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5235A -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개인 보관 용기의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개인 보관 용기의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5235A
KR20210145235A KR1020217035184A KR20217035184A KR20210145235A KR 20210145235 A KR20210145235 A KR 20210145235A KR 1020217035184 A KR1020217035184 A KR 1020217035184A KR 20217035184 A KR20217035184 A KR 20217035184A KR 20210145235 A KR20210145235 A KR 20210145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odule
storage container
user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테란드 마그네
피엘드헤임 이바르
아우스트라임 트론드
Original Assignee
오토스토어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스토어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오토스토어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1014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7Return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with data re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interpolation, e.g. the computation of intermediate points between programmed end points to define the path to be followed and the rate of travel along that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50/28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16Codes or marks on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6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의 복수의 상호작용 구역(6)들 중에서 하나의 상호작용 구역(6)에서의 접근 스테이션을 거쳐 보관 용기를 이송함으로써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용기(4)의 안전한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방법이 개시되며, 보관 용기(4)는 사용자 및 보관된 물품에 연결되고, 이 방법은 다른 방법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특정한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하여 실행된다. 이 모듈은 사용자 식별 데이터를 처리하고 시스템에의 접근을 제공하는 사용자 식별 모듈(20); 보관될 물품을 목록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하기 위한 등록 모듈(30), 목록 데이터베이스(10)에서 보관된 물품을 조사하기 위한 조사 모듈(40), 보관된 물품과 조사 결과를 시현하는 시현 모듈, 및 특정한 보관 용기를 보관하거나 회수하도록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시스템 콘트롤러(100)에 통신 모듈(70)을 통해 지시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실행 모듈(60)을 포한한다.

Description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개인 보관 용기의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법
본 발명은 다른 사람들에 의하여 취급되는 다른 상호작용 구역들에 기능하는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관 용기에 보관된 물품들을 이송하고 회수하기 위한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다른 예들이 있다. 도 1은 보관 그리드(3)를 구성하는 골조 구조물을 가지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구조물은 또한 빈으로 알려진 보관 용기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 컬럼을 형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보관 용기들은 보관 컬럼 위에서 x- 및 y-방향으로 리프팅 장치를 이동시키고 접근 스테이션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보관 용기를 운반함으로서 취급된다. 차량들 혹은 로봇이 상기 리프팅 프레임 대신에 용기들을 취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WO2014/090684A1에 설명되고, 그 내용은 여기 참조를 위하여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로봇이라는 표현이 보관 용기를 취급하는, 예컨대, 보관 용기를 접근 스테이션을 구비한 상호작용 구역들로부터 그리고 거기로 보관 용기를 이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기 운반 조립체 및 보관 그리드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장치를 설명하는 집합적인 용어로서 사용된다.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특정 보관 용기를 픽업(pickup)하거나 보관할 때,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는 로봇으로 제어 명령을 보낸다. 시스템은 각각의 보관 용기가 위치되는 곳과 그의 수용된 물품을 규정하는 데이터를, 예컨대, 물품 #122는 레벨1에 있는 최상부 보관 용기 아래 레벨(4)의 컬럼[3, 4]에 있다는 것을 포함하는 갱신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이어서 로봇은 컬럼[3, 4]로 구동되고, 상부의 세 개의 보관 용기를 제거하고 이어서 물품 #122를 보관하는 다음 보관 용기를 회수한다. 물품 #122을 구비한 보관 용기를 막고 있는 보관 용기들은 또한 다른 협력하는 로봇들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보관 용기에 배치된 물품은 통상적으로 보관 용기에 배치될 때 스캐닝된 바코드에 의하여 등록된다.
접근 스테이션은 물품이 보관 용기 내로 위치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제거되는 픽업 스테이션 또는 보관 스테이션일 수 있다. 공지의 자동 보관 시스템들은 서로 다른 사람들에 의하여 모든 보관된 보관 용기들이 접근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몇몇의 픽업 및 보관 스테이션을 가질뿐이다.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이 접근 스테이션을 구비한 복수의 다른(서로 다른) 상호작용 구역들을 포함하고 이 작용구역들에서 보관 용기들은 시스템의 외부로부터 접근될 수 있고, 단지 특정한 식별가능한(identifiable: 확인가능한) 보관 용기들만이 각각의 접근 스테이션에서 식별된(확인된, 인증된) 사람에 의하여 접근될 수 있을 때, 이러한 기능(functioality)을 제공하기 위한 확실한(secure)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이 예컨데 서로 다른 아파트들에 서비스하도록 아파트 블록에 설치되고, 각 아파트에서 접근 스테이션을 사용할 수 있을 때 적용가능하다. 다른(서로 다른) 아파트로부터의 사적 물품을 가진 보관 용기들은 동일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 보관될 것이다. 이어서 특정 개인에 의하여 보관 용기에 보관되고 등록된 물품에 대해 그 사람에 의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아파트 빌딩, 테라스 하우스, 또는 예컨대, 요양원, 학교 기숙사, 군대 내무반 등과 같은 다수의 인간에 의하여 공유되는 다른(서로 다른) 빌딩과 같은 다른(서로 다른) 위치들에 설치된 복수의 상호작용 구역들에 연결된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의 개인적 물품의 보관 및 회수를 확실히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보관 및 회수 시스템과 특정 상호작용 구역에서의 접근 스테이션 사이에 보관 용기를 이동시키는 용이하고 확실한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과 방법은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다른 구조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지하층, 다락, 또는 빌딩의 상호작용 구역들 사이에 설치된 것 중 하나와 같은 보관 그리드를 상호작용 구역으로 연결하는 용기 운반 조립체는 설치된 빌딩의 유형과 층 평면도(평면 구조)에 대응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운반 조립체는 수직 또는 경사된 보관 용기 운반 조립체 또는 수평 컨베어를 포함할 수 있다.
집중되고 소형인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보관 용기에의 접근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과 방법을 사용하는 이점은 그것이 제공하는 안전성(보안성:security)이다.
단일 하우스에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이 사용되면, 시스템은 물품을 보관하고 회수하기 위한 용기들이 사용가능한 모든 상호작용 구역, 예컨대, 각 층에 하나의 상호작용 구역을 가지는 다수의 상호작용 구역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한 명 또는 몇 명의 사용자를 통상적으로 가진다. 이어서 사용자는 보관 용기가 배달되기를 원하는 층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상호 작용 구역에서 접근 스테이션을 통해 특정한 용기에 사용자가 접근하는, 다수의 사용자를 가진 아파트 빌딩이나 다른 빌딩에 설치되면, 시스템에는 특정 보관 용기를 요청하는 사용자가 용기에 접근하는 것과 사용자가 전용 접근 스테이션의 상호작용 구역에의 접근하는 것을 모두 검증하기 위한 검증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호작용 구역이라는 표현은 접근 스테이션을 통해 보관 및 회수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구역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호작용은 통상적으로 개인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용기를 보관하거나 회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화된 보관 시스템의 보관 컬럼의 보관 위치로부터 전용의 상호작용 구역으로의 보관 용기의 운반을 제어하기 위하여 인간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용기에 보관된 물품을 조사하고 시현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일정한 보관 위치로부터 특정 보관 용기를 픽업하기 위하여 로봇을 제어하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서로 다른) 모듈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앱)을 구동하는, 사용자 작동가능한 제어 시스템을 작동한다.
본 발명은 자동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복수의 상호작용 구역들 중에서 하나의 상호작용 구역을 거쳐 보관 용기를 이송시킴으로써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용기의 안전한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보관 용기는 사용자 및 보관된 품목에 연결(연관)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방법의 다른 단계들을 실행하는 특정한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하여 실행되는, 보관 용기의 확실한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의하여 규정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식별 모듈에서 사용자 식별 데이터를 접수하고,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자 식별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가 식별되면 사용자에 연결된 보관 용기를 사용자가 보관하거나 회수할 수 있고 그로부터 물품을 제거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 구역에서 접근 스테이션에의 접근을 허용하며;
접근 스테이션으로의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물품을 등록 모듈에 등록하고 사용자에게 연결된 식별 보관 용기에 물품을 연결하며, 물품과 보관 용기에 대한 정보로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
접근 스테이션으로의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의 물품을 회수하기 위하여, 조사(검색) 모듈에 의하여 목록 데이터베이스의 물품을 조사하고 그리고 발표 모듈에 의하여 조사(검색) 결과와 보관된 물품을 시현하고, 시현 모듈로부터 회수될 물품을 선택하며;
사용될 특정한 상호작용 구역의 정보와 이송될 보관 용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명령을 실행 모듈에서 생성하고, 특정한 상호작용 구역에서 사용자로부터 그리고 사용자에게 보관 용기에 결합된 물품, 또는 보관 용기의 확실한 이송을 제어하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로 통신 모듈에 의하여 실행 명령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의 추가적인 특징은 청구범위들에 규정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여러 상호작용 구역들 중에서 하나의 특정한 상호작용 구역을 거쳐, 사용자와 보관된 물품에 연결된 보관 용기를 이송함으로써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용기의 확실한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는 다른 모듈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하여 규정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사용자를 식별하고 특정한 상호작용 구역으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모듈;
물품을 보관하는 식별된(확인된) 보관 용기에 물품을 연결하고 등록하며 몰품 및 보관 용기에 대한 정보에 의하여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기 위한 등록 모듈;
목록 데이터베이스의 물품을 조사(검색)하기 위한 조사(검색) 모듈;
보관된 물품의 조사(검색) 결과를 발표하는 발표 모듈;
사용될 특정한 상호작용 구역에 대한 정보와 이송될 보관 용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실행 모듈; 및
특정한 상호작용 구역에서 보관 용기를 사용자에게 그리고 사용자로부터의 확실한 이송을 제어하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에 실행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추가적인 특징은 청구범위들에 규정된다.
본 발명이 이제 단지 예로서 그리고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며;
도 2는 서로 다른 아파트들에 서비스하는 집중되고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예를 도시하며;
도 3은 집중된 자동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 물품을 보관하는 과정에 포함된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4는 집중된 자동 보관 및 회수 시스템으롭부터 물품을 회수하는 과정에 포함된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5는 태블릿에 시각적으로 발표된 조사 결과의 예를 도시하며;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에 포함된 다른 모듈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목록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고 개인이 그의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 용기에의 접근이 허용된 상호작용 구역에서 개인물품을 가진 보관 용기를 이송하기 위한 집중된 자동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로봇(5)이 보관 그리드(3)의 컬럼(4.1)으로 그리고 컬럼으로부터 보관 용기(4)를 취급하는 종래 기술의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면은 보관 및 회수 시스템(2) 위의 X- 및 Y-방향으로 로봇을 이동시켜, 보관 용기(4)를 보관하기 위한 모든 컬럼(4.1)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현가 시스템에 연결되고 그에 의하여 작동되는 하나의 로봇(5)을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로봇뿐 아니라, 예컨대, 컬럼 상부의 레일 시스템 위에서 주행하는 로봇과 같은, 다른 유형의 로봇이 사용될 수 있다. 여러 로봇의 사용은 대형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 관련된다.
중앙의 시스템 콘트롤러(100)(도 6 참조)에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물리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이들은 예컨대, 컬럼들의 수, 각 컬럼(4.1)이 보관할 수 있는 보관 용기(4)들의 수, 보관 용기(4)들이 입고되거나 출고되는 상호작용 구역의 수, 등의 시스템 설정시의 입력 파라미터들이다. 각 보관 용기(4)가 위치되는 장소의 갱신된 데이터와, 이들 데이터를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가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 포함된다.
종래 기술의 시스템은 다른 상호작용 구역들과 그들에 접근할 수 있는 인간사이에서 구분이 없다. 즉, 보관 용기(4)는 어느 상호작용 구역에서나 어떤 사용자에 의해서나 배달되고 획득될 수 있다. 아파트 빌딩에 설치된 때, 상호작용 구역들과 그들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2는 다른 아파트(1 내지 5)를 위해 기능하는 집중되고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면은 집중되고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이 설치된 지하층을 가진 5층 빌딩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단지 예시적이며 예로서 의도되며; 빌딩은 물론 임의 갯수의 아파트 및 임의 갯수의 레벨(층)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 5개의 아파트는 지하층 위에 위치된다. 수직의 용기 운반 조립체(8)는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으로부터 상호작용 구역(들)(6)으로 그리고 역으로 보관 용기(4)를 이송하기 위하여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을 각 층의 상호작용 구역(6)에 연결한다. 각각의 상호작용 구역(6)은 자동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 제어된 접근을 할 수 있는 접근 스테이션을 가진다.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은 보관 컬럼(4.1)에 스택으로 배치된 보관 용기(4)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 그리드(3)를 형성하는 골조 구조물과 보관 컬럼(4.1)으로부터 보관 용기(4)를 상승시키고 내부로 하강하며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 접근하고 그로부터 보관 용기(4)를 이송하기 위하여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을 복수의 상호작용 구역(6)으로 연결하는 용기 운반 조립체(8)로 그리고 그로부터 보관 용기(4)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용기 취급 차량(5)을 포함한다.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은 추가로, 보관 용기(4)와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서의 그들의 위치 관련 정보를 확보하고 보관 용기(4)를 보관하고 회수하기 위한 용기 취급 로봇(들)(5)을 제어하기 위한,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도 6 참조)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수직 용기 운반 조립체(8)는 이 예에서 보관 용기(4)가 놓이는 보관 용기 서포트를 포함하고,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으로부터 상호작용 구역(6)으로 그리고 역으로 수직방향으로 보관 용기(4)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트이다. 이는 보관 용기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 그리드(3)를 포함하는 지하층(또는 다른 지정된 레벨)과 아파트 사이로 연장하고 복수의 아파트에 의하여 공유되는 공통 리프트이다.
이 방법은 서로 다른 아파트들과 집중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 사이에서 물품의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는 새로운 방식을 필요로 한다.
새로운 방법은 특정 사용자에게 연결된 보관 용기(4)는 해당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방법에 의하여 제공된다. 이 방법은 특정한 보관 용기(4)에 어떤 물품이 보관되는 지, 특정한 보관 용기(4)는 보관 그리드(3)의 어느 위치에 보관되고, 어떤 사용자들이 이 것들에 접근하고, 어떤 상호작용 구역(들)(6)에서 이 보관 용기로의 접근이 가능할 지를 데이터 세트에 기입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된다.
본 발명은 보관 용기(4)에 보관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목록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는 것에 의하여,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과 상호작용 구역(6) 사이의 보관 용기(4)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의하여 규정된다.
도 3과 4는 집중된 자동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 물품을 보관하고 회수하기 위하여 목록 데이터베이스(10)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 포함된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개인이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 접근하려는 경우, 제1 단계(31)는 사용자 식별 모듈(20)(도 6 참조)에서 그 개인/사용자를 식별(확인)하는 것이다.
사용될 수 있는 식별 기술의 예들은 지문, 얼굴이나 음성 인식이다. 이들 기술의 결합은 더욱 양호한 안전성을 제공한다.
단계(32)에서 성공적으로 식별되면, 인간/사용자에게 상호작용 구역(6)에서의 접근 스테이션을 통해 시스템으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동일한 상호작용 구역(6)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서로 다른 가족 구성원이 동일한 상호작용 구역(6)으로부터 그들의 사적 보관 용기(4)에 접근할 것이다.
다음 단계는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 물품을 보관하거나 회수하는 것이다. 이것들은 다른 방법 단계들을 필요로 할 것이다.
물품이 보관되고 사용자의 식별이 성공적이면, 다음 단계는 물품을 이를 설명하는 데이터(33)와 함께 등록 모듈(30)(도 6 참조)에 등록하는 것이고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 용기(4)에 물품을 연결한다(연관시킨다)(35). 물품에 기재하는 데이터는 예컨대 시각 데이테 또는 말 데이터(verbal data)이다.
이어서 목록 데이터베이스(10)는 이러한 정보에 의하여 갱신된다. 물품을 등록하고 그들을 보관 용기(4)에 연결하는 것이 어떻게 실행되는가는 이하에서 이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다른 모듈을 설명할 때 상세하게 설명된다. 사용자만이 몇 개의 보관 용기를 가지면, 물품을 등록하고 이를 보관 용기에 연결하는 것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만이 보관용기들에 연결된다.
물품들은 등록 모듈(30)에 등록된 시각 데이터에 의하여 등록될 수 있다. 물품들은 또한 그들을 언어로서 설명함으로써, 또는 기록된 설명으로 등록될 수 있다. 여전히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물품들은 시각 특징에 의하여, 예컨대, 물체 인식 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식별(확인)될 수 있다.
다음 단계는 실행 명령을 생성하고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의 콘트롤러로 보관 용기(4)에 보관하도록 명령하는 것이다(도 3의 단계(36) 참조).
실행 명령은 적어도 사용될 특정한 상호작용 구역(6)의 정보와 보관될 보관 용기(4)의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실행 명령은 구체적인 상호작용 구역(6)에서 사용자에게 그리고 그로부터의 보관 용기의 확실한 이송을 제어하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에 전송된다. 보관 용기가 보관되어야 하는 장소와 관련한 추가적인 정보가 또한 입력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보관 용기가 단기간 또는 장기간 보관 되는지 또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의 저온 구역에 보관되는지를 기초로 할 수 있다.
보관 용기(4)는 다른 방식으로, 예컨대, 등록 모듈(30)에 등록된 시각 데이터 및/또는 RFID 태그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다.
물품이 회수되고 사용자 식별이 성공하면, 사용자는 조사 모듈(40)과 상호작용 구역(6)에서의 접근 스테이션에 대한 접근이 허용된다. 다음 단계는 물품을 설명하는 입력(44)을 수용하고 조사 결과(48)를 시현하는 조사 모듈(40)에 의하여 목록 데이터베이스(10)에서 물품(45)을 조사하는 것이다. 발견(46)하면, 보관된 물품이 시현 모듈(50)에 의하여 표시된다. 물품이 발견되지 않으면, 통지가 표시된다(47). 보관된 물품은 시각적으로 및/또는 언어적으로 시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물품(49)을 회수하기를 원하면, 물품이 선택되고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 용기(4)에 대한 요청이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에 보내지며 콘트롤러는 이어서 로봇(5)에게 보관 용기를 회수하여 이를 용기 서포트 조립체(8)로 배달하도록 명령할 것이고 조립체는 이어서 보관 용기를 사용자가 위치하는 상호작용 구역으로 운반할 것이다.
목록 데이터베이스(10)에서 물품을 조사하는 것은 말하기, 즉, 물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조사 모듈(40)에 말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회수될 보관된 물품은 또한 조사 모듈(40)에 글(text)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도 5는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에 시각적으로 시현된 조사 결과의 예를 도시한다. 서로 다른 보관된 물품의 이미지로서 조사 결과를 시현함으로써 회수될 물품을 포함하는 보관 용기(4)를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다.
보관된 물품을 시현하는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만이 몇 개, 예컨대 20개의 보관 용기를 가지고, 보관 용기들에 수용된 물품들이 다른 품목들에 의하여 덮여있지 않을 때, 유용하다.
보관 용기들에 보관된 물품의 시각적인 시현은 조사 어구와 같이 결합될 때 특히 유용하다. 사용자는 예컨대 언어적으로 “책”이라고 말하거나 문서(글) 입력으로 “책”을 입력함으로써 책을 조사(검색)할 수 있다. 조사 모듈(40)은 이어서 책을 보관하는 모든 보관 용기를 식별하고 시현 모듈은 보관 용기들과 그 내용물을 표시할 것이다.
각 보관 용기의 내용물으르 보이는 이미지는 상호작용 구역(6)에서 보관 용기(4)로부터 물품들이 제거되거나 추가되는 매번 갱신될 것이다. 이것은 카메라가 보관 용기(4)의 내용물의 사진을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카메라는 상호작용 구역(6)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태블릿이나 스마트폰과 같이 설명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장치의 카메라일 수 있다.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으로부터 회수될 물품이 선택되면, 실행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회수(49)될 수 있다. 명령은 적어도 사용될 특정 상호작용 구역(6)과 회수될 보관 용기(4)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를 포함한다. 실행 명령은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에 요청으로서 전송되고 콘트롤러는 이어서 특정 상호작용 구역(6)에서 사용자에게 특정된 보관 용기(4)의 확실한 이송을 제어할 것이다.
개인 물품의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스마트폰, 태블릿 및 PC와 같은 다른 장치들에 장착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들 장치들은 보관 용기들에 보관될 물품을 등록하고 회수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수단, 즉, 프로세서, 입력 수단,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한다.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개인 물품에 대한 정보 및 개인 물품이 보관된 보관 용기를 포함하는 목록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고, 보관 및 회수 시스템(2)과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상호작용 구역(6) 사이의 보관 용기(4)의 이송을 제어하는 바와 같은 다른 과업을 실행하는 여러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가령 아파트 1의 사용자는 상호작용 구역(A) 접근하고 아파트 2의 사용자는 상호작용 구역(B)에 접근한다.
위에서 예로서 설명된 바와 같은 빌딩에서의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A)에 장착된 프로그램(앱)으로부터 접근될 수 있다. 예컨데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 연결된 상호작용 구역(6)과 접근 스테이션을 가진 아파트의 새로운 사용자는 앱이 장착되면 바로 시스템에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프로세서에서 실행된 때 개인에게 연결된 특정한 보관 용기의 확실한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앱)에 포함된 다른 모듈을 도시한다. 보관 용기에 보관된 개인 물품은 국부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목록 데이터베이스(10), 예컨대,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장치, 또는 원격 위치에, 예컨대, 클라우드-기입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개인 물품을 포함하는 보관 용기(4)의 확실한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포함된 다른 단계들을 제어한다. 이들 단계들은 다른 프로그램 모듈에서 실행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에 포함된 모듈은: 사용자 식별 모듈(20), 등록 모듈(30) 및 조사 모듈(40)이다. 등록 모듈(30)과 조사 모듈(40)은 목록 데이터베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다. 앱은 추가로 시현 모듈(50)과 실행 모듈(60)을 포함한다. 모든 모듈과 그들의 목적과 동작은 이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 식별 모듈(20)은 집중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의 상호작용 구역(6)으로의 접근을 제공하기 전에 개인/사용자를 식별한다. 상호작용 구역(6)을 거쳐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 접근할 수 있는 개인은 컴퓨터 프로그램(도시 없음)의 설치 모듈에 등록된다.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의 상호작용 구역(6)이 사용되는 매 시기마다, 또는 단지 시스템을 설정할 때, 식별이 실행될 수 있다. 이는 아파트의 상호작용 구역(6)에 접근하는 사람의 수에 의존한다. 단지 한 사람만이 상호작용 구역(6)을 가진 아파트에 거주하면, 보관 시스템이 사용되는 매 시기에 사용자/개인을 식별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다른 한편, 여러 사람들이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을 위한 상호작용 구역(6)을 공유하는 동일한 아파트에 거주하면, 사용자 식별 모듈(20)은 보관 시스템이 사용되는 매 시기에 개인의 신원을 검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아파트의 각각의 개인에게 동일한 상호작용 구역(6)에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그의 물품을 보관할 때의 개인에 의하여 등록된 개인 물품을 수용한 보관 용기(4)에 대해서만 접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개인의 식별은 많은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공지의 식별 방법의 예들은 암호, 핀 코드, 지문, 수정체 또는 안면 인식 등의 생체 방식이다. 식별은 또한 예컨대, 키, 키 주머니, 보안 카드, 등과의 기계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키는 추가적인 보안 레벨을 위하여 전자칩을 포함할 수 있다. 상호작용 구역(6)을 통한 시스템에의 접근은 식별이 성공적이면 제공된다.
등록 모듈(30)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용기(4)에 물품을 연결하고 등록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이러한 정보에 의하여 목록 데이터베이스(10)를 갱신하도록 구성된다. 보관될 물품과 물품이 보관된 보관 용기(4)가 모두 등록된다.
예컨대, 사용자만 단지 소수의 보관 용기(4)를 가진 단순화된 솔루션에서, 보관 용기(4)를 식별하는 정보만이 등록 모듈(30)에 등록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보관 용기(4)에 보관될 물품의 등록은 시각 데이터에 의하여 표현된 시각적 특징을 등록함으로써 실행된다. 시각 데이터는 보관 용기(4)에 배치된 물품의 카메라 포착 이미지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는 상호작용 구역(6)에 장착될 수 있고 보관 용기(4)에 배치된 물품이 포착될 수 있도록 하는 시야를 가진다.
물품을 등록하기 위하여 시각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카메라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휴대 장치,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일체화될 수 있다. 보관 용기(4)의 내용물의 사진은 이어서 이동장치에 의하여 포착될 수 있고 목록 데이터베이스(10)에 등록될 수 있다. 사진은 추가로 분류되고 카탈로그화될 수 있다.
물품의 대상 인식은 추가로 시각 데이터로부터 물품을 식별하고 이로써 식별된 물품을 그들이 보관된 보관 용기(4)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보관 용기(4)에 보관될 물품의 식별은 언어 데이터에 의하여 실행된다. 언어 데이터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장치에 연결된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음성으로 특수한 보관 용기(4)에 배치된 물품을 설명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보관 용기(4)에 보관된 물품은 기재된 설명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다. 글(text) 또한 시각 데이터에 대한 보충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시각 데이터는 한 쌍의 구두를 설명하고, 한편으로, 기재된 설명은 크기와 같은 세부 사항을 설명한다.
더욱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관될 물품은 또한 목록 데이터베이스(10)에 표시되고 등록된 RFID일 수 있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된 바와 같이, 설명된 등록 및 식별 방법들의 하나 이상의 결합이 가능하다.
보관될 물품에 추가해서, 보관 용기(4)들도 또한 시각 데이터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이 경우, 시각 데이터는 예컨대 카메라에 의하여 포착된 바코드일 수 있다.
보관 용기(4)는 또한 RFID태그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RFID 판독기가 컴퓨터 프로그램에 보관 용기 식별 데이터를 등록하고 입력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집중식 보관 및 회수 시스템(2)과 같이 사용하도록 적응되고 승인된 보관 용기(4)만이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등록되고 식별될 때 인식될 것이다. 보관 용기(4)가 승인되지 않으면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 보관 용기(4)를 보관할 수 없을 것이며, 즉, 보관 용기(4)가 승인되지 않으면,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 모듈(60)이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에 대해 명령을 생성하지 않을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등록 모듈(30)의 주 과제는 물품들과 물품들이 보관되는 보관 용기(4)에 대한 정보를 연결하고 등록하는 것과, 이러한 정보에 의하여 목록 데이터베이스(10)를 갱신하는 것이다.
조사 모듈(40)은 목록 데이터베이스(10)에 보관된 물품, 즉, 목록 데이터베이스(10)에 이미 등록된 물품 및 그들이 내부에 보관된 보관 용기(4)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는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보관된 물품이 시각 데이터에 의하여 등록되면, 프로그램의 시현 모듈(50)은 조사 결과인 시각 데이터를 장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로 전송하여 조사로부터 얻어진 모든 등록된 물품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예컨대 터치 스크린의 표시된 물품을 클릭함으로써 물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명령이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의 콘트롤러(100)로 전송될 것이고 물품이 집중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으로부터 회수될 것이다.
보관된 물품에 대한 추가적인 기재된 정보가 사용가능하다면, 조사 문구가 입력될 수 있고, 그리고 조사로부터 얻어진 물품은 시현될 것이다.
등록 모듈(30)에 등록될 물품을 설명할 때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말 데이터에 의하여 조사 어구가 또한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되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이 음성에 의해서만 작동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시현 모듈(50)은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 보관된 물품 및 조사 결과를 시현하도록 구성된다. 보관된 물품과 조사 결과의 시현은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에 그들을 표시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장치의 디스플레이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시현 모듈(50)은 보관된 물품을 말 데이터로서, 즉, 스피커를 통해 말해진 단어들로 시현될 수 있다.
실행 모듈(60)은 식별된 보관 용기(4)를 보관하거나 회수하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에 실행 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실행 모듈(60)은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의 콘트롤러(100)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70)에 연결된다.
통신 모듈(70)은 개인이 물품의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의 콘트롤러(100) 사이의 실행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보관뙨 물품 및 그들이 보관된 보관 용기(4)에 대한 모든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된다.
사용자가 단지 몇 개의 보관 용기(4)를 가지면, 사용자는 보관 용기(4)에 관련된 정보만 보관하고 등록하면 된다. 즉, 보관 용기(4)의 내용물에 대한 정보는 있다고 해도 반드시 등록할 필요는 없다. 보관 용기(4)를 요청할 때, 사용자는 단지 어떤 보관 용기(4)가 요청되는 것인지만 입력할 필요가, 예컨대, 사용자의 제2 보관 용기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입력할 필요가 있다.
보관 용기(4)를 취급할 때, 컴퓨터 프로그램의 통신 모듈(70)로부터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로 교환된 정보는, 보관 용기(4)의 독특한 식별, 보관 용기가 보관될 지 회수될 지의 여부 및 어떤 상호작용 구역(6)이 사용될 지 이다.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서 보관 용기(4)가 보관될 장소에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가 또한 입력될 수 있다.
특정한 보관 용기(4)를 보관할 때, 실행 모듈(60)은 특별한 식별 요소에 의하여 식별된 보관 용기(4)를 보관하기 위하여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콘트롤러(100)에 대한 명령을 생성한다. 명령은 통신 모듈(70)을 통해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에 전송되고 이어서 이(콘트롤러)는 식별된 보관 용기(4)를 이것이 보관될 각각의 식별된 보관 용기(4)의 위치가 어디인지, 즉, 어떤 컬럼인지 그리고 저장될 컬럼 내의 몇 층인지의 정보를 확보하고 있는 그 자체의 등록 시스템으로 연결할 것이다.
특정한 보관 용기(4)를 회수할 때, 실행모듈(60)은 특별한 식별 요소에 의하여 식별된 보관 용기(4)를 회수하기 위해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에 대한 명령을 생성한다. 명령은 통신 모듈(70)을 통해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에 전송되고 이는 이어서 각각의 식별된 보관 용기(4)가 보관되는 장소가 어디인지, 즉, 보관 용기가 보관된 컬럼과 보관된 그 컬럼 내이 층수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는 그 자체의 등록 시스템에서 식별된 보관 용기(4)를 검색할 것이다.
등록 모듈(30)은 보관된 물품 또는 보관될 물품, 및 물품이 보관되는 보관 용기(4)에 대한 정보를 확보한다. 실행 모듈(60)은 보관되거나 회수되는 보관용기(4)가 어떤 것이지에 대해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에 명령한다.
특정 사용자에 속하는 보관 용기(4)만이 규정된 상호작용 구역(6)으로부터 접근가능할 수 있다. 이는 보관 용기(4)를 보관할 때 사용되는 상호작용 구역(6)일 수 있다. 이는 보관 용기(4)에의 접근을 획득하도록 초기설정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보관 용기(4)를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역외의 상호작용 구역(6)으로부터 보관 용기(4)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선택방안(option)으로 실행될 수 있고, 여기서는 사용자가 접근이 제공되기 전에 코드 또는 다른 식별 요소를 입력하는 것에 의하여 다른 상호작용 구역(6)으로부터의 접근이 제공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 모듈(60)을 통해 명령을 생성한다. 명령은 통신 모듈(70)에 의하여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에, 즉, 식별된 보관 용기(4)를 보관하거나 회수하기 위하여 전송된다. 선택 방안으로서, 보관 용기(4)가 상호작용 구역(6)으로 회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최종 검사는 상호작용 구역(6)에서 접근 스테이션을 통해 보관 용기를 출력하기 전에 보관 용기(4)의 식별 요소를 검사하여 정확한 것임을 검사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정보가 실행 모듈(60)로부터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로 교환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정보는 예컨대 보관 용기(4)가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서 보관되어야 하는 장소일 수 있다. 이는 보관 용기가 보관 시스템으로부터 자주 회수될 것이 기대되는 것인지의 여부에 따른 장기간 또는 단기간 보관을 위해 유용할 수 있다.
특정한 온도에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집중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의 특정한 지정 영역이 있을 수 있다. 그런 경우 추가적인 정보는, 보관되는 물품이 식품이나 채소일 때, 보관 용기(4)가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의 냉각된 구역에 보관되는 지의 여부일 수 있다.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에서 보관 용기(4)가 보관되는 장소는 상호작용 구역(6)에서 보관 용기가 얼마나 신속하게 회수될 수 있는 지에 대해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서로 다른 모듈에 부가해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접근되는 자동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을 규정하는 서로 다른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모듈은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의 콘트롤러(100)와 정보를 공유한다. 교환된 파라미터들은 보관 시스템의 용량, 개인 물품의 보관을 위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보관 용기(4)의 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상호작용 구역(6)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은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보관 그리드에 접근할 권한을 가진 도적도 보관 용기의 스택의 특성에 기인하여 개별 보관 용기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다. 이로써 시스템은 개인 물품, 특히 고가일 수 있는 물품을 보관하는 데 적합해진다. 이러한 유형의 집중된 자동 보관 및 회수 시스템의 밀집성은 또한 공간이 항상 문제가 되는 아파트 빌딩 시나리오에 유익하다.

Claims (23)

  1. 자동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의 복수의 상호작용 구역(6)들 중에서 하나의 상호작용 구역(6)을 거쳐 보관 용기(6)를 이송시킴으로써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용기(4)의 안전한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보관 용기(4)는 사용자 및 보관된 물품에 연결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방법의 서로 다른 단계들을 실행하는 특정한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하여 실행되는 보관 용기의 안전한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 모듈(20)에서 사용자 식별 데이터를 접수하고,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자 식별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가 식별되면 사용자에 연결된 보관 용기를 사용자가 보관하거나 회수할 수 있고 그로부터 물품을 제거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 구역(6)에서 접근 스테이션에의 접근을 허용하며;
    접근 스테이션으로의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물품을 등록 모듈(30)에 등록하고 사용자에게 연결된 식별 보관 용기(4)에 물품을 연결하며, 물품과 보관 용기(4)에 대한 정보로 목록 데이터베이스(10)를 갱신하며;
    접근 스테이션으로의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의 물품을 회수하기 위하여, 조사 모듈(40)에 의하여 목록 데이터베이스(10)의 물품을 조사하고 그리고 시현 모듈(50)에 의하여 조사 결과와 보관된 물품을 시현하고, 시현 모듈(50)로부터 회수될 물품을 선택하며;
    사용될 특정한 상호작용 구역(6)의 정보와 이송될 보관 용기(4)의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명령을 실행 모듈(60)에서 생성하고, 특정한 상호작용 구역(6)에서 사용자로부터 그리고 사용자에게로 보관 용기에 결합된 물품, 또는 보관 용기의 확실한 이송을 제어하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로 통신 모듈(70)에 의하여 실행 명령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용기의 안전한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물품을 등록하는 것은 등록 모듈(30)에 등록된 시각 데이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물품을 등록하는 것은 등록 모듈(30)에 등록된 말 데이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물품의 등록은 등록 모듈(30)에 등록된 시각, 말 및 글(text) 데이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보관 용기(4)의 식별은 등록 모듈(30)에 등록된 시각 데이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방법.
  6.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관 용기(4)의 식별은 등록 모듈(30)에 등록된 RFID 태그를 판독함으로써 실행되는 방법.
  7.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록 데이터베이스(10)에서 물품을 조사하는 것은 조사 모듈(40)에서 말 데이터 입력에 의하여 실행되는 방법.
  8.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록 데이터베이스(10)에서 물품을 조사하는 것은 조사 모듈(40)에서의 글 데이터 입력에 의하여 실행되는 방법.
  9.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관된 물품과 조사 결과는 시각적으로 시현되는 방법.
  10.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관된 물품과 조사 결과는 말로서 시현되는 방법.
  11.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빌딩의 복수의 상호작용 구역(6)들 중의 하나의 상호작용 구역(6)을 거쳐 보관 용기(4)의 안전한 보관 및 회수를 제공하기 위한 빌딩(2) 내의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
  12.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의 여러 상호작용 구역(6)들 중에서 하나의 특수한 상호작용 구역(6)을 거쳐 사용자와 보관된 물품에 연결된 보관 용기를 이송함으로써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용기(4)의 안전한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는 서로 다른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사용자를 식별하고 특수한 상호작용 구역(6)으로의 사용자의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모듈(20);
    물품을 보관하는 식별된 보관 용기(4)에 물품을 연결하고 등록하며 물품 및 보관 용기(4)에 대한 정보에 의하여 목록 데이터베이스(10)를 갱신하기 위한 등록 모듈(30);
    목록 데이터베이스(10)의 물품을 조사하기 위한 조사 모듈(40);
    보관된 물품의 조사 결과를 시현하는 시현 모듈(50);
    사용될 특수한 상호작용 구역(6)에 대한 정보와 이송될 보관 용기(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실행 모듈(60); 및
    특수한 상호작용 구역(6)에서 보관 용기를 사용자에게 그리고 사용자로부터의 확실한 이송을 제어하는 보관 및 회수 시스템 콘트롤러(100)에 실행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통신 모듈(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듈(30)은 시각 데이터에 의하여 물품을 등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시각 데이터의 물체 인식이 물품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듈(30)은 말 데이터에 의하여 물품을 등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듈(30)은 시각, 말 및 글 데이터의 결합에 의하여 물품을 등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7. 제12항 내지 제1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듈(30)은 시각 데이터에 의하여 보관 용기(4)를 등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8. 제12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모듈(30)은 RFID 태그에 의하여 보관 용기(4)를 등록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9. 제12항 내지 제1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모듈(40)은 말 입력을 수용하고 식별하도록 형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20. 제12항 내지 제1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모듈(40)은 글 입력을 수용하고 식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1. 제12항 내지 제2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현 모듈(50)은 시각 데이터를 출력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2. 제12항 내지 제2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현 모듈(30)은 말 데이터를 출력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3. 제12항 내지 제2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빌딩에서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2)을 제어하고 빌딩에서 복수의 상호작용 구역(6)들의 어느 하나의 상호 작용 구역(6)을 거쳐 안전한 보관 용기(4)의 보관 및 회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7035184A 2019-03-29 2020-03-16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개인 보관 용기의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법 KR202101452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190433A NO345278B1 (en) 2019-03-29 2019-03-29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torage and retrieval of personal storage containers in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NO20190433 2019-03-29
PCT/EP2020/057133 WO2020200741A1 (en) 2019-03-29 2020-03-16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torage and retrieval of personal storage containers in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235A true KR20210145235A (ko) 2021-12-01

Family

ID=69846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5184A KR20210145235A (ko) 2019-03-29 2020-03-16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개인 보관 용기의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144544A1 (ko)
EP (1) EP3948709A1 (ko)
JP (1) JP2022528849A (ko)
KR (1) KR20210145235A (ko)
CN (1) CN113950690A (ko)
CA (1) CA3135047A1 (ko)
NO (1) NO345278B1 (ko)
WO (1) WO2020200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T6546B (lt) * 2016-12-09 2018-07-25 AUGA group, AB Daiktų logistikos sistema ir toje sistemoje naudojamas mobilus dėžių konteineris
GB202117123D0 (en) * 2021-11-26 2022-01-12 Ocado Innovation Ltd Detecting a transport device in a workspace
GB202117132D0 (en) * 2021-11-26 2022-01-12 Ocado Innovation Ltd Detecting an identification marker on a transport device in a workspa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9132B2 (en) * 2010-12-02 2014-09-16 Tecsy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sual instructions to warehouse operators
NO335839B1 (no) * 2012-12-10 2015-03-02 Jakob Hatteland Logistics As Robot for transport av lagringsbeholdere
US9400933B2 (en) * 2013-12-12 2016-07-26 Aesynt Incorporated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he identification and packaging of medication
WO2016101042A1 (en) * 2014-12-24 2016-06-30 Swyft Inc. A system and a method for facilitating the provision of goods
US10198706B2 (en) * 2015-07-31 2019-02-05 Locus Robotics Corp. Operator identification and performance tracking
US10273085B2 (en) * 2017-01-17 2019-04-30 Amazon Technologies, Inc. Item transfer using stackable storage mod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190433A1 (en) 2020-09-30
WO2020200741A1 (en) 2020-10-08
EP3948709A1 (en) 2022-02-09
US20220144544A1 (en) 2022-05-12
CA3135047A1 (en) 2020-10-08
JP2022528849A (ja) 2022-06-16
NO345278B1 (en) 2020-11-30
CN113950690A (zh)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5235A (ko) 자동화된 보관 및 회수 시스템에서 개인 보관 용기의 보관 및 회수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방법
EP3200161A1 (en) Remot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ccess
US11941578B2 (en) Access authentication and/or item process management using identification codes
CA29269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delivery of a parcel to a suitably sized locker
US20240054584A1 (en) Accomodation management system and accomodation management apparatus
JP7230812B2 (ja) 引渡管理システム、管理サーバ、引渡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29290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275076B2 (en) Space equipment recognition and control using handheld devices
CN101634859B (zh) 信息处理系统
US8792911B2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JP7089360B2 (ja) 設備機器作動システム
US11915333B1 (en) Mobile check-in and user verification for access to secured areas such as lounges
JP7402940B2 (ja) ユーザ認証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94625A (ko) 도서 대출 및 반납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758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22023559A (ja) 作業管理装置、作業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243046A1 (ja) サーバ装置、システム、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201603004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body inspection
US201801706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nit dwelling storage
JP5547378B2 (ja) 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データ管理方法
JP2020129235A (ja) ゲート管理システム、ゲート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Harilatha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Oriented Security System Using Alexa
JP7340308B1 (ja) 荷物を置き配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のためのシステムと管理装置
KR102501646B1 (ko) 입장 고객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P2003132469A (ja) 認証管理システム及び認証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