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244A - 휴대용 냉장고 - Google Patents

휴대용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244A
KR20210147244A KR1020200064174A KR20200064174A KR20210147244A KR 20210147244 A KR20210147244 A KR 20210147244A KR 1020200064174 A KR1020200064174 A KR 1020200064174A KR 20200064174 A KR20200064174 A KR 20200064174A KR 20210147244 A KR20210147244 A KR 20210147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legs
refrigerating device
storage compartment
portable refrigerator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건
강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7244A/ko
Publication of KR20210147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0Arrangements for mounting in particular locations, e.g. for built-in type, for corn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4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2Portable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6Convertible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저장실(15a~15d)이 있고 상기 저장실(15a~15d)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20)이 설치된 냉장장치(10)와, 회전을 통해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다수개의 테이블레그(60)를 갖는 테이블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60)들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60)들 안쪽에는 상기 냉장장치(10)가 거치되는 거치공간(S)이 마련되고, 상기 테이블레그(60)들의 상부에는 상기 냉장장치(10)의 위쪽으로 이격되도록 테이블상판(70)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렇게 냉장장치(10)와 테이블장치(50)는 서로 분리가능하므로, 보관이나 휴대시에는 이들을 분리하였다가 사용할 때 하나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냉장고{Portable refrigerator}
본 발명은 휴대용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을 통해 탁자로 활용할 수 있는 휴대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냉장실과 냉동실 등의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전자기기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압축기 등을 생략하고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장고도 개발되고 있다.
냉장고는 하부에 바퀴를 달아 이동가능하도록 만들수도 있는데, 이러한 이동식 냉장고는 캠핑 등 외부환경이나 이동중에도 사용자가 냉장고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동식 냉장고는 배터리를 내장하여,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은 냉장기능을 제공해줄 수 있다.
이러한 이동식 냉장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99737는 냉장고의 하부에 롤러를 달아 냉장고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했고 제동기구를 두어 냉장고 본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동식 냉장고는 부피가 큰데 비해, 냉장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은 떨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야외에서 냉장된 음식물을 먹기 위해서는, 이동식 냉장고와 함께 별도의 테이블 등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09209는 냉장고의 상부에 테이블과 조리기를 두어 냉장고의 상부를 테이블로 활용하거나 음식물을 조리할 수도 있는 이동식 조리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냉장고가 결합된 이동 가능한 조리기는 비록 테이블로도 활용할 수 있으나, 전체 부피가 매우 클 뿐 아니라, 냉장고, 조리기 및 테이블 부분이 일체로 만들어져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물론, 사용자는 이용목적에 따라 이동식 냉장고와 함께 별개의 테이블을 준비할 수도 있으나, 이렇게 되면 냉장고를 보관하기 위한 장소와는 별도로 테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가 필요하게 되므로, 좁은 공간에서는 이들을 함께 보관/설치하기가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99737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0920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냉장고를 테이블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냉장장치와 테이블장치를 분리하여 휴대용 냉장고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장치에 테이블장치를 결합하더라도 휴대용 냉장고가 차지하는 전체 설치면적이 늘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블장치를 단순히 음식이나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 테이블장치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실이 있고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이 설치된 냉장장치와, 회전을 통해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를 갖는 테이블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들 안쪽에는 상기 냉장장치가 거치되는 거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테이블레그들의 상부에는 상기 냉장장치의 위쪽으로 이격되도록 테이블상판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렇게 냉장장치와 테이블장치는 서로 분리가능하므로, 보관이나 휴대시에는 이들을 분리하였다가 사용할 때 하나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들이 펼쳐지면 상기 테이블레그들이 서로 연결되어 만드는 거치단 위에 상기 냉장장치가 안착되고, 상기 냉장장치의 위쪽으로 이격된 상기 테이블레그의 상부에는 상기 테이블상판이 상기 냉장장치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냉장장치와 테이블장치를 조립하더라도 휴대용 냉장고가 차지하는 전체 설치면적이 크지 않고, 휴대용 냉장고의 공간활용률이 높다.
또한, 상기 테이블레그들은 두 쌍으로 구성되고, 두 쌍의 테이블레그들은 각각 두 개의 테이블레그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오므려져 접히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져 펼쳐진다. 상기 두 쌍의 테이블레그들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냉장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에 거치되면 상기 테이블레그들은 상기 냉장장치의 각 모서리부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테이블레그들이 접히면 부피가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휴대용 냉장고의 휴대성이 좋아진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레그들은 상기 테이블장치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부와, 상기 포스트부에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장장치가 안착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는 상기 테이블레그들이 서로 상대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이 연결된다. 사용자는 거치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 테이블레그들을 회전시켜 펼치거나 접을 수 있으므로, 테이블장치의 조립성이 좋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포스트부의 하단에서부터 위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장치의 저면은 상기 포스트부의 하단 보다 위쪽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다. 이에 따라 냉장장치가 테이블장치에 거치되면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냉장장치에 전달되는 지면온도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장치에는 상기 테이블레그들의 거치부가 연결되는 메인허브가 있고, 상기 두 쌍의 테이블레그들을 각각 구성하는 두 개의 테이블레그들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힌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허브 안쪽으로 삽입되면 상기 두 쌍의 테이블레그 사이의 거리가 좁혀져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레그의 상부에는 안착부가 돌출되고, 상기 안착부에 상기 테이블상판이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테이블상판은 상부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장치의 저장실에는 구획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은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다수개의 상기 저장실의 내면에는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향해서 상기 냉각모듈의 냉기가 공급되는 냉각슬릿이 개방된다. 다수개의 저장실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온도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장치의 저장실에는 음료저장부가 있고, 상기 음료저장부에는 음료용기를 감싸 고정하기 위한 고정스트립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스트립은 상기 저장실을 차폐하는 저장실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커버가 상기 냉장장치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저장실커버와 함께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음료저장부는 상기 음료용기를 수평한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감싸 고정하고, 상기 음료저장부의 고정스트립은 다수개의 음료용기를 상기 테이블장치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높이가 높은 음료용기들도 저장실 내부에 용이하게 보관이 가능하고, 특히 와인과 같은 음료를 원래의 보관방법에 맞게 눕힌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스트립에는 길이조절부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스트립의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고정부의 폭이 가변될 수 있다. 고정부의 폭이 가변되면, 고정할 수 있는 음료용기의 크기고 다양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상판에는 기능모듈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능모듈은 스피커, 휴대기기충전장치, 조명 또는 음료쿨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테이블장치는 단순히 음식이나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용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냉장장치와 테이블로 사용가능한 테이블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냉장장치와 테이블장치는 서로 분리가능하므로, 보관이나 휴대시에는 이들을 분리하였다가 사용할 때 하나로 조립하여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휴대용 냉장고의 휴대성과 보관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휴대용 냉장고의 냉장장치는 테이블장치의 안쪽 공간 중 아래쪽에 거치되고, 테이블기능을 하는 테이블상판은 상부에 평행하게 적층되는 형태로 거치된다. 따라서 냉장장치와 테이블장치를 조립하더라도 휴대용 냉장고가 차지하는 전체 설치면적이 크지 않고, 휴대용 냉장고의 공간활용률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휴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테이블장치에는 기능모듈이 착탈식으로 조립되는데, 이러한 기능모듈은 스피커, 전자기기충전장치, 조명장치 또는 음료쿨러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장치는 단순히 음식이나 물건을 올려두기 위한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냉장고의 사용자편의성과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테이블장치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는 회전을 통해 접힌 후에 다시 슬라이딩동작으로 좌우폭이 짧아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테이블장치의 부피가 크게 줄어, 휴대용 냉장고의 휴대성이 더욱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 휴대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냉장장치와 테이블장치는 서로 조립된 상태로 사용되는데, 냉장장치는 테이블장치의 중앙에 있는 거치공간에 안쪽에 거치된다. 따라서, 냉장장치와 테이블장치 사이의 디자인적 일체성이 높고,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냉장장치의 위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테이블기능을 하는 테이블상판이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설치위치에 의해서 테이블상판은 냉장장치의 위쪽에서 직사광선을 막아줄 수 있고, 냉장장치의 보냉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동시에, 냉장장치가 테이블장치에 거치되면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만큼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냉장장치에 전달되는 지면온도의 영향도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냉장장치의 내부는 다수개의 저장실로 구획되어 있고, 저장실의 한쪽에는 냉각모듈이 설치된다. 냉각모듈과의 상대위치에 따라 각 저장실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냉장온도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다수개의 저장실에는 냉각모듈의 냉기가 공급되는 냉각슬릿이 개방되는데, 이러한 냉각슬릿이 개구된 면적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저장실의 온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맞출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냉장장치의 저장실에는 음료저장부가 마련되어 있고, 음료저장부에는 다수개의 음료용기를 수평한 방향으로 눕혀 적층할 수 있는 고정스트립이 구비된다. 따라서 높이가 높은 음료용기들도 저장실 내부에 용이하게 보관이 가능하고, 특히 와인과 같은 음료를 원래의 보관방법에 맞게 눕힌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냉장장치와 테이블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냉장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냉장장치의 음료저장부에서 고정스트립이 들어올려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냉장장치의 하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테이블장치에 조립되는 기능모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테이블장치에 조립되는 기능모듈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냉장장치의 저장실커버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를 각각 보인 사용상태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냉장장치와 테이블장치를 분해하고, 테이블장치를 접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냉장고는 크게 냉장장치(10)와 테이블장치(50)로 구분된다. 여기서 냉장장치(10)는 내부의 저장실(15a~15d)에 음식물 등을 보관하여 음식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고, 테이블장치(50)는 휴대용 냉장고를 테이블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장장치(10)와 테이블장치(50)는 휴대/보관 시에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가, 사용시에 서로 조립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이들 냉장장치(10) 및 테이블장치(50)를 순서대로 설명하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다른 구성요소를 먼저 설명할 수도 있다.
먼저 본 실시례의 냉장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테이블장치(50)의 아래쪽에 거치된 상태로 사용된다. 즉, 상기 냉장장치(10)는 상기 테이블장치(50)와 독립된 별개물이지만, 사용할 때는 테이블장치(50)에 거치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냉장장치(10)는 테이블장치(50)에 거치된 상태에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냉장장치(10)에 전달되는 지면온도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냉장장치(10)의 거치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장치(10)는 대략 육면체인 입체형상을 갖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장장치(10)는 도 1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의 폭이 전후방향의 깊이 보다 크다. 상기 냉장장치(10)의 내부에는 저장실(15a~15d)이 마련되고, 저장실(15a~15d)은 냉각모듈(2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는 냉장장치(10)의 저장실커버(30)가 닫힌 상태이므로, 저장실(15a~15d)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3을 보면, 상기 냉장장치(10)는 휴대/보관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테이블장치(50)의 테이블상판(70)과 적층될 수 있다. 테이블상판(70)은 상기 냉장장치(10)와 평행하고, 전체 넓이와 형상이 유사하므로, 상기 냉장장치(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냉장장치(10)와 테이블상판(70)을 한꺼번에 휴대/보관할 수 있다. 도 3에서 테이블장치(50)는 상기 냉장장치(10)와 분해되어 접힌 상태로 표현되어 있다. 도면부호 13은 파지부로, 사용자가 상기 냉장장치(10)를 보다 쉽게 파지할 수 있게 상기 냉장장치(10)의 하단에 함몰된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냉장장치(10)의 내부에는 저장실(15a~15d)이 있다. 상기 저장실(15a~15d)은 음식물 등을 보관하기 위한 빈 공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장실(15a~15d)은 냉장장치(10)를 구성하는 외부하우징(11)의 안쪽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외부하우징(11)은 냉장장치(10)의 측면과 함께 바닥부를 포함하고 있고, 위쪽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지만 저장실커버(30)에 의해 차폐된다. 도면부호 11a는 저장실(15a~15d)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부의 상면을 나타낸다. 상기 외부하우징(11)은 단열재로 만들어져 저장실(15a~15d)의 온도유지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저장실(15a~15d)의 한쪽에는 냉각모듈(20)이 설치된다. 상기 냉각모듈(20)은 상기 저장실(15a~15d)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부하우징(11)의 안쪽에 마련된 설치공간(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만 상기 저장실(15a~15d)로 노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냉각모듈(20)은 배터리와 같은 내부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모듈(20)의 배터리 등 전원부는 상기 외부하우징(11)의 저면으로 노출될 수 있는데, 상기 외부하우징(11)의 바닥부 저면(11b)에는 전원커버(18)를 두어서 상기 전원부를 차폐하였다가 필요한 때에만 분리하여 전원부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각모듈(20)은 냉동사이클을 이용할 수 있도록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와,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순환하면서 응축기에서 방열되고 증발기에서 흡열된다. 이러한 냉각모듈(20)은 증발기가 저장실(15a~15d)을 직접 냉각시키는 직냉식 냉각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저장실(15a~15d)의 냉기가 증발기와 저장실(15a~15d)을 순환하면서 저장실(15a~15d)을 냉각시키는 간냉식 냉각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상기 냉각모듈(20)은 열전소자에 의해 냉각기능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열전소자는 펠티에 효과를 활용하여 상기 저장실(15a~15d)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모듈(20)에는 상기 열전소자의 저온부를 상기 저장실(15a~15d) 방향으로 연결하고, 고온부는 방열하여 상기 저장실(15a~15d)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냉각모듈(20)은 전기가 필요 없는 드라이아이스, 아이스팩 또는 젤팩 등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냉각모듈(20)은 소정의 수납공간으로 구성되고, 드라이아이스 등을 수납공간에 수납하여 전체 저장실(15a~15d)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냉장장치(10)는 저장실(15a~15d)의 온도를 크게 낮출 수는 없지만 음식물의 온도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 일종의 보냉장치가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장실(15a~15d)은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상기 저장실(15a~15d)의 내부에는 구획플레이트(25)가 있는데, 상기 구획플레이트(25)는 상기 저장실(15a~15d)에 세워지는 방향으로 설치되어서, 상기 구획플레이트(25)를 기준으로 좌우공간이 서로 구분된다. 상기 구획플레이트(25)는 좌우 양쪽의 저장실(15a~15d) 사이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4에서 보듯이 얇은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플레이트(25)에 의해 구분되는 저장실(15a~15d)은 다수개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저장실(15a~15d)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냉각모듈(20)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제1저장실(15a)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제4저장실(15d)까지 별개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구분하였다. 이중에서 상기 냉각모듈(20)에서 가장 가까운 제1저장실(15a)의 온도가 가장 낮게 유지될 수 있는데, 각각의 저장실(15a~15d)에는 상기 냉각모듈(20)과 연결되는 냉각슬릿이 개방되어서 어느 정도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냉각모듈(20)이 다수개로 구성되면 전체 저장실(15a~15d)의 온도를 고르게 더 낮출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제4저장실(15a~15d)은 음료용기(P1)를 저장하는 음료저장부(15d)이다.
한편, 상기 구획플레이트(25)는 상기 저장실(15a~15d)에서 분리되어, 전체 저장실(15a~15d)이 하나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22는 상기 구획플레이트(25)가 설치되는 설치프레임으로, 상기 저장실(15a~15d)의 내면을 둘러 있다. 상기 구획플레이트(25)는 상기 설치프레임(22)을 따라서 이동되는 구조일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구획플레이트(25)의 이동에 따라 저장실(15a~15d)의 체적이 달리지게 된다.
상기 저장실(15a~15d) 중에서 음료저장부(15d)를 보면, 상기 음료저장부(15d)는 음료용기(P1)를 보관하기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공간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저장부(15d)는 냉각모듈(20)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데, 이와 달리 냉각모듈(20)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료저장부(15d)에는 음료용기(P1)가 눕혀진 상태로 보관된다. 즉, 도 4에서 보듯이 음료용기(P1)가 테이블장치(50)의 높이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지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눕혀지는 것이다. 그리고 다수개의 음료용기(P1)가 평행한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음료저장부(15d)에는 고정스트립(26)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스트립(26)은 음료용기(P1)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음료저장부(15d)에 수납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스트립(26)이 음료저장부(15d)에서 분리되면 음료용기(P1)도 함께 꺼내어진다. 도 4에는 상기 고정스트립(26)이 상기 음료저장부(15d)에서 분리되어, 음료용기(P1)가 함께 노출된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스트립(26)은 유연한 재질이 엮여 만들어진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스트립(26)은 일종의 끈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고정스트립(26)은 음료용기(P1)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27)들을 포함하고, 상단부는 저장실커버(30)에 있는 걸이부(35)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35)는 상기 저장실커버(30)의 저면에 구비된 일종의 앵글로, 상기 고정스트립(26)의 위쪽 끝부분이 걸이부(35)에 걸리면 상기 저장실커버(30)가 열릴 때 상기 고정스트립(26)도 함께 딸려가면서 음료용기(P1)가 들어올려질 수 있다.
상기 고정스트립(26)은 테이블장치(50)의 높이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음료용기(P1)를 보관할 수 있고, 다수개의 음료용기(P1)들은 눕혀진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높이가 높은 음료용기(P1)들도 저장실(15a~15d) 내부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특히 와인과 같은 음료를 원래의 보관방법에 맞게 눕힌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트립(26)에는 길이조절부가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고정스트립(26)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부(27)의 폭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길이조절부는 고정스트립(26)의 고정단부(26a)와, 상기 고정단부(26a)를 걸어 고정하는 잠금부(26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단부(26a)가 상기 잠금부(26b)에 결합되는 길이에 따라서 상기 고정부(27)의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고정스트립(26)은 일정한 폭으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27)는 상기 고정스트립(26)과 별개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스트립(26)이 생략되고, 상기 음료용기(P1)가 상기 음료저장부(15d)에 직접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장치(10)의 외면에는 손잡이(40)가 있다. 도 1과 도 2를 보면, 상기 냉장장치(10)를 구성하는 외부하우징(11)에 손잡이(40)가 부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장치(10)를 보다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상기 손잡이(40)는 사용자가 냉장장치(10)를 옮길 때 파지하게 되는 부분으로, 어깨끈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42는 손잡이(4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부로, 손잡이(4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외부하우징(11)에 고정되되,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1과 도 2에는 상기 손잡이(40)가 외부하우징(11)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손잡이(40)가 들어올려지는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테이블상판(70) 방향)으로 회전하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례를 구성하는 테이블장치(5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테이블장치(50)는 앞서 설명하대로 상기 냉장장치(10)와 분리될 수 있고, 상기 냉장장치(10)와 조립되면 냉장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공간(S)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테이블장치(50)는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이 가능한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테이블장치(50)의 접힘-펼침 구조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보면, 상기 테이블장치(50)는 다수개의 테이블레그(60)와, 테이블레그(60)에 의해 지지되는 테이블상판(70)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레그(60)는 테이블장치(50)를 지지하는 일종의 프레임으로, 상기 테이블장치(50)의 전체 골격을 만드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테이블레그(60)는 다수개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테이블레그(60)는 총 4개로 구성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테이블레그(60)는 3개 또는 5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테이블레그(60)의 하단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단(62a)이 있고, 상기 지지단(62a)을 기준으로 상기 테이블레그(60)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진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테이블레그(60)들은 서로 연결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60)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메인허브(64a)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60)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테이블레그(60)는 함께 휴대/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단(62a)은 미끄럼방지 및 마모방지를 위해서 테이블레그(60)와 별개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바퀴로 구성되어 휴대용 냉장고의 이동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러한 테이블레그(60)들은 회전을 통해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i) 테이블레그(60)들이 접힌다는 것은 다수개의 테이블레그(60)들이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상대회전하여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도 11 또는 도 12와 같은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테이블레그(60)들이 접히면 테이블장치(50)는 휴대/보관하기 위한 형태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ii) 반대로 테이블레그(60)들이 펼쳐진 것은 다수개의 테이블레그(60)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회전하여 벌어진 것을 의미하는데, 도 1 및 도 10과 같은 상태를 의미한다. 테이블레그(60)들이 펼쳐지면 냉장장치(10)를 거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테이블레그(60)들이 펼쳐진 상태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도 10(b)를 참조하면, 테이블레그(60)들은 도 10(b)의 화살표① 방향, 즉 테이블레그(60)들이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고, 이렇게 되면 도 11(b)와 같이 테이블레그(60)들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테이블레그(60)들이 접혀 테이블장치(50)가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든 상태로 테이블장치(50)를 휴대/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테이블레그(60)들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테이블레그(60)는 포스트부(62)와 거치부(64)를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부(62)는 테이블장치(5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부분이고, 거치부(64)는 상기 포스트부(62)에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냉장장치(1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포스트부(62)와 상기 거치부(64)는 일체로 연결되어서, 상기 테이블레그(60)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된다.
상기 포스트부(62)는 상기 테이블장치(50)의 높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두깨가 얇고 길이가 긴 구조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봉형상이다. 다수개의 상기 포스트부(62)들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뿐 직접 연결되지는 않지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테이블레그(60)들은 상기 거치부(6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포스트부(62)의 높이는 일정하지만, 이와 달리 상기 포스트부(62)는 높이가 가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포스트부(62)는 서로 직경이 다른 다수개의 포스트몸체가 중첩되거나 늘어나면서 전체 높이가 달라질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거치부(64)의 구성을 보면, 상기 거치부(64)는 중심에 위치한 하나의 메인허브(64a)와, 상기 메인허브(64a)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링크암(64b)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허브(64a)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있는 구조이다. 상기 메인허브(64a)의 양단에는 두 쌍의 링크암(64b)이 연결된다. 두 쌍의 링크암(64b)은 각각 메인허브(64a)의 양쪽 끝에 연결되고, 두 개의 링크암(64b)들로 구성된다. 두 쌍의 링크암(64b)이 펼쳐지면 도 10(b)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6을 보면, 상기 링크암(64b)과 상기 메인허브(64a) 사이에는 회전부(65)가 있고, 상기 회전부(65)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링크암(64b)이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링크암(64b)은 상기 회전부(65)를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것인데,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링크암(64b)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한 형태로 상기 메인허브(64a)에 연결된다. 이와 달리, 한 쌍의 링크암(64b)을 구성하는 2개의 링크암(64b)들 중 어느 하나만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메인허브(64a)가 생략되고 상기 링크암(64b)들이 직접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링크암(64b)은 상기 메인허브(64a)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링크암(64b)은 접힌 상태, 즉 도 11(b)와 같이 상기 메인허브(64a)의 어느 한쪽 끝에 연결된 한 쌍의 링크암(64b)이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상기 메인허브(64a)의 안쪽에 마련된 빈 공간으로 수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링크암(64b)은 상기 회전부(65)와 함께 적어도 그 일부분이 상기 메인허브(64a)의 안쪽으로 수납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링크암(64b)의 전체 길이 중 절반 이상이 상기 메인허브(64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테이블장치(50)가 접혔을 때 좌우길이가 더욱 줄어들어 휴대성이 좋아진다.
상기 거치부(64)를 구성하는 링크암(64b)과 메인허브(64a)는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거치단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거치단 위에 상기 냉장장치(1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링크암(64b)들이 펼쳐지면, 도 10(b)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링크암(64b)들이 상기 메인허브(64a)와 함께 만드는 거치단의 전체 면적이 넓어지고, 따라서 냉장장치(10)는 안정적으로 거치단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거치부(64) 또는 상기 포스트부(62)에는 상기 냉장장치(10)의 외면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거치부(64)는 상기 포스트부(62)의 하단에 있는 지지단(62a) 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거치부(64)는 상기 포스트부(62)의 하단 보다는 높지만, 상기 포스트부(62)의 중심 보다는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냉장장치(10)가 거치되는 거치공간(S)의 높이는 충분이 높게 확보되면서도 상기 냉장장치(10)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거치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포스트부(62)와 상기 거치부(64)에는 와이어(W)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W)는 상기 냉각모듈(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냉각모듈(20)과 외부전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W)는 한쪽끝이 전원부에 연결되고 반대쪽끝이 외부로 연장되는데, 테이블레그(60)를 따라 연장됨으로써 주변과 간섭되지 않도록 정리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W)는 상기 테이블레그(60)에 고정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개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블레그(60)에 분리가능한 형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테이블장치(50)에는 테이블상판(70)이 결합된다. 상기 테이블상판(70)은 상기 테이블장치(50)의 상부에 결합되어, 그 상면(71)에 사용자가 물건을 올려둘 수 있는 부분이 된다. 상기 테이블상판(70)은 평판구조이고, 상기 테이블레그(60)의 상부에 결합되어 테이블레그(6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테이블레그(60)의 포스트부(62)에는 안착부(68)가 돌출되고, 상기 안착부(68)에 테이블상판(7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68)는 상기 포스트부(62)의 길이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테이블상판(70)의 저면 또는 측면을 걸어 고정해준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테이블상판(70)은 하나로 구성되지만, 이와 달리 다수개의 테이블상판(70)이 일정한 간격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테이블상판(70)은 상기 테이블레그(60)가 펼쳐진 상태에서 테이블레그(60)의 안착부(68)에 거치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i) 상기 테이블장치(50)를 구성하는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60)들이 펼쳐지면 상기 테이블레그(60)들이 서로 연결되어 만드는 거치단 상에 상기 냉장장치(10)가 안착되고, 또한 (ii) 상기 냉장장치(10)의 위쪽으로 이격된 상기 테이블레그(60)의 상부에는 상기 테이블상판(70)이 상기 냉장장치(10)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장장치(10)는 테이블장치(50)의 안쪽 공간 중 아래쪽에 거치되고, 테이블기능을 하는 테이블상판(70)은 상단에 평행하게 거치된다. 따라서 냉장장치(10)와 테이블장치(50)를 사용하기 위해서 조립하더라도 휴대용 냉장고가 차지하는 전체 설치면적은 냉장장치(10)와 테이블장치(50)의 크기를 더한 만큼 증가하지 않으므로, 휴대용 냉장고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이블상판(70)이 상기 테이블레그(60)의 안착부(68)에 고정되면, 상기 테이블상판(70)과 상기 냉장장치(10) 사이는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이격된 공간은 상기 냉장장치(10)의 뚜껑인 저장실커버(30)가 위쪽으로 분리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된다. 참고로, 상기 테이블상판(70)은 반드시 안착부(68)에 걸리지 않고, 상기 포스트부(62)의 상단에 상기 테이블상판(70)의 저면이 끼워져 테이블상판(70)이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테이블상판(70)의 저면에는 함몰된 결합홈(미도시)이 있고, 상기 결합홈에 상기 포스트부(62)의 상단이 끼워질 수도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테이블상판(70)은 테이블레그(60)와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휴대/보관 시에는 상기 테이블상판(70)을 테이블레그(6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테이블상판(70)을 테이블레그(60)에서 분리해서 냉장장치(10)의 저장실커버(30)에 올려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테이블상판(70)을 상기 냉장장치(10)와 함께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테이블상판(70)은 다수개의 테이블레그(60)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의 테이블레그(60)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테이블상판(70)은 상기 테이블레그(6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테이블상판(70)에는 기능모듈(80)이 결합된다. 상기 기능모듈(80)은 상기 테이블상판(70)에 교체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 편의를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모듈(80)은 스피커, 휴대기기충전장치, 조명 또는 음료쿨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모듈(80)은 상기 테이블상판(70)의 어느 한쪽에 결합되고, 앞서 설명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7은 기능모듈(80)의 한 예로, 상기 기능모듈(80)에는 메인몸체(81)가 있고, 상기 메인몸체(81)에는 기능모듈(80)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82)와, 휴대기기의 충전이나 스피커연결을 위한 단자부(83)가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81)의 위쪽으로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스탠드(87)가 있고, 상기 스탠드(87)에는 휴대기기를 무선충전하기 위한 무선충전부(88)가 구비된다. 상기 스탠드(87)는 도 7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휴대기기 등을 적절한 각도로 거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메인몸체(81)에는 스피커(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고, 상기 스피커는 저음이 강화된 붐박스(boombox) 스피커로 구성되어 상기 테이블상판(70) 전체를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커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는 기능모듈(8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기능모듈(80)에 사용자가 음용을 시작한 음료용기(P2)를 올려두면, 상기 기능모듈(80)이 음료용기(P2)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기능모듈(80)의 내부에는 열전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에는 칠링방열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칠링방열판은 방열공간(82)에 놓인 음료용기(P2)에 냉기를 직접 전달하거나, 별도로 설치된 냉각팬(미도시)이 음료용기(P2) 방향으로 냉기를 토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냉장장치(10)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테이블장치(50)에 설치된 냉장장치(10)의 저장실(15a~15d) 저장된 음식물을 꺼낼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먼저 냉장장치(10)의 저장실커버(30)를 분리해야 한다. 상기 저장실커버(30)가 상기 테이블상판(70)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 상기 저장실(15a~15d)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물을 꺼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장장치(10)의 위쪽에는 테이블상판(70)이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테이블상판(70)은 냉장장치(10) 쪽으로 전달되는 직사광선을 막아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본 실시례의 휴대용 냉장고는 햇빛이 강한 야외에서 사용되더라도 냉장장치(10)의 냉각효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b)에서 보듯이,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커버(30)를 테이블상판(70) 방향(화살표①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저장실커버(30)의 걸이부(35, 도 5 참조)에 걸린 고정스트립(26)이 함께 들어올려지게 된다. 상기 고정스트립(26)에는 음료용기(P1)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고정스트립(26)에서 원하는 음료용기(P1)를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휴대기기를 무선충전하고자 할 경우에 스탠드(87)를 원하는 방향(화살표② 방향 참조) 회전시켜 휴대기기를 거치한 상태로 충전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기능모듈(8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체가능한 것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모듈(80)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는 본 실시례의 휴대용 냉장고를 분해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도 10(a)에서 보듯이 상기 냉장장치(10)와 테이블상판(70)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상태다. 보다 정확하게는, 두 쌍의 테이블레그(60)들은 각각 두 개의 테이블레그(60)들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져 펼쳐진 상태고, 상기 두 쌍의 테이블레그(60)들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냉장장치(10)가 상기 테이블장치(50)에 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장치(10)에의 위쪽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테이블상판(70)이 조립되어 있다.
도 10(b)는 테이블레그(60)를 평명구조를 개략적으로 본 것인데, 상기 테이블레그(60)들을 구성하는 각 거치부(64)들은 서로 벌어져 있고, 중심에 있는 메인허브(64a)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허브(64a)를 생략한다면, 총 4개의 거치부(64)들은 대략 X자 형상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64)들이 형성하는 평면의 면적은 넓게 만들어진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장치(10)를 상기 거치공간(S)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레그(60)들은 상기 냉장장치(10)의 각 모서리부만 감싼 상태이므로, 그 사이의 빈공간으로 상기 냉장장치(10)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사용자가 먼저 상기 테이블상판(70)을 들어 올려 테이블레그(60)에서 분리한 후에, 개방된 위쪽으로 상기 냉장장치(10)를 분리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테이블장치(50)는 4개의 테이블레그(60)들만 남은 상태가 되고, 이들을 접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도 10(b)의 화살표① 방향으로 테이블레그(60)들을 회전시켜, 한 쌍의 테이블레그(60)를 구성하는 두 개의 테이블레그(60)들이 서로 겹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테이블레그(60)를 구성하는 거치부(64)들이 나란하게 연장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테이블레그(60)의 거치부(64)를 구성하는 상기 링크암(64b)과 상기 메인허브(64a) 사이에는 회전부(65)가 있고, 상기 회전부(65)를 중심으로 해서 상기 링크암(64b)이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테이블레그(60)들의 각 링크암(64b)은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총 4개의 링크암(64b)을 회전시켜 테이블레그(60)들을 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1(a)을 보면, 상기 냉장장치(10)와 테이블상판(70)이 상기 테이블레그(60)에서 분리되고, 테이블레그(60)만 남은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상기 4개의 테이블레그(60)를 접었으므로, 상기 테이블레그(60)는 도 11(b)와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가 된다.
상기 테이블레그(60)를 접은 상태로, 사용자는 상기 거치부(64)를 구성하는 링크암(64b)을 메인허브(64a) 안쪽방향(화살표② 방향)으로 밀어 넣어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암(64b)은 접힌 상태, 즉 도 11(b)와 같이 상기 메인허브(64a)의 어느 한쪽 끝에 연결된 한 쌍의 링크암(64b)이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상기 메인허브(64a)의 안쪽에 마련된 빈 공간으로 수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링크암(64b)은 상기 회전부(65)와 함께 적어도 그 일부분이 상기 메인허브(64a)의 안쪽으로 수납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링크암(64b)의 전체 길이 중 절반 이상이 상기 메인허브(64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테이블장치(50)가 접혔을 때 좌우길이가 더욱 줄어들어 휴대성이 좋아지게 된다. 도 12(b)에는 링크암(64b)이 상기 메인허브(64a)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부(64)의 전체 길이가 짧아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좌우 길이가 짧아진 상기 테이블레그(60)를 반대방향(화살표③ 방향)으로 뒤집으면, 도 13과 같이 상기 거치부(64)가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는 거치부(64)를 일종의 파지부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거치부(64)를 손으로 잡거나 어깨에 걸어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장장치(10)가 테이블장치(50)에서 분리된 후에 사용자는 손잡이(40)를 이용해서 냉장장치(10)를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이블레그(60)는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냉장장치(10)의 저장실커버(30) 위에 올려 함께 휴대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냉장장치(10)와 상기 테이블장치(50)는 서로 분리가능하므로, 보관이나 휴대시에는 이들을 분리하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냉장장치(보냉장치) 11: 외부하우징
15a~15d: 저장실 18: 전원커버
20: 냉각모듈 25: 구획플레이트
26: 고정스트립 27: 고정부
30: 저장실커버 40: 손잡이
50: 테이블장치 60: 테이블레그
62: 포스트부 64: 거치부
64a: 메인허브 64b: 링크암
65: 회전부 70: 테이블상판
80: 기능모듈

Claims (15)

  1. 내부에 저장실이 있고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이 설치된 냉장장치;와
    회전을 통해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들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들 안쪽에는 상기 냉장장치가 거치되는 거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테이블레그들의 상부에는 상기 냉장장치의 위쪽으로 이격되도록 테이블상판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테이블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들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들이 펼쳐지면 상기 테이블레그들이 서로 연결되어 만드는 거치단 위에 상기 냉장장치가 안착되고, 상기 냉장장치의 위쪽으로 이격된 상기 테이블레그의 상부에는 상기 테이블상판이 상기 냉장장치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휴대용 냉장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들은 쌍을 이루어 서로 겹쳐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펼쳐지며,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들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냉장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에 거치되면 상기 테이블레그들은 상기 냉장장치의 각 모서리부를 지지하는 휴대용 냉장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레그들은 상기 테이블장치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부와, 상기 포스트부에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냉장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의 일단에는 상기 테이블레그들이 서로 상대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가 연결되는 휴대용 냉장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포스트부의 하단에서부터 위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장치의 저면은 상기 포스트부의 하단 보다 위쪽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휴대용 냉장고.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장치에는 상기 테이블레그들의 거치부가 연결되는 메인허브가 있고, 상기 테이블레그들이 회전하여 접힌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허브 안쪽으로 삽입되면 상기 테이블레그들의 전체 폭이 줄어드는 휴대용 냉장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레그의 상부에는 안착부가 돌출되고, 상기 안착부에 상기 테이블상판이 안착되는 휴대용 냉장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장장치의 저장실에는 구획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은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다수개의 상기 저장실의 내면에는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향해서 상기 냉각모듈의 냉기가 공급되는 냉각슬릿이 개방되는 휴대용 냉장고.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장장치의 저장실에는 음료저장부가 있고, 상기 음료저장부에는 음료용기를 감싸 고정하기 위한 고정스트립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스트립은 상기 저장실을 차폐하는 저장실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커버가 상기 냉장장치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저장실커버와 함께 이동가능한 휴대용 냉장고.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음료저장부는 상기 음료용기를 수평한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감싸 고정하고, 상기 음료저장부의 고정스트립은 다수개의 음료용기를 상기 테이블장치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냉장고.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트립에는 길이조절부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스트립의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고정부의 폭이 가변될 수 있는 휴대용 냉장고.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상판에는 기능모듈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능모듈은 스피커, 휴대기기충전장치, 조명 또는 음료쿨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내장하는 휴대용 냉장고.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장장치의 하부에는 전원부가 설치되고, 상기 냉장장치의 저면에 있는 전원커버는 상기 전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상기 전원부에서 연결된 와이어는 상기 테이블레그를 따라 고정되는 휴대용 냉장고.
  14. 내부에 저장실이 있고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모듈이 설치된 냉장장치;
    하나의 평면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펼쳐지는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들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레그들 사이는 거치부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테이블레그들이 펼쳐지면 상기 거치부 상부에 상기 냉장장치가 거치될 수 있는 테이블장치;와
    상기 테이블장치에 조립되고 스피커, 충전장치, 조명 또는 음료쿨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내장되는 기능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냉장고.
  15.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고,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저장실커버가 있는 보냉장치;
    하나의 평면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펼쳐지는 다수개의 테이블레그들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레그들 사이는 거치부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테이블레그들이 펼쳐지면 상기 거치부 상부에 상기 보냉장치가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테이블레그들의 상부에는 상기 보냉장치의 위쪽으로 이격되도록 테이블상판이 설치되는 테이블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냉장고.
KR1020200064174A 2020-05-28 2020-05-28 휴대용 냉장고 KR20210147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174A KR20210147244A (ko) 2020-05-28 2020-05-28 휴대용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174A KR20210147244A (ko) 2020-05-28 2020-05-28 휴대용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244A true KR20210147244A (ko) 2021-12-07

Family

ID=7886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174A KR20210147244A (ko) 2020-05-28 2020-05-28 휴대용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72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057B1 (ko) * 2022-06-21 2022-11-22 정창균 휴대용 아이스커피 보관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209A (ko) 2002-07-22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가 결합된 이동 가능한 조리기
KR101699737B1 (ko) 2009-07-21 201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209A (ko) 2002-07-22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가 결합된 이동 가능한 조리기
KR101699737B1 (ko) 2009-07-21 201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식 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057B1 (ko) * 2022-06-21 2022-11-22 정창균 휴대용 아이스커피 보관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03505A1 (en) Collapsible solar refrigerator device
JP2006500546A (ja) 冷却機能付き携帯断熱容器
AU2006214823A1 (en) Chilled beverage storage device
KR20210147244A (ko) 휴대용 냉장고
WO2016004379A2 (en) Collapsible solar refrigerator device
KR20160042652A (ko) 접이식 쿨팩, 접이식 쿨팩의 사용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U2015283921A1 (en) Collapsible solar refrigerator device
JPH05264153A (ja) 冷蔵庫
KR200422295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장 분리형 배선차
KR20180097399A (ko) 휴대용 냉풍기
JP2002090022A (ja) 携帯用冷温蔵庫
CN112636407A (zh) 一种可无线充电的便携式多用途防震散热移动电源
CN103140730A (zh) 冰箱
CN219160700U (zh) 冰箱
KR20100053729A (ko) 절첩식 테이블이 부설된 화장품 냉장고가 구비된 와인냉장고
JP2020046095A (ja) 可搬型冷蔵庫
CN213066711U (zh) 一种具有隐藏式提手的车载冰箱
CN213464665U (zh) 储物设备
ES2600505T3 (es) Dispositivo de refrigeración rápida de sobremesa para latas o botellas
JP2001311576A (ja) 保冷庫
CN106403495A (zh) 小型便携式可冷藏可加热箱
CN215951865U (zh) 一种制冷水果盒
CN218627428U (zh) 一种具有可视窗的干点盒
CN211608435U (zh) 一种化妆盒
US11906210B1 (en) Refrigeration and insulation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