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104A -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및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및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104A
KR20210148104A KR1020217028749A KR20217028749A KR20210148104A KR 20210148104 A KR20210148104 A KR 20210148104A KR 1020217028749 A KR1020217028749 A KR 1020217028749A KR 20217028749 A KR20217028749 A KR 20217028749A KR 20210148104 A KR20210148104 A KR 20210148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lens
adhesive tape
mass
adhesive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후미 도미타
마사나오 시부야
Original Assignee
맥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맥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48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0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06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 C08G18/8009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 C08G18/8022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with 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29C39/32Moulds or cores with joints or the like for making the mould impervi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13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made by moulding between two mould parts which are not in direct contact with one another, e.g. comprising a seal between or on the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28Consisting of two mould halves joined by an annular gas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5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 C08G18/3876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sulfur containing mercapt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08G18/6229Polymers of hydroxy groups containing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with aliphatic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64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e.g. xylylene diisocyanate or homologues substituted on th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40Compositions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발명의 과제는,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를 단시간 승온 프로세스에 의해 성형할 때에, 성형품의 외주연부의 주름, 백화 등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및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기재와 당해 기재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로서, 당해 점착제층은,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당해 관능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포함하고, 당해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1,100,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10.0 이하의 분자량의 다분산도(Mw/Mn)를 가지며, 당해 점착제층은,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 2시간 침지했을 때의 용출률이 48.0% 이하이고, 당해 점착 테이프는,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800분 후의 어긋남량이 0.15㎜ 이상 0.50㎜ 이하이며, 당해 플라스틱 렌즈는 1.59 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및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
본 발명은,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안경 렌즈 용도 등으로 실용화되어 있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의 열경화형의 광학용 수지 및 그 모노머는, 티오우레탄계 수지로 대표되는 중축합형의 타입과, 아크릴계, 비닐계 화합물로 대표되는 라디칼형의 타입의 2종류로 대별된다. 그 중에서도, 티오우레탄계 수지는, 유황 원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고굴절률(예를 들면, 굴절률 1.59 이상)인 점, (티오)우레탄 결합을 형성하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우수하는 점, 등의 장점을 살려, 고굴절률 안경 렌즈 용도를 중심으로 광학용 수지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상술한 티오우레탄계 수지는, 폴리티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축합 반응에 의해 (티오)우레탄 결합을 생성시켜 수지를 경화하여 얻을 수 있지만, 광학적인 균일성을 유지하면서 중합을 행하기 위해서는, 상온부터 고온까지 장시간을 들여 점차 승온하면서 중합 경화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고굴절률 안경 렌즈를 중합 성형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는, 20∼30℃ 부근의 상온부터 120∼130℃ 부근의 고온까지 점차 승온하면서 중합 경화하는 것에 24시간 이상이라는 장시간의 승온 경화 프로세스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티오우레탄계 수지는,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수지로서 성능면에 있어서는 우수하지만, 생산성의 면에 있어서는, 여전히 개량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상기 생산성의 과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광학적, 물성적 및 생산성도 우수한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특정 구조의 폴리티올 화합물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의해 프리폴리머화하여 얻어진 성분, 특정 구조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성분, 및 그들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중합 경화하여 얻어지는 수지가, 고굴절률 안경 렌즈에 적합한 점, 또한 당해 조성물의 경화에는 가열에 의한 단시간의 경화가 가능한 점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단시간의 경화에 관하여, 실시예 중에서, 당해 조성물을 오목 렌즈 몰드에 주입하여, 50℃부터 130℃까지 3시간 걸쳐 승온 경화시킨 후, 추가로 130℃에서 1시간 가열 경화하여, 실온까지 방랭한 후, 유리형(型)으로부터 렌즈를 이형(離型)하여, 무색 투명의 오목 렌즈를 얻는 것이 기재되어 있어, 상술한 종래의 승온 경화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경화 개시 온도가 높고, 승온 시간도 단시간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광학적 결함을 저감하는 것이 주목적이지만, 성형 광학 물품을 조제하기 위한 프로세스로서, (i)디티올 성분 또는 (ii)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반응 용기에 도입하는 단계와; 할로겐화 유기 주석의 제 1 촉매를 첨가하여 제 1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반응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와; 제 3급 아민의 제 2 촉매를 제 1 반응 혼합물에 도입하는 단계와; 디티올(i)을 처음에 첨가한 경우, 제 1 반응 혼합물을 함유하는 반응 용기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ii)를 혼합하여,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ii)를 처음에 첨가한 경우, 제 1 반응 혼합물에 디티올(i)을 혼합하여, 제 2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에 제 2 반응 혼합물을 충전하여, 충전된 형를 준비하여, 성형 광학 물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치 프로세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배치 프로세스에 관하여, 실시예 중에서, 당해 제 2 반응 혼합물을 형에 충전하여, 경화 사이클을 50℃에서 개시하고, 12시간 걸쳐 130℃로 상승시켜(0.11℃/min), 시료를 130℃에서 6시간 보지(保持)한 후, 1시간 걸쳐 70℃로 냉각하여, 경화 렌즈를 얻는 것이 기재되어 있어, 상술한 종래의 승온 경화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경화 개시 온도가 높고, 승온 시간도 단시간인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으로서는, 한 쌍의 유리 몰드(형)와 밀봉용의 점착 테이프를 이용한 주형 중합법에 의해 성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서는, 한 쌍의 유리 몰드를,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시킨다. 다음에, 점착 테이프를, 한 쌍의 유리 몰드의 외주면을 전체 둘레에 걸쳐 둘레 방향을 따라 첩부(貼付)하여, 중합용 셀을 제작한다. 이에 의해, 유리 몰드 사이의 공간은, 점착 테이프로 밀봉된다. 다음에, 그 점착 테이프에 수지 주입용의 노즐을 꽂고, 유리 몰드 사이의 공간 내에 액상의 수지(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프리폴리머)를 주입하여 충전한다. 그 후, 그 수지를 가열이나 광조사 등에 의해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플라스틱 렌즈가 얻어진다. 이 방법에 의해 고품질의 플라스틱 렌즈를 얻기 위하여,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에는, 플라스틱 렌즈의 외주연부(外周緣部)에 외관 불량(백화, 주름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성능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3에는, 톨루엔(20℃)에 대한 가용해(可溶解) 분률이 30% 이하인 감압성 접착제층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 제조용 접착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계 액상 렌즈 원료를, 40℃부터 110℃까지 35시간 걸쳐 점차 승온하여 원료를 중합 경화시키고, 실온까지 방랭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탁함이 없는 무색 투명이며, 측면에 접착제 성분의 잔존이 없는 렌즈가 얻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플라스틱 렌즈 제조용 접착 테이프를 상술한 단시간 승온 프로세스, 즉, 경화 개시 온도가 높고, 승온 시간도 단시간인 프로세스에 의한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에 사용한 경우에, 반드시, 무색 투명의 렌즈가 얻어진다고는 할 수 없고, 상기 감압성 접착제층은 고온 조건 하에 있어서는, 렌즈 원료에 대한 접착제층으로부터의 용출량이 많아져, 얻어진 성형품의 외주연부에 백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고도로 가교 구조화하면, 감압성 접착제의 보지력이 필요 이상으로 커져, 예를 들면, 티오우레탄계 수지 등의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 원료의 경화 수축의 영향을 완화하기 어려워지고, 즉, 점착 테이프에 주름이 생기기 쉬워져, 플라스틱 렌즈 측면에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백화와 주름의 발생의 동시 억제에 관하여, 개선의 여지를 가지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렌즈의 백화란, 광을 조사하면서 플라스틱 렌즈를 관찰한 경우에, 플라스틱 렌즈가 하얗게 흐려져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일본공개특허 특개평10-114825호 공보 일본공표특허 특표2018-525499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평 5-25565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를 단시간 승온 프로세스에 의해 성형할 때에, 성형품의 외주연부의 주름, 백화 등의 결함의 발생 및 점착 테이프 박리 시의 피착체에의 점착제 잔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및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목적 아래,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에 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를 단시간 승온 프로세스에 의해 성형할 때에, 성형품의 외주연부의 주름, 백화 등의 결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점착제에 이용하는 폴리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분자량의 다분산도(多分散度)(Mw/Mn)를 적정한 범위로 하는 것이 중요하고, 게다가,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 2시간 침지했을 때의 용출률이 48.0% 이하, 크리프 시험(온도 40℃, 하중 0.5kg)에 있어서의 어긋남량이 0.15㎜ 이상 0.50㎜ 이하가 되도록 설계한 아크릴계 점착제를 점착제층으로서 이용하면, 얻어지는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 성형품의 외주연부의 백화, 주름, 기포, 및 점착 테이프 박리 시의 플라스틱 렌즈 및 몰드 측면에의 점착제 잔존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즉, 종래의 승온 경화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경화 개시 온도가 높고, 승온 시간도 단시간인 단시간 승온 경화 프로세스를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 성형 시에 채용하는 경우, 밀봉 테이프로서 이용하는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그 점착제층은, 중합 초기 단계에 있어서 아직 충분히 경화되어 있지 않은 액상∼점조(粘稠)이며 또한 고온의 플라스틱 렌즈용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프리폴리머에 갑자기 수시간 정도 노출되게 된다. 특히, 폴리티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은 다른 모노머보다 느리기 때문에, 액상∼점조의 상태가 길다. 따라서, 점착제층으로부터 점착제 조성물의 일부가 모노머나 프리폴리머 등의 플라스틱 렌즈 재료에 용출될 리스크가, 종래의 상온부터 고온까지 장시간을 들여 점차 승온시키는 승온 경화 프로세스보다 급격히 높아지고, 그 용출량이 어느 일정량 이상이 되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품의 외주연부에 백화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본 과제를, 점착제층의 고도의 가교 구조화만으로 해소하려고 하면, 백화는 억제되는 반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이 필요 이상으로 딱딱해져,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 원료의 경화 수축의 영향을 완화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플라스틱 렌즈 측면에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 성형에 있어서, 상술한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는 백화의 발생과 주름의 발생의 양방을 동시에 해소하기 위하여, 먼저, 점착제층에 이용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분자량의 다분산도(Mw/Mn)에 착목하여, 검토를 행했다. 그 결과,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1,100,000 이상으로 크게 하고, 또한, 분자량의 다분산도(Mw/Mn)를 10.0 이하로 하면,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저분자량 성분 및 공중합하지 않고 생기는 호모폴리머의 저분자량 성분, 구체적으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미만인 저분자량 성분이 극히 적어지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고도의 가교 구조화를 필요 이상으로 도모하지 않아도,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렌즈 재료에의 용출량을 억제할 수 있어, 백화가 발생할 리스크를 대폭 저감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한편, 고도의 가교 구조화를 도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점착제층은 필요 이상으로 딱딱해지지는 않아, 주름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는 점, 추가로 분자량이 크고, 분자량의 다분산도도 비교적 작기 때문에, 큰 응집력을 적당한 유연성과 함께 겸비하고, 점착제 잔존도 억제할 수 있는 점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된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는,
기재(基材)와 당해 기재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당해 관능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1,100,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10.0 이하의 분자량의 다분산도(Mw/Mn)를 가지며,
상기 점착제층은,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 2시간 침지했을 때의 용출률이 48.0% 이하이고, 또한,
상기 점착 테이프는, 크리프 시험(온도 40℃, 하중 0.5kg)에 있어서의 800분 후의 어긋남량이 0.15㎜ 이상 0.50㎜ 이하이며,
상기 플라스틱 렌즈는 1.59 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상기 가교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5.0∼75.0㎎KOH/g의 산가를 가지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가지는 카르복실기(COOH)의 당량에 대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의 비(NCO/COOH)는, 0.20∼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원료인 단량체는, 탄소수 5∼18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로, 상기 점착제층은,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 2시간 침지했을 때의 용출률이 3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로, 상기 점착 테이프는,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800분 후의 어긋남량이 0.20㎜ 이상 0.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로, 상기 플라스틱 렌즈는, 티오우레탄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로, 상기 기재는, 시트 형상의 제 1 기재와, 무기 박막층과, 접착층과, 시트 형상의 제 2 기재를 차례로 적층한 복합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로, 상기 점착 테이프는, 1.5g/(㎡·24h) 이하의 JIS K 7129에 따르는 수증기 투과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은, 한 쌍의 몰드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하여, 상기 양 몰드의 외주연부에 상기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를 첩부하고, 상기 양 몰드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개구를 밀봉하여, 플라스틱 렌즈의 중합성 원료가 충전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캐비티 형성 공정과, 상기 캐비티 내에 1.59 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중합성 원료를 충전하는 중합성 원료 충전 공정과, 상기 중합성 원료를 중합하는 중합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추가로, 상기 중합 공정의 중합 조건은, 45℃ 이상 65℃ 이하의 중합 개시 온도, 130℃ 이상 150℃ 이하의 중합 최종 온도, 0.10℃/분 이상 0.45℃/분 이하의 상기 중합 최종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승온 속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로, 상기 플라스틱 렌즈는, 티오우레탄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를 단시간 승온 프로세스에 의해 성형할 때에, 성형품의 외주연부의 백화, 주름 등의 결함의 발생 및 점착 테이프 박리 시의 피착체에의 점착제 잔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및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점착 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에 사용하는 유리 몰드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점착 테이프의 구성)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기재와 기재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가진다. 기재는 점착제층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기재는, 인장 강도, 내열성 및 유연성을 가지는 필름 형상 재료를 말한다. 기재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복수의 층을 가지는 복합 재료여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점착 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는, 예를 들면 안경 렌즈 등에 이용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작의 용도로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는, 복합 기재(2)와 점착제층(3)이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합 기재(2)는, 제 1 기재(4) 상에 무기 박막층(5)이 형성된 제 1 적층체(10)와, 제 2 기재(7) 상에 접착층(6)이 형성된 제 2 적층체(20)가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제층(3)은, 복합 기재(2)에 있어서의 제 1 기재(4)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점착제층(3)은, 복합 기재(2)에 있어서의 제 3 기재(7)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에서는, 필요에 따라, 복합 기재(2)(제 1 기재(4))와 점착제층(3)의 사이나, 제 1 기재(4)와 무기 박막층(5)의 사이에,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앵커 코트층(도시 생략)를 마련해도 된다.
<복합 기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복합 기재(2)는, 제 1 적층체(10)와 제 2 적층체(20)가 적층됨으로써, 제 1 기재(4), 무기 박막층(5), 접착층(6) 및 제 2 기재(7)가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하, 복합 기재(2)를 구성하는 각 층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기재]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에 이용하는 제 1 기재(4)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 금속제 등의 기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기재(4)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술파이드,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아라미드, 폴리시클로올레핀, 불소계 수지 등의 수지 필름을 이용해도 된다.
상세에 관해서는 후단에서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제 1 기재(4) 상에는, 예를 들면 규소나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무기 박막층(5)을 마련한다.
제 1 기재(4)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이용한 경우에는, 제 1 기재(4)의 두께를, 9㎛ 이상 25㎛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기재(4)의 두께가 9㎛ 미만인 경우, 점착 테이프(1)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 1 기재(4)의 막두께의 불균일이 커져, 제 1 기재(4) 상에 무기 박막층(5)을 적층할 때에 주름, 꺽임 등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그 결과, 점착 테이프(1)에 있어서 수증기 투과도가 부분적으로 높아지는 경우가 있어, 점착 테이프(1)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플라스틱 렌즈에 기포나 백화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점착 테이프(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 1 기재(4) 상에 무기 박막층(5)을 적층한 제 1 적층체(10)는, 통상, 무기 박막층(5)측이 외주가 되도록, 권취(卷取)된다. 여기서, 제 1 기재(4)의 두께가 25㎛를 넘은 경우에는, 제 1 기재(4)의 두께가 25㎛ 이하인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적층체(10)를 권취했을 때에 제 1 적층체(10)의 외주측(무기 박막층(5)측)이 신장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제 1 적층체(10)에 있어서 무기 박막층(5)이 신장함으로써 무기 박막층(5)의 전체에 걸쳐 크랙(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무기 박막층(5)의 크랙이 발생한 점착 테이프(1)에서는, 수증기 투과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어, 점착 테이프(1)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플라스틱 렌즈에 기포나 백화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제 2 기재]
제 2 기재(7)의 재질은, 제 1 기재(4)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 금속제 등의 기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주성분으로 하는 기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기재(7)로서는, 제 1 기재(4)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술파이드,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아라미드, 폴리시클로올레핀, 불소계 수지 등의 수지 필름을 이용해도 된다.
제 2 기재(7)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이용한 경우에는, 제 2 기재(7)의 두께를 18㎛ 이상 38㎛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기재(7)의 두께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에는, 제 2 기재(7)의 강성(剛性)이 낮아지기 쉬워, 후술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2개의 몰드(50)(도 2 참조)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 2 기재(7)의 두께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 몰드(50)와 점착 테이프(1)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C) 사이에 주입한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수지(모노머 및 또는 올리고머를 의미함)(100)(도 2 참조)가 팽창하는 힘에 끝까지 저항할 수 없어 점착 테이프(1)에 깨짐이나 절단 등이 생겨 캐비티(C) 내에 공기가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 2 기재(7)의 두께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 캐비티(C) 내의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수지(100)가 수축하는 힘에 끝까지 저항할 수 없어, 점착 테이프(1)가 캐비티(C) 내의 중심을 향해 찌부러지도록 당겨져 주름이 발생하고, 형성되는 렌즈에 점착 테이프(1)의 주름에 기인한 주름(테이프 주름)이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제 2 기재(7)의 두께가 과도하게 큰 경우, 제 2 기재(7)의 강성이 높아지기 쉬워, 점착 테이프(1)의 신축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1)의 총 두께가 커져, 후술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몰드(50)에 대하여 점착 테이프(1)를 감았을 때에, 점착 테이프(1)가 포개지는 랩 부분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1)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버려, 캐비티(C)로부터 수지(100)가 누설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 1 기재(4)와 제 2 기재(7)의 관계에 대하여 고려하면, 제 2 기재(7)의 두께는, 제 1 기재(4)의 두께의 2배 이상 3배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기재(4)와 제 2 기재(7)가 이와 같은 관계를 가짐으로써, 점착 테이프(1)를 권취했을 때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 등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1)의 변형에 수반하여, 제 1 기재(4)와 제 2 기재(7)의 사이에 마련되는 무기 박막층(5)에 대하여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재(4)와 제 2 기재(7)가 이와 같은 관계를 가짐으로써, 점착 테이프(1) 전체의 강성 및 신축성을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용도로서 바람직한 범위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캐비티(C) 내로의 수분의 혼입이나 캐비티(C)로부터의 수지(100)의 누설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기재(4)와 제 2 기재(7)를 합친 합계의 두께는, 27㎛ 이상 6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기재(4)와 제 2 기재(7)를 합친 합계의 두께를 이와 같은 범위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1)가 포개지는 랩 부분의 단차에 의한 액 누설을 억제함과 함께, 수지(100)의 수축 등에 수반하는 변형에 의해 점착 테이프(1)가 파손되거나 벗겨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무기 박막층]
무기 박막층(5)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점착 테이프(1)의 방습성 및 가스 배리어성을 높여, 점착 테이프(1)에 있어서의 수분의 투과를 억제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무기 박막층(5)을 구성하는 무기 물질로서는, 규소, 알루미늄, 마그네슘, 아연, 주석, 니켈, 티탄, 탄화수소 등, 또는 이들의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규소 산화물, 규소 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 등의 탄화수소를 주체로 한 물질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무기 박막층(5)으로서,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을 이용하는 것이, 점착 테이프(1)에 있어서의 수분의 투과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 물질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무기 박막층(5)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증착법, 코팅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방습성 및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균일한 박막이 얻어진다는 점에서, 증착법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착법에는, 진공 증착, 이온 플레이팅, 스퍼터링 등을 포함하는 PVD(물리적 기상 증착법)이나, CVD(화학적 기상 증착법) 등의 방법이 포함된다.
무기 박막층(5)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50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5㎚∼40㎚의 범위이다. 무기 박막층(5)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수분의 투과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무기 박막층(5)에 있어서의 깨짐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무기 박막층(5)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 테이프(1)의 투명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착층]
접착층(6)은, 제 1 적층체(10)에 있어서의 무기 박막층(5)과, 제 2 적층체(20)에 있어서의 제 2 기재(7)를 접착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접착층(6)은,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층(6)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경화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접착층(6)에 이용되는 접착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에폭시계 접착제나 폴리에테르계 접착제 등의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6)의 두께로서는, 1㎛ 이상 1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6)의 두께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 접착층(6)과 무기 박막층(5)의 접착 강도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무기 박막층(5)과의 접착 강도가 저하한 경우에는, 무기 박막층(5)의 깨짐이 발생하여, 점착 테이프(1)에 있어서의 수증기 투과도가 높아지기 쉽다. 한편, 접착층(6)의 두께가 과도하게 큰 경우, 점착 테이프(1)의 총 두께가 두꺼워지기 쉽다. 그리고, 점착 테이프(1)의 총 두께가 두꺼워진 경우에는, 후술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몰드(50)에 대하여 점착 테이프(1)를 감았을 때에, 점착 테이프(1)가 포개지는 랩 부분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1)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버려, 캐비티(C)로부터 수지(100)가 누설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점착제층>
본 실시형태의 점착제층(3)은, 점착제의 주제(主劑)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하,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한 공중합체를 말한다. 단량체 혼합물에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관능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등이 포함된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100,000 이상, 분자량의 다분산도(Mw/Mn)가 10.0 이하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 평균 분자량(Mn)의 값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값을 사용한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100,000 미만이면, 필연적으로, 분자량 10,000 미만의 저분자량 성분이 증가하여, 단시간 승온 프로세스에 의한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점착제층(3)의 일부가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수지에 용출될 리스크가 높아져,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품의 외주연부에 백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2,0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000,000을 넘으면, 점착제 조성물 용액의 점도 증가에 의해, 균일한 도공성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점착제층(3)의 응력 완화성이 저하하여,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품의 측면에 주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200,000 이상, 1,500,00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의 다분산도(Mw/Mn)가, 10.0을 넘으면, 필연적으로, 분자량 10,000 미만의 저분자량 성분이 증가하여, 단시간 승온 프로세스에 의한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점착제층(3)의 일부가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수지에 용출될 리스크가 높아져,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품의 외주연부에 백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분자량의 다분산도(Mw/Mn)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의 다분산도(Mw/Mn)가 5.0 미만이면,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특히 큰 경우에, 점착제층(3)의 응력 완화성이 저하하여,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품의 측면에 주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분자량의 다분산도(Mw/Mn)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점착제의 주제 폴리머인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저분자량 성분을 거의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고도의 가교 구조화를 도모하지 않아도, 단시간 승온 프로세스에 의한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점착제층(3)의 일부가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수지(100)에 용출될 리스크를 대폭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3)은 필요 이상으로 딱딱해지지는 않고 적당한 응력 완화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의 경화 수축의 영향도 완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라스틱 렌즈 성형품의 주연부의 백화 및 측면의 주름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점착제층(3)의 응집력도 높기 때문에, 렌즈 캐비티(C)로부터 수지(100)가 누설되지 않고 중합 경화가 진행되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외주연부의 기포나 이지러짐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중합 경화 후에 점착 테이프(1)를 몰드(50)로부터 박리했을 때의 몰드(50) 및 플라스틱 렌즈 성형품의 측면의 점착제 잔존의 발생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고분자량화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용액 점도를 저감하는 관점, 및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어긋남량의 적정화의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는, 5∼18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8∼14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크면, 후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관능기가, 탄소수가 큰 알킬기에 의해 적절하게 은폐되어, 극단적으로 고도의 가교 구조를 형성하지 않으므로, 적당한 응력 완화성을 가지기 쉬워진다. 그 결과,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어긋남량을 적정한 범위로 하기 쉽다.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로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알킬기의 탄소수[이하, 단순히 탄소수라고 함]:8, 호모폴리머의 Tg[이하, 단순히 Tg라고 함]:-70℃),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탄소수:10, Tg:-60℃), 이소운데실아크릴레이트(탄소수:11), 이소도데실아크릴레이트(탄소수:12), 이소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탄소수:13), 이소미리스틸아크릴레이트(탄소수:14, Tg:-56℃), 데실메타크릴레이트(탄소수:10, Tg:-74℃), 도데실아크릴레이트(탄소수:12, Tg:-8℃),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탄소수:12, Tg:-65℃), 트리데실메타크릴레이트(탄소수:13, Tg:-40℃), 이소데실메타크릴레이트(탄소수:10, Tg:-41℃), 운데실메타크릴레이트(탄소수:11), 테트라데실메타크릴레이트(탄소수:14, Tg:-15℃)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관능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이타콘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단량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3)에 적당한 응력 완화성을 부여시키는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가지는 관능기는 카르복실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되어도 되는 그 밖의 단량체로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염화비닐, 알킬비닐에테르,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단량체, 관능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및 그 밖의 단량체의 함유 비율은,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단량체가 60∼99.3질량%, 관능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0.7∼10질량%, 그 밖의 단량체가 0∼39.3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단량체가 70∼99질량%, 관능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1∼5질량%, 그 밖의 단량체가 0∼29질량%이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관능기는, 후술의 가교제에 의해 가교되는 가교점이 되는 관능기이다. 당해 관능기는, 관능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공중합하는 것에 의해 측쇄로서 도입되지만, 이들 관능기 중에서도, 반응성, 범용성의 관점에서, 활성 수소를 가지는 카르복실기, 수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백화 및 주름 발생의 동시 억제의 관점에서, 카르복실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관능기가 카르복실기인 경우, 당해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산가는, 5.0∼75.0㎎KOH/g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7.0∼38.0㎎KOH/g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관능기가 수산기인 경우, 당해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수산기가는, 3.0∼48.0㎎KOH/g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4.8∼24.0㎎KOH/g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관능기의 양(산가, 수산기가)이, 상기 범위의 하한값 미만이면, 후술하는 가교제의 첨가량이 적은 경우, 점착제층(3)의 가교가 불충분해지기 때문에, 단시간 승온 프로세스에 의한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점착제층(3)의 일부가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수지에 용출될 리스크가 높아져,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품의 주연부에 백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점착제층(3)의 응집력도 불충분해져, 중합 경화 후에 점착 테이프(1)를 몰드(50)로부터 박리했을 때의 몰드(50) 및 플라스틱 렌즈 성형품의 측면에 점착제 잔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관능기의 양(산가, 수산기가)이, 상기 범위의 상한값을 넘으면, 점착제층(3)이 필요 이상으로 고도의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지나치게 딱딱해지기 때문에, 점착제층(3)의 응력 완화성이 저하하여,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품의 측면에 주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후술하는 가교제의 첨가량이 많은 경우, 점착제층(3)의 점착력이 저하하여, 몰드(50)에 대한 고정력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통상의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적으로 하는 단량체 조성에 따라, 필요한 단량체를 소정량 배합한 단량체 혼합물을, 용액 중합, 광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또는 유화 중합과 같은 중합 방식을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적당한 중합 개시제 또는 분자량 조절제나 연쇄 이동제 등이 함께 사용된다. 범용성, 작업성의 관점에서, 용액 중합에 의해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액 중합의 경우, 구체적으로는, 반응 용기 내에 모노머 성분 및 필요에 따라 연쇄 이동제, 중합 용매 등을 넣고, 예를 들면,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반응 개시 온도를 통상 40∼100℃의 범위로 설정하고, 당해 반응계의 유지 온도를 통상 50∼90℃의 범위로 설정하여, 2∼20시간 반응시킨다. 또한, 중합 반응 중에,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모노머 성분, 중합 용매를 적절히 추가 첨가해도 된다.
상기 중합 용매 중,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합에 있어서는, 고분자량화의 관점에서, 중합 반응 중에 연쇄 이동을 발생시키기 어려운 유기 용매, 예를 들면, 에스테르류, 케톤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용해성, 중합 반응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아세트산 에틸,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등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통상의 용액 중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과산화물, 아조계 화합물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중합 개시제 중,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합 시에는, 중합 초기의 중합 개시제로서 수소 인발 반응을 일으키기 어려운 아조계 화합물을 이용하고, 중합 후기의 중합 개시제로서 개시제 효율이 좋은 유기 과산화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합 초기와 중합 후기에 첨가하는 중합 개시제의 종류를 바꿈으로써, 높은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가지고, 적당한 분자량의 다분산도(Mw/Mn)를 가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적합하게 합성할 수 있다.
[가교제]
본 실시형태의 점착제층(3)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를 가교할 목적으로, 관능기를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관능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포함한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옥사졸린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금속 착체 등의 금속계 화합물,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제 중에서도, 반응성, 내열성 부여, 범용성의 관점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클로로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水添)된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 및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에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을 부가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이소시아누레이트화물, 뷰렛형 화합물, 나아가서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폴리부타디엔폴리올, 폴리이소프렌폴리올 등 부가 반응시킨 우레탄 프리폴리머형의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시판의 이소시아네이트계의 가교제, 예를 들면, 소켄화학사제의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미츠이화학사제의 타케네이트 A-56(상품명)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가교제의 함유량은,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백화 및 주름 발생의 동시 억제, 및 점착제 잔존의 억제의 관점에서, 점착 테이프(1)를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 2시간 침지했을 때의 점착제층의 용출률이 48% 이하,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800분 후의 어긋남량이 0.15㎜ 이상 0.50㎜ 이하가 되도록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관능기의 양과의 균형도 있으므로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상기 가교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1.3∼5.0질량부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가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가지는 활성 수소 함유 관능기의 당량비, 즉, NCO(가교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COOH(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 NCO(가교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OH(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수산기)의 당량비 NCO/COOH, NCO/OH로 말하면, 0.20∼0.8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점착제층(3)의 두께는, 10㎛ 이상 50㎛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3)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몰드(50)에 대한 고정력 및 점착 테이프(1)끼리의 포개짐부의 접착력이 저하하여, 렌즈 캐비티(C)로부터 수지(100)가 누설되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외주연부에 기포나 이지러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점착제층(3)의 두께가 50㎛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점착 테이프(1)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져, 점착 테이프의 랩부에 간극이 생기기 쉬워지고, 캐비티(C)로부터 수지(100)가 누설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점착 테이프)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는,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 2시간 침지했을 때의 점착제층(3)의 용출률이 48.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8.0% 이하이다. 상기 용출률이 48.0%를 넘으면, 후술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경화 개시 온도가 높고, 승온 시간도 단시간인 단시간 승온 경화 프로세스를 채용한 경우, 즉, 점착제층이 중합 초기 단계에 있어서 아직 충분히 경화되어 있지 않은 점조이며 또한 고온의 플라스틱 렌즈용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프리폴리머에 수시간 이상 노출된 경우, 점착제층으로부터 점착제 조성물의 일부가 플라스틱 렌즈 원료인 모노머나 프리폴리머에 용출될 리스크가, 종래의 상온부터 고온까지 장시간을 들여 점차 승온시키는 승온 경화 프로세스보다 급격하게 높아져, 그 용출물의 영향에 의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외주연부에 백화가 발생한다. 상기 용출률이 48.0% 이하이면, 그 용출물의 영향을 문제가 없는 레벨까지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외주연부에 품질상 문제가 되는 레벨의 백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는, 크리프 시험(온도 40℃, 하중 0.5kg)에 있어서의 800분 후의 어긋남량이 0.15㎜ 이상 0.50㎜ 이하이다. 상기 어긋남량이 이 범위이면, 후술하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중합성 모노머 및 또는 중합성 프리폴리머가 경화 수축해도,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외주연부에 주름이 발생하는 현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중합 경화 후에 점착 테이프(1)를 몰드(50)로부터 박리했을 때의 몰드(50) 및 플라스틱 렌즈 성형품의 측면의 점착제 잔존의 발생도 억제된다. 상기 어긋남량은, 바람직하게는 0.20㎜∼0.50㎜의 범위이다.
<점착 테이프의 두께>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점착 테이프(1)의 전체로서의 두께는, 37㎛ 이상 110㎛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점착 테이프(1)의 두께가 37㎛ 미만인 경우, 점착제층(3)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몰드(50)에 대한 고정력 및 점착 테이프(1)끼리의 포개짐부의 접착력이 저하하여, 렌즈 캐비티(C)로부터 수지(100)가 누설되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외주연부에 기포나 이지러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점착 테이프(1)의 두께가 110㎛를 넘는 경우, 점착 테이프(1)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져, 점착 테이프의 랩부에 간극이 생기기 쉬워져, 캐비티(C)로부터 수지(100)가 누설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계속해서, 도 1에 있어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가 적용되는 점착 테이프(1)를 예로 들어,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점착 테이프(1)는, 복합 기재(2)를 형성하고, 형성한 복합 기재(2)에 대하여 점착제층(3)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복합 기재의 형성]
먼저, 제 2 기재(7)로서 이용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접착제나 에폭시 수지 접착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그라비아 롤 등으로 도포하여 건조시킨다. 이에 의해, 제 2 기재(7) 상에 접착층(6)이 적층된 제 2 적층체(20)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형성한 제 2 적층체(20)에 대하여, 제 1 기재(4)로서 이용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상에 이산화규소 등으로 구성되는 무기 박막층(5)을 적층한 제 1 적층체(10)를, 무기 박막층(5)과 접착층(6)이 대향하도록 첩합(貼合)한다. 이에 의해, 제 1 적층체(10)와 제 2 적층체(20)가 적층된 복합 기재(2)가 형성된다. 그 후, 제 1 적층체(10)측(제 1 기재(4)측)이 내측이 되도록, 복합 기재(2)를 권취하고, 권취한 복합 기재(2)를 40℃∼50℃ 분위기 하에서, 48시간 에이징한다.
그런데, 복합 기재(2)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 1 기재(4) 상에 적층된 무기 박막층(5)에 대하여 접착제를 직접 도포함으로써 접착층(6)을 형성하고, 이 접착층(6) 상에 제 2 기재(7)를 적층함으로써 복합 기재(2)를 형성한 경우에는, 무기 박막층(5)에 깨짐이나 균열 등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기 박막층(5)에 접착제를 도포할 때나, 무기 박막층(5) 상에 형성된 접착층(6) 상에 제 2 기재(7)를 추가로 적층할 때 등에, 무기 박막층(5)에 대하여 부하가 걸려, 무기 박막층(5)에 깨짐이나 균열 등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무기 박막층(5)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1)에서는, 무기 박막층(5)의 깨짐 등에 있어서 수분이 투과하기 쉬워져, 수증기 투과도가 상승할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층(6)을 무기 박막층(5) 상에 직접 적층하지 않고, 접착층(6)을 제 2 기재(7) 상에 적층하여 제 2 적층체(20)를 형성한 후, 제 1 적층체(10)와 제 2 적층체(20)를 첩합함으로써 복합 기재(2)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복합 기재(2)를 형성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과 같이 무기 박막층(5) 상에 직접, 접착층(6)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무기 박막층(5)에 대하여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무기 박막층(5)에 있어서의 깨짐이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점착 테이프(1)의 수증기 투과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점착제층의 형성]
계속해서, 에이징이 종료된 복합 기재(2)에 대하여, 제 1 적층체(10)에 있어서의 제 1 기재(4) 상에,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3)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를 아세트산 에틸, 톨루엔, 크실렌 등의 유기 용제에 용해한 용액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로 한다. 이어서, 이 점착제 조성물을, 복합 기재(2)에 있어서의 제 1 기재(4)에 대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균일해지도록, 콤마 코터나 립 코터 등으로 도포한다. 그 후, 도포한 점착제 조성물을 소정 온도에서 건조시킴으로써, 복합 기재(2) 상에 점착제층(3)을 형성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점착 테이프(1)(제 1 실시형태)가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기재에 대하여 콤마 코터나 립 코터 등을 이용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기재에 장력을 가하면서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를 행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무기 박막층(5)과 같은 무기 물질을 가지는 박막이 기재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기재에 점착제층을 형성할 때에, 기재에 장력이 가해지거나, 박막이 가이드 롤에 접촉함으로써, 박막에 부하가 걸려, 박막에 깨짐 등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박막에 깨짐 등이 생긴 경우에는, 박막의 깨짐 등을 개재하여 수분이 투과하기 쉬워짐으로써,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수증기 투과도가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관하여,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의 복합 기재(2)는, 무기 박막층(5)을, 접착층(6)을 개재하여 제 1 기재(4)와 제 2 기재(7)에 의해 사이에 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복합 기재(2)에 대하여 점착제층(3)을 형성하는 경우에, 복합 기재(2)에 대하여 장력을 가한 경우라도,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기재(4) 및 제 2 기재(7)에 의해 무기 박막층(5)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져, 무기 박막층(5)에 깨짐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무기 박막층(5)에 있어서의 깨짐 등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점착 테이프(1)에 있어서의 수증기 투과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의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점착 테이프(1)는, 통상, 점착제층(3)이 내측이 되도록 권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제층(3)을 제 1 기재(4) 상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1)를 권취한 상태에서는, 복합 기재(2)는 제 1 기재(4)측이 내측이 되도록 권취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복합 기재(2)의 형성 공정에서는, 제 1 적층체(10)를 에이징할 때에, 제 1 기재(4)측이 내측이 되도록 제 1 적층체(10)를 권취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조된 점착 테이프(1)가 권취된 상태와, 복합 기재(2)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 제 1 적층체(10)가 권취된 상태에서, 제 1 적층체(10)의 권취 방향이 동일하게 되어 있어, 점착 테이프(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 1 적층체(10)에 마련된 무기 박막층(5)의 권취 방향이 변화하고 있지 않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점착 테이프(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무기 박막층(5)의 권취 방향이 변화한 경우에는, 무기 박막층(5)에 대하여 부하가 걸려 크랙이나 결함, 깨짐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 테이프(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무기 박막층(5)의 권취 방향을 변화시키지 않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무기 박막층(5)에 대한 부하를 억제하여, 무기 박막층(5)에 깨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점착 테이프를 이용한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는, 예를 들면, 안경 렌즈 등으로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에 이용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를 이용한,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에 사용하는 유리 몰드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캐비티 형성 공정]
먼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대략 원판 형상의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몰드(5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시킨 후에, 양 몰드(50)의 외주연부에 점착 테이프(1)를 둘레 방향을 따라 권부(卷付)하도록 첩부한다. 그리고, 몰드(50)끼리의 간격을 보지한 상태에서, 몰드(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개구를 연속적으로 밀봉한다. 이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몰드(50)끼리가 대략 평행을 이루어 연결됨과 함께, 그 사이에 렌즈 형상의 캐비티(C)가 구획 형성된다. 또한, 몰드(50)로서는, 일반적으로 유리(이산화규소)제의 것이나 금속제의 것이 다용되지만, 몰드(50)의 재질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 충전 공정]
몰드(50) 사이에 캐비티(C)를 형성한 후, 계속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1)의 일단을 박리하여 간극을 두고, 그 간극으로부터 캐비티(C)에 도시하지 않은 노즐을 꽂는다. 그리고, 그 노즐로부터 캐비티(C) 내에 액상의 수지(100)를 주입하여 충전한다. 그 후, 박리한 점착 테이프(1)를 원상태로 되돌리고, 간극을 막는다. 또한, 캐비티(C) 내에 주입·충전하는 수지(100)는, 예를 들면, 중합성 모노머 및 또는 중합성 프리폴리머에 중합 개시제나 가교제를 첨가한 것이다.
[중합 공정]
다음에, 점착 테이프(1)를 권부하여 캐비티(C) 내에 수지(100)를 주입한 몰드(50)를 중합로(重合爐) 내에 나열하고, 캐비티(C) 내의 수지(100)를 가열 또는 광조사 등에 의해 중합 반응시켜 경화시킨다. 이어서, 수지(100)가 충분히 경화한 후, 점착 테이프(1)를 모두 박리하여 몰드(50)를 떼어냄으로써, 플라스틱 렌즈가 얻어진다. 여기서, 가열에 의한 중합 공정에 있어서의 단시간 승온 프로세스로서, 중합 개시 온도는 45℃ 이상 65℃ 이하, 최종의 경화 온도 130℃ 이상 150℃ 이하에 도달할 때까지의 승온 속도가 0.10℃/분 이상 0.45℃/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 온도, 최종의 경화 온도 및 승온 속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단시간 승온 프로세스여도, 얻어지는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의 품질을 문제가 없는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형성된 플라스틱 렌즈는, 예를 들면 안경 렌즈로서 이용된다. 여기서,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에 이용하는 수지(100)(중합성 모노머 또는 중합성 프리폴리머)로서는, 종래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고굴절률(굴절률:1.65 이상)의 안경 렌즈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에피술파이드계 수지(미츠이화학주식회사제 MR-174(상품명), 미츠비시가스화학주식회사제 IU-20(상품명))나 티오우레탄계 수지(미츠이화학주식회사제 MR-7(상품명))의 모노머나 프리폴리머 등이 이용된다.
또한, 고굴절률(굴절률:1.59 이상 1.65 미만)의 안경 렌즈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티오우레탄계 수지(미츠이화학주식회사제 MR-6(상품명), 미츠이화학주식회사제 MR-8(상품명))나 폴리에스테르메타크릴레이트(주식회사도쿠야마제 TS-26(상품명)), 폴리카보네이트(데이진카세이주식회사제 Panlite(상품명))의 모노머나 프리폴리머 등이 이용된다.
종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중합 공정에 있어서, 외기 중의 수분이 점착 테이프(1)를 투과하여 캐비티(C) 내에 침입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수분이 수지(100)에 혼입되어, 예를 들면 수지(100)에 첨가된 가교제와 반응하여 기체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 결과, 플라스틱 렌즈 중에 공극이 형성되어, 얻어지는 플라스틱 렌즈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백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여기서, 외기 중의 수분이 수지(100)에 혼입됨으로써 형성된 플라스틱 렌즈 중의 공극이 큰 경우에는, 플라스틱 렌즈의 주로 주연부에 기포가 발생하고, 공극이 작은 경우에는, 플라스틱 렌즈의 주로 중앙부에 백화가 발생한다.
특히, 티오우레탄계 수지와 같이, 수지(100)의 경화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지(100)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기)와 수지(100)에 혼입된 수분이 반응하여, 부생성물로서 CO2 가스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CO2 가스에 의해 공극이 형성됨으로써, 플라스틱 렌즈에 기포나 백화가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에서는, 점착 테이프(1)에 있어서의 수분의 투과를 억제하기 위한 무기 박막층(5)을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점착 테이프(1)는, 접착층(6)을 개재하여, 무기 박막층(5)을 제 1 기재(4)와 제 2 기재(7)에 의해 사이에 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점착 테이프(1)에서는, 제 1 기재(4) 및 제 2 기재(7)에 의해 무기 박막층(5)이 보호되어, 점착 테이프(1)의 제조 공정이나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무기 박막층(5)에 깨짐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라스틱 렌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무기 박막층(5)에 있어서의 깨짐 등에 기인하여 외기 중의 수분이 점착 테이프(1)를 투과하여 캐비티(C) 내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형성되는 플라스틱 렌즈에 있어서, 캐비티(C) 내의 수지(100)에 수분이 혼입됨으로써 일어나는 기포나 백화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계속해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점착 테이프(1)의 제작 및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실시예 1)
제 1 기재(4)로서의 두께 1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실리카를 증착하여 무기 박막층(5)을 적층한 제 1 적층체(10)(미쓰비시수지주식회사제 테크배리어LX(상품명))와, 제 2 기재(7)로서의 두께 25㎛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미쓰비시수지주식회사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접착층(6)으로서의 두께 1㎛의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미츠이화학주식회사제 타케랙 A-310/타케네이트 A-3(상품명))를 적층한 제 2 적층체(20)를, 무기 박막층(5)과 접착층(6)이 대향하도록 첩합하여 복합 기재(2)를 형성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1(메타크릴산 도데실/아크릴산/아세트산 비닐=78질량%/2질량%/20질량%, 산가 14.8㎎KOH/g)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톨루엔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320,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9.3이었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49℃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250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6.8질량부(고형분 환산 3.0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49)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형성한 점착 테이프(1)를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낸 방법으로 굴절률이 상이한 2종류의 티오우레탄계의 플라스틱 렌즈 PL1, PL2를 성형했다. 플라스틱 렌즈 PL1의 성형용 수지의 주원료로서는,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56.48질량부 및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3.52질량부의 혼합물을 이용했다. 첨가제로서, 주석계 촉매 0.007질량부, 산성 인산 에스테르계 내부 이형제 0.14질량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0.10질량을 이용했다.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첨가제를 감압 하에서 교반 혼합한 후,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를 첨가하여, 감압 하, 60℃에서 천천히 교반 혼합했다. 점도가 200cps(23℃)가 된 시점에 교반 혼합을 종료하여, 플라스틱 렌즈 PL1 성형용의 수지 조성물을 제작했다. 플라스틱 렌즈 PL2의 성형용 수지의 주원료로서는, 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1-티올 48.09질량부 및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51.91질량부의 혼합물을 이용했다. 첨가제로서, 주석계 촉매 0.007질량부, 산성 인산 에스테르계 내부 이형제 0.14질량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0.10질량을 이용했다. m-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첨가제를 감압 하에서 교반 혼합한 후, 2,3-비스(2-메르캅토에틸티오)프로판-1-티올을 첨가하여, 감압 하, 60℃에서 천천히 교반 혼합했다. 점도가 200cps(23℃)가 된 시점에 교반 혼합을 종료하여, 플라스틱 렌즈 PL2 성형용의 수지 조성물을 제작했다. 중합 개시 온도는 60℃로 하고, 10시간 걸쳐 중합 최종 온도 130℃로 상승시켜(승온 속도:0.12℃/min), 시료를 130℃에서 5시간 보지한 후, 2시간 걸쳐 60℃로 냉각하여, 티오우레탄계 플라스틱 렌즈 PL1(굴절률 1.60) 및 티오우레탄계 플라스틱 렌즈 PL2(굴절률 1.67)를 얻었다.
(실시예 2)
아크릴계 공중합체 A2(메타크릴산 도데실/아크릴산/아세트산 비닐=78질량%/2질량%/20질량%, 산가 14.9㎎KOH/g)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톨루엔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A2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100,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9.8이었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49℃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250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6.8질량부(고형분 환산 3.0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49)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3)
아크릴계 공중합체 A3(메타크릴산 도데실/아크릴산/아세트산 비닐=78질량%/2질량%/20질량%, 산가 14.5㎎KOH/g)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톨루엔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A3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380,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9.5였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49℃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250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6.8질량부(고형분 환산 3.0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50)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4)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의 사용량을 5.0질량부(고형분 환산 2.3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36)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1) 및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5)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의 사용량을 8.3질량부(고형분 환산 3.7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60)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1) 및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6)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의 사용량을 3.2질량부(고형분 환산 1.4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23)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1) 및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7)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의 사용량을 10.0질량부(고형분 환산 4.5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72)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1) 및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8)
아크릴계 공공중합체 B(메타크릴산 도데실/아크릴산/아세트산 비닐=79질량%/1질량%/20질량%, 산가 7.5㎎KOH/g)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톨루엔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B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350,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9.2였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50℃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250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5.3질량부(고형분 환산 2.4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75)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9)
아크릴계 공중합체 C(메타크릴산 도데실/아크릴산/아세트산 비닐=75질량%/5질량%/20질량%, 산가 37.1㎎KOH/g)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톨루엔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C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150,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9.7이었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45℃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250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10.1질량부(고형분 환산 4.5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29)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10)
아크릴계 공중합체 D(아크릴산 도데실/아크릴산 2-에틸헥실/아크릴산=78질량%/20질량%/2질량%, 산가 14.9㎎KOH/g)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톨루엔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중합체 D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200,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9.7이었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22℃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250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6.8질량부(고형분 환산 3.0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49)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11)
아크릴계 공중합체 E(메타크릴산 이소데실/아크릴산/아세트산 비닐=78질량%/2질량%/20질량%, 산가 14.6㎎KOH/g)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톨루엔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E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360,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9.2였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27℃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250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6.8질량부(고형분 환산 3.0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50)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12)
아크릴계 공중합체 F(메타크릴산 테트라데실/아크릴산 2-에틸헥실/아크릴산=88질량%/10질량%/2질량%, 산가 14.9㎎KOH/g)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톨루엔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F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100,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10.0이었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20℃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250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5.0질량부(고형분 환산 2.3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36)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13)
아크릴계 공중합체 G(아크릴산 2-에틸헥실/아크릴산/아세트산 비닐=83질량%/2질량%/15질량%, 산가 15.0㎎KOH/g)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톨루엔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G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380,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10.0이었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57℃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250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8.3질량부(고형분 환산 3.7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59)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14)
아크릴계 공중합체 H(메타크릴산 도데실/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아세트산 비닐=83질량%/2질량%/15질량%, 수산기가 10.0㎎KOH/g)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톨루엔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H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420,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9.8이었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54℃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250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5.0질량부(고형분 환산 2.3질량부, NCO/OH의 당량비=0.53)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비교예 1)
아크릴계 공중합체 I(아크릴산 n-부틸/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85질량%/10질량%/5질량%, 수산기가 24.0㎎KOH/g)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조정했다. 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I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753,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17.1이었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48℃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333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6.7질량부(고형분 환산 3.0질량부, NCO/OH의 당량비=0.30)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비교예 2)
아크릴계 공중합체 I(아크릴산 n-부틸/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85질량%/10질량%/5질량%, 수산기가 24.0㎎KOH/g)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조정했다. 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I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753,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17.1이었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48℃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333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11.2질량부(고형분 환산 5.0질량부, NCO/OH의 당량비=0.50)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비교예 3)
아크릴계 공중합체 J(아크릴산 2-에틸헥실/아크릴산/아세트산 비닐=89.5질량%/0.5질량%/10질량%, 산가 3.8㎎KOH/g)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톨루엔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중합체 J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20,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31.2였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63℃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333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3.3질량부(고형분 환산 1.5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1.07)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비교예 4)
아크릴계 공중합체 K(아크릴산 n-부틸/아크릴산 메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50질량%/45질량%/5질량%)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톨루엔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K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672.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18.2였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28℃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333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3.3질량부(고형분 환산 1.5질량부, NCO/OH의 당량비=0.15)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3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비교예 5)
아크릴계 공중합체 A4(메타크릴산 도데실/아크릴산/아세트산 비닐=78질량%/2질량%/20질량%, 산가 14.8㎎KOH/g)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의 아세트산 에틸/톨루엔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A4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240,000이고, 다분산도(Mw/Mn)는 16.7이었다. 또한, Fox의 식으로부터 계산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49℃였다.
계속해서, 이 점착제 용액 250질량부(고형분 환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 3.2질량부(고형분 환산 1.4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23)를 디스퍼로 배합하여, 도공용 점착제 용액(고형분 농도 40질량%)을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도공용 점착제 용액을, 복합 기재(2)의 제 1 기재(4)에 도공한 후, 110℃의 온도에서 3분간 가열함으로써, 건조 후의 두께가 30㎛인 점착제층(3)을 형성했다. 이에 의해, 건조 후의 총 두께가 68㎛인 점착 테이프(1)를 얻었다.
(비교예 6)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의 사용량을 11.7질량부(고형분 환산 5.3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84)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1) 및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비교예 7)
소켄화학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코로네이트 L-45"(상품명, 고형분 농도 45질량%, NCO 함유량 8질량%)의 사용량을 2.6질량부(고형분 환산 1.2질량부, NCO/COOH의 당량비=0.19)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 테이프(1) 및 플라스틱 렌즈를 얻었다.
2. 평가 방법
(1) 점착 테이프(1)의 평가 방법
(1-1) 점착력 시험
23℃의 온도 조건 하에서,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7에서 제작한 점착 테이프(1)에 관하여, JIS Z 0237(2009)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대(對)연마 SUS 점착력 시험(떼어냄 점착력 시험)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점착 테이프(1)를 연마한 스테인리스판(SUS304)에 첩부하고, 질량 2kg의 롤러를 5㎜/초의 속도로 1왕복시켜, 압착했다. 계속해서, 20∼40분 방치한 후, 인장력 시험기를 이용하여, 스테인리스판에 대하여 180° 방향으로 5㎜/초의 속도로 떼어내어, 대연마 SUS판에 대한 점착력을 측정했다.
(1-2) 보지력 시험
23℃의 온도 조건 하에서,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7에서 제작한 점착 테이프(1)에 관하여, JIS Z 0237(2009)에 기재된 방법에 준거하여, 대연마 SUS 점착력 시험(보지력 시험)을 행했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을 대연마 SUS판(SUS304)에 대하여, 점착 테이프(1)의 길이 방향의 단부가 밀려 나오도록 하여 사이즈 25㎜×25㎜의 면적으로 첩합하였다. 그리고, 점착 테이프(1) 상에 질량 2kg의 롤러를 5㎜/초의 속도로 1왕복시켜, 압착했다. 계속해서, 점착 테이프(1)를 압착하고 나서 약 20분∼40분 경과한 후, 40℃의 온도 조건 하에서, 질량 1kg의 추를 점착 테이프(1)의 단부에 장착했다. 그리고, 추를 장착하고 나서 점착 테이프(1)가 연마 SUS판으로부터 완전히 벗겨져 떨어질 때 까지의 경과 시간, 또는 24시간 경과 후의 점착 테이프(1)의 어긋남량(㎜)을 측정했다.
(1-3) 크리프 시험
23℃의 온도 조건 하에서,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7에서 제작한 점착 테이프(1)에 관하여, 점착제층을, 대연마 SUS판(SUS304)에 대하여, 점착 테이프(1)의 길이 방향의 단부가 밀려 나오도록 하여 사이즈 25㎜×25㎜의 면적으로 첩합하였다. 그리고, 점착 테이프(1) 상에 질량 2kg의 롤러를 5㎜/초의 속도로 1왕복시켜, 압착했다. 계속해서, 점착 테이프(1)를 압착하고 나서 약 20분∼40분 경과한 후, 40℃로 조정한 6개 걸이 기록식 크리프 테스터(주식회사도요정기제작소, 형식 C100-6)에 시험편을 걸고, 질량 0.5kg의 하중을 걸었다. 그 후, 800분 후의 어긋남량(㎜)을 측정함으로써, 크리프 시험을 행했다. 또한, 어긋남량은 6 시험편의 평균값으로 했다.
(1-4) 점착층의 용출률의 측정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7에서 제작한 점착 테이프(1)에 관하여, 사이즈 25㎜×25㎜의 면적으로 재단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계속해서, 20℃ 및 80℃로 조정한 톨루엔에 2시간 침지시키고, 침지 전후의 중량을 측정하여, 하기 (1)식에 의해, 각각의 온도의 톨루엔에 대한 용출률의 측정을 행했다.
용출률(%)={1-[(W2-W0)/(W1-W0)]}×100 (1)
(W0:기재의 중량, W1:침지 전의 시험편의 중량, W2:침지, 건조 후의 시험편의 중량)
(2) 플라스틱 렌즈의 평가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7에서 조제한 점착 테이프(1)를 이용하여 제작한 플라스틱 렌즈 PL1, PL2에 관하여, 육안에 의해 백화, 주름, 기포의 발생의 유무의 관찰, 평가했다. 또한, 점착 테이프(1) 박리 후의 몰드 및 플라스틱 렌즈의 측면에 대한 점착제 잔존의 유무에 관해서도, 육안에 의해 평가했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의 백화란, 플라스틱 렌즈에 대하여 광을 조사한 경우에, 플라스틱 렌즈가 하얗게 흐려져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플라스틱 렌즈에 대한 백화, 주름, 기포의 발생, 및 몰드 및 플라스틱 렌즈 측면에 대한 점착제 잔존의 발생에 관한 평가는, 이하의 기준으로 행했다.
(백화의 발생)
A : 백화가 관찰되지 않는다.
B : 백화가, 플라스틱 렌즈 외주연부에 있어서, 조금 관찰된다.
C : 백화가, 플라스틱 렌즈 외주연부에 있어서, 명확하게 관찰된다.
(기포의 발생)
A : 기포가 관찰되지 않는다.
B : 기포가, 플라스틱 렌즈 외주연부에 있어서, 조금 관찰된다.
C : 기포가, 플라스틱 렌즈 외주연부에 있어서, 명확하게 관찰된다.
(주름의 발생)
A : 주름이 관찰되지 않는다.
B : 주름이, 플라스틱 렌즈 측면부에 있어서, 조금 관찰된다.
C : 주름이, 플라스틱 렌즈 측면부에 있어서, 명확하게 관찰된다.
(점착제 잔존의 발생)
A : 점착제 잔존이 관찰되지 않는다.
B : 점착제 잔존이, 몰드 및 또는 플라스틱 렌즈 측면부에 있어서, 조금 관찰된다.
C : 점착제 잔존이, 몰드 및 또는 플라스틱 렌즈 측면부에 있어서, 명확하게 관찰된다.
어느 시험에 있어서도, A 또는 B의 평가를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로 판정했다.
3. 시험 결과
실시예 1∼14 및 비교예 1∼7의 점착 테이프(1)에 대한 평가 결과에 관하여, 표 1∼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3)으로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100,000 이상, 분자량의 다분산도(Mw/Mn)가 10.0 이하인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A1∼A3, B∼H) 및 당해 관능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 대한 용출률을 48.0% 이하,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어긋남량을 0.15㎜ 이상 0.50㎜ 이하로 한 실시예 1∼14의 점착 테이프(1)에서는,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 PL1(굴절률 1.60) 및 PL2(굴절률 1.67)의 단시간 승온 프로세스에 의한 성형에 있어서, 백화를 비롯한 외관의 각 특성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산가가 14.8㎎KOH/g으로 동일하고, 가교제의 함유량만이 상이한 실시예 1, 실시예 4∼7의 비교에 있어서, 가교제의 함유량이 1.4질량%(NCO/COOH=0.23)로 가장 적은 실시예 6은,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 대한 용출률이 47.7%로 다른 실시예보다 크기 때문에, 점착제층(3)의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수지에의 용출량이 약간 많아져,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외주연부에 백화가 조금 관찰되었다. 또한, 가교제의 함유량이 4.5질량%(NCO/COOH=0.72)로 가장 많은 실시예 7은,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어긋남량이 0.15㎜로 다른 실시예보다 작기 때문에, 점착제층(3)의 응집력이 약간 커서, 즉 응력 완화성이 약간 떨어져서,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측면에 주름이 조금 관찰되었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산가가 37.1㎎KOH/g으로 크고, 가교제의 함유량이 4.5질량%로 많은 실시예 9도,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어긋남량이 0.15㎜로 다른 실시예보다 작기 때문에, 점착제층(3)의 응집력이 약간 커서, 즉 응력 완화성이 약간 떨어져서,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측면에 주름이 조금 관찰되었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주성분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알킬기의 탄소수의 수가 8개이고, 가교제의 함유량이 3.7질량부인 실시예 13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주성분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알킬기의 탄소수의 수가 12개이고, 가교제의 함유량이 3.7질량부인 실시예 5와 비교하여,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어긋남량이 0.18㎜로 작기 때문에, 점착제층(3)의 응집력이 약간 커서, 즉 응력 완화성이 약간 떨어져서,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측면에 주름이 조금 관찰되었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관능기가 수산기이고, 가교제의 함유량이 2.3질량부인 실시예 14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관능기가 카르복실기이고, 가교제의 함유량이 2.3질량부인 실시예 4와 비교하여,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어긋남량이 0.15㎜로 작기 때문에, 점착제층(3)의 응집력이 약간 커서, 즉 응력 완화성이 약간 떨어져서,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측면에 주름이 조금 관찰되었다.
이에 의해, 점착제층(3)으로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100,000 이상, 분자량의 다분산도(Mw/Mn)가 10.0 이하인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당해 관능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의 용출률을 48.0% 이하,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어긋남량을 0.15㎜ 이상 0.50㎜ 이하가 되도록 설계한 실시예 1∼14의 점착 테이프(1)는, 고굴절률 플라스틱 렌즈의 단시간 승온 프로세스에 의한 성형용 점착 테이프용으로서 유용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비하여, 표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3)이, 본 발명의 구성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비교예 1∼7은, 백화, 주름, 기포, 점착제 잔존 중 적어도 어느 것의 평가 결과가 실시예 1∼14보다 떨어지는 결과인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753,000으로 작고, 분자량의 다분산도가(Mw/Mn)가 17.1로 큰 아크릴계 공중합체 I를 이용한 비교예 1은, 가교가 불충분한 저분자량 성분의 영향으로,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의 용출률이 80.0%로 실시예와 비교하여 극히 크기 때문에, 점착제층(3)의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수지에의 용출량이 많아져,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외주연부에 백화가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주성분인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알킬기의 탄소수의 수가 4개이고,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관능기가 수산기이기 때문이라고 추측되지만,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어긋남량도 0.10㎜로 실시예와 비교하여 극히 작기 때문에, 점착제층(3)의 응집력이 커서, 즉 응력 완화성이 떨어져서,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측면에 주름이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비교예 1에 비하여, 가교제의 함유량을 5.0질량%까지 많게 한 비교예 2는,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의 용출률이 45.0%로 작아져,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외주연부의 백화는 조금 관찰되는 정도로 개선되었지만,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어긋남량도 0.10㎜ 이하로 더 작아졌기 때문에,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측면의 주름에 관해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20,000으로 작고, 분자량의 다분산도가(Mw/Mn)가 31.2로 극히 큰 아크릴계 공중합체 J를 이용한 비교예 3은, 가교가 불충분한 저분자량 성분의 영향으로,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의 용출률이 75.8%로 실시예와 비교하여 극히 크기 때문에, 점착제층(3)의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수지에의 용출량이 많아져,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외주연부에 백화가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산가가 3.8㎎KOH/g이기 때문이라고 추측되지만,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어긋남량은 0.60㎜였기 때문에,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측면에 주름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점착제 잔존에 관해서는, 점착 테이프(1) 박리 후의 몰드의 측면에 조금 관찰되는 레벨이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672,000으로 작고, 분자량의 다분산도가(Mw/Mn)가 18.2로 크고,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알킬기의 탄소수의 수가 1개인 아크릴산 메틸을 45질량%,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알킬기의 탄소수의 수가 4개인 아크릴산 부틸을 50질량%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K를 이용한 비교예 4는, 특히 아크릴산 메틸의 용해도 파라미터 SP값이 톨루엔의 SP값과 떨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되지만,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의 용출률이 31.0%로서,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외주연부에 백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관능기가 수산기이고,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알킬기의 탄소수의 수가 작기 때문이라고 추측되지만,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어긋남량도 0.11㎜로 실시예와 비교하여 작기 때문에,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측면에 주름이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점착제 잔존에 관해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672,000으로 작기 때문이라고 추측되지만, 점착 테이프(1) 박리 후의 몰드의 측면에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240,000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충족시키고 있지만, 분자량의 다분산도가(Mw/Mn)가 16.7로 커서 본 발명의 범위 외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A-4를 이용한 비교예 5는,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의 용출률이 51.6%로 비교예 1, 비교예 3과 비교하여 작아져 있기는 하지만, 실시예와 비교하여 당해 값은 여전히 크기 때문에, 점착제층(3)의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수지에의 용출량이 많아져,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외주연부에 백화가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 분자량의 다분산도가(Mw/Mn)가 본 발명의 범위를 충족시키고 있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이용하고는 있지만, 가교제의 함유량의 증량 조정에 의해,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어긋남량이 0.10㎜ 이하가 된 비교예 6은,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외주연부에 백화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측면에 주름이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Mw), 분자량의 다분산도가(Mw/Mn)가 본 발명의 범위를 충족시키고 있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이용하고는 있지만, 가교제의 함유량의 감량 조정에 의해,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의 용출률이 49.5%가 된 비교예 7은,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측면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얻어진 플라스틱 렌즈 PL1 및 PL2의 외주연부에 백화가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또한, 점착제 잔존에 관해서는, 점착 테이프(1) 박리 후의 몰드의 측면에 조금 관찰되는 레벨이었다.
1 : 점착 테이프
2 : 복합 기재
3 : 점착제층
4 : 제 1 기재
5 : 무기 박막층
6 : 접착층
7 : 제 2 기재
10 : 제 1 적층체
20 : 제 2 적층체
50 : 몰드
100 :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수지
C : 캐비티

Claims (12)

  1. 기재와 당해 기재의 표면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당해 관능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1,100,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10.0 이하의 분자량의 다분산도(Mw/Mn)를 가지며,
    상기 점착제층은,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 2시간 침지했을 때의 용출률이 48.0% 이하이고, 또한,
    상기 점착 테이프는, 크리프 시험(온도 40℃, 하중 0.5kg)에 있어서의 800분 후의 어긋남량이 0.15㎜ 이상 0.50㎜ 이하이며,
    상기 플라스틱 렌즈는 1.59 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관능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상기 가교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인,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5.0∼75.0㎎KOH/g의 산가를 가지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가지는 카르복실기(COOH)의 당량에 대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NCO)의 당량의 비(NCO/COOH)는, 0.20∼0.80인,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원료인 단량체는, 탄소수 5∼18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80℃의 온도로 조정된 톨루엔에 2시간 침지했을 때의 용출률이 38% 이하인,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크리프 시험에 있어서의 800분 후의 어긋남량이 0.20㎜ 이상 0.50㎜ 이하인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는, 티오우레탄계 수지인,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시트 형상의 제 1 기재와, 무기 박막층과, 접착층과, 시트 형상의 제 2 기재를 차례로 적층한 복합 기재인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1.5g/(㎡·24h) 이하의 JIS K 7129에 따르는 수증기 투과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10. 한 쌍의 몰드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하여, 상기 양 몰드의 외주연부에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를 첩부하고, 상기 양 몰드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개구를 밀봉하여, 플라스틱 렌즈의 중합성 원료가 충전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캐비티 형성 공정과,
    상기 캐비티 내에 1.59 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중합성 원료를 충전하는 중합성 원료 충전 공정과,
    상기 중합성 원료를 중합하는 중합 공정을,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공정의 중합 조건은, 45℃ 이상 65℃ 이하의 중합 개시 온도, 130℃ 이상 150℃ 이하의 중합 최종 온도, 0.10℃/분 이상 0.45℃/분 이하의 상기 중합 최종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승온 속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렌즈는, 티오우레탄계 수지인, 플라스틱 렌즈 성형 방법.
KR1020217028749A 2019-03-28 2020-01-28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및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 KR202101481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64565 2019-03-28
JP2019064565A JP7144352B2 (ja) 2019-03-28 2019-03-28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型用粘着テープ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成型方法
PCT/JP2020/003009 WO2020195119A1 (ja) 2019-03-28 2020-01-28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型用粘着テープ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成型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104A true KR20210148104A (ko) 2021-12-07

Family

ID=7260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749A KR20210148104A (ko) 2019-03-28 2020-01-28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및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95257A1 (ko)
JP (2) JP7144352B2 (ko)
KR (1) KR20210148104A (ko)
CN (1) CN113543949A (ko)
WO (1) WO202019511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5650A (ja) 1992-03-10 1993-10-05 Nitto Denko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製造用接着テープ
JPH10114825A (ja) 1996-04-19 1998-05-06 Mitsui Chem Inc 光学樹脂用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18525499A (ja) 2015-08-21 2018-09-06 ピーピージー・インダストリーズ・オハイ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PPG Industries Ohio,Inc. 成型光学物品を調製するためのバッチプロセス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1758A (ja) * 1995-11-20 1997-06-03 Asahi Glass Co Ltd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粘着テープ
JP2000108218A (ja) * 1998-10-02 2000-04-18 Seiko Epson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3505413B2 (ja) * 1998-12-24 2004-03-08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製造用ガスケットをつくるための樹脂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レンズ製造用ガスケット、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5464074B2 (ja) * 2010-06-18 2014-04-0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型用粘着テー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型方法
JP5541455B2 (ja) * 2010-07-06 2014-07-0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型用粘着テー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型方法
JP6216168B2 (ja) * 2012-08-30 2017-10-1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成型用粘着テープ
WO2019004046A1 (ja) * 2017-06-27 2019-01-03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剤層付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5650A (ja) 1992-03-10 1993-10-05 Nitto Denko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製造用接着テープ
JPH10114825A (ja) 1996-04-19 1998-05-06 Mitsui Chem Inc 光学樹脂用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18525499A (ja) 2015-08-21 2018-09-06 ピーピージー・インダストリーズ・オハイオ・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PPG Industries Ohio,Inc. 成型光学物品を調製するためのバッチプロセ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95257A1 (en) 2022-06-23
JP7144352B2 (ja) 2022-09-29
JP2020163626A (ja) 2020-10-08
JP2022167964A (ja) 2022-11-04
CN113543949A (zh) 2021-10-22
JP7390447B2 (ja) 2023-12-01
WO2020195119A1 (ja)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601B1 (ko) 플라스틱 편광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4167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1962116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TWI436108B (zh) 偏光板用黏著劑及附有黏著劑層之偏光板
CN105647438B (zh) 偏光板用粘着剂组成物、偏光板用粘着膜、偏光板及光学显示器
US20150146165A1 (en) High refractive index polarizing lens
CN109477908B (zh) 铸造镜片
KR102066656B1 (ko) 점착 테이프,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및 점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20210148104A (ko) 플라스틱 렌즈 성형용 점착 테이프 및 플라스틱 렌즈의 성형 방법
KR20230149802A (ko)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WO2017029825A1 (ja) 眼鏡素材
CN103849326B (zh) 塑料透镜成型用粘胶带以及塑料透镜成型品的成型方法
CN109790429A (zh) 偏振膜用粘合剂组合物、偏振膜用粘合剂层的制造方法、带粘合剂层的偏振膜、及图像显示装置
KR101346119B1 (ko) 내열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 보호필름
JP2019091092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再生方法
JP6095468B2 (ja) プラスチック偏光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7498606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光学部材の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