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718A -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718A
KR20210109718A KR1020200024486A KR20200024486A KR20210109718A KR 20210109718 A KR20210109718 A KR 20210109718A KR 1020200024486 A KR1020200024486 A KR 1020200024486A KR 20200024486 A KR20200024486 A KR 20200024486A KR 20210109718 A KR20210109718 A KR 20210109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coating
coating layer
glass substrate
lay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민상
김경만
김상훈
최민훈
황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4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718A/ko
Priority to US16/952,796 priority patent/US11644598B2/en
Priority to CN202110004136.XA priority patent/CN113314026A/zh
Publication of KR20210109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43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71/00Protective equip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과,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는 제1 유리 기재,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측면을 덮고 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과,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는 제1 기능성 코팅층, 및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홈 및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Protection member for display,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Protection member for display}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윈도우와 같은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윈도우는 스마트폰 등 휴대 전자 기기에서 많이 적용된다.
윈도우는 기재로는 투명한 필름이나 유리나 사용될 수 있다. 필름은 유리에 비해 유연성이 우수하여 플렉시블 표시 장치에 적용이 용이하지만, 찍힘에 취약하다. 유리는 필름에 비해 필름에 비해 강도가 강하고, 박막 내지 초박막 두께를 가질 경우 소정의 플렉시블 특성을 가질 수 있지만, 파손될 경우 비산되어 사용자에게 자상을 입힐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 공차를 최소화하면서도 외부의 충격 및 내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조립 공차를 최소화하면서도 외부의 충격 및 내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조립 공차를 최소화하면서도 외부의 충격 및 내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과,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는 제1 유리 기재,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측면을 덮고 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과,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는 제1 기능성 코팅층, 및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홈 및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 중 적어도 한 면은 요철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 패턴은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측면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 및 상기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유리 기재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은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일면을 노출하고,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일면은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일면의 연장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타면은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타면을 덮고 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타면은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일면 및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일면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된 제1 결합층, 및 상기 제1 결합층의 타면 상에 배치된 제1 필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 상기 제1 결합층 및 상기 제1 필름층의 각 측면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층 타면에 배치된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2 결합층의 타면에 배치된 제2 필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 상기 제1 결합층, 상기 제1 필름층, 상기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2 필름층의 각 측면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층 타면에 배치된 제2 결합층, 상기 제2 결합층 타면에 배치된 제2 유리 기재 및 상기 제2 유리 기재의 측면과 타면을 덮고 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2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 상기 제1 결합층, 상기 제1 필름층, 상기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2 기능성 코팅층의 각 측면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리 기재는 표면의 압축 영역과 내부의 인장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압축 영역은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일면,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우레탄 수지,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ABS) 수지 및 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 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과,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는 유리 기재, 상기 유리 기재의 상기 측면을 덮고 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과,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는 기능성 코팅층,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홈 및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 패턴,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타면에 배치된 결합층, 및 상기 결합층 타면에 배치된 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코팅층, 상기 결합층 및 상기 필름층의 각 측면은 서로 정렬된다.
상기 충격 흡수 패턴은 상기 유리 기재의 측면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 중 적어도 한 면은 요철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은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과,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는 유리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리 기재 상에 기능성 조성물을 코팅하여 상기 유리 기재의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을 덮는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코팅층에 배치되며, 복수의 홈 및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리 기재의 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테두리 부위를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 단계 이후에, 상기 커팅 단계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절단면을 리페어(Repair)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절단면을 리페어하는 단계는 레이저 조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절단면을 리페어하는 단계는 레이저 소결(Laser sintering)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타면 상에 결합층 및 필름층을 순차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팅 단계는 상기 필름층, 상기 결합층, 및 상기 기능성 코팅층을 함께 커팅하는 단계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립 공차를 최소화하면서도 외부의 충격 및 내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기재 중첩부와 외측 돌출부의 경계 부근을 하부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도 6의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B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C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DPA)을 통해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며, 표시 영역(DPA)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가 그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텔레비전,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자동차 계기판,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외부 광고판, 전광판, 각종 의료 장치, 각종 검사 장치, 냉장고나 세탁기 등과 같은 표시 영역(DPA)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 제품, 사물 인터넷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DP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PA)은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DPA)에는 복수의 화소(PX)가 배치될 수 있다. 화소(PX)는 화면을 표시하는 기본 단위가 된다. 화소(PX)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평면상 교대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PX)는 행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PA)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PA)의 주변에 배치되며, 표시 영역(DPA)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PA)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PA)의 4변 둘레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200), 표시 패널(200)의 표시면 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100)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100) 상에 배치된 인쇄층(17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무기 발광 표시 패널(inorganic EL),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QED),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micro-LED), 나노 LED 표시 패널(nano-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ED), 음극선 표시 패널(CRT)등의 자발광 표시 패널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패널(LCD), 전기 영동 표시 패널(EPD) 등의 수광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의 표시면 상부에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100)가 배치된다. 여기서, 표시 패널(200)의 표시면은 표시 패널(200)의 일 표면과 타 표면 중 빛이 출사되어 화면 표시가 이루어지는 표면을 일컫는다. 양면으로 표시하는 양면 표시 장치(10) 또는 투과형 표시 장치(10)의 경우 양면이 모두 표시면이 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100)는 양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면 모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100)는 윈도우, 보호 유리, 보호 필름, 커버 부재, 커버 유리, 커버 필름, 커버 시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100)를 보호 부재(100)로 약칭하여 표기하기로 한다.
보호 부재(100)는 표시 패널(20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200)은 두께 방향으로 보호 부재(100)와 완전히 중첩한다. 보호 부재(100)의 측면은 표시 패널(20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호 부재(100)가 돌출되는 변은 표시 패널(200)의 모든 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200)이 직사각형 형상일 경우, 보호 부재(100)는 표시 패널(200)의 양 장변 및 양 단변으로부터 모두 돌출될 수 있다. 보호 부재(100)가 인접한 표시 패널(200)의 변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는 각 변마다 상이할 수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보호 부재(100)는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접착 수지(OCR) 등의 투명층(300)을 통해 표시 패널(2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보호 부재(100)의 하면에는 인쇄층(170)이 배치될 수 있다. 인쇄층(170)은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다. 인쇄층(170)은 보호 부재(100)의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며, 테두리 코팅층일 수 있다. 인쇄층(170)은 심미감을 부여하는 장식층, 및 최외곽 블랙 매트릭스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인쇄층(170)은 표시 영역(PDA)과 비표시 영역(NDA)을 구분할 수 있다. 즉, 인쇄층(170)의 내측변이 표시 영역(P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가 될 수 있다. 인쇄층(170)의 외측변은 보호 부재(100)의 측면에 정렬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200)은 인쇄층(170)의 적어도 일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인쇄층(170)은 보호 부재(100)의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보호 부재(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후술하겠지만, 보호 부재(100)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최외곽 층 뿐만 아니라, 중간에 위치하는 층도 인쇄층(170)이 코팅되는 층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 장치(10)는 터치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부재는 별도의 패널이나 필름으로 마련되어 표시 장치(10)와 보호 부재(100) 사이에 배치되거나, 표시 패널(200)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표시 패널(200)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보호 부재(1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기재 중첩부와 외측 돌출부의 경계 부근을 하부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보호 부재(100)는 유리 기재(110) 및 유리 기재(110) 상에 배치된 기능성 코팅층(120)을 포함한다.
유리 기재(1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형의 시트 형상일 수 있다. 유리 기재(110)는 보호 부재(100)가 적용되는 표시 장치(10)의 평면 형상에 대체로 유사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 유리 기재(110)의 평면 형상 또한 직사각형일 수 있다.
유리 기재(110)는 제1 면,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측면(SS)을 포함한다. 제1 면(제1 표면)과 제2 면(제2 표면)은 두께 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보호 부재(100)의 각 구성의 제1 면은 표시 방향에 놓인 면으로서 "상면(US)"으로 지칭하고, 보호 부재(100)의 각 구성의 제2 면은 표시 패널(200)과 대향하는 면으로서 "하면(BS)"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유리 기재(110)는 초박막(Ultra Thin Glass; UTG) 내지 박막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 기재(110)가 초박막 또는 박막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리 기재(110)는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유리 기재(110)는 휘어지거나, 벤딩, 폴딩, 롤링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유리 기재(1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내지 30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30㎛ 내지 80㎛ 두께 또는 약 50㎛ 두께의 유리 기재(110)가 적용될 수 있다.
유리 기재(110)는 소다 라임 유리, 알칼리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유리,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또는 리튬 알루미나 실리케이트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 기재(110)는 강한 강도를 갖기 위해 화학적 강화 또는 열적 강화된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적 강화는 알칼리 염 내에서 이온교환처리 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온교환처리 공정은 2회 이상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강화된 유리 기재(110)는 표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으로 스트레스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기재(110)는 표면의 압축 영역(CS)과 내부의 인장 영역(CT)을 포함할 수 있다. 강화된 유리 기재(110)에서 스트레스는 통상 표면에서 가장 크고 내부로 갈수록 감소한다. 압축 영역(CS)과 인장 영역(CT)의 경계에는 스트레스가 평형을 이루는 지점인 압축 깊이(DOL)가 정의된다.
유리 기재(110)는 모 기판 상태의 유리를 셀 단위로 절단한 후 강화된 것일 수 있다. 유리의 강화 공정은 표면 부근에 압축 영역(CS)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이온교환공정을 진행할 때, 알칼리 염과 유리의 이온은 표면에서 상호 교환되고, 교환된 이온이 유리의 내부로 확산되면서 소정 깊이(DOL)의 압축 영역(CS)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유리 기재(110)가 셀 단위로 절단된 상태에서 이온교환공정이 진행되면 유리 기재(110)의 상면(US)과 하면(BS) 뿐만 아니라 측면(SS)을 통해서도 이온교환이 이루질 수 있다. 따라서, 유리 기재(110)의 상면(US)과 하면(BS) 부근 뿐만 아니라, 측면(SS) 부근에서도 압축 영역(CS)이 형성될 수 있다.
유리 기재(110)의 표면 부근에 압축 영역(CS)이 형성됨에 따라 유리 기재(110)의 표면은 찍힘이 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유리 기재(110)의 표면은 찍힘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유리 기재(110)의 측면(SS) 및 하면(BS) 상에는 기능성 코팅층(120)이 배치된다. 기능성 코팅층(120)은 유리 기재(110)를 보호하는 한편, 유리 기재(110)가 파손되었을 때 비산을 방지하거나 완화하여 자상 등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능성 코팅층(120)은 정렬을 위한 커팅 공정에서 유리 기재(110)에 직접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기능성 코팅층(120)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흡수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성 코팅층(120)은 유리 기재(110)의 측면(SS) 및 하면(BS)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은 유리 기재(110)의 측면(SS)과 하면(BS)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유리 기재(110)의 측면(SS)과 하면(BS)은 기능성 코팅층(12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리 기재(110)의 모든 측면(SS)과 하면(BS)의 모든 영역이 기능성 코팅층(12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유리 기재(110)의 상면(US)은 기능성 코팅층(12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유리 기재(110)의 상면(US)은 표시 장치(10)의 표시 방향 외측 표면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필름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유리 기재(110)가 보호 부재(100)의 상면(US)을 이루기 때문에, 찍힘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은 두께 방향으로 유리 기재(110)와 중첩하는지 여부에 따라 기재 중첩부(LAP)와 외측 돌출부(NLP)로 구분될 수 있다. 기재 중첩부(LAP)는 유리 기재(110)의 하면(BS) 상에 위치하고 유리 기재(110)의 하면(BS)과 중첩하는 부위이다. 기재 중첩부(LAP)의 두께는 유리 기재(11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 중첩부(LAP)의 두께는 0.5um 내지 10um일 수 있다.
외측 돌출부(NLP)는 유리 기재(110)의 측면(SS)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이다. 외측 돌출부(NLP)는 기재 중첩부(LAP)보다 두껍다. 외측 돌출부(NLP)의 두께는 기재 중첩부(LAP)의 두께 및 그에 중첩하는 유리 기재(110)의 두께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할 충격 흡수 패턴(PT)이 외측 돌출부(NLP)에 배치되고, 충격 흡수 패턴(PT)이 복수의 홈(GR)을 포함하더라도, 복수의 홈(GR) 사이에 위치하는 기능성 코팅층(120)의 충격 흡수 패턴(PT) 두께는 기재 중첩부(LAP)의 두께 및 그에 중첩하는 유리 기재(110)의 두께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외측 돌출부(NLP)는 충격 흡수 패턴(PT)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 패턴(PT)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충격 흡수 패턴(PT)은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LP) 전 영역에 걸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홈(GR)으로 이루어진 충격 흡수 패턴(PT)은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LP)의 전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즉, 충격 흡수 패턴(PT)을 이루는 복수의 홈(GR)은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LP) 전 영역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홈(GR)은 유리 기재(110)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충격 흡수 패턴(PT)은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LP) 하면에서 외측 돌출부(NLP) 상면을 향하도록 파여진 복수의 홈(GR)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외측 돌출부(NLP)의 상면(US) 및 하면(B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요철면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LP)에 위치하는 충격 흡수 패턴(PT)은 기능성 코팅층(120)으로 둘러싸인 복수의 홈(GR)을 포함하며, 상기 홈(GR)은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LP)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충격 흡수 패턴(PT)을 이루는 복수의 홈(GR)은 외측 돌출부(NLP)의 상면에 위치하면서, 외측 돌출부(NLP)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하도록 파여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충격 흡수 패턴(PT)을 이루는 홈(GR)의 내부는 빈 공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홈(GR)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할 수 있는 물질로 채워질 수도 있다.
충격 흡수 패턴(PT)을 이루는 복수의 홈(GR)은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홈(GR)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GR)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오목한 둥근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돌출부(NLP)가 충격 흡수 패턴(PT)을 포함함에 따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유리 기재(11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LP)는 유리 기재(110)의 측면을 커버하고 있으며, 보호 부재(10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특히,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은 유리 기재(110)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으며, 기능성 코팅층(120)에 먼저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거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채워진 홈(GR)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 패턴(PT)은 상기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 의한 유리 기재(110)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의 상면(US)과 유리 기재(110)의 상면(US)은 단차 없이 서로 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능성 코팅층(120)의 상면(US)은 유리 기재(110)의 상면(US)과 동일한 레벨에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있거나 유리 기재(110) 상면(US)의 연장면 상에 있을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의 하면(BS)은 기능성 코팅층(120)의 상면(US) 및 유리 기재(110)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과 평행할 수 있고, 유리 기재(110)의 하면(BS)과도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면(SS, 또는 측면)은 기능성 코팅층(120)의 상면(US)와 기능성 코팅층(120)의 하면(BS)을 연결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면(SS)은 외측 돌출부(NLP)의 상면(US)과 외측 돌출부(NLP)의 하면(BS)을 연결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면(SS)은 두께 방향과 동일한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즉,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면(SS)은 유리 기재(110)의 하면(BS)(또는 기능성 코팅층(120)의 하면(BS)) 및 기능성 코팅층(120)의 상면(US)에 수직할 수 있다. 아울러,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면(SS)은 유리 기재(110)의 상면(US)에 수직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면(SS)과 그에 대향하는 유리 기재(110)의 측면(SS)은 평행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성 코팅층(120)이 유리 기재(110)의 측면(SS)으로부터 돌출된 폭은 1um 내지 100um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면(SS)은 레이저 커팅 공정에 의해 얻어진 절단면(도 11의 'CTL' 참조)일 수 있다. 즉,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면(SS)은 예컨대, 레이저 절단면일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은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 코팅층(120)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우레탄 수지,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ABS) 수지 및 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능성 코팅층(120)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물질이 적용될 수도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의 하면(BS) 상에는 인쇄층(170)이 배치될 수 있다. 인쇄층(170)은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면(SS)에 정렬되고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LP)를 덮으며 그 내측으로 연장되어 기능성 코팅층(120)의 기재 중첩부(LAP)와도 일부 중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리 기재(110)의 측면(SS)은 외부에 바로 노출되지 않고 기능성 코팅층(120)에 의해 덮여 보호된다. 보호 부재(100)의 측면(SS)은 기능성 코팅층(120)의 측면(SS)으로 이루어지고, 유리 기재(110)의 측면(SS)은 보호 부재(100)의 측면(SS)을 구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호 부재(100)의 측면(SS)은 별도의 돌출 구조를 갖지 않아 조립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의 실시예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3의 보호 부재(100)는 2 이상 적층될 수 있다. 2 이상 적층된 보호 부재(100) 각각은 유리 기재(110)와 기능성 코팅층(120)의 두께 방향의 위치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2 이상 적층된 보호 부재들은 두께 방향으로 유리 기재(110)와 기능성 코팅층(120)이 순차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보호 부재(100)는 유리 기재(110)와 기능성 코팅층(120)의 두께 방향의 위치가 바뀐 상태로 적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호 부재(100)가 2 이상 적층된 상태에서, 일부 보호 부재(100)들은 유리 기재(110)와 유리 기재(100)가 직접 접촉하거나, 기능성 코팅층(120)과 기능성 코팅층(120)이 직접 접촉할 수도 있다. 즉, 적층되는 보호 부재(10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일부 보호 부재(100)는 도면상 상면(US)과 하면(BS)이 뒤집힌 채로 적층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보호 부재(100)는 유리 기재(110)의 상면(US) 상에 배치된 전면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코팅층은 반사반지, 지문방지, 항균, 청색광 차단, 전자파 차단, 프라이버시 등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면 코팅층은 불소계 코팅액으로 습식 코팅되거나, 진공 증착으로 건식 코팅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_1)는 기능성 코팅층(120)의 하면(BS) 상에 적층된 다른 층들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능성 코팅층(120)의 하면(BS) 상에 결합층(130)이 배치되고, 결합층(130)의 하면(BS) 상에 필름층(140)이 배치된다.
결합층(130)은 기능성 코팅층(120)과 필름층(140)과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합층(130)은 점착층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접착층일 수도 있다. 결합층(130)은 기능성 코팅층(120) 및 유리 기재(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표시 패널(200) 측으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온(25℃) 및 50% 습도 조건 하에서 최소 500gf/in의 점착력/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 버티고, 변형에 대한 복원력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상기 조건 하에서 약 80MPa 내지 약 120MPa의 저장 탄성률(Storage Modulus)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결합층(130)은 폴딩이나 벤딩시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소정의 크립(creep)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조건 하에서 50% 내지 800%의 크립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결합층(130)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또는 그들의 복합 수지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층(130)을 통해 유리 기재(110)의 하면(BS) 상에 결합되는 필름층(140)은 비산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기재(110)가 파손된 경우에도 파편이 필름층(140)에 부착되어 있음으로 인해 파편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다. 필름층(140)은 비산 방지 기능 외에, 또는 그와 더불어 내충격 완화 기능 등의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필름층(140)이 비산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필름층(140)은 투명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층(140)을 구성하는 상기 투명 고분자 수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필름층(140)과 결합층(130)은 유리 기재(110)의 폭보다 크고, 유리 기재(110)의 측면(SS)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필름층(140)과 결합층(130)의 측면(SS)은 모두 기능성 코팅층(120)의 측면(SS)에 정렬될 수 있다. 즉, 기능성 코팅층(120), 결합층(130), 필름층(140)의 측면(SS)이 모두 정렬 평면(AGL) 또는 단면상 직선 형상의 정렬 라인에 정렬될 수 있다. 필름층(140)과 결합층(130)의 측면(SS)은 상술한 기능성 코팅층(120)의 측면(SS)과 마찬가지로 절단면(도 11 'CTL' 참조)일 수 있다.
보호 부재(100_1)는 인쇄층(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층(170)의 경우에도 외측면(SS)이 정렬 평면(AGL)에 정렬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인쇄층(170)이 도 3의 실시예와는 달리 필름층(140)의 하면(BS) 상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그러나, 인쇄층(170)은 두께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실시예에서도 인쇄층(170)이 기능성 코팅층(120)의 하면(BS)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쇄층(170)은 기능성 코팅층(120)과 결합층(130) 사이에 개재될 것이다. 다른 예로, 인쇄층(170)은 기능성 코팅층(120)의 상면(US) 및 유리 기재(110)의 상면(US)에 걸쳐 형성되거나, 필름층(140)의 상면(US)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인쇄층(170)이 두께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기재(110)와 필름층(140)이 결합된 적층 구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_1)는 필름층(140)이 유리 기재(110)의 측면(SS)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긴 하지만, 보호 부재(100_1) 전체를 보면 그 측면(SS)을 구성하는 기능성 코팅층(120), 결합층(130) 및 필름층(140)의 측면(SS)이 돌출됨 없이 상호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보호 부재(100_1)를 표시 패널(200)에 부착하고, 이를 표시 장치(10)의 세트(샤시나 브라켓 등) 내에 설치할 때 조립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공정 능력과 공정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리 기재(110)를 기능성 코팅층(120), 결합층(130), 필름층(140) 등이 보호함으로써 내충격 특성을 개선하고, 유리 기재(110)의 파손시 파편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도 4의 보호 부재(100_1)는 복수의 결합층(130) 및 복수의 필름층(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유리 기재(110) 및 기능성 코팅층(120)의 하부에 복수의 결합층(130) 및 복수의 필름층(140)이 배치되거나, 복수의 유리 기재(100) 및 복수의 기능성 코팅층(120)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결합층(130)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필름층(140)이 배치될 수도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PL)에 위치하는 충격 흡수 패턴(PT) 및 측면(SS)이 돌출됨 없이 정렬된 구성은 보호 부재(100_1)의 제조 공정 중 각 층들을 적층한 후 커팅하는 공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절단면은 유리 기재(110)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그 외측에 위치하므로, 커팅 공정시 발생하는 충격이 유리 기재(11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기능성 코팅층(120)의 측면(또는 기능성 코팅층(120)의 절단면(도 11 'CTL' 참조))은 레이저 소결(Laser sintering) 방법에 의해, 절단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Crack, 도 11의 'CR' 참조)이 리페어(Repair)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 부재(100)의 내충격 특성이 강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 7 내지 도 12가 참조된다.
도 7 내지 도 11는 도 6의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12는 기능성 코팅층의 리페어 공정에 따라, 기능성 코팅층의 크랙(CR)이 리페어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스테이지(500) 상에 유리 기재(110)를 배치한다. 이어, 유리 기재(110)의 하면(BS)(도면에서 상측을 향하는 면) 상에 기능성 조성물(120a)을 코팅한다. 기능성 조성물(120a)은 액상 수지(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보호 부재(100_1)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기능성 조성물(120a)을 코팅하는 방법은 글래스 다이렉트 몰딩(Glass Direct Molding; GDM) 방법인 것으로 설명하나, 기능성 조성물(120a)을 코팅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능성 조성물(120a)을 코팅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슬릿 코팅, 바 코팅, 스핀 코팅, 글래스 다이렉트 프린팅(Glass Direct Printing; GDP) 등의 방법으로도 코팅될 수 있다.
기능성 조성물(120a)을 코팅하는 과정에서 바 롤러(Bar loller, 40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 롤러(400)는 제1 바 영역(410) 및 제2 바 영역(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 영역(410)은 돌기를 포함하지 않는 평탄한 면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며, 제2 바 영역(420)은 표면에 복수의 돌기 등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바 영역(410)은 두개의 제2 바 영역(4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바 영역(410)은 바 롤러(400)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며, 제2 바 영역(420)은 바 롤러(400)의 양 끝단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바 영역(410)은 기능성 조성물(120a)의 기재 중첩부(LAPa)와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바 영역(420)은 기능성 조성물(120a)의 외측 돌출부(NLPa)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바 롤러(400)를 사용하여, 기능성 조성물(120a)을 코팅함에 따라, 기능성 조성물(120a)의 외측 돌출부(NLPa)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이후, 기능성 조성물(120a)을 경화시키고 커팅하는 공정에 의해,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LP)에 충격 흡수 패턴(PT)이 형성될 수 있다.
유리 기재(110)의 하면(BS) 상에 기능성 조성물(120a)이 코팅된 후 코팅된 기능성 조성물(120a)은 경화될 수 있다. 상기 경화 공정은 열 경화 또는 자외선 경화로 진행될 수 있다. 경화되어 이루어진 기능성 코팅층((120a)은 하면(BS)(도면에서 상측을 향하는 면)이 평탄하며, 유리 기재(110)의 하면(BS)과 측면(SS)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은 유리 기재(110)의 측면(SS)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만큼 돌출될 수 있다. 본 단계의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면(SS)은 예각의 경사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도 9를 참조하면, 기능성 코팅층(120a)의 하면(BS) 상에 결합층(130) 및 필름층(140)을 적층한다. 상기 적층은 결합층(130)이 필름층(140)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능성 코팅층(120a) 상에 라미네이션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기능성 코팅층(120a)에 먼저 결합층(130)을 코팅 또는 라미네이션하고, 그 위에 필름층(140)을 배치하여 상기한 적층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인쇄층(170)은 필름층(140)의 적층 후에 필름층(140)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인쇄층(170)을 필름층(140)에 먼저 형성한 다음 필름층(140)을 적층하여 도 6과 같은 적층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결합층(130)과 필름층(140)은 모두 유리 기재(110)보다 폭이 크고, 유리 기재(110)의 측면(SS)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a), 결합층(130), 필름층(140)의 각 측면(SS)간 위치 관계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시된 예는 기능성 코팅층(120a)이 가장 외측으로 돌출되고, 필름층(140)이 결합층(130)보다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경우이지만, 이들의 측면(SS)은 서로 정렬될 수도 있고, 돌출 관계가 도시된 예와 다르게 바뀔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의 적층 구조물을 커팅한다. 커팅되는 부위는 적층 구조물의 테두리 부위로서, 유리 기재(110)의 측면(SS)보다 외측에 위치한다. 커팅 공정은 필름층(140), 결합층(130) 및 기능성 코팅층(120a)을 함께 절단하는 공정으로서, 이들은 각각 부분적으로 절단이 되지만 유리 기재(110)는 절단되지 않는다. 커팅은 커팅용 레이저(LAS_C) 조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나이프에 의한 커팅이나 기타 다른 절단 부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팅된 보호 부재(100_1)의 측면(SS)은 커팅 공정에 의한 절단면(도 11 'CTL' 참조)이 되고, 측면(SS)에 노출된 각 층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커팅 전 기능성 코팅층(120a)의 측면(SS)이 예각의 경사를 가진 경우라도, 커팅에 의해 완성된 기능성 코팅층(120)의 측면(SS)은 상면(US) 및 하면(BS)에 대해 수직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시된 예와 같이 유리 기재(110)의 외측에 위치하는 기능성 조성물(120a)을 커팅하는 경우, 그 충격이 직접적으로 유리 기재(110)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유리 기재(110) 자체가 절단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리 기재(110) 측면(SS)의 표면 근방에 위치하는 압축 영역(CS) 또한 별다른 변화없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방법을 통해 유리 기재(110)의 강도에 대한 손실 없이 측면(SS)이 정렬된 보호 부재(100_1)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인쇄층(170)의 경우에도 본 단계에서 함께 커팅될 수 있고, 이 경우 인쇄층(170)의 외측면(SS) 또한 유리 기재(110), 기능성 코팅층(120), 결합층(130), 필름층(140)의 측면(SS)과 정렬될 수 있다.
도면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의 단계를 생략하고, 기능성 코팅층(120a)을 형성한 후 바로 커팅 단계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 10의 커팅된 기능성 코팅층(120)을 레이저 소결 방법을 통해 리페어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 부재(100_1)을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능성 코팅층(120)의 절단면(CTL)의 전 영역에 리페어용 레이저(LAS_R)를 조사할 수 있다. 리페어용 레이저(LAS_R)가 조사된 기능성 코팅층(120)의 절단면(CTL)에서, 기능성 코팅층(120)의 일부 영역은 재결정화가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능성 코팅층(120)의 절단면(CTL)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CR)을 제거할 수 있다. 즉, 기능성 코팅층(120)의 절단면(CTL)에 발생한 크랙(CR)의 주변에 위치하는 기능성 코팅층(120)의 일부 영역에 리페어용 레이저(LAS_R)가 조사되면 상기 일부 영역은 리페어용 레이저(LAS_R)에 의해, 재결정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크랙(CR)이 제거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의 절단면(CTL)에 발생한 크랙(CR)이 제거됨에 따라, 크랙(CR)의 발생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보호 부재(100, 100_1)의 내충격에 대한 특성 감소를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기능성 코팅층(120)을 리페어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술한 적층 구조물을 커팅하는 단계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 부재(100_1)을 완성될 수 있다.
이하, 보호 부재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_2)의 충격 흡수 패턴(PT_2)은 외측 돌출부(NLP)의 일부에만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_2)는 충격 흡수 패턴(PT_2)을 포함하되, 충격 흡수 패턴(PT_2)은 외측 돌출부(NLP)의 전 영역에 걸쳐 배치되지 않으며, 외측 돌출부(NLP)의 일부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즉, 충격 흡수 패턴(PT_2)을 이루는 복수의 홈(GR)은 외측 돌출부(NLP)의 일부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외측 돌출부(NLP)에는 충격 흡수 패턴(PT_2)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특히, 기능성 코팅층(120)의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유리 기재(11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B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_3)의 충격 흡수 패턴(PT_3)은 홈(GR)이 아닌 홀(HLE)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_3)는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PL)에 충격 흡수 패턴(PT_3)을 포함하되, 상기 충격 흡수 패턴(PT_3)은 복수의 홀(H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HLE)은 기능성 코팅층(120)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기능성 코팅층(12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단면도상 복수의 홀(HLE)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홀(HLE)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 코팅층(120)의 상면(US)에서 하면(BS)으로 향할수록 단면도상 복수의 홀(HLE)의 직경의 크기는 점차 커지거나, 작아지거나, 또는 점차 커지다가 작아질 수도 있다. 복수의 홀(HLE)은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거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할 수 있는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홀(HLE) 사이에 위치하는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PL)의 두께는 기재 중첩부(LAP)의 두께 및 그에 중첩하는 유리 기재(110)의 두께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서 각 홀(HLE) 사이에 위치하는 기능성 코팅층(120)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각 홀(HLE)은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PL)에 분산되어 배치되며, 각 홀(HLE) 사이에 위치하는 기능성 코팅층(120) 특히, 외측 돌출부(NPL)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외측 돌출부(NLP)에는 충격 흡수 패턴(PT_3)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특히, 기능성 코팅층(120)의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유리 기재(11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C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_4)의 충격 흡수 패턴(PT_4)은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LP)는 스펀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_4)는 충격 흡수 패턴(PT_5)을 포함하되, 상기 충격 흡수 패턴(PT_4)은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LP)에 배치되면서 스펀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LP)는 적어도 일부가 스펀지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측 돌출부(NLP)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내부에 기능성 코팅층으로 둘러싸인 복수의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외측 돌출부(NLP)에는 충격 흡수 패턴(PT_4)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특히, 기능성 코팅층(120)의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유리 기재(11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_5)의 충격 흡수 패턴(PT_5)은 홈(GR)과 홀(HLE)을 모두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_5)는 외측 돌출부(NLP)에 충격 흡수 패턴(PT_5)을 포함하되, 상기 충격 흡수 패턴(PT_5)은 복수의 홈(GR) 및 복수의 홀(HLE)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홈(GR) 및 복수의 홀(HLE)이 기능성 코팅층(120)의 외측 돌출부(NLP)의 전역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홈(GR)과 복수의 홀(HLE)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무작위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외측 돌출부(NLP)에는 충격 흡수 패턴(PT_5)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특히, 기능성 코팅층(120)의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유리 기재(11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_6)의 충격 흡수 패턴(PT_6)은 유리 기재(110)의 일 측면(SS) 외측에 배치된 외측 돌출부(NLP)에서 복수의 홈(GR)을 포함하며, 유리 기재(110)의 타 측면(SS)의 외측에 배치된 외측 돌출부(NLP)에서는 복수의 홀(HLE)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8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패턴(PT_6)은 제1 패턴(PT_6a) 및 제2 패턴(PT_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PT_6a)은 유리 기재(110)의 일 측면(SS)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2 패턴(PT_6b)은 유리 기재(110)의 타 측면(SS)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턴(PT_6a)은 복수의 홈(GR)만을 포함하며, 제2 패턴(PT_6b)은 복수의 홀(HLE)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패턴(PT_6)은 제1 패턴(PT_6a) 및 제2 패턴(PT_6b)을 포함하되, 제1 패턴(PT_6a) 및 제2 패턴(PT_6b)은 서로 다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외측 돌출부(NLP)에는 충격 흡수 패턴(PT_6)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특히, 기능성 코팅층(120)의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유리 기재(11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_7)는 유리 기재(110_7)의 모서리(2 이상의 면이 만나는 부위, EDG)가 경사져 있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유리 기재(110_7)는 모 기판 상태의 유리를 셀 단위로 절단한 후, 모서리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연마나 커팅 등을 통해 해당 부분을 평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모서리면(EDG)은 대체로 인접하는 면(도면에서 상면(US)과 측면(SS))들에 대해 둔각의 각도(θ1, θ2)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기능성 코팅층(120)은 유리 기재(110)의 모서리면(EDG)을 덮되 그 형상을 반영하지 않는다. 즉, 기능성 코팅층(120)의 측면(SS)은 커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면(US)과 하면(BS)에 대해 수직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20의 유리 기재(115)는 도 3 내지 도 19에 도시된 유리 기재(110)와 치환될 수 있다.
도 21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부재(100_8)는 기능성 코팅층(120_8)이 유리 기재(110)의 측면(SS) 상에만 배치되는 점에서 도 6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능성 코팅층(120_8)은 평면상 유리 기재(110)의 테두리 부위에 배치되고, 두께 방향으로 유리 기재(110)와 중첩하지 않는다. 기능성 코팅층(120_8)의 상면(US)은 유리 기재(110)의 상면(US)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있고, 기능성 코팅층(120_8)의 하면(BS)은 유리 기재(110)의 하면(BS)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있을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120_8)의 두께는 유리 기재(11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유리 기재(110)의 하면(BS)은 기능성 코팅층(120_8)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되고, 결합층(130)은 기능성 코팅층(120_8)의 하면(BS) 및 유리 기재(110)의 하면(BS) 상에 부착된다.
이 경우에도 보호 부재(100)의 측면(SS)은 기능성 코팅층(120_8), 결합층(130) 및 필름층(140)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부재(100_8)를 표시 패널(200)에 부착하고, 이를 표시 장치(10)의 세트 내에 설치할 때 조립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공정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아울러, 외측 돌출부(NLP)에는 충격 흡수 패턴(PT)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특히, 기능성 코팅층(120_8)의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유리 기재(11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험예를 통해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예 1>
두께 30um의 유리 기재를 기능성 코팅층 없이 결합층을 이용하여 필름층과 직접 결합된 구조의 보호 부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보호 부재는 두께 30um의 유리 기재 및 유리 기재를 둘러싼 기능성 코팅층을 포함하되, 충격 흡수 패턴을 포함하지 않으며, 도 10의 레이저 커팅 공정에 따라 보호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도 6 내지 도 12의 제조 공정에 따라, 두께 30um의 유리 기재 및 기능성 코팅층을 포함하고, 각 구성의 측면이 정렬되면서, 충격 흡수 패턴을 갖는 보호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내충격 특성
제조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에 따른 보호 부재에 대해 하중 추 드롭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중 추의 높이를 센티미터 단위로 달리하여 보호 부재 상에 떨어뜨려 보호 부재가 깨지는 높이 또는, 보호 부재가 찍히는 높이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예 1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조 내충격 특성
제조예 1 유리 기재, 결합층 및 필름층 5cm 높이에서 깨짐
제조예 2 유리 기재, 기능성 코팅층, 결합층 및 필름층(정렬) 15cm 높이에서 깨짐
비교예 1 유리 기재, 기능성 코팅층, 결합층, 필름층 및 충격 흡수 패턴 (정렬) 30cm 높이에서 깨짐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충격 흡수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비교예 1은 충격 흡수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 제조예 1 및 제조예 2에 비해, 내충격 특성이 향상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즉, 제조예 1의 경우 5cm 높이에서 깨졌으며, 제조예 2의 경우 15cm 높이에서 깨졌다. 충격 흡수 패턴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경우 제조예 1 및 제조예 2보다 높은 30cm 높이에서 깨졌다. 따라서, 비교예 1은 제조예 1 및 제조예 2보다 내충격 특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00: 보호 부재
110: 유리 기재
120: 기능성 코팅층
130: 결합층
140: 필름층
170: 인쇄층
PT: 충격 흡수 패턴
GR: 홈
HLE: 홀

Claims (20)

  1.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과,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는 제1 유리 기재;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측면을 덮고 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과,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는 제1 기능성 코팅층; 및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홈 및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 중 적어도 한 면은 요철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패턴은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측면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 및 상기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유리 기재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지 않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은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일면을 노출하고,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일면은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일면의 연장면 상에 놓이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타면은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타면을 덮고 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타면은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일면 및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일면과 평행한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타면 상에 배치된 제1 결합층, 및
    상기 제1 결합층의 타면 상에 배치된 제1 필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 상기 제1 결합층 및 상기 제1 필름층의 각 측면은 서로 정렬되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층 타면에 배치된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2 결합층의 타면에 배치된 제2 필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 상기 제1 결합층, 상기 제1 필름층, 상기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2 필름층의 각 측면은 서로 정렬되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층 타면에 배치된 제2 결합층,
    상기 제2 결합층 타면에 배치된 제2 유리 기재, 및
    상기 제2 유리 기재의 측면과 타면을 덮고 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제2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 상기 제1 결합층, 상기 제1 필름층, 상기 제2 결합층, 및 상기 제2 기능성 코팅층의 각 측면은 서로 정렬되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 기재는 표면의 압축 영역과 내부의 인장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압축 영역은 상기 제1 유리 기재의 상기 일면,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 부근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성 코팅층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터, 우레탄 수지,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다이엔-스타이렌(ABS) 수지 및 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13.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 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과,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는 유리 기재,
    상기 유리 기재의 상기 측면을 덮고 그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과,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는 기능성 코팅층,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홈 및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 패턴,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타면에 배치된 결합층, 및
    상기 결합층 타면에 배치된 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코팅층, 상기 결합층 및 상기 필름층의 각 측면은 서로 정렬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패턴은 상기 유리 기재의 측면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 중 적어도 한 면은 요철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일면 및 타면과,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에 연결된 측면을 포함하는 유리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리 기재 상에 기능성 조성물을 코팅하여 상기 유리 기재의 상기 타면 및 상기 측면을 덮는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코팅층에 배치되며, 복수의 홈 및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리 기재의 측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테두리 부위를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단계 이후에, 상기 커팅 단계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절단면을 리페어(Repair)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절단면을 리페어하는 단계는 레이저 조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상기 절단면을 리페어하는 단계는 레이저 소결(Laser sintering)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기능성 코팅층의 타면 상에 결합층 및 필름층을 순차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팅 단계는 상기 필름층, 상기 결합층, 및 상기 기능성 코팅층을 함께 커팅하는 단계인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200024486A 2020-02-27 2020-02-27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KR20210109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486A KR20210109718A (ko) 2020-02-27 2020-02-27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US16/952,796 US11644598B2 (en) 2020-02-27 2020-11-19 Protection member for display,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protection member for display
CN202110004136.XA CN113314026A (zh) 2020-02-27 2021-01-04 显示装置用保护部件及其制造方法和包括其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486A KR20210109718A (ko) 2020-02-27 2020-02-27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718A true KR20210109718A (ko) 2021-09-07

Family

ID=7737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486A KR20210109718A (ko) 2020-02-27 2020-02-27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44598B2 (ko)
KR (1) KR20210109718A (ko)
CN (1) CN1133140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462A (ko) * 2019-12-19 2021-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9554A (ja) * 2006-04-11 2007-10-25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液晶表示装置の保護ガラス用飛散防止膜
KR101323600B1 (ko) 2011-12-02 2013-11-01 정형근 터치스크린 패널 보호용 필터
KR102111380B1 (ko) * 2012-07-31 2020-05-1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반사 방지 물품, 화상 표시 장치 및 반사 방지 물품의 제조용 금형
KR102102907B1 (ko) 2012-12-14 2020-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US9753317B2 (en) 2012-12-21 2017-09-05 Apple Inc. Methods for trimming polarizers in displays using edge protection structures
EP3057913A1 (en) * 2013-10-18 2016-08-24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providing a substrate and protective coating thereon
KR101484452B1 (ko) 2014-08-25 2015-02-13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 보호용 강화유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1561A (ko) 2016-11-29 2018-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657713B1 (ko) 2019-01-18 2024-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14026A (zh) 2021-08-27
US20210271002A1 (en) 2021-09-02
US11644598B2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7713B1 (ko)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KR20220024880A (ko) 유연한 디스플레이 커버 플레이트, 유연한 디스플레이 모듈 및 유연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14403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81576A (ko) 투명 적층체, 표시장치용 윈도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835898B2 (en) Display unit
CN110782785B (zh) 保护片、显示装置和电子设备
JP5458691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30308076A1 (en)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1169467A1 (zh) 盖板、显示面板及显示终端
US1152215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2735278A (zh) 显示装置
JP5287541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5602056A (zh) 柔性显示装置
KR20210109718A (ko)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보호 부재의 제조 방법
CN112863358B (zh) 显示装置
JP2003337543A (ja) 表示装置
US2022027125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US20220246879A1 (en) Display apparatus
KR102119887B1 (ko) 커버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65947A (ko) 점착제 조성물 및 표시 장치
KR20210044486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65496A1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11192348B2 (en) Light shielding tap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148456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6453420A (zh) 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