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713Y1 - 모드전환시 고압안정화회로 - Google Patents

모드전환시 고압안정화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713Y1
KR0137713Y1 KR2019950015019U KR19950015019U KR0137713Y1 KR 0137713 Y1 KR0137713 Y1 KR 0137713Y1 KR 2019950015019 U KR2019950015019 U KR 2019950015019U KR 19950015019 U KR19950015019 U KR 19950015019U KR 0137713 Y1 KR0137713 Y1 KR 0137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transistor
unit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5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547U (ko
Inventor
변영갑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2019950015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713Y1/ko
Publication of KR9700035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5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9Arrangements or assemblies in supply circuits for the purpose of withstanding high volt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드전환시 고압을 소프트(soft)하게 정상 전압으로 안정화 시켜 고압발생기인 플라이백트랜스의 이상 동작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 모드전환시 고압 안정화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수평 동기의 안정 및 불안정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치에 따라 고압 안정화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 컨트롤 유니트(MCU)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수평 드라이브부의 컨트롤 전압을 가변시켜 고압을 안정화시키는 고압안정화부; 고압안정화부에서 출력되는 컨트롤 전압에 따라 스텝-업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스텝-업 회로의 B+전압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수평 드라이브부를 구비함으로써, 모드전환시에도 고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드전환시 고압 안정화회로
본 고안은 모드전환시 고압 안정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드전환시 고압을 소프트(soft)하게 정상 전압으로 안정화 시켜 고압발생기인 플라이백트랜스의 이상 동작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 모드전환시 고압 안정화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니터는 모드전환시 순간적으로 시그널 소오스(signal source)의 입력이 없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수평발진회로는 프리-런(free-run)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발진회로가 프리-런 상태로 동작을 하면 수평출력단이 불안정하게 동작되며, 이로 인해 고압발생기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가 이상동작을 하여 전체적인 모니터 시스템의 고압에 이상을 발생하여 모니터 시스템이 불안정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니터의 모드전환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모드전환시 고압을 소프트(soft)하게 정상 전압으로 안정화 시켜 고압발생기인 플라이백트랜스의 이상동작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 모드전환시 고압 안정화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수평 동기의 안정 및 불안정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치에 따라 고압 안정화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 컨트롤 유니트(MCU)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수평 드라이브부의 컨트롤 전압을 가변시켜 고압을 안정화시키는 고압안정화부와;
상기 고압안정화부에서 출력되는 컨트롤 전압에 따라 스텝-업 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스텝-업 회로의 B+전압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수평 드라이브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모드전환시 고압 안정화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평드라이브부 20 : 스텝-업 회로
30 : 고압안정화부 40 : 메인 컨트롤 유니트(MCU)
TR1,TR2 : 트랜지스터 C1 : 충, 방전 콘덴서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모드전환시 고압 안정화회로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동기의 안정 및 불안정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치에 따라 고압 안정화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 컨트롤 유니트(MCU)(40)와,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니트(4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수평 드라이브부(10)의 컨트롤 전압을 가변시켜 고압을 안정화시키는 고압안정화부(30)와; 상기 고압안정화부(30)에서 출력되는 컨트롤 전압에 따라 스텝-업 회로(20)를 제어하여 상기 스텝-업 회로(20)의 B+전압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수평 드라이브부(1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고압안정화부(30)는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니트(4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트랜지스터(TR1)와,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와 베이스단이 접속되어 그 트랜지스터(TR1)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스위칭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TR2)와,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턴-온시 콜렉터로 흐르는 전압을 충, 방전하는 충, 방전콘덴서(C1)와, 상기 충, 방전 콘덴서(C1)에서 방전된 전압을 안정화시켜 상기 수평 드라이브부(10)에 전달해주는 저항(R4) 및 다이오드(D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모드전환시 고압 안정화회로는, 먼저 모드전환시 수평 드라이브부(10)가 로우(L)레벨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메인 컨트롤 유니트(40)는 수평 동기 신호를 검색하여 안정 및 불안정 여부를 판별하게 되고, 이 판별 결과 수평 동기 신호가 불안정하면 고압 안정화를 위한 제어신호로 하이신호(High)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하이신호는 고압안정화부(30)에 전달되며, 상기 고압안정화부(30)는 그 전달되는 하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TR1)가 턴-온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가 턴-온 됨에 따라 Vcc의 전압은 턴-온된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와 에미터단을 통해 수평 드라이브부(10)로 흐르게 되며, 아울러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단에는 저항(R3)을 통해 로우(L)레벨이 가해져 트랜지스터(TR2)도 턴-온 된다.
이렇게 트랜지스터(TR3)가 턴-온 됨에 따라 12V의 Vcc전압은 턴-온된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와 콜렉터 단을 통해 콘덴서(C1)에 인가되어 12V까지 전압을 충전시킨다.
그리고 충전된 전압은 저항(R4)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방전되어 수평 드라이브부(1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수평 드라이브부(10)는 그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되게 스텝-업 회로(20)를 컨트롤하여 스텝-업회로(20)의 출력인 B+전압이 낮추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메인 컨트롤 유니트(40)는 지속적으로 수평동기신호의 안정화 여부를 체크하게 되고, 그 체크 도중에 수평동기가 안정되면 고압제어신호로 로우신호(Low)를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니트(40)에서 출력되는 로우신호에 의해 고압안정호부(30) 내의 트랜지스터(TR1)는 턴-오프되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 전압도 하이레벨이 되어 트랜지스터(TR2)도 턴-오프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2)가 턴-오프되면, 상기 콘덴서(C1)로 부터 충전된 전압이 서서히 방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수평 드라이브부(10)에 입력되는 제어전압도 서서히 낮아지게 된다.
이때 수평 드라이브부(10)는 그 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스텝-업회로(20)를 컨트롤하여 B+전압이 서서히 높아지도록 한다.
이후 콘덴서(C1)의 충전 전압이 완전히 방전되면 스텝-업회로(20)의 B+전압은 이전과 같이 최상의 상태로 안정화된다.
즉, 본 고안은 모드전환시 수평동기가 불안정하게 되면 고압안정화부(30)의 동작에 의해 B+전압을 서서히 낮추고, 다시 수평동기가 정상화되면 상기 B+전압을 서서히 높여 정상상태의 전압이 되도록 소프트(soft)하게 제어함으로써 고압의 안정화를 도모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모드전환시 수평동기가 불안정하게 되면 고압안정화부의 동작에 의해 B+전압을 서서히 낮추고, 다시 수평동기가 정상화되면 상기 B+전압을 서서히 높여 정상상태의 전압이 되도록 소프트(soft)하게 고압을 제어함으로써 고압의 안정화를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평 동기의 안정 및 불안정 여부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치에 따라 고압 안정화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 컨트롤 유니트(MCU)(4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수평 드라이브부(10)의 컨트롤 전압을 가변시켜 고압을 안정화시키는 고압안정화부(30)와; 상기 고압안정화부(30)에서 출력되는 컨트롤 전압에 따라 스텝-업 회로(20)를 제어하여 상기 스텝-업 회로(20)의 B+전압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수평 드라이브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시 고압 안정화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안정화부(30)는 상기 메인 컨트롤 유니트(4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ON) 또는 오프(OFF)되는 트랜지스터(TR1)와, 상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와 베이스 단이 접속되어 그 트랜지스터(TR1)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스위칭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TR2)와,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턴-온시 콜렉터로 흐르는 전압을 충, 방전하는 충, 방전콘덴서(C1)와, 상기 충, 방전 콘덴서(C1)에서 방전된 전압을 안정화시켜 상기 수평 드라이브부(10)에 전달해주는 저항(R4) 및 다이오드(D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시 고압 안정화회로.
KR2019950015019U 1995-06-28 1995-06-28 모드전환시 고압안정화회로 KR0137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019U KR0137713Y1 (ko) 1995-06-28 1995-06-28 모드전환시 고압안정화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5019U KR0137713Y1 (ko) 1995-06-28 1995-06-28 모드전환시 고압안정화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547U KR970003547U (ko) 1997-01-24
KR0137713Y1 true KR0137713Y1 (ko) 1999-05-01

Family

ID=1941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5019U KR0137713Y1 (ko) 1995-06-28 1995-06-28 모드전환시 고압안정화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7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114B1 (ko) * 2003-07-03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Crt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547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4047A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배터리 충전회로 및 그 충전방법
KR19980014710A (ko) 전원절약 회로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0598412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절전장치 및 전원절전방법
WO2003015280A1 (fr) Circuit de lancement
KR0137713Y1 (ko) 모드전환시 고압안정화회로
US5151854A (en) Integrated low voltage detect and watchdog circuit
US8278833B2 (en) Method of ignition regulation of discharge lamp and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ballast circuit
KR100280790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서지보호회로
US5708878A (en) Flash control circuit
US5479076A (en) Current mode restart circuit for a dc arc lamp
JPH10335089A (ja) バックライト照明装置の調光用バーストパルス発生回路
JP2004120971A (ja) 電源装置
KR940005071Y1 (ko) 수평 편향 지연 회로
KR0122350Y1 (ko) 다중동기 모니터의 고압안정화 회로
JP2541132B2 (ja) 自動絞りレンズ駆動装置用電源入力制御回路
KR19990003854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력최소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0179723Y1 (ko) 수평 안정화 회로
JP2000066628A (ja) Pwm制御システム
JPH04342991A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
KR200148423Y1 (ko) 영상처리시스템의 고압편향 안정화 회로
KR19990013699U (ko)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온오프시 초기 안정화 장치.
KR200332427Y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489821B1 (ko) 백라이트 인버터의 오동작 방지회로
KR0162572B1 (ko) 모니터의 절전회로
KR930004819Y1 (ko) 고압 안정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