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456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456A
KR20210148456A KR1020200064072A KR20200064072A KR20210148456A KR 20210148456 A KR20210148456 A KR 20210148456A KR 1020200064072 A KR1020200064072 A KR 1020200064072A KR 20200064072 A KR20200064072 A KR 20200064072A KR 20210148456 A KR20210148456 A KR 20210148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region
display panel
area
bond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석
변호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4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8456A/ko
Priority to US17/152,306 priority patent/US11584106B2/en
Priority to CN202110589645.3A priority patent/CN113744625A/zh
Publication of KR20210148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H01L51/5246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32B37/1292Application of adhesive selectively, e.g. in stripes, in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H01L51/5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002/14475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characterised by nozzle shapes or number of orifices per cha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보호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보호 부재를 결합하는 결합층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층은 제1 광 투과율을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광투과율보다 낮은 제2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및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일면은 상기 표시 패널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윈도우와 같은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윈도우는 스마트폰 등 휴대 전자 기기에서 많이 적용된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최소화하고, 세트 조립 과정에서 용이하도록 윈도우와 표시 패널은 합착된 상태로 제작되고 있다. 표시 패널과 윈도우의 접착에 있어서, 투명한 액체 타입의 접착제(OCR, Optical clear resin)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를 라미네이션(Lamination)함에 있어서, 잉크젯 프린트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윈도우와 표시 패널을 접합하는 접착층의 라미네이션 공정의 효율 및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윈도우와 표시 패널을 접합하는 접착층의 라미네이션 공정의 효율 및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보호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보호 부재를 결합하는 결합층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층은 제1 광 투과율을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광 투과율보다 낮은 제2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및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일면은 상기 표시 패널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비표시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 투과율은 95% 이상이며, 상기 제2 광 투광율은 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1 영역의 두께와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두께 및 상기 제2 영역의 두께는 25㎛ 내지 5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일면이 상기 표시 패널과 접착하는 접착력과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일면이 상기 표시 패널과 접착하는 접착력 사이의 편차는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1 영역의 타면 및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타면은 각각 상기 보호 부재에 직접 접촉하며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타면이 상기 보호 부재와 접착하는 접착력과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타면이 상기 보호 부재와 접착하는 접착력 사이의 편차는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결합층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경계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경계 영역의 제3 광 투과율은 상기 제1 광 투과율과 상기 제2 광 투과율 사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 광 투과율은 상기 경계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보호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인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타면은 상기 인쇄층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각각 동일한 투광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안료 및/또는 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기판의 제1 영역 상에 제1 광 투과율을 갖는 제1 잉크를 도포하고, 상기 제1 기판의 제2 영역 상에 상기 제1 광 투과율보다 낮은 제2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 도포 단계, 상기 제1 잉크 및 상기 제2 잉크가 도포된 상기 제1 기판의 상부에 제2 기판을 배치하고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잉크 및 상기 제2 잉크를 경화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결합하는 결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중 어느 하나는 표시 패널이고, 다른 하나는 보호 부재이다.
상기 제1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의 적어도 일부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잉크 도포 단계는 상기 제1 잉크와 상기 제2 잉크를 동시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 도포 단계는 상기 제2 잉크를 도포할 때 상기 제1 잉크를 도포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 도포 단계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잉크젯 헤드들을 포함하는 제1 프린트 유닛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되되, 상기 복수의 잉크젯 헤드는 상기 제1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제1 잉크젯 헤드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1 잉크젯 헤드의 일측 및/또는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잉크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잉크젯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 도포 단계는 제1 프린트 유닛과 제2 프린트 유닛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되되, 상기 제1 프린트 유닛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제1 잉크젯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린트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제2 잉크젯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린트 유닛은 상기 제1 프린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윈도우와 표시 패널을 접합하는 접착층의 라미네이션 공정의 효율과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층에서 빛이 차광 또는 투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층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표시 패널 상에 제1 잉크 및 제2 잉크를 도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과정에 의해 도포된 제1 잉크 및 제2 잉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과정 이후 제2 잉크를 도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 및 도 9의 과정에 의해 도포된 제1 잉크 및 제2 잉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1 잉크 및 제2 잉크가 도포된 표시 패널의 상부에서 보호 부재가 하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의 ⅩⅡ-Ⅹ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중 일부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중 일부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중 일부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중 일부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중 일부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중 일부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1 잉크 및 제2 잉크를 도포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층의 평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3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1 잉크 및 제2 잉크를 도포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평면상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평면상 모서리가 수직인 직사각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10)는 평면상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방향(DR1)은 평면도상 표시 장치(10)의 가로 방향을 나타내고, 제2 방향(DR2)은 평면도상 표시 장치(10)의 세로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제3 방향(DR3)은 표시 장치(10)의 두께 방향을 나타낸다.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며,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놓이는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모두 수직으로 교차한다. 다만,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표현된 “상부”, “상면”, "상측"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을 의미하고, “하부”, “하면”, "하측"은 표시 패널(10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DPA)을 통해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며, 표시 영역(DPA)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가 그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텔레비전,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자동차 계기판,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외부 광고판, 전광판, 각종 의료 장치, 각종 검사 장치, 냉장고나 세탁기 등과 같은 표시 영역(DPA)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 제품, 사물 인터넷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DP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PA)은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DPA)에는 복수의 화소(PX)가 배치될 수 있다. 화소(PX)는 화면을 표시하는 기본 단위가 된다. 화소(PX)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평면상 교대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PX)는 행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PA)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PA)의 주변에 배치되며, 표시 영역(DPA)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PA)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PA)의 네 변 둘레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표시 장치(10)의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00),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200), 및 표시 패널(100)와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200)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층(30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는 화상 및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무기 발광 표시 패널(inorganic EL),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QED),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micro-LED), 나노 LED 표시 패널(nano-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ED), 음극선 표시 패널(CRT)등의 자발광 표시 패널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패널(LCD), 전기 영동 표시 패널(EPD) 등의 수광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표시면 상부에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200)가 배치된다. 여기서, 표시 패널(100)의 표시면은 표시 패널(100)의 일 표면과 타 표면 중 빛이 출사되어 화면 표시가 이루어지는 표면을 일컫는다. 양면으로 표시하는 양면 표시 장치 또는 투과형 표시 장치의 경우 양면이 모두 표시면이 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200)는 양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면 모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 패널(100)은 편광 부재(미도시) 및/또는 충격 흡수층(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 부재(미도시)는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 부재(미도시)는 통과하는 빛을 편광시킨다. 편광 부재(미도시)는 외광 반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충격 흡수층(미도시)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 장치(10) 및 표시 패널(100)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 장치(10)는 터치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부재(미도시)는 별도의 패널이나 필름으로 마련되어 표시 패널(100)과 보호 부재(200) 사이에 배치되거나, 표시 패널(100)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표시 패널(100)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200)는 윈도우, 보호 유리, 보호 필름, 커버 부재, 커버 유리, 커버 필름, 커버 시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200)를 보호 부재(200)로 약칭하여 표기하기로 한다.
보호 부재(2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형의 시트 형상일 수 있다. 보호 부재(200)는 보호 부재(200)가 적용되는 표시 장치(10)의 평면 형상에 대체로 유사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보호 부재(200)의 평면 형상 또한 직사각형일 수 있다.
보호 부재(200)는 표시 패널(100)의 표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호 부재(200)는 표시 패널(10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두께 방향으로 보호 부재(200)와 완전히 중첩한다.
도시하진 않았으나, 보호 부재(200)의 측면은 표시 패널(10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호 부재(200)가 돌출되는 변은 표시 패널(100)의 모든 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이 직사각형 형상일 경우, 보호 부재(200)는 표시 패널(100)의 네 변으로부터 모두 돌출될 수 있다. 보호 부재(200)가 인접한 표시 패널(100)의 변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는 각 변마다 상이할 수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보호 부재(200)는 초박막(Ultra Thin Glass; UTG) 내지 박막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부재(200)가 초박막 또는 박막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호 부재(200)는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보호 부재(200)는 휘어지거나, 벤딩, 폴딩, 롤링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보호 부재(200)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내지 30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30㎛ 내지 80㎛ 두께 또는 약 50㎛ 두께의 보호 부재(200)가 적용될 수 있다.
보호 부재(200)는 소다 라임 유리, 알칼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또는 리튬 알루미나 실리케이트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부재(200)는 강한 강도를 갖기 위해 화학적 강화 또는 열적 강화된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적 강화는 알칼리 염 내에서 이온교환처리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온교환처리 공정은 2회 이상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결합층(300)은 하부의 표시 패널(100) 위에 바로 위치하며, 결합층(300)의 바로 위에는 보호 부재(200)가 위치한다. 결합층(300)은 표시 패널(100)와 보호 부재(200) 사이에서 표시 패널(100)와 보호 부재(20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와 보호 부재(200)는 결합층(300)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결합층(300)의 일부 영역은 광학적으로 투명하며, 다른 일부 영역은 광학적으로 불투명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에서 방출되는 빛은 결합층(300)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시인되므로 결합층(300)의 적어도 일부는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결합층(300)의 일부 영역은 빛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광학적으로 불투명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4 내지 도 7이 더 참조된다.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층에서 빛이 차광 또는 투광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층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면, 결합층(300)은 상부의 보호 부재(200)와 하부의 표시 패널(100)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즉, 보호 부재(200)와 표시 패널(100)은 결합층(300)을 통해 서로 결합한다. 결합층(300)은 보호 부재(200)가 표시 패널(100) 측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온(25℃) 및 50% 습도 조건 하에서 최소 500gf/in의 점착력/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 버티고, 변형에 대한 복원력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상기 조건 하에서 약 80MPa 내지 약 120MPa의 저장 탄성률(Storage Modulus)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결합층(300)은 폴딩이나 벤딩시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소정의 크립(creep)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조건 하에서 50% 내지 800%의 크립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결합층(300)은 투광 영역인 제1 영역(310) 및 차광 영역인 제2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310)은 표시 패널(100)로부터 방출된 빛을 투과하는 영역이며, 제2 영역(320)은 표시 패널(100)로부터 방출된 빛을 차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310)은 표시 패널(100)로부터 방출된 빛이 결합층(300)의 제1 영역(310)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영역(320)은 표시 패널(100)로부터 방출된 빛이 원하지 않는 영역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하며,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영역(310)은 제1 광 투과율을 가지며, 제2 영역은 제2 광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310)의 제1 광 투과율은 제2 영역(320)의 제2 광 투과율보다 클 수 있다. 제1 영역(310)의 제1 광 투과율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90% 이상 또는 95% 이상일 수 있다. 제2 영역(320)의 제2 광 투과율은 제1 영역(310)의 제1 광 투과율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영역(320)의 제2 광 투과율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5% 이하 또는 1% 이하일 수 있다.
제1 영역(310)의 평면도상 형상은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DPA)의 평면도상 형상과 대응되며, 제1 영역(310)은 상기 표시 영역(DPA)와 두께 방향(제3 방향(DR3))으로 중첩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310)은 상기 표시 영역(DP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310)은 하부의 표시 패널(100) 위에 바로 위치하며, 제1 영역(310)의 바로 위에는 보호 부재(200)가 바로 위치할 수 있다. 즉, 결합층(300)의 제1 영역(310)의 일면은 하부의 표시 패널(100)에 직접 접촉하며, 결합층(300)의 제1 영역(310)의 타면은 상부의 보호 부재(20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1 영역(310)은 상부의 보호 부재(200) 및 하부의 표시 패널(100)과 직접 접촉하면서, 상기 양 구성과 모두 접착할 수 있다. 결합층(300)은 제1 영역(310)에서 상측 및 하측에서 모두 결합력(또는 접착력)을 가지며, 상부의 보호 부재(200) 및 하부의 표시 패널(100)과 결합(또는 접착)할 수 있다.
제1 영역(310)은 투광성 수지(resin) 등의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310)은 광학 투명 접착 수지(OCR, Optical clear resi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310)은 자외선(UV)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성 수지는 모노머(monomer), 올리고머(oligomer) 등으로 구성되며, 특정 파장의 광 조사에 의해 폴리머(polymer)로 중합됨으로써 경화되어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또는 그들의 복합 수지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제1 영역(310)은 자외선 등의 광 자극에 의해 자유 라디칼이나 이온을 생성하는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개시제는 예를 들어, 알파-히드록시케톤, 모노- 또는 비스아실포스핀 옥사이드, 벤조페논, 티오크산톤, 케토술폰, 벤질 케탈, 페닐글리옥실레이트, 보레이트, 티타노센 및 옥심 에스테르계 광개시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영역(320)의 평면도상 형상은 표시 장치(10)의 비표시 영역(NDA)의 평면도상 형상과 대응되며, 제2 영역(320)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와 두께 방향(제3 방향(DR3))으로 중첩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320)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320)은 제1 영역(3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영역(320)은 제1 영역(310)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영역(320)은 제1 영역(310)의 모든 측면 상에 배치되어, 제1 영역(310)을 둘러 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영역(320)은 제1 영역(310)의 측면 중 일부 상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 사이에는 경계면(BD)이 위치할 수 있다. 경계면(BD)는 평면도상 결합층(300, 또는 제2 영역(320))의 외측과 평행하지 않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경계면(BD)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평면도상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대하여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경계면(BD)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평면도상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계면(BD)는 평면도상 적어도 일부분에서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분에서 경계면(BD)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의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계면(BD)는 평면도상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단면도상 경계면(BD)은 표시 패널(100) 및/또는 보호 부재(200)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계면(BD)의 단면도상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 등을 통하여, 후술한다.
제2 영역(320)은 상술한 제1 영역(310)이 포함하는 물질(예를 들어, 투광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및 광개시제 등)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 영역(320)은 제1 영역(310)보다 단위 면적당 더 많은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영역(320)에 포함된 광개시제의 농도는 제1 영역(310)에 포함된 광개시제의 농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선 자외선 조사 공정(pre-cure)에 의해, 제2 잉크(도 7 내지 도 10의 '320a' 참조)는 제1 잉크(도 7 내지 도 10의 '320a' 참조)보다 경화되는 정도가 클 수 있다. 이후 진공 면합착 공정에서, 제2 잉크(도 7 내지 도 10의 '320a' 참조) 간에는 서로 섞이되, 제2 잉크(도 7 내지 도 10의 '320a' 참조)과 제1 잉크(도 7 내지 도 10의 '320a' 참조)는 서로 섞이지 않고, 제2 잉크(도 7 내지 도 10의 '320a' 참조)과 제1 잉크(도 7 내지 도 10의 '320a' 참조) 사이에서 경계면(BD)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빛이 투과하는 제1 영역(310)과 빛을 차광하는 제2 영역(320)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으며,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 각각을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DPA)과 비표시 영역(NPA)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2 영역(320)은 상기 물질 뿐만 아니라, 염료 또는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료 또는 안료는 빛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염료 또는 안료는 가시광선 파장대의 빛을 모두 흡수하는 블랙(black) 상기 염료 또는 안료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염료 또는 안료는 특정한 색(예를 들어 적색, 청색 또는 백색)의 파장대 이외의 빛을 흡수하고 특정한 색(예를 들어 적색, 청색 또는 백색)의 파장대의 빛을 반사하는 염료 또는 안료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320)이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함에 따라, 제2 영역(320)은 표시 패널(100)로부터 방출되는 빛(L)을 대부분 흡수하여, 표시 패널(100)로부터 방출되는 빛(L)을 차광할 수 있다.
제2 영역(320)은 하부의 표시 패널(100) 위에 바로 위치하며, 제2 영역(320)의 바로 위에는 보호 부재(200)가 바로 위치할 수 있다. 즉, 결합층(300)의 제2 영역(320)의 일면은 하부의 표시 패널(100)에 직접 접촉하며, 결합층(300)의 제2 영역(320)의 타면은 상부의 보호 부재(200)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2 영역(320)은 상부의 보호 부재(200) 및 하부의 표시 패널(100)과 직접 접촉하면서, 상기 양 구성(보호 부재(200) 및 표시 패널(100))과 모두 접착할 수 있다. 결합층(300)은 제2 영역(320)에서 상측 및 하측에서 모두 결합력(또는 접착력)을 가지며, 상부의 보호 부재(200) 및 하부의 표시 패널(100)과 결합(또는 접착)할 수 있다.
결합층(300)의 제2 영역(320)에서의 결합력(또는 접착력)은 제1 영역(310)에서의 결합력(또는 접착력)과 상응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영역(320)에서 결합층(300)이 하부의 표시 패널(100)과 결합(또는 접착)하는 결합력(또는 접착력)과 제1 영역(310)에서 결합층(300)이 하부의 표시 패널(100)과 결합(또는 접착)하는 결합력(또는 접착력)의 편차는 10% 이내 또는 50% 이내일 수 있다. 아울러, 제2 영역(320)에서 결합층(300)이 상부의 보호 부재(200)과 결합(또는 접착)하는 결합력(또는 접착력)과 제1 영역(310)에서 결합층(300)이 상부의 보호 부재(200)과 결합(또는 접착)하는 결합력(또는 접착력)의 편차는 10% 이내 또는 50% 이내일 수 있다.
제2 영역(320)의 두께(TH2, 제3 방향(DR3)의 폭)는 제1 영역(310)의 두께(TH1, 제3 방향(DR3)의 폭)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의 두께(TH1, TH2)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25㎛ 내지 50㎛의 범위 또는 15㎛ 내지 8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2 영역(320)의 외측은 표시 패널(100) 및 보호 부재(200)의 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표시 패널(100), 결합층(300, 또는 제2 영역(320)) 및 보호 부재(200)의 측면이 모두 정렬 평면(AGL) 또는 단면상 직선 형상의 정렬 라인에 정렬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 결합층(300) 및 보호 부재(200)의 측면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절단면일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결합층(300)의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은 하나의 공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결합층(300) 및 표시 장치(10)의 제조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7 내지 도 14가 참조된다. 상술한 결합층(300)은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표시 패널 상에 제1 잉크 및 제2 잉크를 도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과정에 의해 도포된 제1 잉크 및 제2 잉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과정 이후 제2 잉크를 도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 및 도 9의 과정에 의해 도포된 제1 잉크 및 제2 잉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우선,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방법으로, 표시 패널(100) 상에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하는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의 크기는 실제보다 크게 도시하였으며,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의 개수는 실제보다 적게 도시하였다. 즉,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의 크기, 개수 및 형상 등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제 공정에서,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의 크기는 도시된 것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의 개수는 도시된 것보다 많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10)이 배치된 위치는 결합층(300)의 제1 영역(310)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며,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이 배치된 위치는 결합층(300)의 제2 영역(320)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된다.
잉크젯 프린팅 장치(400)는 제1 프린트 유닛(410) 및 제2 프린트 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린트 유닛(410) 및 제2 프린트 유닛(420)으로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할 수 있다.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한 이후, 후속 공정들에 의해, 제1 잉크(310a)는 결합층(도 2 내지 도 6의 '300' 참조)의 제1 영역(도 2 내지 도 6의 '310' 참조)을 형성하고, 제2 잉크(320a)는 결합층(300)의 제2 영역(도 2 내지 도 6의 '320' 참조)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잉크(310a)가 표시 패널(100) 상에 드롭(drop)되는 위치는 결합층(도 2 내지 도 6의 '300' 참조)의 제1 영역(도 2 내지 도 6의 '310' 참조)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고, 제2 잉크(320a)가 드롭(drop)되는 위치는 결합층(도 2 내지 도 6의 '300' 참조)의 제2 영역(도 2 내지 도 6의 '320' 참조)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1 잉크(310a)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10) 내에 배치되며, 제2 잉크(320a)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잉크(310a)는 상술한 제1 영역(도 2 내지 도 6의 '310' 참조)이 포함하고 있는 물질(예를 들어, 상기 투광성 수지, 상기 광경화성 수지 및 상기 광개시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잉크(320a)는 상술한 제2 영역(도 2 내지 도 6의 '320' 참조)이 포함하고 있는 물질(예를 들어, 상기 투광성 수지, 상기 광경화성 수지, 상기 광개시제 및 염료 또는 안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잉크(310a)의 점도는 8cP 내지 20cP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2 잉크(320a)의 점도는 제1 잉크(310a)의 점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2 잉크(320a)의 점도는 제1 잉크(310a)의 점도의 1.5배 이내이거나 2배 이내일 수 있다. 즉, 제2 잉크(320a)의 점도는 8cP 내지 30cP의 범위 또는 8cP 내지 40cP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잉크(320a)는 주변에 도포된 제1 잉크(310a)와 섞이지 않으며, 제2 잉크(320a)와 제1 잉크(310a) 사이에서 경계면(도 3의 'BD'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린트 유닛(410)은 서로 다른 잉크(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 있다. 제1 프린트 유닛(410)은 복수의 제1 잉크(310a)를 토출하는 제1 잉크젯 헤드(411), 제2 잉크(320a)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잉크젯 헤드(412) 및 제1 프린트 헤드(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2 프린트 유닛(420)은 하나의 잉크(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 있다. 제2 프린트 유닛(420)은 제2 잉크(320a)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잉크젯 헤드(421) 및 제2 프린트 헤드(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잉크젯 헤드(411), 제2 잉크젯 헤드(412) 및 제3 잉크젯 헤드(421)는 복수의 노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잉크 저장부(미도시)와 연결되어, 표시 패널(100) 상에 소정의 잉크(제1 잉크(310a) 또는 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 있다.
제1 프린트 유닛(410)의 제1 잉크젯 헤드(411) 및 제2 잉크젯 헤드(412)는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배열 방향(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제2 잉크젯 헤드(412)는 제1 잉크젯 헤드(4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잉크젯 헤드(411, 412) 중 외측에 배치된 일부의 제2 잉크젯 헤드(412)는 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 있으며, 중심부에 배치된 나머지의 제1 잉크젯 헤드(411)는 제1 잉크(310a)를 분사할 수 있다. 제1 잉크(310a)를 분사하는 제1 잉크젯 헤드(410)와, 제2 잉크(320a)를 분사하는 제1 잉크젯 헤드(410)는 각각 결합층(도 2 내지 도 6의 '300' 참조)의 제1 영역(도 2 내지 도 6의 '310' 참조)과 제2 영역(도 2 내지 도 6의 '320' 참조)의 위치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제2 프린트 유닛(420)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의 잉크만을 토출할 수 있다. 제3 잉크젯 헤드(421)는 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제3 잉크젯 헤드(421) 중 외측에 배치된 일부의 제3 잉크젯 헤드(421)에서 제2 잉크(320a)가 토출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 배치된 나머지의 제3 잉크젯 헤드(421)는 제1 잉크(310a)를 분사하거나,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 모두를 분사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프린트 헤드(413) 및 제2 프린트 헤드(422)는 별도로 마련된 이동 부재(미도시)에 연결되어 각각, 제1 프린트 유닛(410) 및 제2 프린트 유닛(420)을 각각 제2 방향(DR2) 및 제1 방향(DR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10을 계속해서 참조하여,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프린트 유닛(410)은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하면서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할 수 있다. 제2 프린트 유닛(420)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서, 제1 프린트 유닛(410)에 의해 제2 잉크(320a)가 도포되지 않은 표시 장치(100)의 제2 영역(120)의 일부 영역에, 제2 잉크(320a)를 도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 프린트 유닛(420)도 제2 잉크(320a) 뿐만 아니라 제1 잉크(310a)도 도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프린트 유닛(410)은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하면서,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과정에서, 제1 프린트 유닛(410)은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에 제2 잉크(320a)를 도포하되,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의 전 영역이 아닌 일부 영역에만 제2 잉크(320a)를 도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프린트 유닛(410)은 제2 영역(120) 중 제1 방향(DR1)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일부 영역에 제2 잉크(320a)를 도포하되, 제2 방향(DR2)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일부 영역에는 제2 잉크(320a)를 도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프린트 유닛(410)은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하되, 제2 잉크(320a)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표시 패널(100)의 제1 방향(DR1)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에 인접한 영역에만 제2 잉크(320a)를 도포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제2 방향(DR2)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에 인접한 영역에서 제2 잉크(320a)는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프린트 유닛(420)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면서, 제1 프린트 유닛(410)에 의해 잉크가 도포되지 않은 영역에 제2 잉크(320a)를 도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프린트 유닛(420)은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 중 제2 방향(DR2)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일부 영역에 제2 잉크(320a)를 도포할 수 있다. 즉, 제2 프린트 유닛(420)은 표시 패널(100)의 제2 방향(DR2)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에 인접한 영역에 제2 잉크(320a)를 도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프린트 유닛(410) 및 제2 프린트 유닛(420)에 의해, 결합층(도 2 내지 도 6의 '300' 참조)에 대응되는 전 영역(즉,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10) 및 제2 영역(120))에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할 수 있다.
다만, 결합층(도 2 내지 도 6의 '300' 참조)에 대응되는 영역에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이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길이가 동일한 경우, 제1 프린트 유닛(410)으로 상기와 같이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한 후, 표시 패널(100)을 회전시키고, 다시 제1 프린트 유닛(410)으로 상술한 제2 프린트 유닛(420)과 같이 제2 잉크(320a)를 도포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제1 프린트 유닛(410)만으로 결합층(도 2 내지 도 6의 '300' 참조)에 대응되는 전 영역에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할 수도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하는 공정에는 선 자외선 조사 공정(pre-cure)이 포함될 수 있다. 선 자외선 조사 모듈(미도시)은 제1 프린트 유닛(410) 및 제2 프린트 유닛(420)을 뒤따르면서, 표시 패널(100)에 도포된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선 자외선 조사 공정(pre-cure)에 의해, 표시 패널(100) 상에 도포된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는 원치 않는 영역으로 흐르지 않도록 일부 경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진공 면합착 공정을 통해, 표시 패널(100)에 도포된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로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을 포함하는 결합층(300)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은 제1 잉크 및 제2 잉크가 도포된 표시 패널의 상부에서 보호 부재가 하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의 ⅩⅡ-Ⅹ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보호 부재(200)의 하강에 따라 변화하는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가 도포된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서 보호 부재(200)가 하강하여,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누르면서, 결합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서 보호 부재(200)가 하강함에 따라, 표시 패널(100) 상에 도포된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는 보호 부재(200)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이후, 보호 부재(200)가 계속 하강함에 따라,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의 두께(제3 방향(DR3)의 폭)는 작아지며, 주위로 퍼져 나갈 수 있다. 즉,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의 두께(제3 방향(DR3)의 폭)는 작아지되,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이 덮고 있는 표시 패널(100)의 상면의 면적은 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는 표시 패널(100)의 상면의 전 영역 또는 대부분의 영역을 덮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잉크(310a)는 결합층(300)의 제1 영역(310)을 형성하고, 제2 잉크(320a)는 결합층(300)의 제2 영역(3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제1 잉크(310a)는 주위의 다른 제1 잉크(310a)와 섞이면서 상호 결합하여, 복수의 제1 잉크(310a) 사이에는 물리적 경계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2 잉크(320a)는 제1 잉크(310a)과 다른 점도 및/또는 다른 광개시제의 농도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잉크(320a)와 제1 잉크(310a)은 서로 섞이지 않고, 제2 잉크(320a)와 제1 잉크(310a) 사이에는 경계면(BD)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는 표시 패널(100)의 상면의 전 영역 또는 대부분의 영역을 덮고, 결합층(300)의 제1 영역(310) 및 제2 영역(320)이 형성되는 상기 공정 이후, 별도로 마련된 자외선 조사 모듈(미도시)에 의해 결합층(300)의 전 영역에 자외선이 조사되고, 결합층(300)이 완전히 경화되면서, 결합층(300)의 형성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 및/또는 결합층(300)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잉크(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잉크젯 프린팅 방법으로 하나의 공정에서 도포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로부터 방출된 빛을 차광할 수 있는 제2 영역(320)은 보호 부재(200)와 표시 패널(100)을 결합시키는 결합층(3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부재(200) 상에 배치되는 인쇄층(도 15 및 도 16의 'BM_1, BM_2’참조)의 두께(제3 방향(DR3)의 폭, 도 15의 'TH3'참조)가 감소하거나, 인쇄층(도 15 및 도 16의 'BM_1, BM_2’참조) 자체가 불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층(도 15 및 도 16의 'BM_1, BM_2’참조)과 보호 부재(200) 사이의 단차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및 들뜸 현상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어 공정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인쇄층(도 15 및 도 16의 'BM_1, BM_2’참조)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 효율이 상승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의 제조에 필요한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결합층(300)의 두께가 감소하여,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는 표시 패널(100)에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표시 패널(100)이 아닌 보호 부재(200)에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도포하여, 표시 패널(100)을 이용하여 진공 면합착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중 일부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200)는 인쇄층(BM_1)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200)는 테두리 영역에 배치된 인쇄층(BM_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층(BM_1)은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다. 인쇄층(BM_1)은 테두리 코팅층일 수 있다. 인쇄층(BM_1)은 심미감을 부여하는 장식층 및/또는 최외각 블랙 매트릭스층일 수 있다. 인쇄층(BM_1)은 표시 영역(PDA)과 비표시 영역(NDA)을 구분할 수 있다. 즉, 인쇄층(BM_1)의 내측변이 표시 영역(P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가 될 수 있다. 인쇄층(BM_1)은 결합층(300)의 제2 영역(320)과 중첩할 수 있다. 인쇄층(BM_1)의 내측면은 제2 영역(320)의 내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인쇄층(BM_1)의 외측변은 보호 부재(200)의 측면에 정렬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인쇄층(BM_1)은 보호 부재(20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층(BM_1)은 보호 부재(200)의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보호 부재(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후술하겠지만, 보호 부재(200)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최외곽 층 뿐만 아니라, 중간에 위치하는 층도 인쇄층(BM_1)이 코팅되는 층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인쇄층(BM_1)의 두께(TH3, 제3 방향(DR3)의 폭)는 10㎛ 이하이거나, 20㎛ 이하일 수 있다. 제2 영역(320)의 두께(TH2_1)는 제1 영역(310)의 두께(TH1)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제2 영역(320)의 두께(TH2_1)와 인쇄층(BM_1)의 두께(TH3)를 합한 두께(TH4_1)는 제1 영역(310)의 두께(TH1)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영역(320)은 보호 부재(200)와 표시 패널(100)을 결합시키는 결합층(3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의 신뢰성 및 공정의 효율이 상승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아울러, 인쇄층(BM_1)을 추가로 배치함에 따라, 비표시 영역(NDA)에서의 차광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중 일부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층(BM_2)의 내측면과 제2 영역(320)의 내측면은 서로 정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5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200)는 인쇄층(BM_2)을 포함하되, 인쇄층(BM_2)의 내측면과 제2 영역(320)의 내측면은 서로 정렬되지 않는다. 즉, 인쇄층(BM_2)은 제2 영역(320)의 내측면보다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영역(320)의 적어도 일부는 인쇄층(BM_2)과 중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영역(320)은 보호 부재(200)와 표시 패널(100)을 결합시키는 결합층(3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의 신뢰성 및 공정의 효율이 상승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아울러, 인쇄층(BM_2)을 추가로 배치함에 따라, 비표시 영역(NDA)에서의 차광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중 일부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320_3)은 일부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320_3)의 외측면은 정렬 평면(AGL)에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320_3)의 외측면은 보호 부재(200)의 외측면 및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과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공정에서 제2 잉크(도 7 내지 도 13의 '320a' 참조)가 표시 패널(100)의 외측으로 흐를 수 있고,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320_3)은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아울러, 제3 방향(DR3)으로, 보호 부재(200)의 하면의 일부 영역과 제2 영역(320_3) 사이에 빈 공간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영역(320_3)은 보호 부재(200)와 표시 패널(100)을 결합시키는 결합층(3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의 신뢰성 및 공정의 효율이 상승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중 일부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320_4) 제2 영역(320_4)의 외측면은 정렬 평면(AGL)에 정렬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7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320_4)과 보호 부재(200)의 하면의 일부 영역의 사이에 빈 공간이 위치하되, 제2 영역(320_4)의 외측면은 정렬 평면(AGL)에 정렬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320_4)의 외측면은 보호 부재(200)의 외측면 및 표시 패널(100)의 외측면과 정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역(320_4)의 외측면은 도 17의 실시예에서, 정렬 평면(AGL)을 따라, 도 17의 제2 영역(도 17의 '320_3' 참조)을 커팅(Cutting) 또는 스크라이빙(Scribb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영역(320_4)은 보호 부재(200)와 표시 패널(100)을 결합시키는 결합층(3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의 신뢰성 및 공정의 효율이 상승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중 일부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층(300_5)은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 사이에서, 경계 영역(BA_5)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층(300_5)은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을 포함하되,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 사이에서 경계 영역(BA_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계 영역(BA_5)은 비표시 영역(ND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경계 영역(BA_5)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공정에서 제1 잉크(도 7 내지 도 13의 '310a' 참조) 및 제2 잉크(도 7 내지 도 13의 '320a' 참조)가 일부 섞이면서 형성될 수 있다. 경계 영역(BA_5) 내에서는 그라데이션(gradation)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잉크(도 7 내지 도 13의 '310a' 참조) 및 제2 잉크(도 7 내지 도 13의 '320a' 참조)가 일부 섞이면서, 제2 잉크(도 7 내지 도 13의 '320a' 참조)에 포함된 염료 또는 안료의 일부가 제2 잉크(도 7 내지 도 13의 '320a' 참조)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경계 영역(BA_5)은 상기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 영역(BA_5) 내에서 상기 염료 또는 안료의 농도는 제2 영역(320)으로부터 제1 영역(310) 측으로 향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경계 영역(BA_5)의 차광율은 제2 영역(320)으로부터 제1 영역(310) 측으로 향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또는, 경계 영역(BA_5)은 제3 광 투과율을 가지며, 경계 영역(BA_5)의 제3 광 투과율은 경계 영역(BA_5) 내에서 제2 영역(320)으로부터 제1 영역(310) 측으로 향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 사이에는 차광율 또는 광 투과율이 변화하는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영역(320)은 보호 부재(200)와 표시 패널(100)을 결합시키는 결합층(3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의 신뢰성 및 공정의 효율이 상승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중 일부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의 사이에서 경계면(BD_6)은 단면도상 적어도 일부 영역이 표시 패널(100) 및/또는 보호 부재(200)와 수직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은 사이에서 경계면(BD_6)을 포함하되, 경계면(BD_6)의 단면도상 적어도 일부 영역이 표시 패널(100) 및/또는 보호 부재(200)와 수직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시 말해서, 경계면(BD_6)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단면도상 제3 방향(DR3)에 대하여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경계면(BD_6)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단면도상 제3 방향(DR3)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은 두께 방향(제3 방향(DR3))으로 일부 영역이 중첩할 수 있다.
또한, 경계면(BD_6)는 단면도상 적어도 일부분에서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분에서 경계면(BD_6)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의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형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계면(BD_6)는 단면도상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영역(320)은 보호 부재(200)와 표시 패널(100)을 결합시키는 결합층(3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의 신뢰성 및 공정의 효율이 상승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1 잉크 및 제2 잉크를 도포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제1 프린트 유닛(410_7)과 제2 프린트 유닛(420_7)이 이동하는 방향을 제2 방향(DR2) 타 측으로 지칭한다.
우선,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프린트 유닛(410_7)과 제2 프린트 유닛(420_7)이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한다는 점에서 도 7 내지 도 14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제1 프린트 유닛(410_7)은 복수의 제1 잉크젯 헤드(411_7) 및 제1 프린트 헤드(412_7)를 포함하고, 제2 프린트 유닛(420_7)은 복수의 제2 잉크젯 헤드(421_7) 및 제2 프린트 헤드(422_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잉크젯 헤드(411_7)와 복수의 제2 잉크젯 헤드(421_1)는 각각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프린트 유닛(410_7)과 제2 프린트 유닛(420_7)은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프린트 유닛(410_7)과 제2 프린트 유닛(420_7)은 제2 방향(DR2)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2 프린트 유닛(420_7)은 진행 방향(제2 방향(DR2) 타측)에서 제1 프린트 유닛(410_7)을 뒤따라 갈 수 있다. 즉, 제2 프린트 유닛(420_7)은 제1 프린트 유닛(410_7)의 제2 방향(DR2) 일 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프린트 유닛(410_7)은 모든 제1 잉크젯 헤드(411_7)에서 제1 잉크(310a)를 분사하고, 제2 프린트 유닛(420_7)은 모든 제2 잉크젯 헤드(421_7)에서 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프린트 유닛(410_7)은 도 7 내지 도 14의 실시예와 같이 제1 잉크(310a) 및 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도 있다.
이어, 도 22를 더 참조하면,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의 제2 방향(DR2) 일 측에 배치되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결합층(도 2 내지 도 14의 '300' 참조)의 제2 영역(도 2 내지 도 14의 '320' 참조)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에 제2 잉크(320a)를 도포하는 경우, 제2 프린트 유닛(420_7)의 대부분의 제2 잉크젯 헤드(422_7)에서 제2 잉크(320a)가 분사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영역의 제2 방향(DR2) 타 측에 위치하는 결합층(도 2 내지 도 14의 '300' 참조)의 제1 영역(도 2 내지 도 14의 '310' 참조)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10)에는 제1 프린트 유닛(410_7)으로부터 제1 잉크(310a)가 분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프린트 유닛(410_7)과 제2 프린트 유닛(420_7) 사이의 간격, 제2 잉크(320a)이 도포되는 영역의 제2 방향(DR2) 폭, 및 제1 잉크(310a)과 제2 잉크(320a)의 크기 등에 따라, 제1 잉크(310a)가 제2 잉크(320a)보다 먼저 분사되거나, 나중에 분사될 수도 있다.
이어, 도 23을 더 참조하면, 제1 프린트 유닛(410_7)은 제2 방향(DR2) 타 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잉크(310a)를 분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프린트 유닛(420_7)은 제1 방향(DR1) 일 측 및 타측 끝단에 위치하는 일부 제2 잉크젯 헤드(422_7)에서만 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 중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10)의 제1 방향(DR1) 일 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에 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 있다.
이어, 도 2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의 제2 방향(DR2) 타 측에 배치되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에 제2 잉크(320a)를 도포하는 경우, 제2 프린트 유닛(420_7)의 대부분의 제2 잉크젯 헤드(422_7)에서 제2 잉크(320a)가 분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프린트 유닛(410_7)은 제1 잉크(310a)를 분사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의 공정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에도 결합층(도 2 내지 도 6의 '300' 참조)의 제2 영역(도 2 내지 도 6의 '320' 참조)은 보호 부재(200)와 표시 패널(100)을 결합시키는 결합층(도 2 내지 도 6의 '300' 참조)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의 신뢰성 및 공정의 효율이 상승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도 1의 '10' 참조)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5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8) 및 상기 표시 장치(10_8)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층의 평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3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1 잉크 및 제2 잉크를 도포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프린트 유닛(410_8)과 제2 프린트 유닛(420_8)이 이동하는 방향을 제2 방향(DR2) 타 측으로 지칭한다.
우선,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8)는 비표시 영역(NDA)이 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을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층(300_8)의 제2 영역(320_8)은 상기 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에 대응되는 제2 영역 돌출부(321_8)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8)는 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는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는 제2 방향(DR2) 일 측(평면도상 상측)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2 방향(DR2) 타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는 표시 영역(DP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의 제1 방향(DR1) 일 측 및 타 측에는 표시 영역(DPA)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비표시 영역(NDA)에서 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가 위치한 부분의 제2 방향(DR2)의 폭은 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제2 방향(DR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의 제2 방향(DR2) 타 측에 위치하는 표시 영역(DPA)의 제2 방향(DR2)의 폭은 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가 위치하지 않은 비표시 영역(NDA)의 제2 방향(DR2) 타 측에 위치하는 표시 영역(DPA)의 제2 방향(DR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층(300_8)은 제2 영역 돌출부(320_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 돌출부(320_8)는 상기 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 내에 배치되며, 상기 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 돌출부(320_8)는 제2 방향(DR2) 일 측(평면도상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320_8)에서 제2 방향(DR2) 타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 돌출부(320_8)는 제1 영역(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영역 돌출부(320_8)의 제1 방향(DR1) 일 측 및 타 측에는 제1 영역(310)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결합층(300_8)에서 제2 영역 돌출부(320_8)가 위치한 부분의 제2 방향(DR2)의 폭은 제2 영역 돌출부(320_8)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제2 방향(DR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영역 돌출부(320_8)의 제2 방향(DR2) 타 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310)의 제2 방향(DR2)의 폭은 제2 영역 돌출부(320_8)가 위치하지 않은 결합층(300_8)의 제2 방향(DR2) 타 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310의 제2 방향(DR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어, 도 27을 더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 제1 프린트 유닛(410_8)은 복수의 제1 잉크젯 헤드(411_8) 및 제1 프린트 헤드(412_8)를 포함하고, 제2 프린트 유닛(420_8)은 복수의 제2 잉크젯 헤드(421_8) 및 제2 프린트 헤드(422_8)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_8)의 제2 방향(DR2) 일 측에 배치되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2 영역 돌출부(321_8)을 포함하는 제2 영역(320_8)에 대응되는 영역(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에 제2 잉크(320a)를 도포하는 경우, 제2 프린트 유닛(420_8)의 대부분의 제2 잉크젯 헤드(421_8)에서 제2 잉크(320a)가 분사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영역의 제2 방향(DR2) 타 측에 위치하는 표시 영역(DPA)에 대응되는 영역(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10))에는 제1 프린트 유닛(410_8)으로부터 제1 잉크(310a)가 분사될 수 있다. 다만, 제1 프린트 유닛(410_8)이 제1 잉크(310a)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제2 영역 돌출부(321_8)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에는 제1 잉크(310a)를 도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프린트 유닛(410_8)은 제2 영역 돌출부(321_8)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을 제외한 부분에 제1 잉크(310a)를 분사한다.
이어, 도 28을 참조하면, 제2 프린트 유닛(420_8)은 제2 방향(DR2)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단계에서 제1 프린트 유닛(410_8)이 제1 잉크(310a)를 분사하지 않은 영역에 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프린트 유닛(420_8)은 제2 영역 돌출부(321_8)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에 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 있다.
제2 영역 돌출부(321_8)에 대응되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의 제1 방향(DR1) 일 측 및 타 측에는 제1 잉크(310a)가 이미 분사된 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2 프린트 유닛(420_8)은 복수의 제2 잉크젯 헤드(421_8) 중 제1 방향(DR1) 일 측 및 타 측에 위치하는 제2 잉크젯 헤드(421_8), 및 중심 부근에 위치하는 제2 잉크젯 헤드(421_8)에서 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현 단계에서 제2 잉크(320a)를 분사하는 제2 잉크젯 헤드(421_8)는 결합층(300_8)의 제2 영역(320_8)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어, 도 29를 더 참조하면, 제1 프린트 유닛(410_8)은 제2 방향(DR2) 타 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10)에 제1 잉크(310a)를 분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프린트 유닛(420_8)은 제1 방향(DR1) 일 측 및 타측 끝단에 위치하는 일부 제2 잉크젯 헤드(421_8)에서만 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잉크젯 헤드(421_8)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 중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10)의 제1 방향(DR1) 일 측 및 타측에 위치하는 일부 영역에 제2 잉크(320a)를 분사할 수 있다.
이어, 도 30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_8)의 제2 방향(DR2) 타 측에 배치되어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120)에 제2 잉크(320a)를 도포하는 경우, 제2 프린트 유닛(420_8)의 대부분의 제2 잉크젯 헤드(421_8)에서 제2 잉크(320a)가 분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프린트 유닛(410_8)은 제1 잉크(310a)를 분사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의 공정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비표시 영역(NDA)으로부터 일부 돌출된 부분(비표시 영역 돌출부(PR_8))을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설명은 비표시 영역(NDA)으로부터 분리되어 표시 영역(DPA) 내에 위치하는 별개의 비표시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도 결합층(300_8)의 제2 영역(320_8)은 보호 부재(200)와 표시 패널(100)을 결합시키는 결합층(300_8)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의 신뢰성 및 공정의 효율이 상승할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10_8)의 두께가 감소할 수 있다. 아울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의 제2 영역(320_8)을 하나의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어, 공정 효율이 향상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00: 표시 패널
200: 보호 부재
300: 결합층
310: 제1 영역
320: 제2 영역
310a: 제1 잉크
320a: 제2 잉크
410: 제1 프린트 유닛
420: 제2 프린트 유닛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보호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보호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보호 부재를 결합하는 결합층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층은 제1 광 투과율을 갖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광 투과율보다 낮은 제2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1 영역의 일면 및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일면은 상기 표시 패널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비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과율은 95% 이상이며, 상기 제2 광 투광율은 1% 이하인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1 영역의 두께와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두께는 동일한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두께 및 상기 제2 영역의 두께는 25㎛ 내지 50㎛의 범위를 갖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일면이 상기 표시 패널과 접착하는 접착력과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일면이 상기 표시 패널과 접착하는 접착력 사이의 편차는 10% 이하인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1 영역의 타면 및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타면은 각각 상기 보호 부재에 직접 접촉하며 결합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타면이 상기 보호 부재와 접착하는 접착력과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타면이 상기 보호 부재와 접착하는 접착력 사이의 편차는 10% 이하인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경계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경계 영역의 제3 광 투과율은 상기 제1 광 투과율과 상기 제2 광 투과율 사이의 범위에 있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광 투과율은 상기 경계 영역 내에서 상기 제2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보호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인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타면은 상기 인쇄층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10㎛ 이하인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층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각각 동일한 투광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안료 및/또는 염료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 기판의 제1 영역 상에 제1 광 투과율을 갖는 제1 잉크를 도포하고, 상기 제1 기판의 제2 영역 상에 상기 제1 광 투과율보다 낮은 제2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 도포 단계;
    상기 제1 잉크 및 상기 제2 잉크가 도포된 상기 제1 기판의 상부에 제2 기판을 배치하고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잉크 및 상기 제2 잉크를 경화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결합하는 결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중 어느 하나는 표시 패널이고, 다른 하나는 보호 부재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잉크를 도포하는 단계의 적어도 일부는 동시에 진행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도포 단계는 상기 제1 잉크와 상기 제2 잉크를 동시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도포 단계는 상기 제2 잉크를 도포할 때 상기 제1 잉크를 도포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도포 단계는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잉크젯 헤드들을 포함하는 제1 프린트 유닛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되되, 상기 복수의 잉크젯 헤드는 상기 제1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제1 잉크젯 헤드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제1 잉크젯 헤드의 일측 및/또는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잉크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잉크젯 헤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도포 단계는 제1 프린트 유닛과 제2 프린트 유닛을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트 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되되,
    상기 제1 프린트 유닛은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제1 잉크젯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린트 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제2 잉크젯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린트 유닛은 상기 제1 프린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인접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200064072A 2020-05-28 2020-05-2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148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072A KR20210148456A (ko) 2020-05-28 2020-05-2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7/152,306 US11584106B2 (en) 2020-05-28 2021-01-19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2110589645.3A CN113744625A (zh) 2020-05-28 2021-05-28 显示装置和制造该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072A KR20210148456A (ko) 2020-05-28 2020-05-2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456A true KR20210148456A (ko) 2021-12-08

Family

ID=7870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072A KR20210148456A (ko) 2020-05-28 2020-05-2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84106B2 (ko)
KR (1) KR20210148456A (ko)
CN (1) CN113744625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117B1 (ko) * 2015-10-02 2022-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17068B1 (ko) 2018-01-30 2020-05-29 (주)에스티아이 잉크젯 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CN108877508B (zh) * 2018-07-16 2021-08-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
WO2022085915A1 (ko) * 2020-10-22 2022-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44625A (zh) 2021-12-03
US20210370642A1 (en) 2021-12-02
US11584106B2 (en)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2276B (zh) 包含可拆卸窗口的显示屏装置及其拆卸方法
US1069601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fine bump for adjust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4021110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0670895B2 (en) Cover glas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cover glass
US10725501B2 (en) Protective cov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073924B2 (en) Apparatus of display having detachable pattern
JPWO2018079017A1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1192522B (zh) 显示装置
KR102491515B1 (ko) 표시장치용 글래스 부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461611B1 (ko) 패널 보호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50042092A (ko) 윈도우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TW201437039A (zh) 透明面材及使用其之顯示裝置
KR102657713B1 (ko)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KR20180074270A (ko) 표시 장치
US10770688B2 (en) Display device
KR20210148456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I726328B (zh) 蓋板結構及顯示裝置
US11324133B2 (en) Attachable/detach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polarizing film
WO2012008230A1 (ja) 電子ペーパー用カラーフィルタ部材、電子ペーパー、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210109718A (ko)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US11217766B2 (en) Display cover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KR102437333B1 (ko)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WO2021125764A1 (ko)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JP2018040920A (ja) 着脱層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Apparatus of display having detachable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KR2021008354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