출구 개구(206)만큼 넓다.
스페이서(252)들 또는 배면 스페이서(254)들은 또한, 커피가 주연 벽(240)과 편향기 플레이트(250)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편향기 플레이트(250)와 주연 벽(240) 사이에 간극을 제공한다. 간극은 편향기 플레이트의 주연부의 50% 이상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편향기 플레이트의 80% 초과에 대해, 더 바람직하게는 편향기 플레이트의 90% 초과에 걸쳐, 더 바람직하게는 편향기 플레이트의 95% 초과에 걸쳐 제공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간극은, 선택적으로 편향기 플레이트(250)와 주연 벽(240) 사이의 임의의 잠재적으로 이용가능한 스페이서들을 제외하고는, 편향기 플레이트(250)의 대략 100%에 제공된다.
도 4에 의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편향기 플레이트(250)는 개구(214)들의 어레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면적을 갖는 평탄 플레이트로서 제공된다. 편향기 플레이트(250)는, 편향기 플레이트(250)에 충돌하는 커피가 수집기 챔버(204) 내에서의 스터드 플레이트(210)와 편향기 플레이트(250) 사이에서 그리고 유출구 개구(206)를 향해 유동할 수 있는 한,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향기 플레이트(250)는 더 작으며, 스터드 플레이트(210) 내의 개구(214)들로부터 발생되고 유출구 개구를 향해 이동하는 제트들의 유동 궤적에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출구 개구(206)를 가로지르지 않는 유동 궤적을 갖는, 개구(214)들로부터 발생하는 적어도 일부 제트는 수집기 챔버(204)의 후방에서 후방 벽(203)에 충돌할 수 있다.
편향기 플레이트(250)는, 도 4에 의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후방 벽(230)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편향기 플레이트(250)는, 그의 크기에 관계없이,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때 바람직하게는 편향기 플레이트(250)의 오목한 면이 스터드 플레이트(210)를 향해 지향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편향기 플레이트(250)는 편향기 플레이트(250)가 편향기 플레이트의 저부에서보다 상부에서 스터드 플레이트(210)에 더 가깝도록 만곡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편향기 플레이트(250)의 중심은 편향기 플레이트(250)의 중심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는 편향기 플레이트(250)의 에지들보다 스터드 플레이트(210)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 또는 그와 반대일 수 있음 -.
위의 설명에서, 층, 영역 또는 기재와 같은 요소가 다른 요소 "상에" 또는 "상으로" 있는 것으로 지칭될 때, 그 요소는 다른 요소 상에 직접 있거나, 개재하는 요소가 또한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위의 설명에서 주어진 값은 예로서 주어지며, 다른 값이 가능할 수 있고/있거나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제공되는 것보다 적은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기능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많은 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공된 실시예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이 다수의 구성요소에 걸쳐 분배된다.
고온 액체가 압력 하에 캡슐 내로 주입되고, 이 캡슐이 압력 하에서 캡슐 커버를 절단하도록 배열된 돌출부를 갖는 브루잉 플레이트에 대항하여 배치되는 캡슐-기반 브루잉 시스템을 사용하여 적절한 주도를 갖는 음료를 제공하는 경우, 제조된 음료의 자유 유동이 브루잉 플레이트로부터 유출구 노즐을 향해 점진적으로 유동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브루잉 플레이트로부터 브루잉 플레이트의 하류에 있는 수집기 챔버를 통한 유출구 노즐까지의 개방된 통로에는 음료를 수집기 챔버 밖으로 안내하는 개방된 경사진 거터가 제공되어 최상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관의 개방 특성으로 인해, 브루잉 플레이트로부터의 음료의 제트들이 개방된 거터 그리고 기계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는 브루잉 플레이트와 거터 또는 그의 개구 사이에 적절한 차폐부를 제공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수직 배향된 스터드 플레이트, 직립 또는 수직 배향된 수집기 벽, 및 수직으로 배향된 편향기 플레이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내어졌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터드 플레이트는 수평으로의 배향 또는 일정 각도 하의 배향을 포함하여, 상이한 위치들로 배향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컵 내에 담길 커피 - 또는 다른 물질 - 을 개시한다. 다른 예들에서, 물질은 별개의 캡슐 내에 담기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분말로서의 분쇄된 커피처럼, 그러한 바와 같은 브루잉 챔버(108) 내에 제공된다.
도면이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지 개략적인 표현인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명료함 및 간결한 설명의 목적을 위해, 특징이 동일한 또는 별개의 실시예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만, 본 발명의 범주는 기술되는 특징 중 전부 또는 일부의 조합을 갖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단어 '포함하는'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 이외의 다른 특징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단어 '하나'('a' 및 'an')는 '오직 하나'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도록 사용되고,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설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파라미터 및 그의 값이 변경될 수 있고, 개시되고/되거나 청구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조합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청구범위의 도면 부호가 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청구범위의 명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삽입된 것임을 명시한다.

Claims (24)

  1. 압력 하의 고온 액체를 물질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물질로부터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음료를 브루잉(brewing)하도록 배열되는 음료 제조 기계용 분배 모듈로서,
    - 유체 수용 플레이트로서,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분포된 복수의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들은 상기 음료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
    - 유체 수집기로서, 상기 유체 수집기는 상기 수집기의 제1 측에서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에 의해 그리고 상기 수집기의 제2 측에서 수집기 벽에 의해 경계가 이루어지고, 상기 유체 수집기는 상기 개구들로부터의 상기 음료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유체 수집기에는 수집기 유출구 개구가 제공되는, 상기 유체 수집기;
    - 상기 수집기 유출구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유출구 도관으로서, 상기 수집기 유출구 개구를 통해 유체를 수용하고, 사용 시에 상기 유체를 상기 음료 제조 기계의 적어도 하나의 분배 노즐을 향해 안내하는, 상기 유출구 도관; 및
    -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로부터의 유체가 상기 유출구 도관 내로 직접 충돌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와 상기 수집기 유출구 개구 사이에 제공된 편향기 벽
    을 포함하는, 분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 벽은,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에 직각으로 연장되고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의 개구 및 상기 유출구 도관 내에 놓인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선이 또한 상기 편향기 벽을 통해 연장되도록 위치되는, 분배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 벽은 적어도 상기 수집기 유출구 개구만큼 큰 면적을 포함하는, 분배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 도관은 거터(gutter)를 포함하고, 상기 거터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 시에 하향으로 경사지는, 분배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 도관은 복수의 후속적인 거터 세그먼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거터 세그먼트들의 기울기가 상기 복수의 개구들로부터 더 먼 거리에서 증가하는, 분배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터 세그먼트들은 무한히 작고, 상기 유출구 도관은 만곡되는, 분배 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 벽은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분배 모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 유출구 개구는 상기 수집기의 하부 측 부근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집기 벽에 제공되는, 분배 모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 벽은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분배 모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 및 상기 편향기 벽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와 상기 편향기 벽 사이에 공간을 확립하도록 배열된, 상기 편향기 벽 및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주연부를 따라 분포된 스페이서(spacer)들이 제공되는, 분배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 벽 및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저부에 저부 스페이서가 제공되고, 상기 저부 스페이서는 상기 수집기 유출구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폭을 갖는, 분배 모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 내의 상기 개구들은 지향성 유출구를 갖고, 상기 편향기 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출구가 상기 수집기 유출구를 향해 지향된 개구들과 상기 수집기 유출구 사이의 유동 경로 내에 제공되는, 분배 모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 벽의 면적이 상기 복수의 개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분배 모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 벽은 상기 편향기 벽의 오목한 측이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를 향하는 상태로 만곡되는, 분배 모듈.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수집기는 상기 유출구 도관에 연결되는, 분배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수집기는 상기 유출구 도관과 일체로 형성되는, 분배 모듈.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는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를 상기 수집기 벽에 연결하여서 수집기 챔버를 형성하는 주연 벽을 더 포함하는, 분배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 챔버에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관통 구멍이 제공되는, 분배 모듈.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간극이 상기 편향기 벽의 주연부와 상기 주연 벽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편향기 벽의 상기 주연부의 50% 이상을 따라 연장되는, 분배 모듈.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수용 플레이트는, 사용 시에 유체 압력의 영향 하에 캡슐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캡슐을 향하는 측에 배열되는, 분배 모듈.
  21. 고온 액체 및 물질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계로서,
    -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브루잉 챔버;
    - 고온 액체 공급원;
    - 상기 브루잉 챔버에 상기 고온 액체를 제공하기 위한 고온 액체 도관;
    -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배 모듈로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브루잉 챔버의 경계를 이루는, 상기 분배 모듈; 및
    - 상기 유출구 도관과 유체 연통하는 음료 처리부
    를 포함하는, 기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모듈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기계 내에서 활주가능하게 제공되는, 기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는 상기 분배 모듈을 상기 브루잉 챔버를 향해 편의시키기 위한 편의 부재(biasing member)를 더 포함하는, 기계.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처리부는 상기 분배 모듈이 상기 제1 위치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유출구 도관으로부터 상기 음료를 수용하도록 배열되게 제공된 제2 유체 채널을 포함하는, 기계.

KR1020217021058A 2018-12-10 2019-12-10 음료 제조 기계용 분배 모듈 KR202101490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2165 2018-12-10
NL2022165A NL2022165B1 (en) 2018-12-10 2018-12-10 Dispensing module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PCT/NL2019/050819 WO2020122713A1 (en) 2018-12-10 2019-12-10 Dispensing module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027A true KR20210149027A (ko) 2021-12-08

Family

ID=6568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1058A KR20210149027A (ko) 2018-12-10 2019-12-10 음료 제조 기계용 분배 모듈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220015570A1 (ko)
EP (1) EP3893705B1 (ko)
JP (1) JP7482129B2 (ko)
KR (1) KR20210149027A (ko)
CN (1) CN113453596B (ko)
AU (1) AU2019399405A1 (ko)
BR (1) BR112021011135A2 (ko)
CA (1) CA3122417A1 (ko)
ES (1) ES2964336T3 (ko)
IL (1) IL283864A (ko)
MX (1) MX2021006798A (ko)
NL (1) NL2022165B1 (ko)
PL (1) PL3893705T3 (ko)
WO (1) WO20201227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02595U1 (de) * 1995-02-17 1995-03-30 Eugster Arthur Ag Beruhigungsstrecke für Espressomaschinen-Filterträger
ATE299348T1 (de) * 2001-04-05 2005-07-15 Moevenpick Holding Kaffeeextrahierungssystem
DE602004013364T2 (de) * 2003-12-04 2009-05-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Getränkeherstellungsvorrichtung
MY138658A (en) 2004-02-20 2009-07-31 Nestec Sa System for dispensing short and long coffee beverages
NL1029503C2 (nl) * 2005-07-12 2007-01-15 Sara Lee De Nv 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voor consumptie geschikte drank, alsmede een gebruik van een dergelijk systeem, een opvangkamer en een houder.
EP1894850B1 (en) * 2006-08-30 2009-05-06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PL2205133T3 (pl) 2007-10-04 2011-10-31 Nestec Sa Jednostka do zaparzania napojów
US9572450B2 (en) * 2008-03-20 2017-02-21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from a single-use capsule
JP2013511308A (ja) * 2009-11-19 2013-04-04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カプセル、およびカプセルからコーヒーなどの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
RU2550486C2 (ru) * 2009-12-01 2015-05-10 Нестек С.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акции напитка из картриджа
AU2011229234B2 (en) * 2010-03-19 2015-06-25 Nestec S.A. A beverage machine using ingredient capsules
EP2543290A1 (en) * 2011-07-08 2013-01-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rewing unit with a water heater
US10238230B2 (en) * 2011-08-09 2019-03-26 Nestec S.A. Centrifugal brewing machine with flow collecting assembly
ITTO20130567A1 (it) * 2013-07-08 2015-01-09 Lavazza Luigi Spa Macchina e sistema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liquidi tramite capsule
WO2015091116A1 (en) * 2013-12-20 2015-06-25 Koninklijke Philips N.V. Set of consumables and beverage dispenser
WO2016080835A1 (en) * 2014-11-20 2016-05-26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An apparatus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a system comprising such an apparatus, use of a coffee container in such a system or in such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using such an apparatus or using such a system
EP3028608A1 (de) * 2014-12-01 2016-06-08 Qbo Coffee GmbH Brühmodul, kapselerkennungsmodul un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GB2569619A (en) * 2017-12-21 2019-06-26 Douwe Egberts Bv Beverage cartridge with fluid flow guid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64336T3 (es) 2024-04-05
BR112021011135A2 (pt) 2021-08-31
IL283864A (en) 2021-07-29
JP2022513772A (ja) 2022-02-09
CA3122417A1 (en) 2020-06-18
AU2019399405A1 (en) 2021-07-08
WO2020122713A1 (en) 2020-06-18
MX2021006798A (es) 2021-07-15
CN113453596B (zh) 2023-11-10
CN113453596A (zh) 2021-09-28
US20220015570A1 (en) 2022-01-20
EP3893705B1 (en) 2023-08-23
JP7482129B2 (ja) 2024-05-13
PL3893705T3 (pl) 2024-01-29
NL2022165B1 (en) 2020-07-02
EP3893705A1 (en)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8815B2 (en) Beverage device for making a beverage with a foam layer on top
JP4636880B2 (ja) 飲料製造器用のパッド支持体、パッド支持体を含むフォームユニット及び飲料製造器並びにパッド支持体を用いたフォーム層を有する飲料の調製方法
KR101681165B1 (ko) 음료의 준비를 위한 카트리지
KR101071321B1 (ko) 미세 거품의 포말층을 가진 소비성 음료의 제조 장치
JP2005512715A5 (ko)
KR20110005304A (ko) 음료 제조 장치
KR20210149027A (ko) 음료 제조 기계용 분배 모듈
RU2816613C2 (ru) Модуль выдач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US8607693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frothy liquid for human consumption
EP3965622B1 (en) An apparatus for releasing an ingredient from a capsule
EP2767198B1 (en) A filter holder f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CN111770710B (zh) 具有部分闭合的分配面的饮料机器
RU2021119852A (ru) Модуль выдач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JPWO2020122713A5 (ko)
RU2020122246A (ru) Головка и система для выдачи текучей среды напитк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