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951B1 -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951B1
KR101931951B1 KR1020170038122A KR20170038122A KR101931951B1 KR 101931951 B1 KR101931951 B1 KR 101931951B1 KR 1020170038122 A KR1020170038122 A KR 1020170038122A KR 20170038122 A KR20170038122 A KR 20170038122A KR 101931951 B1 KR101931951 B1 KR 10193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o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039A (ko
Inventor
정경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카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카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카페
Priority to KR102017003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95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39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07C9/0010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스터디카페 관리 시스템 개시한다.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스터디카페 출입문의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고객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고객 식별정보 및 스터디카페의 가맹점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출입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디카페 출입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An Door of Study Cafe }
본 발명은 스터디카페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무인으로 24시간 운영되는 스터디카페와 같은 시설의 경우에 스터디카페를 누구나 원하는 시간에 방문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심야시간과 같이 안전이 우려되는 시간의 경우 출입을 통제하기 곤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근거리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스터디카페의 출입을 통제하여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전달하고, 출입자의 출입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스터디카페 출입문의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고객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고객 식별정보 및 스터디카페의 가맹점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출입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디카페 출입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다른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출입문 관리부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고객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출입문 관리부가 상기 고객 식별정보 및 가맹점 식별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고객 식별정보 및 상기 가맹점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고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객 식별정보 및 상기 가맹점 식별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출입문 관리부에 인증 성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출입문 관리부가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디카페 출입문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24시간 무인으로 운영되는 스터디카페의 출입을 관리하여 스터디카페 이용 고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스터디카페의 출입하는 고객에 대한 출입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이를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카페의 출입문을 여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100)은 이동통신단말기(200), 출입문 관리부(300), 관리서버(400), 가맹점 및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출입문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500) 및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600)를 포함한다. 다만 스터디카페 출입문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600)는 유선 및 무선 통신, 버스(BUS)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의 경우 2G, 3G, LTE, Wi-Fi, 블루투스, NFC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모두 동일한 형태로 연결될 필요는 없으며,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은 서로 상이한 형태의 통신 수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500)는 관리서버(400)의 일부일 수 있고, 별도의 장치로 분리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관리서버(400) 및 출입문 관리부(300)로부터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각기 (ⅰ)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및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ⅱ)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ⅲ)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저장매체일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명세서에 기재된 동작과 기능을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특정한 구성의 주문형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의 하드웨어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스터디카페의 이용을 위한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과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2에서 하기로 한다.
스터디카페의 고객은 스터디카페의 이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설치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를 스터디카페 가맹점의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문 관리부(300)에 근접시킨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주민등록번호, 회원 번호, 회원 ID를 포함하는 고객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입문 관리부(300)에 전달한다.
출입문 관리부(300)는 스터디카페 가맹점별로 출입문에 설치되며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한다. 스터디카 카페의 출입문이 적어도 하나 있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스터디카페의 가맹점이 있을 수 있다. 출입문 관리부(300)는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스터디카페 고객을 식별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주민등록번호, 회원 번호, 회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식별정보(Identification)를 수신한다. 출입문 관리부(300)는 수신한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고객 식별정보 및 가맹점 식별정보와 함께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만약 고객 식별정보나 가맹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가 관리서버(400)에서 인증되지 않는 경우, 관리서버(400)는 출입문 관리부(300)와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고, 출입문 관리부(300)는 출입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고,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출입문 관리부(300)는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출입문 관리부(300)에 저장된 출입문의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이때 출입문 관리부(300)는 관리서버(400)로부터 변경할 비밀번호를 수신한다. 관리서버(400)는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받거나 관리자가 정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가맹점의 출입문 관리부(300)에 비밀번호 갱신 명령을 변경할 비밀번호와 함께 전송한다.
관리버서(400)는 고객 식별정보 및 가맹점 식별정보를 출입문 관리부(300)로부터 수신하고, 고객이 스터디카페에 가입된 회원인지 여부와 가맹점이 유효한 가맹점인지 여부를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가맹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검사한다. 고객과 가맹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고 나면 관리서버(400)는 이동통신단말기(200)로 해당 가맹점의 출입문 비밀번호를 전송한다. 이때 관리서버(400)는 문자메시지(SMS, LMS), SNS(Social Network Service) 및 푸시(Push)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출입문 비밀번호는 암호화하여 전송될 수 있고,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이를 복호화하여 고객이 볼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400)는 스터디카페를 방문하는 고객의 출입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할 수 있다. 고객이 방문한 스터디카페의 가맹점 식별정보, 출입한 시간,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또는 고객의 스터디카페 회원 ID(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고객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고객의 스터디카페 방문 기록은 고객에게 포인트(Point) 제공, 이벤트 행사 안내를 포함하는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다.
출입문 관리부(300)는 스터디카페의 고객으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출입문 관리부(300)에 저장된 가맹점의 출입문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출입문을 개방한다.
데이터베이스(500)는 스터디카페의 고객의 고객 식별정보와 고객의 개인정보(예를 들어 고객의 포인트, 회원 ID,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와 고객의 스터디카페 방문 이력 정보(예를 들어 고객이 방문한 가맹점 식별정보, 방문 일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를 저장할 수 있고, 가맹점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가맹점 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가맹점 식별정보, 가맹점 출입문의 비밀번호, 가맹점주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사업자등록번호, 가맹점주의 성명,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500)는 스터디카페의 출입이 제한되는 고객에 관한 정보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비밀번호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 스터디카페의 시설을 훼손하는 등 스터디카페의 운영 및 스터디카페의 방문 고객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회원의 경우 일정한 기간 또는 영구히 스터디카페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210) 및 근거리통신부(220)를 포함한다. 다만, 이동통신단말기(200)의 구성요소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은 이동통신단말기(200)에 탑재되어, 이동통신단말기(20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동작될 수 있다.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은 이동통신단말기(200) 내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은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한 웹 프로그램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이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을 구동하며,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서비스 제공을 받고 관리자는 스터디카페를 관리할 수 있다.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은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이용하여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을 다운로드한 후 설치될 수 있으며,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은 이동통신단말기(200) 상에 탑재되는 OS(Operating System)에 임베디드(Embedded) 형태로 탑재되거나, 이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200) 내의 인스톨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이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설치되면,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은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주민등록번호, 회원번호 또는 회원 ID(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고객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고객은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을 다운로드 받은 후 회원으로 가입하여 자신의 고객 식별정보를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에 입력하면,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은 고객 식별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400)는 수신 고객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0)에 저장한다.
근거리 통신부(22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에 구비된 NFC(Near Frequency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WiFi, RFID 및 ZigBee를 포함하는 근거리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부(220)는 출입문 관리부(300)에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주민등록번호, 회원번호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식별정보를 출입문 관리부(300)에 전송한다.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은 근거리 통신부(220)가 고객 식별정보 및 부가정보를 출입문 관리부(3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관리서버(400)로부터 방문하고자 하는 스터디카페 출입문 비밀번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때 전송받은 출입문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어 전송되었다면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210)은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복호화하여 화면에 표시하여 고객이 비밀번호를 출입문 관리부(300)에 직접 입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신된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이동통신신단말기(200)의 근거리 통신부(220)에 전달하고, 근거리 통신부(220)는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출입문 관리부(300)에 전송하여, 출입문 관리부(300)에서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복호화하거나,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출입문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출입문 관리부(300)는 출입문에 설치되며 근거리 통신부(310), 출입문 제어부(320), 비밀번호 요청부(330), 비밀번호 저장부(340) 및 비밀번호 입력부(350)를 포함한다. 다만 출입문 관리부(300)의 구성요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출입문 관리부(300)의 근거리 통신부(310)는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고객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비밀번호 요청부(330)에 전달한다. 근거리 통신부(310)는 NFC, 블루투스, Wi-Fi,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Zigbee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비밀번호 요청부(330)는 출입문 관리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스터디카페 가맹점 식별정보와 고객 식별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스터디카페 가맹점 식별정보는 사업자등록번호, 가맹점주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가맹점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비밀번호 저장부(340)는 출입문의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저장된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있거나 암호화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비밀번호가 양방향 암호화 기술에 의해 암호화된 경우라면 비밀번호 복호화하여 출입문 제어부(320)에 전달할 수 있고, 일방향 암호화 방식으로 된 경우에는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출입문 제어부(320)에 전달한다. 또한 비밀번호 저장부(340)는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에 의해 관리서버(400)에 비밀번호 갱신 요청을 하거나 비밀번호 갱신 요청을 받아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
비밀번호 입력부(350)는 스터디카페를 방문하는 고객이 관리서버(400)로부터 전송받은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200)가 관리서버(400)로부터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전송받는 경우에 비밀번호를 근거리 통신부(210)를 거쳐 전달받을 수 있다. 비밀번호 입력부(250) 비밀번호를 출입문 제어부(320)에 전달할 수 있다.
출입문 제어부(320)는 비밀번호 입력부(350)로부터 받은 고객이 입력한 비밀번호와 비밀번호 저장부(340)로부터 받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비밀번호가 일치한다면 출입문을 열어 고객이 스터디카페로 입장할 수 있도록 하고, 일치하지 않는다면 고객에게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할 것을 요구하고, 재입력 받을 수 있다. 고객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비밀번호 입력 오류를 발생시킬 경우 해당 고객의 입장이 불가능하도록 조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객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비밀번호 입력 오류를 발생시킨다면, 해당 고객의 고객 식별정보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출입을 시도하더라도 출입제한 고객임을 고객에게 알리고 고객센터를 방문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출입문 제어부(320)는 입장이 제한된 고객에 대해서는 고객 식별정보를 관리서버(400)에 전송하여 관리서버(400)가 비밀번호 전송요청을 받더라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은 비밀번호를 전송하지 않고 고객센터에 문의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만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디카페의 출입문이 열리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200)는 고객 식별정보를 NFC, Wi-Fi, 블루투스, RFID 및 Zigbee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출입문 관리부(300)의 근거리 통신부(310)로 전송한다(S410).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고객 식별정보를 수신한 출입문 관리부(300)는 고객 식별정보 및 가맹점 식별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S420). 이때 전송하는 가맹점 식별정보는 가맹점의 사업자등록번호, 가맹점주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및 가맹점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관리서버(400)는 고객 식별정보와 가맹점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500)에 조회하여 고객 및 가맹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고객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와 출입이 제한된 고객인지 여부를 판별하고(S430), 그 결과에 근거하여 출입문 관리부(3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0)에 결과메시지를 전송한다.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출입문 관리서버(3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고(S440 내지 S442),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에는 출입문 관리부(300)에 인증 성공 메시지를 전송하고(S450), 이동통신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전송한다(S460). 이때 관리서버(400)는 비밀번호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비밀번호를 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SNS(Social Network Service) 및 푸시 메시지(Push Message)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달 수단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비밀번호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비밀번호를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하고, 출입문 관리부(300)의 비밀번호 입력부(S350)는 고객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거나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전송받는다(S470). 출입문 관리부(300)는 고객으로부터 전달받은 비밀번호와 비밀번호 저장부(340)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여부를 판별하고(S480) 일치하는 경우 출입문을 개방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터디카페 출입문 제어 시스템
200 이동통신단말기 300 출입문 관리부
400 관리서버 500 데이터베이스
600 네트워크

Claims (11)

  1.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 및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출입문의 비밀번호를 SMS, LMS, SNS 메시지, 푸시 메시지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NFC(Near Frequency Communication), Wi-Fi,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Zigbee 중 어느 하나로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부;
    고객 식별정보 및 가맹점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비밀번호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요청하는 비밀번호 요청부;
    상기 출입문의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비밀번호 저장부;
    고객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비밀번호 입력부; 및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와 상기 비밀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출입문을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부
    를 포함하는 출입문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출입문 관리부에 비밀번호 갱신 명령 및 변경할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디카페 출입문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식별정보, 상기 가맹점 식별정보 및 가맹점 출입문의 비밀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디카페 출입문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출입문 관리부로부터 전송받은 고객 식별정보 및 가맹점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유효한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 결과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출입문 관리부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인증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디카페 출입문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식별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 주민등록번호, 회원번호 및 회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 식별정보는 사업자등록번호, 가맹점주 성명, 주민등록번호, 가맹점 번호 및 가맹점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디카페 출입문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비밀번호 오류를 발생하는 경우, 상기 비밀번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디카페 출입문 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비밀번호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상기 스터디카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비밀번호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디카페 출입문 제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관리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디카페 출입문 제어 시스템.
  10. 삭제
  11. 출입문 관리부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고객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출입문 관리부가 상기 고객 식별정보 및 가맹점 식별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고객 식별정보 및 상기 가맹점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고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객 식별정보 및 상기 가맹점 식별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출입문 관리부에 인증 성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출입문 관리부가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과정
    을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상기 출입문 관리부에 비밀번호 갱신 명령 및 변경할 비밀번호를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디카페 출입문을 제어하는 방법;
KR1020170038122A 2017-03-26 2017-03-26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3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122A KR101931951B1 (ko) 2017-03-26 2017-03-26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122A KR101931951B1 (ko) 2017-03-26 2017-03-26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039A KR20180109039A (ko) 2018-10-05
KR101931951B1 true KR101931951B1 (ko) 2018-12-24

Family

ID=6387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122A KR101931951B1 (ko) 2017-03-26 2017-03-26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9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455B1 (ko) 2023-03-16 2023-08-08 주식회사 그레이즈 복수 시설의 출입 관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30134626A (ko) * 2022-03-14 2023-09-22 양건화 서로 다른 개인 식별 번호를 이용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255B1 (ko) * 2019-01-31 2020-10-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좌석관리 시스템 및 좌석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열람실 관리 방법
CN110675532A (zh) * 2019-09-17 2020-01-10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闸机控制方法、装置、设备、介质、闸机及闸机系统
KR102395912B1 (ko) * 2020-04-02 2022-05-09 주식회사 알에스팀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연구실 통합 안전관리 방법
KR102335000B1 (ko) * 2020-05-13 2021-12-06 김원국 다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시설의 각 출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2286A (ja) * 2004-12-17 2006-06-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入退室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2286A (ja) * 2004-12-17 2006-06-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入退室管理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626A (ko) * 2022-03-14 2023-09-22 양건화 서로 다른 개인 식별 번호를 이용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2655874B1 (ko) 2022-03-14 2024-04-08 양건화 서로 다른 개인 식별 번호를 이용하는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2563455B1 (ko) 2023-03-16 2023-08-08 주식회사 그레이즈 복수 시설의 출입 관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039A (ko) 201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951B1 (ko) 스터디카페의 출입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2023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 control and awareness management
US943706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unit real estate management
JP5591832B2 (ja) 携帯デバイスを使用して建造物にアクセス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367978B2 (en) Control device access method and apparatus
US93366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mitting secure access to a structure
US11164413B2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secure pass-through
US8045960B2 (en) Integrated access control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517338B (zh) 基于无线网络的远程门禁控制系统及其实现方法
US20160117874A1 (en) Remote Guest Access to a Secured Premises
CN104157029A (zh) 基于移动终端的门禁系统控制方法、控制系统及移动终端
JP6970201B2 (ja) アクセス制御および認識管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507594B1 (ko) 식별 수단을 이용한 안전 출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MX2013011116A (es) Distribucion de informacion de acceso a instalaciones.
KR101491706B1 (ko) 앱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85368B1 (ko)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시스템
KR101403045B1 (ko) 출입 통제 연동 단말 접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63569B1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JP2007132031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退室管理方法
JP5743202B2 (ja) 改札装置
KR102017337B1 (ko) 스마트 단말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블루투스 기반 스마트 금고 및 이를 이용한 금고 계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61392B1 (ko) 원격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16244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제어기와 단말기의 인증 방법
KR20150137662A (ko)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9899A (ko) 모바일, 이를 이용한 자물쇠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