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407A -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407A
KR20210146407A KR1020217036484A KR20217036484A KR20210146407A KR 20210146407 A KR20210146407 A KR 20210146407A KR 1020217036484 A KR1020217036484 A KR 1020217036484A KR 20217036484 A KR20217036484 A KR 20217036484A KR 20210146407 A KR20210146407 A KR 20210146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interval
transport block
scheduling
transmission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친 무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6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based on age of data to be s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04W72/1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당해 방법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전송 블록 사이의 전송 간격의 설치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됨 -; 및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PDCCH에서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 PDCCH에서 스케줄링하는 전송 블록은 PUSCH 전송 블록 및 PDSCH 전송 블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함으로써, 전송 간격에서 방출한 물리적인 자원을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에 사용하여, 전송 블록을 연속적으로 스케줄링하여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피하고, 더 나아가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의 적시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계형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및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 Band Internet of Thing, NB-IoT)은 셀룰러 사물 인터넷의 대표로서, 데이터 수집, 스마트 교통 등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MTC 단말 및 NB-IoT 단말은 충전이나 배터리 교체가 쉽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MTC 단말 및 NB-IoT 단말은 저 전력 소비 특성을 구비해야 한다.
현재 버전 프로토콜에서, MTC 기지국 및 NB-IoT 기지국은 다중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 스케줄링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하나의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통해 복수의 전송 블록을 연속적으로 스케줄링하여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기 전에 PDCCH를 수신 또는 블라인드 검출하는 전력 소비를 저감한다. 또한, 커버리지 향상 장면에서, 기지국은 하나의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여 여러번 반복 송신할 수 있으며, 후속에서 하나의 전송 블록을 반복 송신하여 커버리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할 경우, 연속적으로 스케줄링되는 전송 블록이 물리적인 자원을 장시간으로 점용하여,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에 영향을 준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관련 기술에서 연속적으로 스케줄링되는 전송 블록이 물리적인 자원을 장시간으로 점용하여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전송 블록 사이의 전송 간격의 설치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됨 -;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 상기 PDCCH에서 스케줄링하는 상기 전송 블록은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전송 블록 및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PDSCH 전송 블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바, 상기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상기 PDCCH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함을 의미하는 것;
채널의 배치된 최대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보다 큰 것;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연속적인 전송 방식에서, 현재 전송 블록을 n번 반복 전송한 후 다음 전송 블록을 반복 전송하는 것 - n은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의 총 횟수임 -; 및
상기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채널의 배치된 상기 최대 반복 전송 횟수가 상기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보다 큰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이 포함되며;
상기 전송 간격 주기 및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고정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고정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교체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교체 전송 유닛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교체 전송 유닛은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최소의 전송 유닛임 -;
또는,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상기 절대 시간 단위의 정수배이고,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또는,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상기 절대 시간 단위의 정수배이고,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하이 레벨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단말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 레벨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시그널링 및 매체 액세스 제어 유닛(Media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 상기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상기 PDCCH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함을 의미함 -;
또는,
상기 PDCCH를 통해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DCI에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파라미터 사용 정보는 현재 스케줄링에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 -;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이 수량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횟수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또는,
전송 총 시간이 시간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 상기 전송 총 시간은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 및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됨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은,
PDCCH에서 기지국의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전송 블록 사이의 전송 간격의 설치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전송 블록은 PUSCH 전송 블록 및 PDSCH 전송 블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이 포함되며;
상기 전송 간격 주기 및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고정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고정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되고, 여기서, 상기 연속적인 전송 방식에서, 현재 전송 블록을 n번 반복 전송한 후 다음 전송 블록을 반복 전송하며, n은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의 총 횟수이고;
또는,
교체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상기 교체 전송 유닛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교체 전송 유닛은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최소의 전송 유닛이고;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고;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하이 레벨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 레벨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및 MAC CE 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PDCCH에서 기지국의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PDCCH를 통해 송신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DCI에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파라미터 사용 정보는 현재 스케줄링에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 -;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함을 지시할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는,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상기 PDCCH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함을 의미함 -;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횟수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이 수량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
또는,
전송 총 시간이 시간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 - 상기 전송 총 시간은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 및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됨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장치는,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 -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전송 블록 사이의 전송 간격의 설치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됨 -;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 모듈 - 상기 PDCCH에서 스케줄링하는 상기 전송 블록은 PUSCH 전송 블록 및 PDSCH 전송 블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을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결정 모듈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바, 상기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상기 PDCCH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함을 의미하는 것;
채널의 배치된 최대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보다 큰 것;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연속적인 전송 방식에서, 현재 전송 블록을 n번 반복 전송한 후 다음 전송 블록을 반복 전송하는 것 - n은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의 총 횟수임 -; 및
상기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채널의 배치된 상기 최대 반복 전송 횟수가 상기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보다 큰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이 포함되며;
상기 전송 간격 주기 및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고정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고정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결정 모듈은,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거나;
또는,
교체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교체 전송 유닛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거나 - 상기 교체 전송 유닛은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최소의 전송 유닛임 -;
또는,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거나;
또는,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며,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상기 절대 시간 단위의 정수배이고,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하거나;
또는,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하거나;
또는,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하며,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상기 절대 시간 단위의 정수배이고,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장치는,
하이 레벨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단말에 배치하는 배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 레벨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및 MAC CE 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스케줄링 모듈은,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거나 - 상기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상기 PDCCH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함을 의미함 -;
또는,
상기 PDCCH를 통해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단말에 송신하거나 - 상기 DCI에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파라미터 사용 정보는 현재 스케줄링에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 -;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이 수량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거나;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횟수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거나;
또는,
전송 총 시간이 시간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며, 상기 전송 총 시간은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 및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장치는,
PDCCH에서 기지국의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 및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설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전송 블록 사이의 전송 간격의 설치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전송 블록은 PUSCH 전송 블록 및 PDSCH 전송 블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이 포함되며;
상기 전송 간격 주기 및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고정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고정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되고, 여기서, 상기 연속적인 전송 방식에서, 현재 전송 블록을 n번 반복 전송한 후 다음 전송 블록을 반복 전송하며, n은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의 총 횟수이고;
또는,
교체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상기 교체 전송 유닛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교체 전송 유닛은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최소의 전송 유닛이고;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고;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이 하이 레벨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 레벨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및 MAC CE 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PDCCH를 통해 송신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고 - 상기 DCI에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파라미터 사용 정보는 현재 스케줄링에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 -;
상기 설치 모듈은,
상기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함을 지시할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설치 모듈은,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거나 - 상기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상기 PDCCH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함을 의미함 -;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횟수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이 수량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거나;
또는,
전송 총 시간이 시간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며, 상기 전송 총 시간은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 및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기지국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 가능한 명령을 로드하고 수행하여 전술한 측명에 따른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단말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 가능한 명령을 로드하고 수행하여 전술한 측명에 따른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적어도 한 단락의 프로그램,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적어도 한 단락의 프로그램, 상기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드되고 수행되어, 전술한 측명에 따른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방안은 적어도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한다.
PDCCH에서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과정에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할 경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함으로써, 전송 간격에서 방출한 물리적인 자원을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에 사용하여, 전송 블록을 연속적으로 스케줄링하여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피하고, 더 나아가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의 적시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는 첨부된 도면을 간략히 소개할 것이며, 명백히 알 수 있는 것은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도면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작업 없이도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2는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방식의 개략도이고;
도3은 향상된 커버리지에서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방식의 개략도이고;
도4는 다중 전송 블록 교체 스케줄링 방식의 개략도이고;
도5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밥의 흐름도이고;
도6은 연속적인 전송 방식에서 전송 간격 주기의 개략도이고;
도7은 교체 전송 방식에서 전송 간격 주기의 개략도이고;
도8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9는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기지국)의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우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 방식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통신 시스템 및 업무 장면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방안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 당업자가 알다시피 통신 시스템의 변화 발전 및 새로운 업무 장면의 출현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방안은 또한 그 유사한 기술적 과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시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조도이고, 본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이 MTC 통신 시스템 또는 NB-IoT 통신 시스템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네트워크(12)및 단말(13)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12)에 여러 개의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120)가 포함된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120)와 중심 네트워크 기기사이에서는 특정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서로 통신된다. 예를 들어, NB-IoT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120)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심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된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120)는 기지국일 수 있고, 상기 기지국은 액세스 네트워크에 배치되어 단말기에게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MTC 통신 시스템에서 당해 기지국이 바로 MTC 기지국이고, NB-IoT 통신 시스템에서 당해 기지국이 바로 NB-IoT 기지국이다. 상기 기지국은 다양한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 기능을 구비한 기기의 명칭이 다를 수 있고,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4, "기지국"이라는 명칭이 변경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지국은 각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로 이해될 수 있다.
단말(13)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다양한 핸드 헬드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기기, 및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terminal device)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13)은 MTC 통신 시스템 중의 MTC 단말, 또는 NB-IoT 통신 시스템 중의 NB-IoT 단말이다. 예를 들어, 단말(13)은 스마트 전등 기둥에 배치된 기기, 공유 자전거에 배치된 기기 또는 스마트 주차 공간에 배치된 기기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13)의 구체적인 배치 방식 및 기기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언급된 기기를 통칭하여 단말라고 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의 단말이 일반적으로 배터리 충전이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단말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기지국은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여 하나의 PDCCH에서 복수의 전송 블록을 동시에 스케줄링한다. 상응하게, 단말은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이 스케줄링한 하나의 PDCCH 만을 복조하면 되므로 단말이 복조할 때 소비한 전력을 줄이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이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하여 하나의 PDCCH에서 전송 블록 TB1, TB2, TB3 및 TB4를 동시에 스케줄링한다.
또한, MTC 통신 시스템 및 NB-IoT 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커버리지를 위해 단말은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하나의 전송 블록을 반복 전송한다. 상응하게, 기지국이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행할 경우 PDCCH에서 하나의 전송 블록을 여러 번 반복 전송해야 한다.
예시적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 장면에서 향상된 커버리지를 구현할 경우, 기지국은 하나의 PDCCH에서 전송 블록 TB1, TB2, TB3 및 TB4를 동시에 스케줄링하고, 각 전송 블록은 4 번으로 반복 전송된다.
이 외에, 시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획득하기 위해 향상된 커버리지를 구현할 경우 단말은 교체 전송 방식을 더 사용하여 전송 블록을 여러 번으로 반복 전송한다. 상응하게, 기지국이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행할 경우 교체 스케줄링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나의 전송 블록을 여러 번으로 반복 전송해야 한다.
예시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하나의 PDCCH에서 전송 블록 TB1, TB2, TB3 및 TB4를 동시에 스케줄링하고, 각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는 4 번이고, 교체 스케줄링 메커니즘이 인입될 경우, 기지국은 먼저 각 전송 블록의 처음 두 번 반복 전송을 스케줄링하고, 그 다음 각 전송 블록의 마지막 두 번 반복 전송을 스케줄링한다.
그러나,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할 경우, 연속적으로 스케줄링되는 전송 블록이 물리적인 자원을 장시간으로 점용하여, 다른 단말이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 장치에서 스케줄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 과정에서,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여 전송 간격에서 방출한 물리적인 자원을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에 사용하여, 전송 블록 스케줄링 품질을 보장하는 동시에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이 다른 단말 스케줄링에 주는 영향을 줄인다. 이하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도5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밥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도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당해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01에서, 기지국이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전송 블록 사이의 전송 간격의 설치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임의의 장면 하에서 기지국은 모두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다른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전송 간격의 사용이 허가되는 장면에 있을 경우, 기지국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전송 간격의 사용이 허가되지 않는 장면에 있을 경우, 기지국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전송 간격의 사용이 허가되는 장면은 미리 설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당해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는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을 포함하며, 전송 간격 주기는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주기이고, 전송 간격 기간은 각 전송 시간의 지속 시간이다.
단계 502에서, 기지국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PDCCH에서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며, PDCCH에서 스케줄링하는 전송 블록은 PUSCH 전송 블록 및 PDSCH 전송 블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MTC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경우 당해 PDCCH는 MPDCCH이고; NB-IoT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경우 당해 PDCCH는 NPDCCH이다.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PDCCH로 통칭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현재 스케줄링 장면이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할 경우, 기지국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PDCCH에서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고; 현재 스케줄링 장면이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기지국은 본래 스케줄링 로직에 따라 PDCCH에서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한다(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지 않음).
선택적으로, PDCCH에서 스케줄링하는 전송 블록이 PUSCH 전송 블록일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분배한 PUSCH 전송 블록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하고; PDCCH에서 스케줄링하는 전송 블록이 PDSCH 전송 블록일 경우, 기지국은 해당 PDSCH 전송 블록을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에 송신한다.
단계 503에서, 단말은 PDCCH에서 기지국의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신한다.
단계 504에서, 단말은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전송 간격 설치 조건을 만족할 경우 단말은 기지국의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저장된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할 PUSCH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거나, PDSCH 전송 블록을 수신할 때 전송 간격의 위치를 결정하여 기지국이 단말에 송신하는 전송 블록을 결정한다.
전송 간격 설치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는 기지국이 명시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고, 단말이 스스로 결정할 수도 있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서, PDCCH에서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과정에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할 경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함으로써, 전송 간격에서 방출한 물리적인 자원을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에 사용하여, 전송 블록을 연속적으로 스케줄링하여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에 영향을 주는 문제를 피하고, 더 나아가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의 적시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의 배치 방식에 대하여,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기지국은 하이 레벨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단말에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배치하며, 당해 하이 레벨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및 MAC CE 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응하게, 단말은 기지국이 하이 레벨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한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실행자인 단계는 기지국 측의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으로 별도로 구현될 수 있고, 단말이 실행자인 단계는 단말 측의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으로 별도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더 이상 중복하지 않는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모든 장면에서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기지국은 전송 간격의 사용이 허가되는 장면에서만 전송 간격의 사용을 하가한다. 도5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501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기지국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당해 미리 설정된 조건은 하기의 조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함.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PDCCH에서 스케줄링하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CCH에서 전송 블록 TB1, TB2, TB3 및 TB4인 4개의 전송 블록을 동시에 스케줄링할 경우 기지국은 현재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 장면에 있다고 결정하고 전송 간격의 사용을 허가한다.
선택적으로, 단일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할 경우 전송 간격의 설치이 스케줄링 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지국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2)채널의 배치된 최대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보다 큼.
선택적으로, 당해 채널의 배치된 최대 반복 전송 횟수는 제어 채널(PDCCH 채널일 수 있음)또는 데이터 채널(스케줄링된 PDSCH 또는 PUSCH 채널일 수 있음)에 배치된 반복 전송 횟수 집합 중의 최대 값이고, 당해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는 프로토콜에 미리 설정된 값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채널에 배치한 반복 전송 횟수 집합은 {2,4,8,16}이고,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는 8번이며, 채널의 최대 반복 전송 횟수 16>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 8, 이 때문에 기지국은 전송 간격의 사용이 허가되는 것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채널의 최대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전송 간격을 설치하지 않아도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며, 기지국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3)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연속적인 전송 방식에서, 현재 전송 블록을 n번 반복 전송한 후 다음 전송 블록을 반복 전송하며, n은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의 총 횟수임.
전송 블록이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하나의 전송 블록을 반복 전송하면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에 주는 영향을 줄 것이며, 기지국은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함을 검출할 경우 전송 간격의 사용이 허가되는 것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전송 블록이 교체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교체 전송 과정에서 전송 간격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4)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채널의 배치된 최대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보다 큼.
채널의 배치된 최대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채널 자신의 반복 전송 횟수의 제한에 한정되어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며, 기지국이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채널의 최대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보다 클 경우, 전송 간격의 사용이 허가되는 것을 결정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의 일부 파라미터는 고정 값을 사용할 수 있고, 일부 파라미터는 배치 가능한 값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전부 파라미터가 배치 가능한 값을 사용한다.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이 포함될 경우,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하기와 같은 조합 중의 임의의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1,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이 모두 배치 가능한 값이고; 2,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전송 간격 기간은 고정 값이며; 3, 전송 간격 주기는 고정 값이고,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다.
선택적으로, 전송 간격 주기가 배치 가능한 값일 경우, 상기 단계 501에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할 때 하기와 같은 몇 가지 가능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1,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연속적인 전송 방식에서, 전송 간격의 출현 주기는 전송 블록을 단위로 하여, 기지국은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총)횟수에 따라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반복 전송 횟수의 정수배를 전송 간격 주기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반복 전송 횟수가 K일 경우, 전송 간격 주기를 KxN(N≥1)으로 결정하여, 즉 N 개의 전송 블록을 반복 전송한 후 하나의 전송 간격을 설치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해야 하고, 각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4 번일 경우, 기지국이 결정한 전송 간격 주기는 8이며, 즉 2 개의 전송 블록을 전송한 후 하나의 전송 간격을 설치한다.
2, 교체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교체 전송 유닛에 따라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며, 교체 전송 유닛은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최소의 전송 유닛이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교체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기지국은 교체 전송 유닛을 단위로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교체 전송 유닛의 정수배를 전송 간격 주기로 결정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전송 블록을 교체 전송할 경우, 교체 전송 유닛에는 2개의 TB1, 2개의 TB2, 2개의 TB3및 2개의 TB4를 포함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하나의 교체 전송 유닛을 전송 간격으로 결정하며, 즉 2개의 교체 전송 유닛 사이에 하나의 전송 간격을 설치한다.
3,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기지국은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의 개수의 정수배를 전송 간격 주기로 결정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기지국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의 개수가 4인 것을 결정하면, 전송 간격 주기를 8 개의 전송 블록으로 결정하고, 즉 8 개의 전송 블록마다 하나의 전송 간격을 설치한다.
4,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송 간격 주기는 전송 블록 또는 교체 전송 유닛을 단위로 하는 것 외에, 절대 시간을 단위로 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전송 간격 주기는 N 배의 절대 시간 단위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전송 간격 주기를 20 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결정하고, 즉 20 개의 서브프레임마다 하나의 전송 간격을 설치한다.
물론, 상기의 몇 가지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는 방식 외에,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할 수도 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전송 간격 기간이 배치 가능한 값일 경우, 상기 단계 501에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할 때 하기와 같은 몇 가지 가능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1,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기지국은 현재 스케줄링에 배치된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총)횟수에 따라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전송 간격 기간을 반복 전송 횟수의 N 배로 결정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N을 2로 설치할 경우, 현재 스케줄링에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100 번일 경우, 기지국은 전송 간격 기간을 200ms로 결정하고; 현재 스케줄링에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50 번일 경우, 기지국은 전송 간격 기간을 100ms로 결정한다.
2,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기지국은 전송 간격 기간을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의 개수의 정수배로 결정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의 개수가 10 개일 경우, 기지국은 전송 간격 기간을 100ms로 결정하고;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의 개수가 20 개일 경우, 기지국은 전송 간격 기간을 200ms로 결정한다.
3,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하며, 전송 간격 기간은 절대 시간 단위의 정수배이고,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는 방식과 유사하며,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기지국은 전송 간격 기간을 절대 시간 단위의 정수배로 설치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기지국은 전송 간격 기간을 서브프레임의 100 배로 결정하며, 즉 전송 간격 기간은 100ms이다.
물론, 상기의 몇 가지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하는 방식 외에,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할 수도 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기지국은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한다(전송 간격을 설치함). 선택적으로, 상기 단계 502는 하기와 같은 몇 가지 가능한 구현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1,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할 경우, 기지국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PDCCH에서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며,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PDCCH에서 스케줄링하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의미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가 일단 배치되면, 후속에서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 기지국은 모두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할 것이다.
상응하게,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단말이 기지국의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신한 후, 다중 전송 스케줄링을 사용함을 검출할 경우, 전송 간격 파라미터가 지시한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에 따라 업링크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고, 또는,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에 따라 다운링크 전송 블록에서 자신에 송신된 전송 블록을 식별한다.
2, 전송 블록의 수량이 수량 임계치보다 클 경우, 기지국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PDCCH에서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가 배치된 후, 현재 스케줄링하는 전송 블록의 수량이 수량 임계치보다 커야만 기지국이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고, 다운링크 전송 블록을 송신하는 과정에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가 규정한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에 따라 전송 간격을 설치하고; 아니면, 기지국은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현재 스케줄링하는 전송 블록의 수량이 3보다 커야만, 즉 3 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해야만, 기지국이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한다.
상응하게,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단말이 기지국의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신한 후, 스케줄링하는 전송 블록의 수량이 수량 임계치보다 큰 것을 검출할 경우, 전송 간격 파라미터가 지시한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에 따라 업링크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고, 또는,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에 따라 다운링크 전송 블록에서 자신에 송신된 전송 블록을 식별한다.
선택적으로, 당해 수량 임계치는 고정 값이거나 하이 레벨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동적으로 배치한 것이다.
3,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횟수 임계치보다 클 경우, 기지국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PDCCH에서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가 배치된 후, 현재 배치된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횟수 임계치보다 커야만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고, 다운링크 전송 블록을 송신하는 과정에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가 규정한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에 따라 전송 간격을 설치하고, 다운링크 전송 블록을 송신하는 과정에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가 규정한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에 따라 전송 간격을 설치하고; 아니면, 기지국은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현재 배치된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50 번보다 커야만, 즉 각 전송 블록을 50 번으로 반복 전송해야만, 기지국이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한다.
상응하게,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단말이 기지국의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신한 후, 현재 배치된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횟수 임계치보다 큰 것을 검출할 경우, 전송 간격 파라미터가 지시한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에 따라 업링크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고, 또는,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에 따라 다운링크 전송 블록에서 자신에 송신된 전송 블록을 식별한다.
선택적으로, 당해 반복 횟수 임계치는 고정 값이거나 하이 레벨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동적으로 배치한 것이다.
4, 전송 총 시간이 시간 임계치보다 클 경우, 기지국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PDCCH에서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며, 전송 총 시간은 전송 블록의 수량 및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기지국은 현재 스케줄링하는 전송 블록의 수량 및 각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전송 블록의 전송 총 시간을 결정한다. 전송 총 시간이 시간 임계치보다 클 경우, 다른 단말의 스케줄링에 주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기지국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고(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함); 전송 총 시간이 시간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기지국은 본래 스케줄링 로직에 따라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한다(전송 간격을 설치하지 않음).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기지국은 현재 스케줄링하는 4 개의 전송 블록, 및 각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50 번에 따라 계산된 전송 총 시간은 200ms이다. 전송 총 시간>시간 임계치 150ms, 이 때문에 기지국은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한다.
상응하게,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단말이 기지국의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신한 후, 전송 총 시간이 시간 임계치보다 큰 것을 검출할 경우, 전송 간격 파라미터가 지시한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에 따라 업링크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고, 또는,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에 따라 다운링크 전송 블록에서 자신에 송신된 전송 블록을 식별한다.
선택적으로, 당해 시간 임계치는 고정 값이거나 하이 레벨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동적으로 배치한 것이다.
5, 기지국이 PDCCH를 통해 DCI를 단말에 송신하며, DCI에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포함되고, 파라미터 사용 정보는 현재 스케줄링에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방법에서, 단말이 배치된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여부는 단말이 스스로 결정한다. 다른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기지국은 명시적으로 지시하는 방식을 통해 송신한 DCI에 파라미터 사용 정보를 첨가하여, 당해 파라미터 사용 정보를 통해 단말이 배치된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DCI에 1bit의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설치되어 있고,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1일 경우, 현재 스케줄링을 지시하여 전송 간격을 설치하고;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0일 경우, 현재 스케줄링을 지시하여 전송 간격을 설치하지 않는다.
상응하게, 단말이 기지국에서 송신한 DCI를 수신한 후, DCI에 있는 파라미터 사용 정보를 읽고,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전송 간격을 설치함을 지시할 경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한다.
설명해야 하는 다른 점은, 상기 각 실시예는 또한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분할 및/또는 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는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이며, 장치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세부 사항들은 상기 일대일로 대응되는 방법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
도8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당해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으로 기지국(또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당해 장치는,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810) -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전송 블록 사이의 전송 간격의 설치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됨 -;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 모듈(820) - 상기 PDCCH에서 스케줄링하는 상기 전송 블록은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전송 블록 및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전송 블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을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결정 모듈(810)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바, 상기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상기 PDCCH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함을 의미하는 것;
채널의 배치된 최대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보다 큰 것;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연속적인 전송 방식에서, 현재 전송 블록을 n번 반복 전송한 후 다음 전송 블록을 반복 전송하는 것 - n은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의 총 횟수임 -; 및
상기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채널의 배치된 상기 최대 반복 전송 횟수가 상기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보다 큰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이 포함되며;
상기 전송 간격 주기 및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고정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고정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결정 모듈(810)은,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거나;
또는,
교체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교체 전송 유닛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거나 - 상기 교체 전송 유닛은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최소의 전송 유닛임 -;
또는,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거나;
또는,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며,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결정 모듈(810)은,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하거나;
또는,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하거나;
또는,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하며,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하이 레벨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단말에 배치하는 배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 레벨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 및 매체 액세스 제어 유닛 MAC CE 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스케줄링 모듈(820)은,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거나 - 상기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상기 PDCCH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함을 의미함 -;
또는,
상기 PDCCH를 통해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단말에 송신하거나 - 상기 DCI에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파라미터 사용 정보는 현재 스케줄링에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 -;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이 수량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거나;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횟수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거나;
또는,
전송 총 시간이 시간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며, 상기 전송 총 시간은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 및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 장치 중의 시그널링, 데이터 송신과 관련되는 모듈은 무선 주파수 안테나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시그널링, 데이터 처리와 관련되는 모듈은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9는 본 출원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당해 장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으로 단말의 전부 또는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당해 장치는,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에서 기지국의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910); 및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설치 모듈(920)을 포함하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전송 블록 사이의 전송 간격의 설치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전송 블록은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전송 블록 및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전송 블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이 포함되며;
상기 전송 간격 주기 및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고정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고정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되고, 여기서, 상기 연속적인 전송 방식에서, 현재 전송 블록을 n번 반복 전송한 후 다음 전송 블록을 반복 전송하며, n은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의 총 횟수이고;
또는,
교체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상기 교체 전송 유닛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교체 전송 유닛은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최소의 전송 유닛이고;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고;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이 하이 레벨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 레벨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 및 매체 액세스 제어 유닛 MAC CE 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수신 모듈(910)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PDCCH를 통해 송신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고 - 상기 DCI에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파라미터 사용 정보는 현재 스케줄링에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 -;
상기 설치 모듈(920)은,
상기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함을 지시할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한다.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설치 모듈(920)은,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거나 - 상기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상기 PDCCH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함을 의미함 -;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횟수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이 수량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거나;
또는,
전송 총 시간이 시간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며, 상기 전송 총 시간은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 및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기 장치 중의 시그널링, 데이터 송신과 관련되는 모듈은 무선 주파수 안테나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시그널링, 데이터 처리와 관련되는 모듈은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10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의 구조 개략도이고, 당대 단말은 프로세서(1001), 수신기(1002), 송신기(1003), 메모리(1004) 및 버스(100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0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00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하여 다양한 기능적 애플리케이션 및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수신기(1002) 및 송신기(1003)는 하나의 통신 어셈블리로 구현될 수 있고, 당해 통신 어셈블리는 하나의 통신 칩일 수 있다.
메모리(1004)는 버스(1005)를 통해 프로세서(1001)와 연결된다.
메모리(1004)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001)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기 위해 당해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실행한다.
또한, 메모리(1004)는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전기적지우기 가능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EPROM), 지우기 가능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전용 메모리(EPRO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읽기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전용 메모리(PROM)를 포함하지만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적어도 한 단락의 프로그램,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적어도 한 단락의 프로그램, 상기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드되고 수행되어, 전술한 각 방법 실시예에서 단말이 수행 주체인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한다.
도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기지국)의 구조 개략도이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1100)는 프로세서(1101), 수신기(1102), 송신기(1103) 및 메모리(110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102), 송신기(1103) 및 메모리(1104)는 각각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1101)와 연결된다.
프로세서(1101)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0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에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가 수행하는 방법을 수행한다. 메모리(1104)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4)는 운영 체제(11041),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수요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042)을 저장할 수 있다. 수신기(1102)는 다른 기기에서 송신한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송신기(1103)는 통신 데이터를 다른 기기에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어,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적어도 한 단락의 프로그램,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적어도 한 단락의 프로그램, 상기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드되고 수행되어, 전술한 각 방법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수행 주체인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한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그램에 의해 관련 하드웨어를 지시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출원의 사상 및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균등 교체, 개량 등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810: 결정 모듈 820: 스케줄링 모듈

Claims (19)

  1.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전송 블록 사이의 전송 간격의 설치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됨 -;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 상기 PDCCH에서 스케줄링하는 상기 전송 블록은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전송 블록 및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전송 블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은,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바, 상기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상기 PDCCH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함을 의미하는 것;
    채널의 배치된 최대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보다 큰 것;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연속적인 전송 방식에서, 현재 전송 블록을 n번 반복 전송한 후 다음 전송 블록을 반복 전송하는 것 - n은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의 총 횟수임 -; 및
    상기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채널의 배치된 상기 최대 반복 전송 횟수가 상기 반복 전송 횟수 임계치보다 큰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전송 블록 사이의 전송 간격의 설치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됨 -;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 상기 PDCCH에서 스케줄링하는 상기 전송 블록은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전송 블록 및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전송 블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이 포함되며;
    상기 전송 간격 주기 및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고정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고정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교체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교체 전송 유닛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교체 전송 유닛은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최소의 전송 유닛임 -;
    또는,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이 레벨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단말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 레벨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 및 매체 액세스 제어 유닛 MAC CE 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는,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 상기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상기 PDCCH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함을 의미함 -;
    또는,
    상기 PDCCH를 통해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DCI에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파라미터 사용 정보는 현재 스케줄링에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 -;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이 수량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횟수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또는,
    전송 총 시간이 시간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 상기 전송 총 시간은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 및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8.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에서 기지국의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전송 블록 사이의 전송 간격의 설치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전송 블록은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전송 블록 및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전송 블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전송 간격 주기 및 전송 간격 기간이 포함되며;
    상기 전송 간격 주기 및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고정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고정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배치 가능한 값이고;
    연속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되고, 여기서, 상기 연속적인 전송 방식에서, 현재 전송 블록을 n번 반복 전송한 후 다음 전송 블록을 반복 전송하며, n은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의 총 횟수이고;
    또는,
    교체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상기 교체 전송 유닛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교체 전송 유닛은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최소의 전송 유닛이고;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고;
    또는,
    상기 전송 간격 주기는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배치 가능한 값이고;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개수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전송 간격 기간은 절대 시간 단위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절대 시간 단위는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하이 레벨 시그널링을 통해 배치한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 레벨 시그널링은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 및 매체 액세스 제어 유닛 MAC CE 시그널링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CCH에서 기지국의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기 PDCCH를 통해 송신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DCI에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파라미터 사용 정보는 현재 스케줄링에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됨 -;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파라미터 사용 정보가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함을 지시할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14.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는,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 - 상기 다중 전송 블록 스케줄링은 상기 PDCCH에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함을 의미함 -;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가 반복 횟수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이 수량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
    또는,
    전송 총 시간이 시간 임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전송 블록 사이에서 상기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단계 - 상기 전송 총 시간은 상기 전송 블록의 수량 및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결정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15.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장치에 있어서,
    전송 간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결정 모듈 -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전송 블록 사이의 전송 간격의 설치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됨 -; 및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에서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 모듈 - 상기 PDCCH에서 스케줄링하는 상기 전송 블록은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전송 블록 및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전송 블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장치.
  16.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장치에 있어서,
    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에서 기지국의 전송 블록 스케줄링을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 및
    상기 전송 블록 스케줄링 및 전송 간격 파라미터에 따라 전송 블록 사이에서 전송 간격을 설치하는 설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송 간격 파라미터는 전송 블록 사이의 전송 간격의 설치 방식을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전송 블록은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전송 블록 및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전송 블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장치.
  17. 기지국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 가능한 명령을 로드하고 수행하여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트랜시버;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 가능한 명령을 로드하고 수행하여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에 따른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적어도 한 단락의 프로그램,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적어도 한 단락의 프로그램, 상기 코드 집합 또는 명령 집합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로드되고 수행되어,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또는,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36484A 2019-04-25 2019-04-25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 KR202101464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84375 WO2020215288A1 (zh) 2019-04-25 2019-04-25 传输块的调度方法、装置、基站、终端及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407A true KR20210146407A (ko) 2021-12-03

Family

ID=6775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484A KR20210146407A (ko) 2019-04-25 2019-04-25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 방법, 장치, 기지국, 단말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046676A1 (ko)
EP (1) EP3962215A4 (ko)
JP (1) JP7265650B2 (ko)
KR (1) KR20210146407A (ko)
CN (2) CN110199561B (ko)
BR (1) BR112021021078A2 (ko)
SG (1) SG11202111776VA (ko)
WO (1) WO2020215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6319A4 (en) * 2020-02-14 2023-03-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GAP DETERMIN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28260A1 (en) * 2013-02-26 2014-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heduling over multiple transmission time intervals
CN112073158B (zh) * 2015-01-28 2023-08-22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操作大量载波的上行链路反馈方法
EP3474614B1 (en) * 2016-07-21 2023-07-1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18031083A1 (en) * 2016-08-12 2018-02-15 Intel IP Corporation Downlink transmissions with variable processing times
US10750532B2 (en) * 2016-12-07 2020-08-18 Ofinno, Llc Semi-persistent scheduling transmission selection
CN109327905A (zh) * 2017-07-31 2019-02-1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EP3695683B1 (en) * 2017-10-12 2022-01-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 information triggering in wireless networks
WO2020000446A1 (zh) * 2018-06-29 2020-01-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传输、接收方法及装置、基站和用户设备
BR112021001786A2 (pt) * 2018-07-31 2021-04-2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étodo de processar blocos de transmissão, aplicado a equipamento de usuário, emétodo de processar blocos de transmissão, aplicado a uma estação base
CN109155727B (zh) * 2018-08-07 2022-05-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传输块调度间隔的配置、确定方法及装置和基站
US11595976B2 (en) * 2018-08-09 2023-02-28 Sierra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transport block grant transmissions
SG11202104176XA (en) * 2018-10-30 2021-05-2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62215A4 (en) 2022-04-27
CN110199561A (zh) 2019-09-03
SG11202111776VA (en) 2021-11-29
CN114710841A (zh) 2022-07-05
BR112021021078A2 (pt) 2021-12-28
WO2020215288A1 (zh) 2020-10-29
JP2022530871A (ja) 2022-07-04
EP3962215A1 (en) 2022-03-02
US20220046676A1 (en) 2022-02-10
JP7265650B2 (ja) 2023-04-26
CN110199561B (zh)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33041B (zh) 接收信息的方法及其装置和发送信息的方法及其装置
CN111083732A (zh) 信息传输方法及装置
US20230085484A1 (en) Power sav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8024323B (zh) 功率分配方法、功率调整方法、终端和接入网设备
CN111448840B (zh) 数据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17113077A1 (zh) 一种上行紧急业务传输方法、基站、用户设备及系统
CN111557112A (zh)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方法、装置和系统
KR20170132298A (ko)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장치
US20230143285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idelink device
KR102304385B1 (ko) 신호 송신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CN115002907A (zh) 一种资源调度的方法及通信装置
US20220046676A1 (en)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 blocks
CN111527786B (zh) 资源调度方法、装置、接入网设备、终端和存储介质
US11991529B2 (en) Utilizing NR guard band for efficient deployment of LTE-M in coexistence with NR
JP7345041B2 (ja) アンライセンススペクトル上のチャネル状態指示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US20230026289A1 (en) Information indicating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727617A (zh) 上行发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50173071A1 (en) Dynamic temporary block flow scheduling
CN113498203B (zh) 资源调度方法、资源确定方法、装置、网络侧设备及终端
CN114698034A (zh) 用于新无线电侧链路通信中的资源预留周期性的方法
RU278641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ланир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блоков,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терминал и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CN114600401A (zh) 用于nr-u中的dfi传输的方法
WO2022236558A1 (zh) 用于数据传输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4277409A1 (en) Carrier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2147716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