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524A -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 Google Patents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524A
KR20210145524A KR1020200062524A KR20200062524A KR20210145524A KR 20210145524 A KR20210145524 A KR 20210145524A KR 1020200062524 A KR1020200062524 A KR 1020200062524A KR 20200062524 A KR20200062524 A KR 20200062524A KR 20210145524 A KR20210145524 A KR 20210145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leeper
proof
rail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복
Original Assignee
문정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복 filed Critical 문정복
Priority to KR1020200062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5524A/ko
Publication of KR20210145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524A/ko
Priority to KR1020230072928A priority patent/KR20230091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5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both rails and sl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1Elastic layers other than rail-pads, e.g. sleeper-shoes, bitu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하부는 콘크리트도상에 대해 고정결합되는 반면에 레일체결장치가 설치되는 상부에 통상의 레일패드 이외에 탄성패드까지 포함된 방진부가 적용됨에 따라 육안관찰만으로도 방진부의 손상이나 파손 정도의 파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최소 비용으로 유지보수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콘크리트도상의 홈 내에 기 설치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을 대체하여 교체시공되는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에 있어서, 하부는 상기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이 제거된 상기 콘크리트도상의 홈 내에 몰탈그라우트에 의해 삽입고정되고 내부에는 앵커소켓이 매립고정되며 상부면에는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결착돌출부에 의해 안착면이 형성되는 콘크리트침목블럭과, 상기 콘크리트침목블럭의 안착면에 적층되는 탄성패드와, 상기 탄성패드 상에 적층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안착홈에 적층되고 레일이 안착지지되는 레일패드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지지가이드패널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과 상기 측면지지가이드패널 상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의 하부 양측을 가압지지하는 탄성클램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앵커소켓에 체결되면서 상기 탄성클램프를 가압지지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을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VIBRATION PROOF SLEEPER FOR REPLACEMENT OF VIBRATION PROOF BOX TYPE VIBRATION PROOF SLEEPER}
개시된 내용은 콘크리트도상의 홈 내에 기 설치된 후 손상 또는 노후화 등으로 본래의 기능이 상실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을 대체하여 교체시공되는 방진침목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는 궤도구조는 크게 기존의 자갈도상 궤도(ballast track)와 콘크리트도상 궤도(slab track)로 분류된다.
종래에는 초기 건설비용이 낮은 자갈도상 궤도가 주로 건설되어 왔으나 날로 발전하는 철도수송의 역할로 인해 차량중량의 증가, 열차속도의 향상, 열차밀도의 증대 등이 요구되고 보수작업시간의 제약은 물론 인건비의 상승과 노동력 수급곤란 등으로 상시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자갈도상 궤도의 유지보수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자갈도상 궤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자유로운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생력화궤도의 개발과 개량을 위해 세계 철도 선진국가들은 끊임없는 연구개발 및 개선노력을 기울인 결과로, 콘크리트도상 궤도가 제안되었다.
콘크리트도상 궤도는 강화노반층을 포함하는 노반 상에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노반강화 콘크리트층(HSB; hydraulically Stabilized Base)과, 상기 노반강화 콘크리트층 위에 콘크리트로 형성되어 침목과 레일을 지지하는 콘크리트도상(TCL; track concrete layer)을 포함한다.
이러한 콘크리트도상 궤도는 종래의 자갈도상 궤도에 비해 초기 건설비용은 많이 소요되나 생애주기비용(LCC; Life Cycle Cost)을 고려한 장기적인 경제성 차원에서는 오히려 자갈도상 궤도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로 인해 그 적용이 날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콘크리트도상 궤도는 부담력 및 저항력이 자갈도상 궤도에 비하여 매우 크기 때문에 궤도의 변위나 틀림이 거의 발생되지 않고, 주행안정성 및 승차감이 우수하며 생애주기비용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도상 궤도는 자갈도상 궤도와 달리 궤도의 부설 및 해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콘크리트도상 궤도 중에는 독립된 콘크리트블럭으로 이루어진 1쌍의 방진침목으로 레일을 지지하는 방침침목시스템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도상 궤도의 방진침목시스템은 통상 고무부츠로도 통칭되는 방진상자에 방진패드와 콘크리트침목블럭을 수용시킨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을 콘크리트도상에 형성된 홈 내에 매립함에 따라 콘크리트도상과 콘크리트침목블럭이 방진상자에 의해 분리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방진설계의 핵심은 콘크리트침목블럭과 방진상자의 사이에 방진패드를 설치하여 콘크리트침목블럭과 콘크리트도상 간의 진동전달을 최대한 감소시키도록 한 것이다. 레일과 방진침목 사이에도 얇은 레일패드가 개재되기는 하지만 이 레일패드는 근본적으로 레일과 휠의 상호작용력를 감소시켜 차량 내부에서의 소음 및 진동을 줄여주는 역할만 할 뿐이다.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을 이용하는 콘크리트도상 궤도의 일 예로, 프랑스의 STEDEF사에 의해 개발된 일명 STEDEF 시스템과, 미국 궤도전문설계회사인 Sonneville사에 의해 개발된 저진동 궤도시스템인 LVT(Low Vibration Track) 시스템을 들 수 있다.
STEDEF 시스템은 방진상자에 방진패드와 콘크리트침목블럭을 수용시킨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이 타이바(tie-bar)에 의해 고정연결되는 반면에, LVT 시스템은 STEDEF 시스템의 개발자인 Roger Sonneville에 의해 개량된 STEDEF 시스템의 변종으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을 고정연결하는 타이바(tie-bar)를 사용하지 않고 방진패드의 재질을 달리한다.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을 이용하는 콘크리트도상 궤도의 장점으로는 콘크리트도상과 분리된 콘크리트침목블럭의 질량에 의해 사실상 레일중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진효율을 부가적으로 높일 수 있는 점과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이 콘크리트도상의 홈 내에 구속되는 관계로 레일의 횡적 안정성이 높아 방진체결구에 사용되는 방진패드보다 낮은 강성도를 갖는 방진패드를 사용할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을 이용하는 콘크리트도상 궤도는 콘크리트침목블럭이 방진패드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구조인 관계로 이론적으로 우수한 방진효과가 기대될 수 있는 생력화 궤도로 소개됨에 따라, STEDEF 시스템의 경우에는 서울 5~8호선, 부산 2호선, 대구 1호선, 대전 1호선 등에 적용된 바 있고, LVT 시스템의 경우에는 대구 2호선, 인천 1호선 등에 적용된 바 있다. 다만 STEDEF 시스템은 프랑스의 나블라 체결구 대신에 국내 범용 레일체결장치인 코일스프링 체결장치(e-clip)가 적용될 수 있도록 숄더매립형으로 변경되어 적용되었다.
전술한 콘크리트도상 궤도용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6-0095891호(2006.09.04. 공개)에는 침목과 침목을 타이바로 연결하고, 침목 단면의 중앙부가 윗면과 밑면 보다 넓으며, 레일과 수직으로 만나는 침목의 접촉면을 넓게 하여 침목의 형태를 십자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콘크리트침목이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2-0090845호(2002.12.05. 공개)에는 도상 콘크리트에 구비된 방진상자의 내측 저면과 침목블럭의 저면 사이에 삽입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침목블럭을 통해 전달되는 수직방향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하중을 흡수하는 제 1 하중흡수수단과, 침목블럭의 상면과 레일의 저면 사이에 삽입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레일을 통해 전달되는 수직방향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하중을 흡수하는 제 2 하중흡수수단과, 레일 하부의 횡방향 연장부의 양측과 각 클립걸이 사이에 삽입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레일을 통해 전달되는 횡방향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하중을 흡수하는 제 3 하중흡수수단과, 그 일측 하단이 상기 침목블럭의 상면에 밀착되고, 그 타측 하단이 상기 레일의 횡방향 연장부 상면을 눌러 가압하도록 상기 클립걸이에 결합되어 레일을 지지하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열차의 운행에 따른 수직방향 및 횡방향 하중에 의해 레일이 상하방향 및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지지수단과, 상기 레일지지수단을 클립걸이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궤도 방진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전술한 콘크리트도상 궤도용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에 적용가능한 방진상자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1015호(2003.01.17. 공고)에는 저부에 탄성패드를 개재하여 콘크리트침목블럭을 내부에 수납하며, 상기 콘크리트침목블럭과 접촉되는 내측면을 따라 복수의 요철부를 구비하는 궤도용 고무방진상자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의 돌출부 상에 소정 높이로 보다 양각돌출되는 핀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용 고무방진상자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경우에는 콘크리트침목블럭의 상하/좌우 움직임과 횡압에 의한 방진상자와 콘크리트침목블럭 사이의 마찰, 방진상자와 콘크리트도상 사이에 침투하는 물 또는 습기 등로 인해 방진상자가 마멸 또는 손상되거나, 방진패드가 소성변형되거나 레일패드가 손상되고, 이로 인해 레일의 파상마모의 진행이 촉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진상자와 방진패드의 재료 자체의 경년변화나 하중 하의 압축변화, 그리고 시공상의 공차나 방진상자 자체의 바닥 불균형, 콘크리트침목블럭의 바닥과 탄성패드 사이의 공극 등으로 인해 방진상자와 방진패드의 손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레일의 파상마모의 진행이 촉진되는 문제점이 있어, 손상된 방진상자와 방진패드 등을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등의 유지보수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경우에는 방진상자와 방진패드의 손상이나 파손이 육안으로 관찰되기 어려워 제때에 교체시공이 이루어지기 어려울 뿐만 이니라 홈 내에 설치된 종래의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을 제거하고 새로운 방진침목으로 교체하는 시공 또한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6-0095891호(2006.09.04. 공개)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2-0090845호(2002.12.05. 공개) 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1015호(2003.01.17. 공고)
하부는 콘크리트도상에 대해 고정결합되는 반면에 레일체결장치가 설치되는 상부에 통상의 레일패드 이외에 탄성패드까지 포함된 방진부가 적용됨에 따라 육안관찰만으로도 방진부의 손상이나 파손 정도의 파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최소 비용으로 유지보수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콘크리트도상의 홈 내에 기 설치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을 대체하여 교체시공되는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에 있어서, 하부는 상기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이 제거된 상기 콘크리트도상의 홈 내에 몰탈그라우트에 의해 삽입고정되고 내부에는 앵커소켓이 매립고정되며 상부면에는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결착돌출부에 의해 안착면이 형성되는 콘크리트침목블럭과, 상기 콘크리트침목블럭의 안착면에 적층되는 탄성패드와, 상기 탄성패드 상에 적층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안착홈에 적층되고 레일이 안착지지되는 레일패드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지지가이드패널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과 상기 측면지지가이드패널 상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의 하부 양측을 가압지지하는 탄성클램프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앵커소켓에 체결되면서 상기 탄성클램프를 가압지지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을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침목블럭은 기 설치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콘크리트침목블럭 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진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에 의하면, 하부는 콘크리트도상에 대해 고정결합되는 반면에 레일체결장치가 설치되는 상부에 통상의 레일패드 이외에 탄성패드까지 포함된 방진부가 적용됨에 따라, 종래에 기 설치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에 대해 교체시공되더라도 상부의 방진부를 통해 고탄성 궤도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에 의하면, 종래에 기 설치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에 대해 교체시공된 이후에 육안관찰만으로도 레일패드나 탄성패드와 같은 방진부의 손상과 파손 정도가 용이하게 파악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침목블럭을 콘크리트도상의 홈으로부터 분리할 필요없이 최소 비용으로 방진부의 유지보수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의 단면구조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침목을 이용한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의 전체 공정순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침목을 이용한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의 작업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은 콘크리트도상의 홈 내에 기 설치된 후 손상 또는 노후화 등으로 본래의 기능이 상실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을 대체하여 교체시공되는 것으로, 교체시공에 앞서 사전 제작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는 방진상자형 방진침목(미도시)이 제거된 콘크리트도상(3)의 홈(5) 내에 몰탈그라우트(9)에 의해 삽입고정되는 콘크리트침목블럭(10)과, 콘크리트침목블럭(10)에 적층되는 탄성패드(20)와, 탄성패드(20) 상에 적층되는 베이스플레이트(30)와, 베이스플레이트(30)에 적층되는 레일패드(40)와, 베이스플레이트(30)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지지가이드패널(50)과, 베이스플레이트(30)의 양측과 측면지지가이드패널(50) 상에 설치되는 탄성클램프(60)와, 앵커소켓(11)에 체결되면서 탄성클램프(60)를 가압고정하는 체결볼트(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콘크리트침목블럭(10)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1)의 바디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는 방진상자형 방진침목(미도시)이 제거된 콘크리트도상(3)의 홈(5) 내에 몰탈그라우트(9)에 의해 삽입고정되고 상부는 콘크리트도상(3)의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된다.
콘크리트침목블럭(10)의 내부에는 앵커소켓(11)이 매립고정된다. 앵커소켓(11)은 차후에 설명될 체결볼트(70)가 체결고정되는 부분으로,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침목블럭(10)의 성형제조시에 인서트되어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콘크리트침목블럭(10) 내에 고정된다.
또한 콘크리트침목블럭(10)의 상부면에는 결착돌출부(13)가 양측에 돌출형성되면서 결착돌출부(13) 사이에 탄성패드(20)의 적층을 위한 안착면(15)이 형성된다.
콘크리트침목블럭(10)은 방진상자형 방진침목(미도시)이 제거된 콘크리트도상(3)의 홈(5) 내에 하부가 십입되어 몰탈그라우트(9)에 의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잇도록 기 설치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콘크리트침목블럭 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콘크리트침목블럭(10)의 안착면(15)에는 탄성패드(20)가 적층된다. 탄성패드(20)는 레일(7)을 지지하는 콘크리트침목블럭(10)의 상측에 레일패드(40)와 별개로 탄성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레일패드(40)와 함께 일종의 방진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패드(20)는 차후에 설명될 베이스플레이트(30)로부터 전달된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켜 콘크리트침목블럭(10)에 전달하는 것으로,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패드(20)에는 체결볼트(70)가 관통하여 콘크리트침목블럭(10)의 앵커소켓(11)에 체결 가능하도록 통공 또는 측면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탄성패드(20) 상에는 베이스플레이트(30)가 적층된다. 베이스플레이트(30)는 레일(7)의 지지를 위한 레일패드(40)의 안착지지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면 중앙에는 레일패드(40)의 안착지지를 위한 안착홈(31)이 형성되고 안착홈(31)의 양측에는 레일의 하단 양측(레일풋)이 지지되는 단턱부(33)가 형성된다. 단턱부(33)에는 차후에 설명될 탄성클램프(60)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홈(3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30)의 양측에는 차후에 설명될 체결볼트(70)가 관통되어 앵커소켓(11)에 체결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30)와 차후에 설명될 측면지지가이드패널(50) 사이에는 맞물림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30)와 측면지지가이드패널(50)의 맞물림부는 베이스플레이트(30)와 측면지지가이드패널(50)의 상호 이탈이 방지함과 동시에 레일(7)의 길이방향 진동을 방지하는 것으로,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되는 홈-돌기 구조로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30)의 안착홈(31)에는 레일패드(40)가 적층된다. 레일패드(40)는 레일(7)의 직하부에서 레일(7)을 자체 탄성을 통해 지지함에 따라 레일(7)의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탄성패드(20)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다른 재질로도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30)의 양측에는 측면지지가이드패널(50)이 형성된다. 측면지지가이드패널(50)은 콘크리트침목블럭(10)의 결착돌출부(13)와 베이스플레이트(30) 사이에 개재되어, 베이스플레이트(30)가 레일(7)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측면지지가이드패널(50)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측면지지가이드패널(50)은 1차적으로 홈-돌기 구조 등으로 형성 가능한 맞물리부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30)에 맞물려지고, 2차적으로는 홈-돌기 구조 등으로 형성 가능한 또 다른 맞물림부에 의해 콘크리트침목블럭(10)의 결착돌출부(13)에 맞물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지지가이드패널(50)의 상부면에는 차후에 설명될 탄성클램프(60)의 타단이 지지되는 지지턱(51)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30)의 양측과 측면지지가이드패널(50) 상에는 탄성클램프(60)가 설치된다. 탄성클램프(60)는 체결볼트(70)의 체결고정시에 자체 텐션에 의해 일단은 레일(7)의 하부 양측(레일풋)의 상부면를 가압지지하고 타단은 측면지지가이드패널(50)의 상부면을 가압지지하여 레일(7)을 콘크리트침목블럭(10)에 체결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W'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클램프(60)는 체결볼트(70)의 체결고정를 통해 탄력적인 체결지지력을 발휘함에 따라 레일(7)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레일(7)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킨다.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30)의 양측에는 체결볼트(70)가 관통하여 콘크리트침목블럭(10)에 체결된다. 체결볼트(70)는 베이스플레이트(30)를 관통하여 콘크리트침목블럭(10) 내의 앵커소켓(11) 내에 체결고정되면 탄성클램프(60)를 하부를 향해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콘크리트침목블럭(10) 내의 앵커소켓(11)에 대한 체결볼트(70)의 조임 정도에 따라 탄성클램프(60)의 탄성체결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침목을 이용한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침목을 이용한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방법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 길이구간의 레일체결구를 해체하고 양측의 레일(7)을 들어올려 레일거치용 스탠드(미도시) 상에 거치하는 제 1 단계(S1)와,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100, 100') 중 홀수 위치의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100)을 제거한 후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100)이 설치되었던 홈(5)을 청소하는 제 2 단계(S2)와, 홈(5) 내에 사전 제조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침목(1)을 배열하는 제 3 단계(S3)와, 양측의 레일(7)을 짝수 위치의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100') 상으로 내려 다시 체결고정하고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침목(1)의 일측에 레일(7)을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레일지지용 스탠드를 설치하는 제 4 단계(S4)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침목(1)을 들어올려 홈(5) 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후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침목(1)을 레일(7)에 체결고정하는 제 5 단계(S5)와, 홈(5) 내에 몰탈그라우트(9)를 채우고 경화시키는 제 6 단계(S6)와, 몰탈그라우트(9)의 경화 후에 레일지지용 스탠드(미도시)를 철거하는 제 7 단계(S7)와, 제 1 단계(S1) 내지 제 7 단계(S7)를 짝수 위치의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100')에 대해 반복하는 제 8 단계(S8)를 포함한다.
제 6 단계(S6)에 사용되는 몰탈그라우트(9)는 예를 들어 24시간 이내의 시간 내에 급속 경화가 가능한 자기충전콘크리트(SCC; Self Compacting Concrete)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충전콘크리트(SCC)는 몰탈그라우트의 타설시에 별도의 다짐작업없이 자중 만으로 내부공간에 균질되게 채워지는 자기충전성을 가지는 그라우팅재로, 통상의 자기충전 콘크리트로 형성 가능하다. 몰탈그라우트(9)가 경화되는 동안에 레일(7)은 레일지지용 스탠드에 의해 지지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침목을 이용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이 철도차량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100, 100') 중 홀수 위치의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100)의 교체시공을 위한 제 1 단계(S1) 내지 제 7 단계(S7)는 철도차량이 주행하지 않는 야간에 이루어지고,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100, 100') 중 짝수 위치의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100')의 교체시공을 위한 제 8 단계(S8)는 익일 야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교체시공방법을 통해 교체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침목(1)의 경우에는 하부는 콘크리트도상(3)에 대해 고정결합되는 반면에 레일체결장치가 설치되는 상부에 통상의 레일패드(40) 이외에 탄성패드(20)까지 포함된 방진부가 적용됨에 따라, 종래에 기 설치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100, 100')에 대해 교체시공되더라도 상부의 방진부를 통해 고탄성 궤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기 설치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100, 100')에 대해 교체시공된 이후에 육안관찰만으로도 레일패드(40)나 탄성패드(20)와 같은 방진부의 손상과 파손 정도가 용이하게 파악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침목블럭(10)을 콘크리트도상(3)의 홈(5)으로부터 분리할 필요없이 최소 비용으로 방진부의 유지보수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방진침목
3 : 콘크리트도상
5 : 홈
7 : 레일
9 : 몰탈그라우트
10 : 콘크리트침목블럭
11 : 앵커소켓
13 : 돌출결착부
15 : 안착면
20 : 탄성패드
30 : 베이스플레이트
31 : 안착홈
33 : 단턱부
33a : 수용홈
40 : 레일패드
50 : 측면지지가이드패널
51 : 지지턱
60 : 탄성클램프
70 : 체결볼트
100, 100' : 방진상자형 방진침목

Claims (5)

  1. 콘크리트도상의 홈 내에 기 설치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을 대체하여 교체시공되는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에 있어서,
    하부는 상기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이 제거된 상기 콘크리트도상의 홈 내에 몰탈그라우트에 의해 삽입고정되고 내부에는 앵커소켓이 매립고정되며 상부면에는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결착돌출부에 의해 안착면이 형성되는 콘크리트침목블럭;

    상기 콘크리트침목블럭의 안착면에 적층되는 탄성패드;
    상기 탄성패드 상에 적층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안착홈에 적층되고 레일이 안착지지되는 레일패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지지가이드패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과 상기 측면지지가이드패널 상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의 하부 양측을 가압지지하는 탄성클램프;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을 관통하여 상기 앵커소켓에 체결되면서 상기 탄성클램프를 가압지지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침목블럭은 기 설치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콘크리트침목블럭 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가이드패널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은,
    일정 길이구간의 레일체결구를 해체하고 양측의 레일을 들어올려 레일거치용 스탠드 상에 거치하는 제 1 단계와, 기존에 설치된 방진상자형 방진침목 중 홀수 위치의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을 제거한 후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이 설치되었던 홈을 청소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홈 내에 사전 제조된 신규 방진침목을 배열하는 제 3 단계와, 양측의 레일을 짝수 위치의 방진상자형 방진침목 상으로 내려 다시 체결고정하고 신규 방진침목의 일측에 레일을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레일지지용 스탠드를 설치하는 제 4 단계와, 신규 방진침목을 들어올려 홈 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후 신규 방진침목을 레일에 체결고정하는 제 5 단계와, 홈 내에 몰탈그라우트를 채우고 경화시키는 제 6 단계와, 몰탈그라우트의 경화 후에 레일지지용 스탠드를 철거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내지 제 7 단계를 짝수 위치의 기존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에 대해 반복하는 제 8 단계를 통해 교체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내지 상기 제 7 단계는 야간에 이루어지고, 상기 제 8 단계는 익일 야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KR1020200062524A 2020-05-25 2020-05-25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KR20210145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524A KR20210145524A (ko) 2020-05-25 2020-05-25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KR1020230072928A KR20230091078A (ko) 2020-05-25 2023-06-07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524A KR20210145524A (ko) 2020-05-25 2020-05-25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928A Division KR20230091078A (ko) 2020-05-25 2023-06-07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524A true KR20210145524A (ko) 2021-12-02

Family

ID=788671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524A KR20210145524A (ko) 2020-05-25 2020-05-25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KR1020230072928A KR20230091078A (ko) 2020-05-25 2023-06-07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928A KR20230091078A (ko) 2020-05-25 2023-06-07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4552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845A (ko) 2002-01-30 2002-12-05 이화케미칼 주식회사 궤도 방진장치
KR200301015Y1 (ko) 2002-10-21 2003-01-17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궤도용 고무방진상자
KR20060095891A (ko) 2006-08-11 2006-09-04 송재청 +자형콘크리트침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845A (ko) 2002-01-30 2002-12-05 이화케미칼 주식회사 궤도 방진장치
KR200301015Y1 (ko) 2002-10-21 2003-01-17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궤도용 고무방진상자
KR20060095891A (ko) 2006-08-11 2006-09-04 송재청 +자형콘크리트침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078A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9991A (ko) 철도용 방진궤도 및 이의 시공방법
CN108914715B (zh) 用于减振地段的装配式无砟轨道结构及装配方法
KR100699548B1 (ko)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CN207159714U (zh) 一种地铁用扣件系统
KR20120039429A (ko) 철도궤도용 프리캐스트 레일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CN108914713B (zh) 用于减振地段的无砟轨道的湿接式装配方法
KR101266111B1 (ko) 아스팔트 노반용 탄성패드와 전단고정 장치를 구비한 침목 및 그 시공 방법
KR20150111547A (ko) 아스팔트 노반상 직결궤도용 광폭침목 및 그 시공 방법
KR102416416B1 (ko)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KR20210145524A (ko) 방진상자형 방진침목의 교체시공을 위한 방진침목
CN105256668A (zh) 一种嵌入式轨道系统
RU2306377C2 (ru)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бучко, кацберг рельса к шпале
KR101670587B1 (ko) 철도궤도용 z형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철도궤도구조
CN107805977A (zh) 用于无砟轨道的弹性套靴和弹性垫板组件和无砟轨道
CN112431071A (zh) 高速铁路嵌入式轨道结构
KR102416415B1 (ko) 콘크리트도상 궤도의 방진침목 교체시공방법
CN207176403U (zh) 用于无砟轨道的弹性套靴和弹性垫板组件和无砟轨道
CN203530787U (zh) 应用夹持式剪力铰的浮置道床
KR100818757B1 (ko) 철도 레일 충격 흡수 체결 장치
WO2022126535A1 (zh) 重载铁路无螺栓扣件系统
KR20030065897A (ko) 콘크리트도상 궤도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12755B1 (ko) 고속철도용 방진침목 및 그 제작방법
KR200489075Y1 (ko) 금속보강재를 일체화한 레일 체결장치
KR200410824Y1 (ko) 연약지반용 철로설치구조
KR101184607B1 (ko) 레일패드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레일 체결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