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657A - 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657A
KR20210145657A KR1020210041980A KR20210041980A KR20210145657A KR 20210145657 A KR20210145657 A KR 20210145657A KR 1020210041980 A KR1020210041980 A KR 1020210041980A KR 20210041980 A KR20210041980 A KR 20210041980A KR 20210145657 A KR20210145657 A KR 20210145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support member
shock absorbing
tray
absorb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9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범락
최희준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CN202110564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720563A/en
Priority to TW112120997A priority patent/TW202342954A/en
Priority to TW112120996A priority patent/TW202342956A/en
Priority to TW110118864A priority patent/TWI807327B/en
Publication of KR2021014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6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4Braking arrangements; Damp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The invention relates to a test handl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test handler, which includes: a pocket frame having a plurality of pocket spaces for accommoda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a plurality of impact absorbing member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pocket spaces for mount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a plurality of impact absorbing member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pocket spaces to seat the electronic component, where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absorb an impact applied on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impact absorbing member,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on the impact absorbing member. In the pocket frame, a plurality of wall portions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so as to surround the impact absorbing memb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being damaged.

Description

테스트 핸들러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테스트 핸들러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handl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최근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부품과 관련된 기술 분야가 발전함에 따라 전자부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크기가 작으면서도 기능은 향상된 전자부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부품의 크기는 작아지되 전자부품 하나가 가지는 단자 수는 증가하다 보니, 전자부품 단위면적 당 단자의 수는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전자부품의 경우 동일한 충격이더라도 단위면적 당 단자수가 작은 전자부품에 비해 단자 하나에 가해지는 충격이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전자부품을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들에 더 취약해지게 된다.Recently, as the technology field related to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semiconductor devices develops, the demand for electronic component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a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a small size and improved function is required. Accordingly, since the siz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reduced but the number of terminals of one electronic component is increased, the number of terminals per unit area o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increased. In the case of such an electronic component, even with the same impact, the impact applied to one terminal is greater than that of a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a small number of terminals per unit area. Accordingly, the electronic component becomes more vulnerable to impact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process of tes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한편, 전자부품은 소정의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되면 테스트 핸들러(test handler)와 테스터(tester)에 의해 테스트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되게 된다. 이러한 테스트 과정에서 전자부품들은 테스트 트레이(test tray)에 적재된 채로 소정 경로를 이동하고 테스트가 진행된다. 다만, 소정의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된 전자부품들은 고객 트레이(customer tray)에 적재되어 공급되며, 이를 테스트 하기 위해서는 고객 트레이로부터 버퍼 테이블을 포함하는 다양한 테이블을 거쳐 테스트 트레이로 이송된다. 또한, 전자부품들은 테스트 트레이에 안착되기 위하여 개방 유닛을 거치게 된다. 이처럼, 전자부품들이 테스트되기 위해서는 고객 트레이에서 로딩되어 테이블, 개방 유닛을 거쳐 테스트 트레이에 언로딩될 때까지 로딩/언로딩 장치에 의해 복수 회 파지되고, 파지 해제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ctronic component is manufactured through a predetermined manufacturing process, it is tested by a test handler and a tester, and is classified by grad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In such a test process, electronic components move a predetermined path while being loaded on a test tray, and a test is performed. However, electronic components manufactured through a predetermined manufacturing process are loaded and supplied on a customer tray, and in order to test this, they are transferred from the customer tray through various tables including a buffer table to the test tray. In addition, the electronic components pass through the opening unit to be seated on the test tray. In this way, in order for electronic components to be tested, they are loaded from a customer tray, passed through a table and an open unit, and then gripped and released a plurality of times by a loading/unloading device until unloaded to a test tray.

이때, 로딩/언로딩 장치가 전자부품들을 파지하거나, 파지 해제할 때 전자부품에는 소정의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특히, 전자부품을 파지하기 위하여 전자부품을 진공 흡착하는 과정에서,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전자부품이 손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의 단자 부분은 전자부품이 진공 흡착을 위하여 가압될 때 변형될 수 있으며, 전자부품 자체가 벤딩(bending)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특수한 목적을 가진 전자부품은 그 목적에 맞게 처음부터 벤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부품의 단자들은 최외곽 부분에 배치된 단자들이 내측에 배치된 단자들보다 더 강한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벤딩된 형태의 전자부품은 가장자리 부분이 내측보다 더 충격에 취약하며, 더 많은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loading/unloading device grips or releases the electronic components, a predetermined impact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vacuum adsorbing the electronic component in order to grip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damaged by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For example, the terminal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deformed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pressed for vacuum adsorption,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itself may be bent. As another example, a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a special purpose may be manufactured in a bent form from the beginning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 terminals of these electronic components have a stronger impact than the terminals arranged in the outermost part of the terminals can receive As such, in the bent electronic component, the edge portion is more vulnerable to impact than the inner side, and more damage may be applied.

또한, 전자부품의 강성보다 테스트 트레이의 강성이 더 큰 경우 전자부품을 테스트 트레이 등에 안착시킬 때 전자부품에 손상이 가해지게 된다. 이처럼, 전자부품은 테스트를 위하여 이송되거나, 테스트될 때 소정의 손상이 계속해서 축적되게 되며, 전자부품의 단위면적당 단자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단자 하나에 축적되는 충격은 더 커지게 된다. 이러한 충격의 축적은 전자부품의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된다.In addition, when the rigidity of the test tray is greater than tha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electronic component is damaged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on the test tray or the like. As such,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transported for testing or tested, a predetermined amount of damage is continuously accumulated, and when the number of terminals per unit area of the electronic component increases, the impact accumulated in one terminal becomes larger. Accumulation of such impact becomes a factor of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electronic components.

따라서, 전자부품들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이송하거나, 테스트하는 동안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전자부품의 단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minimize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s during transport or testing to test the electronic components, and to prevent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from being damag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전자부품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과정 및 테스트하는 과정 동안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하고, 전자부품의 단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테스트 핸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invented in view of the above background, and minimize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during the transferring process and the testing process for tes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prevent damage to the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mponent We want to provide a test handler that can do thi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복수 개의 포켓 공간을 구비하는 포켓 프레임; 및 상기 전자부품이 안착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포켓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충격 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에 상기 전자부품이 안착되기 위해 상기 충격 흡수 부재를 향하여 상기 전자부품이 낙하할 때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포켓 프레임에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를 둘러싸도록 복수 개의 벽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테스트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cket frame having a plurality of pocket spaces for accommoda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pocket spaces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where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faces the electronic component toward the shock absorbing member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A test handler may be provided that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absorb an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the component falls, and that the pocket frame has a plurality of wall portions protruding upward to surround the shock-absorbing member.

또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제1 충격 흡수 부재, 및 상기 제1 충격 흡수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충격 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제1 충격 흡수 부재 보다 작은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1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제2 충격 흡수 부재 보다 높은 탄성력을 가지는, 테스트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includes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nd a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disposed above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wherei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is greater than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 test handler may be provided, which has a small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and wherein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has a higher elastic force than that of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또한, 복수 개의 상기 벽부는, 상기 벽부와 상기 충격 흡수 부재 사이에 이격 공간이 제공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 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충격 흡수 부재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전자부품의 일부는 상기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포켓 프레임에는 상기 포켓 프레임을 관통하는 포켓 개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에는 상기 포켓 개방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충격 흡수 부재를 관통하는 완충 개방홀이 형성된, 테스트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he wall part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hock absorbing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provide a space between the wall part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and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the A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disposed in the spaced space, the pocket frame has a pocket opening hole penetrating the pocket frame, and the shock absorption member has a buffer opening penetrating the shock absorption member to correspond to the pocket opening hole. A hole-formed, test handler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제1 충격 흡수 부재, 및 상기 제1 충격 흡수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충격 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개방홀은, 상기 포켓 개방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충격 흡수 부재에 형성되는 제1 완충 개방홀, 및 상기 제1 완충 개방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충격 흡수 부재에 형성되는 제2 완충 개방홀을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includes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nd a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disposed above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wherein the buffer opening hole corresponds to the pocket opening hole. A first buffer opening hole formed in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nd a second buffer open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to correspond to the first buffer opening hole, the test handler may be provided.

또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포켓 공간이 형성된 포켓 프레임; 및 상기 포켓 프레임과 상기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충격 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에 상기 전자부품이 안착되기 위해 상기 충격 흡수 부재를 향하여 상기 전자부품이 낙하할 때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테스트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a pocket fram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nd having a pocket space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disposed;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pocket frame and the body portion o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eated, where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includes the shock absorbing member for sea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A test handler may be provided, which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absorb an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

또한, 상기 포켓 프레임에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어느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포켓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다른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바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일측이 상기 포켓 홈부에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바디 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포켓 프레임 및 상기 바디부에 고정 지지되는, 테스트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cket frame is formed with a pocket groove in which any part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can be accommodated, the body part is formed with a body groove in which another part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can be accommodated,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A test handler may be provided in which one side is accommodated in the pocket groove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received in the body groove portion so that the pocket frame and the body portion are fixedly supported.

또한,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포켓 공간이 형성된 포켓 프레임; 및 상기 포켓 프레임과 상기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지지 부재에 전자부품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 중 일부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개방홀 및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 중 다른 일부가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방홀의 둘레를 따라서 제공되는 복수 개의 제2 개방홀이 형성된, 테스트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a pocket fram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nd having a pocket space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disposed; and a support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pocket frame and the body portion o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mounted, wherein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upport member, some of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re disposed on the support member. A test handler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first open hole that can pass through and another part of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pass through, and a plurality of second open holes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open hole are formed.

또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가 상기 바디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켓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포켓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포켓 프레임과 상기 바디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포켓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포켓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는, 테스트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on the body portion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pocket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pocket frame, and the support member includes the pocket frame When the body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are coupled, the support memb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sion portion are inserted into the pocket groove portion to be fixedly supported on the pocket frame, and a test handler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포켓 프레임에는, 제1 고정요소가 제공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제1 고정요소와 맞물리기 위한 제2 고정요소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제2 고정요소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며, 상기 제1 고정요소 및 제2 고정요소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기 위한 지지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요소 및 상기 제2 고정요소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정요소 및 상기 제2 고정요소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지지 고정홀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바디부에 고정시키도록 제공되는, 테스트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fixing element is provided on the pocket frame, a second fixing element for engaging with the first fixing element is formed on the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has a second fixing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element. and a support fixing hole for engaging with any one of the first fixing element and the second fixing element is formed, and any one of the first fixing element and the second fixing element is provided with the first fixing element and a test handler provided to fix the support member to the body portion by engaging the other one of the second fixing elements and the support fixing hole.

또한,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트레이 프레임과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수용부에 지지시킬 수 있는 홀딩 유닛을 포함하는 테스트 트레이; 및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수 있는 개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유닛은,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접근함으로써,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수 있는 개방유닛 바디; 및 상기 개방유닛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개방유닛 바디가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는 완충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내측에 배치된 상기 완충 지지부재는, 상기 완충 지지부재에 상기 전자부품이 안착되기 위해 상기 완충 지지부재를 향하여 상기 전자부품이 낙하할 때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는, 상기 개방 유닛이 상기 홀딩 유닛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상기 전자부품을 지지할 수 있는 트레이 지지부가 제공되고, 상기 완충 지지부재의 상면은, 상기 완충 지지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트레이 지지부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테스트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The test tray may further include: a test tray including a tray frame in which an accommodating part o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can be mounted is formed, and a holding unit capable of suppor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does not deviate from the accommodating part; and an opening unit capable of pressing the holding uni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wherein the opening unit has an open unit body capable of pressing the holding unit by accessing the test tray. ; And is supported by the open unit body, when the open unit body presses the holding unit, at least a portion comprising a buffer support member that can b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the buffer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absorb an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cushioning support member in order for the electronic component to be seated on the buffer support member, and the tray frame includes, When the opening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holding unit, a tray support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is provid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uffer support member has the buffer support member o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When disposed, a test handler locat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tray support may be provided.

또한,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트레이 프레임과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수용부에 지지시킬 수 있는 홀딩 유닛을 포함하는 테스트 트레이; 및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수 있는 개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유닛은,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접근함으로써,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수 있는 개방유닛 바디; 및 상기 개방유닛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개방유닛 바디가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는 완충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내측에 배치된 상기 완충 지지부재는, 상기 완충 지지부재에 안착된 전자부품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는, 상기 개방 유닛이 상기 홀딩 유닛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상기 전자부품을 지지할 수 있는 트레이 지지부가 제공되고, 상기 완충 지지부재의 상면은, 상기 완충 지지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트레이 지지부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테스트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The test tray may further include: a test tray including a tray frame in which an accommodating part o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can be mounted is formed, and a holding unit capable of suppor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does not deviate from the accommodating part; and an opening unit capable of pressing the holding uni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wherein the opening unit has an open unit body capable of pressing the holding unit by accessing the test tray. ; And is supported by the open unit body, when the open unit body presses the holding unit, at least a portion comprising a buffer support member that can b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the buffer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absorb an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seated on the buffer support member, and in the tray frame, the opening unit is separated from the holding unit. When spaced apart, a tray support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is provid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uffer support member is, when the buffer support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portion, the tray support portion A test handler, located above the top, may be provided.

또한,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트레이 프레임,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전자부품의 복수 개의 단자 사이를 지지하기 위한 트레이 지지부재, 및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지지시킬 수 있는 홀딩 유닛을 포함하는 테스트 트레이; 및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수 있는 개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유닛은,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접근함으로써,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수 있는 개방유닛 바디; 및 상기 개방유닛 바디에 지지되며, 탄성 재료로 형성된 완충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는,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전자부품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가 관통할 수 있는 개방홀이 형성된 테스트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tray frame in which an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can be disposed is formed, a tray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to prevent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a test tray including a holding unit capable of supporting a component on the tray support member; and an opening unit capable of pressing the holding uni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wherein the opening unit has an open unit body capable of pressing the holding unit by accessing the test tray. ; and a buffer support member supported by the open unit body and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pass through the tray support member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tray support member A test handler in which an open hole is formed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완충 지지부재는,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를 향하여 상기 전자부품이 낙하하거나,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안착된 전자부품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 및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개방홀을 통해 노출된 전자부품을 지지하는, 테스트 핸들러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support member,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tray support member or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seated on the tray support member, the impact applied to the tray support member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A test handler may be provided that is close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to absorb , and supports the electronic component exposed through the open hole.

또한, 로딩 장치가 전자부품을 파지한 채로 트레이 프레임의 수용부 상으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상기 트레이 프레임의 하측에 지지된 트레이 지지부재의 저면에 개방유닛 바디에 지지된 완충 지지부재가 밀착되도록 상기 개방유닛 바디를 상승시키는 상승 단계; 상기 수용부를 향하여 전자부품이 낙하하도록 상기 로딩 장치가 상기 전자부품을 파지해제 하는 파지해제 단계;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를 향하여 낙하할 때,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형성된 개방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완충 지지부재가 지지하는 충격흡수 단계;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완충 지지부재가 이격되도록 상기 개방유닛 바디를 하강시키는 하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강 단계에서는, 상기 개방유닛 바디가 하강할 때, 상기 전자부품의 복수 개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방홀에 삽입되는, 테스트 핸들러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ading device moving step of moving o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tray frame while holding the electronic component; a lifting step of raising the opening unit body so that the buffer support member supported on the opening unit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support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y frame; a grip release step in which the loading device releases the grip of the electronic componen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accommodating part;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tray support member, the shock absorbing step in which the buffer support member supports the electronic component exposed through the open hole formed in the tray support member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 and a lowering step of lowering the opening unit body so that the buffer support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and in the lowering step, when the open unit body descend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 test handler control method may be provided, in which a part is inserted into the open hole.

또한, 언로딩 장치가 트레이 프레임의 수용부 내의 전자부품을 파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 상으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상기 트레이 프레임의 하측에 지지된 트레이 지지부재의 저면에 개방유닛 바디에 지지된 완충 지지부재가 밀착되도록 상기 개방유닛 바디를 상승시키는 상승 단계;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지지된 전자부품을 상기 언로딩 장치가 파지하는 파지 단계; 상기 파지 단계에서 상기 전자부품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형성된 개방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완충 지지부재가 지지하는 충격흡수 단계;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완충 지지부재가 이격되도록 상기 개방유닛 바디를 하강시키는 하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 단계에서는, 상기 개방유닛 바디가 상승할 때,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방홀에 삽입된 채로 상승하는, 테스트 핸들러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step of the unloading device moving on the receiving portion in order to grip the electronic components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tray frame; a lifting step of raising the opening unit body so that the buffer support member supported on the opening unit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support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y frame; a holding step of the unloading device holding the electronic component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gripping step, the shock absorption support member supports the electronic component exposed through an open hole formed in the tray support member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step; and a lowering step of lowering the open unit body so that the buffer support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and in the raising step, when the open unit body rises, at least some of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re A test handler control method may be provided, which ris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pen hole.

또한,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지지되거나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홀딩 유닛을 개방시키는 개방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승단계는, 상기 개방유닛 바디가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하도록 상기 개방유닛 바디를 소정 위치로 상승시키는, 테스트 핸들러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n opening step of opening the holding uni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upported on the tray support member or separated from the tray support member, wherein the lifting step includes the opening unit body to press the holding unit. A test handler control method for raising the open unit body to a predetermined posi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부품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과정 및 테스트하는 과정 동안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하고, 전자부품의 단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during the transferring process and the testing process for tes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preventing the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being dama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포켓 프레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포켓 프레임의 저면 사시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C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테스트 트레이 및 개방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테스트 트레이 및 개방 유닛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D-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서 홀딩 유닛이 해제 상태에 놓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트레이 및 개방 유닛을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개방 유닛이 상승하여 홀딩 유닛이 해제 상태에 놓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E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개방 유닛이 하강하여 홀딩 유닛이 이탈방지 상태에 놓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F의 확대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test hand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tab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 of FIG.
1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ocket frame of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able of FIG. 11 ;
1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pocket frame of FIG. 12 .
14 is an enlarged view of C of FIG. 12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member of Fig. 12;
16 is a perspective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test handl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st tray and opening unit of FIG. 16 ;
1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test tray and the opening unit of FIG. 16 .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8 .
2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unit is placed in a released state in FIG. 18 .
2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test tray and an opening uni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unit of FIG. 21 is raised and the holding unit is placed in the released state.
2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E of FIG. 22 .
2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unit of FIG. 22 is lowered and the holding unit is placed in the escape prevention state.
FIG. 25 is an enlarged view of F of FIG. 24 .
26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test handl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결합'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결합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suppor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supported,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meaning of "comprising," as used herein,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상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of the upper part, the upper surface, etc.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and it is clarified in advance that it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f the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object is chang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est handl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1)는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된 전자부품을 테스트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등급별로 분류하여 고객 트레이(T1, T2)에 적재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핸들러(1)는 테스터(미도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핸들러(1)는 로딩 장치(10), 테스트 트레이(20), 챔버(30), 언로딩 장치(40), 스택커 모듈(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 a test handl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sts electronic components manufactured through a manufacturing process, classifies them by grade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and places them on customer trays T1 and T2. can be loaded Also, the test handler 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tester (not shown). The test handler 1 may include a loading device 10 , a test tray 20 , a chamber 30 , an unloading device 40 , a stacker module 50 , and a control unit 60 .

로딩 장치(10)는 제1 고객 트레이(T1)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테스트 트레이(20)에 로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객 트레이(T1)에 놓인 전자부품은 테스트되기 전의 전자부품이다. 로딩 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loading device 10 may load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first customer tray T1 into the test tray 20 . Here, the electronic component placed on the first customer tray T1 is an electronic component before being tested.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device 10 will be described later.

테스트 트레이(20)는 테스트되어야 할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전자부품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소정 경로를 따라서 순환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트레이(20)는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도 있다.The test tray 20 has a space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to be tested can be seated, and can circulate along a predetermined path to test the electronic component. Also, in the test tray 20 , an electronic component for which a test has been completed may be seated.

챔버(30)는 소크 챔버(31), 테스트 챔버(32) 및 디소크 챔버(3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mber 30 may include a soak chamber 31 , a test chamber 32 , and a de-soak chamber 33 .

소크 챔버(31)는 로딩 위치(LP)로부터 이송된 테스트 트레이(20)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테스트 조건에 따라 예열 또는 예냉시킬 수 있다.The soak chamber 31 may preheat or precool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test tray 20 transferred from the loading position LP according to test conditions.

테스트 챔버(32)는 소크 챔버(31)에서 예열 또는 예냉되어 테스트 챔버(32)의 내부로 이송된 전자부품이 테스트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test chamber 32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test chamber 32 after being preheated or precooled in the soak chamber 31 is tested.

디소크 챔버(33)는 테스트 챔버(32)의 내부에서 가열 또는 냉각되어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언로딩에 필요한 온도로 동화시킬 수 있다.The dissoak chamber 33 may be heated or cooled inside the test chamber 32 to assimilate the electronic component that has been tested to a temperature required for unloading.

언로딩 장치(40)는 디소크 챔버(33)로부터 이송된 테스트 트레이(20)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테스트 등급별로 분류하여 제2 고객 트레이(T2)에 언로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객 트레이(T2)에 놓인 전자부품은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이다.The unloading device 40 may classify the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test tray 20 transferred from the desoak chamber 33 by test grade and unload them into the second customer tray T2 . Here, the electronic component placed on the second customer tray T2 is an electronic component that has been tested.

스택커 모듈(50)은 전자부품이 적재되는 제1 고객 트레이(T1) 및 제2 고객 트레이(T2)를 보관할 수 있다.The stacker module 50 may store the first customer tray T1 and the second customer tray T2 on which electronic components are loaded.

제어부(60)는 로딩 장치(10) 및 언로딩 장치(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센서 등의 측정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controller 60 may control driving of the loading device 10 and the unloading device 40 . The control unit 60 may be implemented by an arithmetic device including a microprocessor, a measuring device such as a sensor, and a memory, and the implementation method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a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1 고객 트레이(T1)와 제2 고객 트레이(T2)를 테스트되기 전/후의 전자부품을 적재하는 것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실제 공정에서는 제1 고객 트레이(T1)와 제2 고객 트레이(T2)는 로딩 및 언로딩 과정을 거치는 동안 혼용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customer tray (T1) and the second customer tray (T2) have been described separately as load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before and after being teste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ation, In the process, the first customer tray T1 and the second customer tray T2 may be mixed dur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process, and may have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로딩 장치(1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딩 장치(10)는 테이블(100) 및 핸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The loading device 10 may include a table 100 and a hand 200 .

테이블(100)은 제1 고객 트레이(T1)에 적재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이 테스트 트레이(20)로 적재되기 전 또는 테스트 트레이(20)에 적재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이 제2 고객 트레이(T2)로 적재되기 전에 임시로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100)은 고객 트레이(T1, T2)와 테스트 트레이(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100)은 포켓 프레임(110) 및 충격 흡수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ble 100 shows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first customer tray T1 before being loaded onto the test tray 20 or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test tray 20 on the second customer tray T2. It can provide a space for temporary seating before being loaded into the furnace. The table 1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ustomer trays T1 and T2 and the test tray 20 . In addition, the table 100 may include a pocket frame 110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120 .

포켓 프레임(110)은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포켓 프레임(110)에는 안착부(111) 및 벽부(1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공간인 포켓 공간(P)이 형성될 수 있다.The pocket frame 110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A seating portion 111 and a wall portion 112 may be formed in the pocket frame 110 , and a pocket space P that is a space i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may be formed.

안착부(111) 상에는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충격 흡수 부재(120)가 배치된다. 이러한 안착부(111)는 포켓 프레임(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11)에는 포켓 프레임(110)을 관통하는 포켓 개방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A shock absorbing member 120 o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can be mounted is disposed on the seating part 111 . The seating portion 11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ocket frame 110 . Also, a pocket opening hole 111a penetrating through the pocket frame 110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11 .

벽부(112)는 충격 흡수 부재(120)를 향하여 하강하는 전자부품이 충격 흡수 부재(12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전자부품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러한 벽부(112)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벽부(112)는 충격 흡수 부재(120)를 둘러싸도록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벽부(112)는 충격 흡수 부재(120)를 향하여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The wall part 112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descending towar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can be seated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A plurality of such wall portions 112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112 may protrude upward to surrou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Also,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112 may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war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포켓 공간(P)은 전자부품이 포켓 프레임(110) 내측에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벽부(112) 및 충격 흡수 부재(12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포켓 공간(P)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포켓 공간(P)에 복수 개의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The pocket space P may be a space in which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side the pocket frame 110 , and may mean a space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wall parts 112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A plurality of such pocket spaces P may be formed,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pocket spaces P.

충격 흡수 부재(120)는 전자부품이 포켓 공간(P)에 배치될 때,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120)는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 부재(120)는 전자부품이 충격 흡수 부재(120)를 향하여 낙하할 때,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 흡수 부재(120)는 충격 흡수에 유리한 탄성 재질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 흡수 부재(12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충격 흡수 부재(120)는 복수 개의 포켓 공간(P)에 배치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may provide a portion where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disposed in the pocket space (P).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may be provided to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For example,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may absorb a shock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material advantageous for shock absorp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silicon (Si). A plurality of such shock absorbing members 120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120 may be disposed in a plurality of pocket spaces (P).

또한, 충격 흡수 부재(120)는 윤활성이 뛰어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 부재(120)의 상면은 윤활성이 뛰어난 재료, 즉 마찰 저항이 낮은 재료로 제공됨으로써 충격 흡수 부재(120)와 전자부품 간의 마찰력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처럼, 충격 흡수 부재(120)의 상면이 마찰 저항이 낮은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전자부품이 충격 흡수 부재(120)에 안착될 때, 전자부품이 충격 흡수 부재(120)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거나 안착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충격 흡수 부재(120)의 표면은 전자부품의 안착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철이 없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excellent lubricity. For exampl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is provided with a material having excellent lubricity, that is, a material having low frictional resistanc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minimized. As such,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contains a material having low frictional resistance,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the electronic component slides away from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or there is a problem in seating failure.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As another example, the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may be formed of a flat surface without irregularities in order to prevent an electronic component from being improperly seated.

충격 흡수 부재(120)는 안착부(111) 상에 배치되며, 안착부(111)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 부재(120)는 안착부(111)의 상면에 접착제(미도시)를 통하여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1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충격 흡수 부재(120)에는 두께 방향(예를 들어, 도 3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충격 흡수 부재(120)를 관통하는 완충 개방홀(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개방홀(120a)은 포켓 개방홀(111a)에 대응하도록 충격 흡수 부재(12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포켓 개방홀(111a)과 완충 개방홀(120a)은 서로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완충 개방홀(120a)은 전자부품이 충격 흡수 부재(120)에 안착될 때, 전자부품과 충격 흡수 부재(12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전자부품이 충격 흡수 부재(12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is disposed on the seating part 111 and may be fixedly supported by the seating part 111 . For example,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may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11 through an adhesive (not shown).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has a buffered opening penetrat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eg,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3 ). A hole 120a may be formed. The buffer opening hole 120a may be formed 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to correspond to the pocket opening hole 111a. Accordingly, the pocket opening hole 111a and the buffer opening hole 120a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the buffer opening hole 120a is formed with an air layer between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paced apart from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can prevent

핸드(200)는 고객 트레이(T1)에 안착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을 파지하여 테이블(100) 측으로 이송할 수 있으며, 충격 흡수 부재(120)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드(200)는 테이블(100)에 안착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을 파지하여 테스트 트레이(20)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핸드(200)는 충격 흡수 부재(120) 상측에서 전자부품을 파지 해제함으로써 낙하시킬 수 있다.The hand 200 may grip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seated on the customer tray T1 , and may transfer them to the table 100 , and may be seated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In addition, the hand 200 may grip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seated on the table 100 and transfer them to the test tray 20 . In addition, the hand 200 may be dropped by releasing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예를 들어, 핸드(200)는 소정의 진공압을 통하여 전자부품을 파지할 수 있다. 한편, 핸드(200)가 전자부품을 파지할 때, 핸드(200)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전자부품에는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나, 이러한 충격은 충격 흡수 부재(120)에 의해 최소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핸드(200)가 전자부품을 파지할 때,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은 충격 흡수 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 흡수 부재(120)로 흡수될 수 있다. 이처럼, 충격 흡수 부재(120)에 의해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For example, the hand 200 may hold the electronic component through a predetermined vacuum pressure. Meanwhile, when the hand 200 grips the electronic component, an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hand 200 , but the impact may be minimized by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In other words, when the hand 200 grips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absorbed by the shock-absorbing member 1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hock-absorbing member 120 . As such,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by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has an effect of being minimized.

다른 예시로, 안착부(111)의 강성은 전자부품의 강성보다 더 크므로 핸드(200)가 전자부품을 포켓 공간(P)에 안착시킬 때, 전자부품이 낙하하여 안착부(111)에 바로 안착되면 전자부품에는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다만, 핸드(200)가 전자부품의 파지를 해제할 때, 전자부품이 탄성력을 가지는 충격 흡수 부재(120)에 안착됨으로써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120)의 상부 표면에 마찰 저항이 작은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충격 흡수 부재(120)의 상부 표면에 전자부품이 안착되더라도 충격 흡수 부재(12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nother example, since the rigidity of the seating part 111 is greater than the rigidity of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the hand 200 seats th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pocket space P,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directly onto the seating part 111 . When it is seated, an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However, when the hand 200 releases the grip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having elastic force, so that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includes a material having a low frictional resistance, even i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it is seated in a fixed posi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can have an effect.

한편, 핸드(200)는 언로딩 장치(40)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언로딩 장치(40)에 구비된 핸드(200)는 테스트 트레이(20)에 안착된 전자부품을 제2 고객 트레이(T2)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로딩 장치(10)에 구비된 핸드(200)는 제1 핸드(200)로 명명될 수 있으며, 언로딩 장치(40)에 구비된 핸드(200)는 제2 핸드(200)로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the hand 200 may also be provided in the unloading device 40 , and the hand 200 provided in the unloading device 40 transfers the electronic components seated on the test tray 20 to the second customer tray T2 . ) can be transferred to In addition, the hand 200 provided in the loading device 1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hand 200 , and the hand 200 provided in the unloading apparatus 4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hand 200 . can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 흡수 부재(120)는 제1 충격 흡수 부재(121) 및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i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may include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and a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4 . I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충격 흡수 부재(120)는 제1 충격 흡수 부재(121) 및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완충 개방홀(120a)은 제1 완충 개방홀(121a) 및 제2 완충 개방홀(122a)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may include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and a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and the buffer opening hole 120a is the first buffer opening hole 121a . ) and may include a second buffer opening hole (122a).

제1 충격 흡수 부재(121)는 안착부(1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충격 흡수 부재(121)는 제2 충격 흡수 부재(122) 보다 높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충격 흡수 부재(121)에는 포켓 개방홀(111a)에 대응하도록 제1 충격 흡수 부재(121)에 형성되는 제1 완충 개방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may be dispos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and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may have a higher elastic force tha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In addition, a first buffer opening hole 121a formed in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to correspond to the pocket opening hole 111a may be formed in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는 제1 충격 흡수 부재(12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에는 두께 방향(예를 들어, 도 4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를 관통하는 제2 완충 개방홀(1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제1 충격 흡수 부재(121) 보다 작은 마찰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는 마찰 저항이 적어 윤활성이 높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한 예시로,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는 나일론(nylon), 폴리페닐렌 옥사이드(mPPO),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세틸(Acetal) 및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and may provide a portion o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In additio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may be formed with a second buffer opening hole 122a penetrating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eg,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4 ). .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may have a smaller frictional resistance than that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 For example,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may include engineering plastic having high lubricity due to low frictional resistance. As a more detailed example,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ylon, polyphenylene oxide (mPPO), polycarbonate (PC), polyacetyl (Acetal),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may include

이처럼, 제2 충격 흡수 부재(122)가 적은 마찰 저항을 가짐으로써, 전자부품이 제2 충격 흡수 부재(122) 상에 안착될 때, 전자부품이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에 안착되는 효과가 있다.As such, since the second shock-absorbing member 122 has a small frictional resistance,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econd shock-absorbing member 122 , the electronic component does not separate from the second shock-absorbing member 122 . There is an effect of being seated o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또한, 제2 충격 흡수 부재(122) 및 제1 충격 흡수 부재(121)가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에 전자부품이 안착될 때, 제1 충격 흡수 부재(121)의 탄성에 의해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와 전자부품 사이의 충격이 제1 충격 흡수 부재(121)로 흡수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and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have elastic force,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the The impact betwee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is absorbed by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due to elasticity.

따라서, 전자부품이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에 안착될 때,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은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minimized.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벽부(112)는 충격 흡수 부재(12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6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i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portion 11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5 and 6 . In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the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테이블(100)은 포켓 프레임(110) 및 충격 흡수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5 and 6 , the table 100 may include a pocket frame 110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120 .

포켓 프레임(110)에는 포켓 공간(P)을 관통하는 포켓 개방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A pocket opening hole 111a penetrating the pocket space P may be formed in the pocket frame 110 .

벽부(112)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벽부(112)는 충격 흡수 부재(120)를 둘러싸도록 포켓 프레임(1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wall portions 112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112 may protrude from the pocket frame 110 to surrou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또한, 복수 개의 벽부(112)는 충격 흡수 부재(12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벽부(112)는 충격 흡수 부재(120) 중 벽부(112)와 대향하는 일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 개의 벽부(112)가 충격 흡수 부재(120)로부터 이격 배치됨으로써 벽부(112)와 충격 흡수 부재(120) 사이에는 이격 공간(S)이 제공될 수 있다.Also,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112 may be disposed to b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11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facing the wall portion 112 . As such,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112 are spaced apart from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to provide a space S between the wall portion 112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이격 공간(S)에는 전자부품의 단자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의 가장자리에는 복수 개의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부품이 충격 흡수 부재(120)에 안착되었을 때, 전자부품의 가장자리는 충격 흡수 부재(120)에 안착되지 않고 이격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자부품의 단자는 충격 흡수 부재(120)와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충격 흡수 부재(120)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A terminal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disposed in the separation space (S). For example, a plurality of terminals may be disposed on the edg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lso,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the edg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not be seated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and may be disposed in the separation space S. In this case, since the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mponen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it may be protected from an impact generated by the contact with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또한, 충격 흡수 부재(120)에는 포켓 개방홀(111a)에 대응하도록 충격 흡수 부재(120)를 관통하는 완충 개방홀(120a)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may have a buffer opening hole 120a penetrating through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to correspond to the pocket opening hole 111a.

한편, 전자부품의 단자는 전자부품의 전면에 걸쳐서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전자부품의 가장자리에 집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부품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벤딩되면, 중심부에는 하중이 완화되고 가장자리의 단자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벽부(112)와 충격 흡수 부재(120) 사이에 이격 공간(S)이 형성됨으로써 전자부품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단자가 이격 공간(S)에 놓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부품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단자는 충격 흡수 부재(120)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Meanwhile,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formed intensively on the edg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s well as when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such an electronic component is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load is relieved at the center and the load is intensively applied to the terminal at the edge. Howev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space S is formed between the wall portion 112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so that the terminal formed at the edg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placed in the separation space S. have. For this reas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rminal formed on the edg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protected from the impact generated by the contact with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벽부(112)는 제1 충격 흡수 부재(121) 및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i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portion 11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7 . In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the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테이블(100)은 포켓 프레임(110) 및 충격 흡수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table 100 may include a pocket frame 110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120 .

충격 흡수 부재(120)는 제1 충격 흡수 부재(121) 및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완충 개방홀(120a)은 제1 완충 개방홀(121a) 및 제2 완충 개방홀(122a)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may include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and a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and the buffer opening hole 120a is a first buffer opening hole 121a and a second buffer opening opening. It may include a hole 122a.

제1 충격 흡수 부재(121)는 안착부(1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충격 흡수 부재(121)는 제2 충격 흡수 부재(122) 보다 높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충격 흡수 부재(121)에는 포켓 개방홀(111a)에 대응하도록 제1 충격 흡수 부재(121)에 형성되는 제1 완충 개방홀(121a)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may be disposed on the seating portion 111 and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may have a higher elastic force tha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In addition, a first buffer opening hole 121a formed in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to correspond to the pocket opening hole 111a may be formed in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는 제1 충격 흡수 부재(12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충격 흡수 부재(121)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는 제1 충격 흡수 부재(121)의 상면에 접착제(미도시)를 통하여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에는 두께 방향(예를 들어, 도 7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를 관통하는 제2 완충 개방홀(122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and may be fixedly supported by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 For example,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may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through an adhesive (not show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has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eg,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7 ). A second buffer opening hole 122a passing through may be formed.

제2 완충 개방홀(122a)은 제1 완충 개방홀(121a)에 대응하도록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완충 개방홀(122a)과 제1 완충 개방홀(121a)은 서로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2 완충 개방홀(122a)은 전자부품이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에 안착될 때, 전자부품과 제2 충격 흡수 부재(122)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전자부품이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buffer opening hole 122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to correspond to the first buffer opening hole 121a. Accordingly, the second buffer opening hole 122a and the first buffer opening hole 121a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in the second buffer opening hole 122a,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ubjected to the second impact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absorbent member 122 .

벽부(112)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벽부(112)는 충격 흡수 부재(120) 및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를 둘러싸도록 포켓 프레임(1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wall parts 112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wall parts 112 may protrude from the pocket frame 110 to surrou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또한, 복수 개의 벽부(112)는 충격 흡수 부재(12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벽부(112)는 충격 흡수 부재(120) 중 벽부(112)와 대향하는 일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 개의 벽부(112)가 제1 충격 흡수 부재(121) 및 제2 충격 흡수 부재(122)로부터 이격 배치됨으로써 벽부(112)와 제1 충격 흡수 부재(121) 및 제2 충격 흡수 부재(122) 사이에는 이격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112 may be disposed to b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 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11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120 facing the wall portion 112 . In this way, the plurality of wall parts 112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so that the wall 112 and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 A separation space (S) may be formed between the 122).

이격 공간(S)에는 전자부품의 단자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의 가장자리에는 복수 개의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부품이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에 안착되었을 때, 전자부품의 가장자리는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에 안착되지 않고 이격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자부품의 단자는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와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A terminal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disposed in the separation space (S). For example, a plurality of terminals may be disposed on the edg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lso,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the edg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disposed in the separation space S without being seated o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In this case, since the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mponen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it may be protected from an impact generated by the contact with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이처럼, 이격 공간(S)이 형성됨으로써 전자부품의 단자는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by forming the separation space S, the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mponent has an effect that can be protected from the impact generated by the contact with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또한,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에 전자부품이 안착될 때, 제1 충격 흡수 부재(121)의 탄성에 의해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와 전자부품 사이의 충격이 제1 충격 흡수 부재(121)로 흡수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econd shock-absorbing member 122 , an impact between the second shock-absorbing member 122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is generated by the elasticity of the first shock-absorbing member 121 . (121) has the effect of being absorbed.

따라서, 전자부품이 제2 충격 흡수 부재(122)에 안착될 때,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은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122 ,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minimized.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100)은 바디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10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5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i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100 may further include a body 140 . Hereinafter,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8 to 10 . In the description of the fifth embodiment, the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테이블(100)은 고객 트레이(T1)에 적재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이 테스트 트레이(20)로 적재되기 전에 임시로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100)은 포켓 프레임(110), 완충 부재(120) 및 바디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table 100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customer tray T1 are temporarily seated before being loaded onto the test tray 20 . The table 100 may include a pocket frame 110 , a buffer member 120 , and a body 140 .

도 9를 참조하면, 포켓 프레임(110)은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켓 프레임(110)은 바디부(14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포켓 프레임(11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포켓 프레임(110)은 바디부(14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포켓 프레임(110)에는 복수 개의 포켓 공간(P)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포켓 프레임(110)에는 벽부(112), 포켓 홈부(113), 교정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pocket frame 110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In addition, the pocket frame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40 . A plurality of such pocket frames 110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pocket frames 110 may be supported by the body unit 14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pocket spaces (P) may be formed in the plurality of pocket frames (110). A wall portion 112 , a pocket groove portion 113 , and a correction hole 114 may be formed in the pocket frame 110 .

벽부(112)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벽부(112)는 완충 부재(120)를 둘러싸도록 포켓 프레임(1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벽부(112)는 완충 부재(120)와 함께 전자부품이 포켓 공간(P)의 내측에 배치되는 공간인 포켓 공간(P)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포켓 공간(P)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wall portions 112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112 may protrude from the pocket frame 110 to surround the buffer member 120 .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wall portions 112 may form a pocket space P that is a space in which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side the pocket space P together with the cushioning member 120 . A plurality of such pocket spaces P may be formed.

도 10을 참조하면, 포켓 홈부(113)는 완충 부재(120)의 일부가 수용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포켓 홈부(113)는 포켓 프레임(110)으로부터 인입 형성될 수 있으며, 포켓 홈부(113)에 수용된 완충 부재(120)가 포켓 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pocket groove 113 may provide a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cushioning member 120 is accommodated. The pocket groove portion 113 may be formed to be drawn in from the pocket frame 110 , and may prevent the buffer member 120 accommodated in the pocket groove portion 11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ocket frame 110 .

교정홀(114)은 포켓 프레임(110)과 바디부(140)가 결합될 때, 서로 간의 위치가 교정되도록 바디부(140)의 교정핀(143)과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정홀(114)에는 교정핀(143)이 삽입됨으로써 포켓 프레임(110)과 바디부(140)의 서로에 대한 위치는 교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교정홀(114)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libration hole 114 may be engaged with the calibration pin 143 of the body portion 140 so that when the pocket frame 110 and the body portion 140 are coupled, the positions of each other are corrected.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pocket frame 110 and the body portion 140 with respect to each other may be corrected by inserting the correction pin 143 into the correction hole 114 . The correction hole 114 may be formed in plurality.

완충 부재(120)는 전자부품이 포켓 공간(P)에 배치될 때,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120)는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120)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패드(pad) 형상일 수 있으며,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12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완충 부재(120)는 바디부(140)에 지지될 수 있다.The buffer member 120 may provide a portion o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disposed in the pocket space (P). In addition, the buffer member 120 may be provided to absorb an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For example, the buffer member 120 may have a pad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may include silicon (Si). A plurality of buffer members 120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buffer members 120 may be supported by the body 140 .

또한, 완충 부재(120)는 포켓 프레임(110)과 바디부(140)가 결합되었을 때, 포켓 프레임(110)과 바디부(14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120)의 일부는 바디부(140)의 후술할 바디 홈부(141)에 수용될 수 있으며, 완충 부재(120)의 다른 일부는 포켓 프레임(110)의 포켓 홈부(113)에 수용될 수 있다. 이처럼, 완충 부재(120)가 포켓 홈부(113)와 바디 홈부(141)에 삽입됨으로써 포켓 프레임(110) 및 바디부(14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소정 위치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member 12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ocket frame 110 and the body portion 140 when the pocket frame 110 and the body portion 140 are coupled.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buffer member 120 may be accommodated in a body groove portion 141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body portion 140 , and another portion of the buffer member 120 is a pocket groove portion 113 of the pocket frame 110 . ) can be accepted. As such, the buffer member 120 is inserted into the pocket groove portion 113 and the body groove portion 141 , so that it can be fixedly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pocket frame 110 and the body portion 140 .

한편, 완충 부재(120)는 바디 홈부(141) 상에 배치되며, 바디부(14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120)는 바디 홈부(141)의 상면에 접착제(미도시)를 통하여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1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완충 부재(120)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서 완충 부재(120)를 관통하는 완충 개방홀(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개방홀(120a)은 후술할 바디 개방홀(14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 개방홀(120a)과 바디 개방홀(142)은 서로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완충 개방홀(120a)에 의해 전자부품이 완충 부재(120)에 안착될 때, 전자부품과 완충 부재(12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전자부품이 완충 부재(120)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buffer member 120 is disposed on the body groove portion 141 and may be fixedly supported by the body portion 140 . For example, the buffer member 120 may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groove portion 141 through an adhesive (not shown). In addition, the buffer member 120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buffer opening hole 120a passing through the buffer member 120 may be formed in the buffer member 120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The buffer opening hole 120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opening hole 142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buffer opening hole 120a and the body opening hole 142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buffer member 120 by the buffer opening hole 120a,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buffer member 120 to prevent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uffer member 120 can be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바디부(140)는 복수 개의 포켓 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완충 부재(1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40)에는 바디 홈부(141), 바디 개방홀(142), 교정핀(143)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9 , the body 140 may support a plurality of pocket frames 110 , and may support a plurality of buffer members 120 . The body part 140 may have a body groove part 141 , a body opening hole 142 , and a correction pin 143 .

바디 홈부(141)는 완충 부재(1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완충 부재(120)의 일부가 수용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디 홈부(141)에 완충 부재(120)의 일부가 수용?瑛? 때, 바디 홈부(141)는 완충 부재(12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The body groove portion 141 may support the buffer member 120 , and may provide a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buffer member 120 is accommodated. In other words, a portion of the cushioning member 120 is accommodated in the body groove 141? At this time, the body groove portion 141 may be fixedly support the buffer member 120 .

바디 개방홀(142)은 바디부(1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 홈부(14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 개방홀(142)은 완충 개방홀(120a)과 연통할 수 있다.The body opening hole 142 may be formed through the body portion 140 and may be formed in the body groove portion 141 . The body opening hole 142 may communicate with the buffer opening hole 120a.

교정핀(143)은 포켓 프레임(110)과 바디부(140)가 결합될 때, 서로 간의 위치가 교정되도록 교정홀(114)과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정핀(143)은 교정홀(114)에 삽입되도록 바디부(14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교정핀(143)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포켓 프레임(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교정홀(114)과 맞물릴 수 있다.When the correction pin 143 is coupled to the pocket frame 110 and the body portion 140, the position of the correction pin 143 may be engaged with the correction hole 114 so that the positions of each other are corrected. For example, the correction pin 143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portion 14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rrection hole 114 . These correction pins 14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engaged with a plurality of correction holes 114 formed in a plurality of pocket frames 110 .

이처럼, 교정핀(143)과 교정홀(114)이 맞물림으로써 포켓 프레임(110)과 바디부(140)의 상대적인 위치가 교정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by engaging the correction pin 143 and the correction hole 114,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pocket frame 110 and the body portion 140 are corrected, and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완충 부재(120)가 포켓 홈부(113) 및 바디 홈부(141)에 끼워짐으로써, 포켓 프레임(110) 또는 바디부(14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 지지될 수 있으며, 전자부품이 안착될 때,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uffer member 120 is fitted into the pocket groove portion 113 and the body groove portion 141 , it may be fixedly support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pocket frame 110 or the body portion 140 ,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seated therein.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re stably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또한, 바디부(140)와 포켓 프레임(110)이 별도로 제공됨으로써 완충 부재(120)를 바디부(140)에 설치할 때,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portion 140 and the pocket frame 110 are provided separately, when the cushioning member 120 is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14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and quickly.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100)은 지지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1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6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i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ble 10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member 150 . Hereinafter,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11 to 15 . In the description of the sixth embodiment, the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테이블(100)은 포켓 프레임(110), 바디부(140) 및 지지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11 and 12 , the table 100 may include a pocket frame 110 , a body 140 , and a support member 150 .

포켓 프레임(110)에는 벽부(112), 포켓 홈부(113), 교정홀(114) 및 고정핀(115)이 형성될 수 있다.A wall portion 112 , a pocket groove portion 113 , a correction hole 114 , and a fixing pin 115 may be formed in the pocket frame 110 .

도 13을 참조하면, 포켓 홈부(113)는 지지 부재(150)의 및 후술할 돌출부(144)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포켓 홈부(113)는 포켓 프레임(110)으로부터 인입 형성될 수 있으며, 포켓 홈부(113)에 삽입된 지지 부재(150)가 포켓 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pocket groove 113 may provide a portion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50 and the protrusion 144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 pocket groove portion 113 may be formed to be drawn in from the pocket frame 110 , and may prevent the support member 150 inserted into the pocket groove portion 11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ocket frame 110 .

고정핀(115)은 지지 부재(150)를 바디부(140)의 돌출부(14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115)은 후술할 지지 고정홀(153)에 관통 삽입될 수 있으며, 후술할 바디 고정홀(145)에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켓 프레임(110), 지지 부재(150) 및 바디부(140)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었을 때, 고정핀(115)은 지지 고정홀(153) 및 바디 고정홀(145)에 순차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지지 부재(150)를 돌출부(14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115)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고정핀(115)은 포켓 프레임(1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in 115 may fix the support member 150 to the protrusion 144 of the body 140 . This fixing pin 115 may be inserted through a support fixing hole 153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engaged with a body fixing hole 145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when the pocket frame 110 , the support member 150 , and the body portion 140 are sequentially disposed, the fixing pins 115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support fixing hole 153 and the body fixing hole 145 . By being inserted, the support member 150 may be fixed to the protrusion 144 . A plurality of such fixing pins 115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fixing pins 115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ocket frame 110 .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바디부(140)에는 바디 개방홀(142), 교정핀(143), 돌출부(144) 및 바디 고정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12 and 14 , a body opening hole 142 , a correction pin 143 , a protrusion 144 , and a body fixing hole 145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140 .

돌출부(144)는 지지 부재(15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지지 부재(150)가 안착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44)는 바디부(140)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44)는 지지 부재(150)와 함께 포켓 홈부(113)에 끼워질 수 있다.The protrusion 144 may support the support member 150 and may provide a portion on which the support member 150 is seated. The protrusion 14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body 140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ddition, the protrusion 144 may be fitted into the pocket groove 113 together with the support member 150 .

바디 고정홀(145)은 지지 부재(150)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핀(115)과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고정홀(145)은 고정핀(1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바디부(1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 고정홀(145)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바디 고정홀(145)은 돌출부(144)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의 고정핀(115) 및 바디 고정홀(145)은 각각 제1 고정요소(115) 및 제2 고정요소(145)로 명명될 수 있고, 제1 고정요소(115)가 홀 형상을 가지며, 제2 고정요소(145)가 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고정요소(115) 및 제2 고정요소(145) 중 어느 하나는, 제1 고정요소(115) 및 제2 고정요소(145) 중 다른 하나와 지지 고정홀(153)에 맞물림으로써 지지 부재(150)를 바디부(140)에 고정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body fixing hole 145 may be engaged with the fixing pin 115 to fix the support member 150 . For example, the body fixing hole 145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140 so that the fixing pin 115 can be inserted thereinto. In addition, a plurality of body fixing holes 145 may b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body fixing holes 145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144 . The fixing pin 115 and the body fixing hole 145 in the above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fixing element 115 and a second fixing element 145, respectively, and the first fixing element 115 has a hole shape. , the second fixing element 145 may be modified to have a pin shape. Accordingly, any one of the first fixing element 115 and the second fixing element 145 is engaged with the other one of the first fixing element 115 and the second fixing element 145 in the support fixing hole 153 . It may be provided to fix the support member 150 to the body 140 .

도 15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150)는 전자부품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150)는 일 예로, 전자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얇은 필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50)는 돌출부(144)에 지지될 수 있으며, 돌출부(144)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 the support member 15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support member 150 may be provided as, for example, a thin film for supporting an electronic component.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50 may be supported by the protrusion 144 , and may be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44 .

이러한 지지 부재(150)는 포켓 프레임(110)과 바디부(140)가 결합되었을 때, 포켓 프레임(110)과 바디부(14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50)는 포켓 홈부(113)에 삽입됨으로써 포켓 프레임(1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150)에는 제1 개방홀(151), 제2 개방홀(152) 및 지지 고정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5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pocket frame 110 and the body 140 when the pocket frame 110 and the body 140 are coupled. 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150 may be supported by the pocket frame 110 by being inserted into the pocket groove portion 113 . A first opening hole 151 , a second opening hole 152 , and a support fixing hole 153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150 .

제1 개방홀(151)은 전자부품이 지지 부재(150)에 지지되었을 때, 전자부품의 단자 중 일부가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의 중심부에 형성된 단자는 제1 개방홀(151)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개방홀(151)은 지지 부재(150)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지지 부재(150)를 관통하며, 지지 부재(15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50 , the first open hole 15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some of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pass through. For example, the terminal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penetrate the first open hole 151 . The first opening hole 151 may pass through the support member 150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50 and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member 150 .

제2 개방홀(152)은 전자부품이 지지 부재(150)에 지지되었을 때, 전자부품의 단자 중 일부가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자는 제2 개방홀(152)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개방홀(152)은 제1 개방홀(151)의 둘레를 따라서 제1 개방홀(151)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지지 부재(150)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지지 부재(15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방홀(152)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150 , the second opening hole 15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some of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pass through. For example, the terminal formed on the edg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pass through the second opening hole 152 . The second opening hole 152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opening hole 151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opening hole 151 , and passes through the support member 150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50 . can be formed by Also,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 holes 152 may be formed.

한편, 제1 개방홀(151) 및 제2 개방홀(152)의 지지 부재(150)의 두께 방향에 대한 깊이는 지지 부재(150)의 두께(t)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방홀(151) 및 제2 개방홀(152)은 전자부품의 단자 길이와 같거나 더 깊게 지지 부재(150)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pth of the first open hole 151 and the second open hole 152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50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t of the support member 150 . In addition, the first open hole 151 and the second open hole 152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150 to be equal to or deeper than the terminal length of the electronic component.

지지 고정홀(153)은 고정핀(1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부재(15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고정홀(153)은 바디 고정홀(14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고정홀(153)에 삽입된 고정핀(115)은 바디 고정홀(145)에 삽입될 수 있으며, 지지 부재(150)는 돌출부(144)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The support fixing hole 153 may be form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150 so that the fixing pin 115 may be inserted thereinto. The support fixing hole 15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fixing hole 145 . Accordingly, the fixing pin 115 inserted into the support fixing hole 153 may be inserted into the body fixing hole 145 , and the support member 150 may be fixedly supported by the protrusion 144 .

이처럼, 제1 개방홀(151) 및 제2 개방홀(152)이 지지 부재(150)에 형성됨으로써 지지 부재(150)에는 단자의 개수에 관계없이 여러 종류의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since the first open hole 151 and the second open hole 152 ar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150 , various types of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seated on the support member 150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erminals. have.

또한, 지지 부재(150)가 고정핀(115)에 삽입되되, 포켓 홈부(113)에 끼워짐으로써 돌출부(144)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5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115 , it is fitted into the pocket groove portion 113 , so that it does not separate from the protrusion portion 144 .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르면, 로딩 장치(10)는 개방 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1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7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i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ing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unit 300 . Hereinafter,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11 to 15 . In the description of the seventh embodiment, the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16 및 도 17를 참조하면, 로딩 장치(10)는 개방 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6 and 17 , the loading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unit 300 .

개방 유닛(300)은 테스트 트레이(20)의 후술할 홀딩 유닛(22)을 해제 상태 또는 이탈방지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방 유닛(300)은 전자부품의 로딩을 위하여 테스트 트레이(20)에 멀어지거나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개방 유닛(300)은 이러한 이동을 위하여 유압피스톤 등과 같은 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개방 유닛(300)이 테스트 트레이(20)를 향하여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테스트 트레이(20)가 개방 유닛(300)을 향하여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개방 유닛(300)은 개방유닛 바디(310), 지지체(320) 및 탄성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unit 300 may convert the holding unit 22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test tray 20 into a release state or a separation prevention state. The opening unit 300 may move away from or approaching the test tray 20 for loading the electronic component. In addition, the opening unit 300 may include a driv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 hydraulic piston for this movement.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lthough it is indicated that the opening unit 300 approaches or moves away from the test tray 20 ,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test tray 20 to approach or move away from the opening unit 300 toward the opening unit 300 . . The opening unit 300 may include an opening unit body 310 , a support 320 , and an elastic unit 330 .

개방유닛 바디(310)는 지지체(320)를 지지하고, 테스트 트레이(20)의 홀딩 유닛(22)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방유닛 바디(310)에는 리세스(311), 개방돌기(312), 위치결정돌기(313) 및 밀착방지돌기(314)가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unit body 310 may support the support 320 and open the holding unit 22 of the test tray 20 . A recess 311 , an opening protrusion 312 , a positioning protrusion 313 , and an adhesion preventing protrusion 314 may be formed in the open unit body 310 .

리세스(311)는 개방유닛 바디(3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측은 테스트 트레이(20) 측의 면일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311)에는 지지체(320)가 수용될 수 있으며, 탄성 유닛(330)이 수용될 수 있는 그루브(311a)가 구비될 수 있다.The recess 31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pen unit body 310 , and this one side may be a surface of the test tray 20 . The support 3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 311 , and a groove 311a in which the elastic unit 330 may be accommodated may be provided.

개방돌기(312)는 홀딩 유닛(22)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방 유닛(300)은 리세스(311)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잇으며, 테스트 트레이(2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방돌기(312)는 홀딩 유닛(22)에 대응하도록 개방유닛 바디(310)에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protrusion 312 may operate the holding unit 22 . The opening unit 30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recess 311 ,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test tray 20 . In addition, the opening protrusion 312 may be formed on the opening unit body 310 to correspond to the holding unit 22 .

위치결정돌기(313)는 개방돌기(312)가 홀딩 유닛(22)에 작용할 수 있도록, 테스트 트레이(20)와 개방 유닛(300) 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위치결정돌기(313)에 의해 개방돌기(312)는 보다 높은 정확도로 홀딩 유닛(22)으로 안내될 수 있다. The positioning protrusion 313 may guide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test tray 20 and the opening unit 300 so that the opening protrusion 312 may act on the holding unit 22 . In other words, the opening protrusion 312 can be guided to the holding unit 22 with higher accuracy by the positioning protrusion 313 .

밀착방지돌기(314)는 개방 유닛(300)이 테스트 트레이(20)에 접근할 때, 개방 유닛(300)이 테스트 트레이(20)에 지나치게 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방돌기(312)가 홀딩 유닛(22)을 작동시킬 때에도 개방 유닛(300)과 테스트 트레이(20)를 소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The adhesion preventing protrusion 314 may prevent the opening unit 300 from excessively adhering to the test tray 20 when the opening unit 300 approaches the test tray 20 . Accordingly, even when the opening protrusion 312 operates the holding unit 22 ,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opening unit 300 and the test tray 20 .

도 18을 참조하면, 지지체(320)는 개방유닛 바디(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진퇴할 수 있도록 개방유닛 바디(3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320)는 개방유닛 바디(310)의 리세스(311) 내에서 개방유닛 바디(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개방유닛 바디(310)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320)는 해제상태에서 테스트 트레이(20)에 수용된 전자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320)는 지지체 바디(321) 및 완충 지지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the support 320 may be supported by the open unit body 310 so as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n unit body 310 . For example, the support 320 may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n unit body 310 within the recess 311 of the open unit body 310 , and may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open unit body 310 . can move The support 320 may support the electronic component accommodated in the test tray 20 in the released state. The support 320 may include a support body 321 and a buffer support member 322 .

지지체 바디(321)는 탄성 유닛(33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체 바디(321)에는 탄성부재 홈(321a)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321 may support the elastic unit 330 . For this, the elastic member groove 321a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body 321 .

완충 지지부재(322)는 후술할 수용부(21a)에 배치된 전자부품이 안착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지지부재(322)는 홀더(22a)의 해제상태에서 수용부(21a)에 삽입될 수 있으며, 완충 지지부재(322)에 전자부품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지지부재(322)가 전자부품과 접촉하는 면적은 후술하는 트레이 지지부(21b)가 전자부품과 접촉하는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완충 지지부재(322)는 해제상태에서 트레이 지지부(21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완충 지지부재(322)의 상면은 완충 지지부재(322)가 수용부(21a)의 내측에 배치되었을 때, 트레이 지지부(21b)의 상단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may provide a portion o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21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21a in the released state of the holder 22a,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supported by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 The area in which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contacts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formed to be wider than the area in which the tray support part 21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ntacts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is the tray support part 21b in the released state. ) can be located between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may be locat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tray support portion 21b when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is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1a.

완충 지지부재(322)는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지지부재(322)는 핸드(200)가 수용부(21a) 상에서 전자부품을 파지 해제하면, 전자부품이 완충 지지부재(322)에 안착될 때,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완충 지지부재(322)는 핸드(200)가 수용부(21a)에 배치된 전자부품을 파지할 때, 전자부품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지지부재(322)는 충격 흡수에 유리한 탄성 재질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may be provided to absorb an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For example, when the hand 200 holds the electronic component on the accommodating part 21a, the cushioning support member 322 provides an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cushioning support member 322. can be absorbed As another example,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can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the hand 200 holds the electronic component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21a. have.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material advantageous for shock absorption, and may include silicon (Si) as an example.

완충 지지부재(322)는 지지체 바디(32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체 바디(321)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지지부재(322)는 지지체 바디(321) 상면에 접착제(미도시)를 통하여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완충 지지부재(322)에는 두께 방향(예를 들어, 도 19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완충 지지부재(322)를 관통하는 완충 지지홀(3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지지홀(322a)은 지지체 바디(321)에 형성된 홀과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완충 지지홀(322a)은 전자부품이 완충 지지부재(322)에 안착될 때, 전자부품과 완충 지지부재(322)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전자부품이 완충 지지부재(322)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21 , and may be fixedly supported by the support body 321 . For example,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may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21 through an adhesive (not shown). In addition, the buffer support hole 322a passing through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may be formed in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in the thickness direction (eg,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19 ). The buffer support hole 322a may communicate with a hole formed in the support body 321 . In addition, the buffer support hole (322a),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paced apart from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can prevent

도 19를 참조하면, 탄성 유닛(330)은 지지체(320)를 테스트 트레이(2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유닛(330)은 탄성부재(331) 및 이탈방지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the elastic unit 330 may press the support 320 toward the test tray 20 . The elastic unit 330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331 and a separation preventing unit 332 .

탄성부재(331)는 지지체(320)를 테스트 트레이(2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331)는 지지체 바디(321)와 개방유닛 바디(3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331)는 일단이 지지체 바디(321)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홈(321a)에 수용되고, 타단이 개방유닛 바디(310)의 리세스(311)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유닛(330)은 테스트 트레이(20)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유닛 바디(3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지지체(320)를 가압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해 개방유닛 바디(3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테스트 트레이(20)가 개방 유닛(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는 동안, 지지체(320)가 탄성부재(331)에 의해 테스트 트레이(20) 측으로 가압되어 테스트 트레이(20)에 밀착될 수 있으며, 지지체(320)가 수용부(21a) 내의 전자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331 may press the support 320 toward the test tray 20 . E.g. The elastic member 33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body 321 and the opening unit body 310 .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331 may be accommodated in the elastic member groove 321a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ody 321 , and the other e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ss 311 of the open unit body 310 . This elastic unit 330 is pressed by the test tray 20 and mov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opening unit body 31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ning unit body 310 by restoring force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from the support 320 . can be moved to In addition, while the test tray 20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ning unit 300 , the support 320 is pressed toward the test tray 20 by the elastic member 33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est tray 20 . In this case, the support 320 may support th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accommodating part 21a.

이탈방지부(332) 지지체(320)가 개방유닛 바디(310)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332)의 일단은 개방유닛 바디(3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체(320)가 개방유닛 바디(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332)의 타단은 지지체(320)가 탄성부재(331)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유닛 바디(3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지지체(3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332 from completely separating the support 320 from the open unit body 310 . One end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332 may be fixed to the open unit body 310 , and the support 320 may guide movem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n unit body 310 .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332 may limit the movement of the support 320 when the support 320 is pressed by the elastic member 331 to move away from the open unit body 310 .

다만, 본 명세서에서 탄성 유닛(330)은 지지체(320)를 테스트 트레이(20) 측으로 가압하고, 지지체(320)가 개방유닛 바디(3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서술하였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탄성 유닛(330)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320)가 개방유닛 바디(310)에 고정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lastic unit 33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rovided to press the support 320 toward the test tray 20 and prevent the support 3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pen unit body 310, but this It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elastic unit 330 may be omitted. Accordingl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upport 320 to be fixedly supported on the open unit body 310 .

이하에서는, 테스트 트레이(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테스트 트레이(20)는 전자부품을 수용할 수 있으며, 테스트 트레이(20)에 수용된 대상물체는 후술할 홀딩 유닛(2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트레이(20)에는 전자부품이 로딩 또는 언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트레이(20)는 트레이 프레임(21), 홀딩 유닛(22)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test tray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est tray 20 may accommodate electronic components, and the object accommodated in the test tray 2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a holding unit 22 to be described later.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loaded or unloaded on the test tray 20 . The test tray 20 may include a tray frame 21 and a holding unit 22 .

트레이 프레임(21)에는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수용부(2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21a)는 통공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공은 일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21a)는 개방 유닛(300) 측을 향할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21a)의 일측은 전자부품 이동을 위한 입구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 프레임(21)에는 트레이 지지부(2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 지지부(21b)는 수용부(21a)에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지지부(21b)는 수용부(21a)에 안착된 전자부품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The tray frame 21 may b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21a i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can be mounted. The receiving portion 21a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and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one side. For example, the receiving portion 21a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opening unit 300 side.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21a may serve as an entrance for moving electronic components. On the other hand, the tray frame 21 may be formed with a tray support (21b). The tray support portion 21b may b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21a. In addition, the tray support portion 21b may contact and support the electronic component seated on the accommodation portion 21a.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홀딩 유닛(22)은 수용부(21a)에 배치된 전자부품을 선택적으로 홀딩할 수 있다. 따라서, 테스트 트레이(20)가 이동 또는 회전하더라도 전자부품은 테스트 트레이(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홀딩 유닛(22)은 개방 유닛(300)에 의해 해제상태 및 이탈방지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해제 상태는 개방 유닛(300)에 의해 수용부(21a)에 대한 전자부품의 안착 및 이탈을 허용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이탈방지 상태는 수용부(21a)에 대한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홀딩 유닛(22)은 홀더(22a) 및 홀더 스프링(22b)을 포함할 수 있다.19 and 20 , the holding unit 22 may selectively hold the electronic component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a. Accordingly, even when the test tray 20 is moved or rotated,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restrain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test tray 20 . The holding unit 22 may be switched to any one of a release state and a departure prevention state by the opening unit 300 . Here, the release state means a state that allows the seating and detachmen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ortion 21a by the opening unit 300,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state is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ortion 21a. means state. The holding unit 22 may include a holder 22a and a holder spring 22b.

홀더(22a)는 수용부(21a)에 수용된 전자부품을 선택적으로 홀딩할 수 있다. 이러한 홀더(22a)는 일 예로, 힌지로 연결되어 피봇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홀더(22a)에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홀더 스프링(22b)이 가하는 힘에 의해 피봇을 중심으로 홀더(22a)는 트레이 지지부(21b)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전자부품은 홀더(22a)에 의해 홀딩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1a)에 전자부품이 안착된 상태라면 전자부품의 일측은 홀더(22a)에 의해 지지되고, 전자부품의 타측은 트레이 지지부(21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holder 22a may selectively hold the electronic component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21a. The holder 22a may be configured to pivot by being connected to, for example, a hinge. In other words, when no force is applied to the holder 22a, the holder 22a can rotat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tray support 21b about the pivot by the force applied by the holder spring 22b, and The part can be held by the holder 22a. In addition, i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in the receiving unit 21a, one sid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supported by the holder 22a, and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ing unit 21b.

홀더 스프링(22b)은 홀더(22a)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홀더 스프링(22b)은 토션스프링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다른 주지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The holder spring 22b may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holder 22a. 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older spring 22b has been shown to be a torsion spring,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other well-known springs may be us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1)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하여 서술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test handler 1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핸드(200)는 고객 트레이(T1, T2)에 적재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을 테이블(100)에 적재시킬 수 있다. 테이블(100)은 복수 개의 전자부품을 테스트 트레이(20)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핸드(200)는 테이블(100)에 적재된 복수 개의 전자부품을 테스트 트레이(20)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테스트 트레이(20)의 상측에서 파지 해제할 수 있다.The hand 200 may load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customer trays T1 and T2 on the table 100 . The table 100 may transfer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toward the test tray 20 . In addition, the hand 200 may move the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loaded on the table 100 to the upper side of the test tray 20 , and release the grip from the upper side of the test tray 20 .

개방 유닛(300)은 테스트 트레이(20)의 수용부(21a)가 해제 상태에 놓이도록 테스트 트레이(20)를 향하여 상승할 수 있다. 이때, 개방 유닛(300)의 개방돌기(312)가 홀더(22a)를 회전시킴으로써 수용부(21a)는 해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개방 유닛(300)이 테스트 트레이(20)에 밀착되었을 때, 완충 지지부재(322)는 수용부(21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opening unit 300 may rise toward the test tray 20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21a of the test tray 20 is in the released state. At this time, as the opening protrusion 312 of the opening unit 300 rotates the holder 22a, the receiving portion 21a may be in a released state. Also, when the opening unit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est tray 20 ,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may b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art 21a.

핸드(200)가 수용부(21a)의 상측에서 전자부품을 파지 해제하면 전자부품은 하강하여 완충 지지부재(322)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개방 유닛(300)이 하강하면 완충 지지부재(322)에 안착된 전자부품은 트레이 지지부(21b)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홀더(22a)는 홀더 스프링(22b)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이탈방지 상태가 될 수 있다.When the hand 200 releases the grip of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upp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21a,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descend and be seated on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 In addition, when the opening unit 300 descends, the electronic component seated on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may be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portion 21b. At this time, the holder 22a may be in a separation prevention state by rotating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holder spring 22b.

이처럼, 핸드(200)가 수용부(21a)의 상측에서 전자부품을 파지 해제할 때, 완충 지지부재(322)가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완충 지지부재(322)와 전자부품 사이의 충격은 완충 지지부재(322)에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As such, when the hand 200 releases the grip of the electronic component from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21a, the shock between the cushioning support member 322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is provided by the cushioning support member 322 having an elastic force. (322) can be absorbed. Accordingly,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is minimized.

또한, 완충 지지부재(322)의 일단부가 트레이 지지부(21b) 보다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전자부품이 하강할 때, 완충 지지부재(322)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후, 완충 지지부재(322)가 하강하면 완충 지지부재(322)에 안착된 전자부품은 트레이 지지부(21b)에 지지되며, 이때 전자부품은 충격없이 트레이 지지부(21b)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one end of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is disposed above the tray support portion 21b,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descends, it can be seated on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and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minimized. have. Thereafter, when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descends, the electronic component seated on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is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unit 21b, and in this case,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portion 21b without impact.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n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한편,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르면, 테스트 트레이(20)는 트레이 지지부(21b)가 생략되고, 트레이 지지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1 내지 도 23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8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한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i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tray 20 may include the tray support member 23 , in which the tray support part 21b is omitted. Hereinafter,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21 to 23 . In describing the eighth embodiment, the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description and reference numerals will refe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트레이 지지부재(23)는 수용부(21a) 내측에 놓인 전자부품(2)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지지부재(23)는 전자부품의 복수 개의 단자(2a)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 지지부재(23)는 트레이 프레임(21)의 하측에서 트레이 프레임(21)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지지부재(23)에는 전자부품의 단자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개방홀(23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이 트레이 지지부재(23)에 지지되었을 때, 전자부품의 복수 개의 단자는 복수 개의 개방홀(23a)을 통하여 하방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The tray support member 23 may support the electronic component 2 plac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21a. For example, the tray support member 23 may support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2a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tray support member 23 may be supported by the tray frame 21 from the lower side of the tray frame 21 . In addition, a plurality of open holes 23a through which terminals of electronic components may pass may be formed in the tray support member 23 .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23 ,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exposed downwardly through the plurality of open holes 23a.

홀딩 유닛(22)은 트레이 지지부재(23)에 지지된 전자부품이 트레이 지지부재(2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olding unit 22 may prevent the electronic component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2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ray support member 23 .

완충 지지부재(322)는 트레이 지지부재(23) 및 트레이 지지부재(23)에 지지된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지지부재(322)는 트레이 지지부재(23)를 향하여 전자부품이 낙하하거나 전자부품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때, 트레이 지지부재(23)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완충 지지부재(322)는 트레이 지지부재(23)의 저면에 밀착되어 트레이 지지부재(23)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완충 지지부재(322)는 전자부품이 트레이 지지부재(23)에 안착될 때,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개방홀(23a)을 통해 노출된 전자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may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tray support member 23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23 . For example,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may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tray support member 23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tray support member 23 or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That is,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23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tray support member (23). In addition,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may support the electronic component exposed through the open hole 23a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tray support member 23 .

이하에서는 도 2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핸들러 제어 방법(S10)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test handler control method S10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 to 26 .

테스트 핸들러 제어 방법(S10)은 전자부품을 테스트 트레이(20)에 로딩하거나 언로딩하여 전자부품의 테스트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핸들러 제어 방법(S10)은 이동 단계(S100), 상승 단계(S200), 개방 단계(S300), 파지해제 단계(S400), 파지 단계(S500), 충격흡수 단계(S600) 및 하강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st handler control method S10 may support testing of the electronic component by loading or unloading the electronic component into the test tray 20 . This test handler control method (S10) is a moving step (S100), a rising step (S200), an opening step (S300), a grip release step (S400), a gripping step (S500), a shock absorption step (S600) and a descending step ( S700) may be included.

이동 단계(S100)는 전자부품을 파지한 로딩 장치(10)가 전자부품이 안착되지 않은 테스트 트레이(20)의 수용부(21a) 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부품은 수용부(21a)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계(S110)에서는 언로딩 장치(40)가 테스트가 완료된 테스트 트레이(20)의 트레이 지지부재(23)에 안착된 전자부품을 파지하기 위하여 수용부(21a) 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the moving step ( S100 ), the loading device 10 holding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move onto the receiving part 21a of the test tray 20 o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is not seated. In this case,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located above the accommodating part 21a. In addition, in the moving step ( S110 ), the unloading device 40 may move onto the receiving part 21a to hold the electronic component seated on the tray support member 23 of the test tray 20 , which has been tested.

도 22를 참조하면, 상승 단계(S200)에서는 테스트 트레이(20)에 접근하기 위하여 개방 유닛(300)이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승 단계(S200)에서는 트레이 지지부재(23)의 저면에 완충 지지부재(322)가 밀착되도록 개방유닛 바디(3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트레이 지지부재(23)에 전자부품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승 단계(S200)가 수행될 경우 전자부품은 트레이 지지부재(23)에 지지되지 않고, 완충 지지부재(322)에 지지된 채로 상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in the lifting step S200 , the opening unit 300 may rise to access the test tray 20 . In addition, in the lifting step (S200), the opening unit body 310 may be raised so that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23 . On the other hand, when the lifting step (S200) is performed while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23, the electronic component is not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23, but is rais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can do.

개방 단계(S300)에서는 트레이 지지부재(23)에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도록 홀딩 유닛(22)을 개방시킬 수 있다. 즉, 홀딩 유닛(22)은 해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 단계(S300)에서는 홀더(22a)가 회전하도록 개방돌기(312)가 홀더(22a)를 가압할 수 있다.In the opening step ( S300 ), the holding unit 22 may be opened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eated on the tray support member 23 . That is, the holding unit 22 can be placed in the unlocked state. For example, in the opening step ( S300 ), the opening protrusion 312 may press the holder 22a so that the holder 22a rotates.

파지해제 단계(S400)에서는 수용부(21a)를 향하여 전자부품이 낙하하도록 로딩 장치(10)가 전자부품을 파지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파지해제 단계(S400)는 트레이 지지부재(23)에 전자부품이 지지되지 않은 경우 수행될 수 있다. In the grip release step S400 , the loading device 10 may release the electronic componen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receiving part 21a. This grip release step ( S400 ) may be performed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not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23 .

파지 단계(S500)에서는 트레이 지지부재(23)에 지지된 전자부품을 언로딩 장치(40)가 파지할 수 있다. 이러한 파지 단계(S500)는 트레이 지지부재(23)에 전자부품이 지지된 경우 수행될 수 있다.In the gripping step ( S500 ), the unloading device 40 may grip the electronic component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23 . This holding step (S500) may be performed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23 .

도 23을 참조하면, 충격흡수 단계(S500)에서는 전자부품이 트레이 지지부재(23)를 향하여 낙하할 때,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 단계(S500)에서는 트레이 지지부재(23)에 지지된 전자부품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때,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흡수 단계(S500)에서는 트레이 지지부재(23)에 형성된 개방홀(23a)을 통해 노출된 전자부품의 단자를 완충 지지부재(322)가 지지함으로써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 , in the shock absorbing step ( S500 ),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tray support member 23 , the shock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absorbed. Further, in the shock absorption step (S500),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23,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For example, in the shock absorption step ( S500 ), the shock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is absorbed by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supporting the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mponent exposed through the open hole 23a formed in the tray support member 23 . can do.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하강 단계(S600)에서는 트레이 지지부재(23)의 저면으로부터 완충 지지부재(322)가 이격되도록 개방유닛 바디(3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파지해제 단계(S400) 이후에 하강 단계(S600)가 수행되면, 개방유닛 바디(310)가 하강할 때, 전자부품의 복수 개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홀(23a)에 삽입될 수 있다.24 and 25 , in the lowering step S600 , the opening unit body 310 may be lowered so that the buffer support member 322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23 . In addition, if the lowering step S600 is performed after the grip release step S400, when the open unit body 310 is lowere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 hole 23a. .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specific embodiments,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the widest scope according to the basic idea disclosed herein.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a pattern of a shape not indicated by combining/substitut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also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테스트 핸들러 10: 로딩 장치
20: 테스트 트레이 30: 챔버
31: 소크 챔버 32: 테스트 챔버
33: 디소크 챔버 40: 언로딩 장치
50: 스택커 모듈 100: 테이블
1: test handler 10: loading device
20: test tray 30: chamber
31: soak chamber 32: test chamber
33: dissoak chamber 40: unloading device
50: stacker module 100: table

Claims (16)

전자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복수 개의 포켓 공간을 구비하는 포켓 프레임; 및
상기 전자부품이 안착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포켓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충격 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에 상기 전자부품이 안착되기 위해 상기 충격 흡수 부재를 향하여 상기 전자부품이 낙하할 때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포켓 프레임에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를 둘러싸도록 복수 개의 벽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테스트 핸들러.
a pocket frame having a plurality of pocket spaces to accommodate electronic components; and
and a plurality of shock absorbing member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pocket spaces to seat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absorb a shock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shock absorbing member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In the pocket frame, a plurality of wall portions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to surrou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test hand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제1 충격 흡수 부재, 및
상기 제1 충격 흡수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충격 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제1 충격 흡수 부재 보다 작은 표면 마찰 계수를 가지며,
상기 제1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제2 충격 흡수 부재 보다 높은 탄성력을 가지는,
테스트 핸들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shock absorbing member,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nd
and a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disposed above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The second shock-absorbing member has a surface friction coefficient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hock-absorbing member,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has a higher elastic force tha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test handler.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벽부는, 상기 벽부와 상기 충격 흡수 부재 사이에 이격 공간이 제공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 부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충격 흡수 부재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전자부품의 일부는 상기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포켓 프레임에는 상기 포켓 프레임을 관통하는 포켓 개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에는 상기 포켓 개방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충격 흡수 부재를 관통하는 완충 개방홀이 형성된,
테스트 핸들러.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the wall part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hock absorbing member so as to provide a spaced space between the wall part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a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disposed in the separation space,
A pocket opening hole passing through the pocket frame is formed in the pocket frame,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formed with a buffer opening hole penetrat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to correspond to the pocket opening hole,
test handl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제1 충격 흡수 부재, 및
상기 제1 충격 흡수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충격 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개방홀은,
상기 포켓 개방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충격 흡수 부재에 형성되는 제1 완충 개방홀, 및
상기 제1 완충 개방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충격 흡수 부재에 형성되는 제2 완충 개방홀을 포함하는,
테스트 핸들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hock absorbing member,
a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and
and a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disposed above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The buffer opening hole is
a first buffer opening hole formed in the first shock absorbing member to correspond to the pocket opening hole, and
Comprising a second buffer open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shock absorbing member to correspond to the first buffer opening hole,
test handler.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포켓 공간이 형성된 포켓 프레임; 및
상기 포켓 프레임과 상기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충격 흡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에 상기 전자부품이 안착되기 위해 상기 충격 흡수 부재를 향하여 상기 전자부품이 낙하할 때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테스트 핸들러.
body part;
a pocket fram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nd having a pocket space in which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disposed; and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pocket frame and the body portion o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eated,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absorb a shock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shock absorbing member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test handl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프레임에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어느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포켓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다른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바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일측이 상기 포켓 홈부에 수용되고, 타측이 상기 바디 홈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포켓 프레임 및 상기 바디부에 고정 지지되는,
테스트 핸들러.
6. The method of claim 5,
A pocket groove portion in which any part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pocket frame,
A body groove portion in which another part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one side is accommodated in the pocket groove portion, the other side is accommodated in the body groove portion is fixed and supported in the pocket frame and the body portion,
test handler.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포켓 공간이 형성된 포켓 프레임; 및
상기 포켓 프레임과 상기 바디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지지 부재에 전자부품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 중 일부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개방홀 및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 중 다른 일부가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방홀의 둘레를 따라서 제공되는 복수 개의 제2 개방홀이 형성된,
테스트 핸들러.
body part;
a pocket fram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nd having a pocket space in which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disposed; and
and a support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pocket frame and the body portion o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eated;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support member, a first opening hole through which some of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pass through the support member and another portion of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pass through, and the first opening A plurality of second open hole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le are formed,
test handl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가 상기 바디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포켓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포켓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포켓 프레임과 상기 바디부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포켓 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포켓 프레임에 고정 지지되는,
테스트 핸들러.
8. The method of claim 7,
A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on the body portion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pocket groove into which the support member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pocket frame,
The support member may be fixedly supported to the pocket frame by inse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protrusion into the pocket groove when the pocket frame and the body portion are coupled.
test handl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프레임에는, 제1 고정요소가 제공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제1 고정요소와 맞물리기 위한 제2 고정요소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제2 고정요소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며, 상기 제1 고정요소 및 제2 고정요소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기 위한 지지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요소 및 상기 제2 고정요소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정요소 및 상기 제2 고정요소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지지 고정홀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바디부에 고정시키도록 제공되는,
테스트 핸들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cket frame is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element,
A second fixing element for engaging with the first fixing element is formed on the body portion,
A support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element and for engaging any one of the first fixing element and the second fixing element;
Any one of the first fixing element and the second fixing element is provided to fix the support member to the body portion by engaging the other one of the first fixing element and the second fixing element and the support fixing hole felled,
test handler.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트레이 프레임과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수용부에 지지시킬 수 있는 홀딩 유닛을 포함하는 테스트 트레이; 및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수 있는 개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유닛은,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접근함으로써,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수 있는 개방유닛 바디; 및
상기 개방유닛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개방유닛 바디가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는 완충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내측에 배치된 상기 완충 지지부재는, 상기 완충 지지부재에 상기 전자부품이 안착되기 위해 상기 완충 지지부재를 향하여 상기 전자부품이 낙하할 때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는, 상기 개방 유닛이 상기 홀딩 유닛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상기 전자부품을 지지할 수 있는 트레이 지지부가 제공되고,
상기 완충 지지부재의 상면은, 상기 완충 지지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트레이 지지부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테스트 핸들러.
a test tray comprising: a tray frame having a receiving portion o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can be mounted; and
and an opening unit capable of pressing the holding uni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The opening unit is
an open unit body capable of pressing the holding unit by accessing the test tray; and
It is supported on the open unit body, and when the open unit body presses the holding unit, at least a part of the buffer support member that can b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art,
The cushioning support member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is an elastic material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cushioning support member in order for the electronic component to be seated on the cushioning support member. is formed with
When the opening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holding unit, the tray frame is provided with a tray support capable of suppor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disposed in the receiving unit,
The upper surface of the buffer support member is locat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tray support when the buffer support member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art,
test handler.
전자부품이 안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트레이 프레임과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수용부에 지지시킬 수 있는 홀딩 유닛을 포함하는 테스트 트레이; 및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수 있는 개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유닛은,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접근함으로써,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수 있는 개방유닛 바디; 및
상기 개방유닛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개방유닛 바디가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는 완충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내측에 배치된 상기 완충 지지부재는, 상기 완충 지지부재에 안착된 전자부품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프레임에는, 상기 개방 유닛이 상기 홀딩 유닛으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상기 전자부품을 지지할 수 있는 트레이 지지부가 제공되고,
상기 완충 지지부재의 상면은, 상기 완충 지지부재가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트레이 지지부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테스트 핸들러.
a test tray comprising: a tray frame having a receiving portion o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can be mounted; and
and an opening unit capable of pressing the holding uni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The opening unit is
an open unit body capable of pressing the holding unit by accessing the test tray; and
It is supported on the open unit body, and when the open unit body presses the holding unit, at least a part of the buffer support member that can b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art,
The buffer support member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art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part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seated on the buffer support member,
When the opening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holding unit, the tray frame is provided with a tray support capable of suppor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disposed in the receiving unit,
The upper surface of the buffer support member is locat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tray support when the buffer support member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art,
test handler.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트레이 프레임, 상기 수용부에 배치된 전자부품의 복수 개의 단자 사이를 지지하기 위한 트레이 지지부재, 및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지지시킬 수 있는 홀딩 유닛을 포함하는 테스트 트레이; 및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수 있는 개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방 유닛은,
상기 테스트 트레이에 접근함으로써,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할 수 있는 개방유닛 바디; 및
상기 개방유닛 바디에 지지되며, 탄성 재료로 형성된 완충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는,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전자부품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가 관통할 수 있는 개방홀이 형성된
테스트 핸들러.
A tray frame in which an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can be placed is formed, a tray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between a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does not depart from the accommodating part a test tray including a holding unit capable of being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and
and an opening unit capable of pressing the holding uni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The opening unit is
an open unit body capable of pressing the holding unit by accessing the test tray; and
It is supported on the open unit body and includes a cushioning support member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n the tray support member,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is seated on the tray support member, an open hole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pass is formed
test handl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지지부재는,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를 향하여 상기 전자부품이 낙하하거나,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안착된 전자부품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 및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개방홀을 통해 노출된 전자부품을 지지하는,
테스트 핸들러.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buffer support member,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tray support member or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seated on the tray support member, the tray support member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tray support member and the electronic component. Adhering to the bottom surface and suppor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exposed through the open hole,
test handler.
로딩 장치가 전자부품을 파지한 채로 트레이 프레임의 수용부 상으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상기 트레이 프레임의 하측에 지지된 트레이 지지부재의 저면에 개방유닛 바디에 지지된 완충 지지부재가 밀착되도록 상기 개방유닛 바디를 상승시키는 상승 단계;
상기 수용부를 향하여 전자부품이 낙하하도록 상기 로딩 장치가 상기 전자부품을 파지해제 하는 파지해제 단계;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를 향하여 낙하할 때,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형성된 개방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완충 지지부재가 지지하는 충격흡수 단계;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완충 지지부재가 이격되도록 상기 개방유닛 바디를 하강시키는 하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강 단계에서는,
상기 개방유닛 바디가 하강할 때, 상기 전자부품의 복수 개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방홀에 삽입되는,
테스트 핸들러 제어 방법.
A moving step of moving the loading device onto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tray frame while holding the electronic component;
a lifting step of raising the opening unit body so that the buffer support member supported on the opening unit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support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y frame;
a grip release step in which the loading device releases the grip of the electronic componen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accommodating part;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falls toward the tray support member, the shock absorbing step of suppor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exposed through the open hole formed in the tray support member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by the cushioning support member ;
A lowering step of lowering the opening unit body so that the buffer support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In the descending step,
When the opening unit body descends,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re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How to control the test handler.
언로딩 장치가 트레이 프레임의 수용부 내의 전자부품을 파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 상으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
상기 트레이 프레임의 하측에 지지된 트레이 지지부재의 저면에 개방유닛 바디에 지지된 완충 지지부재가 밀착되도록 상기 개방유닛 바디를 상승시키는 상승 단계;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지지된 전자부품을 상기 언로딩 장치가 파지하는 파지 단계;
상기 파지 단계에서 상기 전자부품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전자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형성된 개방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완충 지지부재가 지지하는 충격흡수 단계;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완충 지지부재가 이격되도록 상기 개방유닛 바디를 하강시키는 하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 단계에서는,
상기 개방유닛 바디가 상승할 때,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방홀에 삽입된 채로 상승하는,
테스트 핸들러 제어 방법.
A moving step of moving the unloading device onto the receiving unit to grip the electronic components in the receiving unit of the tray frame;
a lifting step of raising the opening unit body so that the buffer support member supported on the opening unit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support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y frame;
a holding step of the unloading device holding the electronic component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gripping step, the shock absorption support member supports the electronic component exposed through an open hole formed in the tray support member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step;
A lowering step of lowering the opening unit body so that the buffer support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In the rising step,
When the opening unit body rises, at least some of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ris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How to control the test handler.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에 지지되거나 상기 트레이 지지부재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홀딩 유닛을 개방시키는 개방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승단계는,
상기 개방유닛 바디가 상기 홀딩 유닛을 가압하도록 상기 개방유닛 바디를 소정 위치로 상승시키는,
테스트 핸들러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4 or 15,
An opening step of opening the holding unit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support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or separated from the tray support member;
The ascending step is
Elevating the opening unit body to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opening unit body presses the holding unit,
How to control the test handler.
KR1020210041980A 2020-05-25 2021-03-31 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145657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564855.7A CN113720563A (en) 2020-05-25 2021-05-24 Test proces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112120997A TW202342954A (en) 2020-05-25 2021-05-25 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112120996A TW202342956A (en) 2020-05-25 2021-05-25 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110118864A TWI807327B (en) 2020-05-25 2021-05-25 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00 2020-05-25
KR20200062100 2020-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657A true KR20210145657A (en) 2021-12-02

Family

ID=7886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980A KR20210145657A (en) 2020-05-25 2021-03-31 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565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7162B2 (en) Unit for opening insert for test tray and method of mount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KR100839665B1 (en) An apparatus for fixing and releasing electronic element and a handler comprising the same
US6339321B1 (en) Electronic device tray electronic device tray, transpor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testing apparatus
US725870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devices on carriers
US7429868B2 (en) Socket assembly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
US8079477B2 (en) Wafer container with cushion sheets
JPH08295392A (en) Tray unit for semiconductor element test
TWI382489B (en) Carrier for carrying a packaged chip and handler equipped with the carrier
KR19990088192A (en) A tray transferring arm, a test equipment of electronic parts and a method for carrying a tray
KR20180055452A (en) Apparatus for opening latches of insert assemblies
KR20210145657A (en) 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32952B1 (en) Method for unloading semiconductor device in testhandler
TWI807327B (en) Test hand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011462A (en) Carrier board opener, insert of carrier board and carrier board for inspection equipment of electric device
JP4041594B2 (en) Component testing apparatus and chamber opening / closing method
US20100051504A1 (en) Wafer Container with Integrated Wafer Restraint Module
KR100194325B1 (en) Device transfer method of horizontal handler
KR100980210B1 (en) Apparatus of transferring a test tray and Test Handler using the same
CN210709456U (en) Carrying device
KR20210112944A (en) Test handler for electronic component
KR20210131543A (en) Test handler for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orninc component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KR100901983B1 (en) Apparatus of transferring a test tray and Test Handler using the same
KR100901974B1 (en) Apparatus of transferring a test tray and Test Handler using the same
KR20190056840A (en) Devic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Part of Magazine
KR100270782B1 (en) Device for unloading semiconductor device according to grade in horizontal hand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