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516A -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516A
KR20210147516A KR1020200064877A KR20200064877A KR20210147516A KR 20210147516 A KR20210147516 A KR 20210147516A KR 1020200064877 A KR1020200064877 A KR 1020200064877A KR 20200064877 A KR20200064877 A KR 20200064877A KR 20210147516 A KR20210147516 A KR 20210147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igniter
driving power
pwm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7831B1 (ko
Inventor
유재환
김민성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8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2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1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ionisation-sensitive elements, i.e. flame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6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 F23Q7/1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for gaseous fuel, e.g. in welding appliances
    • F23Q7/12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for gaseous fuel, e.g. in welding appliances actuated by gas-controll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7/00Ignition or checking
    • F23N2227/02Starting or ignition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7/00Ignition or checking
    • F23N2227/36Spark ignition, e.g. by means of a high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가 온되면 마이컴이 온 듀티비(ON-Duty rate)가 조절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 PWM 점화구동신호의 온 듀티비 조절을 통해 점화구동부가 작동하여 해당 가스기기의 배터리로부터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점화기로 공급되게 한다.
본 발명은 가스기기의 점화를 위하여 새것으로 교체한 배터리를 사용하기 시작하거나, 이미 교체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동안 점화기로 구동에 필요한 최소 점화구동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점화기의 구동 시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가 소모되어 해당 가스기기의 배터리 수명이 단축되거나, 상기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가 설치되는 PCB에 상기한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 공급에 기인하는 노이즈성분이 유입되어 오작동과 같은 악영향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종래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Igniter driving power controller for gas appliance}
본 발명은 가스기기용 점화기(Igniter)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 레인지나 가스 보일러 등과 같은 각종 가스기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점화노브 조작에 의해 점화스위치(110)가 온되면 마이컴(120)이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 점화구동신호에 의해 점화구동부(130)가 작동하여 해당 가스기기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점화구동전원을 점화기(140)로 공급하면 점화기(140)가 해당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스기기의 버너가 착화된 시점에 해당 버너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불꽃감지부(150)가 출력하는 착화감지신호가 상기 마이컴(120)으로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120)이 점화구동신호의 출력을 중지함으로써 상기 점화구동부(130)에 의해 점화기(140)로 공급되는 점화구동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하는 종래의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140)는 통상 3V 이하에서 2V 이상의 점화구동범위에 속하는 점화구동전원이 공급되면 해당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가스기기에서 새것으로 교체한 배터리를 사용하기 시작한 후부터 배터리의 전원 소모에 기인한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상기 마이컴(120)이 점화구동신호(High)를 출력하면 최초 3V의 점화구동전원이 상기 점화기(140)로 공급되다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상기 점화구동전원이 3V이하에서부터 2V 이상까지 점점 낮아지면서 상기 점화기(140)로 공급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점화기(140)는 2V의 점화구동전원이 공급되더라도 충분히 해당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킬 수 있는데, 종래의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에서는 새것으로 교체한 배터리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 최초 3V의 점화구동전원이 상기 점화기(140)로 공급되기 시작하고, 이미 교체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배터리가 2V 미만으로 방전되기 전까지 2V 이상의 점화구동전원이 상기 점화기(140)로 공급되므로, 점화기(140)의 구동 시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가 소모되어 해당 가스기기의 배터리 수명이 단축되거나, 상기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가 설치되는 PCB에 상기한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 공급에 기인하는 노이즈성분이 유입되어 오작동과 같은 악영향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예컨대, 상기와 같이 최초 3V의 점화구동전원이 상기 점화기(140)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점화기(140)의 구동 시 3V-2V=1V의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가 소모되거나 상기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가 설치되는 PCB에 상기한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 1V에 기인하는 노이즈성분이 유입되어 오작동과 같은 악영향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이와 달리, 이미 교체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동안, 예컨대 최초 3V의 점화구동전원이 상기 점화기(140)로 공급되기 시작한 후 시간이 경과하여 2.5V의 점화구동전원이 상기 점화기(140)로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점화기(140)의 구동 시 2.5V-2V=0.5V의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가 소모되거나 상기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가 설치되는 PCB에 상기한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 0.5V에 기인하는 노이즈성분이 유입되어 오작동과 같은 악영향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KR 10-2019-0048257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가 온되면 마이컴이 온 듀티비(ON-Duty rate)가 조절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 PWM 점화구동신호의 온 듀티비 조절을 통해 점화구동부가 작동하여 해당 가스기기의 배터리로부터 최소 점화구동전원이 점화기로 공급되게 하는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는,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가 온되면 마이컴이 온 듀티비(ON-Duty rate)가 조절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 PWM 점화구동신호의 온 듀티비 조절을 통해 점화구동부가 작동하여 해당 가스기기의 배터리로부터 최소 점화구동전원이 점화기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점화기가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받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킨 시점에 해당 버너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불꽃감지부가 출력하는 착화감지신호가 상기 마이컴으로 입력되면 상기 PWM 점화구동신호의 출력을 중지함으로써 상기 점화구동부에 의해 점화기로 공급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PWM 점화구동신호 출력 후 상기 점화기가 최소 점화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키지 못하면 이미 출력한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에서 미리 정한 편차를 반영하여 설정한 편차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새로운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 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 착화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버너 착화 감지 시 상기한 새로운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을 기억부에 기억하고, 상기 버너 착화 미감지 시 버너 착화 감지가 될 때까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 출력한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에서 미리 정한 편차를 반영하여 설정한 편차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새로운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 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 착화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가 온되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가 온되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에서 미리 정한 편차를 반영하여 설정한 편차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배터리 전원 감지부를 통해 가스기기의 배터리 교체가 감지되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초기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배터리 전원 감지부를 통해 가스기기의 배터리 방전이 감지되면 배터리 교체를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화구동부는 상기 마이컴이 온 듀티비(ON-Duty rate)가 조절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면 해당 PWM 점화구동신호의 온 타임 동안 온되고 오프 타임 동안 오프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가 온되면 함께 온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가 오프되면 함께 오프되어 상기 가스기기의 배터리로부터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상기 점화기로 공급되게 하는 제2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온 및 오프 반복 작동에 따라 충전 및 방전을 반복 작동하여 상기 점화기로 상기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하는 전해콘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PWM 점화구동신호 출력 후 상기 점화기가 최소 점화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킨 시점에 해당 버너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불꽃감지부가 출력하는 착화감지신호가 상기 마이컴으로 입력되면 상기 착화감지신호 입력 직전에 출력한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을 기억부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스기기의 점화를 위하여 새것으로 교체한 배터리를 사용하기 시작하거나, 이미 교체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동안 점화기로 구동에 필요한 최소 점화구동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점화기의 구동 시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가 소모되어 해당 가스기기의 배터리 수명이 단축되거나, 상기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가 설치되는 PCB에 상기한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 공급에 기인하는 노이즈성분이 유입되어 오작동과 같은 악영향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종래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
도 2는 도 1의 마이컴이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점화기로 공급되는 점화구동전원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
도 4는 도 3의 마이컴이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점화기로 공급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는 점화스위치(110')와 마이컴(120'), 점화구동부(130'), 점화기(140'), 불꽃감지부(150'), 기억부(160') 및 배터리 전원 감지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는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110')가 온되면 마이컴(120')이 온 듀티비(ON-Duty rate)가 조절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 PWM 점화구동신호의 온 듀티비 조절을 통해 점화구동부(130')가 작동하여 해당 가스기기의 배터리로부터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점화기(140')로 공급되게 한다.
상기 마이컴(120')은 상기 점화기(140')가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받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킨 시점에 해당 버너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불꽃감지부(150')가 출력하는 착화감지신호가 상기 마이컴(120')으로 입력되면 상기 PWM 점화구동신호의 출력을 중지함으로써 상기 점화구동부(130')에 의해 점화기(140')로 공급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차단한다.
상기 마이컴(120')은 상기 PWM 점화구동신호 출력 후 상기 점화기(140')가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받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킨 시점에 해당 버너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불꽃감지부(150')가 출력하는 착화감지신호가 상기 마이컴(120')으로 입력되면 상기 착화감지신호 입력 직전에 출력한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기억부(160')에 기억한다.
상기 마이컴(120')은 상기 PWM 점화구동신호 출력 후 상기 점화기(140')가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받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키지 못하면 이미 출력한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에서 미리 정한 편차를 반영하여 설정한 편차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새로운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 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 착화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버너 착화 감지 시 상기한 새로운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기억부(160')에 기억하고, 상기 버너 착화 미감지 시 버너 착화 감지가 될 때까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 출력한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에서 미리 정한 편차를 반영하여 설정한 편차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새로운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 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 착화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참고로, 상기 PWM 점화구동신호 출력 후 상기 점화기(140')가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받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키지 못하면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불꽃감지부(150')가 착화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마이컴(120')으로 착화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상기 마이컴(120')은 상기 버너 착화 미감지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 마이컴(120')은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110')가 온되면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120')은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110')가 온되면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에서 미리 정한 편차를 반영하여 설정한 편차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컴(120')은 배터리 전원 감지부(170')를 통해 가스기기의 배터리 교체가 감지되면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초기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컴(120')은 배터리 전원 감지부(170')를 통해 가스기기의 배터리 방전이 감지되면 배터리 교체를 경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 교체 경보용 경보기로는 경보음이나 경보메시지를 출력하는 버저나 스피커를 사용하거나, 경보문자 표시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화구동부(130')는 제1트랜지스터(Q1)와 제2트랜지스터(Q2) 및 전해콘덴서(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Q1)는 상기 마이컴(120')이 온 듀티비(ON-Duty rate)가 조절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면 해당 PWM 점화구동신호의 온 타임 동안 온되고 오프 타임 동안 오프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함께 온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 함께 오프되어 상기 가스기기의 배터리로부터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상기 점화기로 공급되게 한다.
상기 전해콘덴서(C)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온 및 오프 반복 작동에 따라 충전 및 방전을 반복 작동하여 상기 점화기(140')로 상기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한다.
도 3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Q2)는 함께 온되거나 함께 오프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점화구동부(130')에 있어서 R로 표시한 저항소자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Q1)와 제2트랜지스터(Q2) 보호용 저항소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 레인지나 가스 보일러 등과 같은 각종 가스기기의 배터리가 새것으로 교체되면 상기 배터리 전원 감지부(170')가 배터리 교체를 감지한다.
이처럼 배터리 전원 감지부(170')를 통해 가스기기의 배터리 교체가 감지된 상태에서 해당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110')가 온되면 상기 마이컴(120')은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초기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가스기기의 배터리 교체 시 미리 기억되어 있는 초기 점화구동전원이 2V라면, 상기 마이컴(120')은 2V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 즉 상기 점화기(140')에 2V를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으로 공급하기 위한 PWN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달리, 상기 가스기기가 이미 교체한 방전되지 않은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해당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110')가 온되면 상기 마이컴(120')은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110')가 온되기 이전에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2.4V라면, 상기 마이컴(120')은 2.4V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 즉 상기 점화기(140')에 2.4V를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으로 공급하기 위한 PWN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110')가 온되기 이전에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2.4V인 경우, 상기 마이컴(120')은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에서 미리 정한 편차를 반영하여 설정한 편차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110')가 온되기 이전에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2.4V라면, 상기 마이컴(120')은 2.4V에서 미리 정한 편차 ΔV=0.2V 만큼 감소하여 설정한 2.2V의 편차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거나, 2.4V에서 미리 정한 편차 ΔV=0.2V 만큼 증가하여 설정한 2.6V의 편차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기기의 점화를 위하여 새것으로 교체한 배터리를 사용하기 시작하거나, 이미 교체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동안 해당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110')가 온되었을 때 상기 마이컴(120')이 상기 PWM 점화구동신호 출력한 후 상기 점화구동부(130')가 작동하여 해당 가스기기의 배터리로부터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점화기(140')로 공급되게 하면 상기 점화기(140')가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받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킨다.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가 착화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점화스위치(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오프된다.
또한,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가 착화되는 시점에 해당 버너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불꽃감지부(150')가 출력하는 착화감지신호가 상기 마이컴(120')으로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120')은 상기 착화감지신호 입력 직전에 출력한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기억부(160')에 기억한다.
이처럼, 상기 기억부(160')에 상기 착화감지신호 입력 직전에 출력한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기억된 이후, 오프되어 있는 점화스위치(11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다시 온되면, 상기 마이컴(120')은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거나, 이와 달리 상기 마이컴(120')은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에서 미리 정한 편차를 반영하여 설정한 편차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마이컴(120')이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상기 점화기(140')로 공급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의 (a)는 상기 마이컴(120')이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 2.1V에 대응하도록 온 듀티비(ON-Duty rate)가 70%로 조절된 PWM 점화구동신호, 즉 상기 점화기(140')에 2.1V를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으로 공급하기 위한 PWN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그래프이다.
도 4의 (b)는 상기 마이컴(120')이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 2.4V에 대응하도록 온 듀티비(ON-Duty rate)가 80%로 조절된 PWM 점화구동신호, 즉 상기 점화기(140')에 2.4V를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으로 공급하기 위한 PWN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그래프이다.
도 4의 (c)는 상기 마이컴(120')이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 2.7V에 대응하도록 온 듀티비(ON-Duty rate)가 90%로 조절된 PWM 점화구동신호, 즉 상기 점화기(140')에 2.7V를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으로 공급하기 위한 PWN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그래프이다.
도 4의 (d)는 도 4의 (a)와 (b) 및 (c)와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종래의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에서 새것으로 교체한 배터리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 마이컴(120)이 최초 3V의 점화구동전원을 점화기(140)로 공급하기 위한 점화구동신호(high)를 출력하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기기의 점화를 위하여 새것으로 교체한 배터리를 사용하기 시작하거나, 이미 교체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동안상기 마이컴(120')이 상기 점화기(140')로 구동에 필요한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점화기(140')의 구동 시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가 소모되어 해당 가스기기의 배터리 수명이 단축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상기한 가스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마이컴(120')이 상기 점화기(140')로 구동에 필요한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가 설치되는 PCB에 상기한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 공급에 기인하는 노이즈성분이 유입되어 오작동과 같은 악영향을 발생시킬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a)와 같이, 2.1V의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상기 점화기(140')로 공급되게 하는 경우, 상기 점화기(140')의 구동 시 3V-2.1V=0.9V의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을 해소함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거나, 상기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가 설치되는 PCB에 상기한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 0.9V에 기인하는 노이즈성분이 유입되어 오작동과 같은 악영향을 발생시킬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b)와 같이, 2.4V의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상기 점화기(140')로 공급되게 하는 경우, 상기 점화기(140')의 구동 시 3V-2.4V=0.6V의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을 해소함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거나, 상기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가 설치되는 PCB에 상기한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 0.6V에 기인하는 노이즈성분이 유입되어 오작동과 같은 악영향을 발생시킬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c)와 같이, 2.7V의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상기 점화기(140')로 공급되게 하는 경우, 상기 점화기(140')의 구동 시 3V-2.7V=0.3V의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을 해소함으로써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거나, 상기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100')가 설치되는 PCB에 상기한 불필요한 잉여 전기에너지 0.3V에 기인하는 노이즈성분이 유입되어 오작동과 같은 악영향을 발생시킬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100,100':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110,110': 점화스위치 120,120': 마이컴
130,130': 점화구동부 140,140': 점화기
150,150': 불꽃감지부 160': 기억부
170': 배터리 전원 감지부

Claims (9)

  1.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110')가 온되면 마이컴(120')이 온 듀티비(ON-Duty rate)가 조절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이 PWM 점화구동신호의 온 듀티비 조절을 통해 점화구동부(130')가 작동하여 해당 가스기기의 배터리로부터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점화기(140')로 공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20')은 상기 점화기(140')가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받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킨 시점에 해당 버너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불꽃감지부(150')가 출력하는 착화감지신호가 상기 마이컴(120')으로 입력되면 상기 PWM 점화구동신호의 출력을 중지함으로써 상기 점화구동부(130')에 의해 점화기(140')로 공급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20')은 상기 PWM 점화구동신호 출력 후 상기 점화기(140')가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받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키지 못하면 이미 출력한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에서 미리 정한 편차를 반영하여 설정한 편차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새로운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 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 착화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버너 착화 감지 시 상기한 새로운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을 기억부(160')에 기억하고, 상기 버너 착화 미감지 시 버너 착화 감지가 될 때까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 출력한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에서 미리 정한 편차를 반영하여 설정한 편차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새로운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 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 착화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20')은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110')가 온되면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20')은 가스기기의 점화스위치(110')가 온되면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에서 미리 정한 편차를 반영하여 설정한 편차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20')은 배터리 전원 감지부(170')를 통해 가스기기의 배터리 교체가 감지되면 기억부(160')에 기억되어 있는 초기 점화구동전원에 대응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20')은 배터리 전원 감지부(170')를 통해 가스기기의 배터리 방전이 감지되면 배터리 교체를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구동부(130')는
    상기 마이컴(120')이 온 듀티비(ON-Duty rate)가 조절되는 PWM 점화구동신호를 출력하면 해당 PWM 점화구동신호의 온 타임 동안 온되고 오프 타임 동안 오프되는 제1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함께 온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 함께 오프되어 상기 가스기기의 배터리로부터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이 상기 점화기로 공급되게 하는 제2트랜지스터(Q2);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Q2)의 온 및 오프 반복 작동에 따라 충전 및 방전을 반복 작동하여 상기 점화기(140')로 상기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하는 전해콘덴서(C);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20')은 상기 PWM 점화구동신호 출력 후 상기 점화기(140')가 최소 점화구동전원(IG_min)을 공급받아 상기 가스기기의 버너를 착화시킨 시점에 해당 버너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불꽃감지부(150')가 출력하는 착화감지신호가 상기 마이컴(120')으로 입력되면 상기 착화감지신호 입력 직전에 출력한 PWM 점화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최소 점화구동전원을 기억부(160')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KR1020200064877A 2020-05-29 2020-05-29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KR102347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77A KR102347831B1 (ko) 2020-05-29 2020-05-29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77A KR102347831B1 (ko) 2020-05-29 2020-05-29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516A true KR20210147516A (ko) 2021-12-07
KR102347831B1 KR102347831B1 (ko) 2022-01-06

Family

ID=7886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877A KR102347831B1 (ko) 2020-05-29 2020-05-29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8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189A (ko) * 1993-06-01 1995-01-03 기따오까 다까시 난방기의 제어장치
KR19990072608A (ko) * 1998-02-12 1999-09-27 강성모 연소장치
JP2000097433A (ja) * 1998-09-24 2000-04-04 Yamatake Corp 着火装置
JP2017026258A (ja) * 2015-07-27 2017-02-02 株式会社ノーリツ 電池式燃焼装置
KR20190048257A (ko) 2017-10-31 2019-05-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기기의 이그나이터 오 방전 검출장치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189A (ko) * 1993-06-01 1995-01-03 기따오까 다까시 난방기의 제어장치
KR19990072608A (ko) * 1998-02-12 1999-09-27 강성모 연소장치
JP2000097433A (ja) * 1998-09-24 2000-04-04 Yamatake Corp 着火装置
JP2017026258A (ja) * 2015-07-27 2017-02-02 株式会社ノーリツ 電池式燃焼装置
KR20190048257A (ko) 2017-10-31 2019-05-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기기의 이그나이터 오 방전 검출장치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831B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4021B2 (en) Integrated circuit capable of enhanced lamp ignition
US8063581B2 (en) Drive circuit for driving a load with pulsed current
US6469454B1 (en)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ontroller
US20100236538A1 (en) Burner ignition system and method of ignition
KR102347831B1 (ko)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US8787415B1 (en) Bias current control of laser diode instrument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instrument
KR101274590B1 (ko) 엘씨디 백라이트용 디지털 인버터의 엘씨씨
CN108988469B (zh) 一种电池电路、电池装置、电子烟和供电控制方法
JP2017026258A (ja) 電池式燃焼装置
US7038401B2 (en) Op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gas discharge lamps
KR100581463B1 (ko) 기름 보일러의 비례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3045672A (ja) 点灯装置
CN213983677U (zh) 一种带定时功能的燃气灶点火控制器
KR920008877B1 (ko) 연소기기의 공기공급량 조절방법
SE528997C2 (sv) Förfarande för att tända en oljebrännare och tändanordning för en oljebrännaranordning
KR102255236B1 (ko) 가스레인지의 용기 검지에 따른 점화제어장치
CN212774573U (zh) 一种控制型点火器
CN114060867B (zh) 燃气装置及其控制方法
KR0137713Y1 (ko) 모드전환시 고압안정화회로
US6137242A (en) Circuit for regulating output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different open-circuit time of input AC power source and the method thereof
JPS6124918A (ja) 燃焼器の換気警告装置
KR0121099B1 (ko) 마이크로컴퓨터제어식의 가열장치
JP2023172216A (ja) 燃焼機
KR100190968B1 (ko) 인버터 스탠드의 시간대별 조도 변환장치 및 그 방법
JP2002333129A (ja) 燃焼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