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283A -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 Google Patents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283A
KR20210147283A KR1020200064261A KR20200064261A KR20210147283A KR 20210147283 A KR20210147283 A KR 20210147283A KR 1020200064261 A KR1020200064261 A KR 1020200064261A KR 20200064261 A KR20200064261 A KR 20200064261A KR 20210147283 A KR20210147283 A KR 20210147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air
heating device
air clea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3948B1 (ko
Inventor
황성규
유영식
서보연
Original Assignee
황성규
유영식
서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규, 유영식, 서보연 filed Critical 황성규
Priority to KR102020006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948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0Od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과 난방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수행하는 냉,난방 장치의 공기흡입구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결되는 통기구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다수로 형성되는 탈착케이싱; 상기 수용공간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냉,난방 장치로부터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미세먼지가 제거된 상태로 상기 냉,난방 장치의 송풍구를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청정필터; 상기 탈착케이싱의 외측 공기에 대한 오염 정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연동제어부; 및 상기 연동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냉,난방 장치의 원격신호수신부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냉,난방 장치가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도록 한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기존의 냉,난방 장치가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별도의 공기 청정기 설치에 따른 비용 발생을 억제하여 경제적인 공기 청정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공기 청정기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를 해소하도록 할 있다.

Description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Air cleaner using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난방 장치의 송풍력을 활용하여 공기 청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냉,난방 장치와의 연동에 의해, 냉,난방과 함께 효율적인 공기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이란 냉각사이클에 의해, 냉매를 상온에서 증발시켜 주변의 대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대기를 냉각시켜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컨에는 흡입된 공기가 냉각되어 토출되는 과정에서 에어필터를 거쳐 먼지나 오염원이 제거되는데, 이러한 에어필터는 특성상 오염 정도에 따라 주기적인 청소나 교환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에어컨의 필터 장착 구조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654724호의 "패키지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필터 장착구조"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별도의 청정기용 송풍기를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공기청정기를 구비하는 패키지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청정기용 송풍기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상기 청정기용 송풍기의 전면에 필터가 장착됨으로써 공기의 흡입 손실을 감소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필터가 장착되어 있으나, 단순 필터링 동작만으로 공기 청정기를 대체할 정도가 아니어서, 에어컨과 함께 공기 청정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고, 이로 인해 비용의 추가 발생과 함께, 공간 효용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에어컨에 공기 청정 기능을 부가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필터의 부가 뿐만 아니라, 공기 청정에 적합한 동작의 구현을 위해 별도의 부품, 예컨대 PCB 등을 교체 내지 추가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냉,난방 장치의 공기흡입구에 비전문가라도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냉,난방 장치가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별도의 공기 청정기 설치에 따른 비용 발생을 억제하여 경제적인 공기 청정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공기 청정기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를 해소하며, 공기 청정을 위하여 냉,난방 장치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청정의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냉방과 난방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수행하는 냉,난방 장치의 공기흡입구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결되는 통기구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다수로 형성되는 탈착케이싱; 상기 수용공간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냉,난방 장치로부터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미세먼지가 제거된 상태로 상기 냉,난방 장치의 송풍구를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청정필터; 상기 탈착케이싱의 외측 공기에 대한 오염 정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연동제어부; 및 상기 연동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냉,난방 장치의 원격신호수신부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냉,난방 장치가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외측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 및 상기 외측 공기에 포함되는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센서 또는 상기 냄새센서가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시, 상기 냉,난방 장치의 송풍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 상기 연동제어부 및 상기 송신부는, 상기 탈착케이싱 내에 설치되되, 상기 감지부가 외기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 상기 연동제어부 및 상기 송신부는, 상기 탈착케이싱과는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독립된 단말하우징 내에 설치되되, 상기 감지부가 외기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단말하우징 내에는, 광투과성재질의 윈도우를 통해서 광을 조사하도록 무드조명부가 마련되고,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무드조명부의 광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말하우징에는,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와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동작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시,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서 미리 설정된 단말기에 동작 감지 사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냉,난방 장치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신호가 수신되도록 상기 탈착케이싱 내에 마련되는 내부하우징 또는 상기 탈착케이싱과는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독립된 단말하우징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착케이싱은, 다수의 브라켓이 관통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공기흡입구 부근에 체결되기 위한 플랜지가 양측의 가장자리에 측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원격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송신부에 의해 상기 냉,난방 장치의 원격신호수신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냉,난방 장치가 상기 원격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탈착케이싱은, 측부에 상기 공기청정필터의 착탈을 위한 착탈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케이싱은, 상이한 크기 또는 두께를 가지는 공기청정필터 각각이 선택적으로 내측에 수용되도록 상이한 크기 또는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케이싱은, 상기 냉난방 장치의 공기흡입구 가장자리 또는 상기 공기흡입구에 브라켓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필터는, 일부 영역에 대해서 공기가 필터링되지 않고서 통과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에 의하면,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냉,난방 장치의 공기흡입구에 비전문가라도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냉,난방 장치가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별도의 공기 청정기 설치에 따른 비용 발생을 억제하여 경제적인 공기 청정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공기 청정기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를 해소할 수 있으며, 공기 청정을 위하여 냉,난방 장치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청정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의 탈착케이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의 탈착케이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100)는 탈착케이싱(110), 공기청정필터(120), 감지부(130), 연동제어부(150) 및 송수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착케이싱(110)은 냉,난방 장치(10)의 공기흡입구(11)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공기흡입구(11)와의 사이에 수용공간(114)이 형성되며, 수용공간(114)을 통해서 공기흡입구(11)와 연결되는 통기구(111)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다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냉,난방 장치(10)는 냉방과 난방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일례로 에어컨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난방장치일 수 있으며, 냉방과 난방을 겸하도록 하는 냉난방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냉,난방 장치(10)는 천정형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스탠드형이거나, 룸형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탈착케이싱(110)은 다수의 브라켓(112)이 관통하여 냉,난방 장치(10)의 공기흡입구(11) 가장자리에 체결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113)가 양측의 가장자리에 측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흡입구(11) 가장자리는 냉,난방 장치(10)에서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되는 케이스를 의미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되는 케이스의 설치 영역일 수도 있다. 또한 브라켓(112)은 예컨대, 플랜지(113)를 관통하여, 공기흡입구(11) 부근에 체결, 예컨대 나사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플랜지(1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에 머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113)는 브라켓(112)의 이탈없이 브라켓(112)의 머리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브라켓(112)이 관통하는 홀로부터 외측까지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브라켓(112)으로부터 슬라이딩에 의해 착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탈착케이싱(110)의 탈착 방식은 하나의 예시로서, 반드시 이에 한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탈착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탈착케이싱(110)은 측부에 공기청정필터(120)의 착탈을 위해 공기청정필터(120)가 출입하기 위한 착탈개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탈착케이싱(110)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착탈개구(115)를 통해서 공기청정필터(120)의 착탈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공기청정필터(120)는 수용공간(114)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냉,난방 장치(10)로부터 공기흡입구(11)를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미세먼지가 제거된 상태로 냉,난방 장치(10)의 송풍구(미도시)를 통해서 배출되도록 한다. 공기청정필터(120)는 예컨대 미세먼지를 필터링 하기 위하여,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ULPA(Ultra-Low Penetration Air) 필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서, 생활속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 기능성 필터에 해당하는 미듐필터,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HEPA 필터, 냄새 제거를 위한 카본 필터 등과 같은 다수의 필터 조립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공기청정필터(120)는 단일로서 또는 다수의 필터들과 함께 설치되는 제올라이트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제올라이트필터는 흡착 성능이 우수한 광촉매가 결합되도록 제올라이트 처리된 필터로서, 항균, 방충은 물론, 원적외선 방출, 새집증후군 방지, 라돈 제거 등의 기능을 가진다.
감지부(130)는 탈착케이싱(110)의 외측 공기에 대한 오염 정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로서 출력하도록 한다. 감지부(130)는 예컨대, 탈착케이싱(110)의 외측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131)와, 탈탁케이싱(110)의 외측 공기에 포함되는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센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먼지센서(131)는 예컨대, PM10 센서가 사용되거나, PM2.5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미세먼지 측정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연동제어부(150)에 감지신호로서 제공하도록 한다. 냄새센서(132)는 H2S, NH3, 등을 포함하는 황화합물류, 알데하이드류, 트리메틸아민 등의 악취유발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설치 장소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냄새의 성분을 감지하고, 이를 감지신호로 변환하여 연동제어부(150)에 제공한다.
연동제어부(150)는 감지부(130)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감지부(130)의 감지결과에 따라 냉,난방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냉,난방 장치(10)의 동작의 제어는 냉,난방 장치(10)의 온(on)/오프(off)는 물론 출력의 조절 뿐만 아니라, 기능의 수행을 비롯하여 다양한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연동제어부(150)는 미세먼지센서(131) 또는 냄새센서(132)가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시, 냉,난방 장치(10)의 송풍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치는 미세먼지센서(131)의 경우, PM2.5센서를 기준으로 할 경우, 36~75㎍/㎥ 이상일 수 있고,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국내 환경기준이나 WHO 기준을 비롯하여, 실내 환경에 따른 다양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냄새센서(132)의 경우, 실내에서의 냄새로 인한 불쾌감에 대해서 실험적으로나 문헌적으로 제공하는 각종 기준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준은 악취를 발생시키는 물질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송신부(160)는 연동제어부(150)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냉,난방 장치(10)의 원격신호수신부(12)에 송신함으로써, 냉,난방 장치(10)가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송신부(160)는 제어신호를 냉,난방 장치(10)에서 사용하는 원격신호의 종류, 예컨대, 적외선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또는 Wi-Fi 신호 등과 같은 신호로 변환하여, 냉,난방 장치(10)의 원격신호수신부(12)에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연동제어부(150)와 송신부(160)는 냉,난방 장치(10)에서 명령마다 미리 정해진 신호 방식을 따르도록 할 수 있다.
감지부(130), 연동제어부(150) 및 송신부(16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탈착케이싱(110) 내에, 예컨대 탈착케이싱(110) 내의 내부하우징(190) 내에 설치되되, 감지부(130)가 감지 기능을 위하여 개구(미도시) 등을 통해서 외기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100)는 냉,난방 장치(10)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신호가 수신되도록 탈착케이싱(110) 내에, 예컨대 내부하우징(190)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신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수신부(190)는 냉,난방 장치(10)의 원격신호의 종류, 예컨대, 적외선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또는 Wi-Fi 신호 등에 따라 적합한 신호 수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연동제어부(150)는 수신부(140)에 수신되는 원격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신부(160)에 의해 냉,난방 장치(10)의 원격신호수신부(12)에 송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냉,난방 장치(10)가 원격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냉,난방 장치(10)의 공기흡입구(11) 측에 탈착케이싱(110)이 설치시, 냉,난방 장치(10)의 리모컨이나 단말기 등의 리모컨신호에 해당하는 원격신호의 수신에 장애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원격신호를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원격신호의 수신 장애를 해소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100)는 전원공급부(170)에 의해 내부의 배터리 등이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연동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동작표시부(180)가 탈착케이싱(110)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20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100)에서와 마찬가지로, 통기구(211), 브라켓(212), 플랜지(213) 및 수용공간(214)을 가지는 탈착케이싱(210), 공기청정필터(220), 미세먼지센서(231) 및 냄새센서(232)를 포함하는 감지부(230), 연동제어부(250) 및 송신부(260)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전원공급부(271) 및 동작표시부(272)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구성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100)에서 동일 명칭으로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200)에서, 감지부(230), 연동제어부(250) 및 송신부(260)는 탈착케이싱(210)과는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독립된 단말하우징(290) 내에 설치되되, 감지부(230)가 외기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단말하우징(290)은 원하는 장소에 놓여질 수 있다.
단말하우징(290) 내에는, 투명한 합성수지나 글래스 등과 같은 광투과성재질의 윈도우(291)를 통해서 광을 조사하도록 LED 등과 같은 무드조명부(3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연동제어부(250)는 감지부(230)의 감지결과에 따라 무드조명부(310)의 광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미세먼지센서(231)가 PM2.5 센서인 경우, 무드조명부(310)의 색상이 예를 들면, 0~15㎍/㎥인 경우 블루색상일 수 있고, 16~35㎍/㎥인 경우 초록 색상일 수 있으며, 36~75㎍/㎥인 경우 노란 색상일 수 있고, 76㎍/㎥ 이상인 경우 적색일 수 있는데, 냄새센서(232)의 경우도 냄새의 양 또는 질에 따라, 실험적으로 또는 문헌을 참조하여,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등으로 나누어 각각 달리 색상을 가지도록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200)는 냉,난방 장치(10)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신호가 수신되도록 탈착케이싱(210)과는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독립된 단말하우징(290)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신부(240)가 마련될 수 있는데, 수신부(240)는 이전의 실시례와 달리, 냉,난방 장치(10)의 원격신호 수신 범위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탈착케이싱(210)에는 기존의 냉,난방 장치(10)의 원격신호 뿐만 아니라, 송신부(260)의 제어신호가 원활하게 수신되도록 하는 개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단말하우징(290)에는 온(on)이나 오프(off)를 비롯하여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320)가 마련될 수 있고, 동작에 필요한 전원, 예컨대 배터리나 충전지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단말하우징(290)에는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273)와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274)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외부기기는 후술하게 될 단말기가 포함되고,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뿐만 아니라, 노트북이나 데스크탑 등과 같이,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등의 구동에 의해 필요한 정보 처리를 수행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다양한 정보처리 및 통신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통신모듈(274)은 외부 기기와의 유선 또는 무선 등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RFID, UWB, WiHD, 3G, LTE, 5G, Wibro(Wireless Broadband)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연동제어부(250)는 동작감지센서(273)로부터 동작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시, 통신모듈(274)을 통해서 미리 설정된 단말기에 동작 감지 사실을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서 단말기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별도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단말하우징(290)에는 외부로부터 음성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275)과, 마이크로폰(275)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을 해석하여, 원하는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인공지능모듈(276)과, 인공지능모듈(276)에 의해 상기의 결과를 오디오로 출력하는 스피커(277)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하우징(290)은 인공지능 스피커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의 탈착케이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탈착케이싱(310)은 상이한 크기 또는 두께를 가지는 공기청정필터 각각이 선택적으로 내측에 수용되도록 상이한 크기 또는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수용공간(314a,314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 1 및 제 2 수용공간(314a,314b)을 나타내었으며, 예컨대 제 1 수용공간(314a)은 공기청정필터가 비교적 넓으면서 두께가 얇을 경우 수용되도록 할 수 있고, 제 2 수용공간(314b)은 공기청정필터가 비교적 작으면서 두께가 두꺼운 경우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의 탈착케이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청정필터(420)는 일부 영역에 대해서 공기가 필터링되지 않고서 통과하도록 개구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청정필터(420)는 개구부(421)를 통해서 공기 일부가 필터링되지 않은 상태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탈착케이싱(410)을 통한 공기의 흡입시 부하를 줄이도록 하여, 원활한 공기 흐름을 가능하도록 하고, 순환되는 공기에 대한 부분적인 필터링의 반복에 의해, 원하는 공기 정화 효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탈착케이싱(410)은 냉난방 장치의 공기흡입구에 브라켓(412)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412)은 예컨대 머리부에 의해 걸리도록 탈착케이싱(410)의 통기구를 관통하여, 끝단이 공기흡입구의 슬롯에 끼워져서 걸림으로써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에 따르면,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냉,난방 장치의 공기흡입구에 비전문가라도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냉,난방 장치가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별도의 공기 청정기 설치에 따른 비용 발생을 억제하여 경제적인 공기 청정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공기 청정기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를 해소하도록 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청정을 위하여 냉,난방 장치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청정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냉난방 장치 11 : 공기흡입구
12 : 원격신호수신부 110,210,310,420 : 탈착케이싱
111,211 : 통기구 112,212,412 : 브라켓
113,213 : 플랜지 114,214,315a,315b : 수용공간
120,220,420 : 공기청정필터 130,230 : 감지부
131,231 : 미세먼지센서 132,232 : 냄새센서
140,240 : 수신부 150,250 : 연동제어부
160,260 : 송신부 170,271 : 전원공급부
180,272 : 동작표시부 190 : 내부하우징
273 : 동작감지센서 274 : 통신모듈
275 : 마이크로폰 276 : 인공지능모듈
277 : 스피커 290 : 단말하우징
291 : 윈도우 310 : 무드조명부
320 : 조작부 421 : 개구부

Claims (10)

  1. 냉방과 난방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수행하는 냉,난방 장치의 공기흡입구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결되는 통기구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다수로 형성되는 탈착케이싱;
    상기 수용공간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냉,난방 장치로부터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미세먼지가 제거된 상태로 상기 냉,난방 장치의 송풍구를 통해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청정필터;
    상기 탈착케이싱의 외측 공기에 대한 오염 정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냉,난방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연동제어부; 및
    상기 연동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냉,난방 장치의 원격신호수신부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냉,난방 장치가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외측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센서; 및
    상기 외측 공기에 포함되는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미세먼지센서 또는 상기 냄새센서가 정해진 기준치를 초과시, 상기 냉,난방 장치의 송풍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상기 연동제어부 및 상기 송신부는,
    상기 탈착케이싱 내에 설치되되, 상기 감지부가 외기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상기 연동제어부 및 상기 송신부는,
    상기 탈착케이싱과는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독립된 단말하우징 내에 설치되되, 상기 감지부가 외기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단말하우징 내에는,
    광투과성재질의 윈도우를 통해서 광을 조사하도록 무드조명부가 마련되고,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무드조명부의 광 색상을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말하우징에는,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와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동작에 대한 감지신호를 수신시,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서 미리 설정된 단말기에 동작 감지 사실을 제공하는,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장치의 원격 제어를 위한 원격신호가 수신되도록 상기 탈착케이싱 내에 마련되는 내부하우징 또는 상기 탈착케이싱과는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독립된 단말하우징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착케이싱은,
    다수의 브라켓이 관통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의 공기흡입구 부근에 체결되기 위한 플랜지가 양측의 가장자리에 측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동제어부는,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원격신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송신부에 의해 상기 냉,난방 장치의 원격신호수신부에 송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냉,난방 장치가 상기 원격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탈착케이싱은,
    측부에 상기 공기청정필터의 착탈을 위한 착탈개구가 형성되는,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탈착케이싱은,
    상이한 크기 또는 두께를 가지는 공기청정필터 각각이 선택적으로 내측에 수용되도록 상이한 크기 또는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탈착케이싱은,
    상기 냉난방 장치의 공기흡입구 가장자리 또는 상기 공기흡입구에 브라켓으로 고정되는,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필터는,
    일부 영역에 대해서 공기가 필터링되지 않고서 통과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KR1020200064261A 2020-05-28 2020-05-28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KR102413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261A KR102413948B1 (ko) 2020-05-28 2020-05-28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261A KR102413948B1 (ko) 2020-05-28 2020-05-28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283A true KR20210147283A (ko) 2021-12-07
KR102413948B1 KR102413948B1 (ko) 2022-06-27

Family

ID=7886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261A KR102413948B1 (ko) 2020-05-28 2020-05-28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9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9466A (ja) * 1996-02-26 1997-09-05 Kankyo:Kk 空気清浄装置
JP2001065969A (ja) * 1999-08-30 2001-03-1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06170468A (ja) * 2004-12-13 2006-06-29 Daikin Ind Ltd 環境制御装置、環境判定装置、環境制御システム、環境制御方法、環境判定方法、環境制御プログラム、及び環境判定プログラム
KR20130054626A (ko) * 2011-11-17 201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KR20150029196A (ko) * 2013-09-09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9466A (ja) * 1996-02-26 1997-09-05 Kankyo:Kk 空気清浄装置
JP2001065969A (ja) * 1999-08-30 2001-03-16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2006170468A (ja) * 2004-12-13 2006-06-29 Daikin Ind Ltd 環境制御装置、環境判定装置、環境制御システム、環境制御方法、環境判定方法、環境制御プログラム、及び環境判定プログラム
KR20130054626A (ko) * 2011-11-17 201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의 실내기
KR20150029196A (ko) * 2013-09-09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948B1 (ko)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2346A1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및 분석서버
US9043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ean air to animal enclosures
US20170350610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in-door ventilation
WO2019137531A1 (zh) 用于空调器的净化模块和包括该净化模块的空调器
CN1847739A (zh) 具有室内空气净化功能的换气装置
CN205678786U (zh) 一种窗式新风净化器
WO2012045076A2 (en) Fluid cleaning system and method
KR102100221B1 (ko) 천장형 공기청정기
KR102413948B1 (ko) 냉,난방 장치를 활용한 공기 청정 장치
CN107636392B (zh) 空气净化系统及方法
KR20180025395A (ko) 환경정보 스트리밍을 이용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기반 공기 정화 장치
KR20170027917A (ko) 보조 송풍 장치를 구비한 공기 청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080097028A (ko) 차량 실내의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019878A (zh) 一种手术室多功能环境控制系统
KR101981240B1 (ko) 조명일체 천정형 공기청정기
CN207907437U (zh) 手术室多功能环境控制系统
KR102504451B1 (ko) 창문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CN115823686A (zh) 空气过滤单元
CN212604391U (zh) 空气质量控制系统
CN201558624U (zh) 洁净屏
CN211364218U (zh) 一种汽车空调过滤系统及汽车
KR20220089826A (ko)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필터링을 구비하고 있는 환기청정기
KR20180021261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210024817A (ko) 강제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CN205536347U (zh) 一种新型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