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374A -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 - Google Patents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374A
KR20210145374A KR1020200062149A KR20200062149A KR20210145374A KR 20210145374 A KR20210145374 A KR 20210145374A KR 1020200062149 A KR1020200062149 A KR 1020200062149A KR 20200062149 A KR20200062149 A KR 20200062149A KR 20210145374 A KR20210145374 A KR 20210145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
thin glass
peeling
loading method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양환
Original Assignee
(주) 피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피엔피 filed Critical (주) 피엔피
Priority to KR1020200062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5374A/ko
Publication of KR2021014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5Cleaning of g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박형 유리와 필름을 적층하여 적층블록을 제조하고, 상기 적층블록을 컷팅, 폴리싱 및 엣지 힐링 공정을 수행한 적층블록에서 적층된 필름은 제거하고 박리된 초박형 유리는 카세트에 적재시키는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LOADING METHOD AFTER FLAKING OF ULTRA THIN GLASS}
본 발명은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박형 유리와 필름을 적층하여 적층블록을 제조하고, 상기 적층블록을 컷팅, 폴리싱 및 엣지 힐링 공정을 수행한 적층블록에서 적층된 필름은 제거하고 박리된 초박형 유리는 카세트에 적재시키는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전자 기술들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새로운 시대적 요구 및 다양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제품이 나오고 있으며, 그 중 화면을 접고 펼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flexible)하면서도 굽혀지는(bendable) 유리(글라스)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응용 제품들에서 사용하기 위해, 플렉서블한 유리 물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폰들, 테블릿들, 다른 휴대용 전자 장치들을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깨짐 현상 없이 휘어지거나 접혀야 하는 플렉서블 글라스를 포함한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글라스(유리)는 사실상 단단한(rigid) 것으로 여겨졌고, 그러므로 글라스 대신 사용하기 위한 대체 물질들이 고려되어 왔다.
유리(글라스)의 대체품으로서, 폴리머(polymer)로 만들어진 고분자 필름들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들에서의 사용을 위해 고려되고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고분자 필름의 경우 기계적 강도가 약해 단순히 디스플레이패널의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 내충격성에 취약하고, 낮은 투과율을 갖는 단점이 있으며, 비교적 고가로 알려져 있다.
한편, 글라스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0.1㎜(100㎛) 이하의 아주 얇은 초박형 글라스(ultra thin glass)로 제작되면 이를 만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박형 유리는 침적(Dip), 분사(Spray) 또는 Dip & Spray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연마 등의 가공방식을 통해 제조되고 있으나, 얇게 만드는 과정에서 깨짐, 크랙으로 인한 파손의 위험성이 높다.
아울러, 제조된 초박형 유리의 경우 단일 판을 커팅(절단)하거나 폴리싱(연마)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크랙 및 파손의 위험이 있어, 초박형 유리를 여러 겹으로 적재하여 적층블록을 제조한 후 커팅 및 연마 공정 등을 수행하고, 적층블록에서 초박형 유리와 필름을 박리하여 다음 공정으로 전달되게 된다.
초박형 유리를 가공하는 기술 중의 하나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620375호에 적층, 컷팅 공정을 포함하는 초박형 유리 가공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원판 유리에 식각액을 분사하여 20~100㎛ 두께까지 식각하여 초박형 유리로 가공하는 식각공정과; 상기 초박형 유리를 10 ~ 30장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만드는 적층공정과; 상기 적층체를 컷팅 장비에 장착하여 정해진 소 사이즈에 맞게 컷팅하여 소적층체로 만드는 적층체 컷팅공정과; 상기 소적층체를 정해진 모양에 맞게 형상 가공하고, 소적층체의 엣지면에 칩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소적층체 형상 가공공정과; 폴리싱 휠을 사용하여 형상 가공된 소적층체의 엣지면에 존재하는 미세한 칩핑을 제거하는 폴리싱공정과; 최종 제품의 굴곡강도 향상을 위하여, 폴리싱공정을 마친 소적층체의 엣지면이 라운드를 가지는 "D" 각 모양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화학 엣지연마를 진행하는 엣지 힐링공정과; 엣지 힐링 완료된 소적층체에 UV를 조사한 후 수조에 넣고 개별 소형 초박형 유리로 분리하는 박리공정과; 박리하여 분리된 개별 소형 초박형 유리의 표면 균일도 향상을 위하여 미세 화학 연마를 진행하는 1차 전면 힐링공정과; 1차 전면 힐링이 끝난 개별 소형 초박형 유리를 굴곡강도 향상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화학강화로에서 화학강화하는 화학강화공정과; 화학강화 후 개별 소형초박형 유리의 오염원 제거 및 표면 균일도 향상을 위하여 미세 화학 연마를 하는 2차 전면 힐링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박리공정에서 수조내에서 초박형 유리와 필름이 적층된적층체(적층블록)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분리하게 되는데, 수작업시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고, 초박형 유리를 수작업 취급하는 과정에서 초박형 유리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20375호 (2016. 05. 04.)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층된 적층블록을 수조에서 불림하여 박리된 초박형 유리를 진공 흡착하여 카세트에 수용할 수 있는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은 수조에서 불림된 적층블록을 투입하는 투입단계(S10); 상기 투입단계(S10)에서 투입된 적층블록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스프레이 단계(S20); 상기 스프레이 단계(S20) 후, 필름은 제거하고 초박형 유리는 진공 흡착하여 비전검사를 수행하는 초박형 유리 비전검사단계(S30); 및 상기 비전검사단계(S30)에서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초박형 유리를 스프레이가 분사되고 있는 카세트에 적재시키는 적재단계(S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에서 불림되어 박리된 필름과 초박형 유리를 구분하고, 필름은 제저하고 초박형 유리는 카세트에 적재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초박형 유리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장치의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박형 유리와 필름을 적층하여 적층블록을 제조하고, 상기 적층블록을 컷팅, 폴리싱 및 엣지 힐링 공정을 수행한 적층블록에서 적층된 필름은 제거하고 박리된 초박형 유리는 카세트에 적재시키는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의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은 수조에서 불림된 적층블록을 투입하는 투입단계(S10); 상기 투입단계(S10)에서 투입된 적층블록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스프레이 단계(S20); 상기 스프레이 단계(S20) 후, 필름은 제거하고 초박형 유리는 진공 흡착하여 비전검사를 수행하는 초박형 유리 비전검사단계(S30); 및 상기 비전검사단계(S30)에서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초박형 유리를 스프레이가 분사되고 있는 카세트에 적재시키는 적재단계(S4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에 적용된 적재 장치의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에 적용된 적재 장치는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고, 적층블록이 투입되는 적층블록 안착부; 상기 적층블록 안착부에 물을 분사하는 제1 스프레이부; 상기 적층블록 안착부에 안착된 적층블록에서 필름은 진공 흡착하여 제거하고, 초박형 유리는 진공 흡착하여 카세트에 적재시키는 다관절 로봇; 상기 카세트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제2 스프레이부; 및 상기 다관절 로봇에 의해 이송되는 초박형 유리를 비전검사하는 비전검사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 및 발명의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100: 적재장치

Claims (1)

  1. 수조에서 불림된 적층블록을 투입하는 투입단계(S10);
    상기 투입단계(S10)에서 투입된 적층블록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스프레이 단계(S20);
    상기 스프레이 단계(S20) 후, 필름은 제거하고 초박형 유리는 진공 흡착하여 비전검사를 수행하는 초박형 유리 비전검사단계(S30); 및
    상기 비전검사단계(S30)에서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초박형 유리를 스프레이가 분사되고 있는 카세트에 적재시키는 적재단계(S40);
    를 포함하는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
KR1020200062149A 2020-05-25 2020-05-25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 KR20210145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49A KR20210145374A (ko) 2020-05-25 2020-05-25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49A KR20210145374A (ko) 2020-05-25 2020-05-25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374A true KR20210145374A (ko) 2021-12-02

Family

ID=7886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149A KR20210145374A (ko) 2020-05-25 2020-05-25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53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375B1 (ko) 2016-02-02 2016-05-23 지에프 주식회사 적층, 컷팅공정을 포함하는 초박형 유리 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375B1 (ko) 2016-02-02 2016-05-23 지에프 주식회사 적층, 컷팅공정을 포함하는 초박형 유리 가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375B1 (ko) 적층, 컷팅공정을 포함하는 초박형 유리 가공방법
US8113914B2 (en) Treating method for brittle member
JP5716678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体
WO2012050167A1 (ja) 電子装置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CN112390536B (zh) 超薄玻璃盖板、超薄强化玻璃盖板及其制备方法
KR20120037367A (ko) 유리 필름 적층체
JP2011121320A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該積層体の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KR102540041B1 (ko) 이미지센서를 이용한 초박형 유리의 검출방법
TWI526316B (zh) A method for removing the resin film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layered product
KR20210145374A (ko)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방법
KR20210145375A (ko) 초박형 유리 박리 후 적재 장치
KR20210145376A (ko) 적층블록의 초박형 유리를 연마하기 위한 연마장치
KR102067931B1 (ko) 박막글라스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커버윈도우 제조방법
CN108137391B (zh) 显示器用玻璃基板及其制造方法
KR101423222B1 (ko) 패널 보호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작방법
CN114031301A (zh) 一种切割玻璃的方法、玻璃及显示装置
KR101415608B1 (ko) 패널 보호용 윈도우 제조 장치
KR102608792B1 (ko) 초박형 유리블록의 박리 방법
KR102608793B1 (ko) 초박형 유리블록의 박리 수조
KR102596825B1 (ko) 초박형 유리블록의 불림 방법
JP2011219503A (ja) 粘着テープ
KR102635049B1 (ko) 적층블록의 초박형 유리를 연마하기 위한 연마장치
JP2014031286A (ja) 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101415605B1 (ko) 패널 보호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작방법
JP2018172224A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