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739A - 양면 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양면 접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739A
KR20210147739A KR1020200065414A KR20200065414A KR20210147739A KR 20210147739 A KR20210147739 A KR 20210147739A KR 1020200065414 A KR1020200065414 A KR 1020200065414A KR 20200065414 A KR20200065414 A KR 20200065414A KR 20210147739 A KR20210147739 A KR 20210147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adhesive
adhesive tape
sided adhes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아
배연웅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to KR1020200065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7739A/ko
Priority to PCT/IB2021/054642 priority patent/WO2021240428A1/en
Publication of KR2021014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1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formed by alternating adhesive areas of different n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블(Rolla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보다 더 큰 모듈러스(Modulus)를 가지는 복수 개의 경화부를 포함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압 접착층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접착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경화부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열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양면 접착 테이프{DOUBLE-SIDED ADHESIVE TAPE}
본 발명은 양면 접착 테이프에 대한 설명이다.
최근에 기술이 발전되면서 텔레비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와 같은 전자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음성통화, SNS, 인터넷을 비롯한 무선통신은 물론이고, 여러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전자 제품으로서, 흔히 스마트폰으로 불리는 휴대폰이나 P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비전, 컴퓨터 및 이동 단말기와 같은 전자 제품은 사용자의 수요에 맞게 고기능화되면서, 사용자에게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로서 기능하거나 터치 패널(Touch Panel)로서 기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과거에는 리지드 디스플레이(rigid display)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졌다면, 최근에는 접힐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 또는 감길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폴더블 디스플레이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다른 구성부품들 과의 접착을 위하여 양면 접착 테이프(또는 양면 코팅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양면 접착 테이프는 디스플레이를 다른 구성부품들과 접착시키되, 그 특성에 맞게 접히거나 감길 수 있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접히거나 말렸을 때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고, 폴더블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다른 구성부품과 접착시킬 수 있는 양면 접착 테이프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폴더블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다른 구성부품과 접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는 그 특성상 접히거나 말리게 되면, 테이프 내부에 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양면 접착 테이프에 가해지는 응력이 제대로 완화되지 않으면,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양면 접착 테이프가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접히거나 말렸을 때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고, 폴더블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다른 구성부품과 접착시킬 수 있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가 접히거나 말렸을 때, 양면 접착 테이프에 가해지는 응력을 적절히 완화시킬 수 있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롤러블(Rolla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보다 더 큰 모듈러스(Modulus)를 가지는 복수 개의 경화부를 포함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압 접착층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접착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경화부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열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히거나 말렸을 때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고, 폴더블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다른 구성부품과 접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가 접히거나 말렸을 때, 양면 접착 테이프에 가해지는 응력을 적절히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 테이프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감압 접착층이 디스플레이에 접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감압 접착층 및 디스플레이가 감긴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UV 경화 전후의 감압 접착층의 접착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 '접착' 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배치, 접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의, 폭 방향은 도 1 및 도 2에서 x축 방향일 수 있으며, 두께 방향은 도 1 및 도 2에서 z축 방향일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은 도 1 및 도 3에서 y축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폭, 길이, 두께 방향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 테이프(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 테이프(1)는 전자 제품의 부품간을 접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1)는 텔레비전, 컴퓨터 및 스마트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다른 전자 부품(2)과 접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1)는 접착력을 제공하면서도, 휘어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한 예시로, 양면 접착 테이프(1)는 접힐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 또는 감길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를 다른 전자 부품(2)과 접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폴더블 디스플레이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말리거나 접힐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서, 단순히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1)는 일 예로, PSA Tape(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1)는 4um 이상 55u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양면 접착 테이프(1)는 감압 접착층(100) 및 이형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압 접착층(100)은 양면 접착 테이프(1)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감압 접착층(100)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면 그 특성이 변화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감압 접착층(100)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기 전에는 낮은 저장 탄성률을 가지는 반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면 높은 저장 탄성률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감압 접착층(100)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기 전에는 높은 접착력을 가지는 반면,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면 접착력이 낮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감압 접착층(100)은 베이스 폴리머, 베이스 폴리머와 반응하는 가교제, 경화성 수지 및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폴리머는 접착제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폴리머는 가교제와 반응하여 필름 등을 형성할 수 있으며, 경화성 수지가 개시제에 의해 경화되기 이전에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폴리머는 가교제와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는 카르복실기, 히드록실기, 아크릴기, 메타크릴기, 아세테이트기 및 비닐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작용기를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폴리머는 아크릴레이트계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폴리머는 자외선 경화 시에 아크릴레이트계 작용기들 간에도 라디칼 반응에 의한 가교를 일으켜 제1 올리고머의 경화 사슬과 상호침투 네트워크(interpenetrated network)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모듈러스와 보다 낮은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레이트계 작용기의 종류는 아크릴레이트 작용기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작용기일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베이스 폴리머는 아크릴 수지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베이스 폴리머는 아크릴레이트계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베이스 폴리머는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폴리머는 PSA 수지일 수 있다.
경화성 수지는 제1 올리고머, 제2 올리고머 및 유기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자외선이 조사되면 경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성 수지는 베이스 폴리머와 가교제의 반응 이후에 자외선 경화될 수 있다.
개시제는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개시제는 케톤류(벤조페논, 아세토페논 등), 벤조인류, 벤조인에테르류, 벤질류 및 벤질케탈류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베이스 폴리머와 반응하여 필름 등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감압 접착층(100)의 일부에는 감압 접착층(100)의 일부의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자외선 경화(UV curing)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압 접착층(100)은 온도는 -20℃에서 자외선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감압 접착층(100)에 소정 패턴을 가지도록 홀이 형성된 마스크(Mask)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홀이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는 감압 접착층(100)에는 자외선이 조사되어 자외선 경화가 이루어지며, 홀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대응되는 감압 접착층(100)에는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감압 접착층(100)에는 자외선이 소정의 패턴을 가지도록 조사될 수 있으며, 감압 접착층(100)은 하나의 층 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감압 접착층(100)은 폭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3um 이상 50u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감압 접착층(100)은 접착부(110) 및 경화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10)는 감압 접착층(100) 중 자외선 경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이며, 경화부(120)와 상이한 모듈러스(Modulus)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110)는 104 Pa 이상 5 x 105 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착부(110)는 경화부(120) 보다 높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110)는 300gf/in 이상 2,000gf/in 이하의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11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110)의 폭은 0.001mm 이상 5mm 이하로 제공될 수 있다. 더 자세한 예시로, 접착부(110)의 폭은 10um 이상 100um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접착부(110)는 감압 접착층(100)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부(110)는 경화부(120)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110)가 포함하는 재료는 라디칼 작용기를 가지는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경화부(120)는 감압 접착층(100) 중 자외선에 의해 경화된 부분일 수 있으며, 자외선 경화 전에는 상이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화부(120)는 접착부(110) 보다 큰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경화부(120)는 자외선 경화 전에 접착부(110)와 동일한 모듈러스를 가지도록 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는 라디칼 작용기를 가지는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화부(120)는 106 Pa 이상 107 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가지며, 자외선 경화 전에는 104 Pa 이상 5 x 105 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경화부(120)는 접착부(110)와 동일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경화부(120)는 감압 접착층(100)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경화부(120)는 접착부(110) 보다 낮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으며, 자외선 경화 전에는 접착부(110)와 동일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부(120)는 0gf/in 이상 10gf/in 이하의 접착력을 가질 수 있으며, 자외선 경화 전에는 300gf/in 이상 2,000gf/in 이하의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화부(12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경화부(120)의 폭은 0.001mm 이상 5mm 이하로 제공될 수 있다. 더 자세한 예시로, 경화부(120)의 폭은 10um 이상 100u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경화부(120)는 접착부(110)와 동일한 폭과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접착부(110) 및 경화부(120)는 서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110)와 경화부(120)가 서로 교번하도록 배열됨으로써, 감압 접착층(100)은 일 방향을 따라 모듈러스가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특성이 반복될 수 있다. 이처럼, 감압 접착층(100)의 모듈러스가 폭 방향을 따라 반복해서 변화하도록 제공됨으로써, 감압 접착층(100)이 접히거나 감길 때 감압 접착층(100)의 변형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감압 접착층(100)의 변형이 최소화됨으로써 감압 접착층(100)에 가해지는 응력은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110) 및 경화부(120)가 서로 교번하도록 배열됨으로써, 감압 접착층(100)은 폭 방향을 따라 접착력이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특성이 반복될 수 있다. 이처럼, 감압 접착층(100)은 접착력이 폭 방향을 따라 반복해서 변화하도록 제공됨으로써, 감압 접착층(100)이 접히거나 말리더라도 디스플레이와 전자 부품(2) 간의 접착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압 접착층(100)은 전자 부품(2)과 접착되는 접착 영역과 비접착되는 비접착 영역으로 구분될 필요가 없으며, 비접착 영역에 해당하는 감압 접착층(100)을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접착부(110) 및 복수 개의 경화부(120)는 서로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접착부(110) 및 복수 개의 경화부(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층 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접착부(110) 및 복수 개의 경화부(120)는 서로 간에 갭 없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110) 및 경화부(120)는 일 예로, 접착부(110)의 중심과 경화부(120)의 중심 사이의 간격이 1um 이상 500um 이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한 예시로, 접착부(110) 및 경화부(120)는 접착부(110)의 중심과 경화부(120)의 중심 사이의 간격이 10um 이상 100um 이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형층(200)은 감압 접착층(100)의 접착력을 보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형층(200)은 감압 접착층(100)의 일면이 다른 물체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감압 접착층(100)의 접착력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형층(200)은 차광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형층(200)이 차광성을 가짐으로써 감압 접착층(100)이 불필요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감압 접착층(100)의 특성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형층(200)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필름, 폴리에스테르(PET, polyester)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필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형층(200)은 1um 이상 5u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형층(200)은 제1 이형층(210) 및 제2 이형층(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형층(210)은 감압 접착층(100)의 일면에 배치되어 감압 접착층(100)의 일면의 접착력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형층(220)은 감압 접착층(100)의 타면에 배치되어 감압 접착층(100)의 타면의 접착력을 보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압 접착층(100)은 제1 이형층(210)과 제2 이형층(22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감압 접착층(100)의 접착력은 보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 테이프(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 부품(2) 간을 접착시키기 위하여 양면 접착 테이프(1)를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양면 접착 테이프(1)로부터 제1 이형층(210) 및 제2 이형층(220)을 제거한 후, 양면 접착 테이프(1)의 일면과 전자 부품(2)을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부품(2)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러한 양면 접착 테이프(1)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 부품(2)과 함께 감겨진 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접착 테이프(1)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다른 전자 부품(2) 간의 접착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감압 접착층(100)은 일부가 UV 경화되어 감압 접착층(100)의 모듈러스가 폭 방향을 따라 반복해서 변화하도록 제공됨으로써, 감압 접착층(100)이 접히거나 감길 때 감압 접착층(100)의 변형은 최소화될 수 있으며 감압 접착층(100)에 가해지는 응력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1)는 사용되기 전에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양면 접착 테이프(1)의 감압 접착층(100)은 UV 경화 전에는 높은 접착력을 가지고, UV 경과 후에는 낮은 접착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감압 접착층(100)의 접착력이 폭 방향을 따라 반복해서 변화하도록 제공됨으로써, 감압 접착층(100)을 접착 영역과 비접착 영역으로 구분하여 비접착 영역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감압 접착층(100) 제작 시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공정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롤러블(Rolla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보다 더 큰 모듈러스(Modulus)를 가지는 복수 개의 경화부를 포함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압 접착층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접착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경화부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열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항목 2는 상기 감압 접착층은, 상기 접착부의 중심과 상기 경화부의 중심 사이의 간격이 10um 이상 100um 이하가 되도록 제공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항목 3은 상기 접착부 및 상기 경화부는 상기 감압 접착층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항목 4는 상기 경화부는, 경화되기 전에 상기 접착부와 동일한 모듈러스를 가지도록 하는 라디칼 작용기를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항목 5는 상기 접착부는, 104 Pa 이상 5 x 105 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가지고, 상기 경화부는, 106 Pa 이상 107 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가지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항목 6은 상기 접착부 및 상기 경화부는 서로 동일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항목 7은 상기 경화부는, 상기 접착부 보다 낮은 접착력을 가지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항목 8은, 상기 접착부는, 300gf/in 이상 2,000gf/in 이하의 접착력을 가지고, 상기 경화부는, 0gf/in 이상 10gf/in 이하의 접착력을 가지고, 상기 경화부는, 경화되기 전의 접착력이 상기 접착부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항목 9는 상기 접착부와 상기 경화부는 두께, 폭이 서로 동일한,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항목 10은 상기 접착부 및 상기 경화부는 3um 이상 50u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항목 11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필름, 폴리에스테르(PET, polyester)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필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감압 접착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항목 12는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는 3um 이상 50u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항목 13은 복수 개의 상기 접착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경화부는 서로 갭 없이 배열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양면 접착 테이프 100: 감압 접착층
110: 접착부 120: 경화부
200: 이형층 210: 제1 이형층
220: 제2 이형층

Claims (13)

  1. 롤러블(Rollable)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는 양면 접착 테이프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보다 더 큰 모듈러스(Modulus)를 가지는 복수 개의 경화부를 포함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감압 접착층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접착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경화부는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열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접착층은, 상기 접착부의 중심과 상기 경화부의 중심 사이의 간격이 10um 이상 100um 이하가 되도록 제공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 및 상기 경화부는 상기 감압 접착층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부는, 경화되기 전에 상기 접착부와 동일한 모듈러스를 가지도록 하는 라디칼 작용기를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104 Pa 이상 5 x 105 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가지고,
    상기 경화부는, 106 Pa 이상 107 Pa 이하의 모듈러스를 가지는,
    양면 접착 테이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 및 상기 경화부는 서로 동일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부는, 상기 접착부 보다 낮은 접착력을 가지는,
    양면 접착 테이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300gf/in 이상 2,000gf/in 이하의 접착력을 가지고,
    상기 경화부는, 0gf/in 이상 10gf/in 이하의 접착력을 가지고,
    상기 경화부는, 경화되기 전의 접착력이 상기 접착부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와 상기 경화부는 두께, 폭이 서로 동일한,
    양면 접착 테이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 및 상기 경화부는 3um 이상 50u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양면 접착 테이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필름, 폴리에스테르(PET, polyester) 필름 및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필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감압 접착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이형층을 더 포함하는,
    양면 접착 테이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는 4um 이상 55u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양면 접착 테이프.
  1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접착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경화부는 서로 갭 없이 배열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
KR1020200065414A 2020-05-29 2020-05-29 양면 접착 테이프 KR20210147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414A KR20210147739A (ko) 2020-05-29 2020-05-29 양면 접착 테이프
PCT/IB2021/054642 WO2021240428A1 (en) 2020-05-29 2021-05-27 Double-sided adhesive t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414A KR20210147739A (ko) 2020-05-29 2020-05-29 양면 접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739A true KR20210147739A (ko) 2021-12-07

Family

ID=7625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414A KR20210147739A (ko) 2020-05-29 2020-05-29 양면 접착 테이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47739A (ko)
WO (1) WO20212404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328B1 (ko) * 2014-10-21 2021-06-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투과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16400B1 (ko) * 2018-02-14 2021-0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0428A1 (en)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930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7120518B2 (ja) フォルダブルディスプレイ用保護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フォルダ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JP6330919B2 (ja) 着脱可能なウィンドウ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着脱方法
KR102146150B1 (ko) 탈부착 패턴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CN109377886A (zh) 覆盖窗结构及柔性显示装置
CN113322022B (zh) 用于3d曲面屏的uv光定型柔性保护膜及制备工艺
KR20180030748A (ko)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US11825730B2 (en) Display
KR101953367B1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US20190337273A1 (en) Transparent stack structure
KR102442159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1288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TWI648717B (zh) 可撓性電子裝置
WO2015151224A1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20180096996A (ko) 편광판 일체형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210089297A (ko) 표시 장치
KR101993273B1 (ko)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점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47739A (ko) 양면 접착 테이프
CN115145421A (zh) 显示体
KR20190036083A (ko)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1280A (ko) 점착 시트 권회체
CN209481534U (zh) 一种ab胶带及其键盘胶
JP2015040215A (ja) タッチパネル用粘着剤組成物及びタッチパネル用粘着テープ
KR101854050B1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36085A (ko)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