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650A -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각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각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650A
KR20210145650A KR1020200169340A KR20200169340A KR20210145650A KR 20210145650 A KR20210145650 A KR 20210145650A KR 1020200169340 A KR1020200169340 A KR 1020200169340A KR 20200169340 A KR20200169340 A KR 20200169340A KR 20210145650 A KR20210145650 A KR 20210145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user terminal
facility
manag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국
Original Assignee
김원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국 filed Critical 김원국
Priority to KR102020016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5650A/ko
Publication of KR20210145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다수 사용자가 출입하는 시설의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상기 시스템은,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시설에 입장할 때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관하여 미리 준비된 소정의 식별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시설 관리자 장치와,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부터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함 -의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 하여금,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소정 일자 또는 기간에 획득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요청에 응답한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부터 상기 소정 일자 또는 기간에 획득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를 수신-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는, 상기 소정 일자 또는 기간에 상기 시설에 입장한 각 사용자의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및 저장한 상기 각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식별 정보는, 암호화된 상태로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암호화된 상태 그대로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됨 -하며,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상태로 수신된 상기 각 식별 정보를, 미리 준비된 복호화키- 상기 복호화키는 미리 정해진 권한을 갖는 자에 의해 비밀리에 관리됨 -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도록 동작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각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A SYSTEM FOR MANAGING ACCESS USER IDENTIFICATIONS WITH RESPECT TO FACILITIES ACCESSED BY MULTI USERS}
본 개시는,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예컨대 공공시설이나 상업시설 등 다양한 다중 이용 시설 등)과 관련하여, 그러한 각 시설에 출입하는 사용자들의 식별 정보를 디지털 방식으로 편리하게 수집하고, 방역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한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그 수집된 정보가 적시에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사용자 각자의 개인 정보가 불법하게 유출 및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부득이하게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정보 제공 동의를 전제로 신속하게 그러한 정보가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점점 더 빈번하게 국가적이고 전세계적인 감염병의 유행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예방약이나 치료약이 미처 개발되지 않은 신종 형태의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감염병의 대유행은 전세계 사람들을 감염 공포에 떨게하고, 우리 사회와 경제 전체에 대혼란을 야기한다. 감염병 유행시에는, 그러한 감염병의 유행을 방지 또는 저지하려는 방역 조치가 매우 중요한데, 그러한 방역 조치 중에서도, 감염자의 이동 동선 및 그에 따른 접촉자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감염자 및 감염 위험자(감염자와의 접촉 등에 노출된 적이 있어서, 아직 감염은 아니지만 잠복기 상태에 있을 수 있는 감염 가능성이 있는 자)를 적시에 격리조치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그런데, 수 많은 사람들이, 누구라도 들어갈 수 있는 여러 장소/시설들을 방문하고, 또 수 많은 사람들을 만나기도 하는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감염자 및 감염 위험자(및 이들의 이동 동선 등)를 찾아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예컨대, 어떤 감염자가 특정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감염자의 이동 경로에 대한 기억은 불충분할 수 있고(게다가 감염자가 방역 당국의 이동 동선 파악에 협조적이지 않을수도 있고), 감염자의 카드 사용 기록이나 휴대 단말의 기지국 접속 이력 등 보조적 수단을 이용하는 것은 시간 소모적일 뿐 아니라 그 자체로서도 불충분한 면이 많아서, 방역 당국으로서는 감염자의 이동 동선(및 접촉자)를 찾아내는 것에 종종 큰 어려움을 겪는다. 아울러, 감염자의 이동 동선을 특정했다고 하더라도, 그 이동 동선 상의 각 시설에 방문한 사람들, 즉 잠재적 접촉자들을 찾아내는 것은 더 큰 노력을 요구하는바,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에 필수적인 조치의 신속성을 잃을 가능성이 높다.
최근,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의 대유행과 관련하여, 방역 당국(예컨대, 질병관리본부)은, 특정 감염자의 이동 동선 상에 있는 장소들 중, 불특정 다수 사용자가 출입하는 시설(예컨대, 병원이나 공공시설, 클럽이나 유흥업소 등 각종 상업시설 등)과 관련하여, 그러한 시설에서 감염자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는 감염 위험자들을 찾아내는데 큰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그에 대응하여, 각 시설에서, 출입자의 이름, 연락처 등을 기록하게 하는 등 여러 대응조치들을 내놓고 있으나, 이러한 조치들은 다소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함부로 외부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아쉬운 면이 많다.
따라서, 본 개시는,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각각의 시설별로, 각 출입 사용자에 관한 식별 정보를 디지털 방식으로 편리하게 수집 및 보관하도록 하되, 개인 정보의 유출 및 악용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그러한 정보를 수집 및 보관하게 하고, 아울러 방역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한 특별한 목적이 있을 때 한하여 그 각 시설별로 수집 및 보관된 식별 정보가 특별한 권한이 있는 관리자(예컨대 방역 당국 관리자)에 의해 재수집 및 적시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일 특징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다수 사용자가 출입하는 시설의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상기 시스템은,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시설에 입장할 때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관하여 미리 준비된 소정의 식별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시설 관리자 장치와,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부터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함 -의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 하여금,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소정 일자 또는 기간에 획득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요청에 응답한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부터 상기 소정 일자 또는 기간에 획득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를 수신-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는, 상기 소정 일자 또는 기간에 상기 시설에 입장한 각 사용자의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및 저장한 상기 각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식별 정보는, 암호화된 상태로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암호화된 상태 그대로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됨 -하며,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상태로 수신된 상기 각 식별 정보를, 미리 준비된 복호화키- 상기 복호화키는 미리 정해진 권한을 갖는 자에 의해 비밀리에 관리됨 -를 이용하여 복호화하도록 동작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복호화된 상기 각 식별 정보에 연관된 상기 각 사용자의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각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가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통지를 전송하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복호화된 상기 각 식별 정보에 연관된 상기 각 사용자의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 상기 각 사용자 단말 상에 저장된, 상기 시설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촉자 정보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한 상기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각 사용자 단말 상에 저장된, 상기 시설 내에서의 상기 접촉자 정보- 상기 접촉자 정보는 암호화된 상태로 전송됨 -를 수신하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소정 일자 또는 상기 기간에 획득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의 제공에 대한 상기 요청을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가 상기 소정 일자 또는 상기 기간에 획득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에 소정의 해시함수를 적용하여 획득 및 저장하고 있었던 제1 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부터 수신 및 저장하고,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부터 상기 소정 일자 또는 상기 기간에 획득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상기 소정 일자 또는 상기 기간에 획득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에 대해 상기 소정의 해시함수를 적용하고 그로부터 획득된 제2 결과를, 상기 제1 결과와 비교하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시설에 연관된 비상 상황 발생을 알리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상기 비상 상황 발생을 알리는 알람을 제공하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상황은, 예를 들어, 상기 시설의 출입자인 특정 감염병 확진자가 나와서, 시설을 일시적으로 폐쇄할 필요가 있는 상황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상기 시스템은,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시설에 입장할 때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관하여 미리 준비된 소정의 식별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시설 관리자 장치와,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부터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함 -의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하여금,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소정 일자 또는 기간에 획득된 상기 시설에 관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소정 일자 또는 상기 기간에 획득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를 전송-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는, 상기 소정 일자 또는 상기 기간에 상기 시설에 입장한 각 사용자의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및 저장한 상기 각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식별 정보는, 암호화된 상태로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 상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암호화된 상태로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됨 -하며,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에 저장된 이후 소정 기한이 경과된 상기 각 식별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동작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소정 일자 또는 상기 기간에 획득된 상기 시설에 관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소정 일자 또는 상기 기간에 획득된 상기 시설에 관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에 대해 소정의 해시함수를 적용한 제1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는,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시설에 입장할 때,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도록 동작하되,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의 수신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가 QR 코드로서 제시되고, 상기 제시된 QR 코드를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가 판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는,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시설에 입장할 때,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도록 동작하되, 상기 식별 정보의 수신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직접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가 전송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는,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시설에 입장할 때,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도록 동작하되,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에 의한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의 수신은,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의 제공에 관한 동의의 의사 확인이 수행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다수 사용자가 출입하는 복수의 시설 각각의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각 사용자 단말, 상기 복수의 시설 각각의 각 시설 관리자 장치, 및 관리 서버를 포함함 -의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에 관한 소정의 식별 정보를 생성 및 저장-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생성 및 저장되는 상기 식별 정보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되어 생성 및 저장됨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시설 중 임의의 시설에 입장할 때,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또는 자동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 상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시설의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제공하는데 동의하는지 여부를 묻는 표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시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의 제공 동의의 표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전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암호화된 상태로 전달됨 - 가능하게 하도록 동작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설에 입장한 후 퇴장할 때까지 상기 시설 안에 있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개입 없이, 소정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다른 사용자 단말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정보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의 고유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시설 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고유 정보 및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및 저장되는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의 상기 고유 정보는 모두 암호화된 상태로 제공 또는 수신 및 저장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고유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의 상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고유 식별번호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위치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해 검출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설에서 퇴장하였음을 확인하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설에 입장한 후 퇴장할 때까지 상기 시설 안에 있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원 오프 기능이 차단되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시설 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및 저장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의 상기 고유 정보를, 상기 저장 이후 소정의 기간 경과 후에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전달된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수집되었음을 알리는 통지 또는 소정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시설 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및 저장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의 상기 고유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 제공하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위치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해 검출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저장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전달된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수집되었음을 알리는 통지 또는 소정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이동 경로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한 상기 사용자의 제공 동의를 조건으로,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로 제공하도록 동작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특정 시설에 방문한 각 개인 및 그러한 각 개인의 접촉자 등을 파악해야 할 긴급하고 중대한 필요가 있을 때(예컨대, 감염병 유행시 감염자의 방문 시설 및 접촉자 등을 파악해야 할 때), 신속하고 편리하게 그러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고, 이로써 방역에서 가장 중요한 신속한 대응 조치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개인 정보 보호법에 의한 각 개인의 사생활 정보의 보호라는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감염병 유행시 신속한 방역이라고 하는 공공의 이익 보호가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감염병 유행 예방 및 저지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고, 감염병 유행에 따른 사회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복수의 시설 각각의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자 장치(120)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복수의 시설 각각의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100)의, 사용자 단말(110), 시설 관리자 장치(120), 및 관리 서버(130) 간의 정보 송수신에 의한 동작 흐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또는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복수의 시설 각각의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100)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출입자 식별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복수의 시설 관리자 장치(120), 관리 서버(130), 및 통신망(140)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 각각은, 불특정 사용자가 각각 보유한 휴대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 각각은, 주로 각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 태블릿, 랩탑 등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 다양한 형태의 통신 단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3개의 사용자 단말(11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자 식별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더 많거나 적은 수의 사용자 단말(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단말(110)은 각기 같거나 다른 유형의 휴대 통신 단말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 해당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 예컨대 사용자 이름, 주소, 전화번호, 생년월일(또는 주민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각종 식별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각종 식별 정보는, 개인 정보 보호법에 따라 비식별화된 후에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사용자는, 예컨대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후술하는 관리 서버(130)(또는 도시되지 않은 기타 다른 서버)로부터 소정의 방역 관리 앱을 수신 및 설치하고, 해당 앱을 통해서 전술한 암호화된 식별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방역 관리 앱을 수신 및 설치하는 과정에서, 각 사용자는 본인에 관한 각종 식별 정보를 입력하여 본인 인증의 절차를 거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 상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소정의 권한을 가진 자(예컨대, 감염병 예방 및 방역 등의 공익적 목적에 의해 개인 정보를 수집 및 활용할 수 있는 권한을 국가로부터 부여받은 자, 예를 들어 후술하는 관리 서버(130)의 관리자 등)에 의해 관리되는 복호화 프로토콜 및 복호화키를 통해서만 해독될 수 있을 뿐, 그러한 복호화 프로토콜 및 복호화키에 의한 복호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누구도 그 정보를 해독하여 확인하지 못할 수 있다(이로써 사용자 단말(110) 상에 저장된 개인 식별 정보가, 사용자 단말(110)에 접근한 임의의 자에 의해 무단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해(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해당 단말(110)이 소정의 위치에 있음을 탐지한 경우에 자동으로) 방역 관리 앱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 상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예컨대 QR 코드 등의 시각적 판독가능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시될 수 있으며, 다만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제시된 사용자 식별 정보는, (QR 코드 판독 기능을 갖춘) 시설 관리자 장치(120)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 상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110)이 시설 관리자 장치(120) 중 하나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에, 사용자의 직접적인 개입(예컨대 앱 실행 등의 조작 등) 없이, NFC 등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다양한 방식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의 사용자 식별 정보의 전달/판독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한 사용자의 명시적 정보 제공 동의를 전제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예컨대, 동의 확인 버튼의 클릭 등).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임의의 시설 내에 있는 동안, 그 시설 내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110)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사이에서. 임의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간에 각자 저장하고 있는 고유한 정보를 서로 교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다른 사용자 단말과의 고유 정보의 교환 및 저장은, 사용자의 별다른 개입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과 다른 사용자 단말 간에 교환되는 고유 정보는, 각 단말이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하고 있는 전술한 각 식별 정보일 수도 있고, 그와 달리 각 단말에 할당된 고유 정보(예컨대, 각 단말의 맥어드레스 등)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 상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 단말(110)에 근접한 다른 사용자 단말(110)의 고유 정보는,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고, 저장 시점부터 소정의 기한(예컨대, 감염병 잠복기를 고려한 소정의 기간 등)이 경과한 후에는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 상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 단말(110)에 근접한 다른 사용자 단말(110)의 고유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130)의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망(140)을 통해서, 관리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사용자 단말(110)이 특정 시설에 입장 한 후 퇴장하기 전 해당 시설 내에 머무르는 동안, 사용자 단말(110)의 전원 오프가 차단되도록 하여, 사용자 단말(110)이 내부에서 접촉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110)과 고유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 각각은, 각 시설의 운영자 또는 관리자(예컨대, 공공시설의 경우 해당 시설 출입자 관리를 담당하는 직원, 상업시설의 경우 상업시설 운영주나 출입 관리자 등)가 보유한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는, 각 시설 관리자가 보유한 데스크탑, 랩탑, PDA, 스마트폰, 휴대용 통신 단말 등일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도면에서는, 3개의 시설 관리자 장치(12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자 식별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더 많거나 적은 수의 시설 관리자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시설 관리자 장치(120)은 각기 같거나 다른 유형의 단말일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 각각은, 해당 시설 관리자 장치(120)에 근접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그 사용자 단말(110) 상의 식별 정보를 판독/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는, 예컨대 QR 코드 판독 기능을 갖춘 판독 장치로서, 해당 시설에 입장하려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QR 코드 형태로 제시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는, 예컨대 사용자 단말(11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시설 관리자 장치(120)에 근접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는, 해당 시설에 입장하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판독/수신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암호화된 상태 그대로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는, 각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판독/수신하여 저장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그 저장 시점부터 소정의 기한이 경과한 후에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 상에 저장된, 각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130)의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망(140)을 통해서, 관리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는, 소정 시설의 출입 게이트 장치(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시설의 출입구에는, 해당 시설에 입장하려는 사용자가 통과해야 하는 출입 게이트 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시설 관리자 장치(120)가 그러한 출입 게이트 장치의 일 부분으로서 포함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출입 게이트 장치는, 방역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컨대 출입자의 체온을 비접촉 방식(예컨대, 열영상 카메라 촬영 등)으로 측정 및 분석하는 체온 측정/분석 장치, 출입 사용자의 손, 신체, 의복 등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 장치(예컨대, 살균액 분무, 인체에 무해한 정도의 살균 가수 분사 등의 기능을 갖춘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시설 관리자 장치(120)가 이러한 방역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을 구비한 출입 게이트 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일 부품으로서 포함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서버(130)는, 출입자 식별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가 보유한, 통신 가능한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서버(130)는, 예컨대 국가 방역 관리를 주관하는 질병관리본부 등의 기관이 보유한 서버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서버(130)는, 감염병 예방 및 방역 등의 국가 공익적 목적에 따라 필요한 경우(예컨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등과 같은 감염병 유행시 확진자 및 접촉자의 동선 파악 및 관리가 필요한 경우 등)에, 통신망(140)을 통해, 각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 시설 관리자 장치(120)가 보관하고 있는 출입자에 관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예컨대 특정 감염병 유행시에 동선 관리가 필요한 확진자 및 해당 확진자의 방문 시설/일자가 파악된 경우, 관리자(예컨대, 질병관리본부장 등)는, 관리 서버(130)를 통해, 해당 확진자의 각 방문 시설의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 해당 일자(또는 해당 일자를 포함한 소정의 기간)에 대응하여 해당 시설 관리자 장치(120)에 저장된, 출입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요청을 보낸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부터, 요청한 출입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때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부터 관리 서버(130)로 전송되는 정보는 모두 암호화된 상태로 전송/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서버(130)는, 소정의 복호화키를 보관할 수 있으며, 각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부터 암호화된 상태로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해당 복호화키를 이용해서 복호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서버(130)는, 각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감염병 예방 및 방역 등의 특정한 공익적 목적을 위하여 수집 및 활용해야하므로, 그 이외의 목적에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가 누출 또는 악용되지 않도록, 전술한 복호화키는 특정 권한을 가진 자의 관리하에 비밀리에 유지/관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서버(130)는, 각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부터 수신되어 복호화키를 이용해서 복호화된 각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 후, 그 각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따라, 각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10)로, 그 해당 정보가 관리 서버(130)에 의해 수집되었음을 알리는 통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서버(130)는, 그러한 통지를, 통신망(140)을 통해, SMS, MMS, Instant Message 등 다양한 형태로써, 각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서버(130)는, 획득된 식별 정보에 따라, 각각의 대응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10)로, 해당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접촉 사용자 식별 정보(예컨대, 시설 내에서 근접 접촉한 다른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110)로 전달되어 그 사용자 단말(110) 상에 저장된 고유 정보들)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그 요청에 응답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그 접촉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40)은, 하나 이상의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40)은, 예컨대 NFC, 블루투스, Wi-Fi 등의 근거리 통신망, 및 LAN, WAN 등의 TCP/IP망, CDMA, OFDM, GSM 등을 비롯한 각종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은, 통신부(112), 입출력 인터페이스(114), 정보 저장부(116), 및 위치 센서(11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112)는,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이, 다른 각 사용자 단말(110), 각 시설 관리자 장치(130), 및 관리 서버(13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통신부(112)를 통해,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TCP/IP 프로토콜 등)에 따라, 관리 서버(130)에 액세스할 수 있고, 관리 서버(130)와 소정의 정보 송수신(예컨대, 방역 관리 앱 정보의 수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또한, 통신부(112)를 통하여,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NFC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등)에 따라, 각 시설 관리자 장치(120)와 통신(예컨대, 사용자 단말(110) 식별 정보의 제공 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또한, 통신부(112)를 통하여,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NFC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등)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110)에 근접한 다른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예컨대, 사용자 단말(110)들 간의 식별 정보 교환 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1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14)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터치 패드, 사용자의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소정의 조작 키/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14)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소정의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지 가능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생성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저장부(116)는, 소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 형태의 비휘발성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112)를 통하여 관리 서버(130)에 액세스하여 관리 서버(130)로부터 방역 관리 앱을 수신/설치할 수 있는데, 그 수신/설치된 앱 정보는 정보 저장부(116)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방역 관리 앱의 수신/설치 시에, 사용자 단말(110) 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예컨대, 사용자 이름, 주소, 전화번호, 생년월일, 주민번호 등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가 방역 관리 앱과 연동하여 정보 저장부(116)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식별 정보는, 소정의 암호화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암호화되어 저장된 사용자 특정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30) 상의 복호화키를 이용해서만 해독 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112)를 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10)에 근접한 다른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예컨대, 사용자 단말(110)들 간의 식별 정보 교환 등)할 수 있는데, 다른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등이 정보 저장부(116)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수신 및 저장되는 다른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식별 정보는,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암호화된 상태의 정보는 관리 서버(130) 상의 복호화키를 이용해서만 해독 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저장부(116)에 저장되는 다른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는, 소정의 기한이 경과된 후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 센서(118)는,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GPS 센서 등의 위치 센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위치 센서(118)를 통해, 해당 사용자 단말(110)의 이동 경로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이동 경로를 사용자 단말(11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집된 이동 경로는, 소정의 기한이 경과된 후에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관리자 장치(120)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는, 통신부(122), 정보 판독부(124), 정보 저장부(126), 및 해시 생성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122)는,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시설 관리자 장치(120)가, 관리 서버(130), 및 각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는, 통신부(122)를 통해,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TCP/IP 프로토콜 등)에 따라, 관리 서버(130)에 액세스할 수 있고, 관리 서버(130)와 소정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예컨대, 사업주 등)는, 해당 시설의 운영(영업)을 개시할 때, 시설 관리자 장치(120)를 턴온할 수 있고, 시설 관리자 장치(120)의 턴온은 해당 일자 해당 시설(예컨대, 사업장)의 운영(영업)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관리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는, 또한, 통신부(122)를 통하여,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NFC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등)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는, 또한, 통신부(122)를 통하여,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집 및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들의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들을 관리 서버(13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는, 또한, 통신부(122)를 통하여, 관리 서버(130)로, 해당 시설 관리자 장치(120) 상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들을 제공할 때,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 후술하는 해시함수 적용 결과를 함께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판독부(124)는, 시설 관리자가 관리하는 시설에 입장하려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110) 상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10) 상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114),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QR 코드 등의 형태로 제시될 수 있는데, 정보 판독부(124)는 그러한 QR 코드 등을 판독할 수 있는 판독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판독부(124)는, 사용자 단말(110)과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시설 관리자 장치(120)에 근접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정보 판독부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저장부(126)는, 정보 판독부(124)를 통해 판독된 각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형태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저장부(126)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가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저장부(126)에 저장된 각 사용자 단말(110)의 식별 정보는, 해당 정보의 저장 시점부터 소정의 기한(예컨대, 특정 감염병의 잠복기를 고려하여 감염 확진자의 이동 동선 파악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소정의 기한 등)이 경과한 후에 자동으로 삭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해시 생성부(128)는, 정보 저장부(126)에 저장된 정보를 소정 단위별로 묶어서, 소정의 해시 함수를 적용하고, 그 결과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해시 생성부(128)는, 예컨대 해당 시설의 운영(영업)을 종료하는 시점(예컨대, 날짜별로 시설 관리자 장치(120)를 턴 오프하는 시점)에 해당 날짜에 획득되어 정보 저장부(126)에 저장된 각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식별 정보(암호화된 상태)들을 묶어서 하나의 단위로 보고, 이를 소정의 해시 함수에 적용한 결과를, 정보 저장부(126)에 전술한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해시 생성부(128)는, 각 날짜가 아닌 임의의 다른 기간 단위로, 그 기간 동안에 획득된 식별 정보(암호화된 상태)들을 묶어서 하나의 단위로 보고, 이를 소정의 해시 함수에 적용한 결과를, 정보 저장부(126)에 전술한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관리 서버(130)는, 시설 관리자 장치 관리부(131), 방역 관리 앱 제공부(132), 통신부(133), 출입 정보 요청/수신부(134), 변조 확인부(135), 출입 정보 복호화/저장부(136), 출입 정보 분석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 관리부(131)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복수의 시설, 예컨대 각종 체육시설, 공원 등의 각종 공공 이용시설이나 음식점/상점 등 소정의 영업 시설(다만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 등에 설치된, 전술한 각각의 시설 관리자 장치(120)를 등록하고, 각 시설 관리자 장치(120)에 관한 정보, 예컨대 명칭, 주소, 통신 주소 등의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방역 관리 앱 제공부(1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30)에 액세스한 각 사용자 단말(110)에 대해, 방역 관리 앱을 제공하여 설치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133)는,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관리 서버(130)가, 각 시설 관리자 장치(120), 및 각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서버(130)는, 통신부(133)를 통해,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TCP/IP 프로토콜 등)에 따라, 시설 관리자 장치(130)에 액세스할 수 있고, 시설 관리자 장치(130)와 소정의 정보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서버(130)는, 통신부(133)를 통해, 각 시설 관리자 장치(130)로, 해당 시설 관리자 장치(130)가 소정 일자 또는 기간 동안에 획득 및 저장하고 있는 해당 시설에 출입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그러한 요청에 응답한 시설 관리자 장치(130)로부터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서버(130)는 또한, 통신부(133)를 통해, 각 시설 관리자 장치(130)로부터, 전술한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함께,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된 해시함수 적용 결과(시설 관리자 장치(130)에 함께 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정보 요청/수신부(134)는, 감염병 예방 및 방역 등의 국가 공익적 목적에 따라 필요한 경우, 예컨대 특정 감염병 유행시에 동선 관리가 필요한 확진자 및 해당 확진자의 방문 시설/일자가 파악된 경우 관리자(예컨대, 질병관리본부장 등)의 요청 입력에 따라, 통신부(133)를 통해 전술한 각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 해당 시설 관리자 장치(120)가 보관하고 있는 출입자에 관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정보 요청/수신부(134)는 또한, 전술한 요청을 보낸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부터, 요청한 출입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부터 관리 서버(130)로 전송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는 암호화된 상태 그대로 전송/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변조 확인부(135)는, 통신부(133)를 통해서, 각 시설 관리자 장치(13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하여, 소정 날짜 또는 기간 단위로, 소정의 해시함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변조 확인부(135)는, 예컨대 전술한 시설 관리자 장치(120)에서 해시함수를 적용한 것과 같은 해시함수를, 시설 관리자 장치(120)에서 해시함수 적용시 적용한 것과 같은 날짜 또는 기간 단위별 정보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변조 확인부(135)는, 통신부(133)를 통해, 각 시설 관리자 장치(130)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함께 수신된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된 해시함수 적용 결과(즉, 시설 관리자 장치(130)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변조 확인부(135)에서 같은 해시함수의 적용 결과로서 획득한 결과와 비교할 수 있고, 그 결과로부터 수신된 출입 사용자 식별 정보의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예컨대, 동일한 기간 정보에 대한 해시함수 적용 결과가 상이한 경우 정보가 변조된 것으로 볼 수 있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정보 복호화/저장부(136)는, 소정의 복호화키를 보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정보 복호화/저장부(136)는, 각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부터 암호화된 상태로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해당 복호화키를 이용해서 복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리 서버(130)는, 각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감염병 예방 및 방역 등의 특정한 공익적 목적을 위하여 수집 및 활용해야하므로, 그 이외의 목적에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가 누출 또는 악용되지 않도록, 전술한 복호화키는 특정 권한을 가진 자의 관리하에 비밀리에 유지/관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정보 복호화/저장부(136)는,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획득된 각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각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10)로, 통신부(133)를 통해서, 그 해당 식별 정보가 관리 서버(130)에 의해 수집되었음을 알리는 통지(예컨대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의 수집 목적과 함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러한 통지는 각 사용자 단말에 대해 SMS, MMS, IM, DM 등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로서 전달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정보 복호화/저장부(136)는, 후술하는 출입 정보 분석부(137)에 의한 분석 및 목적에 따른 활용이 끝난 이후 및/또는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이후 그 수신 및 저장된 정보를 자동으로 폐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정보 요청/수신부(134)는,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출입 정보 복호화/저장부(136)에 의해서 복호화하여 획득한 각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라, 각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10)로, 해당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접촉 사용자 식별 정보(예컨대, 해당 시설 내에서 근접 접촉한 다른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110)로 전달되어 그 사용자 단말(110) 상에 저장된 고유 정보들)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정보 요청/수신부(134)는, 전술한 요청에 응답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그 접촉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정보 요청/수신부(134)에 의해 획득된 접촉 사용자 식별 정보는, 암호화된 상태로 수신될 수 있으며, 출입 정보 복호화/저장부(136)가 소정의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하고, 복호화된 결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정보의 복호화와 각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정보의 복호화는 같거나 각기 다른 복호화키 및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정보 분석부(137)는, 출입 정보 복호화/저장부(136)에 저장된 각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정보 분석부(137)는 또한, 복수의 시설 관리자 장치(120)들로부터 수신되어 획득/저장된 각 사용자의 식별 정보(각 시설에 대한 사용자의 출입을 나타냄)를 기초로, 각 사용자의 이동 동선을 분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정보 분석부(137)는, 각 시설 관리자 장치(120)들로부터 수신되어 획득/저장된 각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토대로, 예컨대 각 사용자의 이동 동선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입 정보 분석부(137)는, 각 시설 관리자 장치(120)들로부터 수신되어 획득/저장된 각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토대로, 예컨대 특정 감염병 확진자가 감염 위험이 있는 시기에 특정 시설에 방문했음을 확인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통신부(133)를 통해서 해당 특정 시설의 시설 관리자 장치(120)로 위험(영업 정지 권고 등)을 알리는 통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불특정 다수 사용자가 출입하는 복수의 시설 각각의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100)의 사용자 단말(110), 시설 관리자 장치(120), 및 관리 서버(130) 간의 정보 송수신에 의한 동작 흐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단계(502)에서, 사용자 단말(110) 상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미리 준비된 방역 관리 앱이 활성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역 관리 앱은, 사전에 관리 서버(130)에 액세스한 사용자 단말(110)이,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10)상에 설치한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설치 과정에서 해당 사용자에 관련된 각종 정보(예컨대, 사용자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의 연락처, 생년월일, 주민번호 등)를 수신하고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불특정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소정의 시설 입구에 도착한 사용자는, 해당 시설로의 입장을 위해, 사용자 단말(110) 상의 방역 관리 앱을 활성화할 수 있다.
방역 관리 앱이 활성화되면, 단계(504)에서,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전술한 사용자 식별 정보가 QR 코드 형태로 제시될 수 있고, 이때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소정의 목적에 제공/활용하는데 동의하는지 여부에 관한 문의(예컨대, 방역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필요한 때 관리 서버(130) 등에 제공하여 활용하게 하는데 동의하는지 여부에 관한 문의)가 함께 제시될 수 있다. 단계(506)에서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그러한 정보의 제공/활용에 동의한다는 의사표시가 수신될 수 있다. 단계(508)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110)이 해당 시설의 시설 관리자 장치(120) 앞에 제시될 경우, 단계(510)에서 시설 관리자 단말(120)이 해당 QR 코드를 판독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여러번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 정보는, 암호화된 상태로 시설 관리자 장치(120)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512)에서, 시설 관리자 장치(120)는, 단계(510)에서 획득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소정의 기간 동안(예컨대, 해당 날짜)에 획득한 사용자 식별 정보들을 묶어서 소정의 해시함수를 적용하고, 그 적용 결과를 해당 사용자 식별 정보들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단계(514)에서는, 해당 시설에 입장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시설 내에서, 그 사용자 단말(110)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110)에 대해, 해당 사용자 단말(110) 상의 암호화된 식별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동시에, 그 다른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그 다른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암호화된 식별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계(516)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 내부에 설치된 위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이 해당 시설에서 퇴장하였음을 확인하고, 활성화된 상태에 있었던 방역 관리 앱을 비활성화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한편, 단계(518)에서, 시설 관리자 장치(120)는, 관리 서버(130)로부터, 소정 기간(또는 날짜)에 대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시설 관리자 장치(120)는, 단계(520)에서, 요청된 정보를, 그에 대응하는 해시함수 적용 결과와 함께, 통신망(140)을 통해 관리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522)에서, 관리 서버(130)는, 암화된 상태로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소정의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할 수 있고, 그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획득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른 각 사용자 단말(110)로 해당 정보의 수집을 알리는 통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524)에서, 관리 서버(130)는 또한, 각 획득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따른 각 사용자 단말(110)로, 해당 사용자 단말(110)이 저장하고 있는, 그 사용자 단말(110)과 근거리 접촉했던 다른 사용자 단말(110)에 관한 식별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고, 단계(526)에서 그 요청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528)에서, 관리 서버(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된 정보를 분석할 수 있고, 이를 소정의 목적, 예컨대 방역 관리 목적에 부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관리 서버(130)(및 시설 관리자 장치(120) 및 사용자 단말(110))는, 소정의 목적에 부합하는 이용이 끝났거나 소정의 기한이 경과한 이후에, 앞서 수집된 정보들을 모두 폐기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이 본 개시에 기술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재구성 및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5)

  1.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다수 사용자가 출입하는 시설의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상기 시스템은,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시설에 입장할 때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관하여 미리 준비된 소정의 식별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시설 관리자 장치와,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부터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함 -의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하여금,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소정 일자 또는 기간에 획득된 상기 시설에 관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응답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소정 일자 또는 상기 기간에 획득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를 전송-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는, 상기 소정 일자 또는 상기 기간에 상기 시설에 입장한 각 사용자의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및 저장한 상기 식별 정보 각각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각각은, 암호화된 상태로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 상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암호화된 상태로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됨 -하며,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에 저장된 이후 소정 기한이 경과된 상기 식별 정보 각각을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동작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경우,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소정 일자 또는 상기 기간에 획득된 상기 시설에 관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소정 일자 또는 상기 기간에 획득된 상기 시설에 관한 상기 출입자 식별 정보에 대해 소정의 해시함수를 적용한 제1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결과를,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동작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는,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시설에 입장할 때,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도록 동작하되,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의 수신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가 QR 코드로서 제시되고, 상기 제시된 QR 코드를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가 판독함으로써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는,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시설에 입장할 때,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도록 동작하되,
    상기 식별 정보의 수신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로 직접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가 전송됨으로써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는, 임의의 사용자가 상기 시설에 입장할 때, 상기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도록 동작하되,
    상기 시설 관리자 장치에 의한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의 수신은, 상기 사용자 단말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의 제공에 관한 동의의 의사 확인이 수행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0169340A 2020-05-13 2020-12-07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각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KR20210145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340A KR20210145650A (ko) 2020-05-13 2020-12-07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각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56836 2020-05-13
KR1020200062048A KR102335000B1 (ko) 2020-05-13 2020-05-25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각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KR1020200169340A KR20210145650A (ko) 2020-05-13 2020-12-07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각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048A Division KR102335000B1 (ko) 2020-05-13 2020-05-25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각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650A true KR20210145650A (ko) 2021-12-02

Family

ID=787175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048A KR102335000B1 (ko) 2020-05-13 2020-05-25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각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KR1020200169340A KR20210145650A (ko) 2020-05-13 2020-12-07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각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048A KR102335000B1 (ko) 2020-05-13 2020-05-25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각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35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455B1 (ko) 2023-03-16 2023-08-08 주식회사 그레이즈 복수 시설의 출입 관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126A (ko) * 2013-02-01 201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웨어를 보안하기 위하여 해시 함수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처리 방법, 그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60050841A (ko) * 2014-10-31 2016-05-1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출입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6769438B2 (ja) * 2015-08-28 2020-10-14 日本電気株式会社 入退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退場管理方法
KR101891133B1 (ko) * 2016-11-15 2018-08-23 주식회사 에스원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출입자 정보 조회 시스템 및 방법
KR101931951B1 (ko) * 2017-03-26 2018-12-24 주식회사 프리카페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88253B1 (ko) * 2017-09-11 2019-06-12 김병오 하이패스 방식 자동 근태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000B1 (ko) 2021-12-06
KR20210139105A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y et al. BlueTrace: A privacy-preserving protocol for community-driven contact tracing across borders
CN104778765B (zh) 移动访问控制系统和方法
US10911946B2 (en) Local unit for monitoring the maintenance of an item of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validation of a task on the item of equipment
US9741187B2 (en) Distributed access control
KR20170096922A (ko) 감염병 차단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5136978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近距離通信デバイス、情報提供装置及びサーバ
JP6786906B2 (ja) 健康状態管理システム
US8156326B2 (en) Method to search for affinities between subjects and relative apparatus
KR102335000B1 (ko)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각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JP2008269239A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アクセス制御装置、及び医療情報管理方法
JP6229332B2 (ja) 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324933B1 (ko)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JP2004312289A (ja) 移動体の位置情報提供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5394986B2 (ja) サーバ装置、通信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i et al. A study on contact tracing apps for Covid-19: Privacy and security perspective.
JP2002108945A (ja) データ収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収集方法
JP2007094819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818450A (zh) 人员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32185B1 (ko) 다수 사용자 출입 가능 시설에 관한 비대면 방식의 방역 조치를 지원할 수 있는 방역 게이트 시스템
JP4633668B2 (ja) 情報記憶システム、当該情報記憶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情報送信装置、当該情報記憶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情報記憶サーバ、当該情報記憶サーバを実現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当該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80352427A1 (en) Protective device for protecting the privacy of a person
JP4666522B2 (ja) 訪問介護装置及び訪問介護支援システム
JP6412303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端末
JP5795526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
KR100826874B1 (ko) 응급 상황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