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596A -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596A
KR20210147596A KR1020200065044A KR20200065044A KR20210147596A KR 20210147596 A KR20210147596 A KR 20210147596A KR 1020200065044 A KR1020200065044 A KR 1020200065044A KR 20200065044 A KR20200065044 A KR 20200065044A KR 20210147596 A KR20210147596 A KR 20210147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ing service
region
elementary stream
cloud streaming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융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7596A/ko
Priority to US17/325,009 priority patent/US20210377328A1/en
Publication of KR2021014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intermedi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4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the reformatt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only on part of the stream, e.g. a region of the image or a time se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1Multimode Transmission, e.g. transmitting basic layers and enhancement layers of the content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or transmitting with different error corrections, different keys or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프레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 및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 STREAMING SERVICE}
본 발명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프레임의 영역을 구분하고, 영역별로 모드를 달리하여 인코딩함으로써, 다수의 동시접속자를 수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셋탑박스(Set-Top-Box; STB)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셋탑박스의 유저인터페이스도 더욱 화려한 유저인터페이스를 요구하게 되어, 최근 유저인터페이스에서는 간단한 애니메이션 동작이나 영화 미리 보기 등 셋탑박스의 리소스(CPU, Memory 등)를 많이 필요로 하는 시나리오로 이루어진 것이 많아졌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시나리오가 많아지면서 레거시 박스(Legacy Box) 또는 씬 클라이언트(Thin Client)의 셋탑박스 뿐만 아니라, 성능이 좋은 셋탑박스에서도 원활하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Cloud Streaming)을 이용하여 고성능의 셋탑박스 뿐만 아니라, 레거시 박스나 씬 클라이언트에서도 딜레이(Delay)없이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클라우드 스트리밍은 주로 소리나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하고 재생하는 방식 중의 하나로 인터넷에서 물 흐르듯 데이터를 읽으면서 전송하거나 실시간 재생이 가능한 데이터 전송 방식을 말한다. 보통 파일은 다운로드를 완료한 후 실행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지만, 동영상과 같이 크기가 큰 파일을 재생할 때에는 다운로드 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스트리밍과 같이 파일의 다운로드와 동시에 재생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기다리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다만, 클라우스 스트리밍 서버(Cloud Streaming Server; CSS)에서 해당 애니메이션 동작이나 영화 미리 보기 등의 많은 리소스가 필요한 유저인터페이스를 동작시켜야 하는데, 동시에 접속한 여러 대의 셋탑박스에서 미리 보기와 같이 동영상 재생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도 많은 수의 동영상을 동시에 재생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15136호, 2016년 02월 12일 공개(명칭: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스틸 이미지 압축 기법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서버측에서 인코딩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영역별로 구분하여 인코딩하여 네트워크 리소스를 줄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에 관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사전에 인코딩하여 리소스 과부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에 더 많은 동시접속자(ConCurrent User; CCU)를 수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목적이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프레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 및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영역은,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상기 프레임에서 동영상이 재생되거나 움직임이 있는 부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본 코딩 유닛으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본 코딩 유닛으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본 코딩 유닛은, 매크로 블록(Macroblock) 및 CTU(Coding Tree Uni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슬라이스(Slice), 타일(Tile), 브릭(Blick) 및 서브픽처(Sub-picture)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을 P 픽처만을 이용하여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첫번째 P 픽처에 포함된 기본 코딩 유닛을 인트라 모드(Intra mode)로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역을 스킵모드(Skip mode)로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실행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프레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 및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영역은,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상기 프레임에서 동영상이 재생되거나 움직임이 있는 부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본 코딩 유닛으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본 코딩 유닛으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본 코딩 유닛은, 매크로 블록(Macroblock) 및 CTU(Coding Tree Uni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슬라이스(Slice), 타일(Tile), 브릭(Blick) 및 서브픽처(Sub-picture)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영역을 P 픽처만을 이용하여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영역의 첫번째 P 픽처에 포함된 기본 코딩 유닛을 인트라 모드(Intra mode)로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2 영역을 스킵모드(Skip mode)로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서버측에서 인코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영역별로 구분하여 인코딩하여 네트워크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에 관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사전에 인코딩하여 리소스 과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에 더 많은 동시접속자(ConCurrent User; CCU)를 수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동영상 구조(GOP)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프레임에서 영역을 구분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첫번째 프레임의 인코딩 모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나머지 프레임의 인코딩 모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스트리밍할 영상을 인코딩하고 네트워크(130)를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로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클라우스 스트리밍할 프레임의 영역을 구분하여 인코딩하고, 이를 병합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먼저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 영역(픽처, 프레임)에서 동영상이 재생되거나, 움직임이 있는 부분에 해당하는 기본 코딩 유닛들을 모아서 제1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고, 그 외의 영역에 해당하는 기본 코딩 유닛들을 모아서 제2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기본 코딩 유닛은, 매크로 블록(Macroblock) 및 CTU(Coding Tree Uni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크로 블록은 영상압축 방식에서 움직임 보상 및 움직임 예측을 위하여 여러 화소 블록들을 그룹화시킨 예측 단위이다.
따라서, 인코딩(부호화) 과정은 매크로 블록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매크로 블록 마다 서로 다른 인코딩 모드로 인코딩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CTU는 영상압축 방식에서 사용하는 계층적 부호화 구조기술로써, 매크로 블록과 달리 가변크기를 지원하여 압축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졌다.
이 때,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구분방식은 슬라이스(Slice), 타일(Tile), 서브 픽처(Sub-picture) 등 픽처를 나눌 수 있는 모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모드로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첫번째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을 인트라 모드(Intra mode)로 인코딩하여 제1 영역에 대한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첫번째 프레임 외의 나머지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은 인트라 모드(Intra mode), 인터 모드(Inter mode) 및 스킵 모드(Skip mode) 등 인코딩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로 인코딩하여 제1 영역에 대한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제2 영역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을 스킵 모드(Skip mode)로 인코딩하여 제2 영역에 대한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스킵 모드로 인코딩하여 생성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유저인터페이스에서는 동영상이 재생되지 않는 영역에 개인화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포인트 또는 쿠폰 등의 정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영상이 전송되는 동안 제2 영역은 스킵 모드이기 때문에, 이전 프레임(픽처)의 같은 위치에 있는 영상과 같은 영상을 보내주어 개인화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미리 만들어 놓은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Merge)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미리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하여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해놓을 수 있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미리 병합하여 생성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전송만 할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상술한 실시예처럼 사전에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여 준비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송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부터 전송받은 엘레멘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AM)을 디코딩하여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은 각각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 유선 단말, 고정형 단말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다양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20-1~ 120-N)은 각각 셋탑박스(Set-Top-Box; STB), 레거시 박스(Legacy Box),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입력부는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20-1~ 120-N)의 통신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와 네트워크(1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유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13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30)에 접속하며, 네트워크(130)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3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 및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30)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130)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와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클라이언트 단말(120-1~120-N)들 상호간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서버측에서 인코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영역별로 구분하여 인코딩하여 네트워크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영상에 관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사전에 인코딩하여 리소스 과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동시에 더 많은 동시접속자(ConCurrent User; CCU)를 수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이 적용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클라우스 스트리밍할 영상(201)을 사용자의 요청이 왔을때, 전체를 한번에 인코딩하여 하드웨어 리소스를 많이 소비한다.
또한, 종래기술이 적용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동적인 부분과 정적인 부분을 구분하지 않고 인코딩하여 스트리밍할 데이터의 용량 또한 크게 생성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이 적용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동시접속자(ConCurrent User; CCS)의 수가 적을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프레임의 영역을 구분하여 인코딩하고, 이를 병합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종래기술이 적용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먼저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 영역(픽처, 프레임)에서 동영상이 재생되거나, 움직임이 있는 부분에 해당하는 기본 코딩 유닛들을 모아서 제1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고, 그 외의 영역에 해당하는 기본 코딩 유닛들을 모아서 제2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모드로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첫번째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을 인트라 모드(Intra mode)로 인코딩하여 제1 영역에 대한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첫번째 프레임 외의 나머지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은 인트라 모드(Intra mode), 인터 모드(Inter mode) 및 스킵 모드(Skip mode) 등 인코딩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로 인코딩하여 제1 영역에 대한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2 영역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을 스킵 모드(Skip mode)로 인코딩하여 제2 영역에 대한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스킵 모드로 인코딩하여 생성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유저인터페이스에서는 동영상이 재생되지 않는 영역에 개인화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포인트 또는 쿠폰 등의 정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영상이 전송되는 동안 제2 영역은 스킵 모드이기 때문에, 이전 프레임(픽처)의 같은 위치에 있는 영상과 같은 영상을 보내주어 개인화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미리 만들어 놓은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Merge)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미리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하여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해놓을 수 있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미리 병합하여 생성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전송만 할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처럼 사전에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여 준비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송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서버측에서 인코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영역별로 구분하여 인코딩하여 네트워크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영상에 관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사전에 인코딩하여 리소스 과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동시에 더 많은 동시접속자(ConCurrent User; CCU)를 수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프레임의 영역을 구분하여 인코딩하고, 이를 병합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먼저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 영역(픽처, 프레임)에서 동영상이 재생되거나, 움직임이 있는 부분에 해당하는 기본 코딩 유닛들을 모아서 제1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고, 그 외의 영역에 해당하는 기본 코딩 유닛들을 모아서 제2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기본 코딩 유닛은, 매크로 블록(Macroblock) 및 CTU(Coding Tree Uni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크로 블록은 영상압축 방식에서 움직임 보상 및 움직임 예측을 위하여 여러 화소 블록들을 그룹화시킨 예측 단위이다.
따라서, 인코딩(부호화) 과정은 매크로 블록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매크로 블록 마다 서로 다른 인코딩 모드로 인코딩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CTU는 영상압축 방식에서 사용하는 계층적 부호화 구조기술로써, 매크로 블록과 달리 가변크기를 지원하여 압축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졌다.
이 때,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구분방식은 슬라이스(Slice), 타일(Tile), 서브 픽처(Sub-picture) 등 픽처를 나눌 수 있는 모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모드로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첫번째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을 인트라 모드(Intra mode)로 인코딩하여 제1 영역에 대한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첫번째 프레임 외의 나머지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은 인트라 모드(Intra mode), 인터 모드(Inter mode) 및 스킵 모드(Skip mode) 등 인코딩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로 인코딩하여 제1 영역에 대한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2 영역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을 스킵 모드(Skip mode)로 인코딩하여 제2 영역에 대한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스킵 모드로 인코딩하여 생성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유저인터페이스에서는 동영상이 재생되지 않는 영역에 개인화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포인트 또는 쿠폰 등의 정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영상이 전송되는 동안 제2 영역은 스킵 모드이기 때문에, 이전 프레임(픽처)의 같은 위치에 있는 영상과 같은 영상을 보내주어 개인화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미리 만들어 놓은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Merge)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미리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하여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해놓을 수 있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미리 병합하여 생성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전송만 할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처럼 사전에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여 준비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송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동영상 구조(GOP)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영상 구조 즉, GOP(Group Of Pictures)는 다수의 픽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GOP는 부호화 즉, 인코딩을 위한 기본 단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GOP는 몇 장의 전후 화면 데이터를 한 묶음으로하는 영상 데이터 단위를 의미하기도 하고, 임의 시점으로의 접근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한 동영상 단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GOP의 특징은 임의 접근(랜덤 액세스)이 GOP로 단위로 가능하여, 임의 화면에 대한 접근(엑세스)를 위한 트릭모드가 가능할 수 있다.
이는 부호화된 영상데이터가 전후 몇 장의 화면 데이터로부터 만들어지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랜덤 엑세스가 가능한 독립적인 압축 부호화 단위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GOP를 구성하는 픽처는 특징에 따라 I 픽처(401), P 픽처(405), B 픽처(403)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I 픽처(401)는 GOP에서 전후 화면(픽처)을 이용하는 시간적 압축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화면과는 독립적으로 공간적 압축 기술만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화면이다.
이 때, I 픽처(401)는 시간적 움직임을 예측하여 만들어내는 화면(P 픽처(405), B 픽처(403))들의 기준이 된다.
이 때, I 픽처(401)는 전후 화면과는 관계없이 해당 화면 내에서 독립적으로 부호화하여 얻어짐으로써, 압축에 따른 결과 비트 수가 다른 픽처들보다 많은 비트 수를 필요로 한다.
이 때, P 픽처(405)는 GOP에서 시간적 움직임을 단방향 또는 순방향으로 예측하여 만들어지는 화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P 픽처(405)는 이전 및 현재 픽처 간에 차이 나는 부분만 부호화하여 압축하게 됨으로써, 발생 비트 수가 매우 적게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P 픽처(405)는 가잔 최근의(이전의) I 픽처(401) 및 P 픽처(405)를 참조하며, 화면 간 순방향 예측 만으로 다음 화면을 예측하며, 다른 P 픽처(405) 및 B 픽처(403)들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이 때, B 픽처(403)는 GOP에서 시간적 움직임을 전후 양방향으로 예측하여 만들어지는 화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B 픽처(403)는 앞, 뒤에 있는 P 픽처(405) 및 I 픽처(401)로부터 양방향의 움직임을 보다 세밀하게 예측하여 만들어낼 수 있다.
이 때, B 픽처(403)는 반드시 P 픽처(405) 또는 I 픽처(401)가 필요하므로, B 픽처(403)를 처리하기에 처리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B 픽처(403)의 처리 과정은 우선 바로 앞의 I 픽처(401) 또는 P 픽처(405)를 먼저 처리하고, 현재의 픽처를 처리하고, 바로 뒤의 I 픽처(401) 또는 P 픽처(405)를 처리하는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B 픽처(403)는 순방향, 역방향 및 양방향 모두를 포함하여 모든 픽처들 중에서 가장 큰 압축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P 픽처(405)로 인코딩하여 발생 비트 수를 매우 적게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프레임에서 영역을 구분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 영역(픽처)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기본 코딩 유닛들을 모아서 제1 영역(501)으로 정의할 수 있고, 그 외의 영역에 해당하는 기본 코딩 유닛들을 모아서 제2 영역(503)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기본 코딩 유닛은, 매크로 블록(Macroblock) 및 CTU(Coding Tree Uni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크로 블록은 영상압축 방식에서 움직임 보상 및 움직임 예측을 위하여 여러 화소 블록들을 그룹화시킨 예측 단위이다.
따라서, 인코딩(부호화) 과정은 매크로 블록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매크로 블록 마다 서로 다른 인코딩 모드로 인코딩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CTU는 영상압축 방식에서 사용하는 계층적 부호화 구조기술로써, 매크로 블록과 달리 가변크기를 지원하여 압축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졌다.
이 때, 제1 영역(501)과 제2 영역(503)의 구분방식은 슬라이스(Slice), 타일(Tile), 서브 픽처(Sub-picture) 등 픽처를 나눌 수 있는 모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동영상이 재생되는 영역을 제1 영역(501)으로, 메뉴 영역을 제2 영역(503)으로 정의하고, 슬라이스(500)를 통해 구분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첫번째 프레임의 인코딩 모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나머지 프레임의 인코딩 모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미리 보기 영상에 대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미리 인코딩하여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전체 유저인터페이스 영역(픽처)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제1 영역(601, 701)과 상기 제1 영역(601, 701)을 제외한 제2 영역(603, 703)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모드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프레임은 모두 P 픽처로 인코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첫번째 프레임에서 제1 영역(601)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을 인트라 모드(Intra mode, 610)로 인코딩하여 제1 영역(601)에 대한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은 유저인터페이스의 내용이 업데이트되거나, 동영상의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마다 생성되어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첫번째 프레임에서 제2 영역(603)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을 스킵 모드(Skip mode, 620)로 인코딩하여 제2 영역(603)에 대한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스킵 모드(620)로 인코딩하여 생성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유저인터페이스에서는 동영상이 재생되지 않는 영역에 개인화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포인트 또는 쿠폰 등의 정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영상이 전송되는 동안 제2 영역(603)은 스킵 모드(620)이기 때문에, 이전 프레임(픽처)의 같은 위치에 있는 영상과 같은 영상을 보내주어 개인화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첫번째 프레임 외의 나머지 프레임에서 제1 영역(701)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은 인트라 모드(Intra mode, 710), 인터 모드(Inter mode) 및 스킵 모드(Skip mode, 720) 등 인코딩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730)로 인코딩하여 제1 영역(701)에 대한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첫번째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은 유저인터페이스의 내용이 업데이트되거나, 동영상의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마다 생성되어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첫번째 프레임 외의 나머지 프레임에서 제2 영역(703)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을 스킵 모드(Skip mode, 720)로 인코딩하여 제2 영역(703)에 대한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스킵 모드(720)로 인코딩하여 생성하는 이유는 상술한 첫번째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유저인터페이스에서는 동영상이 재생되지 않는 영역에 개인화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포인트 또는 쿠폰 등의 정보)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미리 만들어 놓은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Merge)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미리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하여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해놓을 수 있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미리 병합하여 생성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전송만 할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처럼 사전에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여 준비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송할 수도 있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위 실시예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사용자가 일반적인 유저인터페이스 탐색을 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전체 유저 인터페이스 영역(픽처)에서 움직임이 있는 부분에 해당하는 기본 코딩 유닛들을 모아서 제1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고, 움직임이 없는 부분에에 해당하는 기본 코딩 유닛들을 모아서 제2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기본 코딩 유닛은, 매크로 블록(Macroblock) 및 CTU(Coding Tree Uni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크로 블록은 영상압축 방식에서 움직임 보상 및 움직임 예측을 위하여 여러 화소 블록들을 그룹화시킨 예측 단위이다.
따라서, 인코딩(부호화) 과정은 매크로 블록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매크로 블록 마다 서로 다른 인코딩 모드로 인코딩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CTU는 영상압축 방식에서 사용하는 계층적 부호화 구조기술로써, 매크로 블록과 달리 가변크기를 지원하여 압축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졌다.
이 때,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구분방식은 슬라이스(Slice), 타일(Tile), 서브 픽처(Sub-picture) 등 픽처를 나눌 수 있는 모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전체 유저인터페이스 영역(픽처)에서 움직임이 있는 제1 영역과 움직임이 없는 제2 영역을 구분하여 서로 다른 모드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프레임은 모두 P 픽처로 인코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첫번째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을 인트라 모드(Intra mode)로 인코딩하여 제1 영역에 대한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은 유저인터페이스의 내용이 업데이트되거나, 동영상의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마다 생성되어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첫번째 프레임 외의 나머지 프레임에서 제1 영역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은 인트라 모드(Intra mode), 인터 모드(Inter mode) 및 스킵 모드(Skip mode) 등 인코딩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드로 인코딩하여 제1 영역에 대한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첫번째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은 유저인터페이스의 내용이 업데이트되거나, 동영상의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마다 생성되어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2 영역의 모든 기본 코딩 유닛을 스킵 모드(Skip mode)로 인코딩하여 제2 영역에 대한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스킵 모드로 인코딩하여 생성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유저인터페이스에서는 동영상이 재생되지 않는 영역에 개인화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포인트 또는 쿠폰 등의 정보)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생성된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과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서버측에서 인코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영역별로 구분하여 인코딩하여 네트워크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영상에 관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사전에 인코딩하여 리소스 과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동시에 더 많은 동시접속자(ConCurrent User; CCU)를 수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신부(810), 프로세서(820) 및 실행메모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810)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81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이 요청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화면을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810)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클라이언트 단말들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820)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변화에 따라 파이프 라인 절차를 수행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은 각각 통신망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 유선 단말, 고정형 단말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 등의 다양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은 각각 셋탑박스(Set-Top-Box; STB), 레거시 박스(Legacy Box),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TV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클라이언트 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의 입력부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의 표시부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클라이언트 단말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통신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유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클라이언트 단말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네트워크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클라이언트 단말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20)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실행메모리(83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프레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 및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영역은,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상기 프레임에서 동영상이 재생되거나 움직임이 있는 부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본 코딩 유닛으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본 코딩 유닛으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본 코딩 유닛은, 매크로 블록(Macroblock) 및 CTU(Coding Tree Uni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슬라이스(Slice), 타일(Tile), 브릭(Blick) 및 서브픽처(Sub-picture)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영역을 P 픽처만을 이용하여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영역의 첫번째 P 픽처에 포함된 기본 코딩 유닛을 인트라 모드(Intra mode)로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2 영역을 스킵모드(Skip mode)로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서버측에서 인코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영역별로 구분하여 인코딩하여 네트워크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영상에 관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사전에 인코딩하여 리소스 과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동시에 더 많은 동시접속자(ConCurrent User; CCU)를 수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프레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한다(S910).
이 때, 상기 제1 영역은,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상기 프레임에서 동영상이 재생되거나 움직임이 있는 부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본 코딩 유닛으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본 코딩 유닛으로 구성된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본 코딩 유닛은, 매크로 블록(Macroblock) 및 CTU(Coding Tree Uni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단계(S910)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슬라이스(Slice), 타일(Tile), 브릭(Blick) 및 서브픽처(Sub-picture)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한다(S920).
이 때, 단계(S920)는, 상기 제1 영역을 P 픽처만을 이용하여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920)는, 상기 제1 영역의 첫번째 P 픽처에 포함된 기본 코딩 유닛을 인트라 모드(Intra mode)로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2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한다(S930).
이 때, 단계(S930)는, 상기 제2 영역을 스킵모드(Skip mode)로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 및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하여 송신한다(S940).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서버측에서 인코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영상을 영역별로 구분하여 인코딩하여 네트워크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영상에 관한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사전에 인코딩하여 리소스 과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동시에 더 많은 동시접속자(ConCurrent User; CCU)를 수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킵 프레임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프레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 및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동시에 더 많은 동시접속자(ConCurrent User; CCU)를 수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10 :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120-1~120-N : 클라이언트 단말
130 : 네트워크
500, 600, 700 : 슬라이스
501, 601, 701 : 제1 영역
503, 603, 703 : 제2 영역
810 : 통신부
820 : 프로세서
830 : 메모리

Claims (10)

  1.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프레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 및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하여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상기 프레임에서 동영상이 재생되거나 움직임이 있는 부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본 코딩 유닛으로 구성된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본 코딩 유닛으로 구성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을 P 픽처만을 이용하여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첫번째 P 픽처에 포함된 기본 코딩 유닛을 인트라 모드(Intra mode)로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영역을 스킵모드(Skip mode)로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실행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프레임을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을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 및 상기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병합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클라우드 스트리밍할 상기 프레임에서 동영상이 재생되거나 움직임이 있는 부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본 코딩 유닛으로 구성된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기본 코딩 유닛으로 구성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영역을 P 픽처만을 이용하여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영역의 첫번째 P 픽처에 포함된 기본 코딩 유닛을 인트라 모드(Intra mode)로 인코딩하여 제1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2 영역을 스킵모드(Skip mode)로 인코딩하여 제2 엘리멘터리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00065044A 2020-05-29 2020-05-29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147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044A KR20210147596A (ko) 2020-05-29 2020-05-29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7/325,009 US20210377328A1 (en) 2020-05-29 2021-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 stream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044A KR20210147596A (ko) 2020-05-29 2020-05-29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596A true KR20210147596A (ko) 2021-12-07

Family

ID=78704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044A KR20210147596A (ko) 2020-05-29 2020-05-29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377328A1 (ko)
KR (1) KR202101475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136A (ko) 2014-07-30 2016-02-12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스틸 이미지 압축 기법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21287B (zh) * 2008-07-08 2012-03-28 浙江大学 基于运动目标检测的视频编码方法
US8363716B2 (en) * 2008-09-16 2013-01-29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multimedia rendering, composition, and user interactivity
US9582238B2 (en) * 2009-12-14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Decomposed multi-stream (DMS) techniques for video display systems
CN101742321B (zh) * 2010-01-12 2011-07-27 浙江大学 基于图层分解的视频编、解码方法及装置
US10965991B2 (en) * 2013-09-06 2021-03-30 Gracenote, Inc. Displaying an actionable element over playing content
CN106993187B (zh) * 2017-04-07 2019-09-06 珠海全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变帧率的编码方法及装置
US10589171B1 (en) * 2018-03-23 2020-03-17 Electronic Arts Inc. User interface rendering and post processing during video game stream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136A (ko) 2014-07-30 2016-02-12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스틸 이미지 압축 기법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77328A1 (en)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9693B (zh) 缓冲器优化
Lu et al. Virtualized screen: A third element for cloud–mobile convergence
CN108337560B (zh) 用于在web浏览器上播放媒体的媒体重放设备和媒体服务设备
KR101173599B1 (ko) 가상 원격 제어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CN106714920B (zh) 对媒体内容的智能流传输
KR101350915B1 (ko) 다시점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6467503B2 (ja) クラウドストリーミングサービスシステム、メモリボトルネックを防止するためのデータ圧縮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242667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프로세스 단축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4674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리사이즈 기반의 멀티뷰 화면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98976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동시 인코딩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9927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스틸 이미지 기반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10147596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121982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웹 컨테이너 공유를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31827A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알파 레벨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314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변화 영역의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7793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변화된 이미지의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78576B1 (ko) 알파 데이터 압축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47892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38720B1 (ko) 인코딩과 업로딩의 병행 처리를 통해 미디어 파일의 전송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06889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치환을 통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13530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화면 분할을 이용한 이미지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032865A1 (en) Thumbnail generation
KR10231353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동일 세션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4788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소스 정보를 이용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9467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